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359B1 -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359B1
KR102393359B1 KR1020200176543A KR20200176543A KR102393359B1 KR 102393359 B1 KR102393359 B1 KR 102393359B1 KR 1020200176543 A KR1020200176543 A KR 1020200176543A KR 20200176543 A KR20200176543 A KR 20200176543A KR 102393359 B1 KR102393359 B1 KR 102393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ft certificate
investment
content
information
real e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호
김희만
천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츠크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츠크라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츠크라우드
Priority to KR102020017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359B1/ko
Priority to PCT/KR2021/018998 priority patent/WO202213176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Abstract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은, 대상 부동산에서 운용되는 컨텐츠의 제공 주체가 보유한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부동산과 연계된 투자자 단말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한 투자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투자 신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대상 부동산의 가치 정보에 기초한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NVESTMENT BASED ON SHARED REAL ESTATE}
본원은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은 부동산의 유휴 자원을 소비자 및 투자자와 공유하여 금전적 수익과 공동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공유부동산 리츠(REITs)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부동산 투자는 직접투자와 간접투자로 나뉠 수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0년대 이후 부동산 간접투자 방식인 신탁, ABS, 리츠, 부동산 펀드 등이 등장했으며, 이 중 리츠(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와 부동산 펀드(REF; Real Estate Fund)는 간접투자의 대표 주자라 할 수 있다. 리츠와 부동산 펀드는 모두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이나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하고 그 운용수익 및 매각차익을 배당 또는 잔여재산 분배 형식으로 투자자들에게 지급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리츠는 공모를 통해 일반 투자자 등으로부터 자금을 모은 후, 이 자금을 부동산 또는 부동산 관련 유가 증권에 투자한 뒤 운용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당하는 부동산 간접 투자 상품으로서, 부동산에 직접 투자하려면 일시에 상당한 자금이 필요한 반면, 전술한 리츠 투자는 소액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유한 자본이 적은 개인이 소액으로도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리츠를 활용하면 개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대형 오피스 등 우량 부동산에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동산 직접투자는 분산 투자에 어려움이 있는 것과 달리, 리츠 투자는 지역별, 상품별 분산투자 등 보다 다양한 형태로 투자할 뿐만 아니라 국경을 넘어 해외부동산에 투자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투자 가능한 리츠 중 상장 리츠는 매우 소수로서 거래가 미미하며, 리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부동산은 장기간 임차되어 있는 대형 부동산, 백화점, 대형 오피스 물류 창고 등 한정적인 유형에 제한될 뿐이어서, 투자자가 리츠 형태로 투자할 수 있는 대상 부동산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리츠 투자 방법은 부동산 직접투자와 마찬가지로 부동산 가격이 오르거나, 임대료 수익을 통해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할 수 있는데, 임대 소득의 감소가 배당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으며, 리츠 투자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수익이 부동산의 시세 또는 해당 부동산의 토지 시세, 부동산 소유권자의 의도 등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의 가치 판단을 어렵게 하며, 해당 부동산에서 운용되는 경제 활동의 우수성 등과 무관하게 단순 임대료 등에 의해 수익이 결정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2470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동산의 단순 가치뿐만 아니라 투자 대상 부동산에서 운용되는 컨텐츠의 우수성, 전망, 매출 등을 반영한 상품권 기반의 신규한 리츠(REITs) 투자 프로세스를 제시하는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은, 대상 부동산에서 운용되는 컨텐츠의 제공 주체가 보유한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부동산과 연계된 투자자 단말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한 투자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투자 신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대상 부동산의 가치 정보에 기초한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와 연계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단위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권의 가격 및 발행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은, 상기 발행된 상품권을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매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매출 정보 및 상기 상품권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리워드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제공 주체와 연계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투자 가치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투자 가치 이상으로 평가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은, 상기 발행된 상품권을 미리 구축된 상품권 거래소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소비자 단말로부터 발송된 상기 등록된 상품권에 대한 구입 요청을 상기 상품권 거래소 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입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거래된 상기 상품권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은,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 전송된 상품권 사용 요청을 상기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출 정보에는 상기 사용 요청된 상품권의 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투자 신청에 기초하여 누적된 투자금이 상기 대상 부동산의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미리 설정된 금액 이상이면 상기 상품권을 발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자자 단말은 상기 대상 부동산의 소유주가 보유한 소유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는, 대상 부동산에서 운용되는 컨텐츠의 제공 주체가 보유한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 부동산과 연계된 투자자 단말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한 투자 신청을 수신하고, 상기 투자 신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대상 부동산의 가치 정보에 기초한 상품권을 발행하는 상품권 발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권 발행부는, 상기 컨텐츠와 연계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단위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권의 가격 및 발행 수량을 결정하고, 상기 발행된 상품권을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매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매출 정보 및 상기 상품권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리워드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제공 주체와 연계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투자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투자 가치 이상으로 평가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는, 상기 발행된 상품권을 미리 구축된 상품권 거래소 서버에 등록하고, 소비자 단말로부터 발송된 상기 등록된 상품권에 대한 구입 요청을 상기 상품권 거래소 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구입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거래된 상기 상품권을 전송하는 상품권 거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권 발행부는, 상기 투자 신청에 기초하여 누적된 투자금이 상기 대상 부동산의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미리 설정된 금액 이상이면 상기 상품권을 발행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시스템은, 상기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및 상기 투자 관리 장치에 의해 발행된 상품권이 등록되고, 소비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상품권에 대한 구입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구입 요청에 대응하는 상품권을 상기 투자 관리 장치 또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상품권 거래소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부동산의 단순 가치뿐만 아니라 투자 대상 부동산에서 운용되는 컨텐츠의 우수성, 전망, 매출 등을 반영한 상품권 기반의 신규한 리츠(REITs) 투자 프로세스를 제시하는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자에 의한 투명한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동산 소유주, 투자자, 컨텐츠 소비자 등 다양한 참여자들에 의해 투자 규모가 폭넓게 확장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소액 투자로 부동산에 대한 지분권리를 보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동산의 실물 및 미래 가치와 연동되는 상품권의 발행을 통해 간편하게 유통될 수 있는 신규 투자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상품권 거래소 서버에 등록된 상품권에 대한 정보가 표출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시스템을 활용한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운용 프로세스에 대한 세부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은 부동산의 유휴 자원을 소비자 및 투자자와 공유하여 금전적 수익과 공동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공유부동산 리츠(REITs)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시스템(10)(이하, '투자 시스템(10)'이라 한다.)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100)(이하, '투자 관리 장치(100)'라 한다.),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 및 소비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투자 관리 장치(100),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 및 소비자 단말(500) 상호간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및 소비자 단말(5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은 본원에서 개시하는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프로세스의 대상이 되는 대상 부동산(1)에서 운용되는 컨텐츠(2)의 제공 주체가 보유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컨텐츠(2)'는 대상 부동산(1)에 내의 소정의 공간을 활용하여 운영되는 소정의 사업을 총칭하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에서의 컨텐츠(2)는 대상 부동산(1) 내에 입주하여 특정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체가 제공하는 상거래의 대상이 되는 소정의 상품 또는 서비스 등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컨텐츠(2)는 대상 부동산(1)에서 운영되는 숙박업, 레저업, 업무용 공간 임대업, 주거용 공간 임대업, 요식업, 비급여 병원업, 피트니스, 스파, 마사지, 뷰티관리업 등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주체는 전술한 컨텐츠(2)를 제공하는 사업 주체인 호텔, 리조트, 펜션, 게스트하우스, 피트니스 센터(헬스장), 식당, 카페, 주점, 사우나, 수영장, 네일샵, 헤어샵, 왁싱샵, 뷰티케어샵, 병원 등의 운영 주체를 의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카페 관련 컨텐츠(2a), 의료 관련 컨텐츠(2b), 피트니스 관련 컨텐츠(2c)는 본원이 적용될 수 있는 컨텐츠(2)의 유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은 대상 부동산(1)을 통해 소정의 컨텐츠(2)를 제공하는 사업 주체(대표자, 관리자 등)이 보유한 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투자자 단말(300)은 대상 부동산(1)의 가치 및 대상 부동산(1)에서 운용되는 컨텐츠(2)에 기초하여 설계되는 본원에서의 투자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투자자가 보유한 단말일 수 있다. 달리 말해, 투자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공유부동산 기반의 리츠(REITs) 투자 프로세스에 참여함으로써,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대상 부동산(1) 및 컨텐츠(2)와 연계되어 발행되는 상품권을 매입하고, 보유한 상품권에 대응하는 리워드를 투자의 대가로서 지급받게 된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자자 단말(300)은 대상 부동산(1)의 소유주가 보유한 소유주 단말(30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유주 단말(300a)과 구분하여 일반 투자자가 보유한 투자자 단말을 도면부호 300b를 통해 지칭하도록 한다.
소유주 단말(300a)의 사용자인 대상 부동산(1)의 소유주는 자신이 보유한 대상 부동산(1)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의 지분을 본원에서 개시하는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프로세스를 위해 투입하고, 투입된 지분 또는 대상 부동산(1)의 가치에 대응하는 상품권을 지급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상 부동산(1)의 소유주가 대상 부동산(1)의 지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본 투자 프로세스에 투입한 경우, 후술하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등의 투자금 유치 프로세스는 전부 생략되거나 일부의 금액만큼 감액될 수 있다.
또한,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공유부동산 기반의 리츠(REITs) 투자 프로세스에 의할 때, 대상 부동산(1) 및 대상 부동산(1)에서 운용되는 컨텐츠(2)에 기초하여 발행되며, 리워드를 지급받기 위해 투자자 등이 보유하는 대상일 뿐만 아니라, 해당 컨텐츠(2)를 실제로 제공받기 위한 가치 교환 수단으로 기능하는 상품권을 등록하여 관리하고, 상품권의 거래를 중계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소비자 단말(500)은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에 등록된 상품권을 해당 컨텐츠(2)를 직접 제공받거나 제3자에게 선물하기 위해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가 제공하는 온라인 거래소에 접근하여 상품권을 구입하는 소비자가 보유한 단말일 수 있다. 즉, 소비자 단말(500)의 사용자는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로부터 소정의 상품권을 구입하거나 제3자에게 선물할 수 있고, 이러한 상품권의 소지자는 소지한 상품권을 바탕으로 대상 부동산(1)에서 제공되는 컨텐츠(2)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투자자 단말(300) 및 소비자 단말(500)은 투자 목적으로 상품권을 매입하는 주체 및 컨텐츠 참여 목적으로 상품권을 매입하는 주체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개념일 뿐,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투자자 단말(300) 및 소비자 단말(500)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동일한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종합하면, 본원에서의 투자 시스템(10)은 공유부동산 플랫폼으로서, 대상 부동산(1)에서 운용되는 컨텐츠(2)에 기반한 상품권의 발행, 거래, 리워드 제공, 마케팅 등이 이루어지는 온라인/오프라인 인프라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개시하는, '공유부동산'이라는 용어는 공유 경제 부동산을 의미하며, 대상 부동산에 대한 단순 소유 대신 공유 관계를 통해 대상 부동산의 유휴 자원을 타인(소비자, 투자자 등)과 공유하여 금전적 수익은 물론 공동의 가치를 창출한다는 개념을 내포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투자 관리 장치(100)는 컨텐츠 관리부(110), 상품권 발행부(120), 리워드 제공부(130) 및 상품권 거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10)는, 대상 부동산(1)에서 운용되는 컨텐츠(2)의 제공 주체가 보유한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컨텐츠(2)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2)의 유형(사업 내용), 컨텐츠(2)에 포함되는 단위 제품(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정보, 컨텐츠(2)의 운영 시간 정보, 대상 부동산(1) 내에서 컨텐츠(2)가 운영되는 공간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임대 공간의 층수, 면적 등), 컨텐츠(2)와 연계된 기존 고객 정보(예를 들면, 피트니스 관련 컨텐츠의 경우 해당 피트니스 센터에 기 등록된 회원수 등) 등 해당 컨텐츠(2)의 운영과 연계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부(110)는 컨텐츠(2)의 제공 주체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2)의 제공 주체에 대한 정보는 사업자 명, 사업자의 인적 사항, 사업자의 자격증 여부, 사업자가 이전에 영위한 사업 내역과 연계된 정보, 매출 정보, 대출금 정보, 신용 정보 등 컨텐츠(2)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에 대한 신뢰성 등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관리부(110)는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2)의 제공 주체와 연계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2)의 투자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컨텐츠 관리부(110)는 컨텐츠(2)의 제공 주체와 연계된 정보로부터 도출되는 컨텐츠(2)의 제공 주체의 신용도 관련 지표와 컨텐츠 정보로부터 도출되는 컨텐츠(2)를 통한 예상 수익 지표, 트렌드 부합 지표 등을 토대로 한 투자 가치 분석 알고리즘을 보유하고, 투자 가치 분석 알고리즘을 기초로 분석 대상이 되는 컨텐츠(2)에 대한 투자 가치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부(110)는 대상 부동산(1)과 연계된 투자자 단말(300)로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자자 단말(300)로 전송되는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투자 가치를 평가한 결과, 미리 설정된 투자 가치 이상으로 평가된 컨텐츠(2)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컨텐츠 관리부(110)는 컨텐츠(2)에 대한 투자 가치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투자 가치 이상으로 평가된 컨텐츠 정보를 투자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품권 발행부(120)는 투자자 단말(300)로부터 컨텐츠 정보에 대응한 투자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품권 발행부(120)는 투자 신청에 대응하여 컨텐츠 정보 및 대상 부동산(1)의 가치 정보에 기초한 상품권을 발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권 발행부(120)는 컨텐츠(2)와 연계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단위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발행되는 상품권의 가격 및 발행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품권 발행부(120)는 발행된 상품권을 투자 신청을 송신한 투자자 단말(300)로 투자금에 대응되는 수량만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품권의 가격 및 발행 수량이 대상 부동산(1)의 가치 정보, 컨텐츠(2)와 연계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단위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컨텐츠(2)의 내용이 '피트니스 사업'이고, 컨텐츠(2) 제공 주체가 운영하는 피트니스 센터의 기준 이용료에 대응하는 일일 입장권(이용권)이 15,000원일 때, 발행되는 상품권 각각의 액면가가 일일 입장권(이용권)의 가격에 기초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발행된 상품권을 보유한 투자자 단말(300)의 사용자 또는 거래소 등을 통한 거래를 통해 상품권을 보유한 소비자 단말(500)의 사용자가 해당 상품권을 향후에 해당 컨텐츠(2)가 실제로 제공되는 대상 부동산(1)에서 사용(제시)할 경우, 일일 입장권(이용권)을 구매한 것과 동일하게 해당 컨텐츠(2)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자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상품권을 전송받기 위해 지급해야 하는 단위 상품권에 대한 투자금은 컨텐츠(2)의 기준 이용료 대비 할인된 금액(예를 들면, 전술한 예시에서 5,000원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품권 발행부(120)는 대상 부동산(1)의 가치 정보(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권의 발행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시에서, 피트니스 센터가 운영되는 건물(대상 부동산)의 시세가 반영되도록 결정된 상품권의 전체 발행 금액이 70억으로 책정된 경우,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영되는 컨텐츠(2)의 기준 이용료에 기초하여 산출된 단위 상품권의 액면가가 5,000원일 때, 상품권의 발행 수량은 140만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권 발행부(120)는 상품권의 거래 과정에 필요한 수수료, 컨텐츠(2)의 홍보를 위한 마케팅 비용 등을 고려하여 상품권을 추가 발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추가 발행되는 상품권의 발행 수량은 대상 부동산(1)의 가치 정보(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품권의 발행 수량의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면, 10% 등)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품권 발행부(120)는 투자자 단말(300)로부터 해당 컨텐츠(2)에 대한 투자금 정보를 포함하는 투자 신청을 복수의 투자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투자금 정보를 누적하여 누적된 투자금이 대상 부동산(1)의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미리 설정된 금액 이상이면 상품권을 발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대상 부동산(1)의 가치 정보에 기초한 미리 설정된 금액은 대상 부동산(1)의 매가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상품권 발행부(120)는 투자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투자 신청을 기초로 누적된 투자금이 대상 부동산(1)의 매가의 계약금 수준에 상당하는 금액 이상 모집(모금)되면, 대상 부동산(1) 및 해당 컨텐츠(2)와 연계된 상품권의 발행을 확정하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품권 거래, 상품권을 통한 추가 투자 모집 등의 이후의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부(130)는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컨텐츠(2)에 대응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매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워드 제공부(130)는 매출 정보 및 투자자 단말(300) 각각의 상품권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리워드 정보를 투자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리워드 정보는 상품권의 보유량에 따라 결정되는 배당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워드 정보는 컨텐츠(2)와 연계된 매출의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면, 전체 매출의 25% 등)만큼 산정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리워드 제공부(130)는 소비자 단말(500)로부터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로 전송된 상품권 사용 요청을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고, 사용 요청된 상품권의 정보를 리워드 산출을 위한 매출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이렇듯, 본원에서 개시하는 상품권은 유가 증권과 같은 가치를 보유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컨텐츠(2)를 제공받기 위한 거래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매출 정보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은 대상 부동산(1) 내에서 컨텐츠(2)가 제공되는 공간에 구비되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 및 관리를 처리하는 디바이스(일종의 키오스크 단말, POS 단말)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권 거래부(140)는 발행된 상품권을 미리 구축된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품권 거래부(140)는 소비자 단말(500)로부터 발송된 등록된 상품권에 대한 구입 요청을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를 통해 수신하여 소비자가 요청한 구입 요청에 대응하여 소비자 단말(500)로 거래된 상품권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상품권 거래소 서버에 등록된 상품권에 대한 정보가 표출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3은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에 등록된 상품권에 대한 매입을 통한 투자 프로세스를 중계하기 위해 투자자 단말(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거래용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은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에 등록된 상품권에 대한 구입 또는 선물 프로세스를 중계하기 위해 소비자 단말(500)의 화면에 표시되는 거래용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거래용 인터페이스에는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에 등록된 상품권의 목록, 컨텐츠(2)의 유형 정보(액티비티, 모텔, 호텔, 리조트, 캠핑 등), 시세 정보, 컨텐츠(2)의 기본 이용료(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숙박업 관련 컨텐츠(2)의 경우, 일일 숙박권의 금액 등) 정보, 시세 변동률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권 발행부(120)는 대상 부동산(1)의 가치 정보(가격 정보) 및 컨텐츠(2)와 연계된 단위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전체 상품권의 발행 수량에 대한 투자금의 모집을 복수의 프로세스로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프로세스는 기 등록된 투자자 회원에 해당하는 투자자 단말(300)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프라이빗(Private) 세일 프로세스,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형태로 임의의 투자자에 해당하는 투자자 단말(300)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퍼블릭(Public) 세일 프로세스 및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에 등록된 상품권의 판매를 통해 수행되는 거래소 세일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권 발행부(120)는 전체 상품권 발행 수량의 제1비율 만큼의 상품권을 1차적으로 프라이빗 세일 프로세스를 통해 판매하여 투자금을 모집하고, 프라이빗 세일 프로세스를 통해 목표 투자금이 모집되면, 후속하여 퍼블릭 세일 프로세스를 통해 전체 상품권 발행 수량의 제2비율 만큼의 상품권을 2차적으로 퍼블릭 세일 프로세스를 통해 판매하여 투자금을 추가 모집하고, 거래소 세일 프로세스를 통해 전체 상품권 발행 수량의 나머지 비율인 제3비율만큼의 상품권을 판매하여 대상 부동산(1)의 가치(가격)이 반영되어 결정된 상품권 발행 금액 전체에 대응하는 투자금을 모집할 수 있다.
이렇듯, 투자 관리 장치(100)는 프라이빗 세일 프로세스, 퍼블릭 세일 프로세스 및 거래소 세일 프로세스를 통해 목표하는 대상 부동산(1)의 가치(가격) 전체에 대응하는 투자금이 모집되고 나면, 대상 부동산(1)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등기 권리증 등)를 부동산 신탁 회사 서버(미도시)에 전송하여, 대상 부동산(1)을 신탁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제1비율 내지 제3비율은 대상 부동산(1)의 가치 정보(가격 정보), 컨텐츠 정보 등에 기초하여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비율 내지 제3비율은 각각 20%, 60%, 20%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권 발행부(120)는 프라이빗(Private) 세일 프로세스, 퍼블릭(Public) 세일 프로세스 및 거래소 세일 프로세스 각각에 대하여 단위 상품권을 보유하기 위해 필요한 투자금의 금액을 기준 이용료 대비 각각 상이한 할인율을 적용하여 상품권을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로 진행되는 프라이빗 세일 프로세스에서 판매되는 상품권에 대한 기준 이용료 대비 할인율(예를 들면, 75% 등)이 가장 크고, 2차로 진행되는 퍼블릭 세일 프로세스에서 판매되는 상품권에 대한 기준 이용료 대비 할인율(예를 들면, 50% 등)이 그 다음으로 크고, 마지막으로 진행되는 거래소 세일 프로세스에서 판매되는 상품권에 대한 기준 이용료 대비 할인율(예를 들면, 25% 등)이 가장 작게 설정되어 해당 컨텐츠(2)에 대한 상품권이 판매되는 것일 수 있다.
종합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시스템(10)은 대상 부동산(1)과 대상 부동산(1)에서 이루어지는 컨텐츠(2)의 가치를 상품권 형태로 전환하여 투자자가 제공한 투자금에 대응하여 지급함으로써, 상품권이 유가증권과 유사하게 기능하는 것은 물론, 발행된 상품권을 해당 컨텐츠(2)를 실제로 영위하기 위한 결제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도록 하며,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를 통해 투자자, 소비자 간의 상품권의 거래를 지원하고, 대상 부동산(1)에 대한 지분 권리로도 기능하게 한 신규 리츠(REITs) 기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개시하는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시스템(10)에 참여하는 투자자는 우수한 역량을 가진 컨텐츠 제공 업자가 제공하는 컨텐츠(2)에 투자금을 투입하도록 유도되고, 컨텐츠(2)의 매출이 증가할수록 상품권 보유량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리워드를 지급받는 방식으로 수익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은 앞서 설명된 투자 관리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투자 관리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컨텐츠 관리부(110)는 대상 부동산(1)에서 운용되는 컨텐츠(2)의 제공 주체가 보유한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컨텐츠(2)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1에서 컨텐츠 관리부(110)는 대상 부동산(1)과 연계된 투자자 단말(300)로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상품권 발행부(120)는 투자자 단말(300)로부터 컨텐츠 정보에 대응한 투자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상품권 발행부(120)는 수신한 투자 신청에 대응하여 컨텐츠 정보 및 대상 부동산(1)의 가치 정보에 기초한 상품권을 발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13에서 상품권 발행부(120)는 컨텐츠(2)와 연계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단위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발행되는 상품권의 가격 및 발행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시스템을 활용한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운용 프로세스에 대한 세부 동작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시스템을 활용한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운용 프로세스는 앞서 설명된 투자 관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투자 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투자 관리 장치(100) 내지 투자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5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201에서 투자 관리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2에서 투자 관리 장치(100)는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2)의 제공 주체와 연계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2)의 투자 가치를 평가(검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3에서 투자 관리 장치(100)는 투자 가치 평가가 완료된 컨텐츠(2)의 컨텐츠 정보를 투자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4에서 투자 관리 장치(100)는 투자자 단말(300)로부터 컨텐츠 정보에 대응한 투자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5에서 투자 관리 장치(100)는 컨텐츠 정보 및 대상 부동산(1)의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신청에 대응한 상품권을 발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6에서 투자 관리 장치(100)는 발행된 상품권을 투자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7에서 투자 관리 장치(100)는 발행된 상품권을 미리 구축된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에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8에서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는 소비자 단말(500) 또는 투자자 단말(300)로부터 상품권 구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9에서 상품권 거래소 서버(400)는 소비자 단말(500) 또는 투자자 단말(300)로 구입 요청된 상품권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10에서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은 소비자 단말(500로부터 상품권 사용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의 사용자(컨텐츠 제공 주체)는 해당 상품권에 대한 사용을 처리하고, 관련 컨텐츠(2)를 소비자 단말(5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11에서 투자 관리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컨텐츠(2)와 연계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매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12에서 투자 관리 장치(100)는 수신한 매출 정보 및 투자자 단말(300) 각각이 보유한 상품권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리워드 정보를 투자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01 내지 S212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시스템
100: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110: 컨텐츠 관리부
120: 상품권 발행부
130: 리워드 제공부
140: 상품권 거래부
200: 컨텐츠 제공자 단말
300: 투자자 단말
400: 상품권 거래소 서버
500: 소비자 단말
1: 대상 부동산
2: 컨텐츠

Claims (15)

  1.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대상 부동산에서 운용되는 컨텐츠의 제공 주체가 보유한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부동산과 연계된 투자자 단말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한 투자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투자 신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대상 부동산의 가치 정보에 기초한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대상 부동산에서 소정의 사업을 영위하는 상기 제공 주체가 제공하는 상거래의 대상이 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응되고,
    상기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단위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권의 가격을 결정하고, 상기 대상 부동산의 실물 가치에 대한 정보 및 미래 가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권의 발행 수량을 결정하는 것인, 투자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된 상품권을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매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매출 정보 및 상기 상품권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리워드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투자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제공 주체와 연계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투자 가치를 평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투자 가치 이상으로 평가된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투자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된 상품권을 미리 구축된 상품권 거래소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소비자 단말로부터 발송된 상기 등록된 상품권에 대한 구입 요청을 상기 상품권 거래소 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입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거래된 상기 상품권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투자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 전송된 상품권 사용 요청을 상기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출 정보에는 상기 사용 요청된 상품권의 정보가 반영되는 것인, 투자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투자 신청에 기초하여 누적된 투자금이 상기 대상 부동산의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미리 설정된 금액 이상이면 상기 상품권을 발행하는 것인, 투자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자 단말은 상기 대상 부동산의 소유주가 보유한 소유주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관리 방법.
  9.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에 있어서,
    대상 부동산에서 운용되는 컨텐츠의 제공 주체가 보유한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 부동산과 연계된 투자자 단말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한 투자 신청을 수신하고, 상기 투자 신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대상 부동산의 가치 정보에 기초한 상품권을 발행하는 상품권 발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대상 부동산에서 소정의 사업을 영위하는 상기 제공 주체가 제공하는 상거래의 대상이 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응되고,
    상기 상품권 발행부는,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단위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권의 가격을 결정하고, 상기 대상 부동산의 실물 가치에 대한 정보 및 미래 가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권의 발행 수량을 결정하는 것인, 투자 관리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매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매출 정보 및 상기 상품권의 보유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리워드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는 리워드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투자 관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제공 주체와 연계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투자 가치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투자 가치 이상으로 평가된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투자 관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된 상품권을 미리 구축된 상품권 거래소 서버에 등록하고, 소비자 단말로부터 발송된 상기 등록된 상품권에 대한 구입 요청을 상기 상품권 거래소 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구입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거래된 상기 상품권을 전송하는 상품권 거래부,
    를 더 포함하는, 투자 관리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권 발행부는,
    상기 투자 신청에 기초하여 누적된 투자금이 상기 대상 부동산의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미리 설정된 금액 이상이면 상기 상품권을 발행하는 것인, 투자 관리 장치.
  15.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시스템에 있어서,
    제9항에 따른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및
    상기 투자 관리 장치에 의해 발행된 상품권이 등록되고, 소비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상품권에 대한 구입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구입 요청에 대응하는 상품권을 상기 투자 관리 장치 또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상품권 거래소 서버,
    를 포함하는, 투자 시스템.
KR1020200176543A 2020-12-16 2020-12-16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393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543A KR102393359B1 (ko) 2020-12-16 2020-12-16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CT/KR2021/018998 WO2022131763A1 (ko) 2020-12-16 2021-12-14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543A KR102393359B1 (ko) 2020-12-16 2020-12-16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359B1 true KR102393359B1 (ko) 2022-05-02

Family

ID=8159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543A KR102393359B1 (ko) 2020-12-16 2020-12-16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3359B1 (ko)
WO (1) WO20221317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679B1 (ko) * 2022-12-02 2024-03-22 김승우 상품권 선발행유통을 이용한 엔젤투자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530A (ko) * 2007-06-14 2009-01-12 이정일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34577A (ko) * 2015-09-21 2017-03-29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예약 투자가 가능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715B1 (ko) * 2014-11-03 2015-08-24 김수길 부동산과 동산이 연계되어 융합형 수익구조를 갖는 자산 관리 시스템
KR102084573B1 (ko) * 2017-04-24 2020-03-04 윤덕규 부동산 공동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530A (ko) * 2007-06-14 2009-01-12 이정일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34577A (ko) * 2015-09-21 2017-03-29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예약 투자가 가능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679B1 (ko) * 2022-12-02 2024-03-22 김승우 상품권 선발행유통을 이용한 엔젤투자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763A1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1561B1 (en) Payment network using tradable financial assets
KR20170142374A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송금 시스템 및 방법
KR101807965B1 (ko) 오픈 마켓에서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결제 후 랜덤 추가 할인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060085565A (ko) 카드 사용과 연계된 간접투자형 금융상품 운용 시스템 및방법
KR101099841B1 (ko) 가상 상점의 지분 공유를 이용한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및 온라인 상거래 방법
KR102325019B1 (ko) 신용공여 기반의 신용 거래 방법 및 신용 거래 장치
KR20190120474A (ko) 트랜잭션 처리 방법 및 장치
JP6541761B2 (ja) オープンマーケットでの電子商取引を介した仮想通貨の作成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20090049843A (ko) 적립 대상 상품 및/또는 서비스의 등록 방법, 금융 계좌를이용한 적립금 적립 방법 및 지급 방법
KR102393359B1 (ko)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825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mmercial transactions utilizing a system currency
KR20170037445A (ko) 매출채권의 유통을 중개하는 은행서버 및 그 방법
KR20090012041A (ko) 포인트 거래 시스템
US202202154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funding a purchase
KR101303301B1 (ko) 컴퍼니머니를 이용한 담보거래 서비스 방법
US201602326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ding virtual card for rental and lease contract
KR100774261B1 (ko) 보상 처리가 가능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Prieger et al. Economic implications of e-business for organizations
KR101082069B1 (ko) 공동구매 할인상품 구매시 결제 서비스 서버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소셜커머스 활성화를 위한 영업 방법 및 시스템
KR101683241B1 (ko) 이벤트 성공에 따른 판매 수익 분배를 이용한 상품 판매 촉진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30891A1 (en) Value management system
KR102476440B1 (ko)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71215B1 (ko) 이익배당권을 활용한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이익 배당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51298B1 (en) System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an exchange-traded fund
JP2002140601A (ja) 割引販売システムおよび割引販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