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440B1 -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440B1
KR102476440B1 KR1020220013114A KR20220013114A KR102476440B1 KR 102476440 B1 KR102476440 B1 KR 102476440B1 KR 1020220013114 A KR1020220013114 A KR 1020220013114A KR 20220013114 A KR20220013114 A KR 20220013114A KR 102476440 B1 KR102476440 B1 KR 102476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eutral
business
greenhouse gas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황유식
유권일
김병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리워즈
주식회사 그리너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리워즈, 주식회사 그리너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리워즈
Priority to KR102022001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with the personal data of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발자의 탄소중립 기술에 대한 랏(Lot)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랏 정보에 대해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여 상기 NFT를 상기 랏 정보의 소유권으로 제공하고, 경매를 통해 상기 NFT의 거래를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O SHARE BLOCKCHAIN-BASED CARBON-NEUTRAL TECHNOLOGY TRANSACTION DATA}
아래의 설명은 탄소중립 기술을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기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기체들 가운데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를 온실가스라고 한다. 온실가스로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프레온, 오존 등이 있다. 물론, 자연적인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데에는 수증기가 가장 큰 역할을 맡고 있지만,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 기체로는 이산화탄소가 가장 대표적이다.
지구 온난화는 20세기 후반부터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집중호우, 가뭄, 태풍 등의 이상기후 현상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현재와 같은 오염 수준이 계속된다면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멀지 않은 장래에 인류와 생태계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로 인해,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협조에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수송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국제적인 산업은 물론이고, 대중교통 이용하기나 소등하기 등 일상생활에서도 범용적인 활동 형태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량에 대한 정량 모니터링 기술의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1554호(등록일 2012년 01월 26일)에는 온실가스 감축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탄소중립(온실가스 감축) 기술의 소유 및 거래를 지원하여 개인 및 기업이 탄소중립 기술을 활성화함으로써 탄소중립 사회를 구현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투명한 정보 공개는 물론이고, 공신력 있는 평가자(validator)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기술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지원할 수 있다.
온실가스 감축 기술의 예상 온실가스 감축량 정보를 전문가에 의해 검증을 받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사업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해당 기술이 더 많은 온실가스 감축 사업으로 진행될 경우 기술 소유자에게 더 많은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기술의 정보와 온실가스 감축사업으로 진행된 결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투명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개발자의 탄소중립 기술에 대한 랏(Lot)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랏 정보에 대해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여 상기 NFT를 상기 랏 정보의 소유권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경매를 통해 상기 NFT의 거래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랏 정보는 상기 탄소중립 기술의 상세설명 자료,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및 모니터링 방법론, 개발 이력 데이터, 이해관계자 정보, 및 시장 현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랏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탄소중립 기술의 유효성과 온실가스 감축량을 검증하는 단계; 및 검증 결과를 상기 랏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원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된 온실가스 감축량을 기준으로 상기 NFT의 가격을 설정하여 경매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원하는 단계는, 상기 NFT의 가격을 설정하여 상기 랏 정보와 함께 경매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원하는 단계는, DID(Decentralized Identifier)를 통한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친 후에 개인 블록체인 지갑을 등록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경매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탄소중립 기술이 적용된 사업에 대해 온실가스 감축량에 따른 실적(credits)을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개발자와 상기 NFT의 소유자 간의 분배 비율에 따라 상기 실적에 의한 수익을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으로 온실가스 감축 기술 정보에 대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통해 감축되는 온실가스 양을 관리하고 탄소 크레딧 거래를 통해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온실가스 감축기술에 대한 신뢰도 향상, 소유권 보장, 기업들의 감축기술 보급 활성화, 개인의 온실가스 감축기술을 소유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사업 활성화에 참여하는 길을 열어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발적 탄소중립 사업 거래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중립 사업 플랫폼의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중립 사업 등록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중립 사업 거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중립 사업 수익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중립 사업 수익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술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통한 수익 분배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탄소중립(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탄소중립(온실가스 감축) 기술 정보에 대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탄소중립 사업을 거래하는 기술 환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들은 검증된 그린뉴딜 및 기업의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통한 탄소중립 사업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고, 이때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탄소중립 사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발적 탄소중립 사업 거래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탄소중립 사업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사업, 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한 사업 등을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개인(101)이 탄소중립 사업으로서 운영자(operator)(103)에 의해 등록된 제로-카본 비즈니스 또는 개발자(developer)(104)에 의해 등록된 제로-카본 프로젝트에 선 투자함으로써 탄소중립 활동에 따른 실적(credits)(즉, 탄소 크레딧)을 확보할 수 있는 선도 거래를 지원할 수 있다.
개인(101)은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 상에 등록된 탄소중립 사업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선 투자를 진행할 수 있고 이후 자신이 구매한 탄소중립 사업을 통한 제로-카본 실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개인(101)은 자신이 구매한 탄소중립 사업을 상쇄자(offsetter) 역할의 기업(102)에 판매하거나 자신이 확보한 제로-카본 실적인 온실가스 감축량을 다른 개인에게 선물하기 가능하다.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탄소중립 사업에 대해 방법론 검증(methodology validation)을 통한 평가 기능, 탄소중립 사업과 관련된 데이터나 정보를 블록체인 엔진(110)에 기록 및 관리하는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또는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에 등록된 탄소중립 사업을 통해 확보한 제로-카본 실적을 거래할 수 있는 현물 거래를 지원할 수 있다.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기업이나 국가 공공기관, 단체 등 탄소중립 및 RE100 선언에 참여하는 기업(102)의 헤징(hedging) 전략으로 제로-카본 실적을 거래할 수 있다.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탄소중립 사업에 대한 보상으로서 개인(101)을 대상으로 선도 거래에 따른 수익을, 운영자(103)나 개발자(104)를 대상으로 현물 거래에 따른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제로-카본 실적으로서 제로-카본 비즈니스와 제로-카본 프로젝트에 의한 CER(Carbon Emission Reductions)과 VER(Voluntary Emission Reductions), 및 iREC(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를 발행할 수 있다.
제로-카본 비즈니스는 사용자가 장소, 시설,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활동이 증가하는 사용자 기반 감축 사업을 의미할 수 있고, 제로-카본 프로젝트는 온실가스 감축 시설, 사업 행위를 통해 일정량의 온실가스 감축이 발생되는 일반 감축 사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CER은 CDM, P-CDM, SDM, Offset 등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을 통해 발행되고, VER은 온실가스 감축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실적 평가 엔진(credit valuation engine)을 통해 발행되며, iREC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발행될 수 있다.
실적 평가 엔진의 경우 평가자(validator)(105)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활동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거쳐 VER을 발행할 수 있다.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탄소중립 사업을 통해 발행된 CER, VER, iREC를 전용 가상화폐(이하, 'ZC 코인'이라 칭함)로 코인화(전환 또는 환전)할 수 있다. 이때, CER은 VER와 달리 국제적으로 통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CER과 VER의 가치가 다르며, iREC는 재생에너지 발전량으로 CER, VER과 가치가 다르고, 이에 따라 ZC 코인으로의 환율 또한 다르게 적용된다.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상쇄자 역할을 하는 기업(102)의 헤징(hedging) 전략으로 제로-카본 실적인 CER, VER, iREC를 거래할 수 있다.
일례로, 상쇄자는 가상 지갑을 이용하여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에 ZC 코인을 바로 송금하는 방식으로 제로-카본 실적을 구매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쇄자는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 상에 등록된 탄소중립 캠페인에 대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체결한 후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ZC 코인을 송금하는 방식으로 제로-카본 실적을 구매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탄소중립 캠페인을 통해 상쇄자의 투자를 유도하고 목표하는 투자금이 모이면 탄소중립 캠페인에 해당되는 사업을 제로-카본 비즈니스 또는 제로-카본 프로젝트의 유형으로 운영하게 되는데, 이때 실제 운영을 통해 발생되는 제로-카본 실적을 해당 탄소중립 캠페인에 투자한 개인이나 기업에 분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중립 사업 플랫폼의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로-카본 프로젝트나 제로-카본 비즈니스를 탄소중립 사업으로 등록하고 관련 데이터를 연계시킬 수 있다(S21~S22).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개인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플랫폼 상에 등록된 탄소중립 사업에 대한 선도 거래를 지원할 수 있고, 이때 선도 거래 대상이 되는 탄소중립 사업에 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23).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개인이나 기업이 플랫폼 상에 등록된 탄소중립 사업을 구매한 경우 판매 수익을 해당 사업의 투자금으로 제공할 수 있다(S24~S25).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플랫폼 상에 등록된 탄소중립 사업을 제로-카본 프로젝트 또는 제로-카본 비즈니스의 유형으로 운영하게 되는데, 이때 실제 운영을 통해 발생되는 데이터는 블록체인 엔진에 기록될 수 있다(S26).
운영자에 의해 등록된 제로-카본 비즈니스 또는 개발자에 의해 등록된 제로-카본 프로젝트가 운영되는 시스템 측에서도 마찬가지로 해당 사업 운영에 따른 데이터가 블록체인 엔진에 기록될 수 있다(S27).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탄소중립 사업을 구매한 개인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해당 사업에 대해 블록체인 엔진에 기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출한 후 온실가스 감축량에 따른 제로-카본 실적을 발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중립 사업 등록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개발자에 의한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등록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며, 운영자에 의한 제로-카본 비즈니스를 등록하는 절차 또한 도 3의 절차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개발자에 의해 개발된 제로-카본 프로젝트에 대해 방법론 검증을 통한 평가를 거쳐 탄소중립 사업으로 등록할 수 있다(S31).
이때,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개발자에 의해 등록된 제로-카본 프로젝트에 대해 관련 데이터를 연계하여 탄소중립 레지스트리(registry)(310)에 저장한다.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탄소중립 사업 등록 시점에 마켓 플레이스(320)를 통해 개발자에 의해 등록된 제로-카본 프로젝트에 대한 선도 거래를 지원할 수 있다.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플랫폼 상에 탄소중립 사업으로 등록된 제로-카본 프로젝트가 실제 운영되는 경우 사업 운영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S32).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단계(S32)에서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온실가스 감축량에 따른 제로-카본 실적을 발행할 수 있다(S33). 온실가스 감축량에 따른 제로-카본 실적은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선도 거래한 개인이나 기업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중립 사업 거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개발자에 의한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거래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며, 운영자에 의한 제로-카본 비즈니스를 거래하는 절차 또한 도 4의 절차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인(101)은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 상에 탄소중립 사업으로 등록된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구매할 수 있다(S41).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개인(101)이 구매한 제로-카본 프로젝트에 대해 개인(101)의 구매에 따른 판매 수익을 해당 사업의 개발자(104)에게 선 투자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S42).
개인(101)은 상쇄자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업(102)에 자신이 구매한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통한 탄소중립 참여를 요구할 수 있다(S43).
탄소중립 참여를 요구받은 기업(102)은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을 통해 개인(101)이 요구한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구매한 후(S44)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통한 기업 탄소중립을 선언할 수 있다(S45).
한편, 개인(101)은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 또는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과 연계된 커뮤니티 플랫폼을 통해 관계가 설정된 다른 개인인 친구(106)를 대상으로 자신이 구매한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통한 제로-카본 실적인 온실가스 감축량을 선물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S46).
친구(106)는 개인(101)으로부터 온실가스 감축량을 선물로 받아 개인 탄소중립에 참여할 수 있다(S47).
개인(101)이 구매한 제로-카본 프로젝트가 실제 운영됨에 따라 사업 운영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이 선도 거래 개인(101), 탄소중립 선언 기업(102), 탄소중립 참여 개인(106)에게 이전될 수 있다(S48).
따라서, 탄소중립 사업 거래가 가능한 플랫폼(100)을 통해 개인 및 기업의 자발적인 탄소중립 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중립 사업 수익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개발자에 의한 제로-카본 프로젝트 수익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운영자에 의한 제로-카본 비즈니스 수익 구조 또한 도 5의 수익 구조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개발자(104) 입장에서는 개발한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판매하는 방식으로 온실가스 감축량을 공유할 수 있으며,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통한 감축량 판매금을 투자금으로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개인(101)이나 기업(102)을 대상으로 개발자(104)에 의한 제로-카본 프로젝트에 대한 광고를 집행할 수 있고, 이때 광고 집행에 따른 광고 수익을 해당 광고를 소비한 개인(101)이나 기업(102)에게 분배할 수 있다.
탄소중립 선언 기업(102)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감축량에 대한 구매 비용을 지불하여 탄소중립에 참여 가능한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구매할 수 있다.
평가자(105)를 포함한 검증 인력 입장에서는 개발자(104)에 의한 제로-카본 프로젝트에 대해 방법론 검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검증 비용을 수익으로 받을 수 있다.
개인(101) 입장에서는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 상에 등록된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선도 거래 방식으로 구매할 수 있다. 특히, 개인(101)은 상쇄자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업(102)에 자신이 구매한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통한 탄소중립 참여를 요구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이 구매한 제로-카본 프로젝트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량을 친구에게 선물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제로-카본 프로젝트에 대해 선도 거래 과정에서 개인(101)이 구매할 수 있는 단가와 현물 거래 과정에서 기업(102)이 구매할 수 있는 단가가 다르게 책정된다. 다시 말해, 구매 시점의 차이로 구매 단가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때 개인(101)은 시세 차익에 따른 수익 일부를 받을 수 있다.
구매 시의 가격 결정은 사업 개발자가 시스템에 등록하는 시점에 설정한 크레딧 가격에 구매시점과 등록시점의 EU-ETS 직전 월 기준 1년 평균가격의 증감율을 연동하여 산출된다. 구매시점의 가격은 (사업개발자 시스템 등록가격×(구매시점 EU-ETS 직전 월 기준 1년 평균가격/등록시점 EU-ETS 직전 월 기준 1년 평균가격))로 계산된다. 추세적으로 EU-ETS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어 구매시점의 크레딧 가격이 더 높게 형성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먼저 구매한 개인의 제1 단가보다 높게 구매한 기업의 제2 단가로 인해 개인은 투자의 시세차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매 시 가격 결정은 구매하는 시점의 EU-ETS 가격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기업이 개인 선도거래 이후 전체 물량을 계약한다 하더라도 개인 선도구매 금액으로 일부를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구매하는 시점에서 결정된 가격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량만큼 구매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중립 사업 수익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개인(101)은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 상에 개발자(104)에 의해 등록된 제로-카본 프로젝트의 전체 비용 중 일부분, 예를 들어 30%에 대해 선도 거래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개인(101)은 상쇄자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업(102)에 자신이 구매한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통한 탄소중립 참여를 요구할 수 있고, 탄소중립 참여를 요구받은 기업(102)은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을 통해 개인(101)이 요구한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현물 거래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프로젝트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량 100,000ton에 대해 선도 거래 시점(T1)의 단가는 6으로 책정되고, 현물 거래 시점(T2)의 단가는 8로 책정될 수 있다. 개인(101)은 제로-카본 프로젝트를 초기 구매비율 30%에 선도 거래 단가 6이 적용된 180,000(=100,000×0.3×6)으로 구매할 수 있다. 초기 구매비율에 대해 구좌 단위로 판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러 사람이 선 투자에 참여할 수 있다.
탄소중립 참여를 요구받은 기업(102)의 경우 T2 구매시점의 단가 8로 100%를 구매할 수 있다. 제로-카본 프로젝트에 대한 기업(102)의 구매가는 (100,000×8)=800,000와 같다. 구매 시점의 차이로 개인(101)이 구매할 수 있는 단가와 기업(102)이 구매할 수 있는 단가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액에서 발생하는 수익이 개인(101)에게 제공할 수 있다.
탄소중립 참여를 요구받은 기업(102)의 경우 구매하려는 시점에 발행된 크레딧이 있을 경우 해당 시점의 현물 크레딧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해당 사업의 미래발급 크레딧을 선도 구매하려는 경우에도 구매 가격은 해당 시점에 결정된 현물 크레딧 가격으로 구매한다. 구매 시점의 차이로 개인(101)이 구매할 수 있는 단가와 기업(102)이 구매할 수 있는 단가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액에서 발생하는 수익 일부를 개인(101)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개발자(104)는 초기 구매비율을 통해 선 투자를 받아 사업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개인(101)은 온실가스 감축량의 가격 상승에 따른 시세 차익을 획득할 수 있고, 기업(102)은 선도거래를 통해 상승 전 가격으로 저렴하게 탄소중립 사업을 구매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탄소중립 기술 정보에 대한 공유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경매를 통해 NFT(Non-Fungible Token)가 충전되고 해당 기술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모니터링함에 따라 발행된 탄소 크레딧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NFT를 보유한 개인들과 이익을 공유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 블록체인 엔진(110), 및 경매 서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술 소유자인 개발자 단말(104)은 기술 랏(Lot) 정보를 생성하고 NFT를 발행 후 경매 서버(800)에 등록하고 기술 NFT 분배 비율을 등록하는 역할을 한다.
운영자 단말(103)은 개발자의 기술 검증 요청을 접수 받아 1차 검증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공신력 있는 전문가에 해당되는 평가자 단말(105)은 기술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예상 감축량을 산정하는 역할을 한다.
소비자인 개인 단말(101)은 NFT를 구매하는 단말로서 개인 지갑이나 DID(Decentralized Identifier) 앱을 통해 NFT를 거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DID 기반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개인이 스스로 신원과 자격증명을 위한 디지털 증명서를 발급받고 보관 및 제출할 수 있는 서비스를 통해 NFT를 거래할 수 있다.
블록체인 엔진(110)은 관리 플랫폼 서버(111)와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112)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 플랫폼 서버(111)는 기술 랏 정보 및 낙찰 정보를 관리하고 감축사업 목록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112)는 관리 플랫폼 서버(111)와의 연동을 통해 개인 단말(101)과 개발자 단말(104)이 충전한 금액에 상응하는 NFT를 생성하여 지급하는 토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112)는 운영자 단말(103), 평가자 단말(105), 및 경매 서버(800)를 통해 기술 등록, 검증, 소유권 정보 거래에 사용되는 NFT의 유통을 관리하는 토큰 유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112)는 기술 등록, 검증, 토큰 수량 및 해당 기술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진행하여 탄소 크레딧 거래를 통해 수익이 창출된 정보를 관리하는 NFT 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112)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감축 기술에 대한 랏 정보의 소유권 등록 및 거래를 하고, 해당 기술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사업이 진행되어 실제적으로 온실가스가 감축되는 양을 관리하고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을 통해 받은 감축된 온실가스 크레딧이 판매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경매 서버(800)는 경매 방식 기반의 NFT 거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기반으로 수행된 감축사업의 탄소 크레딧을 거래하는 플랫폼으로서, 감축사업 등록, 탄소 크레딧 인증 및 발행되는 등록소와 인증된 탄소 크레딧을 거래하는 마켓 플레이스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술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술 소유자인 개발자 단말(104)은 온실가스 감축 기술에 대한 정보, 개발 이력 데이터, 이해관계자 정보, 및 시장 정보를 포함하는 랏 정보에 대한 등록 요청을 운영자 단말(103)로 전송한다(S1).
랏 정보는 기술 상세설명 자료, 기술의 시장 현황, 적용 감축량 산정 및 모니터링 방법론 정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베이스라인(Baseline) 정보, 기술 적용 후 발생될 수 있는 배출량 정보, 기술 개발 이력, 기술 관련 이해관계자 정보, 기술적 타당성 분석 결과, 경제성 분석 결과, 법적 타당성 분석 결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실가스 감축량은 경제성 분석 시 사용된 예상 시장 규모에 베이스라인과 기술 적용 후 발생되는 배출량 정보를 토대로 산정된 단위 기술 당 온실가스의 양을 적용하여 산출한다. 소비자(개인)의 판단을 위하여 낙관적, 중도적, 비관적 시나리오로 구분하여 산출하도록 한다.
운영자 단말(103)은 개발자 단말(104)의 등록 요청에 대해 예상 시장 규모의 적절성 검토, 온실가스 감축 예상량 검토, 기술 소유권 검토, 사업화 가능성 검토 등을 수행한 후 검토 결과에 따른 분석 정보를 해당 랏 정보에 포함하여 승인 요청을 평가자 단말(105)로 전송한다(S2).
평가자 단말(105)은 운영자 단말(103)의 승인 요청에 따라 운영자 단말(103)에서 검토된 결과에 대해 적절성을 검토한 후 검토 결과에 따라 승인 또는 반려를 포함하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운영자 단말(103)로 전송한다.
평가자 단말(105)은 운영자 단말(103)에서 검토한 온실가스 감축량을 검증하여 승인 완료 시 승인 정보를 해당 랏 정보에 포함하여 기술 NFT를 생성한 후 관리 플랫폼 서버(111)로 전송한다(S3).
이때, 랏 정보에는 운영자 단말(103)과 평가자 단말(105)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기술의 검증 결과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관리 플랫폼 서버(111)는 평가자 단말(105)의 승인 정보를 해당 랏 정보에 포함하여 기술 NFT를 생성한 후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112)에 저장한다(S4).
관리 플랫폼 서버(111)는 평가자 단말(105)에 의한 승인 정보를 해당 랏 정보에 포함하여 기술 NFT를 생성한 후 소유권 정보로서 신청 기업에 해당되는 개발자 단말(104)로 전송한다(S5).
다시 말해, 개발자 단말(104)은 온실가스 감축 기술에 대한 랏 정보의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랏 정보를 포함하며 NFT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소유권 정보를 관리 플랫폼 서버(111)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운영자 검증을 거쳐 평가자 검증까지 완료된 이후 생성된 랏 정보는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112)에 저장될 수 있고, 해당 개발자 단말(104)에게는 랏 소유권이 부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기술 NFT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개발자 단말(104)이 기술을 등록하고 운영자 단말(103)을 거쳐 1차 검증을 수행한 후 평가자 단말(105)에서 해당 기술 검증을 통해 최종 등록이 이루어진다. 검증된 예상 온실가스 감축량을 기준으로 기술 NFT의 최초 가격을 설정한 후 경매 서버(800)에 등록하고 이후에는 소비자에 해당되는 개인 간의 경매를 통해 기술 NFT의 가치가 변동된다.
기술 NFT의 가치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업화 가능성, 온실가스 감축량, 예상 탄소 크레딧 가격이다. 소비자의 판단을 위해 해당 내용은 랏 정보 조회 시 조회할 수 있다.
탄소 크레딧 가격은 배출권 가격 예측 시장평가기관의 연도별 온실가스 가격 추정치 혹은 현재 거래되고 있는 한국(KAU20, KAU21, KAU(year))과 유럽연합(EU-ETC), 미국(WCI, RGGI) 등에서 고지되는 배출권 거래 가격을 참고하여 적용할 수 있다.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탄소 크레딧 판매에 따른 현금흐름을 적정한 할인율(예를 들어, 0~10%)로 할인하여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방식(DCF, 현금흐름할인법)을 적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렇게 평가된 NFT 가치는 경매 시 최초 가격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가상화폐로 전환하여 새로운 가치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개발자 단말(104)의 온실가스 감축 기술에 대한 랏 정보가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112)에 등록되는 과정에서 NFT가 발행될 수 있으며(S1), 이때 개발자 단말(104)에서 최초 경매를 요청하면(S2) 경매 서버(800)는 경매를 진행한다.
개인 단말(101)은 거래 투명성과 거래 참여자의 신원인증을 위하여 DID 서비스를 이용하여 경매에 참여한다. DID를 통한 사용자 인증과정(S3)을 거친 후에 개인 블록체인 지갑을 등록한 후에 경매를 진행한다.
개인 단말(101)은 해당 경매 기술에 대해 랏 정보를 요청하여 랏 정보를 검토한 후(S4 내지 S5) 경매에 참여한다.
경매가 종료되면 경매를 통해 낙찰 받은 개인 단말(101)의 지갑으로 기술 NFT가 이동(소유권 이전)하고 기술 NFT 판매 대금이 개발자 단말(104)의 지갑으로 입금된다(S6 내지 S7).
관리 플랫폼 서버(111)는 경매 서버(800)를 통해 이루어진 거래내역을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112)에 기록한다(S8). 이때, 거래내역에는 낙찰 금액 및 낙찰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9).
개인은 본인이 원할 경우 구매한 기술 NFT에 대해서 재판매 가능하고(S10) 경매를 통해 동일한 절차로 거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통한 수익 창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개발자 단말(104)의 기술이 적용된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진행하는 경우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은 해당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등록하고(S1) 등록된 경우 관리 플랫폼 서버(111)로 온실가스 감축사업 등록 내역을 전송한다.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에서는 감축사업 진행 현황 및 결과, 탄소 크레딧 판매 정보를 관리 플랫폼 서버(111)로 전송한다.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에서는 사업등록정보, 사업 모니터링 정보, 탄소 크레딧 거래 정보를 관리 플랫폼 서버(111)에 전송하고, 이때 관리 플랫폼 서버(111)에 전송된 상기한 정보들은 랏 정보로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112)에 업데이트된다(S2 내지 S4).
탄소 크레딧 거래가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에서 이뤄진 이후 탄소 크레딧 거래 수익이 관리 플랫폼 서버(111)로 이전된 이후 기술 NFT 소유자(개인)와 개발자 간의 분배 비율에 따라 운영 수수료를 제외한 탄소 크레딧 거래 수익이 분배될 수 있다(S5 내지 S6).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100), 블록체인 엔진(110), 경매 서버(800) 등은 도 12와 같이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1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메모리(1210), 프로세서(1220), 통신 인터페이스(1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1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1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시스템(1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1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1230)를 통해 메모리(1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26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시스템(1200)의 메모리(1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230)에 의해 프로세서(1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0)는 메모리(1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30)는 네트워크(1260)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1200)이 다른 장치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시스템(1200)의 프로세서(1220)가 메모리(1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1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26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260)를 거쳐 컴퓨터 시스템(1200)의 통신 인터페이스(1230)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1200)으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1220)나 메모리(1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시스템(120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26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유선/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26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26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240)는 입출력 장치(1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카메라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1250)는 컴퓨터 시스템(120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시스템(1200)은 도 1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120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1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각종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으로 온실가스 감축 기술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통해 감축되는 온실가스 양을 관리하고 탄소 크레딧 거래를 통해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온실가스 감축기술에 대한 신뢰도 향상, 소유권 보장, 기업들의 감축기술 보급 활성화, 개인의 온실가스 감축기술을 소유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사업 활성화에 참여하는 길을 열어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개발자의 탄소중립 기술에 대한 랏(Lot)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랏 정보에 대해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여 상기 NFT를 상기 랏 정보의 소유권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경매를 통해 상기 NFT의 거래를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랏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탄소중립 기술의 유효성과 온실가스 감축량을 검증하는 단계; 및
    검증 결과를 상기 랏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랏 정보는 상기 탄소중립 기술의 상세설명 자료,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및 모니터링 방법론, 개발 이력 데이터, 이해관계자 정보, 및 시장 현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원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된 온실가스 감축량을 기준으로 상기 NFT의 가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NFT의 가격을 상기 랏 정보와 함께 경매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및
    DID(Decentralized Identifier)를 통한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친 후에 개인 블록체인 지갑을 등록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경매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탄소중립 기술이 적용된 사업에 대해 온실가스 감축량에 따른 실적(credits)을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개발자와 상기 NFT의 소유자 간의 분배 비율에 따라 상기 실적에 의한 수익을 분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행하는 단계는,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P-CDM(programmatic CDM), SDM(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 중 적어도 하나의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실적으로서 CER(Carbon Emission Reductions)을 발행하는 단계;
    온실가스 감축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실적 평가 엔진(credit valuation engine)을 통해 상기 실적으로서 VER(Voluntary Emission Reductions)을 발행하는 단계;
    재생에너지 발전량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상기 실적으로서 iREC(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를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CER과 상기 VER 및 상기 iREC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관련된 가상 화폐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ER과 상기 VER 및 상기 iREC의 가치가 다름에 따라 상기 가상 화폐로의 환율이 다르게 적용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탄소중립 사업 거래 플랫폼을 통해 (1) 상기 개발자에 의해 개발된 상기 탄소중립 기술을 방법론 검증(methodology validation)을 거쳐 탄소중립 사업으로 등록하는 기능, (2) 개인의 구매를 통한 판매 수익을 상기 개발자에게 선 투자하기 위해 상기 개인을 대상으로 상기 탄소중립 사업에 대한 선도 거래를 제공하는 기능, (3) 상기 탄소중립 사업을 구매한 개인의 요청에 따라 상쇄자(offsetter) 역할의 기업을 대상으로 상기 탄소중립 사업을 통한 탄소중립 참여를 요구하는 기능, (4) 상기 개인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개인과 관계가 설정된 친구를 대상으로 상기 탄소중립 사업을 통한 실적인 온실가스 감축량을 선물 형태로 전달하는 기능, (5) 상기 기업을 대상으로 상기 탄소중립 사업에 대한 현물 거래를 제공하는 기능, 및 (6) 상기 탄소중립 사업의 구매를 통해 탄소중립에 참여하는 상기 기업의 헤징(hedging) 전략으로 상기 CER과 상기 VER 및 상기 iREC를 거래하는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탄소중립 사업의 운영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이 상기 개인과 상기 기업 및 상기 친구에게 이전되고,
    상기 탄소중립 사업에 대한 상기 개인의 구매 비용은 선도 거래 시점의 단가로 책정되고,
    상기 탄소중립 사업에 대한 상기 기업의 구매 비용은 현물 거래 시점의 단가로 책정되고,
    상기 탄소중립 사업에 대한 상기 개인의 구매 단가와 상기 기업의 구매 단가의 차액에서 발생되는 수익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인에게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13114A 2022-01-28 2022-01-28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76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114A KR102476440B1 (ko) 2022-01-28 2022-01-28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114A KR102476440B1 (ko) 2022-01-28 2022-01-28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440B1 true KR102476440B1 (ko) 2022-12-14

Family

ID=8443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114A KR102476440B1 (ko) 2022-01-28 2022-01-28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4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26B1 (ko) * 2012-09-10 2013-03-25 김길선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KR20200134622A (ko) * 2019-05-22 2020-12-02 함문성 블록체인 기반의 가치 보유 유무형 자산의 직접 거래 및 경매, 역경매, 공동 경매를 이용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199567B1 (ko)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26B1 (ko) * 2012-09-10 2013-03-25 김길선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KR20200134622A (ko) * 2019-05-22 2020-12-02 함문성 블록체인 기반의 가치 보유 유무형 자산의 직접 거래 및 경매, 역경매, 공동 경매를 이용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199567B1 (ko)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567B1 (ko)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0163595B (zh) 基于区块链的预付费消费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20150348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place software platform
US20220156754A1 (en) Secure token-based exchange of pollution credits for the reduction of worldwide pollution
US20080082355A1 (en) Integrated rights marketplace systems and methods
US20090070249A1 (en) Contingent event rights relating to team location
US20080243532A1 (en) Contingent purchase rights associated with consumer products
US20080109322A1 (en) Rights exchange user interface
US20080109321A1 (en) Contingent forward rights exchange
US20080109234A1 (en) Secondary market for contingent rights exchange
US20080103801A1 (en) Contingent travel rights exchange
US20080109323A1 (en) Associating media channels with a contingent rights exchange
US20080103920A1 (en) Contingent rights relating to a weather phenomenon
US20080109233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relating to a private event, good or service
US20080103919A1 (en) Contingent consumer product rights exchange
US20080103803A1 (en) Contingent event rights relating to an event participant
US20230206335A1 (en) Secure electronic tokens in an electronic tokening system
JP2019520641A (ja) オープンマーケット上の電子商取引において決済後のランダム追加割引を提供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A3179003A1 (en) Multiple transfers of blockchain-based tokens
KR102258222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20147040A (ko) 대리마케터를 활용한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의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861354A (zh) 一种新型的社团互助式共享福利的商业系统及方法
US11769183B2 (en) Digital asset price regulation system using distributed ledger transaction processing rewards
JP2021114341A (ja) 一般消費者向け持ち株会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476440B1 (ko)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