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530A -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530A
KR20090003530A KR1020070058610A KR20070058610A KR20090003530A KR 20090003530 A KR20090003530 A KR 20090003530A KR 1020070058610 A KR1020070058610 A KR 1020070058610A KR 20070058610 A KR20070058610 A KR 20070058610A KR 20090003530 A KR20090003530 A KR 20090003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tock
company
investment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일
임영희
Original Assignee
이정일
임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일, 임영희 filed Critical 이정일
Priority to KR102007005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530A/ko
Publication of KR20090003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06Q20/085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involving a third par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모험자본(Venture Capital, VC)의 조달(조성), 투자처 선택, 투자된 자본의 증식과 투자된 자본의 회수 방법 및 이 방법을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치들을 이용하여 자동화된 방법으로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이를 통해
자본 투자자는 종래 기술에서 보다 더 적은 자본을 투자 하고도 종래 기술에서보다 투자 성공률을 높일 수 있고, 종래 기술에서 보다 자본수익률(수익/자본)을 높일 수 있게 하며,
자본 유치기업(벤처기업 등)은 종래 기술에서 보다 더 적은 시간과 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자금을 더 쉽게 조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의한 자금조달에서 보다 더 사업 성공률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Figure P1020070058610
공동구매, 벤처투자, 벤처기업, 벤처캐피탈, 창업, 투자중개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및 시스템{A method and system of investment linked with purchasing goods using internet }
도 1은 종래기술에서의 벤처 투자 시스템 구성 블록과 구성 블록간 정보 흐름도.
도 2는 종래 기술에서의 신규 창업 회사의 성장 단계별 자금 조달 계획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투자 시스템의 전체 작용 순서도.
도 4a 및 도 4b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투자 상품 특징 비교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투자 시스템의 이익 공동체 관계 성립 수단의 작용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 투자 시스템의 공동 이익 추구 수단의 작용 순서도.
도 8은 고객의 회사이익 기여 포인트 정산시 환산 기준 및 방법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 구매자에 대한 주식 무상 배당 방법 예시도.
도 10은 고객 투자금 관리 및 에스크로우 서비스 순서도.
도 11은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구매에 대한 제3자 회사의 주식배당 방법 예 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의 신규 창업 기업의 성장 단계별 자금 조달 계획 예시도.
도 13은 기술 환경별 신규 창업 기업의 자금 조달 가능성 및 창업성공 가능성 비교표.
도 14 내지 도 21은 본 발명 투자 시스템의 각 실시예별 구성 블록 및 구성 블록간 정보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 투자 중개 수단 사이트의 투자상품 메인 메뉴 화면 예시도.
도 23은 투자 중개 수단 사이트의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 소개용 화면 예시도.
도 24는 투자 중개 수단 사이트의 고객별 투자기업 목록 화면 예시도.
도 25 내지 도 28은 도 24와 관련된 고객별 투자 기업별 포인트 확보 내역 화면과 포인트 기준 현금 및 주식 무상 배당 내역 화면 예시도.
도 29는 투자기업별 고객정보 DB 데이터 구조 예시도.
도 30 내지 도 32는 고객 투자 예탁금 통장 총괄부 및 내역부 서식 예시도.
도 33 내지 도 37은 본 발명 투자시스템의 구성 블록과 작용에 대한 상세 예시도.
도 38은 종래 기술의 벤처 투자조합과 본 발명의 투자조합의 특징 비교표.
도 39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투자 싸이클 과정 특징 비교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 600: 상품 구매자 단말기
700: 투자 중개수단 704: 투자 상품 소개수단
730: 구매대금 관리수단 736: 상품 구매펀드 DB
741: 상품 펀드 계좌 800: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수단
811: 고객투자 예탁금 계좌 750: 회계법인 단말기
300: 비공개 주식시장 400: IPO
(본 발명의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모험자본(Venture Capital, VC)의 조달(조성), 투자처 선택, 투자된 자본의 증식과 투자된 자본의 회수 방법 및 이 방법을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치들을 이용하여 자동화된 방법으로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이를 통해
자본 투자자는 종래 기술에서 보다 더 적은 자본을 투자 하고도 종래 기술에서보다 투자 성공률을 높일 수 있고, 종래 기술에서 보다 자본수익률(수익/자본)을 높일 수 있게 하며,
자본 유치기업(벤처기업 등)은 종래 기술에서 보다 더 적은 시간과 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자금을 더 쉽게 조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의한 자금조달에서 보다 더 사업 성공률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함에 있어서 모험자본의 투자 유치 기업은 비 공개 벤처기업을 주로 예로 들고 모험자본의 조달, 투자 및 회수에 대한 종래 기술 실시업자는 벤처캐피탈 회사를 예로 든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실시업자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은행, 투자은행, 증권회사, 보험회사 등 다양한 금융분야 회사를 포함한다.
(본 발명 분야 종래 기술)
이하 본 발명 분야 종래의 모험자본 투자 시스템 및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관해서는 “이인찬 외 4인(2001)”의 “효율적 벤처캐피탈 시장 구축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 01-41, 대한민국; “이경원 외 3인(2002)”의 “한국 벤처캐피탈 투자행태에 관한 실증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 02-14, 대한민국; “임채윤 외 5인(2006)“의 “한국형 벤처 생태계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대한민국; 및 “David 외 3인(2002)”의 “Venture Capital Handbook", Peason Education, Inc, USA, 를 주로 참고하여 설 명한다.
따라서 상기 참고자료들의 모든 내용이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되지 않아도 참조로서 본 발명의 종래기술에 포함된다.
(창업에서의 초기 자본 투자의 중요성)
기업의 성패는 매출과 이익율에 좌우되고, 매출과 이익율은 고객수와 고객 충성도에 좌우되고, 고객수와 고객 충성도는 상품 질과 가격에 좌우되고, 상품 질과 가격은 기업의 능력인 회사 브랜드 인지도, 신용도, 유통망, 자금력, 경영진, 인재, 기술력, 생산성 및 제조원가에 좌우된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대기업은 중소기업이나 벤처 기업보다 경쟁에서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벤처기업이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이길려면 새로운 아이디어나 새로운 기술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새로운 상품(서비스 포함)을 개발하거나 기존의 상품이라도 대기업체 보다 더 우수하거나 더 저렴하게 개발하여 대기업 등 경쟁자가 시장에 진입하기 전에 신속히 시장을 지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럴려면 시장진입 단계부터 충분한 자본을 투자하여 제품 완성도와 생산성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여 소기의 매출과 이익율을 달성하여야 장기 생존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산업인 경우 사업 초기에 투자비용이 가장 많이 들기 때문에 사업 초기 단계의 충분한 자금 투자는 사업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에서는 벤처기업의 경우 초기 단계에서는 적은 자금이라도 외부에서 조달하기 어렵다. 또 벤처기업이 적은 자본 투자로 창업을 하여 시장을 선점해도 대규모 자본을 가진 경쟁업체가 시장에 진입하면 제품 완성도, 가격, 마케팅 및 유통망의 열세로 경쟁력을 잃게 되어 시장에서 퇴출되는 사례가 많다. 특히 포털 사이트 등 인터넷 비즈니스의 경우 한번 1위 업체가 될 경우 “경쟁자 보다 더 많은 광고 수입” -> “회사 시장가치 향상” -> “경쟁자 보다 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투자유치” -> “경쟁자 보다 더 많은 물적/인적 자원에 대한 투자” -> “수확체증 및 규모의 경제효과 발생으로 비용 대비 효과에서 경쟁자 보다 우위” -> “경쟁자 보다 더 좋은 서비스 제공으로 브랜드 인지도 향상” -> “경쟁자 보다 더 많은 고객수와 고객 충성도 확보” -> “네트워크 효과 발생”과 같은 과정들이 선순환 원리로 반복되는 반면에, 한번 경쟁력을 잃게 되거나 초기 기업의 경우 네트워크 효과, 수확체증 효과 및 규모의 경제 효과등과 같은 장점 없이 1위 기업과 경쟁을 해야 하고 브랜드 인지도 저하 등으로 시간이 갈수록 1위 기업에 비해 생산성, 수익율 및 매출액이 떨어지는 악순환 원리가 작용함으로 인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경제에서는 승자 독식의 원리가 여러 가지 산업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벤처기업 특히 초기기업의 경우 좋은 아이디어나 좋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사업 성공가능성이 극히 낮기 때문에 정부의 행정적 재정적 다양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외부 투자 유치의 가능성도 극히 낮다.
(벤처기업의 특징)
벤처기업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업기회를 추구하는 모험심이 강한 기업”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규모면에서 볼 때, 중소기업집단에 해당되지만, 기업의 규모에 의해 구분되는 일반적 중소기업 보다는 상대적으로 고 성장과 높은 수익 창출의 잠재성을 보유한 기업을 특징으로 한다.
경쟁 측면에서 대기업은 일반적으로 기술개발을 통한 상품의 질(quality) 제고 전략보다는 상품가격을 의도적으로 낮추는 전략으로 시장점유율 유지 혹은 새로운 기업의 시장진입 저지를 목적으로 하는 반면, 벤처기업은 이러한 대기업에 의한 진입장벽에 대응하여 기술혁신에 의한 시장진입 혹은 시장창출 전략을 취한다. 혁신적 기술은 사회전반의 경쟁력 제고를 유발시키는 사회적 파급효과가 크며, 새로운 시장 창출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적 후생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벤처기업은 혁신적 기술개발의 주체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나, 그 본질적 특성인 고 위험과 높은 정보 비대칭성에 의해 외부로 부터 자본조달에 한계가 있어 기업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벤처기업에 공급되는 자본은 모험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자본은 단순한 모험자본이 아니며, 엔젤 투자자나 벤처캐피탈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벤처기업에 제공되고 있다. 엔젤 투자자나 벤처캐피탈은 자신의 경험,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벤처기업의 내재적인 특성(고 위험, 정보 비대칭성 등)들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벤처캐피탈은 이런 기능으로 인해 다수 투자자의 모험자본을 엔젤 보다 체계적이고 공개적인 과정을 거쳐 벤처부문으로 유입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벤처기업의 자금조달 곤란 이유)
첫째, 높은 불확실성이다. 벤처기업은 성장단계상 창업초기 혹은 성장기에 있으며, 고수익 창출이 첨단기술을 통한 새로운 수요 개척을 요구하는 만큼, 잠재적으로 높은 불확실성(high risk)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서 불확실성이란 미래에 발생되는 성과에 대한 확률분포로서 벤처기업이 그 바탕을 두고 있는 첨단기술은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고 따라서 성공 확률이나 관련 시장크기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하다.
두 번째는 벤처기업과 잠재적 투자자 사이에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이나 사업 아이디어에 대한 비전, 기업 내부의 업무 프로세스, 시장 추이 등 자금조달과 관련된 각종 정보에 대해 서로 다른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비대칭성(information asymmetry) 혹은 정보의 격차(information gap)가 존재한다. 벤처기업가는 외부인보다 특정 기술과 기업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우월성으로 벤처 기업가는 기회주의적 행동(opportunistic behavior)을 할 유인을 갖는다. 특히, 벤처기업가와 외부투자자 사이의 이러한 정보의 비대칭은 그들 사이에 이해상충을 발생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기업가는 기업의 약점들을 숨기고, 기업의 각종 성과를 부풀려 투자자에게 자신의 기업이 매력적인 투자 대상임을 역설할 수 있다. 또한, 자본조달 시점에서 약속한 것보다 더욱 불확실한 전략을 취하거나, 투자자가 기대한 것과 달리 기업가는 열심히 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기업가는 투자자의 자금으로 그의 평판(reputation)을 높이는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프로젝트의 성과가 아주 형편 없더라도 기업가는 그 프로젝트를 운영하면서 개인적 편익(private benefit)을 향유할 수 있다.
셋째, 벤처기업은 첨단기술이나 참신한 아이디어에 의존하므로 건물, 기계, 혹은 부동산 등의 물질적 자산(physical asset)이 부족한 반면, 특허, 등록상표, 또는 기업가의 인적자본 등의 무형자산(intangible asset or soft asset)을 보유하고 있다. 은행 등 대부분의 자본대여자들은 물적 자산을 담보로 이용하여 여신활동을 하고 있어 담보 능력이 충분한 기업들을 주 고객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기업 성장단계상 성숙기에 있어 사업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창업 초기나 성장기의 상대적으로 사업의 위험성이 높으며 담보능력이 부족한 기업들은 이들로부터 자금조달이 불가능한 경향이 높다. 더욱이, 벤처기업이 보유하는 무형자산을 평가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시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는 현실에서 무형자산에 의존하는 벤처기업은 자본조달에 어려움이 있을 수 밖에 없다.
(벤처캐피탈의 기능 및 역할)
벤처캐피탈은 벤처시스템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투자 대상은 성장잠재력이 높고 사업성은 있으나 위험이 높아 은행 등 일반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조달이 용이하지 않는 기업들이다. 따라서 벤처캐피탈은 공개된 기업이 아닌 비공개기업을 대상으로 지분투자(private equity investment)를 수행하는 전문 투자자 집단으로서 벤처기업이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완화시키는 아래와 같은 역할을 한다. 첫째, 은행 등 일반금융기관을 통해서 대출을 못 받아 자금조달이 어려운 성장기의 기업에게 자금지원을 수행한다. 둘째, 벤처캐피탈의 다양한 경험으로 축적된 지식으로 투자된 벤처기업의 사업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완화시키기 위한 사후관리(post-investment management)를 한다. 셋째, 전문적인 투자기관으로서 벤처기업과 기업 외부투자자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벤처캐피탈의 역할 혹은 기능으로 인해, 벤처기업은 벤처캐피탈의 자금과 경영지원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며, 외부투자자는 벤처캐피탈을 통하여 벤처기업에 투자를 할 기회를 갖게 되어, 결과적으로 벤처부문으로 자금이 유입될 수 있다.
벤처캐피탈의 활동은 대체로 투자조합을 통해서 자금을 모아서(fundraising phase), 투자대상기업을 선정하고 투자하여(investment phase), 회수(exit)를 하는 하나의 순환과정(cycle)을 마친다. 그리고, 하나의 순환이 끝나면 또 다른 투자조합 결성을 통해서 같은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벤처캐피탈의 투자행태)
통계에 의하면 초기 벤처기업의 투자유치 성공률은 벤처캐피털 회사에 제안 된 것만을 기준으로 해도 미국의 경우 약 1,000개의 제안 중 6개만(0.6%) 투자유치가 되고 투자된 회사 중 IPO에 상장되는 비율은 10%인 것을 감안할 때 전체 투자 제안된 것 중 IPO 까지 성공하는 경우는 0.06%에 불과하다. 이렇게 초기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율이 낮은 이유는, 이들은 시장성과가 거의 없으며 참고할 수 있는 기업 정보조차 충분하지 않아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가 어렵고, 성장 가능성은 높으나 실패할 가능성도 높다. 또, 일반적으로 연구개발 집중도도 높다. 따라서 이러한 기업들은 외부투자가가 투자하기 어려워 자금조달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 중 첨단산업의 창업기업들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따라서 첨단산업의 초기기업의 경우 외부 투자유치는 더욱 어렵다.
벤처 캐피탈 회사로부터 자금조달을 받은 벤처기업들의 성장 단계별 구성비율은 미국의 경우 창업단계(Start-up, 창업 후 18개월 미만)는 4.7%, 사업 초기단계(Early-stage, 창업 후 3년 미만)는 29.7%, 사업 확장단계(Expansion, 창업 후 5년 미만)는 51.8%, 사업 후기단계(Later-stage, 창업 후 5년 이상)는 13.8%이다.
투자의 형태로는,
미국 벤처캐피탈 회사들은 단계적으로 투자기업의 경영실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재평가를 한 후, 추가적인 자본 조달(펀딩) 및 투입을 결정하는 단계별 투자(엔젤 투자는 제외하고 IPO 전 약 3회 정도)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벤처캐피탈리스트들은 단계적 자금 투자를 통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정보 비대칭성과 기업에 대한 대리인 문제를 해결하여 잠재적인 투자손실을 줄이고 수익을 극대화 한다. 그러나 한국의 벤처캐피탈 회사들의 경우 모니터링 부족 및 투자재원 부족으로 인해 5% 정도만 단계별 투자를 하고 있어 아직 단발성 투자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성장 단계별로 다른 벤처 캐피탈로부터 추가 자금을 유치해야하는 어려움뿐만 아니라 그 만큼 지분을 더 많이 배당하게 된다.
한국의 대부분의 벤처캐피탈 회사들은 아직까지 단계별 투자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벤처기업에게 추가적인 자금을 단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특정기업에게 너무 많은 자금이 투자되어 위험분산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행태가 나타나는 이유는 첫째, 투자기업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으려는 활동(즉, 모니터링)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 모니터링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도 이를 추가적인 투자에 활용할 정도로 전문지식과 경험이 없는 경우이다. 셋째는 특정 투자기업에게 2차, 3차 펀딩을 할 수 있는 정도로 투자금 조달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벤처캐피탈의 문제점)
전술한 설명과 상기 참고 자료에서 제시된 종래 기술에서의 벤처캐피탈의 문제점들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종래 기술에서의 벤처자금 투자의 과정은 벤처기업의 발굴 -> 사전검토 -> 평가 -> 계약 -> 모니터링과 경영지원의 단계로 구성된다. 이들의 단계는 대부분 투자조합 당 1인의 벤처캐피탈리스트가 수행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대리인(벤처캐피탈리스트) 개인의 이익이 개입될 소지가 많으며 전문성의 한계로 인해 투자 성공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2) 투자자들이 조성한 자금(펀드)의 투자 대리에 대한 벤처캐피탈 리스트의 보수 체계도 투자자들이 불리하게 되어 있다. 이들은 관리하는 자금의 약 2%-3%를 기본급으로 받고 발생된 수익에 대해서 약 20%-30%를 성공보수로 받고 있으나 투자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3) 벤처 캐피탈리스트가 투자자들을 대리하고 있음에도 투자자들의 이익 보다는 개인 또는 소속 투자회사의 이익을 우선하거나 관리를 태만히 하는 모럴 해자드가 종종 발생되고 있는데 이 경우에도 투자자로서는 직접적인 손해배상 요구는 할 수 없고 해당 벤처캐피탈의 다음번 투자금 모금(투자조합 결성)시 참고할 뿐이다.
4) 투자자는 벤처캐피탈 리스트라는 대리인을 통해서 투자기업을 선정 및 관리하고 투자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기 때문에 공개기업에서처럼 해당 기업으로부터 직접 제공받는 것 보다 비용과 시간이 더 소요되고, 1인에 의존되기 때문에 전문성 부족과 의도적인 은폐/왜곡의 가능성으로 인해 정보의 비대칭성이 더욱 증대 되고 있다.
5) “벤처자금 조달” -> “투자” -> “투자금 회수”의 과정에서 투자자와 벤처캐피탈 회사(벤처캐피탈리스트 즉 투자자의 대리인), 벤처캐피털 회사와 벤처기업(즉, 벤처캐피탈리스트의 대리인)간에 대리업무와 관련된 복잡한 계약서류의 작성과 계약의 이행에 대한 모니터링이 있어야 하는 바 이 또한 정보의 비대칭성을 증대시켜 투자자의 불신 소지가 많다.
6) 특히 한국의 경우 벤처캐피탈 회사에서 회사자금과 투자조합 자금을 같이 관리하고 있는데, 이 경우 벤처캐피탈리스트의 투자손해 무책임으로 인해 투자조합 자금은 회사자금보다 초기단계 기업 또는 위험한 사업에 투자하거나 경험이 적은 벤처캐피탈리스트가 운용하는 등 모럴 해자드의 가능성이 있다.
7) 공동투자의 경우에도 벤처캐피탈리스트들의 전문 분야별 지식을 활용하는 차원 보다는, 경험이 없는 벤처캐피탈들의 위험회피나 위험분산의 수단 및 벤처캐피탈리스트간의 인적교류나 협력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8) 동반투자에 있어서 일반투자자의 자금(조합자금)을 회사자본 증식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9) 벤처캐피탈이 초기 단계 벤처기업에 투자했을 경우 자금 회수가 어렵다. 그 이유는 IPO 등록 벤처기업의 평균설립 경과 년수가 8년 이상인 반면에 투자조합의 평균 존속기간은 5년이기 때문에 설립 3년 이내의 벤처기업에 투자할 경우 IPO를 통해서는 투자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낮고 한국의 경우 M&A 등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아 장외에서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낮다.
10) 벤처기업의 벤처캐피탈로부터 투자유치 성공비율은 극히 낮다. 특히 초기기업의 경우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다. 또 투자를 받는 경우에도 너무 오랜 시간 (최소 6개월)이 걸리고, 복잡한 평가과정을 거쳐야 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11) 투자를 받는 경우에도 너무 불리하게 투자계약이 되고 있고, 단발성 투자가 대부분이라서 한 번에 충분한 자금을 유치하지 못해 성장단계별로 각각 다른 벤처 캐피탈로부터 투자를 유치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그만큼 더 들고 지분 포기도 더 많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 투자자(상품구매자)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공개되는 벤처기업의 IR 및/또는 상품소개 자료만으로도 투자기업을 벤처캐피탈 리스트 등 투자 전문가를 거치지 않고 직접 결정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소액 투자도 할 수 있고, 투자 위험도를 현저히 낮추면서도 투자 성공률과 수익률은 크게 높일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고객의 투자 형태에서도 금전투자 뿐만 아니라 투자 기업에 대한 관심표명 까지도 투자로 간주하여 기여실적을 수치화 하여 현금 및/또는 주식 배당을 받을 수 있게 함으로서 종래 기술에서 보다 저 위험과 소액 투자에도 불구하고 고 성공률, 고 수익률이 가능한 투자를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자본 유치기업(벤처기업 등)은 종래 기술에서 보다 더 적은 시간과 더 적 은 조달 비용으로 더 많은 자본을 더 쉽게 조달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의한 투자 유치에서 보다 더 사업 성공률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제 1 기술적 과제는, 투자유치 기업이 적은 비용으로 필요한 자금 조달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기술적 과제는, 창업기업이 창업초기에 많은 숫자의 충성 고객을 확보하여 적은 판매비용으로도 많은 매출과 이익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기술적 과제는, 상품생산 기업이 예약 주문에 따라 상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됨으로서 생산비용과 유통비용 및 관리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기술적 과제는, 상품구매자가 상품 구매 자체만으로도 고 수익이 가능한 상품 판매 기업(상품 제조기업)의 주식을 무료 또는 염가로 취득할 있게 됨으로서 종래 기술에서는 투자 여력이 없는 소득이 적은 소비자(구매자)들까지도 우량회사의 주식을 소유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기술적 과제는, 상품구매자가 주식을 소유한 회사에 대하여 금전투자 이외에 광고 열람 등 관심 표명만으로도 그 회사 이익에 기여할 수 있고 그로 인한 이익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기술적 과제는, 투자자(상품 구매자)가 투자 중개인을 거치지 않고 적은 자금으로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투자를 할 수 있고 조기에 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를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기술적 과제는, 상품구매자가 투자 예탁금 통장을 이용하여 온라인 및/또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편리하게 상품을 구매하고 이에 대한 수익과 거래내역을 통장으로 제공 받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 기술적 과제는, 투자자(상품구매자)가 투자기업의 경영실적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제공 받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9 기술적 과제는, 투자 상품과 투자기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정보 비 대칭성을 최소화 하여 일반 투자자(상품구매자)도 안심하고 편리하게 직접투자를 할 수 있게 됨으로서 대리인 비용을 없애거나 최소화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0 기술적 과제는, 투자유치 기업이 투자유치를 위한 복잡한 절차와 복잡한 서류작성을 하지 않고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작용을 도면과 다양한 실시 예 등을 통해 설명한다. 그러나 공지 기술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서는 본 발명 기술의 구성블록 단위를 방법으로 청구하는 경우에는 단계로, 시스템으로 청구하는 경우에는 수단 또는 모듈로 가급적 기술한다. 상기 하나의 수단 또는 모듈은 방법의 기능 구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내장된 하드웨어 및/또는 이들과 관련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구성블록은 하나 이상의 세부 구성블록들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특허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같은 기능에 대해서도 약간 상이할 수 있는바 명세서는 발명 요지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실시 예와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다소의 차이는 충분히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비록 명칭은 약간 상이해도 그 진정한 의미는 양자의 기능을 고려하여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공지의 다른 특허 명세서 와는 달리 본 발명 명세서는 명세서에 요지가 설명된 경우 같은 기술에 대해서 특허청구항과 명세서의 기재방식이 약간 상이해도 이것 때문에 명세서에 특허 청구항의 내용을 이중으로 기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 특허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 구성도 본 발명 명세서의 일부가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또는 컴퓨터 기능을 하는 투자 중개 수단(700), 구매대금 관리수단(730), 회계법인 단말기(750),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100),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 상품 구매자 단말기(600)에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현이 되는바, 상기 프로그램은 본 발명 방법의 로직(logic)을 컴퓨터를 통해 구현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각 컴퓨터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태에서 중앙처리장치(CPU)의 호출과 본 발명 방법에 의한 제어명령에 따라 본 발명 시스템의 관련되는 각 구성장치(수단)를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저장수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이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플래시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형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이하 각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같은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는 가급적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또 본 발명의 전체 구성요소 중 일부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을 할 때는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관련된 최소한의 구성요소만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종래 기술의 특징 및 문제점)
도1과 도2는 종래기술에서의 신규 회사 창업시 자본 조달 과정과 자본 조달 가능성 및 창업 성공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의 벤처 투자 시스템 구성 블록과 구성 블록간 정보 흐름도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벤처기업이 창업하여 IPO(Initial Public Offering)에 이르기 까지 성장하는 과정에서의 창업자의 자본조달, 투자자의 투자 및 투자금 회수, 및 자본 투자 시장(단계)별 투자위험성 및 수익성에 대한 설명을 위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의 벤처기업의 자본조달 경로)
① 창업자금은 자기자본 또는 엔젤투자자(120)로 부터 일반적으로 적은 자금을 조달하여 창업을 하게 되는데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투자 수익성과 투자 위험성이 가장 크기 때문에 투자 유치(자금조달)액에 비해 가장 많은 비율의 지분을 양도하게 된다.
② 일반적으로 IPO에 이르기 까지는 엔젤자금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다음에는 벤처캐피탈(200)로 부터 자금을 조달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같은 벤처캐피탈 또는 각각 다른 벤처캐피탈로 부터 총 3회 정도 투자를 유치하게 되는데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투자 수익성과 투자 위험성은 엔젤 투자 유치 단계에서 보다 더 적기 때문에 같은 금액의 투자 유치에 비해 엔젤투자 유치에서 보다는 더 적은 비율의 지분을 양도하게 된다. 자금조달의 규모는 일반적으로 엔젤에서도 보다 더 많다.
③ IPO에 이르기 까지 자금이 더 필요하게 될 경우 다음에는 사모펀드를 포함한 비공개 주식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게 되는데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투자 수익성과 투자 위험성은 벤처캐피탈의 투자유치 단계에서 보다 더 적기 때문에 같은 금액의 투자 유치에 비해 벤처캐피탈 투자유치에서 보다는 더 적은 비율의 지분을 양도하게 된다. 그러나 도산의 위험에 있을 때는 더 많은 비율의 지분을 양도 하게 된다. 동종업체 M&A 또는 IPO 전 일시적인 자금부족의 해결에서 많이 이용되며 자금조달의 규모는 일반적으로 벤처캐피탈에서 보다 더 많다.
④ IPO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단계로서 창업자로서는 자금조달 비용이 가장 적게 든다. 즉, 자금조달 단위당 가장 적은 비율의 지분을 양도하면서도 가장 많은 자금을 용이하게 조달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투자 수익성은 적으나 투자 위험성은 가장 낮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정도로 벤처기업이 성장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창업에는 성공 했다고 본다.
(종래기술에서의 투자자의 투자 및 투자금 회수 경로)
한편 투자자(500, 600)의 경우 투자위험성과 투자수익성을 고려하여 엔젤시장(120), 벤처캐피탈(200), 비공개 주식시장(300) 및/또는 IPO(400)을 통해 벤처기업(110)에 투자를 하게 되는데, 각 투자시장별 투자위험성과 투자수익성은 일반적으로 엔젤시장(120) > 벤처캐피탈(200) > 비공개 주식시장(300) > IPO(400) 순서이다.
투자자의 투자 및 투자금 회수 경로는,
엔젤 투자시장 단계(120)에 투자를 했을 경우 투자성공 정도에 따라 벤처캐피탈(200), 비공개 주식시장(300), IPO(400) 중 하나 이상의 투자시장에서 소유 지분을 매각하여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 즉 투자기업(110)이 IPO까지 진출했을 경우 그 기업의 소유지분을 IPO(400)에서 매각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큰 투자수익(투자금 회수)을 얻을 수 있다.
벤처캐피탈 투자시장 단계(200)에 투자를 했을 경우 투자성공 정도에 따라 다른 벤처캐피탈(200), 비공개 주식시장(300), IPO(400) 중 하나 이상의 투자시장에서 소유 지분을 매각하여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
비공개 주식시장 단계(300)에 투자를 했을 경우 투자성공 정도에 따라 다른 비공개 주식시장(300), IPO(400) 중 하나 이상의 투자시장에서 소유 지분을 매각하여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의 신규 창업 회사의 성장 단계별 자금 조달 계획 예시도로서, 종래 기술에서의 신규 회사 창업 시의 일반적인 자금조달 계획과 그 계획 대로 자본이 조달될 가능성 및 창업 성공 가능성을 분석하고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자금조달 계획의 전제 조건)
1) 시장진입 2년 6월 후 IPO를 목표로 한 온라인 게임사업을 하는 B 회사의 성장 계획으로서, A사가 지배하고 있는 기존 경쟁시장에 신규 진입 후 장기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시장 확보 및 이를 위한 자금조달 계획임. 따라서 B사가 신규 창업 회사이지만 B사 게임 상품의 흥미 등 품질과 가격 경쟁력은 시장 진입 초기 단계 부터 A사 게임 보다 떨어지지 않는 것을 가정한다.
2) IPO 전에 3번의 IR(Investment Round)을 거치며 각각 다른 벤처 캐피탈(VC1, VC2, VC3)로부터 총 50억의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가정한다.
3) 회사가치는 IPO 이전 까지는 다음 단계 성장을 위한 외부자금 조달 직전 목표(평가) 회사가치로 순자산에 유/무형 회사자산을 더한 것임.
(자금조달 및 사업성공 가능성)
1) 장기 생존 여부는 충분한 고객수와 고객충성도를 확보함으로서 규모의 경제 효과를 통한 원가절감과 품질향상에 달려있는바, 이미 시장 지배자인 A사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A사와 비슷한 수준의 상품품질과 가격 경쟁력으로는 조기에 충분한 고객수와 고객충성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워 보임.
2) 따라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계획대로 자금을 조달/투자하여 회사가 IPO 에 상장 되기까지 성장을 한다고 해도 규모의 경제효과 면에서 A사 보다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품질과 가격 경쟁력도 A사에 비하여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A사와의 고객수와 고객충성도의 격차가 점점 더 커질 것으로 보이게 됨.
3) 이외에도 승자독식의 원리가 적용되는 인터넷 사업인 점과 브랜드 효과 등을 감안할 때 자금조달도 계획대로 될 가능성이 아주 낮다.
(본 발명의 핵심 구성)
도 3 - 도 13은 본 발명의 요지 설명을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 투자 시스템의 전체 작용 순서도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16 등에 예시된 본 발명 투자 시스템 작용의 핵심 요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투자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자 중개 기업(700)이 잠재 상품구매자를 대신하여 상품 판매(제조) 기업(100)과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의 대량 구매(매매) 등을 조건으로 회사 주식의 일정량을 배당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301 단계;
상품 판매 기업(100) 또는 투자 중개 기업(700)이 주식배당을 조건으로 판매할 상품소개 정보를 투자 중개 수단 사이트에 등록하는 302 단계;
상품 구매자(600)가 투자 중개 수단(700) 사이트에 회원 가입 후 상품 구매 펀드 운영 약관 및/또는 등록된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 소개 정보를 열람하는 303 단계;
상품 구매자(600)가 구입(투자)할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을 선택하고 상품대금을 투자 중개 수단(700) 사이트에서 지정(관리)하는 계좌로 입금하는 304 단계;
투자 중개수단에서 상품 구매자와 구매 수량 등을 포함하는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 대량(공동) 구매정보를 상품 판매기업에 전송하는 305 단계;
상품 판매 기업이 각각의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 구매자(또는 구매자가 지정하는 제3자. 이하 납품에 대해서는 같음)에게 주문한 상품을 납품(제공)하는 306 단계;
투자 중개 기업이 각각의 상품 구매자에게 납품된 상품에 대하여 각각의 구매자를 대신하여 상품 대금을 상품 판매기업이 지정(관리)하는 계좌로 입금하는 307 단계;
상품 판매 기업(100)이 상기 301 단계의 계약에서 정한 대로 상품 대량 선불 주문 구매로 인해 증가된 이익금 및/또는 회사 가치 중 일부를 현금 및/또는 주식의 형태로 구매자(또는 상품 수령자 등 구매자가 지정하는 제3자. 이하 배당에 대해서는 같음)에게 직접 배당하거나 투자 중개 기업(700)에게 배당하는 308 단계;
투자 중개 기업이 상품 구매자에게 상품 판매 기업이 배당한 현금 및/또는 주식을 그대로 전달하거나 자사 등 제3자 회사의 주식으로 대신 배당하는 309 단계;
상품 구매자가 주식을 배당 받은 상품 판매 기업 상품의 계속 구매 등 상품 판매 기업에 이익이 되는 활동을 하는 310 단계; 및
상품 판매 기업이 상품 구매자별 회사 이익 활동 내역 정보와 이로 인해 증가된 회사 이익 및/기업가치의 일정 비율을 현금 및/또는 주식의 형태로 상품 구매자에게 직접 또는 투자 중개 기업을 통하여 전달하는 311 단계.
상기 상품 판매기업(100)이라는 용어는 상품 제조기업이라도 상품 구매자(600)의 상품 구매(취득)의 관점에서는 모두 상품 공급(판매)회사이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본 발명 명세서 및 특허청구 범위에서는 상품 판매기업이라는 용어로 통일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상품 판매기업이라는 용어에는 상품 제조기업을 포함한다.
상기 단계 301에서의 대량구매(매매) 계약은 잠재 구매자의 이익을 위한 공동구매, 구매중개, 또는 위탁 판매 계약형태로서 상품 구매자에 대한 현금 및/또는 주식의 배당에 대한 사항이 명시되어야 하고, 변호사의 공증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구매 물량이 많으면 그 만큼 가격을 인하 되게 하고, 1인당 구입 금액은 주식배당을 고려하여 일정액으로 제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01에서의 계약은 가계약으로서 정식 계약은 상기 단계 304에서의 대금입금이 완료된 후 본 발명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공동) 구매펀드 금액이 확정된 후 체결되고 이에 따라 단계 305에서 주문정보를 상품 판매기업(100)에게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것은 이하 다른 도면에서도 같다).
또 상기 단계 306에서 주문량이 많아 고객별로 납품일자를 다르게 해야 할 경우에는 도 23과 같이 투자 상품 소개 IR에서 이러한 사항을 미리 안내하고 납품일자에 따라 가격을 다르게 하고 고객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품 구매자는 개인, 기관, 회사, 판매기업을 포함하며 기관, 회사, 판매기업은 구입금액 및 판매수량에 제한을 두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단계 301과 단계 302의 투자 중개 수단을 실시하는 본 발명사업자와 상품판매 기업간의 주식배정을 조건으로 투자계약(상품 매매 중개 계약)을 체결하고 상품판매 기업이 판매상품 소개 정보를 투자 중개수단(사이트)에 등록하는 과정은 공지의 TV 홈쇼핑 사업 분야에서 판매할 상품의 선정과 상품소개(TV 방영)의 절차와 유사하다.
상기 단계 301에서의 계약시 고객 소유 주식지분은 본 발명에 의해 무상 배당 된 것을 감안하여 의결권은 투자중개 수단(700) 실시기업이 대행하고 전체 고객 소유 지분이 유상증자로 증가 하더라도 의결권 지분은 처음과 같게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02에서의 상품소개 정보 등록에 대하여 투자 중개 수단은 사이트 등록전에 각각의 상품 소개 정보 마다 도 23의 도면부호 2303과 같이 펀드(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이것으로 이익공동체 관계 성립을 위한 본 발명 관련 구성 블록들(도 35 예시) 간의 주문, 대금선불, 납품, 납품대금 지급, 현금 및/또는 주식배당과 관련된 정보들의 연동수단으로 이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03에서의 본 발명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구매(투자) 약관제시 및 약관 동의 절차는 상품구매자의 상품소개 정보 열람 후 상품주문 및 대금 선불로 대체할 수 도 있다. 상기 약관은 상품 매매 계약을 위한 약관 형태일 수도 있고, 상품 판매자가 판매할 상품의 정보와 함께 등록하는 것이 원칙이나 투자 중개 수단(700)에서 제공하는 표준약관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301의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대량구매(매매) 계약은 일정 숫자 이상의 상품 구매주문이 안되면 계약이 무효화 되거나 주식배당은 없고 가격할인 구매만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이하 다른 도면에서도 같다.
상기 단계 304를 통하여 투자 중개 수단 사이트 지정(관리)계좌에 입금된 주식배당부 특정 상품(도 18의 A-1) 구매 대금은 실질적으로는 특정상품(A-1) 공동구매 펀드(투자펀드) 형태로 운영된다. 따라서 펀드의 규모에 따라 구매단가와 현금 배당 및/또는 주식 무상 배당 조건 등의 협상에서 협상력에 차이가 날 수 있고 이에 따라 펀드의 수익률과 고객당 배당되는 수익도 차이가 날 수 있다.
상기 단계 306에서의 납품수단은 디지털 상품 등 무형 상품인 경우 온라인으로 바로 전송하고, 유형의 아날로그 상품인 경우 택배, 우편 등을 통한 납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와 달리 창업자나 엔젤의 경우 시제품만 제조하면 상품 제조자금은 본 발명을 통한 사업 아이템 소개로 판매 상품 대금을 선불로 미리 받아 조달할 뿐만 아니라 많은 숫자의 충성고객까지 확보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처럼 상품 제조자금을 벤처캐피탈 등 투자회사로부터 조달을 하지 않아도 되어 창업자금과 엔젤자금 유치도 용이하다. 또 소액(10,000원 이하) 상품의 경우 시제 품이 없이 사업 계획서 또는 특허 등 보유 기술만으로도 선불 주문 판매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로 인해 사업에 중요한 것은 종래기술에서처럼 자금조달이나 마케팅 채널확보가 아니라 사업모델이 얼마나 우수한가에 성공여부가 전적으로 결정된다는 점이 본 발명의 장점이다.
상기 305 단계에서 투자 중개 수단은 상품 판매기업에 주문(구매)정보를 제공한 후 계약에 따라 조성된 상품 구매 펀드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채권형식으로 상품 구매 대금으로 선불할 수도 있다. 상기 상품 판매기업에 대한 대금 선불로 발생되는 상품 구매자의 손해에 대해서는 상기 투자 중개 기업(700)이 상품 구매자와의 계약(약관 등)에 따라 전액 또는 일부를 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것은 이하의 도면에서도 같다). 또 투자 모금액(상품구매 펀드 조성액)이 투자요청액 보다 많으면 실적과 연계하여 단계별로 투자 하거나 유상증자로 투자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07에서의 상품대금 지급(입금)에 있어서 상품 구매자(600)가 선불한 대금이 연간 서비스 요금이고 투자 중개수단이 상품 판매기업(100)에게는 월 단위로 서비스 요금을 지급하는 경우에는 투자 중개수단(700)은 상품 구매자의 납품결과 통보에 따라 월 단위로 서비스 요금을 지급하고 미 납품된 월의 서비스 요금은 연간단위로 정산하여 상품 구매자에게 환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하 다른 도면에서도 같다.
또, 상품 대금(또는 잔금) 지급은 상기 307 단계의 현금 및/또는 주식의 배당 이후 또는 동시에 할 수도 있다.(이하 배당에 대해서는 같음)
상기 단계 305 전에 단계 301에서의 상품 대량 구매(매매) 계약에서 정한 숫 자의 상품 구매주문이 안되면 입금된 상품대금을 환불하고 작업을 종료하거나 단계 307 까지만 진행하여 주식배당이 없는 할인구매만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이하 다른 도면에서도 같다.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선불예약 판매 상품권(이하 “본 발명 상품권” 이라고도 함)의 투자 상품으로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주식배당부 선불예약 판매 상품권의 정의: 상품 구매자의 선불 예약 구매에 대하여 상품 판매기업의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상품 구매자에게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배당하는 조건으로 선불 예약 판매되는 상품 교환채권(즉, 상품 전환 채권의 일 형태)으로서 본 발명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편의상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권,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 주식배당부 상품권 또는 주식배당부 상품으로도 사용한다.
2. 투자 상품으로서의 본 발명 상품권의 특징
가. 상품 교환 가치의 손실에 대한 보상으로서의 주식인수권 제공
- 자본의 시간적 가치 손실: 종래 기술의 상품은 시장에서 현금과 즉시 교환이 되나 본 발명 상품권은 선불 대량 예약 구매된 것이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의 상품이라도 모든 상품 구매자가 주문한 상품을 인수하기 까지는 상품 제조 또는 조달에 상당한 시간이 더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정된 납품기일 보다 더 늦게 납품될 수 있음. 따라서 투자자는 그 시간만큼 투자금(상품대금)의 이자 손실과 상품 소비에 따른 시간적 효용가치의 손실 및 불안감을 경험하게 된다.
- 상품 품질 가치 손실 리스크 존재: 본 발명 상품권으로 구입하는 상품은 종래 기술에서 처럼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성숙기의 고 품질 상품 들 뿐만 아니라 비록 상품으로 출시는 되었지만 신기술의 초기 단계 상품으로 인해 완성도와 품질 수준이 낮은 상품일 수도 있고, 예약구매라는 점 때문에 시작품 단계에 있거나 아직 시작품도 완성하지 못하고 있는 개발단계의 상품으로서 상품 구매자가 시장에서는 상품을 확인할 수 없고 웹사이트를 통하여 사업계획서나 프레젠테이션으로만 확인할 수 있는 상품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품 구매자는 최악의 경우에는 상품을 납품 받지 못할 수도 있는 리스크를 감수하고 투자(상품 선불 예약 구매)를 하고 이에 대한 댓가로 그 회사의 주식을 상품 외에 추가로 인수 받게 된다.
나. 투자 리스크의 감소 및 잔존 리스크는 전체 상품 구매자가 분담
종래 기술에서의 벤처투자는 상기 자본의 시간적 가치 손실과 상품 품질 가치 손실 리스크를 엔젤 투자자 또는 벤처 캐피탈에서 모두 부담하기 때문에 벤처기업의 자본조달 비용이 높았다. 이로 인해 벤처기업이 많은 지분을 투자자에게 양도해야 하기 때문에 IPO에 이르기 까지 경영권을 유지 하는데 어려움이 많았고 벤처기업의 경영악화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많은 지분을 회생하여 많은 자금을 조달한다고 해도 기업의 장기 생존 및 성장은 최종적으로는 도 2의 예시에서와 같이 많은 고객과 고객 충성도 확보를 통한 큰 매출 확보에 달려 있는 바 엔젤이나 벤처캐피탈 등 소수 투자자를 통한 투자유치는 생산단계에서만 도움이 되 고 소비단계인 고객 및 고객 충성도 확보 문제 해결에는 마케팅 비용 조달 측면을 제외하고는 큰 도움이 되지 안고 있다.
본 발명의 상품권은 종래 기술에서의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투자자와 소비자를 하나로 결합함으로서 상품 구매자(상품권 구매자)로부터 자금조달 즉 생산단계의 도움 뿐만 아니라 매출 문제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마케팅 비용을 거의 지출하지 않아도 되고 예약 주문생산으로 인해 생산 비용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투자유치 기업과 투자자(상품 구매자)의 투자 리스크를 현저히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나머지 투자 리스크도 상품 구매형태로 상품 구매자(즉, 투자자)에게 분산(hedge) 시킴으로서 최악의 경우에도 개별 투자자는 주문수량의 상품 구매 대금의 손실 위험만 부담하면 되게 되어 있어 투자 손실 위험은 현저히 줄이면서도 투자성공율과 투자 수익률은 현저히 높일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높은 수준의 금융공학, 투자공학, 전자상거래 기술 및 IT 기술과 재무, 회계 및 경영지식을 응용하여 개발된 "혁신적인 모험자본의 투자 리스크 헤지(Hedge) 기술”인 것이 그 특징이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투자 상품 특징 비교표로서, 구체적으로,
도 4a는 본 발명의 “주식 배당부 선불 예약 판매상품권”의 상품 교환권 측면에서 종래기술의 “상품권”과 특징을 비교한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주식 배당부 선불 예약 판매상품권”의 주식 인수권 측 면에서 종래기술의 “신주인수권부 사채(BW)”와 특징을 비교한 것이다.
상기 “주식 배당부 선불 예약 판매 상품권”의 응용의 예로는,
영화 상품의 경우 “주식 배당부 선불 예약 판매 상품권”의 일 형태로 특정 영화제작 전 또는 제작 진행 단계에서 “해당 영화 관람권”을 선불로 인터넷 상에서 미리 구입하면 이에 따라 인터넷 뱅킹 시스템에서 ”선불 영수증“ 발행 또는 통장 입금 사실이 확인되는데 이것이 상기 “주식 배당부 선불 예약 판매 상품권”이 된다. 이에 따라 채무자인 투자상품 판매/제작기업(영화사)의 경우 ”선불 납부자“ 에게 상품 납품 (영화 상영)과 회사 이익 공유(즉 주식배당) 의무를 지게 된다.
TV 방송 드라마의 경우 드라마 제작 및 방영 전에 본 발명 실시업자가 TV 방송 이외의 유통권을 인수계약하면서 TV 시청율에 따라 가격을 정하되 시청율이 높으면 방송사에서는 높은 광고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계약가격을 그 만큼 낮게 계약할 수 있다. 한편 시청자에게는 인터넷 채널 시청요금 형식으로 소액으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을 판매하되, TV 시청율이 높으면 상기 TV 방송 이외 유통권의 가격이 낮아져서 투자자(고객)의 투자 수익율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린다면 보다 높은 시청율을 올릴 수 있어 본 발명 실시업자, 시청자 모두 이익이 되게 할 수 있다. 또 투자자인 시청자는 이 뿐만 아니라 저렴한 요금(투자금)으로 인터넷 채널로 드라마를 재 시청 할 수 있고, 인터넷 채널 시청으로 인한 투자회사의 인터넷 광고 수익 증가분에 대한 수익공유도 할 수 있게 된다.
또 도서 상품의 경우 상기 “주식 배당부 선불 예약 판매 상품권”의 일 형태로 도서 인쇄 전에 도서 내용 및/또는 저자의 인지도를 토대로 “해당 도서 교환권”을 상기와 같이 인터넷으로 미리 판매하고 선불영수증을 발행할 수 있는데 이를 토대로 출판사는 도서를 주문 제작(인쇄)하여 선불 납부자(또는 납부자가 지정하는 자)에게 납품하고 회사 이익 공유(즉 주식배당) 의무를 지게 된다. 한편 상품 구매자(투자자)는 도서 인수권과 계약에서 정한 지분의 회사 이익 공유권을 가지게 된다.
또 도 18의 예시와 같이 상품권 발행/유통사(920)를 통하여 본 발명 전용 주식 배당부 선불 예약 판매 상품권을 발행하여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 구매에 이용토록 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투자 시스템의 이익 공동체 관계 성립 수단의 작용 순서도이다.
이 중 도 5는 도 3에 예시된 본 발명 투자 시스템의 작용 중 직접거래를 통한 이익공동체 관계 성립수단의 작용절차를 예시하는 순서도로서, 이익공동체 관계 직접 성립 과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 판매(제조)기업이 상품소개(IR) 수단(704) 사이트에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소개정보를 등록하는 501 단계;
등록된 사용자가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 소개 정보를 열람 후 구입할 상품을 선택(약관에 의한 매매 계약 체결 포함)하고 사이트에서 지정(관리)하는 계좌로 대금을 입금하는 502 단계;
입금계좌가 구매대금 관리수단의 계좌인지 판단하는 503 단계;
입금계좌가 구매대금 관리수단의 계좌가 아니면 상품판매 기업에서 구매자에게 주문된 상품을 납품 하면 511 단계로 진행하는 504 단계;
구매대금 관리수단이 상품판매 기업에게 상품대금 입금자 등 입금내역을 통지하고 계약에 따라 선수금을 조성된 상품펀드에서 사채형식으로 지급하는 505 단계;
상품판매 기업에서 주문된 상품을 납품하는 506단계;
(주문량이 많아 늦게 납품하는 상품에 대해서는 계약에 따라 대금 할인)
각각의 상품 주문자가 구매대금 관리수단에 납품결과를 통지 하는 507 단계;
구매대금 관리수단이 상품 주문자가 주문한 상품을 인수하여 구매대금을 상품 판매 기업에 지불해도 되는지 판단하는 508 단계;
상품 주문자가 주문한 상품을 인수하지 않았으면 상품 주문자에게 상품대금을 전액 환불하는 509 단계;
구매대금 관리수단에서 상품 판매 기업에게 납품이 완료된 상품에 대하여 잔금을 지급하는 510 단계; 및
상품판매 기업이 고객이 상품구매 등을 통하여 기여한 이익에 대하여 해당 고객에게 현금 배당 및/또는 주식을 유상 또는 무상 배당하는 511 단계.
상기 직접거래를 통한 이익공동체 관계 성립수단은 도 14, 도 15, 및 도 21에 예시된 투자 시스템과 관련된다.
상기 단계 502의 계약은 약관을 통해서 상품 판매기업과 상품 구매자 사이에 제3자의 중개 없이 체결되는 직접적인 상품 매매 계약이며, 상기 약관은 개별 상품 판매기업에서 정한 것이거나 상기 상품 소개수단(704) 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503은 상품구매 대금(투자금)을 도 14 및 도 21과 같이 상품 판매 기업에 직접 입금하는 경우이고, 도 15, 도 16, 도 18, 도 19, 도 20은 에스크로우 서비스를 위하여 제 3자인 구매대금 관리기관(730) 또는 투자 중개 기업(700)에 입금하는 경우로서 본 발명 실시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단계 501의 상품소개(IR) 수단(704)은 홈페이지, 쇼핑몰 또는 개별 기업에서 설치 운영하는 공동구매 사이트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의 소개 정보를 게시 및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구매주문을 받는 기능을 한다.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 정보는 도 23과 같이 상품 소개정보 + 구매액(투자금)에 대한 주식배당 약정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3에 예시된 본 발명 투자 시스템의 작용 중 간접거래를 통한 이익 공동체 관계 성립수단의 작용절차를 예시하는 순서도로서, 이익공동체 관계 간접 성립 과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자 중개 기업이 상품 판매(제조) 기업과 상품의 대량 구매(매매) 등을 조건으로 회사 주식의 일정 양을 배당받는 계약을 체결하는 601 단계;
주식 배당부 상품 판매(제조) 기업이 투자 중개 기업의 투자 중개 수단 사이트에 도 23의 예시와 같은 판매상품 소개정보를 등록하는 602 단계;
각각의 등록된 사용자가 제3자인 투자 중개수단 사이트에서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 소개 정보를 열람 후 구입할 상품을 주문(약관에 의한 매매계약 체결포함)하고 사이트에서 지정(관리)하는 계좌로 대금을 입금하는 603 단계;
투자 중개 기업이 구매대금 관리수단으로부터 상품대금 입금자를 확인하고 상품판매 기업에 공동구매 내역을 통지하고 계약에 따라 선수금을 조성된 상품 구매 펀드에서 사채형식으로 지급하는 604 단계;
상품판매 기업에서 주문된 상품을 납품하는 605 단계;
(주문량이 많아 늦게 납품하는 상품에 대해서는 계약에 따라 대금 할인)
각각의 상품 주문자(특정상품 구매 펀드 투자자)가 구매대금 관리수단에 납품결과를 통지하는 606 단계;
구매 자금 관리수단이 상품 주문자가 주문한 상품을 인수하여 구매대금을 상품 판매 기업에 지불해도 되는지 판단하는 607 단계;
상품 주문자가 주문한 상품을 인수하지 않았으면 상품 주문자에게 상품대금 을 전액 환불하는 608 단계;
구매대금 관리수단에서 상품 판매기업에게 납품이 완료된 상품에 대하여 잔금을 지급하는 609 단계; 및
상품판매 기업이 고객이 상품구매 등을 통하여 기여한 이익에 대하여 해당 고객에게 현금 배당 및/또는 주식을 유상 또는 무상 배당하는 610 단계.
상기 간접거래를 통한 이익공동체 관계 성립수단은 도 16, 도 18, 도 19, 및 도 20에 예시된 투자 시스템과 관련된다.
상기 단계 603에서 구매자가 상품을 주문하면 주문정보를 상품 판매 기업에 바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603의 계약은 약관을 통해서 상품 판매기업과 상품 구매자가 제3자인 투자 중개 기업(700)의 중개에 의한 상품 매매 계약 체결이며, 상기 약관은 투자 중개 수단에서 정한 표준 약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604에서의 선수금은 지급하지 않아도 상품판매 기업은 구매대금 관리 수단 또는 해당 상품 구매 펀드의 주문서로 거래은행에서 상품 제조/또는 구매비용을 조달할 수 있다. 이것은 이하 다른 도면에서도 같다.
도 7은 도 3에 예시된 본 발명 투자 시스템의 작용 중 공동 이익 추구 수단의 작용 순서도로서, 공동이익 추구 과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객(주주)이 투자(주식소유) 기업에서 상품구매 및/또는 광고클릭 등 펀드 투자기업의 이익 증진 기여 활동을 하는 701 단계;
투자기업에서 고객의 회사 이익 기여활동에 대하여 자체기준에 따라 고객별로 포인트 점수를 환산하여 미 정산된 포인트에 누적하고 고객에게 회사이익 기여내역, 포인트 정보 및/또는 회사 경영실적 정보를 도 25 및 도 27의 예시와 같이 제공하는 702 단계;
투자기업에서 일정기간(결산시점) 마다 현금배당 또는 주식 유/무상 배당 시에 도 8의 예시와 같이 포인트 단위로 배당할 금액 및/또는 주식수를 계산하는 703 단계;
투자기업에서 도 26 및 도 28의 예시와 같이 고객(투자자)별 누적 미정산 포인트 점수를 기준으로 현금 배당액 및/또는 유/무상 주식 배당수를 계산하는 704 단계;
현금 및/주식을 고객에게 직접 배당하도록 되어 있으면 각 고객에게 계산된 현금 및/또는 유/무상 주식을 도 14와 같이 직접 배당하고 작업을 종료하는 706 단계;
투자기업에서 고객(투자자)별 누적 미 정산 포인트 점수와 현금 배당액 및/또는 유/무상 주식 배당 내역을 제3자인 투자 중개기업에 전송하는 707 단계;
본 발명 실시 기업인 투자 중개기업(Z사)에서 각 고객(600) 및/또는 고객별 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에 현금 배당액 및/또는 유/무상 주식 배당 내역을 전송 하는 708 단계; 및
고객별 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이 투자 중개기업(Z사)으로부터 현금을 수신하고, 현금 및 주식 배당 내역을 도 30 내지 도 32의 예시와 같이 고객별 투자 예탁금 통장에 인쇄하는 709 단계.
도 8은 고객의 회사이익 기여 포인트 정산 시 환산 기준 및 방법 예시도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본 발명 투자시스템의 이익공동체 관계 성립수단과 공동 이익 추구 수단의 작용에 의해 상품을 판매하고 고객의 도움을 받은 도 9에 예시된 특정 상품판매기업(100)의 세후 연간 영업 수익 총액(I)과 고객의 회사 이익 기여 포인트(F)를 기준으로 현금배당액 및/또는 주식 배당액을 계산하는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도에 예시된 세후 연간 영업 수익 총액(A)에 대한 지분은 기존주주(C)와 미정산 포인트 소유자(D)가 각각 50% 씩 반분하도록 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제 응용에서는 지분율은 상품판매기업(100)과 본 발명의 투자 중개기업(700)이 계약에서 정하는 바에 의한다.
미 정산 포인트 계(F)는 도 25의 100,000 포인트(2501)와 같이 해당 기업의 각 고객이 소유한 미 정산 포인트의 총계로서 실제적으로는 해당 기업의 회계연도 결산 단위별로 고객들의 회사이익 기여실적(포인트) 총량을 수치로 환산하여 그때까지의 미 정산 포인트와 누적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 구매자에 대한 주식 무상 배당 방법 예시도로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 투자시스템의 도5의 이익공동체 관계 성립수단과 도 7의 공동 이익 추구 수단의 작용에 의해 상품을 판매하고 고객의 도움을 받은 상품판매기업(100)의 회계연도 결산 단위별로 발생된 이익 및/또는 회사가치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구매자(고객)에게 주식을 무상배당하는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도에서 2007년도 결산은 본 발명 실시 이전의 영업실적과 주식배당을 예시하고, 2008년도와 2009년도는 본 발명 실시 이후의 영업실적과 주식배당을 예시한다.
(본 도의 가정)
1) 회사가치 계산에서 PER(Price Earnings Ratio)은 금융기관 차입금리 10%를 기준으로 하여 10배로 하였음
2) 본 발명 실시전의 회사가치에 대한 평가를 하고 이후 본 발명 실시로 인한 회사 가치 증액에 대한 고객의 지분을 계약으로 미리 정함. 따라서 투자기업은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구매 펀드의 투자 계약 이후에는 어떠한 형식으로 든지 임의로 신주를 발행할 수 없음.
3) 신주는 창업 팀과 미정산 포인트 소유 고객에게 각각 일정비율로 배정 하는 것을 예시함. 따라서 2008년 이후 상품을 구매하는 모든 고객은 취득한 포인트와 각 년도 결산이익을 토대로 액면가(500원) 기준 10배수 가격(PER 10 기준)의 주식을 무상배당 받게 됨(2008년 결산에서는 고객(2007년 이전 가입 고객 포함) 1인 당 5.5주(주식시장 가치기준 275,000원)를 무상 배당 받음)
4) 본 발명 실시 첫해(2008년)의 신주 무상 배당 주수의 창업 팀과 고객그룹(상품 구매자)간의 배분 비율은 투자기업과 투자 중개 수단간의 계약에 의해 결정됨. 이후 매년도 고객 지분의 증가에 따른 경영권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창업 팀과 고객 그룹간의 의결권의 비율은 2008년도 결산시의 비율(창업팀 50.45%, 고객그룹 49.55%)로 고정하되, 고객그룹 소유지분의 의결권의 행사는 본 발명 실시기업 또는 고객그룹 대표가 행사하게 할 수 있음. 따라서 2009년 이후 고객에게 배당되는 유/무상 주식에 대해서는 의결권은 없고 지분에 따라 수익권만 있는 주식을 배당할 수도 있음.
5) 기존주식(2008년 결산 이후 처음 배당되는 고객주식 포함)의 가치 향상을 위해서 일정시점(예:2010) 이후 부터는 무상배당은 하지 않고 도 9와 같은 기준에 따라 유상 배당 또는 현금 배당만 할 수도 있음.
도 10은 고객 투자금 관리 및 에스크로우 서비스(escrow service) 순서도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3, 도 5 및 도 6에서 예시된 본 발명 투자시스템의 작용 중 본 발명의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 구매를 위한 고객투자금의 예치, 구매상품(투자처) 선정, 투자수익(현금 또는 주식배당)의 기록을 포함한 고객투자금 관리 방법과 입금된 상품구매대금 즉 구매자(고객) 보호를 위한 에스크로우 서비스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다음의 단계들로 구성된다.
이 중 고객투자금 관리는 도 30 내지 도 32와 관련되고, 에스크로우 서비스 방법은 도 15, 도 16, 도 18, 도 19 및/또는 도 20의 구매대금 관리 수단(730) 또는 투자중개수단(700)의 기능과 관련된다.
투자 중개수단(Z사)이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 구매대금(펀드) 관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기관(730)과 각 고객의 투자 예탁금 관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800)을 지정하는 1001 단계;
상기 구매대금 관리기관(730)은 펀드관리 기관으로서 이에는 금융기관 또는 회사형태의 펀드관리 회사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 기관(800)은 종래 기술에서는 주로 투자금융회사나 증권회사에 해당되며, 고객투자 예탁금의 예치, 투자 예탁금 통장 발행 및 관리, 고객별 투자내역 및 투자수익의 관리 기능을 한다.
상품구매자/고객(600)이 본 발명 투자 중개 수단(Z사) 사이트에 회원 가입하는 1002 단계;
고객(600)이 투자중개수단이 지정한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 금융기관(800)에 투자금 거래 계좌를 개설하고 현금 또는 본 발명의 상품권으로 투자 예탁금을 예치하는 1003 단계;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 금융기관(800)이 고객(600)에게 투자 예탁금 통장(도 30 예시)을 발행하는 1004 단계;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 금융기관(800)이 투자 중개 수단의 통지 또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고객의 투자 예탁금(고객계좌)에서 특정 상품(도 18의 B-1)의 구매와 연동되는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 가격 해당 금액을 출금하여 해당 상품 구매 펀드 계좌로 입금하고 통장의 총괄부(도30)와 내역부(도31)에 기재하는 1005 단계;
구매대금(펀드) 관리 수단(730)이 투자 중개 수단(Z사)에 특정(B-1) 상품 구매 펀드 조성 금액과 납부자 명단을 통지하는 1006 단계;
투자 중개 수단(Z사)이 고객이 주문한 상품의 판매기업(B사)에 특정(B-1) 상품 공동구매 주문 내역 통지 및 납품 지시를 하는 1007 단계;
구매대금(펀드)관리 수단(730)이 투자 중개 수단의 통지 또는 고객의 납품결과 통지에 따라 상품 판매기업(B사)에 납품대금을 고객을 대신하여 지급하는 1008 단계;
구매대금(펀드)관리 수단(730)이 투자 중개 수단(Z사)에 상품 펀드 관리결과를 통지하는 1009 단계;
투자 중개수단(Z사)에서 각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 금융기관(800)에 상품판매 기업의 현금 배당액 및/또는 유/무상 주식 배당 내역을 전송하는 1010 단계; 및
각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 금융기관(800)이 상품판매 기업(B사)이 고객별로 배당한 현금을 해당 회사에 직접 또는 투자 중개 기업(700)을 통하여 수신하고, 현금 및/또는 유/무상 주식 배당 내역을 도 30 내지 도 32의 예시와 같이 해당 고객의 투자 예탁금 통장에 기재하는 1011 단계.
상기 에스크로우 서비스는 투자 중개 기업(700)이 직접 수행하되 고객 예탁금과 펀드자금 관리만 지정 금융기관에 위탁할 수 있다.
상기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구매 펀드는 목적형 적립식 펀드형태로 조성되고, 투자(상품구매)는 에스크로우 방식으로 투자되어 고객의 투자금(상품주문 대금)을 보호한다.
상기 단계 1005에서의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 금융기관(800)을 통한 특정상품 구매 신청은 상품구매 펀드코드(2303)와 고객의 식별코드(주민번호 등)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객투자 예탁금 계좌에 해당 상품 구매대금에 해당하는 잔액이 없으면 금융기관에서 정하는 범위 내에서 자동대출로 결제(대금이체) 할 수도 있다.
도 11은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구매에 대한 투자중개기업을 포함하는 제3자 회사의 주식배당 방법 예시도로서, 구체적으로는 상품구매자가 투자중개기업(700)을 통하여 구매한 특정 상품 판매기업(100)의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에 대하여 해당 상품 판매기업(100)의 주식이 아니라 투자중개기업(700) 등 제3자 회사의 주식으로 배당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장회사의 상품이나 외국회사 상품 또는 장기생존이 불투명한 회사의 상품 구매시 주로 응용되며, 다음의 단계들로 구성된다. 특히 유상 배당에서 상품 구매자가 유상 배당을 포기하는 경우에는 투자 중개 기업(700)이 대신 인수 할 수 있다.
투자 중개 기업(700)과 상품 판매 기업(100)이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대량 매매 중개 계약을 체결하는 1101 단계;
상품 판매 기업(100)이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 소개정보를 투자 중개 기 업(700)의 IR 수단(704)에 등록하는 1102 단계;
상품구매자/고객(600)이 상품 판매 기업(100)의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을 주문하고 대금을 선불 납부하는 1103 단계;
투자 중개 기업(700)에서 상품 판매 기업(100)에 해당 상품을 공동구매 주문하는 1104 단계;
상품판매기업(100)이 주문된 상품을 상품구매자/고객(100)에게 납품하는 1105 단계;
투자 중개 기업(700)이 상품 판매 기업(100)에게 납품된 상품대금을 지급하는 1106 단계;
상품 판매 기업에서 계약에서 약정된 지분의 주식을 투자 중개 기업에 배정하는 1107 단계;
상품구매자/고객이 상품판매 기업과 계속거래 및 회사 이익기여 활동을 하는 1108 단계;
상품 판매 기업에서 상품구매자/고객에게 포인트 정보 및/또는 경영실적 정보를 제공하는 1109 단계;
상품 판매기업에서 투자 중개 기업에 고객별 포인트 정보와 회사 경영실적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 기여에 대한 현금배당 및/또는 주식을 유/무상 배당하는 1110 단계; 및
투자 중개기업이 각 고객에게 각 기업에서 통지한 고객별 포인트 정보에 따라 투자 중개 기업의 이익으로 이에 상응하는 가치의 현금배당 및/또는 주식을 유/ 무상 배당하거나 제3자 회사의 주식으로 대신 배당하는 1111 단계(도 32의 예시 참조).
본도의 다른 실시예로는, D사, E사 또는 F사의 상품을 투자 중개 기업(700)이 아닌 또 다른 제3자인 상품판매기업(ZZ사)을 통하여 구매하고 주식은 ZZ사 주식으로 대신 배당 받는 방법이 있는데, 특정 주식배당부 상품 판매기업(ZZ사)이 도 18의 D사, E사 또는 F사와 상품을 대량 구매하는 조건으로 해당 기업의 주식을 배당 받는 계약을 체결한 후, 상기 투자 중개 수단(700)을 통해 상품 구매자 그룹(투자조합)으로부터 상기 기업들의 상품에 대한 대량 주문을 받은 후 상기 D사, E사, 또는 F사가 상기 구매자 그룹에게 주문 상품을 납품하게 한 후 상기 투자 중개 수단(700)으로부터 상품 대금을 받으면 상기 D사, E사, 또는 F사에 대금을 지급하고, 그 회사의 주식을 배당받고 상기 구매자 그룹에게는 해당 상품 판매기업인 ZZ사의 주식을 배당하면 된다.
본 도의 또 다른 실시예는 M&A에서 이용하는 것인데, 투자 중개 수단(700)이 D사, E사, F사 주식을 Z사 또는 ZZ사 주식으로 대신 배당 하지 않고, D사, E사 및/또는 F사를 M&A 하고자 하는 또 다른 제3자 회사(ZZ-1사)에 매각하거나 제3자 회사(ZZ-1사)의 주식과 교환할 경우 더 높은 가격을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품 구매자는 D사, E사, F사, Z사 또는 ZZ사 주식을 배당 받을 때 보다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업자는 상기 2가지 경우를 통해 상품 구매자가 실제 상품 공급 회사(D사, E사, 또는 F사)와 중간 판매회사(ZZ사 또는 M&A 회사인 ZZ-1사) 모두에 회원으로 가입토록 유도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해당 회사들에게 상품 대량 판매의 기회 뿐만 아니라 충성 고객을 많이 확보 해 줌으로서 그 회사의 시장 가치를 더 높여 주게 되고 이에 따라 더 유리한 조건으로 주식을 배당 받을 수 있게 되어 본 발명 실시업자와 상품 구매자(본 발명 고객) 모두 이익이 증대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의 신규 창업 기업의 성장 단계별 자금 조달 계획 예시도로서, 구체적으로는 새로 창업하는 벤처기업이 도 3 내지 도 11에 예시된 본 발명의 핵심요지에 따라 외부로 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예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성장 단계별 자금 조달 계획과 대비된다.
(본 도의 가정)
1) 이용료 선납을 조건으로 고객에게 기업가치의 1/2에 해당하는 주식을 무상 배정하는 계약 체결을 전제로 함
2) 초기단계 이후의 자본금 누계는 유상 또는 무상 배당 실적에 따라 변경됨
(본 발명에 의한 자금조달의 특징 및 장점)
1) 고객이 납부하는 1년 분 사용료(10만원) 선납 수입으로 700억의 구매주문이 확보되기 때문에 별도로 VC(Venture Capital) 등을 통한 외부자금 조달이 불필 요 함.
2) 자금조달 뿐만 아니라 시장 지배력 확보를 위한 최소 목표 고객수와 고객 충성도 확보도 사업 초기단계(시장 진입 후 3개월 내)에서 완료 할 수 있음.
3) 종래기술에서와 비교하여 자금 조달 비용(대리인 비용을 포함하여 여러 번의 IR 과정에서 양도되는 지분 등)이 적게 들고 세일즈 및 마케팅 비용도 적게 들고 주문생산으로 인해 재고품을 발생 시키지 않기 때문에 생산비용도 훨씬 적게 들면서도 많은 매출과 수익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고객에게 많은 현금과 주식을 무상으로 배당 할 수 있음.
도 13은 기술 환경별 신규 창업 기업의 자금 조달 가능성 및 창업성공 가능성 비교표로서, 구체적으로는 이미 해당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경쟁사(A사)가 있는 상태에서 새로 창업하는 온라인 게임회사인 벤처기업(B사)이 도 12의 본 발명환경에서 창업할 때와 도 2의 종래기술 환경에서 창업할 때의 자금조달 가능성과 창업 성공 가능성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본도의 가정)
1) B사 자료는 계획상의 목표(예상)임.
2) B사 게임의 품질이 A사 수준은 되지만 후발업체이기 때문에 요금이 연 2만원 낮게 책정되었음
(자금조달 가능성 및 창업성공 가능성)
1) IPO 직전 외부자금 조달액 비교에서 종래기술 환경에서는 시장진입 2년 6개월 시점에서 103억(사업 잉여금포함, 도2참조)을 조달하나, 본 발명 환경에서는 시장진입 3개월 시점(테스팅 완료)에서 전체 주식의 50% 지분(지분율은 변동 가능함)을 계약에 따라 고객에게 무상 양도하는 조건으로 700억의 구매주문을 받을 수 있음.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처럼 벤처캐피탈 등 전문투자자로 부터 많은 지분 인도를 조건으로 별도로 투자유치를 하지 않아도 됨.
2) 본 발명 환경에서 B사의 매출액 대비 수익률을 창업 기업임에도 A사 보다 높게 평가한 이유는 고객의 구매증가로 인한 회사이익과 회사 가치증가에 대한 보상으로 주식을 고객에게 무상 배당하고 이후 고객의 회사 이익 기여 실적 (광고 클릭 등)에 따라 이익금(또는 주식)을 무상 배당함으로 인해 고객이 자기회사 라는 의식에서 높은 고객 충성도가 확보되기 때문에 마케팅 비용을 A사 보다 적게 지출함에도 더 높은 매출을 올릴 수 있고, 처음부터 많은 고객수가 확보되기 때문임.
3) 예상경쟁 결과로는 종래기술 환경에서 B사의 경우 시장지배자인 A사로 인해 자금조달 가능성도 낮고 계획대로 자금이 조달되고 IPO까지 진출한다고 해도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은 적음. 반면에 본 발명 환경에서는 시장진입 시점 부터 규모의 경제효과, 네트워크 효과, 수확체증의 효과가 발생되어 높은 매출과 비율 효율성을 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A사를 누루고 시장을 지배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 한편 A사의 경우 본 발명 환경에서는 시간이 갈수록 B사에 점점 시장지배력을 잃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
4) 또 A사는 유료 사이트이기 때문에 광고 게재를 못하거나 제한되기 때문에 유료 사용료 수입 외 기타 수입은 없으나 B사는 유료 사이트라도 고객이 지분을 가지는 고객의 회사이고 고객의 참여에 따라 회사 수익이 커 질수 있기 때문에 고객이 광고 클릭 등 비 금전적 투자와 협력을 적극적으로 하게 될 것임.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 예)
도 14 - 도 21은 본 발명 투자 시스템의 각 실시예별 구성 블록 및 구성 블록간 정보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5와 관련된 상품판매기업과 상품 구매자간 직접거래 방식의 본 발명 요지 구현을 위한 투자 시스템의 구성 블록 및 구성 블록간 정보 흐름을 예시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시스템은,
① 상품판매기업이 상품 구매자에게 판매기업의 약관을 포함하는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 정보를 제공하면 상품구매자가 제시된 약관 동의를 포함하는 소개된 상품의 구매를 선택함으로서 상품판매기업과 상품 구매자가 온라인으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매매계약을 체결하는 기능;
② 상품구매자가 계약 이행을 위하여 계약 체결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대금을 선불하는 기능; 및
③ 상품 판매기업이 계약 체결된 상품을 상품구매자에게 납품(판매기업의 1차 계약이행) 후 약정된 주식을 상품구매자에게 배당(판매기업의 2차 계약이행)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이익 공동체 관계 성립 수단; 및
④ 상품 구매자가 주식을 배당 받은 상품판매기업 상품의 계속 거래 및 회사 이익 기여 활동을 하여 포인트를 적립하는 기능; 및
⑤ 상품 판매기업이 상품구매자의 포인트 정보 및 회사 경영 실적 정보를 제공하고 회사이익을 소유주식 및/또는 포인트에 따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이익 공유의무 이행 기능; 을 포함하는 공동이익 추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5는 도 14의 상품판매기업과 상품 구매자간 직접거래에 제3자인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을 개입시켜 구매자 보호를 위한 에스크로우 서비스를 제공 하도록 하는 방식의 본 발명 요지 구현을 위한 투자 시스템의 구성 블록 및 구성 블록간 정보 흐름을 예시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시스템은,
① - ③ 상품 판매 기업이 상품 구매자에게 판매기업의 약관을 포함하는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 정보를 제공하면 상품구매자가 제시된 약관 동의를 포함하는 소개된 상품의 구매를 선택함으로서 상품판매기업과 상품 구매자가 온라인으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매매계약을 체결하는 기능;
본도는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소개를 위하여 상품소개(IR) 수단을 별도로 도 시하고 있는바 이것은 상품 판매 기업 또는 구매대금 관리수단에서 관리 운영할 수 있다.
④ - ⑤ 상품구매자가 계약 체결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대금을 제3자인 구매대금 관리수단에 선불(입금) 하면 구매대금 관리수단에서 상품판매 기업에 입금 내역 즉 공동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상기 입금된 구매대금은 펀드 방식으로 조성되고 공동 구매 방식으로 운영 및/또는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⑥ 상품 판매기업이 계약 체결된 상품을 상품구매자에게 납품(판매기업의 1차 계약이행) 하는 기능;
⑦ - ⑧ 구매대금 관리수단이 상품구매자로부터 납품 결과를 통지 받아 납품된 상품에 대하여 구매자를 대신하여 상품대금을 지급함으로서 구매자가 계약을 이행을 하는 기능; 및
⑨ 상품판매기업이 약정된 주식을 상품구매자에게 배당(판매기업의 2차 계약이행)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이익 공동체 관계 성립 수단; 및
⑩ 상품 구매자가 주식을 배당 받은 상품판매기업 상품의 계속 거래 및 회사 이익 기여 활동을 하여 포인트를 적립하는 기능;
⑪ 상품 판매기업이 상품구매자의 포인트 정보 및/또는 회사 경영 실적 정보를 제공하고 회사이익을 소유주식 및/또는 포인트에 따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이익 공유의무 이행 기능; 을 포함하는 공동이익 추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와 관련하여 도 14와 도 15의 차이점은 단계 503 이후에 도 15의 경우 도 5의 단계 505 내지 단계 511을 실행하고 도 14의 경우 이 대신 단계 504와 단계 511만 실행한다는 점이다.
도 16은 도 6와 관련하여 도 14의 상품판매기업과 상품 구매자의 사이에 제 3자인 투자 중개 수단(700)을 개입시켜 이것을 통하여 도 15의 구매대금 관리수단(730)과 상품소개(IR) 수단(704)의 기능 외에 상품구매자를 대신하여 상품판매기업과의 계약 등에 있어서 구매자의 이익을 위한 업무 대행 뿐만 아니라 상품판매기업의 업무 중 상품구매자 관련 업무를 일부 대행토록 하는 방식의 본 발명 요지 구현을 위한 투자 시스템의 구성 블록 및 구성 블록간 정보 흐름을 예시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시스템은,
① 상품 판매 기업과 투자 중개 수단이 상품의 대량 구매(매매) 등을 조건으로 회사 주식의 일정 양을 상품구매자(고객)에게 배당 하는 내용의 판매자 및/또는 구매자 업무 대행 또는 매매 중개 계약을 체결하고, 이에 따라 상품 판매기업이 투자 중개 수단의 사이트에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
② - ④ 투자 중개 수단이 등록된 판매상품 소개정보에 대해 펀드(식별) 코드를 부여하고 상품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온라인으로 도 23과 같은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 소개 정보와 해당 상품 구매 펀드 운영약관을 제공하면 상품구매자가 제시 된 약관 동의를 포함하는 소개된 상품의 구매를 선택하고 주문(선택)한 상품의 대금을 투자 중개수단에서 지정(관리)하는 계좌로 선불(입금) 하면 투자 중개수단에서 상품판매 기업에 입금 내역 즉 공동구매 주문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⑤ 상품 판매기업이 주문된 상품을 상품구매자에게 납품(판매기업의 1차 계약이행) 하는 기능;
⑥ - ⑦ 투자 중개 수단이 상품구매자로부터 납품 결과를 통지 받아 납품된 상품에 대하여 구매자를 대신하여 상품대금을 지급함으로서 구매자가 계약을 이행을 하는 기능(납품이 되지 않거나 반품된 경우에는 해당 상품구매자가 선불한 상품대금은 환불); 및
⑧ 상품판매기업이 약정된 주식을 상품구매자에게 배당(판매기업의 2차 계약이행)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이익 공동체 관계 성립 수단; 및
⑨ 상품 구매자가 주식을 배당받은 상품판매기업 상품의 계속 거래 및 회사 이익 기여 활동을 하여 포인트를 적립하는 기능; 및
⑩ 상품 판매기업이 상품구매자의 포인트 정보 및/또는 회사 경영 실적 정보를 제공하고 회사이익을 소유주식 및/또는 포인트에 따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상품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이익 공유의무 이행 기능; 을 포함하는 공동이익 추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7은 본 발명 각 실시 방법별 장점 및 단점 비교표로서, 각각 도 14, 도 15 및 도 16에 예시된 직접거래 방식, 에스크로우 서비스가 포함된 직접거래 방식 및 제3자인 투자 중개 기업을 통한 간접거래 방식의 본 발명 투자 시스템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도 18은 도 16의 본 발명 투자시스템 실시예의 응용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구매자에게 주식을 배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벤처기업 A, B, C는 해당 회사의 수익금을 현금 및/또는 주식의 형태로 상품구매자(고객)에게 직접 배당하는 경우를 위한 것이고,
상장기업 D, E, F는 해당 회사의 수익금은 현금 및/또는 주식의 형태로 투자 중개기업(700)인 Z사에게 배당하고 상품구매자(고객)에게는 Z사의 수익금에서 현금 및/또는 주식의 형태로 대신 배당하는 방법을 예시하며 도 11과 관련된다.
또 상품권 발행/유통사(920)는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을 현금 대신 공지의 상품권 형식으로 구매할 수도 있음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9은 도 16의 본 발명 투자시스템 실시예의 다른 응용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16의 투자중개수단(700)의 기능 중 구매대금 관리 기능(730)을 분리하는 경우와 도 10의 작용과 관련하여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를 위한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을 포함하는 본 발명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기 위 한 것이다.
회계자동화 ASP 수단은 상품구매자(고객)에게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을 판매한 각 상품판매기업의 경영실적 정보를 포함한 회계정보의 신속하고 정확한 제공을 위하여 각 상품판매기업의 회계업무 처리의 자동화를 투자 중개수단에서 ASP 방식으로 지원하는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Z사 위탁 회계법인(750)은 투자중개수단(700)의 기능 중 투자기업의 회계 감사 기능을 외부에 위탁하는 경우의 본 발명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회계감사를 위한 각 회사의 경영실적 및 회계정보는 회계자동화 ASP 수단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수집하거나 및/또는 각 상품판매기업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계자동화 ASP 수단과 회계 법인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은 도 33에서 설명된다.
도 20은 도 16의 본 발명 투자시스템 실시예의 다른 응용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16의 본 발명 투자시스템을 통하여 상품판매기업이 상품구매자에게 유/무상 배당한 주식을 IPO(400) 상장 전에는 비공개 주식시장(300)에서 매매하고, IPO 이후에는 공개시장에서 매매 할 수 있게 각 주식시장(300,400)과 상품 판매 기업(110) 및 투자중개수단(700)간의 주식소유 정보를 동기화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아웃소싱 시장(900)은 신규 회사 창업자가 창업에 필요한 아웃소싱 업체정 보(910)를 투자중개수단(700)을 통하여 제공 받아 편리하게 아웃소싱 계약을 체결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1은 도 14의 본 발명 투자시스템 실시예의 다른 응용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20에서 예시된 본 발명 투자시스템 중 투자 중개 수단(700)이 제외된 시스템 구성으로서, 도 14의 직접 거래 방식을 통하여 상품판매기업이 상품구매자에게 유/무상 배당한 주식을 IPO(400) 상장 전에는 비공개 주식시장(300)에서 매매하고, IPO 이후에는 공개시장에서 매매 할 수 있게 각 주식시장(300,400)과 상품 판매 기업(110)간의 주식소유 정보를 동기화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아웃소싱 시장(900)도 신규 회사 창업자가 직접 접속하도록 되어있다.
도 22 내지 도 29는 본 발명 투자시스템의 투자중개수단(700)의 구성 블록(수단)별 화면 예시들이다.
도 22는 본 발명 투자중개수단(700) 사이트의 투자상품 메인 메뉴 화면 예시도로서, 본도는 광고영역(2201), 기능메뉴 영역(2207), 투자 대상 상품 목록 및 검색 영역(2209)의 3개의 영역으로 크게 구분되어 있다.
기능메뉴 영역(2207)은 본 발명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의 사용자 인터 페이스 구성의 예시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도면부호 2202의 메뉴를 클릭하면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특징과 구매 방법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고,
사용자가 도면부호 2203의 메뉴를 클릭하면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도 18의 상품권 발행사(920)에서 발행한 본 발명의 상품권 구입방법에 대한 설명과 상품권 구매수단에 온라인 접속되는 기능이 제공되고,
사용자가 도면부호 2204의 메뉴를 클릭하면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와 관련된 고객 보호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고,
사용자가 도면부호 2205의 메뉴를 클릭하면 도 24와 같은 현재 로그인 한 고객이 본 발명을 통하여 투자한 기업의 목록 화면이 제공되고,
사용자가 도면부호 2206의 메뉴를 클릭하면 현재 로그인 한 고객의 투자 예탁금 통장의 잔고 및 거래정보가 도 30 내지 도 32와 같은 방식으로 제공되도록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투자 대상 상품 목록 영역(2209)의 각각의 메뉴 아이콘은 투자상품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 실시업자의 사업상 판단에 따라 더 많거나 적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투자 대상 상품은 투자 대상 상품 목록 영역(2209)에 예시된 카테고리와 같이 모든 제조 상품들뿐만 서비스 상품도 포함될 수 있다. 또 단일 상품뿐만 아니라 번들로 판매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면 부호 2210은 카테고리 단위로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투자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도 23은 투자 중개 수단(700)의 투자 상품 소개(IR) 수단(704) 사이트에서의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 소개용 화면 예시도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도 22와 같은 투자 상품 메뉴화면의 온라인 교육 카테고리(2208)를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는 투자상품 소개 화면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 소개 정보는, 소속되는 상품 카테고리(2301)명, 제조 및 판매 회사정보(2302), 펀드(식별) 코드(2303), 제품명 및 제품특징(2304), 가격, 공동 구매 최소 인원(즉, 투자조합원) 수(2305), 포인트 제공 기준, 주식 및/또는 현금 배당 기준과 비율, 투자금 보호 수단, 판매약관(2306)에 대한 정보와 투자 신청수단/버튼(2307)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품 소개내용과 주식배당 약정 등 계약의 중요내용에 대해서는 변호사의 공증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펀드 식별 코드(또는 펀드코드)는 투자 상품 식별코드로서 도 35의 예시와 같이 상품매매와 관련된 구성블록간의 링크에 이용된다.
IR용 UCC는 TV 홈쇼핑의 상품 소개 동영상과 같은 방식으로 제작하고, 사용자의 선택(마우스 클릭)에 따라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3과 같은 상품 소개용 화면 즉 IR 페이지에는 그 투자상품의 사업성에 대한 투자 은행 등의 투자 전문가들의 질문/답변도 게시판 또는 UCC로 제공하여 일반 상품구매자(고객)가 투자시 참고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투자 상품 소개(IR) 수단(704)에서 소개할 본 발명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선택은, 수요조사의 차원에서 먼저 상품(예: TV)의 제조회사 등에 대한 상세 규격 없이 대략적인 상품정보(예:LCD TV 30인치 50만원대)만으로 잠재 구매신청을 받은 후 잠재 수요물량을 토대로 상품 판매기업들에게 제안요청을 한 후 가장 유리한 제안을 한 기업에서 제시한 제품 정보(예: 삼성전자 LCD TV 30인치 55만원)를 제공하고 상품 구매자로 부터 대금을 입금토록 한 후 상품 판매기업(예:삼성전자)와 정식 계약을 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도 24는 투자 중개 수단 사이트의 고객별 투자기업 목록 화면 예시도로서 도 22의 “내가 투자한 회사들 정보(2205)”와 같은 기능 메뉴에 의해 호출되고 도 25 내지 도 28과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의 투자기업들은 고객별 투자기업 포트폴리오 내역이면서 본 발명 적용 산업분야 및 투자가능 기업 형태의 예시이다.
상기 투자기업은 모두 상장기업이나, 고객이 주식을 종래기술에서처럼 공개 또는 비공개 시장에서 직접 구입 하지 않고 각 기업의 상품만 구매해도 해당 기업에서 고객에게 주식을 유상 또는 무상 배당하는 기업들인 것이 특징이다.
IPO 전까지는 실제 주식은 발행하지 않고 유상증자도 하지 않고 주식 유/무상 인수권과 연동되는 point만 제공하되, 이 포인트를 매매하는 시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것의 장점은 공격적인 경영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IPO 전까지는 경영정보는 고객에게 공개하되 창업팀만으로만 경영을 하는 방식으로 경영을 할 수 있다.
고객에게 배당되는 주식은 의결권이 없거나 제3자인 에스크로우 서비스를 하는 투자 중개 기업(Z사)과 투자기업간의 투자계약에 따라 의결권의 지분이 고정되고 고객 의결권의 행사는 고객을 대신하여 투자 중개 기업(Z사)이 행사하게 할 수 있다.
본 도와 같은 투자기업 목록은 고객별 단골 거래처 목록으로도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재구매시 상기 목록에서 거래할 기업의 URL를 클릭하면 원 클릭으로 해당 회사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사용자가 특정 회사정보 목록(예: 일렬번호 2 해당 회사, www.aa02.com)의 “포인트확보내역” 아이콘(버튼) 또는 “현금&주식배당내역”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 25 및 도 26과 같이 현재 로그인한 고객(홍길동)의 해당 회사와의 거래실적과 이익기여 활동 실적 및/또는 현금 및 주식배당 실적 등에 대한 상세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당방법에 있어서 직접배당은 상품 판매/제조 기업(100)에서 고객별로 현금배당 및 주식배당과 전달을 직접하고, 간접배당은 도 18의 D-1, E-1, F-1과 같이 외산품이나 단발성 구매 상품의 경우 투자 중개기업(700) 등과 같은 제3자 회사의 이익으로 고객별로 현금배당과 주식배당을 하거나 현금 배당 및 주식배당은 투자기업(100)에서 하고 고객에 대한 전달은 투자중개기업(700)에서 하되 투자기업(100) 주식 그대로 또는 투자중개기업(700) 등의 제3자 회사의 주식으로 대신할 수 있다.
도 25 - 도 28은 도 24와 관련하여 고객별 투자 기업별 포인트 확보 내역 화면과 포인트 기준 현금 및 주식 무상 배당 내역 화면 예시도로서 상품판매 기업(B 교육회사)이 상품구매자에게 직접 또는 투자 중개기업(Z사)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 및 도 27은 도 24의 “포인트확보내역” 아이콘과 링크되는 고객별 투자기업별 포인트 확보 내역 화면의 예시도로서, 각 고객이 상품판매기업(B회사)의 이익증대를 위한 활동내역과 이에 대한 포인트 제공내역 및 포인트 정산내역을 제공한다. 본도에는 포인트 제공분야를 상품구매, 홈페이지 방문 및 광고클릭, 사업협력으로 크게 3개로 분류하고 있으나 포인트 제공분야는 본 발명의 응용에서는 사업자의 판단에 따라 증감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상품 구입 또는 회원추천에 대한 포인트 환산 비율은 상품의 특징별로 다르게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원가가 고객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일반 제조 상품(농산물, 전자제품 등)은 포인트 비율을 낮게 하고 원가가 일정 숫자 까지는 고객이 증가해도 고정되거나 조금씩 증가하는 서비스 상품(통신, 인터넷 서비스, 대중운송 등)은 포인트 비율을 높게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인트는 주식배당을 받을 수 있다는 점 외에도 사업적인 측면에서 상품 판매기업 사이트에 주식을 보유한 고객의 많은 방문을 유도하게 된다. 즉 고객으로서는 포인트가 종래 기술에서처럼 현금 등가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기업의 주식으로 전환되고 고객은 해당 회사와 금전적인 거래 외에도 다양한 회사 이익 기여 수단이 있기 때문에 포인트를 적극적으로 적립하는 동기가 된다. 이 에 따라 회사의 이익이 그 만큼 더 증대되어 더 많은 주식을 배당 받을 뿐만 아니라 배당 받은 주식이 더 높은 시장가치를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도 26 및 도 28은 도 24의 “현금&주식배당내역” 아이콘과 링크되고 내용상으로는 각각 도 25 및 도 27에서 확보된 포인트와 관련되며, 고객별 투자기업별로 확보된 포인트를 기준으로 회사실적 결산주기 마다 투자회사의 이익을 현금 및/또는 주식의 형태로 상품구매자(고객)에게 배당한 내역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구성의 예시이다. 본도의 정산일자는 그 회사의 영업 또는 회계 결산 주기별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도의 정보 중,
1) 정산전 소유 주식수(A)에는 금회 정산 이전에 유상 또는 무상 배당한 주식수와 공개/비공개 시장에서 매매하여 현재 소유하고 있는 주식수이다.
2) 현금 배당과 주식 무상 배당은 실적 결산 후 발생된 회사 이익의 일정비율은 회사이익 기여실적(즉, 포인트 량)에 따라 배당하고, 다른 일정비율은 정산전 소유 주식수(A)에 따라 배당한 것임. 따라서 회사의 부가가치를 종래 기술에서처럼 주식 소유자(투자자) 뿐만 아니라 배당기간 중 적극적으로 회사 이익 증대에 기여한 고객에게도 현금 및/또는 유/무상 주식을 배당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임. 신주 유상배당도 본 발명의 기본철학인 고객의 경영참여 확대를 고려하여 고객 또는 구주 소유자에게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각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구매펀드 투자기업(L 농산물 유통회사)에서 고객 에게 처음 포인트 정산 시에 배당하는 무상배당 주식(2801)은 상품(상품펀드) 가격이 창업자금 형식으로 투자(지불)된 것이기 때문에 이후에 발생되는 포인트 보다 배당되는 이익(2802)이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정산되는 포인트는 현금 및/또는 주식 무상 배당 이외에 고객의 선택에 따라 해당 기업의 상품 구매 또는 본 발명 실시기업인 투자 중개기업(Z사)의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 구매펀드 투자금(상품권)으로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도 29는 투자기업별 고객정보 DB 데이터 구조 예시도로서, 본도의 정보 중,
1) 고객 ID, 비밀번호, 고객성명, 회원가입일자,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는 종래기술에서 고객정보 DB 구축시 입력되는 정보이고,
2) 주식 유/무상 배당 주수, 현금 배당액, 미정산 상품 구매 포인트, 미정산 광고클릭 포인트, 미정산 사업협력 포인트, 미정산포인트 계는 도 8 및 도 9, 도 25 및 도 27과 관련하여 고객별로 확보된 포인트를 기준으로 현금 및/또는 주식배당을 위한 정보이고,
3) 추천자 ID는 추천자 ID를 기준으로 각 고객별 추천자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서, 추천자별로 추천 가입된 회원(고객)의 포인트 점수를 확인하고 포인트 정산 시에 각 추천 가입된 고객의 포인트 점수에 일정 비율(예:10%)를 후원 포인트로 별도로 더 받을 수 있다. 후원 포인트 지급 대상 하위 단계는 일정단계(예: 1단계 - 2단계) 이내로 줄이고, 후원포인트 지급기간도 회원 가입(또는 본 발명 실시) 후 일정기간(예: 1년 - 2년) 내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후원포인트 제도는 공지의 네트워크 마케팅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방식을 응용하면 된다.
투자예탁금 계좌번호(2901)는 도 33, 도 35 및 도 36에 도면부호 811로 도시된 고객 투자 예탁금 계좌번호에 해당된다.
도 30 - 도 32는 도 10의 고객투자금 관리 방법 및 도 19의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의 작용과 관련된 고객 투자 예탁금 통장 총괄부 및 내역부 서식 예시도이다.
이 중 도 30은 고객 투자 예탁금 통장 총괄부 서식 예시도로서, 고객의 투자 예탁금의 예치내역, 본 발명의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구매(즉,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구매 펀드 투자) 내역, 상품 구매 펀드가 투자된 상품 판매 기업으로 부터 배당된 현금수입 내역, 소유주식 매각대금 수입 내역 등 고객이 예탁한 예탁금의 각 회사별 투자내역과 이를 통한 수익 내역을 총괄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본 도의 "내역부 page" 항목은 도 31 및 도 32와 같은 각 투자기업별 투자 내역부 페이지와의 링크를 위한 것이다. 본도의 총괄부는 도 31 및 도 32의 내역부와 같이 온라인 통장 방식 및/또는 종이에 프린트 되는 오프라인 통장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도의 일렬번호 6-8은 도 32와 관련하여 D-1, E-1, F-1 상품은 각각 도 18의 D사(116), E사(117), F사(118)에서 생산/판매하는 제품도 본 발명기술을 이용하 여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데, 일렬번호 12는 상기 D사, E사, F사의 상품구매에 대하여 D사, E사, F사 주식 대신에 이 회사들 상품의 구매를 중개한 제3자인 투자 중개기업(700)인 Z사의 주식을 무상 배당한 것(도 32참조)에 대한 배당금 수입이다.
일렬번호 17 및 18은 구매한 상품을 구매자의 의사 또는 판매기업의 하자로 구매를 취소하는 경우의 환불 방법을 예시한다.
도 31과 도 32는 고객 투자 예탁금 통장 내역부 서식 예시도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9 및 도 10과 관련하여 투자기업별 본 발명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구매(투자) 내역 및 이에 대한 현금 및/또는 주식 무상배당 내역 뿐만 아니라 유상 배당 내역과 주식 매매 등으로 인한 주식 소유 갱신내역도 통장에 기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2는 도 11 및 도 18의 예시와 같이 개별 기업의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 구매에 대한 투자 중개기업(700) 등 제3자 회사의 주식을 대신 배당 하는 것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D-1, E-1, F-1 은 단발성 구매상품, 창업기업 등 비상장 기업 상품 또는 수입품 등으로 해당 제품 제조/판매 기업과 계속적, 안정적으로 거래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상품에도 본 발명기술을 이용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D사, E사, F사의 상품 구매에 따른 이익을 제3자 회사인 투자 중개기업(Z사)이 인수하고 이들 상품 제조/판매 기업을 대신하여 자사(Z사)의 주식을 고객에게 배당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31 및 도 32의 예시에서와 같이 내역부에는,
1) 개별회사 투자내역 및 투자수입 내역이 기록되고,
2) 신주 무상 배당이나 현금 배당은 도 8 및 도 9의 예시와 같이 일정기간 단위(예: 회계기간)로 발생된 회사 이익금을 고객별 소유주식수와 포인트 정산결과를 토대로 배당한 것이고,
3) 도 20 및 도 21의 예시와 같이 소유주식을 공개 또는 비공개 시장에 매각한 정보는 투자중개수단(700) 사이트를 통해 제공받고 매각대금은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 금융서버(810)에 직접 송금된 것 임.
도 30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구매자가 상품만 구매함에도 불구하고 투자기업이 현금 및/또는 주식을 무상 배당하거나 저렴한 가격에 신주 유상배당을 할 수 있는 이유는,
1) 선불 예약 대량 판매로 인한 초과 이익발생
2) 본 발명을 통하지 않은 일반 고객에 대한 매출 이익도 존재
3) 충분한 자금조달과 충성도 높은 많은 고객확보를 기반으로 사업 분야의 확대 용이
4) 본 발명 펀드 투자(즉 본 발명 투자상품 구매) 고객의 경우 투자(상품구매) 회사가 고객의 회사이고, 관심(의지)만 있으면 별도의 자본(비용) 투자 없이 광고 클릭 등의 방법을 통해서도 투자회사의 이익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투자회사의 이익을 발생시키게 되고, 투자기업의 경우에도 자본조달 비 용 절감 이외에도 대량 판매로 인한 규모의 경제 효과와 주문생산 및 주문판매로 인한 시간비용, 금융비용, 마케팅 비용, 유통비용 감소 등을 통한 제조 및/또는 판매비용을 종래 기술을 이용하는 경쟁업체에 비하여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3 내지 도 37은 본 발명 투자시스템의 구성 블록과 작용을 상세히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 33은 도 19의 본 발명 투자시스템 실시 예를 기반으로 본 발명 투자 시스템의 구성 블록을 좀 더 상세히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구성 수단과 데이터베이스(DB)는 전술한 본 발명 각 순서도와 각 실시예의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 본 발명 각 작용들의 기능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 블록들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인터넷(1000); 인터넷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100), 및 인터넷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 단말기(600)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실시 예에 따라 인터넷에 연결된 투자 중개 수단(700), 인터넷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구매자금 관리수단(730), 인터넷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 및 인터넷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회계법인 단말기(750)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100)는,
도 16의 예시와 같이 투자 중개 수단(700)을 통하여 본 발명의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을 판매할 경우에는 상기 투자 중개 수단(700)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기능을 주로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포인트 제공수단(101), 포인트정산 및 현금/주식 배당수단(102), 회계정보 제공수단(103) 중 하나 이상의 수단; 및 포인트 DB(131), 현금/주식배당 DB(132), 회계/경영정보 DB(133) 중 하나 이상의 DB를 저장하는 수단(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 5, 도 14, 도 15 및 도 21의 예시와 같이 투자 중개 수단(700)을 통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상품 구매자(600)에게 직접 판매 할 경우에는 도 33의 도시된 판매기업 컴퓨터(100)의 구성 외에 상기 투자 중개 수단(700)의 구성 블록인 고객정보 등록수단(701), 투자상품 등록수단(703), 투자상품 소개(IR)수단(704), 고객정보 DB(721), 투자상품정보 DB(722), 상품매매정보 DB(723)와 상품 매매 중개 수단(705)과 같이 투자 상품을 매매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 매매 수단을 더 포함하여 서버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판매 기업 컴퓨터(100)의 구성 기능은, 용도(클라이언트 용도 또는 서버 용도)와 포함되는 상기 구성블록에 따라,
상품 구매자의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자사이익 및/또는 회사가치 중 일부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판매되는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의 판매를 위하여 주식배당 약정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약관과 약 관과 관련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정보를 직접 또는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에게 소개하는 기능;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와 직접 또는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상기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매매 계약을 체결하는 기능;
상기 매매 계약이 체결된 상품을 납품하는 기능;
상품 구매자의 상품 구매내역 및/또는 기업에 이익이 되는 활동을 기록하고 기록된 내역을 직접 또는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전달하는 기능;
상기 기록된 결과에 따라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고 직접 또는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전달하는 기능;
회사의 경영실적 정보를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에게 직접 또는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제공하는 기능; 중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투자 중개수단(700)은,
고객정보 등록수단(701), 상품대량매매 계약체결수단(702), 투자상품 등록수단(703), 투자상품 소개(IR)수단(704), 상품매매 중개수단(705), 기업별포인트정보 제공수단(706), 기업별배당정보 제공수단(707), 고객주식소유정보 제공수단(708), 회계자동화 ASP수단(709), 회계 및 경영정보 제공수단(710) 중 하나 이상의 수단; 및 고객정보 DB(721), 투자상품정보 DB(722), 상품매매정보 DB(723), 기업별포인트 DB(724), 기업별배당정보 DB(725), 고객별주식소유 DB(726), 기업별회계정보 DB(727) 중 하나 이상의 DB를 저장하는 수단(720); 을 포함하며, 포함되는 상기 구성블록의 수에 따라,
상품 구매자의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기업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판매되는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에게 대량으로 판매하기를 원하는 상품 판매기업과 특정상품의 대량 매매 중개 계약을 체결하는 기능;
상기 계약체결된 상품 판매기업으로 부터 주식배당 약정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약관과 약관과 관련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정보를 등록 받는 기능;
상기 등록된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에게 소개하는 기능;
상기 상품 구매자로부터 상기 등록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에 대한 주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문에 대응되는 구매대금을 상기 상품 구매자로부터 선불로 입금 받고 구매대금이 입금된 주문에 대하여 상기 상품 판매 기업에게 납품을 지시하고, 상기 주문된 상품에 대한 납품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상기 납품 지시한 상품의 대금을 상품 납품 전 또는 납품 후에 전부, 또는 전후에 각각 분할하여 상기 상품 판매 기업에게 지급하는 기능;
상품구매자의 상품구매를 포함하는 상기 상품 판매기업의 이익 기여활동 정보 및/또는 이를 통하여 취득한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해당 상품판매기업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기능;
상기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을 판매한 상품판매기업이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상기 포인트 소유자 및/또는 주식 소유자에게 소정의 기준에 따라 배당한 현금 및/또는 주식 배당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기능;
상품구매자가 취득한 상기 상품판매 기업별 주식을 공개된 주식시장 및/또는 비공개된 주식시장에서 매매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식소유 정보를 해당 주식시장 및/또는 해당 상품 판매기업으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상품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기능;
상기 상품 판매기업의 회계업무를 상기 상품 판매기업이 자체 설치 프로그램이 없이도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방식으로 온라인 모드에서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 및
상기 ASP 방식으로 처리되고 저장된 각 상품판매기업의 회계정보, 경영실적 정보, 및/또는 회계법인에서 등록한 각 상품판매기업별 회계감사 정보를 상기 상품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기능; 중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은,
상품주문정보 수신수단(731), 상품주문대금 수신수단(732), 상품납품정보 수신수단(733), 상품납품대금 지급수단(734) 중 하나 이상의 수단; 과 한 종류 이상의 상품별 상품구매펀드 DB(736)를 저장하는 수단(735); 및 각 상품별 상품구매펀드 DB(736)에 연동되는 펀드별 예탁금 계좌(741)와 예탁금 계좌의 입/출금 정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금융서버(740); 를 포함하며,
상기 매매 계약과 연동하여 상기 상품구매자로부터 상기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구매대금을 선불로 입금 받아 관리하고, 상기 상품 판매기업과 상기 상품 구매자가 상기 매매 계약을 이행 하는데 관련된 상품주문, 주문대금 납부, 주문상품 납품 및 납품대금 지급 등의 정보를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수신 및/또는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600)는,
각각의 상기 판매기업 컴퓨터(100)에 직접 또는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상기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 및/또는 주식을 보유한 상기 판매기업의 이익기여와 기여실적에 대응하여 상기 판매 기업에서 배당하는 현금 및/또는 주식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은,
상품투자를 위한 고객의 투자 예탁금과 투자 수익금을 관리하며,
투자예탁금 입/출금수단(801), 상품주문대금 이체수단(802), 배당정보 수신수단(803), 주식소유정보 수신수단(804), 거래내역통장 기재수단(805) 중 하나 이상의 수단; 및 하나 이상 고객의 고객별 투자예탁금 계좌(811)와 예탁금 계좌의 입/출금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서버(810); 를 포함하고,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상품 판매기업의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구매금액에 따라 일정금액의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 는 조건으로 판매되는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상품 투자 형식으로 구매하기를 원하는 고객의 상품 구매대금 결제를 위한 투자 예탁금의 입금 및 출금 정보와 상기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와 관련하여 해당 상품 판매기업에서 배당하는 현금 및/또는 주식 배당 정보, 상기 배당금 입금 및 출금 정보, 상기 주식의 매매로 인한 주식소유 변경 정보, 및/또는 상기 주식의 매매대금 입금 및 출금 정보를 고객별로 계좌(811)에 관리하는 기능;
상기 투자 예탁금 계좌(811)를 개설한 고객이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600)로 직접 또는 인터넷에 연결된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 매매 중개 서버인 제3자의 중개수단(700)을 통하여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을 주문하면 주문내역정보와 결제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고객의 투자 예탁금 계좌(811)에 상품주문 대금에 해당하는 예탁금 잔액이 있으면 해당 금액을 감액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상품 판매 기업 컴퓨터(100) 또는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700)에서 지정한 상품대금 입금 계좌(741)로 이체하는 기능;
상기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구매액 및/또는 상기 상품 구매자가 주식을 소유한 상품 판매기업(100)에 이익이 되는 활동을 한 실적에 따라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해당 상품 구매자(600)에게 배당한 정보를 상기 해당 상품 판매 기업 컴퓨터(100)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700)를 통하여 수신하여 해당 고객의 예탁금 계좌(811)에 저장하는 기능;
고객별 상기 각 상품 판매 기업의 주식소유 변경 정보를 해당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100)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매매 중개 서버인 제3자 의 중개수단(700)을 통하여 수신하여 해당 고객의 예탁금 계좌(811)에 저장하는 기능;
고객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별 예탁금 계좌(811)에 저장된 투자 예탁금의 입금 및 출금 내역, 상품 구매 내역, 배당금 입금 및 출금 내역, 주식배당내역, 주식소유정보 변경내역, 및/또는 주식의 매매 대금 입금 및 출금 내역 정보를 온라인 통장 및/또는 오프라인 통장에 기록하여 해당 고객(600)에게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 을 수행하는 인터넷에 연결된 금융서버로 구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계법인 단말기(750)는,
회계 감사수단(751); 및 회계감사정보 DB(752); 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판매기업의 회계정보 및/또는 경영실적 정보를 상기 판매기업 컴퓨터(100)로 부터 직접 또는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제공 받아 회계감사를 한 후 회계감사 정보를 상기 기업별회계정보 DB(727)에 저장한 후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직접 또는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상기 상품구매자 단말기(60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투자중개 수단(700), 상기 구매대금 관리수단(730), 상기 구매대금 관리수단 금융서버(740), 상기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100), 상기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 상기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수단 금융서버(810), 상기 구매자 단말 기(600) 및 상기 회계법인 단말기(750)는 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한 컴퓨터 또는 컴퓨터 기능을 하는 장치이고, 상기 인터넷(1000)은 유선 인터넷 및/또는 무선 인터넷을 포함한다.
상기 구매대금 관리수단(730), 상기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100), 상기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 상기 회계 법인 단말기(750), 상기 구매자 단말기(600)에 각각 포함되는 각 구성 수단은 본 발명 방법 실행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관련되는 테이터 저장모듈(DB)로서 상기 투자 중개수단(700)에서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 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각각의 컴퓨터 또는 장치의 각 구성수단 및 DB는 본 발명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예시로서 구성 및 제공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상기 각 수단 및 DB는 사업자의 사업상의 판단에 따라 각각 하나 이상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수행할 수 있고 각각의 기능은 더 큰 블록에 통합되거나 더 적은 블록으로 세분될 수 있다.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600) 및 상기 회계법인 단말기(750)는 인터넷 접속 기능이 있고 전자상거래를 할 수 있는 공지의 일반적인 사용자 컴퓨터 또는 같은 기능을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서 상품 구매자 단말기 및 회계법인 단말기라는 명칭 구분은 사용자의 컴퓨터 주이용 용도의 관점이며 실제로는 같은 컴퓨터를 상품 구매자 단말기 및/또는 회계 법인단말기로도 이용이 된다. 즉 같은 컴퓨터의 사용자가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100) 사용자, 상품 구매자 단말기(600) 사용자 및/또는 회계법인 단말기(750) 사용자가 될 수 있다.
상기 고객정보 등록수단(701)은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관리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등록되는 고객정보는 도 29의 예시와 같으며 고객정보 DB(721)에 저장되고 관리된다.
상기 상품매매 중개계약 체결수단(702)는 본 발명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상품구매자에게 회사주식의 일정비율(양)을 배당하는 조건으로 상품을 대량으로 판매하기를 원하는 상품 판매기업과 대량 매매 중개 계약을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계약체결 전에 상품의 품질, 가격 및 주식 지분률 등을 심사하는 과정; 및
오프라인 계약서 또는 전자서명 기술을 이용한 전자계약서에 의한 매매 계약서 작성 과정; 을 포함하며 계약체결 전에 해당 상품에 대한 다수 상품 구매자로부터 수요조사를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전자계약에는 약관에 의한 계약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자상품 등록수단(703)은 상품판매기업(100)이 상기 상품매매 중개계약이 체결된 상품소개 정보를 등록하는 수단으로서 등록된 정보는 상기 투자상품 정보 DB(722)에 저장되고 관리된다. 등록되는 상품소개 정보는 UCC(User Created Contents) 방식의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자상품 소개(IR)수단(704)은 상기 투자상품 정보 DB(722)에 저장된 상품소개 정보를 도 22 및 도 23과 같은 화면을 이용하여 상품 구매자 단말기에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는 공지의 쇼핑몰 사이트와 같이 구현하면 된다.
상기 상품매매 중개수단(705)는 상기 투자상품 소개(IR) 수단(704)을 통해 소개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주문을 상품구매자 단말기(600)로부터 받아 상기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이 상품대금을 선불받고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100)에게 상품대금을 선불한 상품구매자(600)에게 주문된 상품을 납품지시하고 납품이 완료되면 상품대금을 상품판매기업(100)에게 지급하도록 제어하고, 상품의 주문, 대금입금, 납품, 대금지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상품매매정보 DB(723)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구매자금 관리수단(730)의 기능 중 상기 상품 주문정보 수신수단(731), 상기 상품 주문대금 수신수단(732), 상기 상품 납품정보 수신수단(733), 상기 상품 납품대금 지급수단(734)의 기능은 상기 상품 매매 중개수단(705)에서 직접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기업별 포인트정보 제공수단(706)은 본 발명을 통하여 주식배당부 상품을 구매한 상품구매자가 상품거래를 포함하는 회사(기업) 이익 기여활동을 통하여 취득한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해당 상품판매기업 컴퓨터(1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기업별 포인트 DB(724)에 저장한 후 도 25 및 도 27과 같은 화면을 통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 단말기(6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업별 배당정보 제공수단(707)은 본 발명을 통하여 주식배당부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판매기업(100)이 회사 이익 및/또는 회사가치 중 일정액을 상품구매자별로 상기 포인트 및 소유주식을 기준으로 배당한 현금 및/또는 주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업별 배당정보 DB(725)에 저장한 후 도 26 및 도 28과 같은 화면 통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고객)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객주식소유정보 제공수단(708)은 상품구매자(고객)가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상품구매를 통하여 취득한 상품판매 기업별 주식을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공개된 주식시장(400) 및/또는 비공개된 주식시장(300)에서 매매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식소유 정보를 해당 주식시장 및/또는 해당기업(100)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고객별 주식소유 DB(726)에 저장한 후 도 24, 도 31 및 도 32와 같은 화면 또는 통장을 통하여 해당 상품구매자(또는 단말기)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계자동화 ASP수단(709)는 도 19의 실시예와 관련되며,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상품 판매기업(100)의 회계업무를 기업이 자체 설치 프로그램이 없이도 상기 투자중개수단(700)에 접속하여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버용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기업별 회계정보 DB(723)가 구축된다. 상기 서버용 컴퓨터 프로그램인 회계자동화 ASP수단(709)에 대응되는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인 상기 회계정보제공수단(103) 또한 상기 투자중개수단(700)에서 회계자동화 ASP수단(709)의 이용과 관련하여 다운로드 하여 상품판매기업 컴퓨터(100)에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계 및 경영정보 제공수단(710)은 상기 회계자동화 ASP수단(709)를 통해서 상기 기업별회계정보 DB(727)에 저장된 각 상품판매기업의 회계정보, 경영실적 정보, 및/또는 상기 회계법인(750)의 각 상품판매기업별 회계감사 정보를 본 발명의 상품구매자(고객) 단말기에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주식배당부 판매상품 구매 등)와 관련하여 요청시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투자중개수단(700)은 상기 상품판매기업(100)과 상기 상품구매자(600) 사이의 본 발명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매매에 따른 에스크로우 서비스, 잠재 상품구매자를 대신하여 상품판매기업과의 본 발명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대량매매(공동구매) 중개 계약 체결, 본 발명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을 상품구매자에게 소개, 상품구매자의 회사이익 기여에 대한 상품판매기업의 주식배당 등 상기 계약이행에 대한 보증 및 감시 등 상품 판매기업과 상품 구매자간의 계약에 있어서 제3자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보험회사, 금융회사 등 상품 판매기업과 상품 구매자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는 기업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은 상기 상품 매매 중개수단(705)의 기능과 연동되고 제어를 받으며, 상기 상품 매매 중개 수단(705)을 통하여 도 19, 도 34 및 도 36의 예시와 같이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상품별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구매펀드 DB(736)를 구축하고 각 상품구매 펀드에 연동되는 상품구매 펀드계좌(741)를 개설하고, 상품구매자로부터 상품구매 대금을 선불 받아 펀드계좌에 입금하고, 상품구매 대금 입금내역 정보를 상기 투자중개수단(700) 및/또는 해당 상품판매기업 컴퓨터(100)에 송신하고, 상품구매자(600)에게 납품된 상품의 대금을 상품구매자를 대신하여 상품판매기업(100)에 지불하고, 미납품된 상품구매 대금은 해당 상품구매자(600)에게 환불한 후, 펀드관리 결과 정보를 상기 투자중개수단(700)에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의 기능은 상기 상품 매매 중개 수단(705)에서 직접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펀드별 예탁금 계좌(741)의 개설 및 예탁금의 입/출금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서버(740)의 기능은 공지 기술에서는 주로 은행, 증권회사 등의 금융기관의 업무에 속하는 것이고, 펀드별 예탁금 계좌의 개설방법은 같은 금융기관에 각각 다른 다수의 상품 구매펀드 계좌(741)를 개설하거나, 각 투자회사(상품 판매회사)의 주거래 금융기관에 해당 상품 구매펀드 계좌(741)을 개설하되 예금주는 해당 상품 판매 기업(100)이 아니라 투자중개기업(700) 또는 구매대금 관리 수단(730) 실시 기업 등 본 발명의 에스크로우 서비스 사업자 명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공지의 증권회사나 투자은행 등 금융기관의 업무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지의 증권회사의 투자 예탁금 계좌와 달리 하나의 통장으로 투자 예탁금 입금 및 출금 관리 뿐만 아니라 상품구매, 상품구매 기업으로 부터의 현금배당 및/또는 주식배당, 주식 매매대금의 입금 및 출금 관리, 및/또는 본 발명의 주식소유 내역 관리까지 하나의 통장으로 가능하게 하는 상품 투자를 위한 투자 예탁금과 투자 수익금 관리를 위한 새로운 금융서버로서, 다수의 개별 고객의 투자 예탁금을 관리하기 때문에 여러 금융기관들의 서버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의 기능 또한 금융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구매대금 관리수단(730)과 상기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의 기능은 하나의 금융기관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은 본 발명 실시업자의 사업상 판단에 따라 본 발명 시스템 구성에서 제외하여도 본 발명의 요지를 구현하는데 문제가 없다. 이 경우 공지 기술의 무통장 입금이나 인터넷 송금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계약에 따라 오프라인 경로를 통해서도 주식을 배당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투자중개수단(700)이 상기 구매대금 관리수단(730), 상기 고객투자예탁금 관리수단(800) 및 회계법인(750)의 기능을 포함하게 될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은 도 16의 예시와 같이 상기 인터넷(1000), 상기 상품판매기업 컴퓨터(100), 상기 상품구매자 단말기(600) 및 제 3자인 상기 투자중개수단(700)을 포함하는 형태로 간단히 도시할 수도 있다.
상기 회계법인(750)의 회계감사 기능 또한 상기 투자중개수단(700)에 통합시키거나 상기 회계 및 경영정보 제공수단(710)에서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 실시업자의 사업상의 판단에 따라 상기 회계법인(750)의 회계감사 기능을 본 발명 시스템 구성에서 제외하여도 본 발명 요지를 구현하는 문제가 없다.
상기 상품주문정보 수신수단(731)은 상기 상품매매 중개수단(705)으로부터 도 23과 같은 판매(투자) 상품 정보와 그 상품에 대한 공동(대량) 구매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상품별 구매펀드 DB(736)를 구축하고 이것에 연동되는 상품별 펀드계좌(741)를 개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품주문대금 수신수단(732)은 상기 수신된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주문 대금을 고객별로 선불 받아 해당 상품펀드 계좌(741)에 입금하고 입금내역 정보를 해당 상품구매펀드 DB(736)에도 저장하고 상기 상품매매 중개수단(705) 및/또는 상기 판매기업 컴퓨터(100)에 송신하여 납품지시를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품납품정보 수신수단(733)은 상기 수신된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납품결과 정보를 해당 상품구매자(60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상품구매펀드 DB(736)에 저장하고 상기 상품매매 중개수단(705) 및/또는 상기 판매기업 컴퓨터(10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납품대금 지급수단(734)은 상기 납품된 상품의 구매대금을 상기 상품판매기업(100)에 지급하고, 미 납품된 상품의 구매대금을 해당 상품 구매자(600)에게 환불하고 대금지급 및/또는 대금환불 내역정보를 해당 상품구매펀드 DB(736)에 저장하고 상기 상품매매 중개수단(705)에도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투자예탁금 입/출금수단(801)은,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상품 판매기업의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구매금액에 따라 일정금액의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판매되는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상품 투자 형식으로 구매하기를 원하는 고객의 상품 구매대금 결제를 위한 투자 예탁금의 입금 및 출금 정보와 상기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금액에 따라 해당 상품 판매기업에서 배당하는 현금 및/또는 주식 배당 정보, 상기 배당금 입금 및 출금 정보, 상기 주식의 매매로 인한 주식소유 변경 정보, 및/또는 상기 주식의 매매대금 입금 및 출금 정보를 도 30과 같이 고객별로 저장관리 할 수 있도록 도 29의 투자 예탁금 계좌번호(2901)와 같이 투자예탁금 계좌(811)를 개설하고 예탁금 및/또는 수익금을 입금하거나 출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품주문대금 이체수단(802)은 투자 예탁금 계좌(811)를 개설한 상품구 매자(고객)가 상기 상품매매 중개수단(705)을 통하여 상품을 주문하면 주문내역정보와 결제정보를 수신한 후 상품주문 대금에 해당하는 예탁금 잔액이 있으면 해당 고객의 투자예탁금 계좌(811)에서 상기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의 해당 상품구매 펀드계좌(741)로 상품주문 대금을 이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탁금 잔액이 부족하면 일정금액의 범위 내에서 계좌개설 금융기관이 자동 대출할 수도 있다.
상기 배당정보 수신수단(803)은, 상기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구매액 및/또는 상기 상품 구매자가 주식을 소유한 상품 판매기업에 이익이 되는 활동을 한 실적에 따라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한 정보를 상기 해당 상품 판매 기업 컴퓨터(100)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기업별배당정보 제공수단(707)을 통하여 수신하여 해당 고객의 예탁금 계좌(811)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주식소유 정보 수신수단(804)는, 상기 해당 상품판매기업 컴퓨터(100)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고객주식소유정보 제공수단(708)을 통해 고객별 각 상품 판매 기업의 주식소유(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고객의 예탁금 계좌(811)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거래내역 통장 기재수단(805)은, 상기 투자예탁금 입/출금 수단(801), 상기 상품주문대금 이체수단(802), 상기 배당정보 수신수단(803) 및/또는 상기 주 식소유정보 수신수단(804)을 통하여 고객별 투자예탁금 계좌(811)에 저장된 투자 예탁금의 입금 및 출금 내역, 상품 구매(투자) 내역, 배당금 입금 및 출금 내역, 주식배당내역, 주식소유정보 변경내역, 및/또는 주식의 매매대금 입금 및 출금 내역 정보를 도 30 내지 도 32와 같이 온라인 통장 및/또는 오프라인 통장에 기록하여 해당 고객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포인트 제공수단(101)은 본 발명의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구매고객의 회사 이익기여 활동에 대하여 도 25 및 도 27과 같이 포인트를 제공하여 상기 포인트 DB(131)에 고객별로 저장하고 해당 고객에게 직접 또는 상기 기업별 포인트정보 제공수단(706)을 통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포인트정산 및 현금/주식 배당수단(102)은 상기 고객별로 저장된 미 정산 포인트에 대하여 도 8, 도 26 및 도 28과 같이 정산하여 상기 현금/주식 배당 DB(132)에 고객별로 저장하고 해당 고객 및/또는 상기 배당정보 수신수단(803)에 직접 또는 상기 기업별 배당정보 제공수단(707)을 통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계정보 제공수단(103)은 회사의 재무 및 회계업무를 상기 회계자동화 ASP 수단(709)을 통해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정보를 상기 회계/경영정보 DB(133)에 저장하고 일정기간(예:연간 또는 분기 결산기간) 단위로 회계정보 및/또는 경영실적 정보를 직접 또는 상기 회계 및 경영정보 제공수단(710)을 통해 고객에게 제공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33의 투자 중개수단(700)은 구매대금 관리수단(730) 사업자 정보,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 사업자 정보, 상품 판매기업(100) 정보, 회계법인(750)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 34는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에서의 에스크로우 서비스를 위한 상품 구매 펀드 관련 DB들의 데이터 구조 및 DB들간의 연동 관계 구성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품 구매 펀드 색인 DB(3401)는 도 33의 상품별 구매펀드 DB(736)들의 주문정보 중 상품명, 상품모델(규격 포함), 판매회사, 판매회사 ID, 단가와 대금납부 계좌와 같은 공통정보들로만 구성되는데, 펀드코드(08-000002)에 의해 도 35의 예시와 같이 관련되는 DB들과 연동된다. 따라서 상품 구매 펀드 색인 DB(3401)의 정보와 상품 구매펀드 DB(3402)의 정보는 상품 구매펀드 DB(3402)에 하나로 통합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하다.
상품 구매펀드 DB(3402)는 도 33의 도면부호 736에 해당되며 특정 펀드코드를 가지는 상품에 대한 주문자(고객), 주문일자, 주문량, 주문금액, 대금입금, 납품, 및 대금지급에 관한 정보로 구성되며 펀드코드에 의해 다른 DB들과 연동된다.
상품 펀드 계좌(3403, 3404, 3405)는 도 33의 도면부호 741에 해당되며 상기 상품 구매 펀드 색인 DB(3401)에 저장된 각 펀드별 대금납부 계좌번호 수와 같 은 개수로 구성되는데 도 34의 펀드코드 08-000002의 상품펀드는 3개의 은행에 대금납부를 위한 펀드계좌가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은행별로 1개씩 총 3개의 펀드 계좌로 구성되며 포함되는 데이터는 각각의 주문에 대해 펀드코드, 고객명과 고객의 고유식별번호(주민등록번호), 입금액 및 입금일자 등과 같은 필요한 최소의 데이터로 구성되고 펀드코드 및 주민번호에 의해 상품 구매펀드 DB(3402)와 연동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각 DB 사이의 고객정보 연동을 위한 고객의 고유식별번호로는 상기 주민등록번호 대신에 투자 중개 수단(700) 사이트의 회원(고객) ID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면 부호 3406는 구매대금 정산시 까지 상품의 대금을 입금하지 않는 주문 정보로서 주문취소로 처리한 경우를 예시하고, 도면 부호 3407은 상품구매자가 주문을 취소하였거나 상품판매기업(100)의 사정으로 납품을 하지 못해 상품대금을 환불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펀드 계좌가 개설된 은행 중에서 그 펀드 자금이 투자될 상품 판매회사의 주 거래은행을 지정할 경우 회사 운영자금 대출을 위한 신용확보에 유리하다. 주거래은행의 지정방법은 해당 회사 상품 투자 펀드 계좌 개설은행 중에서 상품 판매 회사에게 신용대출 등에서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는 은행을 해당 상품 판매 회사가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5는 본 발명 투자상품 매매 및 에스크로우 서비스와 관련된 구성블록간의 펀드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링크의 예시도로서, 예시된 바와 같이 투자상품 정보 DB(722), 상품매매 정보 DB(723) 및 기업별 배당 정보 DB(725)를 포함하는 투자 중개 수단(700), 상품 구매펀드 색인 DB(3401)와 특정 상품(펀드코드 08-000002) 구매펀드 DB(736)를 포함하는 구매대금 관리수단(730), 현금/주식 배당 DB(132)를 포함하는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100), 특정 상품(펀드코드 08-000002) 펀드 계좌(741)를 포함하는 구매대금 관리 수단(730)의 금융 서버(740), 및 고객투자 예탁금 계좌(811)를 포함하는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의 금융서버(810)는 펀드코드(08-000002)를 통하여 상호 연동(데이터 링크)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또 상기 투자상품 정보 DB(722), 상품매매 정보 DB(723) 및 기업별 배당 정보 DB(725) 사이, 상품 구매펀드 색인 DB(3401)와 특정 상품(펀드코드 08-000002) 구매펀드 DB(736) 사이도 펀드 코드(08-000002)로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100)의 현금/주식 배당 DB(132)는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본 발명 시스템의 이익공동체 관계 성립 단계에서의 주문정보는 펀드코드별로 주문 및/또는 납품 지시를 받고 납품 및 상품대금을 영수하면 계약에 따라 펀드코드 단위로 계약된 지분의 현금 및/또는 주식을 고객별 납품금액 단위 또는 전체 고객조합 납품 금액 단위로 배당하고 배당정보를 현금/주식 배당 DB(132)에 저장하고 투자 중개수단(700)의 기업별 배당정보 DB(725)를 통하여 상품 구매자(600)에게 제공하는데 관련된 것으로서 주문정보에 펀드코드를 포함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도 7의 공동 이익 추구 단계에서의 주문정보와 배당하는 현금 및/또는 주식의 지분율에서 차등을 둘 수 있게 된다.
도 36은 투자 중개 수단(700)의 투자상품 정보 DB(722)와 상품매매 정보 DB(723)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상품구매 펀드 DB(736)와 펀드 계좌(741) 및 고객투자 예탁금 계좌(811)간 데이터 링크 및 정보 흐름을 위한 관계 구성 예시도로서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구성블록과 관련된다.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의 저장수단(735)에 구축되는 상품 구매펀드 색인 DB(3401)는 도 34의 예시와 같이 투자 중개 수단(700)의 투자상품 정보 DB(723)에 등록한 투자상품의 정보 중 펀드코드를 통해 각 주문정보에서 공통적으로 참조할 수 있는 정보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34의 예시에서와 같이 등록되는 특정 펀드 코드를 키필드로 하는 레코드 정보들은 주문한 상품의 공통 식별정보(상품명, 상품모델, 판매회사, 회사 ID, 단가 등)와 구매대금 입금 계좌 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품 구매 펀드 DB(736)는 투자 중개 수단(700)의 상품 매매 정보 DB(723)에 저장된 상품 구매자의 주문정보를 펀드코드를 키필드로 하여 수신하여 등록한 후 펀드코드로 연동되는 상품구매 펀드 계좌(741)의 입금내역에 따라 대금 입금 정보를 갱신한다.
도 34의 예시에 따라 08-000002 상품 구매 펀드 DB와 08-000003 상품 구매 펀드 DB는 국민은행, 기업은행, 및 우리은행의 금융서버(740)에 상품대금 입금을 위한 각각의 상품구매 펀드 계좌(741)를 가지고 있고, 도 34의 예시와 같이 각각의 펀드 계좌는 펀드코드와 대금 납부자의 주민번호로 해당 상품구매 펀드 DB와 연동되어 상품 주문 고객의 대금납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부호 810은 고객투자 예탁금 계좌(811)와 계좌별 예탁금의 입/출금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의 금융서버(810)로서 다수 금융기관의 금융서버를 포함하는 바, 각각의 금융서버별로 다수 고객의 투자 예탁금 계좌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고객은 구매대금 관리 수단(730)의 상품구매 펀드 계좌(741)가 개설된 금융기관이 고객의 투자 예탁금 계좌(811)가 개설된 금융기관과 같은 경우 송금 수수료 등을 고려하고 같은 금융기관에 개설된 펀드 계좌에 상품대금을 이체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반면에 하나 은행에 고객투자 예탁금 계좌를 개설한 고객의 경우 어떤 금융기관에 개설된 펀드 계좌(741)에 상품대금을 이체하더라도 타 은행 송금이기 때문에 고객의 형편 또는 선호에 따라 입금은행을 선택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구매 자금 관리수단(730)의 상품 구매 펀드 계좌(741)와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수단(800)의 고객 투자 예탁금 계좌(811)간의 데이터 링크는 펀드코드와 고객의 주민등록번호(또는 고객 ID)로 할 수 있다.
또 노인 등 인터넷 사용이 곤란하거나 인터넷 접속환경이 구비되지 않은 상품구매자는 투자중개수단(700)을 통하지 않고 투자예탁금 통장으로도 상품구매(투자)를 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방법은 투자예탁금 관리 금융기관(800)에 투자예탁금 통장, 펀드코드, 주문수량, 상품구매자의 투자중개 수단 사이트의 고객 ID 또는 주민등록번호만 제공하면 나머지 주문절차는 상품구매자를 대신하여 투자예탁금 관리 금융기관(800)이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고객 투자 예탁금 관리 금융기 관(800)은 필요시 종래의 서면 송금신청서와 같이 상기 구매 신청 정보를 기재한 서면 신청서류를 받을 수 있다.
펀드코드는 신문광고 등의 상품광고 형식으로 고객에게 공지될 수 있다.
또 고객이 본 발명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을 친지에게 선물로 구매하는 경우에 주식인수권은 대금 납부자 또는 선물수령자가 가질 수 있다. 다만 선물구매의 경우 선물수령 거부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물수령자의 선물수령 동의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물구매의 경우 전술한 상품 납품의 수령인은 상품주문자가 아니라 상품주문자가 지정하는 투자 중개 기업 고객이 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상기 도 34의 상품구매 펀드 DB(3402)에 등록되는 각 주문정보에는 상품수령자와 납품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에의 납품확인 정보등록은 상품구매자(선물제공자) 또는 상품 수령자가 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본 발명 상품권으로도 선물을 할 수 있는데 특정상품 구매와 연동되는 펀드코드, 투자 중개수단(700) 사이트의 ID 및 상품 가격 해당 금액의 디지털 형태의 본 발명상품권을 이메일 등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면, 선물수령자가 투자중개 수단(700)에 로그인 후 선물수령에 동의를 하면 즉시 선물 수령자의 상기 고개 투자 예탁금 계좌(811)에 상품권 금액이 이체 입금되고 상품권 수령자를 주문자(구매자)로 하여 해당 펀드코드를 가진 상품의 주문 절차가 자동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선택에 따라 상기 상품권에 의한 선물의 경우에도 상품권 대금 결제 인(선물제공자)이 주식 및/또는 현금을 배당 받도록 주문처리가 될 수 있다.
도 37은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의 에스크로우 서비스를 위한 도 34 내지 도 36에 도시된 본 발명 시스템의 각 구성블록간의 정보 흐름 및 작용 순서 예시도로서, 에스크로우 서비스 외에 상품구매 펀드자금의 관리 방법도 예시하며,
상품판매기업이 투자중개수단(700)에 본 발명 특정 투자상품 정보를 등록하는 3701 단계;
투자중개수단(700)이 펀드코드를 새로 부여한 후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에 특정(08-000002) 투자상품 색인정보를 전송하면 도 34의 예시와 같이 투자상품 구매펀드 색인 DB(3401)에 등록되는 3702 단계;
펀드코드로 상호 식별되는 도 34의 예시와 같은 펀드 코드 08-000002 상품 구매펀드 DB(3402)를 새로 구축하고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에 연동되는 펀드 계좌(3403, 3404, 3405)를 개설하는 3703 단계;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이 투자 중개수단(700)으로부터 펀드 코드 08-000002를 위한 상품 구매자(주문자) 정보와 상품수령자 정보 및 상품구매자/고객별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펀드 코드 08-000002 상품 구매펀드 DB(3402)에 등록하는 3704 단계;
주문고객으로부터 상품 대금을 영수하면 입금내역을 해당 펀드 DB(3402)의 해당 고객의 주문정보에 기록하고 투자 중개수단(700) 또는 상품 판매기업(100)에 통지하는 3705 단계;
다른 구매자가 있으면 3704 단계 및 3705 단계를 반복 실행하는 3706 단계;
주문 상품 판매 기업(100)이 주문된 상품을 해당 고객(상품수령자)에게 납품하면 고객이 납품내역을 해당 펀드 DB(3402)의 해당 고객 주문정보에 등록하는 3707 단계;
미 납품된 주문이 있으면 상품구매자에게 상품대금을 환불하고 3711 단계를 실행하는 3709 단계;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이 해당 상품 판매 기업(100)에 납품된 상품 대금을 지급하는 3710 단계; 및
구매대금 관리수단(730)이 상품 펀드 관리 결과를 투자 중개수단(700)에 통지하는 3711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각 실시 예에서 따로 예시하지 않았지만 투자 중개수단(700)의 매매 중개에 대한 비용과 수수료는 상품 판매기업(100) 또는 상품 구매자(600)가 전액 부담; 또는 각각이 분담토록 징수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비용과 수수료 징수방식의 예시로는 상품 판매기업(100)의 경우 지급할 상품 대금에서 공제하거나 따로 징수할 수 있고 상품 구매자는 상품 구매대금에 추가로 포함시키거나 따로 징수 및/또는 배당 받은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대체토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도 38은 종래기술의 벤처 투자조합과 본 발명의 투자조합의 특징 비교표로서 종래 기술의 투자조합은 사모펀드, 공모펀드 및/또는 투자은행의 투자신탁 계정의 펀드를 포함한다.
도 39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투자 싸이클(Cycle) 과정의 특징 비교표로서, 투자에서 일반적인 투자 싸이클인 투자금 조달 -> 투자처 선정 -> 투자처 관리 -> 투자금 회수에 있어서의 비교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본 명세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예시로서 제공된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응용범위는 상기 실시 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의 사업상의 판단에 따라 상기 예시들을 참고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는 이들 변형 기술들도 포함된다.
투자유치 기업 또는 상품 구매자(투자자)가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서 얻게 되는 효과 및 이익은 다음을 포함한다.
1. 투자유치 기업이 적은 비용으로 필요한 자금 조달을 할 수 있게 된다.
2. 많은 숫자의 충성 고객확보가 자금조달과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투자 유치 기업이 적은 판매비용으로도 많은 매출과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3. 상품 생산 기업이 예약 주문에 따라 상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됨으로서 생산비용과, 유통비용 및 관리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4. 상품구매자가 상품 구매 자체만으로도 고 수익 배당이 가능한 상품 판매 기업의 주식을 무료 또는 염가로 취득할 있게 됨으로서 종래 기술에서는 투자여력이 전혀 없는 소득이 적은 소비자(구매자)들 까지도 우량회사의 주식을 소유할 수 있게 된다.
5. 상품 구매자가 주식을 소유한 회사에 대하여 금전투자 이외에 관심표명 만으로도 그 회사 이익에 기여할 수 있고 그로 인한 이익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6. 상품 구매자가 투자 중개인을 거치지 않고 적은 자금으로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투자를 할 수 있고 조기에 고 수익을 받을 수 있는 투자를 할 수 있게 된다.
7. 상품구매자가 투자 예탁금 통장을 이용하여 온라인 및/또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편리하게 상품을 구매하고 이에 대한 수익과 거래내역을 통장으로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8. 상품구매자(투자자)가 투자기업의 경영실적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9. 투자 상품과 투자기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정보 비 대칭성을 최소화 하여 일반 투자자(상품구매자)도 안심하고 편리하게 직접투자를 할 수 있게 됨으로서 대리인 비용을 없애거나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10. 투자유치 기업이 투자유치를 위한 복잡한 절차와 복잡한 서류작성을 하지 않고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1)

  1. 인터넷을 이용한 투자 방법에 있어서,
    상품 구매자의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자사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상품을 판매하기를 원하는 상품 판매기업으로 부터 주식배당 약정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약관과 약관과 관련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한 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에게 소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로부터 상기 등록된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주문을 받고 주문 대금을 선불하게 하는 단계;
    대금이 입금된 구매주문 내역을 확인하여 상기 상품 판매기업에게 납품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판매기업이 주문된 상품을 납품 후 상기 대금을 지급한 상품 구매자 또는 상품 수령자에게 약관에서 정한 금액의 현금 및/또는 자사 주식을 무상 또는 유상 배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익공동체 관계 성립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2. 인터넷을 이용한 투자 방법에 있어서,
    상품 구매자의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기업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판매되는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에게 대량으로 판매하기를 원하는 상품 판매기업과 특정상품의 대량 매매 중개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계약체결된 상품 판매기업으로 부터 주식배당 약정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약관과 약관과 관련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정보를 등록 받는 단계;
    상기 등록된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에게 소개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등록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에 대한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응되는 구매대금을 상기 상품 구매자로부터 선불로 입금 받고 구매대금이 입금된 주문에 대하여 상기 상품 판매 기업에게 납품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주문된 상품에 대한 납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납품 지시한 상품의 대금을 상품 납품 전 또는 납품 후에 전부, 또는 전후에 각각 분할하여 상기 상품 판매 기업에게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 매매 중개 단계;
    상품구매자의 상품구매를 포함하는 상기 상품 판매기업의 이익 기여활동 정보 및/또는 이를 통하여 취득한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해당 상품판매기업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기업별 포인트정보 제공 단계;
    상기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을 판매한 상품판매기업이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상기 포인트 소유자 및/또는 주식 소유자에게 소정의 기준에 따라 배당한 현금 및/또는 주식 배당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품구매자가 취득한 상기 상품판매 기업별 주식을 공개된 주식시장 및/또는 비공개된 주식시장에서 매매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별 주식소유 정보를 해당 주식시장 및/또는 해당 상품 판매기업으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상품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품 판매기업의 회계업무를 상기 상품 판매기업이 자체 설치 프로그램이 없이도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방식으로 온라인 모드에서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ASP 방식을 통해서 처리되고 저장된 각 상품판매기업의 회계정보, 경영실적 정보, 및/또는 회계법인에서 등록한 각 상품판매기업별 회계감사 정보를 상기 상품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3. 인터넷을 이용한 투자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판매기업 컴퓨터 또는 제3자의 중개수단이 상품 구매자의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자사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상품을 판매하기를 원하는 상품 판매기업 으로부터 주 식배당 약정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약관과 약관과 관련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한 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가 상기 판매기업 컴퓨터 또는 상기 중개수단에 상기 등록된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 주문을 하는 단계:
    상기 판매기업 컴퓨터 또는 상기 중개수단의 지시에 따라 상기 상품 구매자가 주문 상품 구매대금을 상기 상품 판매기업 또는 상기 제3자에게 선불 하는 단계;
    상기 상품대금이 상기 제3자에게 지급 되었으면 상기 투자 중개수단이 상기 판매기업 컴퓨터에 대금이 입금된 주문의 납품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상품대금이 상기 제3자에게 지급 되었으면 상기 제3자가 상기 납품 지시한 상품의 대금을 상품 납품 전 또는 납품 후에 전부, 또는 전후에 각각 분할하여 상기 상품 판매 기업에게 지급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기업이 주문상품을 납품 후 상기 상품 대금을 지급한 구매자 또는 상품 수령자에게 약관에서 정한 금액의 현금 및/또는 자사 주식을 무상 또는 유상 배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익공동체 관계 성립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가 주식을 배당 받은 상기 판매기업의 상품을 계속 구매 및/또는 상기 판매기업에 이익이 되는 활동을 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기업이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의 구매액 및/또는 기업 이익 기여 활동에 대하여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고 직접 또는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동 이익 추구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이익 배당 단계는,
    상기 판매기업이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의 구매액 및/또는 기업 이익 기여 활동을 포인트로 계산하고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에게 직접 또는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 회사가 상기 상품 판매기업으로 부터 상기 상품 구매자별로 배당되는 주식을 해당 상품구매자들을 대신하여 인수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들에게 그대로 전달하거나 제3자 회사의 주식으로 대신 배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중개에 대한 수수료를 상품 판매기업, 상품구매자 또는 각각에게 분담 청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8. 인터넷을 이용한 투자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 구매자의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자사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상품을 판매하기를 원하는 상품 판매기업으로 부터 주식배당 약정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약관과 약관과 관련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한 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에게 소개하는 수단;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로부터 상기 등록된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주문을 받고 주문 대금을 선불 하게 하는 수단;
    대금이 입금된 구매주문 내역을 확인하여 상기 상품 판매기업에게 납품을 지시하는 수단; 및
    상기 상품 판매기업이 주문된 상품을 납품 후 상기 대금을 지급한 상품 구매 자 또는 상품 수령자에게 약관에서 정한 금액의 현금 및/또는 자사 주식을 무상 또는 유상 배당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이익공동체 관계 성립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
  9. 인터넷을 이용한 투자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 구매자의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기업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판매되는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에게 대량으로 판매하기를 원하는 상품 판매기업과 특정상품의 대량 매매 중개 계약을 체결하는 상품 매매 중개계약 체결수단;
    상기 계약체결된 상품 판매기업으로 부터 주식배당 약정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약관과 약관과 관련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정보를 등록 받는 투자상품 등록수단;
    상기 등록된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에게 소개하는 투자상품 소개수단;
    상기 상품 구매자로부터 상기 등록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에 대한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주문에 대응되는 구매대금을 상기 상품 구매자로부터 선불로 입금 받고 구매대금이 입금된 주문에 대하여 상기 상품 판매 기업에게 납품을 지시하는 수단; 상기 주문된 상품에 대한 납품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또는 상기 납품 지시한 상품의 대금을 상품 납품 전 또는 납품 후에 전부, 또는 전후에 각각 분할하여 상기 상품 판매 기업에게 지급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상품 매매 중개수단;
    상품구매자의 상품구매를 포함하는 상기 상품 판매기업의 이익 기여활동 정보 및/또는 이를 통하여 취득한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해당 상품판매기업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포인트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기업별 포인트정보 제공수단;
    상기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을 판매한 상품판매기업이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상기 포인트 소유자 및/또는 주식 소유자에게 소정의 기준에 따라 배당한 현금 및/또는 주식 배당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기업별 배당정보 제공수단;
    상품구매자가 취득한 상기 상품판매 기업별 주식을 공개된 주식시장 및/또는 비공개된 주식시장에서 매매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식소유 정보를 해당 주식시장 및/또는 해당 상품 판매기업으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상품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고객주식소유정보 제공수단;
    상기 상품 판매기업의 회계업무를 상기 상품 판매기업이 자체 설치 프로그램이 없이도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방식으로 온라인 모드에서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회계자동화수단; 및
    상기 회계자동화 수단을 통해서 처리되고 저장된 각 상품판매기업의 회계정보, 경영실적 정보, 및/또는 회계법인에서 등록한 각 상품판매기업별 회계감사 정보를 상기 상품구매자에게 제공하는 회계 및 경영정보 제공수단;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인터넷에 연결된 투자 중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
  10. 인터넷을 이용한 투자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판매기업 컴퓨터 또는 제3자의 투자 중개수단이 상품 구매자의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자사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상품을 판매하기를 원하는 상품 판매기업 으로부터 주식배당 약정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약관과 약관과 관련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한 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수단;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가 상기 판매기업 컴퓨터 또는 상기 중개수단에 상기 등록된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 주문을 하는 수단:
    상기 판매기업 컴퓨터 또는 상기 중개수단의 지시에 따라 상기 상품 구매자가 주문 상품 구매대금을 상기 상품 판매기업 또는 상기 제3자에게 선불 하는 수단;
    상기 상품대금이 상기 제3자에게 지급 되었으면 상기 투자 중개수단이 상기 판매기업 컴퓨터에 대금이 입금된 주문의 납품을 지시하는 수단;
    상기 상품대금이 상기 제3자에게 지급 되었으면 상기 제3자가 상기 납품 지 시한 상품의 대금을 상품 납품 전 또는 납품 후에 전부, 또는 전후에 각각 분할하여 상기 상품 판매 기업에게 지급하는 수단; 및
    상기 판매기업이 주문상품을 납품 후 상기 상품 대금을 지급한 구매자 또는 상품 수령자에게 약관에서 정한 금액의 현금 및/또는 자사 주식을 무상 또는 유상 배당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이익공동체 관계 성립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
  11. 투자 시스템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인터넷;
    상품 구매자의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자사이익 및/또는 회사가치 중 일부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판매되는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의 판매를 위하여 주식배당 약정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약관과 약관과 관련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정보를 직접 또는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에게 소개하는 수단;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와 직접 또는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상기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매매 계약을 체결하는 수단;
    상기 매매 계약이 체결된 상품을 납품하는 수단;
    상품 구매자의 상품 구매내역 및/또는 기업에 이익이 되는 활동을 기록하고 기록된 내역을 직접 또는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전달하는 수단;
    상기 기록된 결과에 따라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고 직접 또는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전달하는 수단; 및
    회사의 경영실적 정보를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에게 직접 또는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제공하는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인터넷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 및
    상기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각각의 상기 판매기업 컴퓨터에서 직접 또는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구매하고 및/또는 주식을 보유한 상기 판매기업의 이익기여에 관련된 활동을 하고 상기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와 이익 기여실적에 대응하여 상기 판매 기업에서 배당하는 현금 및/또는 주식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은,
    상품 구매자의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기업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판매되는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에게 대량으로 판매하기를 원하는 상품 판매기업과 특정상품의 대량 매매 중개 계약을 체결하는 상품 매매 중개계약 체결수단;
    상기 계약체결된 상품 판매기업으로 부터 주식배당 약정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약관과 약관과 관련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 소개정보를 등록 받는 투자상품 등록수단;
    상기 등록된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에게 소개하는 투자상품 소개수단;
    상기 상품 구매자로부터 상기 등록된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에 대한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주문에 대응되는 구매대금을 상기 상품 구매자로부터 선불로 입금 받고 구매대금이 입금된 주문에 대하여 상기 상품 판매 기업에게 납품을 지시하는 수단; 상기 주문된 상품에 대한 납품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또는 상기 납품 지시한 상품의 대금을 상품 납품 전 또는 납품 후에 전부 또는 각각 분할하여 상기 상품 판매 기업에게 지급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상품 매매 중개수단;
    상품구매자의 상품구매를 포함하는 상기 상품 판매기업의 이익 기여활동 정보 및/또는 이를 통하여 취득한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해당 상품판매기업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기업별 포인트정보 제공수단;
    상기 주식배당부 판매 상품을 판매한 상품판매기업이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상기 포인트 소유자 및/또는 주식 소유자에게 소정의 기준에 따라 배당한 현금 및/또는 주식 배당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기업별 배당정보 제공수단;
    상품구매자가 취득한 상기 상품판매 기업별 주식을 공개된 주식시장 및/또는 비공개된 주식시장에서 매매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식소유 정보를 해당 주식시장 및/또는 해당 상품 판매기업으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상품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고객주식소유정보 제공수단;
    상기 상품 판매기업의 회계업무를 상기 상품 판매기업이 자체 설치 프로그램이 없이도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방식으로 온라인 모드에서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회계자동화 수단; 및
    상기 회계자동화 수단을 통해서 처리되고 저장된 각 상품판매기업의 회계정보, 경영실적 정보, 및/또는 회계법인에서 등록한 각 상품판매기업별 회계감사 정보를 상기 상품구매자에게 제공하는 회계 및 경영정보 제공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은,
    상품 구매자의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기업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상품 판매를 원하는 상품 판매기업과 특정상품의 대량 매매 중개 계약을 체결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
  14. 제9항,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중개에 대한 수수료를 상품 판매기업, 상품구매자 또는 각각에게 분담 청구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
  15.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가 주식을 배당 받은 상기 판매기업 상품의 계속 구매내역 및/또는 상기 판매기업에 이익이 되는 활동을 기록하는 수단; 및
    상기 판매기업이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의 구매액 및/또는 기업 이익 기여 활동에 대하여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고 직접 또는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전달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공동 이익 추구 수단; 을 더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이익 배당 수단은,
    상기 판매기업이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의 구매액 및/또는 기업 이익 기여 활동을 포인트로 계산하고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상기 상품 구매자에게 직접 또는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제공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
  17. 제8항, 제9항,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기업으로 부터 상기 상품 구매자별로 배당되는 주식을 해당 상품구매자들을 대신하여 인수하여 해당 상품 구매자들에게 그대로 전달하거나 제3자 회사의 주식으로 대신 배당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
  18.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상품 판매기업의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구매금액에 따라 일정금액의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판매되는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상품 투자 형식으로 구매하기를 원하는 고객의 상품 구매대금 결제를 위한 투자 예탁금의 입금 및 출금 정보와 상기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와 관련하여 해당 상품 판매기업에서 배당하는 현금 및/또는 주식 배당 정보, 상기 배당금 입금 및 출금 정보, 상기 주식의 매매로 인한 주식소유 변경 정보, 및/또는 상기 주식의 매매대금 입금 및 출금 정보를 고객별로 계좌에 관리하는 수단;
    상기 투자 예탁금 계좌를 개설한 고객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직접 또는 상기 중개수단을 통하여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을 주문하면 주문내역정보와 결제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고객의 투자 예탁금 계좌에 상품주문 대금에 해당하는 예탁금 잔액이 있으면 해당 금액을 감액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해당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 또는 상기 중개수단에서 지정한 상품대금 입금 계좌로 이체하는 수단;
    상기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구매액 및/또는 상기 상품 구매자가 주식을 소유한 상품 판매기업에 이익이 되는 활동을 한 실적에 따라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한 정보를 상기 해당 상품 판매 기업 컴퓨터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중개수단을 통하여 수신하여 해당 고객의 예탁금 계좌에 저장하는 수단;
    고객별 상기 각 상품 판매 기업의 주식소유 변경 정보를 해당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중개수단을 통하여 수신하여 해당 고객의 예탁금 계좌에 저장하는 수단;
    고객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별 예탁금 계좌에 저장된 투자 예탁금의 입금 및 출금 내역, 상품구매 내역, 배당금 입금 및 출금 내역, 주식배당내역, 주식소유정보 변경내역, 및/또는 주식의 매매대금 입금 및 출금 내역 정보를 온라인 통장 및/또는 오프라인 통장에 기록하여 해당 고객에게 제공하는 수단; 중 하나 이상의 수단; 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객투자 예탁금 관리수단; 및/또는
    상기 상품 판매기업의 회계정보 및/또는 경영실적 정보를 상기 판매기업 컴퓨터로 부터 직접 또는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제공 받아 회계감사를 한 후 회계감사 정보를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직접 또는 상기 제3자의 중개수단을 통하여 상기 상품구매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회계법인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
  19.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소개정보는,
    제품명, 규격, 가격 및/또는 납품기한 등을 포함하는 상품소개 정보와 주식 및/또는 현금 배당액 등을 포함하는 현금 및/또는 주식배당 약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
  20. 인터넷에 연결된 금융서버에 있어서,
    상기 금융서버는 인터넷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 단말기, 인터넷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 및 상기 상품 구매자와 상기 상품 판매기업 사이에서 상품 매매중개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에 연결된 제3자의 중개수 단과 함께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의 구성블록으로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상품 판매기업의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구매금액에 따라 일정금액의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판매되는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상품 투자 형식으로 구매하기를 원하는 고객의 상품 구매대금 결제를 위한 투자 예탁금의 입금 및 출금 정보와 상기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와 관련하여 해당 상품 판매기업에서 배당하는 현금 및/또는 주식 배당 정보, 상기 배당금 입금 및 출금 정보, 상기 주식의 매매로 인한 주식소유 변경 정보, 및/또는 상기 주식의 매매대금 입금 및 출금 정보를 고객별로 계좌에 관리하는 수단;
    상기 투자 예탁금 계좌를 개설한 고객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직접 또는 상기 중개수단을 통하여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을 주문하면 주문내역정보와 결제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고객의 투자 예탁금 계좌에 상품주문 대금에 해당하는 예탁금 잔액이 있으면 해당 금액을 감액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해당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 또는 상기 중개수단에서 지정한 상품대금 입금 계좌로 이체하는 수단;
    상기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구매액 및/또는 상기 상품 구매자가 주식을 소유한 상품 판매기업에 이익이 되는 활동을 한 실적에 따라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한 정보를 상기 해당 상품 판매 기업 컴퓨터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중개수단을 통하여 수신하여 해당 고객의 예탁금 계좌에 저장하는 수단;
    고객별 상기 각 상품 판매 기업의 주식소유 변경 정보를 해당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중개수단을 통하여 수신하여 해당 고객의 예탁금 계좌에 저장하는 수단;
    고객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별 예탁금 계좌에 저장된 투자 예탁금의 입금 및 출금 내역, 상품구매 내역, 배당금 입금 및 출금 내역, 주식배당내역, 주식소유정보 변경내역, 및/또는 주식의 매매대금 입금 및 출금 내역 정보를 온라인 통장 및/또는 오프라인 통장에 기록하여 해당 고객에게 제공하는 수단; 중 하나 이상의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투자를 위한 투자 예탁금과 투자 수익금 관리를 위한 인터넷에 연결된 금융서버.
  21. 인터넷을 이용한 투자 예탁금과 투자 수익금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인터넷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자 단말기, 인터넷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 및 상기 상품 구매자와 상기 상품 판매기업 사이에서 상품 매매중개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에 연결된 제3자의 중개수단과 함께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시스템의 구성을 위하여 포함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인터넷에 연결된 금융서버를 통하여 수행되며,
    상품 선불예약 구매에 대하여 상품 판매기업의 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구매금액에 따라 일정금액의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하는 조건으로 판매되는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을 상품 투자 형식으로 구매하기를 원하는 고객의 상품 구매대금 결제를 위한 투자 예탁금의 입금 및 출금 정보와 상기 주식배당부 판매상품의 구매와 관련하여 해당 상품 판매기업에서 배당하는 현금 및/또는 주식 배당 정보, 상기 배당금 입금 및 출금 정보, 상기 주식의 매매로 인한 주식소유 변경 정보, 및/또는 상기 주식의 매매대금 입금 및 출금 정보를 고객별로 계좌에 관리하는 단계;
    상기 투자 예탁금 계좌를 개설한 고객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직접 또는 상기 중개수단을 통하여 주식 배당부 판매 상품을 주문하면 주문내역정보와 결제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고객의 투자 예탁금 계좌에 상품주문 대금에 해당하는 예탁금 잔액이 있으면 해당 금액을 감액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해당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 또는 상기 중개수단에서 지정한 상품대금 입금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상기 주식 배당부 판매상품 구매액 및/또는 상기 상품 구매자가 주식을 소유한 상품 판매기업에 이익이 되는 활동을 한 실적에 따라 기업이익 및/또는 기업가치 중 일부를 현금 및/또는 주식으로 해당 상품 구매자에게 배당한 정보를 상기 해당 상품 판매 기업 컴퓨터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중개수단을 통하여 수신하여 해당 고객의 예탁금 계좌에 저장하는 단계;
    고객별 상기 각 상품 판매 기업의 주식소유 변경 정보를 해당 상품 판매기업 컴퓨터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중개수단을 통하여 수신하여 해당 고객의 예탁금 계좌에 저장하는 단계;
    고객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별 예탁금 계좌에 저장된 투자 예탁금의 입금 및 출금 내역, 상품구매 내역, 배당금 입금 및 출금 내역, 주식배당내역, 주식소유정보 변경내역, 및/또는 주식의 매매대금 입금 및 출금 내역 정보를 온라인 통장 및/또는 오프라인 통장에 기록하여 해당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투자를 위한 투자 예탁금과 투자 수익금 관리 방법.
KR1020070058610A 2007-06-14 2007-06-14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3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610A KR20090003530A (ko) 2007-06-14 2007-06-14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610A KR20090003530A (ko) 2007-06-14 2007-06-14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530A true KR20090003530A (ko) 2009-01-12

Family

ID=4048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610A KR20090003530A (ko) 2007-06-14 2007-06-14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5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3185A (zh) * 2021-09-10 2021-12-07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用于现金投资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2393359B1 (ko) * 2020-12-16 2022-05-02 주식회사 리츠크라우드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359B1 (ko) * 2020-12-16 2022-05-02 주식회사 리츠크라우드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WO2022131763A1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리츠크라우드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13763185A (zh) * 2021-09-10 2021-12-07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用于现金投资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nnent Guide to financial management: understand and improve the bottom line
US8671043B2 (en) Server for supporting an exchange transaction
JP5308026B2 (ja) 売り出された債券の最適なプライシング及び割当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5226886B2 (ja) 資産運用商品の直接リースに係るリース取引サーバ、リース取引プログラム及びリース取引支援方法
JP2015109112A (ja) 金融商品等交換取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金融商品等交換取引システム及び商品交換取引方法
EP1429269A2 (en) Disintermediated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US20050038723A1 (en) Storage medium storing a lease transaction program, lease transaction system and lease transaction method for financial and related instruments
KR2010007213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및 시스템
US20040107154A1 (en) Storage medium storing a disintermediated financial transaction program, disintermediated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disintermediated financial transaction method
KR2009000353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구매와 연동된 투자 방법 및 시스템
JP2015043243A (ja) 金融商品等リース取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金融商品等リース取引システム及び金融商品等リース取引方法
KR2009001887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소액 기반의 모험투자 방법 및 시스템
JP2004213642A5 (ko)
JP2014056620A (ja) 仲介排除金融取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仲介排除金融取引システム及び仲介排除金融取引方法
JP4122309B2 (ja) 有価証券リース取引サーバ
JP4471227B2 (ja) リース取引サーバ、リース取引プログラム及びリース取引支援方法
Khanna Financial and Economic Analysis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JP4471228B2 (ja) リース取引サーバ、リース取引プログラム及びリース取引支援方法
JP2004355608A5 (ko)
JP2004192624A (ja) 仲介排除金融取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仲介排除金融取引システム及び仲介排除金融取引方法
JP2007265455A5 (ko)
JP2006146961A (ja) 金融商品等交換取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金融商品等交換取引システム及び商品交換取引方法
Rowling Tax and Wealth Strategies for Family Businesses
Le et al. Entering a new market: commercial banks and small/micro enterprise lending in Vietnam
JP2007265456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