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054B1 -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054B1
KR101980054B1 KR1020180138810A KR20180138810A KR101980054B1 KR 101980054 B1 KR101980054 B1 KR 101980054B1 KR 1020180138810 A KR1020180138810 A KR 1020180138810A KR 20180138810 A KR20180138810 A KR 20180138810A KR 101980054 B1 KR101980054 B1 KR 101980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ble
elevator
pulley
driving pulley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차연
Original Assignee
권차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차연 filed Critical 권차연
Priority to KR102018013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2Installing or exchanging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케이블을 효과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압수단(10)을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상기 구동풀리(5)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고, 상기 지지수단(20)을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일단에 연결하여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풀리(5)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풀리(5)에 의해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자동으로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구동풀리(5)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진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출입구(1a)를 통해 승강통로(1)의 외측으로 당기기만 하면 됨으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승강통로(1)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the method of exchanging elevator cabl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케이블을 효과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승강통로(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제1 풀리(2a)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카(2)와, 상기 승강통로(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에 제2 풀리(3a)가 구비된 승강추(3)와, 상기 승강통로(1)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프레임(4)과, 상기 지지프레임(4)에 구비되며 구동모터(5a)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구동풀리(5)와, 상기 제1 풀리(2a)와 구동풀리(5) 및 제2 풀리(3a)의 둘레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배치되며 양단은 상기 지지프레임(4)에 고정된 엘리베이터케이블(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통로(1)의 일측에는 각 층에 대응되도록 출입구(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은 상기 제1 및 제2 풀리(2a,3a)의 하측 둘레면과, 상기 구동풀리(5)의 상측둘레면을 경유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6a)이 연결되며, 상기 나사축(6a)이 상기 지지프레임(4)에 형성된 관통공(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축(6a)에 너트(6b)를 결합하여, 나사축(6a)이 지지프레임(4)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a)로 구동풀리(5)를 정역회전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2)와 승강추(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엘리베이터카(2)에 탑승한 승객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노화될 경우, 엘리베이터카(2)의 추락을 비롯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음으로,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노화되기 전에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카(2)를 승강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승강추(3)를 엘리베이터케이블(6)로부터 분리한 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중간부를 당겨,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상기 출입구(1a)를 통해 승강통로(1)의 외측으로 끌어내어 수거한 후, 상기 지지프레임(4)에 고정된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양단을 분리함으로써,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제거하고, 새로운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케이블(6)은 통상적으로 수배Kg에 달할 정도로 무거워서, 작업자가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중간부를 당겨 승강통로(1)의 외측으로 끌어내는 것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작업자가 승강통로(1)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은 상기 엘리베이터카(2)와 승강추(3)에 의해 하측으로 당겨질 때는 중간부가 하측으로 팽팽하게 당겨져 일직선을 이룬 상태를 이루게 되지만, 상기 승강추(3)를 엘리베이터케이블(6)로부터 분리하면,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중간부가 도 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꽈배기 형태로 꼬이게 되며, 이러한 경우,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당겨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5258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케이블을 효과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승강통로(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제1 풀리(2a)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카(2)와, 상기 승강통로(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에 제2 풀리(3a)가 구비된 승강추(3)와, 상기 승강통로(1)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프레임(4)과, 상기 지지프레임(4)에 구비되며 구동모터(5a)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구동풀리(5)와, 상기 제1 풀리(2a)와 구동풀리(5) 및 제2 풀리(3a)의 둘레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교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모터(5a)로 구동풀리(5)를 구동시켜 엘리베이터카(2)는 상측으로 상승되고 승강추(3)는 하강되도록 한 후, 엘리베이터카(2)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승강추(3)는 엘리베이터케이블(6)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둘레부에 가압수단(10)을 설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에 지지수단을 연결하여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모터(5a)를 구동시켜 상기 구동풀리(5)를 회전시켜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의해 당겨지도록 하면서 상기 구동풀리(5)에 의해 당겨지는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상기 출입구(1a)를 통해 외측으로 당겨 승강통로(1)의 외측으로 끌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압수단(10)은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가압로울러(11)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부가 상기 가압로울러(11)의 양단에 결합되어 가압로울러(11)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선(12)과, 상기 연결선(1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연결선(12)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13)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로울러(11)가 상기 구동풀리(5)의 둘레부를 경유하는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외측면에 위치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연결선(12)의 양단을 상기 지지프레임(4)에 고정한 후, 상기 윈치(13)를 조여 연결선(1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압로울러(11)가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가압하여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6a)이 연결되며, 상기 지지수단(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선(22)과, 상기 지지선(2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지지선(22)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23)와, 상기 지지선(22)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6a)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24)는 상기 지지선(22)의 하단부에 구비된 고정부(24a)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부(24a)의 하단에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나사축(6a)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공(24d)이 형성된 회전부(24b)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부(24b)를 상기 나사축(6a)에 나사결합한 후, 상기 윈치(23)를 조여 지지선(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나사축(6a)이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중간부가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압로울러(11)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11a)과, 상기 지지축(11a)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압부재(11b)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수단(10)의 윈치(13)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연결선(12)의 길이를 조절하는 전동식윈치를 이용하며, 상기 지지축(11a)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11b)가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회전감지센서(14)와, 상기 지지축(11a)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풀리(5)가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2 회전감지센서(15)와, 상기 연결선(1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연결선(12)에 작용되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인장력측정수단(16)과, 상기 제1 및 제2 회전감지센서(14,15)와 상기 인장력측정수단(16)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윈치(13)의 작동을 제어하며 경보수단(18)이 구비된 제어수단(1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7)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감지센서(14,1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풀리(5)의 회전속도에 비해 상기 가압부재(11b)의 회전속도가 느리리 경우, 상기 구동풀리(5)와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윈치(13)를 제어하여 연결선(12)의 길이를 더욱 줄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인장력측정수단(1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선(12)에 작용되는 인장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상기 경보수단(18)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윈치(13)의 작용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압수단(10)을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상기 구동풀리(5)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고, 상기 지지수단(20)을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일단에 연결하여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풀리(5)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풀리(5)에 의해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자동으로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구동풀리(5)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진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출입구(1a)를 통해 승강통로(1)의 외측으로 당기기만 하면 됨으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승강통로(1)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케이블 교체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의 가압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의 지지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엘리베이터는 건축물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승강통로(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제1 풀리(2a)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카(2)와, 상기 승강통로(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에 제2 풀리(3a)가 구비된 승강추(3)와, 상기 승강통로(1)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프레임(4)과, 상기 지지프레임(4)에 구비되며 구동모터(5a)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구동풀리(5)와, 상기 제1 풀리(2a)와 구동풀리(5) 및 제2 풀리(3a)의 둘레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케이블(6)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승강통로(1)의 일측에는 각 층에 대응되도록 출입구(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은 상기 제1 및 제2 풀리(2a,3a)의 하측 둘레면과, 상기 구동풀리(5)의 상측둘레면을 경유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6a)이 연결되며, 상기 나사축(6a)이 상기 지지프레임(4)에 형성된 관통공(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축(6a)에 너트(6b)를 결합하여, 나사축(6a)이 지지프레임(4)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은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케이블이 자동으로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는 상기 구동풀리(5)의 상측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에 고정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상기 구동풀리(5)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10)과,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일단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수단(10)은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가압로울러(11)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부가 상기 가압로울러(11)의 양단에 결합되어 가압로울러(11)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선(12)과, 상기 연결선(1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연결선(12)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13)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로울러(11)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11a)과, 상기 지지축(11a)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압부재(11b)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축(11a)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재(11b)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강도가 높고 적절한 탄성이 있으면서 잘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선(12)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와이어를 이용하며, 연결선(12)의 양단에는 후크(12a)가 구비되어, 연결선(12)의 양단을 상기 지지프레임(4)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윈치(13)는 일측에 레버(13a)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레버(13a)를 회동시키면 상기 연결선(12)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이는 수동식윈치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11b)가 상기 구동풀리(5)의 둘레부를 경유하는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외측면에 위치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연결선(12)의 양단을 상기 지지프레임(4)에 고정한 후, 상기 윈치(13)를 조여 연결선(12)의 길이를 줄이면, 상기 가압로울러(11)가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가압하여,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수단(2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선(22)과, 상기 지지선(2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지지선(22)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23)와, 상기 지지선(22)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6a)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24)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1)는 수직부(21a)와, 상기 수직부(21a)의 선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21b)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직부(21a)의 하단이 상기 지지프레임(4)에 탈착가능하게 고정결합된다.
상기 지지선(22)은 상기 지지대(21)의 수펑부(21b)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것으로,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와이어를 이용한다.
상기 윈치(23)는 일측에 레버(3a)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레버(3a)를 회동시키면 상기 지지선(22)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이는 수동식윈치를 이용한다.
상기 고정부재(24)는 상기 지지선(22)의 하단부에 구비된 고정부(24a)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부(24a)의 하단에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나사축(6a)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공(24d)이 형성된 회전부(24b)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하단에 결합공(24c)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24b)는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지지부의 결합공(24c)에 베어링(24e)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24b)를 상기 나사축(6a)에 나사결합한 후, 상기 윈치(23)를 조여 지지선(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나사축(6a)이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가 상기 회전부(24b)와 함께 자유롭게 회전되어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중간부가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교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5a)로 구동풀리(5)를 구동시켜 엘리베이터카(2)는 상측으로 상승되고 승강추(3)는 하강되도록 한 후, 엘리베이터카(2)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승강추(3)는 엘리베이터케이블(6)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10)을 설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축(6a)에 지지수단(20)의 회전부(24b)를 나사결합한 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윈치(23)로 지지선(22)의 길이를 줄여, 나사축(6a)이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한다.
즉, 상기 나사축(6a)이 하강된 상태에서는 나사축(6a)에 결합된 너트(6b)가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자중에 의해 지지프레임(4)에 밀착되어, 나사축(6a)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지만, 상기 지지수단(20)을 이용하여 나사축(6a)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와 나사축(6a)이 상기 회전부(24b)와 함께 자유롭게 회전됨으로써,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수거할 때,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꼬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5a)를 구동시켜 상기 구동풀리(5)를 천천히 회전시키면,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의해 당겨지게 된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은 상기 가압수단(10)에 의해 구동풀리(5)에 밀착되도록 가압됨으로, 상기 구동풀리(5)를 구동시키면, 엘리베이터케이블(6)과 구동풀리(5)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당겨진다.
이때, 상기 구동풀리(5)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상기 출입구(1a)쪽으로 당겨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압로울러(11)의 가압부재(11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구동풀리(5)에 의해 당겨지는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상기 출입구(1a)를 통해 외측으로 당겨 승강통로(1)의 외측으로 끌어낼 수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대부분 승강통로(1)의 외측으로 끌어낸 상태에서, 상기 너트(6b)와 지지수단(20)의 회전부(24b)를 나사축(6a)으로부터 분리하여, 나사축(6a)이 상기 지지프레임(4)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나머지부분을 승강통로(1)의 외측으로 끌어냄으로써,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수거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새로운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교체를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압수단(10)을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상기 구동풀리(5)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고, 상기 지지수단(20)을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일단에 연결하여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풀리(5)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풀리(5)에 의해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자동으로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구동풀리(5)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진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출입구(1a)를 통해 승강통로(1)의 외측으로 당기기만 하면 됨으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승강통로(1)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10)은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가압로울러(11)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부가 상기 가압로울러(11)의 양단에 결합되어 가압로울러(11)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선(12)과, 상기 연결선(1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연결선(12)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13)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로울러(11)가 상기 구동풀리(5)의 둘레부를 경유하는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외측면에 위치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연결선(12)의 양단을 상기 지지프레임(4)에 고정한 후, 상기 윈치(13)를 조여 연결선(1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6a)이 연결되며, 상기 지지수단(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선(22)과, 상기 지지선(2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지지선(22)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23)와, 상기 지지선(22)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6a)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24)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4)는 상기 지지선(22)의 하단부에 구비된 고정부(24a)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부(24a)의 하단에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나사축(6a)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공(24d)이 형성된 회전부(24b)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부(24b)를 상기 나사축(6a)에 나사결합한 후, 상기 윈치(23)를 조여 지지선(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나사축(6a)이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하여,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중간부가 꼬이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가압수단(10)의 윈치(13)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연결선(12)의 길이를 조절하는 전동식윈치를 이용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수단(10)에는 상기 지지축(11a)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11b)가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회전감지센서(14)와, 상기 지지축(11a)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풀리(5)가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2 회전감지센서(15)와, 상기 연결선(1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연결선(12)에 작용되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인장력측정수단(16)과, 상기 제1 및 제2 회전감지센서(14,15)와 상기 인장력측정수단(16)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윈치(13)의 작동을 제어하며 경보수단(18)이 구비된 제어수단(17)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1 회전감지수단은 상기 지지축(11a)과 가압부재(11b)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11b)가 회전되면 가압부재(11b)가 회전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RPM센서를 이용한다.
상기 제2 회전감지센서(15)는 상기 지지축(11a)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풀리(5)의 둘레면으로 빛을 조사하고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것을 수신하여, 상기 구동풀리(5)의 둘레면이 회전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광센서를 이용한다.
이러한 광센서는 마우스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인장력측정수단(16)은 상기 연결선(12)에 인장력이 작용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7)을 출력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수단(17)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감지센서(14,1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풀리(5)의 회전속도에 비해 상기 가압부재(11b)의 회전속도가 느리리 경우, 상기 구동풀리(5)와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윈치(13)를 제어하여 연결선(12)의 길이를 더욱 줄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더욱 밀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밀착수단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풀리(5)를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풀리(5)에 의해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당겨지게 되며, 이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로울러(11)의 가압부재(11b)가 이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11b)의 지름이 알려져 있음으로, 상기 제1 회전감지센서(14)에 의해 측정된 가압부재(11b)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속도와 가압부재(11b)의 지름을 연산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11b)의 둘레면이 회전되는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7)은 이와 같이 측정된 가압부재(11b)의 둘레면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2 회전감지센서(15)에 의해 측정된 구동풀리(5)의 둘레면의 회전되는 속도에 비해 느릴 경우, 상기 구동풀리(5)와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윈치(13)를 제어하여 연결선(12)의 길이를 더욱 줄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더욱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풀리(5)와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수단(17)은 상기 인장력측정수단(1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선(12)에 작용되는 인장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상기 경보수단(18)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윈치(13)의 작용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연결선(12)이 과도하게 당겨져 연결선(12)이 손상되거나, 상기 가압부재(11b)가 과도하게 엘리베이터케이블(6)에 가압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에 따르면 상기 구동풀리(5)와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될 경우, 자동으로 윈치(13)를 조여,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더욱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구동풀리(5)와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연결선(12)에 작용되는 인장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상기 제어수단(17)이 상기 경보수단(18)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윈치(13)의 작용을 정지시킴으로써, 연결선(12)이나 가압부재(11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승강통로 2. 엘리베이터카
3. 승강추 4. 지지프레임
5. 구동프레임 6. 엘리베이터케이블
10. 가압수단 20. 지지수단

Claims (4)

  1. 건축물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승강통로(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제1 풀리(2a)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카(2)와,
    상기 승강통로(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에 제2 풀리(3a)가 구비된 승강추(3)와,
    상기 승강통로(1)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프레임(4)과,
    상기 지지프레임(4)에 구비되며 구동모터(5a)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구동풀리(5)와,
    상기 제1 풀리(2a)와 구동풀리(5) 및 제2 풀리(3a)의 둘레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교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모터(5a)로 구동풀리(5)를 구동시켜 엘리베이터카(2)는 상측으로 상승되고 승강추(3)는 하강되도록 한 후 엘리베이터카(2)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승강추(3)는 엘리베이터케이블(6)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둘레부에 가압수단(10)을 설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에 지지수단을 연결하여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모터(5a)를 구동시켜 상기 구동풀리(5)를 회전시켜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의해 당겨지도록 하면서 상기 구동풀리(5)에 의해 당겨지는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출입구(1a)를 통해 외측으로 당겨 승강통로(1)의 외측으로 끌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수단(10)은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가압로울러(11)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부가 상기 가압로울러(11)의 양단에 결합되어 가압로울러(11)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선(12)과,
    상기 연결선(1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연결선(12)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13)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로울러(11)가 상기 구동풀리(5)의 둘레부를 경유하는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외측면에 위치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연결선(12)의 양단을 상기 지지프레임(4)에 고정한 후, 상기 윈치(13)를 조여 연결선(1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압로울러(11)가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가압하여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2. 삭제
  3. 건축물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승강통로(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제1 풀리(2a)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카(2)와,
    상기 승강통로(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에 제2 풀리(3a)가 구비된 승강추(3)와,
    상기 승강통로(1)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프레임(4)과,
    상기 지지프레임(4)에 구비되며 구동모터(5a)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구동풀리(5)와,
    상기 제1 풀리(2a)와 구동풀리(5) 및 제2 풀리(3a)의 둘레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교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모터(5a)로 구동풀리(5)를 구동시켜 엘리베이터카(2)는 상측으로 상승되고 승강추(3)는 하강되도록 한 후 엘리베이터카(2)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승강추(3)는 엘리베이터케이블(6)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둘레부에 가압수단(10)을 설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에 지지수단을 연결하여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모터(5a)를 구동시켜 상기 구동풀리(5)를 회전시켜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의해 당겨지도록 하면서 상기 구동풀리(5)에 의해 당겨지는 엘리베이터케이블(6)을 출입구(1a)를 통해 외측으로 당겨 승강통로(1)의 외측으로 끌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6a)이 연결되며,
    상기 지지수단(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선(22)과,
    상기 지지선(2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지지선(22)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23)와,
    상기 지지선(22)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6a)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24)는
    상기 지지선(22)의 하단부에 구비된 고정부(24a)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부(24a)의 하단에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나사축(6a)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공(24d)이 형성된 회전부(24b)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부(24b)를 상기 나사축(6a)에 나사결합한 후, 상기 윈치(23)를 조여 지지선(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나사축(6a)이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단부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중간부가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울러(11)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11a)과,
    상기 지지축(11a)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압부재(11b)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수단(10)의 윈치(13)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연결선(12)의 길이를 조절하는 전동식윈치를 이용하며,
    상기 지지축(11a)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11b)가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회전감지센서(14)와,
    상기 지지축(11a)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풀리(5)가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2 회전감지센서(15)와,
    상기 연결선(1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연결선(12)에 작용되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인장력측정수단(16)과,
    상기 제1 및 제2 회전감지센서(14,15)와 상기 인장력측정수단(16)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윈치(13)의 작동을 제어하며 경보수단(18)이 구비된 제어수단(1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7)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감지센서(14,1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풀리(5)의 회전속도에 비해 상기 가압부재(11b)의 회전속도가 느린 경우, 상기 구동풀리(5)와 엘리베이터케이블(6)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윈치(13)를 제어하여 연결선(12)의 길이를 더욱 줄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케이블(6)이 구동풀리(5)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인장력측정수단(1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선(12)에 작용되는 인장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상기 경보수단(18)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윈치(13)의 작용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KR1020180138810A 2018-11-13 2018-11-13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KR10198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10A KR101980054B1 (ko) 2018-11-13 2018-11-13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10A KR101980054B1 (ko) 2018-11-13 2018-11-13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054B1 true KR101980054B1 (ko) 2019-05-17

Family

ID=6667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810A KR101980054B1 (ko) 2018-11-13 2018-11-13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4665A (zh) * 2019-10-31 2021-05-04 通力股份公司 用于电梯绕绳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012B2 (ja) * 1988-09-01 1995-10-0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の駆動方法
KR200252588Y1 (ko) 2001-07-05 2001-11-16 (주)중앙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20080036136A (ko) * 2008-03-06 2008-04-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및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012B2 (ja) * 1988-09-01 1995-10-0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の駆動方法
KR200252588Y1 (ko) 2001-07-05 2001-11-16 (주)중앙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20080036136A (ko) * 2008-03-06 2008-04-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및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4665A (zh) * 2019-10-31 2021-05-04 通力股份公司 用于电梯绕绳的方法
CN112744665B (zh) * 2019-10-31 2024-04-26 通力股份公司 用于电梯绕绳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055B1 (ko)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
ITBO20090729A1 (it)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il montaggio e lo smontaggio di pneumatici su e da rispettivi cerchioni
KR101980054B1 (ko)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KR100938218B1 (ko) 무대에서의 바튼 승강 안전장치
CN104355235B (zh) 起升机构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起升机构
CN116735347B (zh) 一种钢丝绳拉力测试装置
KR20140003480U (ko) 슬러지 수집장치의 안전 운전을 위한 테이크업장치
CN211225923U (zh) 一种电梯限速器
JP5534965B2 (ja) ロープ溝アンダーカットの修正加工装置およびこの修正加工装置を用いたロープ溝アンダーカットの修正加工方法
JP7003290B2 (ja) ガイドレール加工装置及びガイドレール加工方法
JP5074917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点検装置及び非常停止点検方法
KR102401479B1 (ko) 무대설비 승강장치
CN213902840U (zh) 一种升降机构寿命测试工装
KR100991207B1 (ko) 엘리베이터용 제동장치
CN213209772U (zh) 一种环形混凝土电杆承载力检测仪
KR102122013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자동 제동장치
CN114940446A (zh) 一种用于塔式起重机起开钢丝绳检测装置
CN210502666U (zh) 一种货运螺旋式抱索器控制装置
CN109835838B (zh) 单绳摩擦式提升机
JPH0791012B2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の駆動方法
CN201334287Y (zh) 一种安装轮辐式负荷传感器的钢丝绳测控装置
JP2657551B2 (ja) ホイスト装置
JP2676126B2 (ja) Pcコンクリート柱体等の製造装置
CN110844737A (zh) 一种电梯限速器
CN214031077U (zh) 一种张力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