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799B1 -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799B1
KR102400799B1 KR1020207007886A KR20207007886A KR102400799B1 KR 102400799 B1 KR102400799 B1 KR 102400799B1 KR 1020207007886 A KR1020207007886 A KR 1020207007886A KR 20207007886 A KR20207007886 A KR 20207007886A KR 102400799 B1 KR102400799 B1 KR 102400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heet
electronic device
human body
detection module
capaci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267A (ko
Inventor
야치 리우
린추안 왕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7/04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 G01B7/04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using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5Proximity switches using a capacitive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인체 거리 검출 모듈은 제1 금속 시트; 정전용량 센서; 및 제2 금속 시트를 포함한다. 인체가 제1 금속 시트의 임의의 측면으로 접근하거나 멀어질 때, 이는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에 영향을 줄 것이다. 제2 금속 시트가 제1 금속 시트와 평행하지 않고, 제2 금속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금속 시트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2개의 시트가 서로 절연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인체가 제1 금속 시트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전자 장치에 접근할 때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크게 변할 수 있고,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변화는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 여전히 반영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2019년 10월 16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인 중국 특허 출원번호 201910984304.9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 내용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 장치는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사용하기 편리하다.
안테나는 무선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 구조이며, 안테나는 작동 중 특정 전력으로 전자기파를 방사한다. 안테나가 방사하는 전자기파는 정상적인 무선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특정 강도에 도달해야 하며, 강도가 큰 전자기파는 인체에 해를 끼친다. 전자 장치가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고 정상적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에는 인체 거리 감지 모듈이 제공된다. 인체 거리 검출 모듈은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 범위로 줄어들면, 전자 장치는 안테나가 외부로 방출되는 전력을 감소시켜 전자기파의 세기를 줄이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감지 모듈,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인체가 임의의 방향에서 전자 장치로 접근하면, 인체 거리 감지 모듈은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기술 솔루션은 다음과 같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을 제공한다.
제1 금속 시트;
상기 제1 금속 시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은 인체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정전용량 센서;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금속 시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금속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속 시트와 상기 제1 금속 시트는 서로 절연되어 상호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제2 금속 시트는 상기 제1 금속 시트와 평행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금속 시트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평판부의 측면을 향하여 구부러짐에 의해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평판부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상기 평판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금속 시트와 평행하게 대향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평판부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평판부의 인접한 2개의 측면 가장자리 각각은 절곡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절곡부는 플랫-플레이트(flat-plate) 형상 또는 아크-플레이트(arc-plate)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금속 시트와 평행하지 않은 상기 제2 금속 시트의 일부는 상기 제1 금속 시트와 대향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금속 시트와 평행하지 않은 상기 제2 금속 시트의 일부는 상기 제1 금속 시트와 대향하여 배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금속 시트의 표면은 절연막으로 코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금속 시트의 표면 전체가 상기 절연막으로 코팅되거나, 또는 상기 제2 금속 시트의 표면 일부가 상기 절연막으로 코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정전용량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에 따라 상기 인체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술한 제1 양태에 따른 인체 거리 검출 모듈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추가로 제공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전자 장치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을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후면 커버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인체 거리 검출 모듈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2 금속 시트는 후면 커버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금속 시트는 레이저 직접 구조화(laser direct structuring; LDS) 기술을 통해 상기 후면 커버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2 금속 시트는 접착제 또는 스크류에 의해 후면 커버 상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인체 거리 검출 모듈과 대면하는 상기 후면 커버의 표면은 상기 제1 금속 시트와 평행하지 않은 에지 영역(edge region)을 가지고, 상기 제2 금속 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에지 영역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내부 공간에 브래킷(bracket)이 제공되고, 상기 제1 금속 시트는 상기 브래킷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브래킷은 안테나 브래킷이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고, 전자 장치는 제2 양태에 따른 전자 장치이며, 상기 방법은,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capacitance)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전자 장치의 안테나가 제1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지 않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안테나가 상기 제1 전력보다 큰 제2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솔루션에 의해 야기되는 유리한 효과는 적어도 다음과 같다. 제1 금속 시트 및 제2 금속 시트를 제공하고 제1 금속 시트를 정전용량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인체가 제1 금속 시트의 임의의 측면으로 접근하거나 멀어질 때, 이는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에 영향을 줄 것이다. 그에 따라,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크게 변경되고,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인체가 제1 금속 시트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전자 장치에 접근할 때, 제2 금속 시트가 제1 금속 시트와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방향이 제2 금속 시트와 평행하지 않은 한, 제2 금속 시트와 인체 사이에는 큰 대면 영역이 있을 것이고, 제2 금속 시트와 인체 사이의 정전용량이 크게 변할 것이며, 이는 제2 금속 시트 상의 전하 분포에 큰 변화를 야기할 것이다. 또한, 제2 금속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금속 시트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2개의 시트가 서로 절연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인체가 제1 금속 시트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전자 장치에 접근할 때, 방향이 제2 금속 시트와 평행하지 않는 한, 제2 금속 시트의 역할은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을 크게 변화시키므로,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변화는 여전히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 정확하게 반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명백하게,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보여줄 뿐이며,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이러한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부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부분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감지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금속 시트의 부분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면 커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부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예로서 모바일 폰(mobile phone)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부분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폰(1)은 후면 커버(10) 및 프레임(20)을 포함하고, 후면 커버(10) 및 프레임(20)의 일부 만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후면 커버(10)와 프레임(20)은 서로 연결되어 모바일 폰(1)의 내부 공간을 정의하고, 내부 공간에는 인체 거리 검출 모듈(30)이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거리 검출 모듈(30)은 금속 시트(31), 정전용량 센서(32) 및 프로세서(33)를 포함한다. 금속 시트(31)는 정전용량 센서(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정전용량 센서(32)는 프로세서(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금속 시트(31)는 모바일 폰의 스크린 표면과 평행하다. 스크린을 볼 수 있는 모바일 폰의 측면은 모바일 폰의 전면으로 정의되고, 전면의 반대면은 모바일 폰의 후면이며(그림 2는 모바일 폰의 후면을 나타냄),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표면은 측면이다. 인체가 모바일 폰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하여 모바일 폰에 접근할 때, 인체는 금속 시트(31)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인체와 모바일 폰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금속 시트(31)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은 커지므로, 인체와 모바일 폰 사이의 거리는 금속 시트(31)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거리가 특정 값보다 작은 경우, 모바일 폰의 안테나는 외부로의 방사 전력을 감소시키고, 방사된 전자기파의 강도를 감소시키며, 인체에 대한 피해를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인체가 모바일 폰의 측면을 향하여 모바일 폰에 접근하는 경우, 이러한 방향은 금속 시트(31)와 대략 평행하기 때문에, 금속 시트(31)와 인체 사이의 대면 영역은 기본적으로 0이다. 이 경우, 인체가 모바일 폰에 접근하더라도, 금속 시트(31)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인체 거리 검출 모듈(30)은 이 방향으로 덜 민감해지고, 인체와 모바일 폰 사이의 거리 변화를 정화하게 결정할 수 없으므로, 모바일 폰은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피하기 위해 안테나의 전력을 적시에 조절할 수 없다. 또한, 5 세대 통신 기술(5G)의 출현으로 점점 더 많은 안테나가 전자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어, 인체 건강에 대한 영향을 악화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감지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거리 검출 모듈은 제1 금속 시트 (41), 정전용량 센서(42) 및 제2 금속 시트(44)를 포함한다. 정전용량 센서(42)는 제1 금속 시트(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정전용량 센서(42)는 제1 금속 시트(41)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은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반영하도록 구성된다. 제2 금속 시트(44)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금속 시트(41)와 대향 배치되고, 제2 금속 시트(44)와 제1 금속 시트(41)는 서로 절연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대향 배치는 제2 금속 시트(44)의 2개의 가장 큰 표면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금속 시트(41)와 대향하여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호 결합은 제2 금속 시트(44) 상의 전하 분포와 제1 금속 시트(41) 상의 전하 분포가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속 시트(44)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다.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은 제2 금속 시트(44)의 일부는 제1 금속 시트(41)와 대향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대향하여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은 제2 금속 시트(44)의 일부가 제1 금속 시트(4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경우는,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은 제2 금속 시트(44) 부분의 전체 영역이 제1 금속 시트(4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경우, 또는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은 제2 금속 시트(44) 부분의 일부 영역이 제1 금속 시트(4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은 제2 금속 플레이트(44)의 일부가 제1 금속 시트(41)와 대향하여 배치되지 않은 경우는, 제1 금속 시트(41)가 위치한 평면에서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은 제2 금속 시트(44) 부분의 직교 투영(orthographic projection)이 제1 금속 시트(41)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또는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은 제2 금속 시트(44) 부분의 평면이 제1 금속 시트(41)가 위치하는 평면에 수직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금속 시트(44)가 제1 금속 시트(41)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는, 제2 금속 시트(44)가 평판 구조이고 제2 금속 시트(44)가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는 경우, 또는 제2 금속 시트(44)가 평판 구조가 아니고 제2 금속 시트(44)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제2 금속 시트(44)가 평판 구조가 아닌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4의 제2 금속 시트(44)는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은 일부 영역(도 4에서 참조 번호 442로 표시된 부분)을 갖는다.
제1 금속 시트 및 제2 금속 시트를 제공하고 제1 금속 시트를 정전용량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인체가 제1 금속 시트의 임의의 측면으로 접근하거나 멀어질 때, 이는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에 영향을 줄 것이다. 그에 따라,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크게 변경되고,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인체가 제1 금속 시트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전자 장치에 접근할 때, 제2 금속 시트가 제1 금속 시트와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방향이 제2 금속 시트와 평행하지 않은 한, 제2 금속 시트와 인체 사이에는 큰 대면 영역이 있을 것이고, 제2 금속 시트와 인체 사이의 정전용량이 크게 변할 것이며, 이는 제2 금속 시트 상의 전하 분포에 큰 변화를 야기할 것이다. 또한, 제2 금속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금속 시트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2개의 시트가 서로 절연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인체가 제1 금속 시트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전자 장치에 접근할 때, 방향이 제2 금속 시트와 평행하지 않는 한, 제2 금속 시트의 역할은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을 크게 변화시키므로,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변화는 여전히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 정확하게 반영될 수 있다.
정전용량 센서(42)는 정전용량을 검출 할 수 있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정전용량 센서(42)는 전자파 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 센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인체 거리 검출 모듈은 프로세서(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3)는 정전용량 센서(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로세서(43)는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에 따라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금속 시트(44) 및 제1 금속 시트(41)의 대면 영역은 요구사항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2 금속 시트(44) 및 제1 금속 시트(41)의 대면 영역은 인체 거리 검출 모듈의 감도에 영향을 줄 것이다. 제2 금속 시트(44) 및 제1 금속 시트(41)의 대면 영역이 클수록 인체 거리 검출 모듈(40)의 감도는 높아진다.
선택적으로, 제1 금속 시트(41)는 생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금속 시트(41)는 구리, 은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일반적인 금속 또는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속 시트(44)는 평판부(441) 및 평판부(441)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가 평판부(441)의 측면을 향하여 구부러짐(bending)에 의해 형성된 절곡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442)의 가장자리는 평판부(441)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평판 부(44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게 대향하여 배치된다. 평판부(441)와 절곡부(44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441)는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게 대향하여 배치되어, 제1 금속 시트(41)와 제2 금속 시트(44)가 서로 더 잘 결합될 수 있다. 절곡부(442)는 평판부(441)와 평행하지 않으므로, 인체가 제1 금속 시트(41)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전자 장치에 접근할 때, 절곡부(442)와 인체 사이에는 큰 대면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금속 시트(44)와 인체 사이의 정전용량은 크게 변할 것이다. 여기서, 대면 영역은 인체가 접근하는 방향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제1 금속 시트(41)의 직교 투영 영역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인체가 도 4의 수평 화살표를 따라 전자 장치에 접근할 때, 대면 영역은 화살표 방향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제1 금속 시트(41)의 직교 투영 영역이다.
제2 금속 시트(44)는 구리, 은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일반적인 금속 또는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평판부(441)는 생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절곡부(442)는 평판부(44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금속 시트의 부분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부(441)의 인접한 2개의 측면 가장자리 각각은 절곡부(442)를 가지며, 인체가 전자 장치에 도시된 X 방향 외에 Y 방향(X 방향에 수직)으로 접근할 때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절곡부(442)의 인접한 2개의 측면 가장자리는 서로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442)는 아크-플레이트(arc-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절곡부(442)는 플랫-플레이트(flat-plate)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절곡부(442)의 형상은 상이한 전자 장치에 적합할 수 있으며, 이는 제2 금속 시트(44)의 세팅을 용이하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442)는 평판부(441)의 측면을 향하여 평판부(441)의 측면 가장자리 전체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절곡부(442)는 평판부(441)의 측면을 향해 평판부(441)의 측면 가장자리 일부만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2 금속 시트(44)는 아크-플레이트 형상(도 4 또는 도 5의 절곡부(442)의 형상을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제2 금속 시트(44)은 아크-플레이트 형상이므로, 분명히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다.
선택적으로, 제2 금속 시트(44)의 표면은 절연막(45)으로 덮일 수 있다.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제2 금속 시트(44)와 다른 전자 부품 사이에 충분한 간극을 보장하기 어렵다. 제2 금속 시트(44)의 표면을 절연막(45)으로 덮음으로써, 제2 금속 시트(44)와 다른 전자 부품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피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막(45)은 제2 금속 시트(44)의 표면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제2 금속 시트(44)의 모든 표면은 제2 금속 시트(44)가 다른 구조물(예를 들어, 제1 금속 시트(41) 및 프레임(2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막(45)으로 덮여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절연막(45)은 제2 금속 시트(44)의 표면 일부만을 덮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절연막(45)은 제1 금속 시트(41) 근처의 측면에서 제2 금속 시트(44)의 표면만을 덮는다. 절연막(45)의 커버링 위치는 전자 장치 내부의 제2 금속 시트(44)와 접촉할 수 있는 다른 전자 부품들의 배열에 따라 설정되어, 제2 금속 시트(44)와 이들 전자 부품들을 분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인체 거리 검출 모듈(40)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는 모바일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후면 커버(10) 및 프레임(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면 커버(10) 및 프레임(20)의 일부만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후면 커버(10)와 프레임(20)은 서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을 정의하고, 인체 거리 감지 모듈(40)은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모바일 폰 및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일반적인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후면 커버(10) 및 프레임(20)을 가지며, 내부 공간은 인체 거리 검출 모듈(40)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간은 스피커(50),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의 경우, 스피커(50), 마이크로폰 및 인체 거리 검출 모듈(40)과 같은 구성 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50) 및 인체 거리 검출 모듈(40)은 스피커(50) 및 인체 거리 검출 모듈(40)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설치 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20)의 코너에 위치될 수 있다.
프레임(20)은 전자 장치의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은 안테나 파티션 바(21)를 구비한다. 프레임(20)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안테나 파티션 바(21)는 절연체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안테나 파티션 바(21)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20)은 안테나 파티션 바(21)에 의해 개별 섹션들로 분할되고, 각 섹션은 안테나로서 기능할 수 있다.
프레임(20)은 인터페이스(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2)는 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헤드폰 잭, 충전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인터페이스(22)는 스피커(50)와 인체 거리 검출 모듈(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내부 공간에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60)이 제공될 수 있고, 정전용량 센서(42) 및 프로세서(43)는 PCB(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내부 공간에 브래킷(bracket, 70)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고, 제1 금속 시트(41)는 브래킷(7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브래킷(70)은 제1 금속 시트(41)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전자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안테나가 제공되며, 일부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안테나 브래킷을 통해 내부 공간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 브래킷은 내부 공간의 코너에 고정 설치되고, 안테나는 안테나 브래킷의 표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브래킷(70)은 안테나 브래킷일 수 있다. 기존의 안테나 브래킷을 이용하여 제1 금속 시트(41)를 배열함으로써, 인체 거리 검출 모듈(40)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전자 장치 내부에 안테나 브래킷이 없거나, 안테나 브래킷의 위치가 인체 거리 검출 모듈(40)의 배치에 편리하지 않은 경우, 추가 브래킷(70)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1 금속 시트(41)는 접착제 또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 요소에 의해 브래킷(7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1 금속 시트(41)는 레이저 직접 구조화(laser direct structuring; LDS) 기술을 사용하여 브래킷(7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LDS는 제조 정밀도가 높기 때문에, 제1 금속 시트(41)의 형상 및 크기를 정확하게 제어하는데 편리하다.
제2 금속 시트(44)는 후면 커버(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면 커버(10)에는 더 이상의 전기적 구조가 없으며, 제2 금속 시트(44)가 후면 커버(10)와 프레임(20) 사이의 연결 시에 제2 금속 시트(44)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금속 시트(41)와 대향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제2 금속 시트(44)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면 커버(10)는 제2 금속 시트(44) 상에만 제공될 필요가 있고, 전자 장치의 다른 구조는 변경될 필요가 없을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거의 변경되지 않고, 비용이 낮으며, 구현하기 용이하다.
예시적으로, 제2 금속 시트(44)는 접착제 또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 요소에 의해 후면 커버(10)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금속 시트(44)가 후면 커버(10)의 표면 상에 위치될 때, 제1 금속 시트(41)로부터 이격되는 제2 금속 시트(44)의 표면은 후면 커버(10)에 부착되고, 후면 커버(10)는 일반적으로 절연 재료로 제조되므로, 제2 금속 시트(44)의 표면상의 절연막(45)은 제1 금속 시트(41) 근처의 제2 금속 시트(44)의 표면만을 덮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면 커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거리 검출 모듈(40)과 대면하는 후면 커버(10)의 표면은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은 에지 영역(10a)을 갖는다. 후면 커버(10)의 표면은 완전히 평평하지는 않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의 후면 커버(10)의 중간 부분은 평평하고 가장자리는 특정 아크 형상을 가지며, 가장자리는 중간 부분과 동일 평면에 있지 않다. 이러한 형상의 후면 커버(10)를 채택함으로써,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잡을 때, 사용자의 손바닥에 더 잘 맞을 수 있고, 이는 유지하기 편리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속 시트(44)의 적어도 일부는 전술한 에지 영역(1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금속 시트(44)의 적어도 일부가 에지 영역(10a)에 형성되므로, 제2 금속 시트(44)의 일부는 후면 커버(10)의 표면을 이용하여 절곡부(442)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고, 제2 금속 시트(44)의 구부러지지 않은 부분은 평판부(441)을 형성한다. 제2 금속 시트(44)는 후면 커버(10)의 가장자리에 배열되어, 절곡부(442)는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더 큰 면적을 갖는 절곡부(442)는 인체 거리 검출 모듈(40)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돕는다.
인체 거리 검출 모듈(4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속 시트(44)를 포함하는 경우, 제2 금속 시트(44)는 후면 커버(10)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금속 시트(44)는 LDS를 통해 후면 커버(10) 상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인해 전자 장치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안테나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5G의 출현으로 모바일 폰은 5G를 지원하는 안테나를 추가해야 하므로, 전자 장치의 내부는 점점 더 혼잡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부품들이 점점 더 공간에 제약을 받고 있다. LDS를 통해 후면 커버(10) 상에 제2 금속 시트(44)를 형성하는 것은 다른 부품들의 정상적인 설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제2 금속 시트(44)가 차지하는 공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LDS를 통해 형성된 제2 금속 시트(44)는 후면 커버(10)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므로, 후면 커버(10)의 표면 형상은 제2 금속 시트(44)와 제1 금속 시트(41)가 평행하지 않도록 일부 영역이 구부러진 제2 금속 시트(44)를 형성하는데 직접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LDS 공정을 통해, 후면 커버(10)의 표면에 전도성 은(silver) 페이스트가 형성되어 후면 커버(10) 상에 제2 금속 시트(44)를 직접 제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11에서,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을 획득한다.
단계 S12에서,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단계 S13이 수행되고,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지 않은 경우 단계 S14가 수행된다.
단계 S13에서, 전자 장치의 안테나가 제1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4에서, 전자 장치의 안테나가 제2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2 전력은 제1 전력보다 크다.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은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반영하며,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은 거리와 반비례한다. 즉, 인체가 전자 장치에 가까울수록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커진다.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안전 거리일 때,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거리는 전자 장치의 안테나가 관련 산업 또는 기업에서 제2 전력으로 동작할 때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최소 허용 거리일 수 있다.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과 거리 사이의 관계에 따라 획득될 수 있으며, 이때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안테나를 상대적으로 낮은 제1 전력으로 동작시키면 안테나의 방사 전력이 너무 커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금속 시트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지 않은 경우,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과 거리 사이의 관계에 따라 획득될 수 있으며, 이때 인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안테나를 상대적으로 높은 제2 전력으로 동작시키면 안테나가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보장할 수 있다. 인체와 모바일 폰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전자 장치의 안테나의 방사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인체에 대한 방사의 유해한 영향을 피할 수 있고 정상적인 통신이 보장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고려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고, 본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지 않은 일반적인 지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 수단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사용 또는 적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 및 실시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 지시된다.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에 의해 지시되는 관련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고, 여기서 기록 매체는 ROM(read-only memory),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에 있어서,
    제1 금속 시트(41);
    상기 제1 금속 시트(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금속 시트(41)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은 인체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정전용량 센서(42);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금속 시트(4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금속시트(44);
    후면 커버(10); 및
    프레임(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속 시트(44)와 상기 제1 금속 시트(41)는 서로 절연되어 상호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제2 금속 시트(4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고,
    상기 후면 커버(10)와 상기 프레임(20)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을 정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체 거리 검출 모듈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2 금속 시트(44)는 상기 후면 커버(1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체 거리 검출 모듈과 대면하는 상기 후면 커버(10)의 표면은 상기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은 에지 영역(10a)을 가지고,
    상기 제2 금속 시트(4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에지 영역(10a)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시트(44)는,
    평판부(441); 및
    상기 평판부(441)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평판부(441)의 측면을 향하여 구부러짐에 의해 형성된 절곡부(442);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부(44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금속 시트(4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441)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평판부(441)의 인접한 2개의 측면 가장자리 각각은 절곡부(442)를 갖는,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442)는 플랫-플레이트(flat-plate) 형상 또는 아크-플레이트(arc-plate) 형상을 갖는,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은 상기 제2 금속 시트(44)의 일부는 상기 제1 금속 시트(41)와 대향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금속 시트(41)와 평행하지 않은 상기 제2 금속 시트(44)의 일부는 상기 제1 금속 시트(41)와 대향하여 배치되지 않는,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6.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시트(44)의 표면은 절연막(45)으로 코팅되는,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시트(44)의 표면 전체가 상기 절연막(45)으로 코팅되거나, 또는 상기 제2 금속 시트(44)의 표면 일부가 상기 절연막으로 코팅되는,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8.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센서(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체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43);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9.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삭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시트(44)는 레이저 직접 구조화(laser direct structuring; LDS) 기술을 통해 상기 후면 커버(10)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2 금속 시트(44)는 접착제 또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후면 커버(10) 상에 고정되는, 전자 장치.
  12. 삭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브래킷(70)이 제공되고,
    상기 제1 금속 시트(41)는 상기 브래킷(70) 상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안테나 브래킷인, 전자 장치.
  15. 제9 항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금속 시트(41)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 시트(41)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전자 장치의 안테나가 제1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금속 시트(41)의 접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지 않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안테나가 상기 제1 전력보다 큰 제2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7007886A 2019-10-16 2019-12-31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0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984304.9A CN112671956B (zh) 2019-10-16 2019-10-16 电子设备的人体距离检测模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201910984304.9 2019-10-16
PCT/CN2019/130254 WO2021072982A1 (zh) 2019-10-16 2019-12-31 电子设备的人体距离检测模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267A KR20210047267A (ko) 2021-04-29
KR102400799B1 true KR102400799B1 (ko) 2022-05-24

Family

ID=6984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886A KR102400799B1 (ko) 2019-10-16 2019-12-31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85756B2 (ko)
EP (1) EP3809524B1 (ko)
JP (1) JP7124067B2 (ko)
KR (1) KR102400799B1 (ko)
CN (1) CN112671956B (ko)
WO (1) WO20210729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32236B (zh) * 2022-05-09 2024-02-11 緯昌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2423A (ja) * 2008-03-13 2009-10-01 Keiichi Nonogaki 静電容量型近接センサ
KR101046666B1 (ko) * 2002-12-25 2011-07-06 에이씨티 엘에스아이 인크. 정전 용량 검출형 근접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0269A (ja) * 2000-09-25 2002-04-05 Mitsuboshi Belting Ltd 衝撃吸収近接センサ
JP4003453B2 (ja) 2001-12-26 2007-11-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検出装置
US8432322B2 (en) 2009-07-17 2013-04-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apacitive proximity sensors for proximity-based radio-frequency power control
JP6329762B2 (ja) * 2012-12-28 2018-05-2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US9437931B2 (en) * 2013-09-18 2016-09-06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using ionic polymer metal composite therein
WO2015068244A1 (ja) * 2013-11-07 2015-05-14 富士通株式会社 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無線通信装置
CN203838665U (zh) * 2013-12-13 2014-09-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临近感应装置以及具有其的移动终端
US10044095B2 (en) * 2014-01-10 2018-08-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ating structure with integrated proximity sensing
US9905908B2 (en) * 2014-01-14 2018-02-27 Luxshare Precision Industry Co., Ltd. Antenna structure with proximity sensor
WO2015126095A1 (ko) * 2014-02-21 2015-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9794748B2 (en) * 2014-08-19 2017-10-17 Semtech Corporation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nd mobile device
TW201711272A (zh) * 2015-09-11 2017-03-16 耀登科技股份有限公司 接近感測型天線裝置及其天線結構
JP6857311B2 (ja) * 2017-04-26 2021-04-14 日立金属株式会社 近接センサ
CN109373887A (zh) * 2018-09-28 2019-02-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人体距离检测模组及电子设备
KR102604352B1 (ko) * 2019-02-19 2023-1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부품 배치 구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666B1 (ko) * 2002-12-25 2011-07-06 에이씨티 엘에스아이 인크. 정전 용량 검출형 근접 센서
JP2009222423A (ja) * 2008-03-13 2009-10-01 Keiichi Nonogaki 静電容量型近接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24067B2 (ja) 2022-08-23
EP3809524A1 (en) 2021-04-21
WO2021072982A1 (zh) 2021-04-22
US11085756B2 (en) 2021-08-10
JP2022508979A (ja) 2022-01-20
CN112671956B (zh) 2023-06-30
CN112671956A (zh) 2021-04-16
KR20210047267A (ko) 2021-04-29
EP3809524B1 (en) 2023-01-04
US20210116234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7998B2 (en) Interface and communication device
US9367155B2 (en) Touch panel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102411482B1 (ko) 용량성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32150A (ko) 폴더블 전자 장치
KR20190020349A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으로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19622B1 (ko)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대역 상의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구조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13216B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130083A1 (en) Camera assembly,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KR20220021523A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WO2018211791A1 (ja) 携帯型電子機器
TW202213298A (zh) 顯示器模組
KR102400799B1 (ko) 전자 장치의 인체 거리 검출 모듈,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35817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26601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shielding structure
TWM578885U (zh) 行動裝置
CN110827694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624300B1 (ko) 인쇄 회로 기판 및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110601A1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JP5988361B2 (ja) 電子機器
CN215872067U (zh) 电子设备
US11177858B2 (en) Electronic device
CN108615968B (zh) 壳体组件、天线组件及电子设备
CN114175604A (zh) 包括天线的电子装置
CN112015234B (zh) 距离感测组件及电子装置
KR20240053489A (ko) 안테나 부재 및 안테나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