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136A -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및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및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136A
KR20080036136A KR1020087005554A KR20087005554A KR20080036136A KR 20080036136 A KR20080036136 A KR 20080036136A KR 1020087005554 A KR1020087005554 A KR 1020087005554A KR 20087005554 A KR20087005554 A KR 20087005554A KR 20080036136 A KR20080036136 A KR 20080036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main rope
sheave
ga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 나카하시
나오유키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700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6136A/ko
Publication of KR20080036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leader strip)은, 쉬브와 쉬브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에 통과시키기 위한 메인 로프가 접속되고, 쉬브와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에 삽입하여 쉬브의 외주부를 따라 당김으로써, 쉬브와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에 메인 로프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은, 쉬브의 외주부를 따라 구부림이 가능하며, 틈새에 쉬브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이 가능한 띠형상의 스트립 본체를 가지고 있다.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시트립, 쉬브, 메인 로프 래치 부재, 메인 로프, 스트립 본체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및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 방법{LEADING LINE BODY FOR REEVING ELEVATOR MAIN ROPE AND METHOD OF REEVING ELEVATOR MAIN ROPE}
본 발명은, 쉬브와 쉬브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에 메인 로프를 통과시켜 메인 로프를 쉬브에 감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leader strip for looping main rope for elevator) 및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 방법(a method of looping a main rope)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하우징 내의 권상기(hoisting machine)의 구동 쉬브에 메인 로프를 감기 위해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평평한 띠형상의 리더 스트립을 메인 로프에 연결하고, 하우징의 진입구멍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리더 스트립을 밀어 넣고, 하우징 내면을 따라 리더 스트립을 이동시키고, 하우징의 진출구멍으로부터 리더 스트립을 꺼냄으로써 구동 쉬브에 메인 로프를 감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36285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메인 로프를 구동 쉬브에 감기 위해 하우징 내의 곡선 통로를 따라 리더 스트립을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직업이 어렵고, 메인 로프의 감음 작업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쉬브와 쉬브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에 리더 스트립을 통과시키는 경우에도, 쉬브의 원주방향으로 밀면서 리더 스트립을 이동시키게 되므로 작업이 어려워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메인 로프의 쉬브에 대한 감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및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은, 쉬브와 쉬브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에 통과시키기 위한 메인 로프가 접속되고, 쉬브와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에 삽입하여 쉬브의 외주부를 따라 당김으로써, 쉬브와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로 로프를 안내하는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으로서, 쉬브의 외주부를 따라 구부림이 가능하며, 쉬브와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에 쉬브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이 가능한 띠형상의 스트립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리턴 풀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권상기 및 리턴 풀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각 메인 로프를 구동 쉬브의 주위로 안내하기 위한 리더 스트립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리더 스트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리더 스트립이 구부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스트립 본체가 구동 쉬브와 구동 시프용 메인 로프 래치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고 있는 도중의 리더 스트립 및 권상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스트립 본체의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 사이의 틈새로의 삽입이 완료했을 때의 리더 스트립 및 권상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리더 스트립 및 권상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메인 로프가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 사이의 틈새에 도입될 때의 리더 스트립 및 권상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리더 스트립이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 사이의 틈새로부터 꺼내졌을 때의 리더 스트립 및 권상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리더 스트립에 누름판을 겹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리더 스트립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스트립 본체가 확대 상태로 되었을 때의 리더 스트립을 나 타내는 일부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스트립 본체가 편평한 상태로 되었을 때의 리더 스트립을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스트립 본체가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어 있을 때의 리더 스트립 및 권상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리더 스트립 및 권상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스트립 본체가 확대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리더 스트립 및 권상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리더 스트립 및 권상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리턴 풀리(return pulley)는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권상기 및 리턴 풀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에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어느 것도 도시하지 않음)를 승강로 내에서 승강시키는 권상기(1)와, 권상기(1)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리턴 풀리(쉬브)(2)가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1)는, 모터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3)와, 권상기 본체(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쉬브)(4)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4)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구동 쉬브(4)의 외주부에는, 구동 쉬브(4)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구동 쉬브 홈(홈부)(5)이 형성되어 있다.
리턴 풀리(2)는, 수평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되어 있다. 즉, 리턴 풀리(2)의 회전축은, 구동 쉬브(4)의 회전축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리턴 풀리(2)의 외주부에는, 리턴 풀리(2)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턴 풀리 홈(홈부)(6)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쉬브(4)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구동 쉬브(4)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메인 로프 래치 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는, 띠형상의 평판을 구동 쉬브(4)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부리는 것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는, 그 폭 방향이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구동 쉬브(4)의 회전축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의 폭 방향에 대한 치수 d는,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에 대한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리턴 풀리(2)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리턴 풀리(2)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리턴 풀리용 메인 로프 래치(메인 로프 래치 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리턴 풀리용 메인 로프 래치(8)는, 띠형상의 평판을 리턴 풀리(2)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부리 는 것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리턴 풀리용 메인 로프 래치(8)는, 그 폭 방향이 리턴 풀리(2)의 두께 방향(리턴 풀리(2)의 회전축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리턴 풀리용 메인 로프 래치(8)의 폭 방향에 대한 치수는, 리턴 풀리(2)의 두께 방향에 대한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구동 쉬브(4) 및 리턴 풀리(2)에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9)가 감겨져 있다. 각 메인 로프(9)는, 구동 쉬브 홈(5) 내 및 리턴 풀리 홈(6)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 쉬브 홈(5) 및 리턴 풀리 홈(6)을 따라 감겨져 있다. 각 메인 로프(9)는 구동 쉬브(4)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된다.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의 위치는,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 치수 δ1이 각 메인 로프(9)의 외경보다 작게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 리턴 풀리용 메인 로프 래치(8)의 위치는, 리턴 풀리(2)의 외주부와 리턴 풀리용 메인 로프 래치(8) 사이의 틈새 치수 δ2가 각 메인 로프(9)의 외경보다 작게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메인 로프(9)가 구동 쉬브(4) 및 리턴 풀리(2)의 각각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치수 δ1 및 치수 δ2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9)는, 엘리베이터의 설치시에,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삽입된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이하, 간단히 「리더 스트립」이라고 함)에 당겨져 구동 쉬브(4)의 주위로 안내됨으로써 구동 쉬브(4)에 감겨져 있다.
또, 권상기(1), 리턴 풀리(2),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리턴 풀리용 메인 로프 래치(8) 및 지지 부재는, 권상기 유니트(쉬브 배치 유니트)로서 유니트화되어 있다. 권상기 유니트는 미리 조립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설치시에 승강로 내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3은 도 1의 각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의 주위로 안내하기 위한 리더 스트립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리더 스트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4의 리더 스트립이 구부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VI-Vl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리더 스트립(10)은 띠형상의 스트립 본체(11)와, 스트립 본체(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설치되고 각 메인 로프(9)의 단부를 스트립 본체(11)에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접속 장치(12)를 가지고 있다.
스트립 본체(11)는, 각 메인 로프(9)의 구부림 강성보다 부드러운 탄성 부재이다. 따라서, 스트립 본체(11)는 구동 쉬브(4)의 외주부 또는 리턴 풀리(2)의 외주부의 각각을 따라 구부림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스트립 본체(11)의 두께 t는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 치수 δ1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스트립 본체(11)는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트립 본체(11)는, 스트립 본체(11)의 폭 방향과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이 평행하게 된 상태에서,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삽입된다.
스트립 본체(11)에는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에 대해, 스트립 본체(11)의 구동 쉬브(4)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위치 결정부(13) 및 복수의 제2 위치 결정부(1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부(13, 14)는 스트립 본체(11)에 새김눈을 넣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을 갖고 있다. 또, 각 위치 결정부(13, 14)는 스트립 본체(11)가 구동 쉬브(4)의 외주부를 따라 구부려져 있을 때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트립 본체(11)로부터 돌출하고, 그 탄성 복원력에 역행하여 눌려짐으로써 스트립 본체(11)로부터의 돌출이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각 위치 결정부(13, 14)가 스트립 본체(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은 스트립 본체(11)의 두께 방향으로 되어 있다.
각 제1 위치 결정부(13)는 스트립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고, 각 제2 위치 결정부(14)도 스트립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제1 위치 결정부(13)와 각 제2 위치 결정부(14)는, 스트립 본체(11)의 폭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제1 위치 결정부(13)는 스트립 본체(11)의 폭 방향 일단부에 배치되며, 각 제2 위치 결정부(14)는 스트립 본체(11)의 폭 방향 타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제1 위치 결정부(13) 및 각 제2 위치 결정부(14)는, 스트립 본체(11)의 폭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각 제1 위치 결정부(13)와 각 제2 위치 결정부(14)가 번갈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위치 결정부(13)와 제2 위치 결정부(14) 사이의 치수 h는,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의 폭 방향에 대한 치수 d보다 조금 크게 되어 있다.
다음에, 각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에 감을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 다. 우선, 리더 스트립(10)의 한쪽 접속 장치(12)에 각 메인 로프(9)의 단부를 한꺼번에 접속한다(메인 로프 접속 공정).
이 후, 스트립 본체(11)를 구동 쉬브(4)의 외주부를 따라 구부리고, 각 제1 위치 결정부(13) 및 각 제2 위치 결정부(14)를 스트립 본체(11)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후,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2 위치 결정부(14)를 누르면서,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스트립 본체(11)의 제2 위치 결정부(14)측을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한다. 이 때, 각 제2 위치 결정부(14)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의 내면에 접촉한다. 이 후, 각 제2 위치 결정부(14)를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의 내면에 접촉시킨 채로, 스트립 본체(11)를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의 폭 방향)을 따라 더욱 삽입한다(삽입 공정).
이 후, 스트립 본체(11)로부터 돌출된 각 제1 위치 결정부(13)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에 맞닿게 될 때까지, 각 제2 위치 결정부(14)는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로부터 이탈하여 스트립 본체(11)로부터 돌출된다. 이에 의해, 각 제1 위치 결정부(13)와 각 제2 위치 결정부(14) 사이에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가 개재되고,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에 대해, 각 제1 위치 결정부(13) 및 각 제2 위치 결정부(1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스트립 본체(11)의 구동 쉬브(4) 및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에 대한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위치 결정 공정).
도 8은, 도 3의 스트립 본체(11)의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로의 삽입이 완료했을 때의 리더 스트립(10) 및 권상기(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9는, 도 8의 리더 스트립(10) 및 권상기(1)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립 본체(11)의 구동 쉬브(4) 및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에 대한 위치 결정은, 각 제1 위치 결정부(13) 및 각 제2 위치 결정부(14)를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의 폭 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행해진다. 스트립 본체(11)의 구동 쉬브(4) 및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스트립 본체(11)의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에 대한 이동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의 길이 방향(구동 쉬브(4)의 원주방향)에 대해서는 가능하며,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의 폭 방향(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는 규제된다.
스트립 본체(11)의 위치 결정을 행한 후, 각 제1 위치 결정부(13) 및 각 제2 위치 결정부(14)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에 접촉시키면서 스트립 본체(11)를 당겨, 구동 쉬브(4)의 원주방향을 따라 스트립 본체(11)를 이동시킨다(도 10). 이 때, 구동 쉬브(4)를 회전시켜 스트립 본체(11)를 이동시키기 쉽게 한다. 이에 의해,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로 각 메인 로프(9)가 안내된다(도입 공정). 이 후도, 스트립 본체(11)를 당기면서 각 메인 로프(9)를 각 구동 쉬브 홈(5)을 따라 이동시키고,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로부터 스트립 본체(11)를 꺼낸다(도 11). 이와 같이 하여, 각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에 감는다.
또, 리턴 풀리(2)와 리턴 풀리용 메인 로프 래치(6) 사이의 틈새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리더 스트립(10)에 의해 각 메인 로프(9)를 통과시켜 리턴 풀리(2)에 각 메인 로프(9)를 감는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리더 스트립(10)에서는, 스트립 본체(11)가 구동 쉬브(4)의 외주부를 따라 구부림이 가능하며,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이 가능한 띠형상 부재로 되어 있으므로,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스트립 본체(1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에 감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를 떼어내지 않고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에 감을 수 있기 때문에,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 치수를 미리 조정해 둘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설치시에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고를 없앨 수 있다.
또, 스트립 본체(11)에는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에 결합함으로써,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에 대해, 스트립 본체(11)의 구동 쉬브(4)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1 위치 결정부(13) 및 제2 위치 결정부(1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립 본체(11)를 당겨 메인 로프(9)를 안내할 때에, 메인 로프(9)의 이동 방향이 구동 쉬브(4)의 원주방향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에 스트립 본체(11)가 맞불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트립 본체(11)에는,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위치 결정부(13) 및 제2 위치 결정부(14)가 설치되고, 제1 위치 결정부(13)와 제2 위치 결정부(14) 사이에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가 개재되는 것에 의해, 스트립 본체(11)의 구동 쉬브(4)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지므로, 스트립 본체(11)의 구동 쉬브(4)에 대한 위치 결정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에 감는 메인 로프 감음 방법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트립 본체(11)로부터 돌출하는 탄성의 제2 위치 결정부(14)를 탄성 복원력에 역행하여 누르면서,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스트립 본체(11)를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을 향하여 삽입하는 삽입 공정과, 제2 위치 결정부(14)를 스트립 본체(11)로부터 돌출시켜, 제2 위치 결정부(14)를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에 결합시키는 위치 결정 공정을 가지고 있으므로,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스트립 본체(1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또한 스트립 본체(11)의 구동 쉬브(4)에 대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에 감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스트립 본체(11)는 리턴 풀리(2)와 리턴 풀리용 메인 로프 래치(8) 사이의 틈새에도, 리턴 풀리(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에 감을 때와 마찬가지로, 메인 로프(9)를 리턴 풀리(2)에 감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권상기 유니트의 구동 쉬브(4) 및 리턴 풀리(2)에 메인 로프(9)를 연속적으로 감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쉬브(4)와 리턴 풀리(2) 사이의 거리가 짧거나, 구동 쉬브(4) 및 리턴 풀리(2)의 배치 방향이 다르거나 하는 경우라도, 구동 쉬브(4) 및 리턴 풀리(2)에 메인 로프(9)를 보다 확실하게 감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메인 로프(9)의 단부를 한꺼번에 접속하는 접속 장치(12)가 스트립 본체(11)에 설치되어 있으나, 각 메인 로프(9)의 단부를 개별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 장치를 스트립 본체(11)에 설치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또, 스트립 본체(11)를 삽입할 때에, 스트립 본체(11)에 누름판을 겹쳐 놓고, 각 제1 위치 결정부(13) 및 각 제2 위치 결정부(14)를 누르도록 해도 된다.
즉,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리더 스트립(10)에 누름판을 겹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스트립 본체(11)를 삽입할 경우에는, 스트립 본체(11)의 각 제1 위치 결정부(13) 및 각 제2 위치 결정부(14)가 돌출하는 쪽에, 스트립 본체(11)를 따라 구부림이 가능한 누름판(21)이 겹쳐진다.
누름판(21)이 스트립 본체(11)에 겹쳐져 있을 때에는, 각 제1 위치 결정부(13) 및 각 제2 위치 결정부(14)는 탄성 복원력에 역행하여 누름판(21)에 의해 눌려져 있다. 이에 의해, 각 제1 위치 결정부(13) 및 각 제2 위치 결정부(14)는, 스트립 본체(11)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스트립 본체(11)는 누름판(21)이 겹쳐진 상태에서,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스트립 본체(11)의 두께 t와 누름판(21)의 두께의 합계 치수는,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 치수 δ1보다 작게 되어 있다.
다음에, 각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에 감을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접속 장치(12)에 각 메인 로프(9)의 단부를 접속한 후, 스트립 본체(11)에 누름판(21)을 겹친다. 이 후, 스트립 본체(11)를 누름판(21)과 함께 구동 쉬브(4)의 외주부를 따라 구부린다. 이 때, 각 제1 위치 결정부(13) 및 각 제2 위치 결정부(14)의 스트립 본체(11)로부터의 돌출이 누름판(21)에 의해 억제된다. 이 후,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누름판(21)을 겹친 채로 스트립 본체(11)를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한다(삽입 공정).
이 후,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로부터 누름판(21)만을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빼내고, 누름판(21)을 스트립 본체(11)로부터 떼어낸다. 이에 의해, 각 제1 위치 결정부(13) 및 각 제2 위치 결정부(14)는 스트립 본체(11)로부터 돌출되어,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에 대해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스트립 본체(11)의 구동 쉬브(4) 및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에 대한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위치 결정 공정). 이 후의 순서는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메인 로프 감음 방법에서는,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스트립 본체(11)가 삽입될 때에, 각 제1 위치 결정 부(13) 및 각 제2 위치 결정부(14)를 누르기 위한 누름판(21)을 스트립 본체(11)에 겹치게 했기 때문에, 복수의 위치 결정부(13, 14)의 돌출을 한꺼번에 억제할 수 있어,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대한 스트립 본체(11)의 삽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스트립 본체(11)를 구부릴 때에, 각 위치 결정부(13, 14)는 스트립 본체(11)의 구부림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게 되어 있으나, 스트립 본체(11)의 구부림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각 위치 결정부(13, 14)를 스트립 본체(11)에 미리 설치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 누름판(21)은 각 위치 결정부(13, 14)를 누르기 위해 스트립 본체(11)의 구부림 방향 내측에 겹쳐진다. 또, 스트립 본체(11)로부터 돌출한 각 위치 결정부(13, 14)는 구동 쉬브(4)에 결합된다.
실시의 형태 3.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리더 스트립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리더 스트립(31)은, 각 메인 로프(9)의 구부림 강성보다 부드러운 스트립 본체(32)와, 스트립 본체(32)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설치되고 메인 로프(9)의 단부를 스트립 본체(32)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33)를 가지고 있다.
스트립 본체(32)는, 변형이 자유로운 튜브(중공관)(34)와, 튜브(34) 내를 통과된 와이어(선상(線狀)의 보강체)(35)와, 튜브(34)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튜브(34) 내의 공간을 밀봉하기 위한 한 쌍의 단말 부재(36, 37)를 가지고 있다.
접속 장치(33)는 와이어(35)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35)에는, 각 단말 부재(36, 37)가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35)의 외경은,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 치수 δ1보다 작게 되어 있다.
한쪽의 단말 부재(37)에는, 튜브(34)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콤퓨레셔(compressor)(송기 장치)(38)가 연통관(39)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연통관(39)은 단말 부재(37)에 대해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통관(39)이 단말 부재(37)에 접속된 상태에서 콤퓨레셔(38)가 기동되면, 공기가 콤퓨레셔(38)로부터 튜브(34) 내로 공급되어 튜브(34) 내에 압력이 가해진다. 또, 콤퓨레셔(38)의 동작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튜브(34)의 주위로부터 누르는 것에 의해 튜브(34) 내의 공기가 빠지게 되어 있다.
튜브(34)의 형상은, 튜브(34) 내에 압력이 가해져서 팽창해 있을 때에는 와이어(35)를 따른 원통상(圓筒狀)으로 되고, 튜브(34) 내로부터 공기가 빠짐으로써 와이어(35)를 따라 평평해진다. 즉, 스트립 본체(32)는, 튜브(34)가 팽창된 확대 상태와 튜브(34)의 형상이 평평해진 편평한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4는, 도 13의 스트립 본체(32)가 확대 상태로 되었을 때의 리더 스트립(31)을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이다. 또,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립 본체(32)가 확대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는, 튜브(34)의 외경 a는 메인 로프(9)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확대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스트립 본체(32)의 외경 a는,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 치수 δ1보다 커져 있다. 또한, 다른 한쪽의 단말 부재(36)의 외경은 튜브(34)의 외경 a 이하로 되어 있다.
또, 도 16은 도 13의 스트립 본체(32)가 편평한 상태로 되었을 때의 리더 스트립(31)을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립 본체(32)가 편평한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는, 튜브(34)의 두께 b는,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 치수 δ1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스트립 본체(32)는, 편평한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8은 도 13의 접속 장치(33)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 도 19는 도 18의 접속 장치(3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접속 장치(33)는 기축(基軸)(40)과, 기축(40)에 설치되고 기축(40)의 축선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한 쌍의 링 부재(41, 42)를 가지고 있다.
한쪽의 링 부재(41)에는 와이어(35)가 통과되어 있다. 와이어(35)는 링 부재(41)에 통과된 부분이 환상(環狀)이 되도록 철사(43)로 묶여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접속 장치(33)는 와이어(35)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한쪽의 링 부재(42)는 와이어(35)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다음에,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에 감을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스트립 본체(32)를 편형한 상태로 한 후(편평 공정), 리더 스트립(31)에 메인 로프(9)의 단부를 접속한다. 이 때, 메인 로프(9)의 단부는 다른 한쪽의 링 부 재(42)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메인 로프(9)는 스트립 본체(32)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접속된다(메인 로프 접속 공정).
이 후, 스트립 본체(32)를 편평한 상태로 한 채로 스트립 본체(32)를 구부리고,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스트립 본체(32)를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한다.
도 20은, 도 16의 스트립 본체(32)가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어 있을 때의 리더 스트립(31) 및 권상기(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21은, 도 20의 리더 스트립(31) 및 권상기(1)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삽입된 스트립 본체(32)는, 복수의 구동 쉬브 홈(5) 중, 메인 로프(9)를 삽입하고자 하는 구동 쉬브 홈(5)과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에 배치된다(삽입 공정).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스트립 본체(32)를 삽입한 후, 콤퓨레셔(38)를 기동시켜 튜브(34) 내에 압력을 가한다. 이에 의해, 튜브(34)는 팽창하며, 스트립 본체(32)는 확대 상태가 된다.
도 22는, 도 20의 스트립 본체(32)가 확대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리더 스트립(31) 및 권상기(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리더 스트립(31) 및 권상기(1)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 홈(5)과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에 스트립 본체(32)가 확대 상태가 되면, 구동 쉬브 홈(5) 내에 스트립 본체(32)가 삽입된다. 이에 의해, 스트립 본 체(32)와 구동 쉬브 홈(5)이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에 대해 서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스트립 본체(32)는,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에 대해, 구동 쉬브(4)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위치 결정 공정).
이 후, 리더 스트립(31)을 구동 쉬브 홈(5)을 따라 당기고, 구동 쉬브(4)의 원주방향을 따라 리더 스트립(31)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리더 스트립(31)에 접속된 메인 로프(9)는,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로 안내된다(도입 공정). 이 후, 리더 스트립(31)을 각 구동 쉬브 홈(5)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각 메인 로프(9)를 이동시켜,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로부터 리더 스트립(31)을 꺼낸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에 감는다.
또, 복수 개의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에 감을 때에는, 상기의 순서를 반복한다. 또한, 리턴 풀리(2)와 리턴 풀리용 메인 로프 래치(6) 사이의 틈새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각 메인 로프(9)를 통하여 리턴 풀리(2)에 메인 로프(9)를 감는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리더 스트립(31)에서는, 스트립 본체(32)가 변형이 자유로운 튜브(34)를 가지며, 튜브(34)가 팽창된 확대 상태와, 튜브(34)의 형상이 평평하게 된 편평한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립 본체(32)를 편평한 상태로 함으로써,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스트립 본체(32)를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할 수 있고,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 새에 삽입된 스트립 본체(32)를 확대 상태로 함으로써,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에 대해 스트립 본체(32)의 구동 쉬브(4)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로프(9)의 구동 쉬브(4)에 대한 감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스트립 본체(32)는,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확대 상태로 됨으로써 구동 쉬브 홈(5)에 결합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에 대해 스트립 본체(32)의 구동 쉬브(4)에 대한 위치 결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스트립 본체(32)에는, 메인 로프(9)와 스트립 본체(32)를 회전이 자유롭게 접속하는 접속 장치(3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동 쉬브(4) 및 리턴 풀리(2)에 메인 로프(9)를 연속해서 감는 경우에, 리더 스트립(31)를 당기는 방향에 따라 리더 스트립(31)이 꼬이더라도 메인 로프(9)의 꼬임을 방지 할 수 있다.
또, 메인 로프(9)를 구동 쉬브(4)에 감는 메인 로프 감음 방법에서는, 스트립 본체(32)를 편평한 상태로 한 채로,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구동 쉬브(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하고, 삽입한 스트립 본체(32)를 팽창시켜 확대 상태로 함으로써, 스트립 본체(32)를 구동 쉬브 홈(5)에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쉬브(4)의 외주부와 구동 쉬브용 메인 로프 래치(7) 사이의 틈새에 대한 스트립 본체(32)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어, 메인 로프(9)의 구동 쉬브(4)에 대한 감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스트립 본체(32)를 편평한 상태로 하기 위해, 튜브(34)의 주위로부터 눌러 튜브(34)의 형상을 평평하게 하도록 되어 있으나, 튜 브(34)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흡기 장치에 의해 공기를 튜브(34) 내로부터 배출함으로써 튜브(34)의 형상을 평평하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스트립 본체(32)를 확대 상태로 하기 위해, 콤퓨레셔(38)에 의해 튜브(34) 내에 공기를 보내도록 되어 있으나, 공기 등의 기체에 한정되지 않고, 물 등의 액체를 튜브(34) 내에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10)

  1. 쉬브와,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에 통과시키기 위한 메인 로프가 접속되고, 상기 틈새에 삽입하여 상기 쉬브의 외주부를 따라 당김으로써, 상기 메인 로프를 상기 틈새로 유도하는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leader strip)으로서,
    상기 쉬브의 외주부를 따라 구부림이 가능하며, 상기 틈새에 상기 쉬브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이 가능한 띠형상의 스트립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본체에는, 상기 쉬브의 두께 방향에 대해, 상기 스트립 본체의 상기 쉬브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탄성의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스트립 본체가 상기 틈새에 삽입되었을 때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트립 본체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쉬브 및 상기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중 적어도 어느 것인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트립 본체의 상기 쉬브에 대한 상기 위치 결정을 행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본체에는, 상기 틈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 본체의 상기 쉬브에 대한 상기 위치 결정은, 상기 쉬브 및 상기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중 적어도 어느 것인가를 상기 한 쌍의 위치 결정부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4. 쉬브와,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에 통과시키기 위한 메인 로프가 접속되고, 상기 틈새에 삽입하여 상기 쉬브의 외주부를 따라서 당김으로써, 상기 메인 로프를 상기 틈새로 유도하는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으로서,
    변형이 자유로운 중공관을 가지며, 상기 중공관이 팽창된 확대 상태와, 상기 중공관의 형상이 평평하게 되고, 상기 틈새에 상기 쉬브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이 가능한 편평한 상태 사이에서 변형이 가능한 스트립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스트립 본체는, 상기 편평한 상태에서 상기 틈새에 삽입되고, 상기 틈새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 상기 확대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는, 홈부가 상기 쉬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 본체는, 상기 틈새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 상기 확대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홈부에 결합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립 본체의 상기 홈부에의 결합에 의해, 상기 스트립 본체의 상기 쉬브에 대한 상기 쉬브의 두께 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본체에는, 상기 메인 로프와 상기 스트립 본체를 회전이 자유롭게 접속하는 접속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7. 쉬브와,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에 메인 로프를 통과시키기 위한 메인 로프 감음 방법으로서,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에 상기 메인 로프를 접속하는 메인 로프 접속 공정,
    상기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이 갖는 띠형상의 스트립 본체를 구부리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트립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탄성의 위치 결정부를 상기 탄성 복원력에 역행하여 누르면서, 상기 틈새에 상기 스트립 본체를 상기 쉬브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하는 삽입 공정,
    상기 삽입 공정후,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스트립 본체로부터 돌출시키고, 상기 쉬브 및 상기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중 어느 것인가에 상기 위치 결정부를 결합시키는 위치 결정 공정, 및
    상기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을 상기 쉬브의 외주부를 따라 당기면서, 상기 메인 로프를 상기 틈새로 유도하는 도입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로프 감음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정에서는, 상기 스트립 본체를 따라 구부림이 가능한 누름판을 상기 스트립 본체에 겹쳐 놓음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부를 누르도록 하고,
    상기 위치 결정 공정에서는, 상기 누름판을 상기 스트립 본체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스트립 본체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로프 감음 방법.
  9. 쉬브와,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틈새에 메인 로프를 통과시키기 위한 메인 로프 감음 방법으로서,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에 상기 메인 로프를 접속하는 메인 로프 접속 공정,
    상기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이 가지는 변형이 자유로운 중공관의 형상을 평평하게 하는 편평 공정,
    상기 중공관의 형상을 평평하게 한 채로 상기 중공관을 구부리고, 상기 틈새 에 상기 중공관을 상기 쉬브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하는 삽입 공정,
    상기 틈새에 삽입된 상기 중공관을 팽창시키고, 상기 쉬브의 홈부에 상기 중공관을 결합시키는 위치 결정 공정, 및
    상기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을 상기 쉬브의 외주부를 따라 당기면서, 상기 메인 로프를 상기 틈새로 유도하는 도입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로프 감음 방법.
  10.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상기 쉬브와, 각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각각 대향하는 복수의 메인 로프 래치 부재를 갖는 쉬브 배치 유니트의 각 상기 쉬브에 상기 메인 로프를 감는 메인 로프 감음 방법으로서,
    각 상기 쉬브와 각 상기 메인 로프 래치 부재 사이의 복수의 상기 틈새에 상기 메인 로프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로프 감음 방법.
KR1020087005554A 2008-03-06 2005-11-14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및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 방법 KR20080036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05554A KR20080036136A (ko) 2008-03-06 2005-11-14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및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05554A KR20080036136A (ko) 2008-03-06 2005-11-14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및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136A true KR20080036136A (ko) 2008-04-24

Family

ID=3957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554A KR20080036136A (ko) 2008-03-06 2005-11-14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및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61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055B1 (ko) * 2018-11-13 2019-05-17 권차연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
KR101980054B1 (ko) * 2018-11-13 2019-05-17 권차연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055B1 (ko) * 2018-11-13 2019-05-17 권차연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
KR101980054B1 (ko) * 2018-11-13 2019-05-17 권차연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20678A (ja) ベルト取付治具
US20220178424A1 (en) High reduction belt-driven linear actuator
CN101965307A (zh) 提升机
US9009936B2 (en) Belt attachment jig
KR20080036136A (ko)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용 리더 스트립 및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 감음 방법
EP3462056B1 (en) Drive belt
KR970026869A (ko) 엘리베이터장치
JP2008291410A (ja) 環状金属コード、無端金属ベルト及び環状金属コードの製造方法
JPH08170287A (ja) より合わされた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07055021A1 (ja) エレベータの主索巻き掛け用先導条体、及びエレベータの主索巻き掛け方法
EP1953110A1 (en) Hoist unit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rope mounting method for elevator
JP2534192B2 (ja) Vリブドベルト及び動力伝達装置
JP2014037302A (ja) エレベーター
JPH06246380A (ja) ワイヤロープ矯正方法及び装置
JP2008230766A (ja) 伝動ベルトを用いたエレベータ駆動装置
CN114678972B (zh) 电枢铁芯、旋转电机、电梯曳引机和电枢铁芯的制造方法
JP2022008197A (ja) ベルト取付治具及びベルトの取付方法
JP7436425B2 (ja) ベルト取付治具及びベルトの取付方法
US4457230A (en) Typefont wheel and belt for small printer
KR101770623B1 (ko) 고 하중용 권상기의 회전자 조립 지그
JP4321182B2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の動作確認方法
JPH11240671A (ja) 線材引取装置
KR100286014B1 (ko) 더블와인더의스판덱스사피딩방법및그장치.
CN111252605A (zh) 卷烟机备用盘纸卷绕加速机构
CN112390181A (zh) 卷扬绳预紧装置及工程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