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234B1 - 광학 적층체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234B1
KR102392234B1 KR1020160035993A KR20160035993A KR102392234B1 KR 102392234 B1 KR102392234 B1 KR 102392234B1 KR 1020160035993 A KR1020160035993 A KR 1020160035993A KR 20160035993 A KR20160035993 A KR 20160035993A KR 102392234 B1 KR102392234 B1 KR 102392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optical
adhes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837A (ko
Inventor
미츠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5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creating an anisotropic diffusion characteristic, i.e. distributing output differently in two perpendicula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1Circular 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수지층과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이들 층의 밀착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수지층과, 그 수지층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되는 접착제층과, 그 수지층과 그 접착제층 사이에 형성되고, 그 수지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와 그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함유하는 중간층을 구비하고, 그 중간층의 두께가 20 ㎚ ∼ 200 ㎚ 이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층이, 광학 이방성을 갖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OPTICAL LAMINATE}
본 발명은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EL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고, 그에 수반하여,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부재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부재로서, 각종 광학 필름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재를 박형화하기 위한 일 수단으로서, 광학 필름의 첩합 (貼合) 에 접착제 (예를 들어, 광경화형 접착제) 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접착제는 광학 필름의 접착에 있어서 반드시 충분한 밀착성을 발현하지 않아, 불필요한 층간 박리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박리 공정 (예를 들어, 기재 상에 형성된 층을 전사할 때 실시되는 그 기재의 박리) 을 거쳐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는 경우, 접착제의 밀착성 부족을 원인으로 하여, 원하지 않는 지점에서 박리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0-133987 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수지층과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이들 층의 밀착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수지층과, 그 수지층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되는 접착제층과, 그 수지층과 그 접착제층 사이에 형성되고, 그 수지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와 그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함유하는 중간층을 구비하고, 그 중간층의 두께가 20 ㎚ ∼ 200 ㎚ 이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층이, 광학 이방성을 갖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층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또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착제층의 상기 수지층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광학 기능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그 광학 기능층이 액정 재료의 고화층 또는 경화층이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광학 기능층이 전사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원편광판이 제공된다. 이 원편광판은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제조 방법은, 수지 필름 상에, 경화형 접착제를 함유하는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도공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그 도공층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도공층 형성 후, 경화 처리를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10 초 ∼ 250 초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층과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그 수지층과 그 접착제층 사이에 특정 두께의 중간층을 형성함으로써, 수지층과 접착제층의 밀착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및 기호의 정의)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어 및 기호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1) 굴절률 (nx, ny, nz)
「nx」 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즉, 지상축 방향) 의 굴절률이고, 「ny」 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 (즉, 진상축 방향) 의 굴절률이며, 「nz」 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2) 면내 위상차 (Re)
「Re (λ)」 는, 23 ℃ 에 있어서의 파장 λ ㎚ 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예를 들어, 「Re (550)」 은, 23 ℃ 에 있어서의 파장 550 ㎚ 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Re (λ) 는, 층 (필름) 의 두께를 d (㎚) 로 했을 때, 식 : Re (λ) = (nx - ny) × d 에 의해 구해진다.
(3)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
「Rth (λ)」 는, 23 ℃ 에 있어서의 파장 λ ㎚ 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예를 들어, 「Rth (550)」 은, 23 ℃ 에 있어서의 파장 550 ㎚ 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Rth (λ) 는, 층 (필름) 의 두께를 d (㎚) 로 했을 때, 식 : Rth (λ) = (nx - nz) × d 에 의해 구해진다.
(4) Nz 계수
Nz 계수는, Nz = Rth/Re 에 의해 구해진다.
(5) 복굴절 (Δnxy)
복굴절 Δnxy 는, 식 : Δnxy = nx - ny 에 의해 구해진다.
A. 광학 적층체의 전체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 (100) 는 수지층 (10) 과, 수지층 (10) 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되는 접착제층 (20) 을 구비하고, 수지층 (10) 과 접착제층 (20) 사이에는 중간층 (30) 이 형성되어 있다. 대표적으로는, 수지층 (10) 은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접착제층 (20) 은,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형성된다. 중간층 (30) 은, 대표적으로는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이 수지 필름에 침투하여 형성된다. 수지 필름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접착제층 (20) 을 형성할 때,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가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에 용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가 용출되어 형성된 부분도, 중간층 (30) 에 해당한다. 즉, 중간층 (30) 은, 수지층 (10) 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와 접착제층 (20) 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중간층은, 수지층 (10) 을 구성하는 재료와 접착제층 (20) 을 구성하는 재료가 상용되어 형성된 층이어도 된다. 또, 중간층 (30) 은 수지층 (10) 및 접착제층 (20) 의 양방에 접하는 층이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는, 상기 접착제층의 형성 방법을 고려하여, 접착제층을 상측으로 하여 기재하고 있다.
상기 중간층의 두께 (도 1 에 있어서의 두께 C) 는 20 ㎚ ∼ 2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 ∼ 180 ㎚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150 ㎚ 이다. 또한, 중간층의 두께는, 광학 적층체의 단면을 현미경 (예를 들어, TEM) 으로 관찰하여, 중간층과, 수지층 및 접착제층의 계면을 특정하여 측정될 수 있다. 계면의 특정에는, 소정의 분석법 (예를 들어, 비행 시간형 2 차 이온 질량 분석법) 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지층과 접착제층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함으로써, 수지층과 접착제층의 밀착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학 적층체는,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층에 소정의 필름을 전사에 의해 적층할 때의 생산성이 우수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기재 상에 형성한 필름을 상기 접착제층에 적층하고, 그 후, 상기 기재를 박리하고자 할 때, 원하지 않는 지점 (예를 들어, 수지층과 접착제층 사이, 접착제층 내) 에서의 박리가 방지되어, 상기 기재만을 박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중간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현저해진다. 또한, 중간층의 두께가 20 ㎚ 미만인 경우, 중간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 밀착성 향상 효과가 충분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중간층의 두께가 200 ㎚ 를 초과하는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는, 접착제층 자체의 접착 기능이 저해된 상태가 될 우려가 있고, 그 때문에, 수지층과 접착제층의 밀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중간층의 두께는,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필름과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의 조합 ; 경화형 접착제를 수지 필름 상에 도공한 후, 도공층을 경화시키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의 두께는 접착제층의 두께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 % ∼ 2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 18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상기 효과가 현저해진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 (도 1 에 있어서의 두께 A) 는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 60 ㎛ 이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 (도 1 에 있어서의 두께 B) 는 바람직하게는 0.5 ㎛ ∼ 2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 ∼ 1.5 ㎛ 이다.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제층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에 대한 상기 수지층의 필 강도는 6N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N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N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 강도란, 측정 온도 : 23 ℃, 인장 속도 : 3000 ㎜/min 에 있어서의 90 도 필 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다른 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층으로는, 예를 들어 광학 기능층, 편광자, 그 편광자를 보호하는 보호층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수지층의 구성 (기능, 재료, 특성 등)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광학 적층체의 층 구성, 당해 층 구성에 의해 규정되는 광학 적층체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 기능층은,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수지층과 첩합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 (200) 는 광학 기능층 (40) 과, 접착제층 (20) 과, 수지층 (10) 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접착제층 (20) 과 수지층 (10) 사이에는 중간층 (30)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하기에서 설명하는 도 3) 는, 광학 적층체의 바람직한 사용 양태를 고려하여,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된 경우의 시인측이 상측이 되도록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층 구성, 당해 층 구성에 의해 규정되는 광학 적층체의 용도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 3 에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 (300) 는 접착제층 (20) 과, 수지층 (10) 과 편광자 (50) 를 이 순서로 구비하고, 접착제층 (20) 과 수지층 (10) 사이에는 중간층 (30) 이 형성되어 있다. 광학 적층체 (300) 는, 도시된 예와 같이, 접착제층 (20) 의 수지층 (10) 과는 반대측에 광학 기능층 (40)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편광자 (50) 의 편측 또는 양측에는 보호층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 에서는, 편광자 (50) 의 일방의 측에 있어서 수지층 (10) 이 보호층의 기능을 담당하고, 타방의 측에 있어서 보호층 (51) 이 배치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편광자와 수지층 사이에, 보호층으로서의 다른 층을 배치해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일례로서, λ/4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수지층 (10) 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를 들 수 있다. 편광자와, λ/4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수지층을 조합함으로써, 원편광판으로서 기능하는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지층의 지상축과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 θ 는 바람직하게는 38 °∼ 52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2 °∼ 48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5 °이다. 광학 기능층으로는, 예를 들어 액정 재료의 고화층 또는 경화층 (후술) 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λ/4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수지층 (10) 은 편광자 (50) 의 보호층 (내측 보호층) 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B. 수지층
상기 수지층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또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이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또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되는 수지 필름을 사용하면, 중간층이 양호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지층의 구성 (기능, 재료, 특성 등) 은 광학 적층체의 층 구성, 당해 층 구성에 의해 규정되는 광학 적층체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하, 광학 이방성을 갖는 수지층, 및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수지층을 대표예로 하여, 수지층의 구성을 설명한다.
(광학 이방성을 갖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은 바람직하게는 광학 이방성을 갖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굴절률 특성이 nx > ny ≥ nz 의 관계를 나타낸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층은 λ/4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상차층의 면내 위상차 Re (550) 은 바람직하게는 80 ㎚ ∼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 1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 ∼ 170 ㎚ 이다. 또한, 여기서 「ny = nz」는 ny 와 nz 가 완전하게 동등한 경우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등한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ny < nz 가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광학 이방성을 갖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지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이다. 이들 수지 필름은 λ/4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수지층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시클로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하여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으로,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1-240517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3-14882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3-122137 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시클로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시클로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시클로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것들을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로 변성시킨 그래프트 변성체, 그리고 그것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의 구체예로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 및 그 알킬 및/또는 알킬리덴 치환체, 예를 들어 5-메틸-2-노르보르넨, 5-디메틸-2-노르보르넨, 5-에틸-2-노르보르넨, 5-부틸-2-노르보르넨,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등, 이것들의 할로겐 등의 극성기 치환체 ; 디시클로펜타디엔, 2,3-디하이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등 ; 디메타노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그 알킬 및/또는 알킬리덴 치환체, 및 할로겐 등의 극성기 치환체, 예를 들어 6-메틸-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6-에틸-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6-에틸리덴-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6-클로로-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6-시아노-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6-피리딜-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6-메톡시카르보닐-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등 ; 시클로펜타디엔의 3 ∼ 4 량체, 예를 들어 4,9:5,8-디메타노-3a,4,4a,5,8,8a,9,9a-옥타하이드로-1H-벤조인덴, 4,11:5,10:6,9-트리메타노-3a,4,4a,5,5a,6,9,9a,10,10a,11,11a-도데카하이드로-1H-시클로펜타안트라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서, 개환 중합 가능한 다른 시클로올레핀류를 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텐, 시클로옥텐, 5,6-디하이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의 반응성의 이중 결합을 1 개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톨루엔 용매에 의한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 그래프 (GPC) 법으로 측정한 수평균 분자량 (Mn) 이 바람직하게는 25,000 ∼ 200,00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 ∼ 100,000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00 ∼ 80,000 이다. 수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이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용해성, 성형성, 유연 조작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수지가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것인 경우에는, 수소 첨가율은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 이상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내열 열화성 및 내광 열화성 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28871175-pat00001
(상기 일반식 (1) 중,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 ∼ 탄소수 20 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6 ∼ 탄소수 20 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6 ∼ 탄소수 20 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X 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2 ∼ 탄소수 10 의 알킬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6 ∼ 탄소수 20 의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6 ∼ 탄소수 20 의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m 및 n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5 의 정수이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에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n-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n-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sec-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이소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디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tert-부틸-6-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3-하이드록시-2,2-디메틸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상기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외에,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이디드, 스피로글리콜, 디옥산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DEG), 트리에틸렌글리콜 (TEG),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비스페놀류 등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상세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5204200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2-67300 호, 일본 특허 제 3325560 호, WO 2014/061677 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특허문헌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110 ℃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 140 ℃ 이다. 유리 전이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내열성이 나빠지는 경향에 있어, 필름 성형 후에 치수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유리 전이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필름 성형시의 성형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또 필름의 투명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 7121 (1987)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임의의 적절한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또, 셀룰로오스 (디,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연신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상기 수지 필름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연신은 임의의 적절한 연신 방법, 연신 조건 (예를 들어, 연신 온도, 연신 배율, 연신 방향) 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유단 연신, 고정단 연신, 자유단 수축, 고정단 수축 등의 여러 가지 연신 방법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동시 혹은 순서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연신 방향에 관해서도, 길이 방향, 폭 방향, 두께 방향, 경사 방향 등, 여러 가지 방향이나 차원으로 실시할 수 있다. 연신 온도는 수지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Tg) 에 대해, Tg - 30 ℃ ∼ Tg + 6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g - 10 ℃ ∼ Tg + 50 ℃ 이다.
상기 연신 방법, 연신 조건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상기 원하는 광학 특성 (예를 들어, 굴절률 특성, 면내 위상차, Nz 계수) 을 갖는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 필름은 미연신 수지 필름을 1 축 연신 혹은 고정단 1 축 연신함으로써 제작된다. 고정단 1 축 연신의 구체예로는, 수지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폭 방향 (횡 방향) 으로 연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1 배 ∼ 3.5 배이다.
상기 광학 이방성을 갖는 수지층의 복굴절 Δnxy 는 바람직하게는 0.002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8 이상이다. 한편, 복굴절 Δnxy 의 상한은, 예를 들어 0.006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50 이다. 복굴절을 이와 같은 범위로 최적화함으로써, 얇고, 또한 원하는 광학 특성을 갖는 수지층이 형성된다.
상기 광학 이방성을 갖는 수지층의 Nz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0.9 ∼ 3,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0.9 ∼ 1.3 이다.
상기 광학 이방성을 갖는 수지층은,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 커지는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내도 되고,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 작아지는 정 (正) 의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도 되며,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의해서도 거의 변화하지 않는 플랫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도 된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층은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수지층의 Re (450)/Re (550) 은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0.95 이하이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매우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내는 수지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층은 플랫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수지층의 Re (450)/Re (550) 은 바람직하게는 0.99 ∼ 1.03 이고, Re (650)/Re (550) 은 바람직하게는 0.98 ∼ 1.02 이다. 또한, 플랫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는 수지층은, 예를 들어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플랫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는 수지층은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λ/2 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과 λ/4 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을 소정의 축 각도 (예를 들어 50 °∼ 70 °, 바람직하게는 약 60 °) 로 배치하여, 수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수지층)
상기와 같이, 수지층은 편광자를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의, 당해 편광자의 보호층 (내측 보호층) 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호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수지층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 또는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임의의 적절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 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C1-6 알킬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 (50 중량%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 100 중량%) 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점에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0-230016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1-151814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2-120326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2-254544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5-146084 호 등에 기재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질량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이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 1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 5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 ∼ 500000 이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15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이다.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 이하이다.
상기 A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광학 이방성을 갖는 수지층이 편광자의 보호층 (내측 보호층) 을 겸해도 된다.
C.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로 형성된다. 또한, 접착제는,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그 상태가 액체로부터 고체로 불가역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도포시에는 유동성을 갖고, 경화 처리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조사, 가열) 에 의해 경화되는 성질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로서 경화형 접착제가 사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사용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경화성 모노머로서,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 등의 경화성 모노머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 사용된다.
상기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가 1 ∼ 20 인 직사슬형 또는 분기형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시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르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 2-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2-노르보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5-노르보르넨-2-일-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틸-2-노르보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환식 (메트)아크릴레이트 ;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부틸(메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기 또는 페녹시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할로겐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 등을 들 수 있다. 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질소 함유 모노머 ;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600 디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 등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착제는 SP 값이 7 (cal/㎤)1/2 ∼ 13 (cal/㎤)1/2 인 경화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SP 값이 8 (cal/㎤)1/2 ∼ 12 (cal/㎤)1/2 인 경화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화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중간층의 두께가 적절히 조정되어, 수지층과 접착제층의 밀착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구성되는 수지층에 대해, 당해 접착제를 사용하면, 이와 같은 효과는 더욱 현저해진다. 상기 범위의 SP 값을 갖는 경화성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일모르폴린,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SP 값은 Small 의 식에 의해 산출되는 용해도 파라미터이다. SP 값의 계산은 공지된 문헌 (예를 들어, Journal of Applied Chemistry, 3, 71, 1953. 등) 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중 SP 값이 7 ∼ 13 (cal/㎤)1/2 (바람직하게는 8 ∼ 12 (cal/㎤)1/2) 인 경화성 모노머의 함유 비율은 접착제 중의 모노머 전체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 50 중량% 이다.
상기 접착제층은, 예를 들어 경화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수지 필름에 도공한 후, 도공층을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실용적으로는, 상기 도공층 상에 피착체 (예를 들어, 상기 광학 기능층) 를 배치한 후, 그 도공층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는 후술한다.
D. 광학 기능층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기 접착제층의 수지층과는 반대측에, 임의의 적절한 광학 기능층을 구비할 수 있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광학 기능층은, 액정 재료의 고화층 또는 경화층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화층」 이란, 연화, 용융 또는 용액 상태의 액정 재료가 냉각되어 굳어진 상태의 것을 말한다. 또, 「경화층」 이란, 액정 재료가 열, 촉매, 광 및/또는 방사선에 의해 가교되어, 불용불융 또는 난용난융의 안정적인 상태가 된 것을 말한다. 또한, 경화층에는, 액정 재료의 고화층을 경유하여 경화층이 된 것도 포함한다.
상기 액정 재료의 고화층 또는 경화층의 구체예로는, 호메오트로픽 배향으로 고정 (고화 또는 경화) 된 액정 재료로 형성되는 필름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름을 사용하면,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경사 방향으로부터 시인한 경우의 색미 향상, 그리고, 반사 방지 특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호메오트로픽 배향」 이란, 액정 재료 (액정 화합물) 의 장축 방향이 광학 기능층의 표리면에 대해 90 °± 30 °인 배향 상태를 말한다. 바꿔 말하면, 「호메오트로픽 배향」 은 순수한 수직 배향뿐만 아니라, 소정의 경사 배향을 포함한다. 또한, 경사 배향의 틸트각은, 예를 들어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38 (1999), P. 748 에 기재된 순서로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름은 nz > nx = ny 의 굴절률 분포를 가질 수 있어, 이른바 포지티브 C 플레이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nx = ny」 는, nx 와 ny 가 엄밀하게 동등한 경우뿐만 아니라, nx 와 ny 가 실질적으로 동등한 경우도 포함한다. 즉, Re 가 10 ㎚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 는 바람직하게는 -20 ㎚ ∼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 -180 ㎚,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 -160 ㎚ 이다. 이와 같은 Rth 가 얻어질 수 있는 필름의 두께는 사용되는 재료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 ㎛ ∼ 6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 50 ㎛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 ∼ 40 ㎛ 이다.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형성할 수 있는 액정 재료 (액정 화합물) 는 액정 모노머여도 되고 액정 폴리머여도 된다. 대표적인 액정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네마틱 액정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화합물의 배향 기술에 관한 개설은, 예를 들어 화학 총설 44 (표면의 개질, 일본 화학회편, 156 ∼ 163 페이지) 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으로 고정된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필름의 상세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8-216782 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공보는 그 전체의 기재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으로 고정된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필름은, 기재 상에 액정 재료 (액정 화합물) 를 함유하는 액정성 조성물을 도공하고, 이것들이 액정상을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키고, 그 배향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본원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는, 수지층과 접착제층의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기재 상에 형성된 필름을 접착제층 상에 전사할 때의 그 기재의 박리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기재만이 양호하게 박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은 상기 광학 적층체의 광학 기능층을 구성하는 필름으로서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비닐계 수지, 말레산계 수지, 프탈산계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필름을 들 수 있다. 당해 필름은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기재 표면에는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배향막이 부착된 기재는,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와 실리카졸을 함유하는 도공 용액을 상기 기재 상에 도공하여, 용매를 건조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E. 편광자 및 보호층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편광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자와, B 항에서 설명한 λ/4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수지층과 조합하여 광학 적층체를 구성함으로써, 원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편광자와, B 항에서 설명한 λ/4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수지층과, D 항에서 설명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으로 형성되는 광학 기능층을 조합하여 광학 적층체를 구성함으로써, 경사 방향으로부터 시인한 경우의 색미 향상, 그리고 반사 방지 특성 향상이 우수한 원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편광자로는,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자를 형성하는 수지 필름은 단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되고, 2 층 이상의 적층체여도 된다.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편광자의 구체예로는, 폴리비닐알코올 (PVA) 계 수지 필름, 부분 포르말화 PVA 계 수지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PVA 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특성이 우수한 점에서, PVA 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 축 연신하여 얻어진 편광자가 사용된다.
상기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를 들어 PVA 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실시된다. 상기 1 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 배 ∼ 7 배이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실시해도 된다. 또, 연신하고 나서 염색해도 된다. 필요에 따라, PVA 계 수지 필름에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를 들어, 염색 전에 PVA 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시켜 수세함으로써, PVA 계 수지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VA 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켜 염색 불균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적층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의 구체예로는,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적층된 PVA 계 수지층 (PVA 계 수지 필름) 의 적층체, 혹은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 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 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는, 예를 들어 PVA 계 수지 용액을 수지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수지 기재 상에 PVA 계 수지층을 형성하고, 수지 기재와 PVA 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얻는 것 ; 당해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하여 PVA 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 ; 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시켜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연신은 필요에 따라, 붕산 수용액 중에서의 연신 전에 적층체를 고온 (예를 들어, 95 ℃ 이상) 에서 공중 연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얻어진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는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즉, 수지 기재를 편광자의 보호층으로 해도 되고),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로부터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당해 박리면에 목적에 따른 임의의 적절한 보호층을 적층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편광자의 제조 방법의 상세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2-73580 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공보는 그 전체의 기재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이다. 편광자의 두께의 하한은,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 이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 ㎛ 이다.
상기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 ∼ 780 ㎚ 의 어느 것의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4.0 % ∼ 45.5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4.5 % ∼ 45.0 % 이다.
상기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8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8.5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 이상이다.
상기 편광자의 편측 또는 양측에는 보호층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자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호층 (내측 보호층) 은 상기와 같이 수지층이 겸하고 있어도 되고, 수지층과는 다른 층 (수지층과 편광자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층) 이어도 된다. 수지층과는 별도로 형성되는 내측 보호층, 및 편광자의 외측에 배치되는 보호층은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당해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르보르넨계, 폴리올레핀계, (메트)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1-343529 호 (WO 01/37007) 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측사슬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사슬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 그리고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당해 폴리머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
F.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예를 들어 B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지 필름 상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되는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 그 접착제층은,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한 후, 도공층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광학 적층체가 상기 광학 기능층을 구비하는 경우,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공층 상에 광학 기능층을 구성하는 필름 (예를 들어,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으로 고정된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필름) 을 적층하고, 그 후, 도공층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은 C 항에서 설명한 접착제를 함유한다. 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용매, 및/또는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개시제, 가교제, 점착 부여제, 가소제, 안료, 염료, 충전제, 노화 방지제, 도전재,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박리 조정제, 연화제, 계면활성제, 난연제,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공에는, 임의의 적절한 도공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바, 커튼 코터, 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 도공층을 형성해도 된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40 ℃ ∼ 160 ℃ 이다. 건조 시간은, 예를 들어 30 초 ∼ 1 시간이다.
상기 도공층의 경화 방법은,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접착제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공층을 경화시킨다. 자외선의 조사량은 바람직하게는 200 mJ/㎠ ∼ 2000 mJ/㎠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mJ/㎠ ∼ 1500 mJ/㎠ 이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공층을 형성한 후, 소정 시간 경과후, 그 도공층을 경화시킨다. 도공층 형성 후, 경화 처리를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중간층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당해 시간이 길수록, 중간층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도공층 형성 후, 경화 처리를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은,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제어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0 초 ∼ 250 초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초 ∼ 200 초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초 ∼ 180 초이다.
상기 광학 적층체가 광학 기능층을 구비하는 경우, 그 광학 기능층은 대표적으로는 전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 기능층을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ⅰ) 기재와, 그 기재 상에 형성된 광학 기능층을 구성하는 필름 (예를 들어,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으로 고정된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필름) 을 포함하는 적층체 a 를 제작하는 공정과, (ⅱ)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 상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공층을 형성하여, 적층체 b 를 얻는 공정과, (ⅲ) 적층체 a 의 필름면과 적층체 b 의 도공층면을 첩합하는 공정과, (ⅳ) 도공층을 경화시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ⅴ) 그 후, 상기 기재를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는 경우, 도공층 형성 후, 경화 처리를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은 (ⅱ) 의 공정 후 (ⅳ) 의 공정을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다. 또한, 상기 적층체 a 의 광학 기능층을 구성하는 필름 상에도,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공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적층체 a 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에 대한 상기 기재의 필 강도는 상기 접착제층에 대한 상기 수지층의 필 강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 기능층에 대한 상기 기재의 필 강도는 접착제층에 대한 수지층의 필 강도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 85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 80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기재를 박리할 때에, 접착제층이 수지층으로부터 탈리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재만을 양호하게 박리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가 편광자를 구비하는 경우, 당해 편광자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수지층 상에 첩착 (貼着) 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적층체 a 의 제작
표면이 코로나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상에, 에틸실리케이트의 이소프로필알코올/부탄올 용액 (콜코트사 제조, 상품명 「콜코트 P」, 고형분 : 2 중량%) 을 도포하고, 130 ℃ 에서 1 분간 가열하여, 기재 (배향막부) 를 얻었다.
하기 화학식 (Ⅰ) (식 중의 숫자 65 및 35 는 모노머 유닛의 몰% 를 나타내고, 편의적으로 블록 폴리머체로 나타내고 있다 : 중량 평균 분자량 5000) 로 나타내는 측사슬형 액정 폴리머 5 중량부,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BASF 사 제조, 상품명 「PaliocolorLC242」) 20 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 (치바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5 중량부를 시클로헥사논 75 중량부에 용해하여, 액정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상기에서 얻어진 기재 상에 당해 도공액을 바 코터에 의해 도공한 후, 80 ℃ 에서 2 분간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액정을 배향시키고, 그 후, 실온까지 단번에 냉각하고, 추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액정층을 경화시킴으로써, 기재 상에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광학 기능층 ; 두께 : 2.5 ㎛) 이 형성된 적층체 a 를 얻었다.
[화학식 2]
Figure 112016028871175-pat00002
[제조예 2]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쿄진사 제조, 상품명 「HEAA」) 62 중량부와, 아크릴로일모르폴린 (쿄진사 제조, 상품명 「ACMO」) 25 중량부와, PEG400 #디아크릴레이트 (쿄에이샤 화학사 제조, 상품명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9EG-A」) 7 중량부와, BASF 사 제조의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3 중량부와, 닛폰 화약사 제조의 상품명 「KAYACURE DETX-S」 3 중량부를 60 분간 혼합하여,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
일본 특허 5204200 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되는 방법에 준하여, 이소소르비드 유래의 구성 단위 (37.1 몰%),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유래의 구성 단위 (47.4 몰%)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유래의 구성 단위 (15.5 몰%) 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의 연신 필름 (두께 : 50 ㎛) 을 얻었다.
얻어진 연신 필름 상에,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도공층 Ⅰ 을 형성하였다.
또,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적층체 a 의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광학 기능층)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그 처리면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도공층 Ⅱ 를 형성하였다.
연신 필름 상의 도공층 Ⅰ 과 적층체 a 의 도공층 Ⅱ 를 첩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연신 필름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10 초 경과한 후, 도공층에, 퓨전 UV 시스템즈사 제조 UV 경화 장치 (V 밸브) 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고 (조사량 : 700 mJ/㎠), 기재가 부착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연신 필름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고, 30 초 후에 자외선을 조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가 부착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연신 필름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고, 45 초 후에 자외선을 조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가 부착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4]
상기 연신 필름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고, 60 초 후에 자외선을 조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가 부착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5]
상기 연신 필름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고, 180 초 후에 자외선을 조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가 부착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6]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의 연신 필름 대신에, JSR 사 제조의 아톤 필름(상품명,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두께 : 40 ㎛) 을 사용하여, 당해 아톤 필름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고, 45 초 후에 자외선을 조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가 부착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1]
상기 연신 필름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고, 5 초 후에 자외선을 조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가 부착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2]
상기 연신 필름에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고, 300 초 후에 자외선을 조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가 부착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이하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1) 전사 기재 박리성
얻어진 기재가 부착된 광학 적층체에 대해, 기재측을 위로 하여, 기재를 180 °방향으로 박리하였다. 박리 후의 기재만이 박리된 경우, 합격으로 하였다 (표 1 중, ○). 기재에 광학 기능층 성분 또는 접착제층 성분이 부착되어 있던 경우, 불합격으로 하였다 (표 1 중, ×).
(2) 필력
얻어진 기재가 부착된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를 박리한 후, 광학 적층체의 수지층의 외측에 폴리이미드 테이프를 첩착하여 보강하여, 측정 시료 (25 ㎜ 폭) 를 준비하였다. 변각도 필 시험기를 사용하여, 접착제층에 대한 수지층의 필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온도 : 23 ℃, 인장 속도 : 3000 ㎜/min, 인장 방향 : 90°).
(3) 중간층 및 접착제층의 두께
광학 적층체의 단면을 TEM 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중간층 및 접착제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수지층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도공 후, UV 조사까지의 시간 (초) 중간층의 두께
(㎚)
접착제층의 두께
(㎚)
필력
(N/25㎜)
전사 기재 박리성
실시예 1 PC 필름 10 20 980 10
실시예 2 PC 필름 30 30 975 10
실시예 3 PC 필름 45 50 960 10
실시예 4 PC 필름 60 100 925 10
실시예 5 PC 필름 180 200 790 10
실시예 6 시클로올레핀 필름 45 40 950 7.3
비교예 1 PC 필름 5 10 990 5 ×
비교예 2 PC 필름 300 300 720 - ×
표 1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그 수지층과 그 접착제층 사이에 특정 두께의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수지층과 접착제층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중간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운 경우 (비교예 2) 에 있어서는, 상기 (2) 필력 측정시, 5N 의 하중으로, 접착제층 내에서 응집 파괴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위상차층이 부착된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EL 표시 장치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10 : 수지층
20 : 접착제층
30 : 중간층
100 : 광학 적층체

Claims (7)

  1. 수지층과,
    그 수지층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되는 접착제층과,
    그 수지층과 그 접착제층 사이에 형성되고, 그 수지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와 그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함유하는 중간층을 구비하고,
    그 접착제층의 두께가 0.5 ㎛ ~ 2 ㎛ 이고,
    그 중간층의 두께가 20 ㎚ ∼ 200 ㎚ 이고,
    상기 중간층의 두께가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에 대하여 2 % ~ 10.8 % 인 광학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광학 이방성을 갖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학 적층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또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학 적층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상기 수지층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광학 기능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그 광학 기능층이 액정 재료의 고화층 또는 경화층인 광학 적층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이 전사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 적층체.
  6. 제 1 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원편광판.
  7. 수지 필름 상에, 경화형 접착제를 함유하는 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도공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그 도공층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도공층 형성 후, 경화 처리를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10 초 ∼ 250 초인, 제 1 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160035993A 2015-03-27 2016-03-25 광학 적층체 KR102392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6414 2015-03-27
JP2015066414A JP6689031B2 (ja) 2015-03-27 2015-03-27 光学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837A KR20160115837A (ko) 2016-10-06
KR102392234B1 true KR102392234B1 (ko) 2022-04-28

Family

ID=5697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993A KR102392234B1 (ko) 2015-03-27 2016-03-25 광학 적층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68351B2 (ko)
JP (1) JP6689031B2 (ko)
KR (1) KR102392234B1 (ko)
CN (2) CN106019420A (ko)
TW (1) TWI7259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7115B2 (ja) * 2016-12-13 2021-09-2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TWI763976B (zh) * 2018-07-25 2022-05-1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易接著薄膜及其製造方法、偏光板、以及影像顯示裝置
CA3131672A1 (en) * 2018-12-17 2020-06-25 Nippon Steel Corporation Laminated cor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ic motor
JP7311291B2 (ja) * 2019-03-28 2023-07-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129A (ja) 1989-05-10 2001-07-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偏光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51773A (ja) 2005-02-10 2006-09-21 Nitto Denko Corp 粘着型ポリカーボネート系光学補償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015116A (ja) 2006-07-04 2008-01-24 Seiko Epson Corp 液体現像剤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181090A (ja) 2006-12-26 2008-08-07 Nitto Denko Corp 光学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
JP2012177017A (ja) 2011-02-25 2012-09-13 Dic Corp セルロース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
JP2012234163A (ja) 2011-04-22 2012-11-29 Nitto Denko Corp 光学積層体
JP2013133426A (ja) 2011-12-27 2013-07-08 Kohjin Holdings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
JP2013148883A (ja) 2011-12-20 2013-08-01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膜形成用組成物及び偏光膜
JP2014145852A (ja) 2013-01-28 2014-08-14 Konica Minolta Inc 光学フィルム、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40285887A1 (en) 2013-03-19 2014-09-25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polarizing plate
JP2014191028A (ja) 2013-03-26 2014-10-06 Jx Nippon Oil & Energy Corp 積層偏光板および有機el素子
WO2015012014A1 (ja) 2013-07-23 2015-01-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及びva型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5185A (ja) * 2006-12-07 2008-07-17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133987A (ja) 2007-03-12 2010-06-17 Toagosei Co Ltd 光学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4753440B2 (ja) * 2007-04-11 2011-08-24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722182B2 (en) 2007-04-16 2014-05-13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JP4744496B2 (ja) 2007-04-16 2011-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666248B1 (ko) * 2011-08-19 2016-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JP2013235232A (ja) 2012-04-13 2013-11-21 Fujifilm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944302B2 (ja) * 2012-04-13 2016-07-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129A (ja) 1989-05-10 2001-07-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偏光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51773A (ja) 2005-02-10 2006-09-21 Nitto Denko Corp 粘着型ポリカーボネート系光学補償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015116A (ja) 2006-07-04 2008-01-24 Seiko Epson Corp 液体現像剤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181090A (ja) 2006-12-26 2008-08-07 Nitto Denko Corp 光学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
JP2012177017A (ja) 2011-02-25 2012-09-13 Dic Corp セルロース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
JP2012234163A (ja) 2011-04-22 2012-11-29 Nitto Denko Corp 光学積層体
JP2013148883A (ja) 2011-12-20 2013-08-01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膜形成用組成物及び偏光膜
JP2013133426A (ja) 2011-12-27 2013-07-08 Kohjin Holdings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
JP2014145852A (ja) 2013-01-28 2014-08-14 Konica Minolta Inc 光学フィルム、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40285887A1 (en) 2013-03-19 2014-09-25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polarizing plate
JP2014232126A (ja) 2013-03-19 2014-12-1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4191028A (ja) 2013-03-26 2014-10-06 Jx Nippon Oil & Energy Corp 積層偏光板および有機el素子
WO2015012014A1 (ja) 2013-07-23 2015-01-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及びva型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82533A1 (en) 2016-09-29
KR20160115837A (ko) 2016-10-06
JP2016186558A (ja) 2016-10-27
JP6689031B2 (ja) 2020-04-28
TWI725962B (zh) 2021-05-01
TW201700669A (zh) 2017-01-01
US10768351B2 (en) 2020-09-08
CN114603936A (zh) 2022-06-10
CN106019420A (zh)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4836B2 (en) Circular polarizer for organic EL display device having laminated half wavelength plate and quarter wavelength plat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KR101107533B1 (ko) 표면 보호 필름 부착 편광판, 표면 보호 필름 부착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JP5527790B2 (ja) 積層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155921B1 (ko) 광경화성 접착제,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적층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220130839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10168571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392234B1 (ko) 광학 적층체
JP2010277018A (ja) 耐久性に優れ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06059545A1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9148734A (ja) 円偏光板
JP6043315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201523088A (zh) 偏光板之套組及前面板一體型液晶顯示面板
KR101163430B1 (ko) 광학 필름, 편광판, 액정 패널, 액정 표시 장치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50079630A (ko)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위상차 필름, 편광판, 및 ips 액정 패널
JP2014130357A (ja) 積層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199825B2 (ja) 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22699A (ko)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08158180A (ja)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462597B2 (ja) 円偏光板、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20220019102A (ko) 위상차층 및 하드 코트층 부착 편광판의 제조 방법
JP2007065452A (ja) 偏光板
KR20230151469A (ko)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CN117859080A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及使用了其的图像显示装置
KR20240071366A (ko) 적층 필름, 광학 적층체 및 화상표시장치
CN110780372A (zh) 圆偏振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