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155B1 - 나선형 홈이 정의된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부싱 - Google Patents

나선형 홈이 정의된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155B1
KR102394155B1 KR1020210130587A KR20210130587A KR102394155B1 KR 102394155 B1 KR102394155 B1 KR 102394155B1 KR 1020210130587 A KR1020210130587 A KR 1020210130587A KR 20210130587 A KR20210130587 A KR 20210130587A KR 102394155 B1 KR102394155 B1 KR 10239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piral groove
spiral
wal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한두철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두철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두철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0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중심축과 나란하게 연장하는 중공부가 정의된 파이프 몸체, 상기 파이프 몸체의 내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1 나선홈, 및 상기 파이프 몸체의 내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나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나선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나선형 홈이 정의된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부싱{PIPE WITH SPIRAL GROOVES AND BUSHING COMPRISING IT}
본 발명은 나선형 홈이 정의된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부싱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부싱의 탄성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내주면에 나선형 홈이 정의된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부싱에 관한 것이다.
부싱(bushing)은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재로서, 두 부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부품 사이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감쇠시키는 부품이다. 일반적으로 부싱은 아우터 파이프(outer pipe), 이너 파이프(inner pipe), 및 아우터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rubber)를 포함한다.
일 예로, 차량용 부싱은 서스펜션, 쇽업쇼버, 스테빌라이저 등과 같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장착된다. 차량용 부싱은 차량의 연결 부위에 배치되어 진동과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운전자의 승차감을 증가시킨다.
다만, 종래 차량용 부싱에서는 지속적인 진동과 충격으로 인해 파이프로부터 고무가 이탈하여 부싱이 파손되는 문제가 적지 않게 발생하였다.
이에, 차량용 부싱을 제조하는 분야에서는 고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부싱에 관한 연구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외측 파이프와 내측 파이프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이프가 적용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부싱을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중심축과 나란하게 연장하는 중공부가 정의된 파이프 몸체, 상기 파이프 몸체의 내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1 나선홈, 및 상기 파이프 몸체의 내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나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나선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나선홈과 상기 제2 나선홈 각각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복수 개의 제1 나선홈은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나선홈은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나선홈의 폭은 상기 제2 나선홈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1 나선홈의 깊이는 상기 제2 나선홈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나선홈은 제1 벽, 상기 제1 벽과 마주보는 제2 벽, 및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 배치된 제3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3 벽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제2 벽과 상기 제3 벽이 이루는 각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중심축과 나란하게 연장하는 제1 중공부가 정의된 제1 파이프, 상기 제1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과 나란하게 연장하는 제2 중공부가 정의된 제2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파이프는 상기 제1 파이프의 내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나선홈,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내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 나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나선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부의 외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제1 나선홈에 배치된 제1 요철부 및 상기 탄성부의 외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제2 나선홈에 배치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의 제1 나선홈에 탄성부(300)의 제1 요철부가 배치됨에 따라 제1 파이프와 탄성부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파이프로부터 탄성부가 이탈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부싱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에서 제1 나선홈과 다른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나선홈에 탄성부의 제2 요철부가 배치됨에 따라 제1 파이프와 탄성부 사이의 결합력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나선홈과 요철부 구조에 의해 제1 파이프와 탄성부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에 작용하는 힘이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부싱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선형 홈이 정의된 파이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 A' 선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 - B' 선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C - C' 선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선형 홈이 정의된 파이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 A' 선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 - B' 선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선홈이 정의된 파이프(100)는 파이프 몸체(110), 파이프 몸체(110)의 내측에 정의된 제1 나선홈(111) 및 제2 나선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몸체(110)는 중심축(CX)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부(101)가 정의된 관(Tub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심축(CX)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하고 파이프 몸체(11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파이프 몸체(110)의 양측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즉, 중공부(101)는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파이프(100)는 부싱(bushing)의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파이프(100)는 부싱의 외측 파이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100)는 인발(drawing) 파이프일 수 있다. 예컨대, 파이프(100)는 인발(drawing) 공정을 거친 금속 재질의 파이프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은 파이프 몸체(110)의 내주면(110_I)에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은 내주면(110_I)으로부터 외주면(110_O)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은 나선(spiral)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나선홈(111)은 중심축(CX)을 기준으로 제1 나선 방향(SD1)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나선 방향(SD1)은 중심축(CX)을 나선 방향으로 감싸며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한다.
제2 나선홈(112)은 중심축(CX)을 기준으로 제2 나선 방향(SD2)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나선 방향(SD2)은 중심축(CX)을 제1 나선 방향(SD1)과 다른 나선 방향으로 감싸며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한다. 제1 나선 방향(SD1)과 제2 나선 방향(SD2)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은 적어도 한 지점에서 만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은 파이프 몸체(110)의 단부(110_E)에서 만날 수 있다. 다만,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은 파이프(100)의 절단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 각각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복수 개의 제1 나선홈(11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제2 나선홈(11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방향(DR2)은 제1 방향(DR1)을 감싸는 회전 방향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 각각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나선홈(111)의 폭과 깊이는 제2 나선홈(112)의 폭과 깊이보다 각각 크고 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나선홈(111)은 제1 벽(111A), 제2 벽(111B), 및 제3 벽(11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111A) 및 제2 벽(111B)은 파이프 몸체(110)의 내주면(110_I)으로부터 외주면(110_O)을 향하여 연장할 수 있다. 제1 벽(111A)과 제2 벽(111B)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3 벽(111C)은 제1 벽(111A)과 제2 벽(11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심축(CX)으로부터 제3 벽(111C)까지의 거리는 중심축(CX)으로부터 내주면(110_I)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제3 벽(111C)은 곡면(curved surface)일 수 있다.
제2 나선홈(112)은 제4 벽(112A), 제5 벽(112B), 및 제6 벽(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벽(112A) 및 제5 벽(112B)은 파이프 몸체(110)의 내주면(110_I)으로부터 외주면(110_O)을 향하여 연장할 수 있다. 제4 벽(112A)과 제5 벽(112B)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6 벽(112C)은 제4 벽(112A)과 제5 벽(11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심축(CX)으로부터 제6 벽(112C)까지의 거리는 중심축(CX)으로부터 내주면(110_I)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제6 벽(111C)은 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심축(CX)으로부터 제3 벽(111C)까지의 거리는 중심축(CX)으로부터 제6 벽(112C)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나선홈(111)의 깊이는 제2 나선홈(112)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3 벽(111C)의 길이는 제6 벽(112C)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나선홈(111)의 폭은 제2 나선홈(11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벽(111A)과 제3 벽(111C)이 이루는 제1 각도(α1)와 제2 벽(111B)과 제3 벽(111C)이 이루는 제2 각도(α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 각도(α1)는 제2 각도(α2)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4 벽(112A)과 제6 벽(112C)이 이루는 제3 각도(α3)와 제5 벽(112B)과 제6 벽(112C)이 이루는 제4 각도(α4)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3 각도(α3)는 제4 각도(α4)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4에 도시된 부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10)은 서로 연결되는 부품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 예에서 부싱(10)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장착되는 차량용 부싱일 수 있다. 차량용 부싱은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부품이다. 다만, 부싱(10)의 종류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부싱(10)은 제1 파이프(100), 제2 파이프(200), 및 제1 파이프(100)와 제2 파이프(200)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이프(10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하는 중심축(CX)과 나란하게 연장하는 제1 중공부(101)가 정의된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이프(100)는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나선홈이 정의된 파이프(100)일 수 있다.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는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파이프(200)는 중심축(CX)과 나란하게 연장하는 제2 중공부(201)가 정의된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이프(100)와 제2 파이프(20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300)는 제1 파이프(100)의 제1 중공부(101)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300)에는 중심축(CX)과 나란하게 연장하는 제3 중공부(301)가 정의될 수 있다. 제3 중공부(301)에는 제2 파이프(200)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300)는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300)는 고무(rubb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탄성부(300)의 재질이 고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부(300)는 제1 파이프(100)와 제2 파이프(200)에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C - C' 선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탄성부(300)는 제1 요철부(311)와 제2 요철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철부(311)와 제2 요철부(312)는 탄성부(3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요철부(311)는 중심축(CX)을 중심으로 제1 나선 방향(SD1)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요철부(312)는 중심축(CX)을 중심으로 제2 나선 방향(SD2)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요철부(311)와 제2 요철부(312) 각각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제1 요철부(311)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요철부(312)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요철부(311)와 제2 요철부(312)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만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철부(311)는 제2 요철부(312)는 탄성부(300)의 단부 부근에서 만날 수 있다. 다만, 제1 요철부(311)와 제2 요철부(312)가 만나는 지점은 달라질 수 있다.
제1 요철부(311)는 제1 파이프(100)의 제1 나선홈(1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요철부(312)는 제1 파이프(100)의 제2 나선홈(1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요철부(311)와 제2 요철부(312) 각각은 제1 나선홈(111) 및 제2 나선홈(1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100)의 제1 나선홈(111)에 탄성부(300)의 제1 요철부(311)가 배치됨에 따라 제1 파이프(100)와 탄성부(300)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파이프로부터 탄성부(300)가 이탈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부싱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100)에서 제1 나선홈(111)과 다른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나선홈(112)에 탄성부(300)의 제2 요철부(312)가 배치됨에 따라 제1 파이프(100)와 탄성부(300) 사이의 결합력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또한, 나선홈과 요철부 구조에 의해 제1 파이프(100)와 탄성부(30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에 작용하는 힘이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부싱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10')은 제1 파이프(100'), 제2 파이프(200'), 및 탄성부(300')를 포함한다. 탄성부(300')는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정의된 나선 형상의 홈에 배치되는 제1 요철부(311')와 제2 요철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철부(311')와 제2 요철부(312')는 탄성부(3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요철부(311')와 제2 요철부(312') 각각은 제1 나선 방향(SD1) 및 제2 나선 방향(SD2)으로 연장할 수 있다(도 5 참조).
탄성부(300')는 제3 요철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파이프(200')의 외주면에는 제3 나선홈(211')이 정의될 수 있다. 제3 나선홈(211')은 중심축(CX)을 중심으로 나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나선홈(211')은 제1 나선 방향(SD1) 또는 제2 나선 방향(SD2)일 수 있다(도 2 참조).
제3 요철부(313')는 제3 나선홈(211')에 대응하도록 나선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요철부(313')는 탄성부(3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3 나선홈(2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나선홈(211')과 제3 요철부(313') 각각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 나선홈(211')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제3 요철부(313')는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탄성부(300')의 제3 요철부(313')가 제2 파이프(200')의 제3 나선홈(211')에 배치됨에 따라 탄성부(300')가 제2 파이프(2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부싱(10')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10'')은 제1 파이프(100''), 제2 파이프(200''), 및 탄성부(300'')를 포함한다. 탄성부(300'')는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정의된 나선 형상의 홈에 배치되는 제1 요철부(311'')와 제2 요철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철부(311'')와 제2 요철부(312'') 각각은 제1 나선 방향(SD1) 및 제2 나선 방향(SD2)으로 연장할 수 있다(도 5 참조). 제1 요철부(311'')와 제2 요철부(312'')는 탄성부(3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파이프(200'')는 제3 요철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300'')의 내주면에는 제3 나선홈(313'')이 정의될 수 있다. 제3 나선홈(313'')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제1 나선 방향(SD1) 또는 제2 나선 방향(SD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요철부(211'')는 제3 나선홈(313'')에 대응하는 나선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요철부(211'')는 탄성부(3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3 나선홈(313'')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요철부(211'')와 제3 나선홈(313'') 각각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 요철부(211'')는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제3 나선홈(313'')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탄성부(300'')의 제3 나선홈(313'')에 제2 파이프(200'')의 제3 요철부(211'')가 결합됨에 따라 탄성부(300'')가 제2 파이프(2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부싱(10'')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부싱
100: 파이프, 제1 파이프
110: 파이프 몸체
111: 제1 나선홈
112: 제2 나선홈
200: 제2 파이프
300: 탄성부
311: 제1 요철부
312: 제2 요철부

Claims (5)

  1.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중심축과 나란하게 연장하는 중공부가 정의된 파이프 몸체;
    상기 파이프 몸체의 내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1 나선홈; 및
    상기 파이프 몸체의 내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나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나선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나선홈의 폭은 상기 제2 나선홈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1 나선홈의 깊이는 상기 제2 나선홈의 깊이보다 깊은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홈과 상기 제2 나선홈 각각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복수 개의 제1 나선홈은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나선홈은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파이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홈은 제1 벽, 상기 제1 벽과 마주보는 제2 벽, 및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 배치된 제3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3 벽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제2 벽과 상기 제3 벽이 이루는 각도는 서로 다른 파이프.
  5.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중심축과 나란하게 연장하는 제1 중공부가 정의된 제1 파이프;
    상기 제1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과 나란하게 연장하는 제2 중공부가 정의된 제2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이프는,
    상기 제1 파이프의 내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나선홈;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내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 나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나선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나선홈의 폭은 상기 제2 나선홈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1 나선홈의 깊이는 상기 제2 나선홈의 깊이보다 깊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부의 외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제1 나선홈에 배치된 제1 요철부; 및
    상기 탄성부의 외주면에 정의되고, 상기 제2 나선홈에 배치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부싱.
KR1020210130587A 2021-10-01 2021-10-01 나선형 홈이 정의된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부싱 KR102394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87A KR102394155B1 (ko) 2021-10-01 2021-10-01 나선형 홈이 정의된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87A KR102394155B1 (ko) 2021-10-01 2021-10-01 나선형 홈이 정의된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부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155B1 true KR102394155B1 (ko) 2022-05-06

Family

ID=8158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587A KR102394155B1 (ko) 2021-10-01 2021-10-01 나선형 홈이 정의된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1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8092A (ja) * 1988-12-21 1990-06-28 Sumitomo Metal Ind Ltd コンクリート合成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73484A (ja) * 1990-07-12 1992-03-09 Sekisui Chem Co Ltd 消音性樹脂ライニング排水複合管
JPH1130386A (ja) * 1997-07-12 1999-02-02 Marusho:Kk 消音流体管
JP2003247669A (ja) * 2002-02-25 2003-09-05 Nippon Kanzai Center Co Ltd 合成樹脂製消音パイプおよび合成樹脂製消音パイプの製造方法
KR102283687B1 (ko) * 2021-03-12 2021-07-30 한두철강 주식회사 다중 파이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8092A (ja) * 1988-12-21 1990-06-28 Sumitomo Metal Ind Ltd コンクリート合成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73484A (ja) * 1990-07-12 1992-03-09 Sekisui Chem Co Ltd 消音性樹脂ライニング排水複合管
JPH1130386A (ja) * 1997-07-12 1999-02-02 Marusho:Kk 消音流体管
JP2003247669A (ja) * 2002-02-25 2003-09-05 Nippon Kanzai Center Co Ltd 合成樹脂製消音パイプおよび合成樹脂製消音パイプの製造方法
KR102283687B1 (ko) * 2021-03-12 2021-07-30 한두철강 주식회사 다중 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537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1796231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6099519B2 (ja) 非空気圧タイヤ
KR10184165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US6910670B2 (en) Suspension rubber bushing of vertical mount type
US8210508B2 (en) Bump stopper for suspension system
KR20130072179A (ko) 자동차의 휠 서스펜션을 위한 탄성 조인트
JP6215082B2 (ja) 非空気圧タイヤ
KR20130101684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JP6529834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2018188096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KR102394155B1 (ko) 나선형 홈이 정의된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부싱
JP2010048293A (ja) 防振ブッシュ
KR102211026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6529833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6731841B2 (ja) 軸ばね
JP6553420B2 (ja) 非空気圧タイヤ
EP3297860B1 (en) Link assembly for longitudinal arm vehicle suspension
US20210138859A1 (en) Void bush for vehicle suspension
KR20070032134A (ko)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WO2018186145A1 (ja) 弾性クローラ
JP7449670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7305529B2 (ja) キャブマウント
JP7494637B2 (ja) エアレスタイヤ
JP3609145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用のブッシ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