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410B1 - 와이어 이상상태의 감지가 가능한 무대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이상상태의 감지가 가능한 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410B1
KR101793410B1 KR1020170079238A KR20170079238A KR101793410B1 KR 101793410 B1 KR101793410 B1 KR 101793410B1 KR 1020170079238 A KR1020170079238 A KR 1020170079238A KR 20170079238 A KR20170079238 A KR 20170079238A KR 101793410 B1 KR101793410 B1 KR 101793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s
electrode
stage
electro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순
Original Assignee
이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순 filed Critical 이재순
Priority to KR102017007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장치에서 사용되는 와이어가 처지는 와이어의 이상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무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대 상측의 천장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각각 무대가 위치하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무대의 천장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감아들이거나 풀러내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천장프레임 상에서 와이어의 하측방향으로의 처짐을 감지하는 처짐감지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처짐감지수단은 복수의 와이어의 하측에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1전극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와이어의 하측에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제2전극부재와,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에 연결되어 통전상태를 확인하는 감지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이상상태의 감지가 가능한 무대장치{STAGE SETT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BNORMAL CONDITION OF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이상상태의 감지가 가능한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등의 이상으로 와이어의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 그 상태를 감지하여 장치의 손상이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종의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장치는 라이트나 커튼 등 공연에 필요한 무대 장치물들을 승강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도 1 및 도 2는 그와 같은 무대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무대의 상측에 설치된 천장프레임(4)과, 상기 천장프레임(4)에 구비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5a,5b)와, 상기 가이드롤러(5a,5b)의 둘레부를 경유하여 하측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와이어(3)와, 그 와이어(3)를 풀어 내리거나 감아 올릴 수 있도록 천장프레임(4)의 일측에 구비되는 권취드럼(1)과, 그 권취드럼(1)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기(2), 및 와이어의 진행을 안내하는 보조롤러(6)가 설치된다.
그러한 무대장치에서는 권취드럼(1)에서부터 풀려나는 복수의 와이어(3)가 각각의 가이드롤러(5a,5b)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안내되고 있는 것으로서, 복수의 와이어(3)는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어 가이드롤러(5a,5b)까지 연장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설치환경에 따라 가이드롤러(5a,5b) 서로간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기도 하고, 가이드롤러(5a,5b) 사이에서도 복수의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와이어가 각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5a,5b)까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가이드롤러(5a,5b)의 회전불량 등 장치 작동상의 문제가 발생하면, 일부 와이어(3a)가 권취드럼(1)에서 풀려나면서 가이드롤러(5a,5b)를 거쳐 하측으로 진행하는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도 1과 같이, 권취드럼(1)과 가이드롤러(5a,5b) 사이의 영역, 또는 가이드롤러(5a,5b)들 사이의 영역에서 일부 와이어(3a)의 처짐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일부 와이어(3a)의 처짐은 다른 작동기기에 말려 작동을 방해하기도 하고, 다른 와이어(3)와 엉킴이 발생함으로써, 무대장치의 손상을 유발하거나, 인명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420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대장치에서 사용되는 와이어가 권취드럼과 가이드롤러 사이 또는 가이드롤러들 사이에서 처지는 현상과 같은 와이어의 이상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무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대장치에서 와이어의 처짐발생시 와이어에 신속히 긴장을 부여함으로써 처짐이 발생한 와이어가 다른 작동기기와 간섭되거나 다른 와이어와 엉킴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무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무대 상측의 천장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각각 무대가 위치하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무대의 천장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감아들이거나 풀러내도록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장프레임 상에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하측방향으로의 처짐을 감지하는 처짐감지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처짐감지수단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하측에서 배열된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1전극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하측에서 배열된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제2전극부재와,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일부가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가 접촉한 와이어를 매개로 통전상태가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처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가 각각, 상기 와이어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에서 볼 때, 하측방향으로 처진 상기 와이어가 접촉하는 상부가 반원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의 상부가 각각 곡면을 이루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가 자화되도록 각각 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자석에 부착되는 강재로 형성됨으로써, 하측방향으로 처진 상기 와이어가 자력에 의해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에 끌려 접촉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무대 상측의 천장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각각 무대가 위치하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무대의 천장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감아들이거나 풀러내도록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장프레임 상에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하측방향으로의 처짐을 감지하는 처짐감지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처짐감지수단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하측에서 배열된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같은 높이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전극봉 및 제2전극봉과, 상기 제1전극봉 및 상기 제2전극봉의 양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전극봉 및 제2전극봉과 나란히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전극봉 및 상기 제2전극봉보다 낮은 위치로 배치되는 제3전극봉 및 제4전극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전극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전극봉 중 복수개의 전극봉이 하측으로 처진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여 접촉한 상기 와이어를 매개로 통전상태가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처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기가 상기 와이어의 처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를 눌러 상기 와이어를 긴장상태로 전환하는 와이어긴장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와이어긴장수단은 각 상기 와이어에 대응하도록 각 상기 와이어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하강시 대응하는 상기 와이어를 각각 하측방향으로 누르는 복수의 하강부재와, 상기 하강부재가 상기 와이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감지기가 상기 와이어의 처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하강부재에 대한 파지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하강부재가 낙하하도록 하는 파지장치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하강부재는 하강시 대응하는 하나의 상기 와이어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전극봉 사이사이로 각각 진입하는 복수의 누름롤러와, 상기 누름롤러를 지지하고 상부에는 상기 파지장치에 걸리는 파지부를 구비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는, 복수의 와이어의 하측에서 배열된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1전극부재와, 제2전극부재를 설치하고, 복수의 와이어 중 일부가 상기 제1전극부재와 제2전극부재에 접촉하여 통전되는 상태를 확인하는 감지기를 포함함으로써, 와이어의 처짐발생시 비교적 정확히 감지함으로써, 구동기의 작동정지 등 필요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대장치는, 와이어의 처짐을 감지하는 처짐감지수단과 함께, 그 처짐감지수단이 와이어의 처짐을 감지하는 경우, 와이어를 눌러 긴장상태로 전환하는 와이어긴장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처짐이 발생한 와이어가 다른 작동기기와 간섭되거나 다른 와이어와 엉킴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무대장치의 구성설명도
도 2는 도 1의 무대장치에 대한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의 구성설명도
도 4는 도 3의 무대장치에 대한 평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에서 처짐감지수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에서 처짐감지수단과 와이어긴장수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에서 처짐감지수단과 와이어긴장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에서 처짐감지수단과 와이어긴장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에서 처짐감지수단의 제1 내지 제4전극봉에 와이어가 접촉하는 다양한 경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2개의 전극봉이 설치된 처짐감지수단인 경우에 대한 와이어의 접촉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는, 무대 상측의 천장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21,22)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21,22)에 의해 각각 무대가 위치하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무대의 천장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와이어(30;30a~30e)와, 상기 와이어(30)를 감아들이거나 풀러내도록 와이어(30)가 권취된 권취드럼(51)과, 상기 권취드럼(51)을 회전시키는 구동기(52)를 포함한다.
천장프레임(10)의 일측에는 모터 및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구동기(52)가 설치되고, 구동기(52)에서 제공되는 동력은 권취드럼(51)이 설치되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면서 복수의 와이어(30)를 권취드럼(51)에 감거나 권취드럼(51)으로부터 와이어(30)를 풀게 된다.
상기 와이어(30)는 가이드롤러(21,22)에 감기고 안내되어 무대 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무대의 각종 시설물이 매달린 바튼이 와이어(30)의 하단에 연결되어 승강된다.
권취드럼(51)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30)는 각각 천장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21,22)에 감기면서 연장방향이 하측으로 각각 변경되어 연장되고, 복수의 와이어(30)는 각각 하단에 무대 장치물이 매달린 바튼(batten)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권취드럼(51)과 가이드롤러(21,22) 사이에는 긴 길이를 주행하는 복수의 와이어(30)의 높이를 조절하고 진행을 안내하기 위하여 보조롤러(41,42)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롤러(41,42)는 권취드럼(51)의 전방에 설치되어 복수의 와이어(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안내하는 제1보조롤러(41)와, 제1보조롤러(41)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고 가이드롤러(21,22)까지 복수의 와이어(30)가 간섭없이 원활한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보조롤러(4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천장프레임(10) 상에서 복수의 와이어(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와이어(30)의 하측방향으로의 처짐을 감지하는 처짐감지수단(60)이 설치된다.
상기 처짐감지수단(60)은 가이드롤러(21,22)의 작동불량과 같은 상황이 발생시 권취드럼(51)에서 풀려나가는 와이어(30)가 진행하지 못하고 처지는 이상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처짐감지수단(60)은 복수의 와이어(30)의 정렬이 이루어져 있어 그 감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모든 복수의 와이어(30)의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예컨대, 권취드럼(51)의 전방에서 제1보조롤러(41,42)와 제2보조롤러(41,42) 사이의 와이어(3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처짐감지수단(60)은 복수의 와이어(30)의 하측에서 배열된 상기 복수의 와이어(3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제1전극부재(61)와, 상기 제1전극부재(6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와이어(30)의 하측에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3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제2전극부재(62)와, 상기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에 연결되어 복수의 와이어(30) 중 일부가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에 접촉하여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가 접촉한 와이어(30)를 매개로 통전상태가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기(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전극부재(61) 및 제2전극부재(62)는 와이어(30)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열되고, 모두 복수의 와이어(3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는 와이어(30)의 처짐발생시 와이어(30)가 동시에 접촉함에 따라, 와이어(30)를 매개로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가 통전되도록 하므로, 도전체 금속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는 각각, 와이어(3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에서 볼 때, 하측방향으로 처진 와이어(30)가 접촉하는 상부가 반원형상을 가지도록,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의 상부가 각각 곡면(61a,62a)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처지는 와이어(30)가 자중에 의해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 상에 올려질 때, 상부의 곡면(61a,62a)을 따라 와이어(30)가 굴곡을 형성하면서 접촉하게 되므로, 처짐발생시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에 접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기(63)는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에 연결되어 복수의 와이어(30) 중 일부가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에 접촉하여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가 접촉한 와이어(30)를 매개로 통전상태가 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감지기(63)가 통전상태를 확인하면, 그 감지신호를 제어기(90)로 전송하며, 제어기(90)는 감지기(63)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기(52)의 작동을 제어하여 와이어(30)를 풀어내는 작동을 중지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가 자화되도록 각각 자석(66,67)이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30)는 자석(66,67)에 부착되는 강재로 형성된다.
이는 하측방향으로 처진 와이어(30)가 자력에 의해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에 끌려 보다 확실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처진 상태의 와이어(30)의 굴곡에 따라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가 정확히 접촉하지 못하고, 와이어(30)와 미소한 간격을 가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와이어(30)가 자력에 이끌려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에 부착된 상태가 확실히 이루어짐으로써 이상상태에 대한 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자석(66,67)은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의 하면에 각각 부착되고,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과 함께 케이싱(65)에 수용되어 천정프레임에 고정된다.
도면부호 61b,62b는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와 감지기(63)를 연결하는 연결선이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일부 가이드롤러(21,22) 등 장치의 작동불량과 같은 상황이 발생시 권취드럼(51)에서 풀려나가는 일부 와이어(30)가 진행하지 못하고 처지는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그 처지는 와이어(30)가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의 상면에 접촉하여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의 통전상태를 형성하고 감지기(63)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에 각각 부착된 자석(66,67)에 의해 와이어(30)가 자력에 이끌려 자화된 제1전극부재(61)와 제2전극부재(62)에 보다 확실히 접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의 처짐감지수단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도 무대 상측의 천장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21,22)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21,22)에 의해 각각 무대가 위치하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무대의 천장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와이어(30)와, 상기 와이어(30)를 감아들이거나 풀러내도록 상기 와이어(30)가 권취된 권취드럼(51)과, 상기 권취드럼(51)을 회전시키는 구동기(52)를 포함하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프레임(10) 상에서 복수의 와이어(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와이어(30)의 하측방향으로의 처짐을 감지하는 처짐감지수단(70)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처짐감지수단(70)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30)의 하측에서 배열된 상기 복수의 와이어(3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같은 높이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전극봉(71) 및 제2전극봉(72)과, 상기 제1전극봉(71) 및 제2전극봉(72)의 양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전극봉(71) 및 제2전극봉(72)과 나란히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전극봉(71) 및 상기 제2전극봉(72)보다 낮은 위치로 배치되는 제3전극봉(73) 및 제4전극봉(7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전극봉(71) 및 제2전극봉(72)은 복수의 와이어(30)의 하측에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3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같은 높이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제1전극봉(71) 및 제2전극봉(72)은 처진 와이어(30)가 제1전극봉(71) 및 제2전극봉(72)에 동시에 접촉되는 경우, 통전상태에 의해 그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3전극봉(73) 및 제4전극봉(74)이 함께 구비되어 있고, 제1전극봉(71)과 제2전극봉(72) 사이에 통전이 이루어져야만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내지 제4전극봉(74) 중 어느 2개의 전극봉에 처진 와이어(30)가 접촉하여 그 어느 2개의 전극봉의 통전이 이루어지는지 감지한다.
이에 따라, 감지기(79)는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 중 복수개의 전극봉이 하측으로 처진 와이어(30)와 접촉하여 접촉한 와이어(30)를 매개로 통전상태가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은 각각 상단에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이 각각 결합된 수직지지체(75a~75d)를 포함하는 전극봉프레임(75)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은 모두 각 와이어(30)에 대응하는 대응접촉부(73a~73e)를 가진다.
즉, 도 6과 같이, 5개의 와이어(30;30a~30e)가 나란히 배열된 경우, 그 하측의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은 모두 5개의 대응접촉부(73a~73e)를 각각 가지며, 대응접촉부(73a~73e) 사이에는 절연스페이스(73f)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대응접촉부(73a~73e)는 대응하는 각각의 와이어(30)의 하측에 설치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와이어(30)의 처짐발생시,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 중, 복수의 전극봉에서 통전이 발생하되, 그 와이어(30)에 대응하는 대응접촉부(73a~73e)끼리의 통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감지기(79)는 5개의 와이어(30;30a~30e) 중, 어느 와이어(30a)의 처짐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전극봉(71) 및 제2전극봉(72)과, 그 양측에 배치되는 제3전극봉(73) 및 제4전극봉(74)의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함으로써, 와이어(30)가 복수의 전극봉에 확실히 접촉할 수 있도로 유도하고 있다.
즉, 위의 전극봉의 배치구조는 도 10과 같이, 와이어(30)가 A-A, B-B, C-C와 같이 어떠한 형태의 굴곡이 발생하더라도 2개이상의 전극봉에 접촉이 용이한 배치구조가 된다.
만일, 도 11과 같이, 2개의 전극봉이 같은 높이로 배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전극봉에만 와이어(30)가 접촉한 상태가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30)의 상측에 설치되고 감지기(79)가 와이어(30)의 처짐을 감지하는 경우, 와이어(30)를 눌러 와이어(30)를 긴장상태로 전환하는 와이어긴장수단(8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긴장수단(80)은 전술한 처짐감지수단(70)과 함께 설치되어, 처짐이 발생한 와이어(30)를 감지기(79)가 확인하면, 그 와이어(30)에 대응하는 하강부재를 낙하시켜 처짐이 발생한 와이어(30)를 처짐상태에서 팽팽한 상태로 긴장시킨다.
이에 따라, 와이어(30)의 처짐감지 후, 구동기(52)의 작동중지까지 수초가 소요되거나, 주위에 여러 장치들이 복잡하게 배치된 환경인 경우, 와이어긴장수단(80)의 작동으로 처짐이 발생한 와이어(30)가 다른 장치에 간섭되거나 다른 와이어(30)와 엉킬 수 있는 상황을 임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와이어긴장수단(80)은, 각 상기 와이어(30)에 대응하도록 각 상기 와이어(30)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하강시 대응하는 와이어(30)를 각각 하측방향으로 누르는 복수의 하강부재(81)와, 상기 하강부재(81)가 와이어(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감지기(79)가 와이어(30)의 처짐을 감지하는 경우, 하강부재(81)에 대한 파지상태를 해제하여 하강부재(81)가 낙하하도록 하는 파지장치(86)를 포함한다.
상기 하강부재(81)는 하측에 배열된 와이어(30)의 개수와 동일한 수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하강시 대응하는 와이어(30)를 각각 하측방향으로 누르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낙하할 수 있다.
하나의 하강부재(81)는 하강시 대응하는 하나의 와이어(30)에 접촉하고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 사이사이로 각각 진입하는 복수의 누름롤러(81a~81c)와, 상기 누름롤러(81a~81c)를 지지하고 상부에는 파지장치(86)에 걸리는 파지부(82d,82e)를 구비하는 지지체(82)를 포함한다.
복수의 누름롤러(81a~81c)는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 사이사이로 진입하도록 하강하는 것이므로, 3개의 누름롤러(81a~81c)가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하측에 처져 있는 와이어(30)를 하강하면서 포집할 수 있도록 폭(축방향의 길이)을 넓게 형성한다.
지지체(82)는 누름롤러(81a~81c)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써, 각 누름롤러(81a~81c)를 각각 지지하는 수직의 가지부(82a~82c)가 3개 형성되고 그 가지부(82a~82c)가 상부에서 일체화되며, 상단에 파지부(82d,82e)를 구비한다.
상기 가지부(82a~82c)가 수직으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낙하시 누름롤러(81a~81c)가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 사이사이로 진입할 수 있으며, 파지부(82d,82e)는 파지장치(86)에 걸리는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파지장치(86)는 파지부(82d,82e)를 파지한 상태에서 감지기(79)가 와이어(30)의 처짐을 감지하는 경우, 하강부재(81)의 파지부(82d,82e)에 대한 파지상태를 해제하여 하강부재(81)가 낙하하도록 작동한다.
파지장치(86)는 걸림돌기(87c,87d)가 출몰하는 솔레노이드작동기(87)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걸림돌기(87c,87d)가 출몰하면서 파지부(82d,82e)에 대한 파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그 파지상태의 해제시 하강부재(81)가 낙하할 수 있다.
하강부재(81)의 낙하시는 파지장치(86) 내부의 수직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수직방향으로 낙하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의 처짐감지수단(70)과 와이어긴장수단(8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과 같이, 복수의 와이어(30)가 배열된 상태에서 와이어(30)의 하측에 처짐감지수단(70)이 설치되고, 와이어(30)의 상측에 와이어긴장수단(80)이 설치된다.
일부 가이드롤러(21,22) 등 장치의 작동불량과 같은 상황이 발생시, 도 8과 같이, 일부 와이어(30a)가 진행하지 못하고 처짐이 발생하면서 처짐감지수단(70)의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 중 복수의 전극봉에 접촉이 이루어진다.
그 접촉에 의해 제어기(90)는 와이어(30)의 처짐이 발생한 상황을 감지하고, 처짐이 발생한 와이어(30)를 특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기(90)는 와이어긴장수단(80)의 파지장치(86)를 제어하여, 처짐이 발생한 와이어(30a)에 대응하는 하강부재(81)를 중력으로 낙하시킴으로써, 도 9와 같이, 처짐이 발생한 와이어(30)에 긴장을 부여한다.
즉, 하강부재(81)의 누름롤러(81a~81c)가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 사이사이로 진입하여 하강함으로써, 처짐이 발생한 와이어(30a)는 제1 내지 제4전극봉(71~74) 및 복수의 누름롤러(81a~81c)에 모두 걸린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지그재그형상의 배열은 좁은 영역에서 와이어(30)의 긴 길이가 소모되게 되는 배열이므로, 하측으로 처짐이 발생한 와이어(30a)를 당겨 와이어(30a)에 긴장을 부여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30a)의 처짐감지 후, 구동기(52)의 작동중지까지 수초가 소요되거나, 주위에 여러 장치들이 복잡하게 배치된 환경인 경우, 처짐이 발생한 와이어(30a)가 다른 장치에 간섭되거나 다른 와이어(30)와 엉킬 수 있는 상황을 임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만일, 와이어(30a)의 처짐량이 많아 상기 지그재그형상의 배열에 의해서도 처짐량을 충분히 해소하지 못하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와이어(30)의 늘어짐을 상당량 해소함으로써 다른 장치에 간섭되거나 다른 와이어(30)와 엉킬 수 있는 상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천장프레임 21,22; 가이드롤러
30,30a~30e; 와이어 41,42; 보조롤러
51; 권취드럼 52; 구동기
60; 처짐감지수단 61; 제1전극부재
62; 제2전극부재 61b,62b; 연결선
63; 감지기 65; 케이싱
66,67; 자석 70; 처짐감지수단
71; 제1전극봉 72; 제2전극봉
73; 제3전극봉 73a~73e; 대응접촉부
73f; 절연스페이스 74; 제4전극봉
79; 감지기 80; 와이어긴장수단
81; 하강부재 81a~81c; 누름롤러
82; 지지체 82a~82c; 가지부
82d,82e; 파지부 86; 파지장치
87; 솔레노이드작동기 87c,87d; 걸림돌기
90; 제어기

Claims (5)

  1. 무대 상측의 천장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각각 무대가 위치하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무대의 천장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감아들이거나 풀러내도록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장프레임 상에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하측방향으로의 처짐을 감지하는 처짐감지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처짐감지수단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하측에서 배열된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같은 높이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전극봉 및 제2전극봉과,
    상기 제1전극봉 및 상기 제2전극봉의 양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전극봉 및 제2전극봉과 나란히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전극봉 및 상기 제2전극봉보다 낮은 위치로 배치되는 제3전극봉 및 제4전극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전극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전극봉 중 복수개의 전극봉이 하측으로 처진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여 접촉한 상기 와이어를 매개로 통전상태가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처짐을 감지하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기가 상기 와이어의 처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를 눌러 상기 와이어를 긴장상태로 전환하는 와이어긴장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와이어긴장수단은
    각 상기 와이어에 대응하도록 각 상기 와이어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하강시 대응하는 상기 와이어를 각각 하측방향으로 누르는 복수의 하강부재와,
    상기 하강부재가 상기 와이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감지기가 상기 와이어의 처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하강부재에 대한 파지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하강부재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는 파지장치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하강부재는
    하강시 대응하는 하나의 상기 와이어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전극봉 사이사이로 각각 진입하여 하강하는 복수의 누름롤러와,
    상기 누름롤러를 지지하고 상부에는 상기 파지장치에 걸리는 파지부를 구비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전극봉이 자화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전극봉에 각각 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자석에 부착되는 강재로 형성됨으로써, 하측방향으로 처진 상기 와이어가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전극봉에 끌려 접촉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복수의 누름롤러를 각각 지지하는 수직인 복수의 가지부가 설치되고 그 복수의 가지부들은 상부에서 일체화되며,
    상기 파지장치는,
    걸림돌기가 출몰하는 솔레노이드작동기가 포함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출몰에 의해 파지상태의 상기 하강부재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며,
    상기 파지장치의 내부에는 상기 하강부재의 낙하시에 수직방향으로의 낙하를 안내하는 수직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70079238A 2017-06-22 2017-06-22 와이어 이상상태의 감지가 가능한 무대장치 KR101793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38A KR101793410B1 (ko) 2017-06-22 2017-06-22 와이어 이상상태의 감지가 가능한 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38A KR101793410B1 (ko) 2017-06-22 2017-06-22 와이어 이상상태의 감지가 가능한 무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410B1 true KR101793410B1 (ko) 2017-11-02

Family

ID=6038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238A KR101793410B1 (ko) 2017-06-22 2017-06-22 와이어 이상상태의 감지가 가능한 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4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5641A (zh) * 2017-11-25 2018-04-06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牵引车尾部转向装置
KR102079986B1 (ko) * 2019-12-26 2020-04-07 이윤성 활차의 부하물 추락방지장치
KR102391164B1 (ko) * 2021-08-10 2022-04-26 김은숙 무대설비 승강장치
KR102401479B1 (ko) * 2021-08-23 2022-05-24 (주)성우이앤씨 무대설비 승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781B1 (ko) * 2010-04-12 2010-07-28 주식회사 중앙엔지니어링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KR101490633B1 (ko) * 2013-11-20 2015-02-05 주식회사 포스코 루퍼 장치
KR101500583B1 (ko) * 2014-11-19 2015-03-10 김은숙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781B1 (ko) * 2010-04-12 2010-07-28 주식회사 중앙엔지니어링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KR101490633B1 (ko) * 2013-11-20 2015-02-05 주식회사 포스코 루퍼 장치
KR101500583B1 (ko) * 2014-11-19 2015-03-10 김은숙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5641A (zh) * 2017-11-25 2018-04-06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牵引车尾部转向装置
CN107875641B (zh) * 2017-11-25 2023-09-08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牵引车尾部转向装置
KR102079986B1 (ko) * 2019-12-26 2020-04-07 이윤성 활차의 부하물 추락방지장치
KR102391164B1 (ko) * 2021-08-10 2022-04-26 김은숙 무대설비 승강장치
KR102401479B1 (ko) * 2021-08-23 2022-05-24 (주)성우이앤씨 무대설비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410B1 (ko) 와이어 이상상태의 감지가 가능한 무대장치
KR101234674B1 (ko) 건물 흔들림에 대한 내성이 있는 엘리베이터 탈선 검출 시스템
US5031847A (en) Wire-supplying device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invention
CN102060221A (zh) 双层电梯设备
AU2013292128B2 (en) Elevator system having a safety device
US20150291394A1 (en) Monitoring of support in elevator installations
JP4926613B2 (ja) 昇降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知装置
JP4202805B2 (ja) ワイヤロープの素線切れ検知装置
JP6779020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異常検出装置
US20180237270A1 (en) Human transport device having a monitoring apparatus
JP2016160015A (ja) エレベータ用位置検出装置の調整機構
JP2016199384A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長測定装置
JP2015054326A (ja) 異常検出装置
WO2017199332A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0012977A (ja) ホーム落下物検知装置
KR101490633B1 (ko) 루퍼 장치
JP6067813B1 (ja) エレベーター脱レール検出装置
JP4173067B2 (ja) 金属線の線切れ検出方法および装置
US20210284502A1 (en) Condition detecting method and device for surface insulating layer of elevator traction belt
JP2009096571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外れ止め装置
CN101568677B (zh) 具有改进止挡元件的丝线传输装置
KR101366176B1 (ko) 강판코일 권취 불량 감지장치
CN115161857B (zh) 一种经停片精准定向感应的织布机
WO2017199329A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698942B2 (ja) エレベータの脱レール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