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226B1 -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226B1
KR101247226B1 KR20120099829A KR20120099829A KR101247226B1 KR 101247226 B1 KR101247226 B1 KR 101247226B1 KR 20120099829 A KR20120099829 A KR 20120099829A KR 20120099829 A KR20120099829 A KR 20120099829A KR 101247226 B1 KR101247226 B1 KR 10124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ingement
server
evidence
exchange ser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9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선
Original Assignee
김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선 filed Critical 김길선
Priority to KR2012009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226B1/ko
Priority to US13/706,823 priority patent/US2014007468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색 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활성화를 위한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어떤 특허권의 가치가 특허 거래시장에서 결정되고 그에 따라 특허권의 가격이 결정되어 한 특허권의 전체 권리뿐만 아니라 특허권을 1/N로 분할하여 지분 매매가 가능하도록 한 녹색 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어떤 특허권의 전부 또는 지분의 거래를 위해 특허거래시장에 특허권 판매를 위탁하기 위한 특허권자 컴퓨터; 상기 특허거래시장을 형성하는 곳으로 주식거래시장과 같이 특허권리의 가치를 평가하여 가격을 결정하며 특허권을 몇 개로 분할할지를 결정하며 결정된 내역을 인터넷 또는 전광판에 공시하는 특허거래소 서버; 변리사, 특허 변호사와 같은 전문가 그룹으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에 등록되고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로부터 위탁을 받아 특허권의 가치에 대해 평가하고 심사하여 그 결과를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에 제공하는 등록 심사기관 서버;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에서 공시된 가격에 따라 특허권 매수에 참여하는 특허 매수자 컴퓨터; 및 특허 침해의 감시를 위한 특허 침해 감시 서버 및 보안을 위한 보안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감시 서버는 특허권 침해의 증거의 수집을 위한 복수의 모바일 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특허권자 컴퓨터, 특허거래소 서버, 심사기관 서버, 특허 매수자 컴퓨터, 모바일 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는 특허거래 앱(App)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는 특허 거래소 서버로부터 어떤 특허에 대한 침해 감시 의뢰가 있는 경우, 그 특허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특허 거래 앱에 접속하여 특허에 대한 특허출원번호, 특허발명의 명칭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특허 거래 앱을 실행시킴으로써 자신에 등록된 다수의 모바일 폰 중에서 의뢰 받은 특허의 침해감시를 수행하는데 적합하다고 선정된 단말기로 해당 특허에 대한 침해가 있는지 감시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특허 감시를 위해 선정된 다수의 단말기들은 자신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특허 거래 앱에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 예컨대 자신의 현재 위치, 원하는 조건과 같은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조건에 맞는 단말기로 침해 증거품의 확보를 지시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해당 특허권을 침해하고 있는 물품에 대한 사진을 입수하거나 거래 명세표를 입수하는 것과 같은 증거 수집활동을 수행하고, 증거가 확보된 경우는 증거 데이터를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특허 침해 감시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를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는 증거를 입수하여 증거로서 채택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증거 채택 여부를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가 상기 증거 채택 여부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알려주고, 증거로서 채택된 경우는 책정된 스케줄 표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포상하는 과정을 통해 특허 침해 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Green Technology and Patent Technology}
본 발명은 녹색 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활성화를 위한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떤 특허권의 가치가 특허 거래시장에서 결정되고 그에 따라 특허권의 가격이 결정되어 한 특허권의 전체 권리뿐만 아니라 특허권을 1/N로 분할하여 지분 매매가 가능하도록 한 녹색 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색기술(Green Technology)은 재생 및 청정 에너지 자원을 포함하는 환경 친화적 자원 활용 기술로서, 온실가스 감축기술, 에너지 이용 효율화 기술, 청정생산기술, 청정에너지 기술, 자원순환 및 친환경 기술(관련 융합기술 포함) 등 사회·경제 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는 단순히 일대일 거래방식을 채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검증되지 않은 특허들이 거래되고 있어서 관련 산업계의 막대한 피해와 자금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반대로 우수 특허가 자금문제로 사업화되지 못하고 사장되고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또한 특허권자는 자기의 특허가 침해를 당하고 있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여 피해를 입는 사례들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선행기술 문헌 없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과 같은 기술의 권리를 주식시장과 같은 특허 거래시장에서 평가하여 가치가 정해지고 가격이 결정되어 권리의 전부 또는 일부 거래 즉 권리의 전부 매매 또는 지분 매매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우수한 특허기술 등이 사업화되도록 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특허 침해를 신속하게 인식하고 특허권자가 침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특허 신기술 활성화를 위한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으로서,
어떤 특허권의 전부 또는 지분의 거래를 위해 특허거래시장에 특허권 판매를 위탁하기 위한 특허권자 컴퓨터;
상기 특허거래시장을 형성하는 곳으로 주식거래시장과 같이 특허권리의 가치를 평가하여 가격을 결정하며 특허권을 몇 개로 분할할지를 결정하며 결정된 내역을 인터넷 또는 전광판에 공시하는 특허거래소 서버;
변리사, 특허 변호사와 같은 전문가 그룹으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에 등록되고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로부터 위탁을 받아 특허권의 가치에 대해 평가하고 심사하여 그 결과를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에 제공하는 등록 심사기관 서버;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에서 공시된 가격에 따라 특허권 매수에 참여하는 특허 매수자 컴퓨터; 및
특허 침해의 감시를 위한 특허 침해 감시 서버 및 보안을 위한 보안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감시 서버는 특허권 침해의 증거의 수집을 위한 복수의 모바일 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특허권자 컴퓨터, 특허거래소 서버, 심사기관 서버, 특허 매수자 컴퓨터, 모바일 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는 특허거래 앱(App)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는 특허 거래소 서버로부터 어떤 특허에 대한 침해 감시 의뢰가 있는 경우, 그 특허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특허 거래 앱에 접속하여 특허에 대한 특허출원번호, 특허발명의 명칭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특허 거래 앱을 실행시킴으로써 자신에 등록된 다수의 모바일 폰 중에서 의뢰 받은 특허의 침해감시를 수행하는데 적합하다고 선정된 단말기로 해당 특허에 대한 침해가 있는지 감시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특허 감시를 위해 선정된 다수의 단말기들은 자신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특허 거래 앱에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 예컨대 자신의 현재 위치, 원하는 조건과 같은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조건에 맞는 단말기로 침해 증거품의 확보를 지시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해당 특허권을 침해하고 있는 물품에 대한 사진을 입수하거나 거래 명세표를 입수하는 것과 같은 증거 수집활동을 수행하고, 증거가 확보된 경우는 증거 데이터를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특허 침해 감시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를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는 증거를 입수하여 증거로서 채택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증거 채택 여부를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가 상기 증거 채택 여부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알려주고, 증거로서 채택된 경우는 책정된 스케줄 표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포상하는 과정을 통해 특허 침해 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특허 신기술 활성화를 위한 특허 신기술 거래 방법으로서,
특허권자가 특허권자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을 거쳐 특허 거래소 서버에 자신의 특허권에 대한 판매를 위탁하고, 특허 거래소 서버가 의뢰인의 특허에 대한 검색을 통해 의뢰인의 특허권을 확인하고 거래소 서버가 자신에 등록된 심사 기관 서버에 상기 위탁된 특허권에 대한 평가를 의뢰하고, 심사 기관 서버로부터의 평가를 기초로 하여 특허권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여 가격을 결정하고 특허권의 분할 개수를 결정하여 그 내역을 인터넷 또는 전광판을 통해 공시하는 단계; 및
특허권자로부터 특허 침해 감시에 대한 의뢰가 있는 경우 특허검사 거래소 서버에서 등록된 단말기를 통해 특허 침해 품에 대한 사진 등의 화상 또는 영상을 입수하고 특허 침해가 없는 경우는 특허 거래를 수행하여 특허 매수자 컴퓨터들이 거래에 참여하고 특허권자가 지분을 판매하고 특허의 사업화를 통해 이익이 발생한 경우는 특허 거래소 서버는 특허 지분율 만큼에 대한 이익 배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허 침해 감시는,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로부터 어떤 특허에 대한 침해 감시 의뢰가 있는 경우,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가 그 특허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특허 거래 앱에 접속하여 특허에 대한 특허출원번호, 특허발명의 명칭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특허 거래 앱을 실행시킴으로써 자신에 등록된 다수의 모바일 폰 중에서 의뢰 받은 특허의 침해 감시를 수행하는데 적합하다고 선정된 단말기로 해당 특허에 대한 침해가 있는지 감시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특허 감시를 위해 선정된 다수의 단말기들은 자신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특허 거래 앱에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 예컨대 자신의 현재 위치, 원하는 조건과 같은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가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조건에 맞는 단말기로 침해 증거품의 확보를 지시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해당 특허권을 침해하고 있는 물품에 대한 사진을 입수하거나 거래 명세표를 입수하는 것과 같은 증거 수집활동을 수행하고, 증거가 확보된 경우는 증거 데이터를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특허 침해 감시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를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는 증거를 입수하여 증거로서 채택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증거 채택 여부를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가 상기 증거 채택 여부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알려주고, 증거로서 채택된 경우는 책정된 스케줄 표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포상하는 과정을 통해 특허 침해 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신기술 거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명자가 특허기술을 사업화할 수 있는 자금을 특허거래 시장에서 마련할 수 있으므로 자금확보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특허기술을 실용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일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특허침해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따로 특허침해를 감시하기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없고 특허 기술의 보호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특허 거래소 서버(100), 특허권자 컴퓨터(200), 특허 매수자 컴퓨터(300), 인터넷(400), 특허침해 감시 서버(500) 및 특허 거래소 등록 심사기관 서버(600)로 구성되고 또한 시스템은 모바일 폰(210, 310, 510)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폰은 상기 스마트 폰으로 되지만, 이는 단지 일례일 뿐이며 동등한 기능을 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노트북 PC, 아이 패드 등의 태블릿 PC, PDA 등으로 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100)는 특허거래시장을 형성하는 곳으로 주식거래시장과 같이 특허권리를 유가 증권화하여 그 가치를 평가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100)는 특허권자 컴퓨터(200)로부터 제공된 특허권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허권의 존부 정보 및 특허의 내용을 특허정보원 등의 사이트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특허정보원 등의 사이트로부터 특허내용을 수신할 수 없을 때는 특허권자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제공을 수 있다.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100)는 특허권자 컴퓨터(200)로부터 제공된 특허에 대해 가치를 평가하고 가격을 결정한다. 가치의 평가 및 가격의 결정은 변리사, 특허 변호사, 관련 산업계전문가 등의 전문가 그룹으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특허권에 대한 심사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상기 특허거래소 등록 심사기관 서버(600)로부터 데이터를 취합하고 특허거래 시장에서 형성된 유사 특허권의 가격을 참조하여 특허권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고 가격을 결정한다. 상기 전문가 그룹은 특허권에 대한 가치 평가의 대가로 소정의 금전을 지불 받는다.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100)는 또한 제공된 특허권에 대한 가치를 매기고 그 가치를 기초로 특허권을 몇 개의 권리로 분할할지를 결정한다. 한 특허권을 몇 개로 분할할 지에 대한 결정은 한 특허권에 대해 평가된 가격에 따라 소정의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소정의 기준은 청구항의 수 또는 가격의 고저가 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공평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100)는 특허권자 컴퓨터(200)로부터 제공된 특허권에 대한 가치가 평가되어 가격이 결정되고 지분이 결정된 경우 이를 도시치 않은 특허 거래소 서버의 전광판 또는 인터넷을 통해 내역을 공시할 수 있다.
각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수신은 인터넷(400)을 통해 송/수신되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으로 되는 모바일 폰(210, 310, 510)을 통해 Wifi, 3G, LTE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서도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폰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같거나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전술한 특허 거래소 서버(100), 특허권자 서버(200), 모바일 폰(210, 310, 510) 등의 모든 장치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특허 거래 앱(Application)을 설치하고 있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구현되는 특허 침해 감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허 거래 앱에 의해 구현되는 침해 감시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특허 침해 감시 서버(500)는 특허 거래소 서버(100)로부터 어떤 특허에 대한 침해 감시 의뢰가 있는 경우, 그 특허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특허 거래 앱에 접속하여 특허에 대한 정보, 예컨대 특허출원번호, 특허발명의 명칭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자신에 등록된 다수의 모바일 폰(510) 중에서 의뢰 받은 특허의 침해감시를 수행하는데 적합하다고 선정된 모바일 폰(510)으로 해당 특허에 대한 침해가 있는지 감시하도록 지시한다(S20, S40).
그러면 다수의 단말기(510)들은 자신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특허 거래 앱에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 예컨대 자신의 현재 위치, 원하는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500)로 전송한다(S60, S80).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500)는 이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조건에 맞는 단말기(510)로 침해 증거품의 확보를 지시한다(S100, S120).
이어, 상기 해당 특허권을 침해하고 있는 물품 등에 대한 사진을 입수하거나 거래 명세표 등을 입수하는 등의 증거 수집활동을 수행하고(S140) 증거가 확보된 경우는 증거 데이터를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500)로 전송하고,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는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S160).
그러면 특허 침해 감시 서버(500)는 상기 모바일 폰(51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를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100)로 전송한다(S180, S200). 다음에,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100)는 증거를 입수하여 증거로서 채택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증거 채택 여부를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500)로 전송하고 그러면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500)는 상기 증거 채택 여부 결과를 상기 모바일 폰(510)으로 알려준다. 증거로서 채택된 경우는 책정된 스케줄 표에 따라 상기 모바일 폰(510)에 포상을 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특허권의 거래는 특허권자 컴퓨터(200)가 제공한 특허권에 대해 특허 거래소 등록 심사기관 서버(600)로부터 가치가 평가되고 가격이 결정되고 지분이 결정된 특허권에 대해 특허 거래소 서버(100)가 인터넷을 통해 공시를 하면 다수의 특허 매수자들이 컴퓨터(300) 또는 모바일 폰(310)을 통해 거래에 참여하여 경매 방식 또는 주식거래 방식으로 매매될 수 있다.
거래가 성립되고 특허권을 부분 매도한 실시권을 갖고 있는 특허권자가 사업화되어 일정의 이익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특허권에 대한 지분을 갖고 있는 매수자들은 자신의 컴퓨터(300)를 통해 특허거래소 서버(100)로부터 특허권의 지분범위에서 배당을 받을 수 있다.
특허권의 가격 형성은 주식과 같이 특허권 실시의 성과에 따라 가격이 등락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100)는 해커 등의 공격으로부터 방지를 위한 충분한 보안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특허권자가 특허권자 컴퓨터(200)를 통해 인터넷(400)을 거쳐 특허 거래소 서버(100)에 자신의 특허권에 대한 판매를 위탁하고 그러면 특허 거래소 서버(100)는 의뢰인의 특허에 대한 검색을 통해 의뢰인의 특허권을 확인한다(S300, S3200). 이어서 특허 거래소 서버(100)는 거래소 서버(100)에 등록된 심사 기관 서버(600)에 위탁된 특허권에 대한 평가를 의뢰하고, 이 심사 기관 서버(600)로부터 평가를 기초로 하여 특허권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고 가격을 결정하고 평가된 가격 또는 청구항을 기초로 하여 분할 개수를 결정하여(S340, S360) 그 내역을 인터넷 또는 전광판을 통해 공시한다(S380).
한편 특허권자로부터 특허 침해 감시에 대한 의뢰가 있는 경우(S300),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침해 감시 절차를 수행하고, 특허 침해가 확인된 경우는 특허 거래를 성립하지 않고 침해 구제를 수행한다(S460).
특허권자로부터 침해 감시 의뢰가 없는 경우는 감시를 수행하지 않는다.
특허 침해가 없는 경우는 특허 거래를 수행하는데 특허 매수자 컴퓨터들이 거래에 참여할 수 있다(S200). 참여는 경매 방식 또는 주식거래와 같은 매수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특허권자가 지분을 판매하고 특허의 사업화를 통해 이익이 발생한 경우는 특허 거래소 서버(100)는 특허 지분율 만큼에 대한 이익 배당을 수행한다(S220, S240). 하나의 특허권 전체를 매도한 경우에는 이익배당과 같은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특허를 중심으로 거래하는 경우는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녹색기술과 같은 경우도 적용할 수 있으며, 기타 무형의 재산권 및 음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명자가 특허기술을 사업화할 수 있는 자금을 특허거래 시장에서 마련할 수 있으므로 자금확보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특허기술을 실용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일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특허침해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따로 특허침해를 감시하기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없고 특허 기술의 보호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예시 목적이지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이하의 부속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특허 거래소 서버 200: 특허권자 컴퓨터
300: 특허 매수자 컴퓨터 400: 인터넷
500: 특허 침해 감시 서버
600: 특허 거래소 등록 심사기관 서버 210, 310, 510: 모바일 폰

Claims (7)

  1. 특허 신기술 활성화를 위한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으로서,
    어떤 특허권의 전부 또는 지분의 거래를 위해 특허거래시장에 특허권 판매를 위탁하기 위한 특허권자 컴퓨터;
    상기 특허거래시장을 형성하는 곳으로 주식거래시장과 같이 특허권리의 가치를 평가하여 가격을 결정하며 특허권을 몇 개로 분할할지를 결정하며 결정된 내역을 인터넷 또는 전광판에 공시하는 특허거래소 서버;
    변리사, 특허 변호사와 같은 전문가 그룹으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에 등록되고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로부터 위탁을 받아 특허권의 가치에 대해 평가하고 심사하여 그 결과를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에 제공하는 등록 심사기관 서버;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에서 공시된 가격에 따라 특허권 매수에 참여하는 특허 매수자 컴퓨터; 및
    특허 침해의 감시를 위한 특허 침해 감시 서버 및 보안을 위한 보안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감시 서버는 특허권 침해의 증거의 수집을 위한 복수의 모바일 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특허권자 컴퓨터, 특허거래소 서버, 심사기관 서버, 특허 매수자 컴퓨터, 모바일 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는 특허거래 앱(App)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는 특허 거래소 서버로부터 어떤 특허에 대한 침해 감시 의뢰가 있는 경우, 그 특허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특허 거래 앱에 접속하여 특허에 대한 특허출원번호, 특허발명의 명칭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특허 거래 앱을 실행시킴으로써 자신에 등록된 다수의 모바일 폰 중에서 의뢰 받은 특허의 침해감시를 수행하는데 적합하다고 선정된 단말기로 해당 특허에 대한 침해가 있는지 감시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특허 감시를 위해 선정된 다수의 단말기들은 자신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특허 거래 앱에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 예컨대 자신의 현재 위치, 원하는 조건과 같은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조건에 맞는 단말기로 침해 증거품의 확보를 지시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해당 특허권을 침해하고 있는 물품에 대한 사진을 입수하거나 거래 명세표를 입수하는 것과 같은 증거 수집활동을 수행하고, 증거가 확보된 경우는 증거 데이터를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특허 침해 감시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를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는 증거를 입수하여 증거로서 채택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증거 채택 여부를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가 상기 증거 채택 여부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알려주고, 증거로서 채택된 경우는 책정된 스케줄 표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포상하는 과정을 통해 특허 침해 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은 녹색 기술에도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허권의 분할은 청구항의 수 또는 가격의 고저가 기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든 서버들 간의 정보의 송수신은 인터넷 또는 모바일 폰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Wifi, 3G, 또는 LTE와 같은 무선 통신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허권의 거래는 경매 방식 또는 주식거래 방식으로 매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허권이 사업화되어 일정의 이익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특허권에 대한 지분을 갖고 있는 매수자들은 특허권의 지분범위에서 배당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7. 특허 신기술 활성화를 위한 특허 신기술 거래 방법으로서,
    특허권자가 특허권자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을 거쳐 특허 거래소 서버에 자신의 특허권에 대한 판매를 위탁하고, 특허 거래소 서버가 의뢰인의 특허에 대한 검색을 통해 의뢰인의 특허권을 확인하고 거래소 서버가 자신에 등록된 심사 기관 서버에 상기 위탁된 특허권에 대한 평가를 의뢰하고, 심사 기관 서버로부터의 평가를 기초로 하여 특허권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여 가격을 결정하고 특허권의 분할 개수를 결정하여 그 내역을 인터넷 또는 전광판을 통해 공시하는 단계; 및
    특허권자로부터 특허 침해 감시에 대한 의뢰가 있는 경우 특허검사 거래소 서버에서 등록된 단말기를 통해 특허 침해 품에 대한 사진 등의 화상 또는 영상을 입수하고 특허 침해가 없는 경우는 특허 거래를 수행하여 특허 매수자 컴퓨터들이 거래에 참여하고 특허권자가 지분을 판매하고 특허의 사업화를 통해 이익이 발생한 경우는 특허 거래소 서버는 특허 지분율 만큼에 대한 이익 배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허 침해 감시는,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로부터 어떤 특허에 대한 침해 감시 의뢰가 있는 경우,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가 그 특허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특허 거래 앱에 접속하여 특허에 대한 특허출원번호, 특허발명의 명칭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특허 거래 앱을 실행시킴으로써 자신에 등록된 다수의 모바일 폰 중에서 의뢰 받은 특허의 침해 감시를 수행하는데 적합하다고 선정된 단말기로 해당 특허에 대한 침해가 있는지 감시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특허 감시를 위해 선정된 다수의 단말기들은 자신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특허 거래 앱에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 예컨대 자신의 현재 위치, 원하는 조건과 같은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가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조건에 맞는 단말기로 침해 증거품의 확보를 지시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해당 특허권을 침해하고 있는 물품에 대한 사진을 입수하거나 거래 명세표를 입수하는 것과 같은 증거 수집활동을 수행하고, 증거가 확보된 경우는 증거 데이터를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특허 침해 감시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를 상기 특허거래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거래소 서버는 증거를 입수하여 증거로서 채택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증거 채택 여부를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허 침해 감시 서버가 상기 증거 채택 여부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알려주고, 증거로서 채택된 경우는 책정된 스케줄 표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포상하는 과정을 통해 특허 침해 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신기술 거래 방법.
KR20120099829A 2012-09-10 2012-09-10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KR10124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9829A KR101247226B1 (ko) 2012-09-10 2012-09-10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US13/706,823 US20140074681A1 (en) 2012-09-10 2012-12-06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green technology and patent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9829A KR101247226B1 (ko) 2012-09-10 2012-09-10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226B1 true KR101247226B1 (ko) 2013-03-25

Family

ID=4818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99829A KR101247226B1 (ko) 2012-09-10 2012-09-10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74681A1 (ko)
KR (1) KR1012472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9638A (zh) * 2013-10-22 2014-02-05 大连创达技术交易市场有限公司 专利技术交易中介平台
KR20160002414A (ko) 2015-10-01 2016-01-07 공준상 판매될 산업재산권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2711A (ko) * 2019-10-30 2021-05-11 이성용 블록체인 기반 특허 밸류체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방법
KR102476440B1 (ko) * 2022-01-28 2022-12-14 주식회사 베리워즈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01299A (ko) 2022-06-25 2024-01-03 유한웅 출원 중인 특허 투자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1824A1 (en) * 2012-09-17 2014-03-20 Jeremy Daniel McLain Method for forecasting and likelihood estimation in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means of a derivatives trading exchange, funding of prize amounts for incentivizing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same trading exchange, and incentivizing development of high-quality inducement prize contests
CN114004626A (zh) * 2017-06-21 2022-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专利的货币价值评估方法,系统和应用程序
CN110415059B (zh) * 2018-04-27 2023-07-18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专利交易网络平台
US10929570B2 (en) 2019-05-17 2021-02-23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for blockchain-based infringement evidence storage
WO2022178770A1 (zh) * 2021-02-25 2022-09-01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交易过程中专利价格评估系统及评估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176B1 (ko) * 1999-10-19 2001-12-20 허성재 능동적 지적재산권 침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55740A (ko) * 2004-03-29 2004-06-26 김상엽 지적재산의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구축방법및 시스템
KR20050098799A (ko) * 2005-09-20 2005-10-12 이창연 개인(법인) 특허권의 판매방법
JP2011258198A (ja) 2010-06-04 2011-12-22 Jiaotong Univ 自動特許取引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176B1 (ko) * 1999-10-19 2001-12-20 허성재 능동적 지적재산권 침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55740A (ko) * 2004-03-29 2004-06-26 김상엽 지적재산의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구축방법및 시스템
KR20050098799A (ko) * 2005-09-20 2005-10-12 이창연 개인(법인) 특허권의 판매방법
JP2011258198A (ja) 2010-06-04 2011-12-22 Jiaotong Univ 自動特許取引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9638A (zh) * 2013-10-22 2014-02-05 大连创达技术交易市场有限公司 专利技术交易中介平台
KR20160002414A (ko) 2015-10-01 2016-01-07 공준상 판매될 산업재산권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4178A (ko) 2015-10-01 2021-06-02 주식회사 키브(Kibc) 판매될 산업재산권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10551A (ko) 2015-10-01 2021-09-08 주식회사 키브(Kibc) 판매될 산업재산권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2711A (ko) * 2019-10-30 2021-05-11 이성용 블록체인 기반 특허 밸류체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방법
KR20210135965A (ko) * 2019-10-30 2021-11-16 이성용 블록체인 기반 특허 밸류체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방법
KR102389514B1 (ko) * 2019-10-30 2022-04-25 이성용 블록체인 기반 특허 크라우드펀딩 장치 및 방법
KR102468192B1 (ko) * 2019-10-30 2022-11-17 이성용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펀딩 장치 및 방법
KR102476440B1 (ko) * 2022-01-28 2022-12-14 주식회사 베리워즈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01299A (ko) 2022-06-25 2024-01-03 유한웅 출원 중인 특허 투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74681A1 (en)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226B1 (ko) 녹색기술 및 특허 신기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Gawer Digital platforms and ecosystems: remarks on the dominant organizational forms of the digital age
US116404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uating user access control
Agarwal et al. Blockchain technology for secure supply chain management: A comprehensive review
US10677607B2 (en) Blockchain-based crowdsourcing of map applications
CN109194628B (zh) 制造业人员信息管理方法、系统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Gietzmann et al. Blockchain and othe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where is the accounting?
CN108876113B (zh) 一种考核管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系统
Chen et al. SmartStore: A blockchain and clustering based intelligent edge storage system with fairness and resilience
US20180012171A1 (en) On-demand resource allocation
Xiong et al. Data resource protection based on smart contract
Alsadi et al. TruCert: Blockchain-based trustworthy product certification within autonomous automotive supply chains
Mantri et al. Empowering small businesses with the force of big data analytics and AI: A technological integration for enhanced business management
JP6294193B2 (ja) 取引管理システムおよび取引管理方法
Son-Turan The blockchain–sustainability nexus: can this new technology enhance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Anthony Jr Decentralized brokered enabled ecosystem for data marketplace in smart cities towards a data sharing economy
CN116258553A (zh) 基于微官网平台的招投标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US11625780B1 (en) Techniques for automated call cross trade imbalance execution
Kylasapathy et al. Unlocking Malaysia’s Digital Future: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Policy Responses
Perdana et al. Harnessing Technologies and Data to Accelerate and Operationalize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Initiatives
Mahajan et al. Australian users’ perspective of green blockchain technology adoption in businesses
Tziakouris et al. Market‐inspired framework for securing assets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US11640643B2 (en) Exchange for trading radio frequency usage rights
US20160350863A1 (en) Rule-based platform to enable exchange of voting interests for specific voting events
Niforos Bridging the Trust Gap: Blockchain’s Potential to Restore Tru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in Support of New Business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