KR102401479B1 - 무대설비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설비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479B1
KR102401479B1 KR1020210110830A KR20210110830A KR102401479B1 KR 102401479 B1 KR102401479 B1 KR 102401479B1 KR 1020210110830 A KR1020210110830 A KR 1020210110830A KR 20210110830 A KR20210110830 A KR 20210110830A KR 102401479 B1 KR102401479 B1 KR 10240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heel body
pushed
vertical portio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도
Original Assignee
(주)성우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우이앤씨 filed Critical (주)성우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11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wound up when not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와이어의 이상에 따른 작동이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무대설비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 승강장치는 윈치(30)의 구동시 회전속도감지수단(61)을 이용하여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고, 회전속도가 다른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에 비해 낮은 휠본체(22)가 발생될 경우, 상기 제어수단(50)이 와이어(3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수단(62)을 구동시켜 관리자에게 경보를 한다.
따라서,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된 것을 관리자가 신속하게 파악하여 유지보수함으로써, 정상적인 다른 와이어(31)에 불필요한 부하가 가해지거나 윈치(30)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대설비 승강장치{stage equipment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와이어의 이상에 따른 작동이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무대설비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에 설치되어 라이트나 커튼 등을 비롯한 다양한 설비를 승강시키는 부대설비용 승강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활차(2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활차(20)의 둘레부를 경유하여 하측으로 연장된 와이어(31)의 기단부를 풀어 내리거나 감아올릴 수 있도록 된 윈치(3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31)의 하단에 고정되며 각종 무대설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바(40)와, 상기 윈치(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로 구성된다.
상기 활차(2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브라켓(21)과, 상기 브라켓(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31)가 경유하도록 된 휠본체(22)로 구성된다.
상기 윈치(30)에 권취되는 와이어(31)는 상기 활차(20)와 대응되도록 여러개의 줄로 구성되어, 각각의 와이어(31)가 각각 서로 다른 활차(20)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40)에 일정가격 이격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바(40)에 결합된 무대설비의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윈치(30)를 이용하여 와이어(31)를 감거나 풀 때, 상기 지지바(40) 전체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31)는 상기 윈치(30)에서 풀려나와 상기 휠본체(22)의 상면까지 연장된 연장부(31a)와, 상기 휠본체(22)의 둘레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31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31)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바(40)에 연결되는 턴버클(32)이 구비되어, 상기 턴버클(32)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바(40)에 결합된 무대설비의 하중이 각각의 와이어(31)에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수단(50)에는 관리자가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51)이 구비되어, 관리자가 상기 입력수단(51)을 조작하여 상기 윈치(30)를 제어하여 와이어(31)를 감아올리거나 풀어 내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40)에 각종 무대설비를 고정한 상태에서, 관리자가 상기 입력수단(51)을 조작하여 상기 윈치(30)를 풀거나 감으면 상기 지지바(40)와 함께 무대설비가 승강되어, 무대설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무대설비 승강장치의 구조는 등록특허 10-1414451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무대설비 승강장치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일측의 와이어(31)에 연결된 턴버클(32)이 풀어지는 등의 이유로 와이어(31) 전체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일측의 와이어(31)가 상기 활차(20)로부터 이탈되거나 끊어지는 등과 같은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이 지지바(40)에 결합된 무대설비의 하중이 나머지 와이어(31)로 집중되어 과도한 하중이 가해질 뿐 아니라, 윈치(30)를 구동시킬 때 상기 와이어(31)가 원활히 승강되지 못하여 윈치(30)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와이어의 이상에 따른 작동이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무대설비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활차(2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활차(20)의 둘레부를 경유하여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와이어(31)의 기단부를 풀어 내리거나 감아올릴 수 있도록 된 윈치(3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31)의 하단에 고정되어 각종 무대설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바(40)와, 상기 윈치(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활차(2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브라켓(21)과, 상기 브라켓(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31)가 경유하도록 된 휠본체(22)를 포함하는 무대설비 승강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에 연결되어 각 휠본체(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회전속도감지수단(61)과, 상기 제어수단(50)에 연결된 경보수단(6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윈치(30)를 구동시켜 와이어(31)를 풀거나 감을 때 상기 회전속도감지수단(61)의 신호를 수신하여 일측의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가 다른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에 비해 저하되면, 회전속도가 느린 활차(20)를 경유하는 와이어(3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용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31)는 상기 윈치(30)에서 풀려나와 상기 휠본체(22)의 상면까지 연장된 연장부(31a)와, 상기 휠본체(22)의 둘레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31b)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31b)를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70)과,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수단(70)에 의해 수직부(31b)가 측방향으로 밀리면 이를 감지하는 와이어감지수단(7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윈치(3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감지수단(7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압수단(70)에 의해 수직부(31b)가 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와이어(3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31) 연장부(31a)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연장부(31a)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푸셔(80)와, 상기 연장부(31a)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며 상기 푸셔(80)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 올려진 와이어(31)의 연장부(31a)를 감지하는 상승감지수단(8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회전속도감지수단(61)과 와이어감지수단(7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와이어(3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푸셔(80)를 구동시켜 연장부(31a)를 상측으로 밀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상승감지수단(85)의 신호를 수신하여 연장부(31a)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62)을 구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 승강장치는 윈치(30)의 구동시 회전속도감지수단(61)을 이용하여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고, 회전속도가 다른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에 비해 낮은 휠본체(22)가 발생될 경우, 상기 제어수단(50)이 와이어(3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수단(62)을 구동시켜 관리자에게 경보를 한다.
따라서,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된 것을 관리자가 신속하게 파악하여 유지보수함으로써, 정상적인 다른 와이어(31)에 불필요한 부하가 가해지거나 윈치(30)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대설비 승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무대설비 승강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 승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 승강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 승강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 승강장치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 승강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 승강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 승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활차(2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활차(20)의 둘레부를 경유하여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와이어(31)의 기단부를 풀어 내리거나 감아올릴 수 있도록 된 윈치(3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31)의 하단에 고정되어 각종 무대설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바(40)와, 상기 윈치(30)의 작동을 제어하며 입력수단(51)이 구비된 제어수단(5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활차(2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브라켓(21)과, 상기 브라켓(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31)가 경유하도록 된 휠본체(22)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는 지름이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윈치(30)가 구동되어 와이어(31)를 풀거나 감을 때 각각의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31)는 상기 윈치(30)에서 풀려나와 상기 휠본체(22)의 상면까지 연장된 연장부(31a)와, 상기 휠본체(22)의 둘레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31b)로 구성된다.
그리고,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에는 각 휠본체(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속도감지수단(6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에는 경보수단(62)이 연결된다.
상기 회전속도감지수단(61)은 상기 활차(20)의 브라켓(21)에 구비되어 상기 휠본체(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엔코더 등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물체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엔코더 등은 일반적인 기계요소로서 널리 사용되는 것임으로, 구성이나 작용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경보수단(62)은 상기 제어수단(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회전속도감지수단(61)에 연결되어, 상기 윈치(30)를 작동시켜 와이어(31)를 풀거나 감아올릴 때 상기 회전속도감지수단(61)에 의해 측정된 각 활차(20)의 휠본체(22)의 회전속도를 수신하여, 각 활차(20)의 둘레부를 경유하도록 배치된 와이어(31)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와이어(31)는 일단은 상기 윈치(30)에 감기고, 타단은 상기 활차(20)의 둘레면을 경유한 후 턴버클(32)을 통해 상기 지지바(40)에 고정되는데, 이때, 각각의 와이어(31)에 구비된 턴버클(32)은 와이어(31)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31)가 상기 휠본체(22)의 둘레면에 밀착됨으로, 상기 윈치(30)를 이용하여 와이어(31)를 감거나 풀어서 지지바(40)가 승강되도록 할 때, 각각의 와이어(31)가 둘레면을 경유하는 활차(20)의 휠본체(22)가 상호 동일한 속도로 정역회전된다.
그런데, 여러개의 와이어(3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와이어(31)가 휠본체(22)에 정확히 밀착되지 못하게 되며 와이어(31)와 휠본체(22)의 둘레부 사이의 마찰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윈치(30)를 와이어(31)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지지바(40)가 승강되도록 할 때, 와이어(31)와 활차(20)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31)가 풀려 나오거나 감긴 거리만큼 상기 활차(20)가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윈치(30)를 이용하여 와이어(31)를 풀거나 감을 때, 여러개의 활차(20)중에서 휠본체(22)의 회전속도가 느린 활차(20)가 있다는 것은, 해당 휠본체(22)를 경유하는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윈치(30)가 구동되어 와이어(31)를 풀거나 감을 때, 상기 회전속도감지수단(61)의 신호를 수신하여 각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고, 일측의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가 다른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에 비해 낮을 경우, 해당 활차(20)를 경유하는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켜 관리자에게 경고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대설비 승강장치는 윈치(30)의 구동시 회전속도감지수단(61)을 이용하여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고, 회전속도가 다른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에 비해 낮은 휠본체(22)가 발생될 경우, 상기 제어수단(50)이 와이어(3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수단(62)을 구동시켜 관리자에게 경보를 한다.
따라서,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된 것을 관리자가 신속하게 파악하여 유지보수함으로써, 정상적인 다른 와이어(31)에 불필요한 부하가 가해지거나 윈치(30)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31b)를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70)과,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수단(70)에 의해 수직부(31b)가 측방향으로 밀리면 이를 감지하는 와이어감지수단(75)과, 상기 와이어(31) 연장부(31a)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연장부(31a)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푸셔(80)와, 상기 연장부(31a)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며 상기 푸셔(80)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 올려진 와이어(31)의 연장부(31a)를 감지하는 상승감지수단(85)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가압수단(7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수직부(31b)에 밀착되는 지지휠(72)이 구비된 슬라이드블록(7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71)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71)을 상기 와이어감지수단(75)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3)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71)은 상기 수직부(31b)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휠(72)은 슬라이드블록(71)의 우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21)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71)의 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공(21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핀(71a)이 전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71)이 장공(21a)을 따라 정해진 간격만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73)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코일압축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블록(71)의 좌측면과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된 지지판(21b)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드블록(71)을 우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3)의 탄성은 상기 와이어(31)에 이상이 없어서 수직부(31b)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는 수직부(31b)를 측방향으로 밀지 못하고,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만 수직부(31b)를 상기 와이어감지수단(75)쪽으로 밀 수 있도록 조절된다.
상기 와이어감지수단(75)은 상기 와이어(31) 수직부(31b)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라켓(21)에 고정되며 좌측에는 푸쉬버튼(75a)이 구비된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수단(70)에 의해 수직부(31b)아 우측으로 밀려나오면 상기 푸쉬버튼(75a)이 눌려서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셔(80)는 상기 연장부(31a)의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연장부(31a)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82)가 구비된 승강블록(81)과, 상기 승강블록(81)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의 제어에 따라 신축되어 상기 승강블록(81)을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장치(83)를 이용한다.
상기 솔레노이드장치(83)는 작동시 자력을 이용하여 신축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장치(83)가 승강블록(81)을 상승시키는 힘은, 상기 와이어(31)가 정상일 때는 연장부(31a)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지 못하고,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되어 와이어(31)에 작용되는 장력이 제거되었을 때만 와이어(31)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조절된다.
상기 상승감지수단(85)은 상기 연장부(31a)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라켓(21)에 고정되며 하측에는 푸쉬버튼(85a)이 구비된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푸셔(80)에 의해 연장부(31a)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면 상기 푸쉬버튼(85a)이 눌림으로써, 연장부(31a)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진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대설비 승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윈치(30)가 구동되어 와이어(31)를 풀거나 감을 때는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회전속도감지수단(61)의 신호를 수신하여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를 감시한다.
그리고, 상기 윈치(3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와이어감지수단(75)의 신호를 수신하여 와이어(31)가 상기 가압수단(70)에 의해 측방향으로 밀린 것이 감지한다.
즉, 상기 수직부(31b)는 상기 지지바(40)의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팽팽하게 당겨져 있음으로, 와이어(31)가 정상인 상태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31b)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블록(71)이 좌측으로 밀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되어 와이어(31)의 수직부(31b)가 느슨해지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70)의 탄성부재(73)에 의해 슬라이드블록(71)이 우측으로 밀려나면서 와이어(31)의 수직부(31b)를 우측으로 밀게 되며, 이때, 상기 와이어(31)에 의해 와이어감지수단(75)의 푸쉬버튼(75a)이 가압되어 와이어(31)가 우측으로 밀린 것을 감지한다.
따라서서, 상기 가압수단(70)에 의해 와이어(31)가 측방향으로 밀린 것이 상기 와이어감지수단(75)에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회전속도감지수단(61)이나 와이어감지수단(75)의 신호에 따라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셔(80)를 작동시켜 와이어(31)의 연장부(31a)를 상측으로 밀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상승감지수단(8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장부(31a)가 상측으로 밀린 것이 감지되면,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재차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62)을 구동시킨다.
즉, 상기 와이어(31)는 정상상태에서는 팽팽하게 당겨짐으로, 상기 푸셔(80)를 이용하여 연장부(31a)를 상측으로 밀더라도 연장부(31a)가 상승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푸셔(8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승감지수단(85)에 연장부(31a)가 상측으로 밀린 것이 감지되지 않는 다는 것은, 상기 와이어(31)가 정상상태라는 것을 의미하게 됨으로,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반대로,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와이어(31)에 가해지는 장력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31)의 연장부(31a)가 상기 푸셔(80)에 의해 상측으로 밀리게 되며, 이와 같이 연장부(31a)가 상승되면, 상기 상승감지수단(85)의 푸쉬버튼(85a)이 눌려 이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승감지수단(85)에 연장부(31a)가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보수단(62)을 구동시켜 관리자에게 경보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대설비 승강장치는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31b)를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70)과,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수단(70)에 의해 수직부(31b)가 측방향으로 밀리면 이를 감지하는 와이어감지수단(75)이 더 구비되어, 상기 윈치(3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된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회전속도감지수단(61)은 윈치(30)가 작동되어 와이어(31)를 풀거나 감는 상태에서만 와이어(31)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데, 상기 가압수단(70)과 와이어감지수단(75)은 윈치(30)가 정지된 상태에서 와이어(31)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음으로, 윈치(30)의 작동여부에 관계없이 와이어(31)에 이상이 발생되면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경보를 출력할 수 있음으로, 관리자가 더욱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31) 연장부(31a)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연장부(31a)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푸셔(80)와, 상기 연장부(31a)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며 상기 푸셔(80)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 올려진 와이어(31)의 연장부(31a)를 감지하는 상승감지수단(85)이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속도감지수단(61)이나 와이어감지수단(75)에 의해 와이어(31)의 이상이 일차로 감지된 후, 상기 푸셔(80)와 상승감지수단(85)을 이용하여 와이어(31)의 이상을 재차 확인함으로써, 와이어(31)의 이상을 더욱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회전속도감지수단(61)은 휠본체(22)의 회전속도를 감지함으로, 윈치(30)를 이용하여 와이어(31)를 풀거나 감을 때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와이어(31)가 유동되면서 휠본체(22)의 회전속도가 늦어진 경우, 이를 와이어(31)의 이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70)과 와이어감지수단(75)은 와이어(31)의 수직부(31b)가 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감지함으로, 관리자가 상기 지지바(40)에 설치된 무대설비를 점검하는 등의 이유로 지지바(40)를 측방향으로 밀 경우, 이를 와이어(31)의 이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전속도감지수단(61)과 와이어감지수단(75)에 의해 와이어(31)의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푸셔(80)를 작동시켜 와이어(31)에 이상이 있는지를 재차 확인하고, 상기 상승감지수단(85)에 와이어(31)가 상측으로 밀린 것이 감지되면, 와이어(3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여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킴으로써, 관리자에게 경고를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속도감지수단(61)과 와이어감지수단(75)에 일시적인 오류가 감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경보수단(62)이 작동되어 관리자에게 잘못된 경보를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지지프레임 20. 활차
30. 윈치 40. 지지바
50. 제어수단 61. 회전속도감지수단
62. 경보수단

Claims (3)

  1.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활차(2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활차(20)의 둘레부를 경유하여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와이어(31)의 기단부를 풀어 내리거나 감아올릴 수 있도록 된 윈치(3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31)의 하단에 고정되어 각종 무대설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바(40)와,
    상기 윈치(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31)는 상기 윈치(30)에서 풀려나와 휠본체(22)의 상면까지 연장된 연장부(31a)와, 휠본체(22)의 둘레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31b)로 구성된 무대설비 승강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에 연결되어 각 휠본체(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회전속도감지수단(61)과,
    상기 수직부(31b)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브라켓(21)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31b)를 우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되, 상기 수직부(31b)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힘은, 상기 수직부(31b)의 장력이 제거된 경우에만 상기 수직부(31b)가 측방향으로 밀리는 정도로 정해지는, 가압수단(70)과,
    상기 수직부(31b)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31b)가 상기 가압수단(70)에 의해 측방향으로 밀릴 때, 상기 수직부(31b)가 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감지하는 와이어감지수단(61)과,
    상기 연장부(31a)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5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연장부(31a)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푸셔(80)와,
    상기 연장부(31a)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31a)의 장력이 제거되어 상기 연장부(31a)가 상기 푸셔(80)에 의해 밀어 올려진 때, 밀어 올려진 상기 연장부(31a)를 감지하는 상승감지수단(9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회전속도감지수단(61)에 의해 일측의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가 다른 활차(20)에 구비된 휠본체(22)의 회전속도에 비해 저하된 것이 감지되거나 또는 상기 와이어감지수단(61)에 의해 상기 수직부(31b)가 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푸셔(80)를 상승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승감지수단(90)이 상기 연장부(31a)가 밀어 올려진 것을 감지하면, 경보수단(62)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가압수단(70)은 상기 브라켓(2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직부(31b)에 밀착되는 지지휠(72)이 구비된 슬라이드블록(7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71)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71)을 상기 와이어감지수단(61)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3)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73)의 탄성은 상기 수직부(31b)의 장력이 제거된 경우에만 상기 수직부(31b)가 측방향으로 밀리는 정도로 정해지며,
    상기 푸셔(80)는 상기 연장부(31a)의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연장부(31a)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82)가 구비된 승강블록(81)과, 상기 승강블록(81)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의 제어에 따라 신축되어 상기 승강블록(81)을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장치(83)를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장치(83)가 상기 승강블록(81)을 상승시키는 힘은, 상기 연장부(31a)에 작용되는 장력이 제거되었을 때만 상기 연장부(31a)를 밀어올릴 수 있는 크기로 조절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 승강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110830A 2021-08-23 2021-08-23 무대설비 승강장치 KR10240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830A KR102401479B1 (ko) 2021-08-23 2021-08-23 무대설비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830A KR102401479B1 (ko) 2021-08-23 2021-08-23 무대설비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479B1 true KR102401479B1 (ko) 2022-05-24

Family

ID=8180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830A KR102401479B1 (ko) 2021-08-23 2021-08-23 무대설비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4681A (zh) * 2022-08-12 2022-12-02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舞台幕布控制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026B1 (ko) * 2013-12-18 2014-09-24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감지하는 무대장치용 활차
KR101500583B1 (ko) * 2014-11-19 2015-03-10 김은숙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KR101514259B1 (ko) * 2014-10-31 2015-04-22 (주)성우에스람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KR101793410B1 (ko) * 2017-06-22 2017-11-02 이재순 와이어 이상상태의 감지가 가능한 무대장치
KR101942867B1 (ko) * 2017-10-31 2019-01-28 주식회사 진성 무대장치 와이어용 단선 감지장치
KR102166274B1 (ko) * 2020-05-18 2020-10-15 (주)에스엠엔지니어링 상하강시 와이어 과다 당김과 처짐 방지 활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026B1 (ko) * 2013-12-18 2014-09-24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감지하는 무대장치용 활차
KR101514259B1 (ko) * 2014-10-31 2015-04-22 (주)성우에스람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KR101500583B1 (ko) * 2014-11-19 2015-03-10 김은숙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KR101793410B1 (ko) * 2017-06-22 2017-11-02 이재순 와이어 이상상태의 감지가 가능한 무대장치
KR101942867B1 (ko) * 2017-10-31 2019-01-28 주식회사 진성 무대장치 와이어용 단선 감지장치
KR102166274B1 (ko) * 2020-05-18 2020-10-15 (주)에스엠엔지니어링 상하강시 와이어 과다 당김과 처짐 방지 활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4681A (zh) * 2022-08-12 2022-12-02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舞台幕布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583B1 (ko)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KR101027147B1 (ko) 공연장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WO2005105650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17419B1 (ko) 저소음 체인이상감지장치
KR102401479B1 (ko) 무대설비 승강장치
KR101514259B1 (ko)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KR100972781B1 (ko)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JPS6017754B2 (ja) ワイヤロ−プの異常検出装置
KR100938218B1 (ko) 무대에서의 바튼 승강 안전장치
KR102079986B1 (ko) 활차의 부하물 추락방지장치
WO2017002192A1 (ja) エレベータの綱溝摩耗量検知装置
CN116730096A (zh) 一种涤纶纱绕线装置
KR102391164B1 (ko) 무대설비 승강장치
KR101104351B1 (ko) 무대장치용 승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8075B1 (ko) 높이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소형 무대 승강장치
KR101980054B1 (ko)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KR101111608B1 (ko) 이동거리 감지센서
CN114761344A (zh) 电梯装置
JP3542743B2 (ja) 電動ロール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ITFI950079A1 (it) Apparecchiatura per l'avvolgimento in bobina di un nastro di carta, in particolare ma non esclusivamente carta non tesa,in uscita, da una
JPH0657890B2 (ja) あや掛けした或いは撚り掛けした糸を造るための機械
CN219546596U (zh) 一种地铁架车机的辅助机构
TW202140355A (zh) 自動調整料帶拉力之料帶輸送裝置
KR200337188Y1 (ko) 고품질 피비디 시공을 위한 항타장비의 드레인 보드따라오름량 측정장치
KR102483575B1 (ko) 무대기계 설비의 구동유닛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