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1366A - 적층 필름, 광학 적층체 및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광학 적층체 및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1366A
KR20240071366A KR1020247007193A KR20247007193A KR20240071366A KR 20240071366 A KR20240071366 A KR 20240071366A KR 1020247007193 A KR1020247007193 A KR 1020247007193A KR 20247007193 A KR20247007193 A KR 20247007193A KR 20240071366 A KR20240071366 A KR 20240071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optical
less
laminate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지 소부에
타카유키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7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13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광학 기능층(A)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 적층 필름은, 시감 반사율 Y가 9.0% 이하이고, 반사 색상의 a*가 0.3 이상 7.0 이하이고, 반사 색상의 b*가 -10.0 이상 0 이하인, 적층 필름, 당해 적층 필름과 원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그리고 당해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적층 필름, 광학 적층체 및 화상표시장치
본 발명은, 적층 필름, 광학 적층체 및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EL) 표시장치로 대표되는 화상표시장치로는, 외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원 편광판 등을 이용하여 반사 방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개 2020-134934호 공보(특허문헌 1)〕. 원 편광판은,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이다.
일본 특허공개 2020-134934호 공보
원 편광판은 통상, 유기 EL표시소자 등의 화상 표시 소자의 시인 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원 편광판을 배치함으로써, 화상 표시 소자에 입사한 외광이, 당해 소자가 가지는 내부 전극 등에 의해 반사하여 외부로 출사하는 내부 반사광을 억제할 수 있다. 원 편광판과 같은, 화상 표시 소자의 시인 측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에는, 낮은 반사율을 유지하면서, 요구에 맞추어 반사 색상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 편광판의 시인 측에 배치함으로써 원 편광판과 함께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기 위한 적층 필름으로, 당해 광학 적층체가 낮은 반사율을 유지하면서, 당해 광학 적층체의 반사 색상을 조정 가능한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해 적층 필름과 원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및 당해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적층 필름, 광학 적층체 및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1]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광학 기능층(A)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
상기 적층 필름은, 시감 반사율 Y가 9.0% 이하이고, 반사 색상의 a*가 0.3 이상 7.0 이하이고, 반사 색상의 b*가 -10.0 이상 0 이하인, 적층 필름.
[2] 상기 광학 기능층(A)은, 굴절률이 1.55 이상 1.68 이하인, [1]에 기재된 적층 필름.
[3] 상기 광학 기능층(A)의 굴절률과 상기 기재 필름의 굴절률과의 차가 0.05 이상 0.20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적층 필름.
[4] 상기 광학 기능층(A)은, 광학 막후가 150nm 이상 200nm 이하인, [1] ~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5] 상기 광학 기능층(A)은, 산화 지르코늄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 지르코늄 입자의 일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입자 지름 0.1nm이상 15nm의 범위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1] ~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6] 상기 기재 필름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필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필름 또는 (메타)아크릴계 수지필름인, [1] ~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7] 상기 광학 기능층(A)에서 상기 기재 필름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수지층을 더 포함하는, [1] ~ [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8] 상기 기재 필름과 상기 광학 기능층(A)의 사이에, 프라이머층 및 하드 코트층으로부터 선택되는 개재층을 가지는, [1] ~ [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9] 상기 개재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8]에 기재된 적층 필름.
[10] [1] ~ [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과, 원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1] [10]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원 편광판의 시인 측에 배치함으로써 원 편광판과 함께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기 위한 적층 필름으로, 당해 광학 적층체가 낮은 반사율을 유지하면서, 당해 광학 적층체의 반사 색상을 조정 가능한 적층 필름, 당해 적층 필름과 원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그리고, 당해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모든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에 나타나는 각 구성요소의 사이즈나 형상은, 실제의 구성요소의 사이즈나 형상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적층 필름>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이하, 단지 「적층 필름」이라고도 한다.)은,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광학 기능층(A)을 포함하는 적층 광학 필름이다.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의 예를 도 1 ~ 도 4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은, 기재 필름(1b)과 그 위에 적층되는 광학 기능층(A)(1a)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재 필름(1b)과 광학 기능층(A)(1a)은 접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은, 광학 기능층(A)(1a)에 있어서 기재 필름 (1b)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수지층(1c)을 더 포함하는 것 이외는 도 1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광학 기능층(A)(1a)과 수지층 (1c)은 접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은, 기재 필름(1b)과 광학 기능층(A)(1a)의 사이에 개재층(1d)을 가지는 것 이외는 도 1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광학 기능층(A)(1a)과 개재층(1d)은 접하고 있고, 개재층(1d)과 기재 필름(1b)이 접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은, 광학 기능층(A)(1a)에 있어서 기재 필름(1b)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수지층(1c)을 가지고, 또한 기재 필름(1b)과 광학 기능층(A)(1a)과의 사이에 개재층(1d)을 가지는 것 이외는 도 1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광학 기능층(A)(1a)과 수지층(1c)이 접하고 있고, 광학 기능층(A)(1a)과 개재층(1d)이 접하고 있고, 개재층(1d)과 기재 필름(1b)이 접하고 있다.
적층 필름은, 원 편광판과 조합하여 이용된다. 용어 「원 편광판」은, 타원 편광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적층 필름과 원 편광판의 조합인 적층체를 광학 적층체라고 한다. 광학 적층체에서 적층 필름은, 원 편광판의 시인 측에 적층된다. 시인 측에 적층된다는 것은,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원 편광판에서의 직선 편광판의 면에 적층되는 것을 말한다. 적층 필름은, 예를 들면, 그 기재 필름 측이 원 편광판에 대향하도록 원 편광판상에 적층된다.
광학 적층체는, 유기 EL표시장치 등의 화상표시장치에 호적하게 적용될 수 있다.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당해 광학 적층체의 적층 필름측이 시인 측이 되도록, 즉, 광학 적층체의 위상차층 측이 화상 표시 소자(유기 EL표시 소자 등) 측이 되도록, 화상 표시 소자의 시인 측에 배치된다.
이하, 적층 필름의 광학 특성, 적층 필름에 포함되는 또는 포함되어 있어도 좋은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적층 필름의 광학 특성 및 광학 기능층(A)
적층 필름은, 시감 반사율 Y가 9.0% 이하이고, 반사 색상의 a*가 0.3 이상 7.0 이하이고, 반사 색상의 b*가 -10.0 이상 0 이하이다.
상기 광학 특성을 가지는 적층 필름에 의하면, 이것을 원 편광판의 시인 측에 적층함으로써, 원 편광판의 구성이나 위상차 특성에 의하지 않고, 광학 적층체의 반사 색상의 조정, 컨트롤이 가능해진다. 특히, 적층 필름은, 반사 색상의 b*가 -10.0 이상 0 이하인 것부터, 광학 적층체의 시인 측 표면에서 반사하는 반사광을 청색을 띠는 색으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원 편광판의 면 내에서의 반사 색상의 미세한 흔들림에 기인하는 내부 반사광의 얼룩을 시인시키기 어렵게 하는데 유리하다. 종래의 원 편광판은, 특히 역파장 분산성을 가지는 λ/4층을 포함하는 구성일 때, 내부 반사광을 넓은 가시 범위에서 억제시키기 위해, 흑(黑) 표시(원 편광판의 반사 색상을 뉴트럴로 하는 것)를 실현하기 쉽다. 그러나, 원 편광판의 반사 색상이 뉴트럴이 되는 만큼, 얼룩이 시인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적층 필름을 원 편광판의 시인측에 배치함으로써, 이 얼룩을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반면, 적층 필름을 원 편광판의 시인측에 배치하더라도, 화상 표시 소자로부터의 투과광(백(白)표시)을 청색을 띠는 색으로 변화시키거나 반사율이 크게 상승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적층체의 반사 색상의 조정의 역할을 적층 필름이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원 편광판이 가지는 위상차층의 파장 분산이나 위상차 특성을 조정하는 것으로도, 원 편광판의 반사 색상을 청색을 띠는 색으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기울기로부터의 반사 색상의 변화가 커진다고 하는 다른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원래, 원 편광판이 가지는 위상차층의 파장 분산이나 위상차 특성을 조정하는 수법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반사 색상의 범위는 한정적이다. 광학 적층체의 반사 색상의 조정의 역할을 적층 필름에 담당하게 하는 수법에 의하면, 기울기로부터의 반사 색상의 변화를 억제하면서, 얼룩을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 의하면, 광학 적층체의 반사 색상을 적절히 청색을 띠는 색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표시장치의 표시에 고급감을 줄 수 있다.
적층 필름은, 시감 반사율 Y가 9.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2%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다. 이로 인해,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을 적절히 작게 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의 시감 반사율 Y는, 통상 0% 초과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적층 필름의 시감 반사율 Y가 이 범위인 것으로 인해, 광학 적층체의 반사 색상을 조정하는 기능과 광학 적층체가 낮은 반사율의 유지를 양립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화상표시장치의 시인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3% 이하이다.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통상 0% 초과이다.
적층 필름은, 반사 색상의 a*가 0.3 이상 7.0 이하이고, 반사 색상은 녹색보다 뉴트럴에서 약간 적색 쪽이 선호되므로,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이상 4.5 이하이다. 적층 필름은, 반사 색상의 b*가 -10.0 이상 0 이하이고, 광학 적층체의 시인측 표면에서 반사하는 반사광을 적절히 청색을 띠는 색으로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0.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2.0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3.0 이하이다.
반사 색상은 녹색보다 뉴트럴에서 약간 적색 쪽이 선호되므로, 광학 적층체는, 반사 색상의 a*가 바람직하게는 0.0 이상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1.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상 1.5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1.4 이하이다. 광학 적층체는, 시인 측 표면에서 반사하는 반사광을 적절히 청색을 띠는 색으로 하기 위해서, 반사 색상의 b*가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8 이상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6 이상 -2.6 이하이다.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 적층 필름의 반사 색상 및 시감 반사율 Y는, 후술하는[실시예]의 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광학 기능층(A)(1a)은, 예를 들면, 고굴절률층, 색소 함유층(예를 들면, 황색 색소 함유층),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의 교호(交互) 다층, 액정층, 형광 발광성층,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면 좋다. 고굴절률층은, 계면반사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 특성을 실현한다. 색소 함유층은, 예를 들면 황색광을 흡수하는 색소를 함유하는 것으로, 반사광의 청미를 높이는 층이다.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의 교호 다층은,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의 계면에서의 계면반사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 특성을 실현한다. 액정층은, 예를 들면, 콜레스테릭 액정에 의한 원 편광의 반사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 특성을 실현한다. 그 중에서도, 상기 광학 특성을 가지는 광학 기능층(A) 및 적층 필름의 실현하기 쉬움 및 제조의 용이의 관점, 광학 적층체의 반사 색상의 조정하기 쉬움의 관점, 그리고 화상 표시 소자로부터의 투과광은 착색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 광학 기능층(A)(1a)은, 고굴절률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종래 공지의 구성의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바인더 수지 중에 굴절률 부여제가 분산되어 있는 층을 들 수 있다. 굴절률 부여제로는, 예를 들면, 산화 지르코늄, 산화 티탄,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산화 인듐주석, 산화 인듐, 산화 알루미늄, 산화 규소, 산화 이트륨, 산화 안티몬 등의 금속 산화물로 구성되는 입자를 들 수 있다. 당해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은, 예를 들면 0.01nm 이상 1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0.1nm 이상 50nm 이하이다.
고굴절률층에 있어서 굴절률 부여제의 함유량은, 고굴절률층의 굴절률 및 당해 층의 제막 용이성의 관점에서, 고굴절률층 100 질량% 중,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9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이다.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은, 고굴절률층에서의 굴절률 부여제의 함유량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고굴절률층에서의 굴절률 부여제의 함유량이 많은 만큼,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을 높게 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여도 좋고, 경화성 수지의 경화물이어도 좋다. 고굴절률층은 하드 코트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이 경우, 고굴절률층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및 굴절률 부여제를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이다. 바인더 수지를 구성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이며, 경화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관능의 (메타)아크릴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이다.
한편, 본 명세에서 「(메타)아크릴」이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의 어느 쪽이어도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도 마찬가지의 의미이다.
광학 기능층(A)(1a)의 두께(광학 막후)는, 적층 필름의 상기 광학 특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100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50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nm 이상 300nm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nm 이상 250n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nm 이상 200n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nm 이상 200nm 이하이다.
광학 기능층(A)(1a)(바람직하게는 고굴절률층)은, 적층 필름의 상기 광학 특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굴절률이 1.53 이상 1.6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이상 1.6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8 이상 1.64 이하이다. 광학 기능층(A)(1a)의 굴절률은, 후술하는[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광학 기능층(A)(1a)은, 굴절률 부여제로서 산화 지르코늄 입자를 포함하는 고굴절률층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산화 지르코늄 입자의 체적 평균지름(MV)은, 원 편광판의 내부 반사광 억제 기능을 저해하지 않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1nm 이상 5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nm 이상 20nm 이하이다. 마찬가지 이유에서, 산화 지르코늄 입자는, 그 일차 입자 지름 분포에서, 입자 지름 0.1nm 이상 15nm의 범위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차 입자 지름 분포는, 산화 지르코늄 입자수의 측정에 의해 나타내진다.
(2) 기재 필름
기재 필름(1b)은, 광학 기능층(A)(1a)을 지지하는 기재이다. 예를 들면,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 및/또는 경화시킴으로써, 기재 필름과 고굴절률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으로는, 후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박형화의 관점에서, 통상 100μ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80μ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μm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μm 이하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0μm 이하이며, 또한, 통상 5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이다.
그 중에서도, 기재 필름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또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과 같이, 광학 기능층(A)(1a)과 기재 필름(1b)이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특히, 광학 기능층(A)(1a)의 굴절률과 기재 필름(1b)의 굴절률의 차이는, 적층 필름의 상기 광학 특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0.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이상 0.1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9 이상 0.16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09 이상 0.14 이하이고, 0.10 이하이어도 좋다.
(3) 수지층
도 2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과 같이, 적층 필름은, 광학 기능층(A)(1a)에 있서의 기재 필름(1b)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수지층(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지층(1c)으로는, 예를 들면, 점착제층 등의 첩합층, 하드 코트층 등을 들 수 있다. 첩합층은, 광학 기능층(A)(1a)의 시인 측에 전면판 등을 적층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3)점착제층」에서의 기술이 인용된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이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는, 예를 들면 (메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살리실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가시광역에 흡수가 있는 경우는 반사 색상이 청색 쪽이 되기 때문에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을 낮출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또한, 하드 코트층은 기재 필름 상으로부터 전사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4) 개재층
도 3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과 같이, 적층 필름은, 기재 필름(1b)과 광학 기능층(A)(1a)의 사이에 개재층(1d)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개재층(1d)으로는, 예를 들면, 프라이머층, 하드 코트층 등을 들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과 같이, 적층 필름은, 수지층(1c) 및 개재층(1d)의 양쪽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특히 프라이머층에는, 밀착성 향상과 함께 미끄럼성 부여를 목적으로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에 대해서는, 상기의 기술이 인용된다.
적층 필름이 개재층(1d)을 가지는 경우, 광학 기능층(A)(1a)의 굴절률과 개재층(1d)의 굴절률의 차는, 적층 필름의 상기 광학 특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0.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이상 0.1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9 이상 0.16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09 이상 0.14 이하이며, 0.10 이하여도 좋다.
개재층(1d)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예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한 개의 실시형태에서, 개재층(1d)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이다.
<광학 적층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이하, 단지 「광학 적층체」라고도 한다.)는, 상술의 적층 필름과 원 편광판을 포함한다. 원 편광판은,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층을 포함한다. 광학 적층체는, 적층 필름과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층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광학 적층체에서 적층 필름은, 원 편광판의 시인 측에 적층된다. 시인 측에 적층된다는 것은,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원 편광판에 있어서의 직선 편광판의 면에 적층되는 것을 말한다. 적층 필름은, 예를 들면, 그 기재 필름 측이 원 편광판에 대향하도록 원 편광판 상에 적층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는, 적층 필름(1)과 직선 편광판(2)과 위상차층(3)을 구비한다. 적층 필름(1)과 직선 편광판(2)은, 제1첩합층(10)을 통해 적층할 수 있고, 직선 편광판(2)과 위상차층(3)은, 제2첩합층(20)을 통해 적층할 수 있다. 적층 필름(1)은, 그 기재 필름 측이 직선 편광판(2)에 대향하도록, 제1첩합층(10)을 통해 직선 편광판(2) 상에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술의 적층 필름(1)이 직선 편광판(2)의 시인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반사 특성〔a〕~〔c〕를 가질 수 있다.
〔a〕반사율: 5.5% 이하, 바람직하게는 5.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3% 이하.
〔b〕반사 색상의 a*: 0.0 이상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1.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이상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1.4 이하.
〔c〕반사 색상의 b*: -5.0 이상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4.8 이상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6 이상 -2.6 이하.
(1) 직선 편광판
직선 편광판(2)은, 직선 편광자를 포함한다. 직선 편광자는, 자연광 등의 비편광인 광선으로부터, 어느 일방향의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직선 편광자로는,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액정 경화층 등을 들 수 있다. 적층 필름(1)과 직선 편광판(2)은, 제1첩합층(10)을 통하여 적층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인 직선 편광자는,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 등의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의 두께는, 통상 30μ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8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μm 이하이다. 당해 두께는, 통상 1μm 이상이며, 예를 들면 5μm 이상이어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여기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불포화카르복실산계 화합물, 올레핀계 화합물, 비닐에테르계 화합물, 불포화 술폰계 화합물, 암모늄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 아미드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몰% 이상 100몰% 이하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알데하이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폴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이상 10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5000 이하이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층인 직선 편광자는, 통상,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층 상에 도포하는 공정, 얻어진 적층체를 일축 연신하는 공정, 일축 연신된 적층체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기재층은, 직선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여도 좋고, 직선 편광자로부터 박리 제거되어도 좋다. 기재층의 재료 및 두께는, 후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마찬가지여도 좋다.
직선 편광판(2)은,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인 직선 편광자의 단면 또는 양면에 적층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으로는, 후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직선 편광자와 보호 필름이란, 후술하는 첩합층(제3첩합층)을 통하여 적층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에테르술폰 수지;폴리술폰 수지;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폴리이미드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시클로계 및 노보넨 구조를 가지는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노보넨계 수지라고도 한다);(메타)아크릴 수지;폴리아릴레이트 수지;폴리스틸렌 수지;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또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박형화의 관점에서, 통상 100μ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80μ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μm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μm 이하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0μm 이하이며, 또한, 통상 5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을 마련함으로써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에 대해서는, 상기의 기술이 인용된다.
액정 경화층인 직선 편광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고, 또한 액정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중합성 반응기는,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이고, 광중합성 반응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반응기는, 광중합 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광중합성 반응기로는, 비닐기, 비닐 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봉상(棒狀) 액정 화합물, 원반상 액정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액정성은, 써모트로픽성 액정이어도 리오트로픽성 액정이어도 좋고, 써모트로피 액정을 질서도로 분류하면, 네마틱 액정이어도 스멕팅 액정이어도 좋다.
액정 경화층에서, 이색성 색소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 중에 분산되어, 배향하고 있다. 액정 경화층인 직선 편광자에 이용되는 이색성 색소로는, 300nm 이상 700nm 이하의 범위로 흡수 극대 파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색성 색소로는, 예를 들면, 아크리딘 색소, 옥사진 색소, 시아닌 색소, 나프탈렌 색소, 아조 색소 및 안트 라퀴논 색소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아조 색소가 바람직하다. 아조 색소로는, 모노아조 색소, 비스아조 색소, 트리스아조 색소, 테트라키스아조 색소 및 82-19 스틸벤아조 색소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아조 색소 및 트리스아조 색소이다. 이색성 색소는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을 조합해도 좋고, 3종 이상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3종 이상의 아조 화합물을 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의 일부가 반응성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또한 액정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액정 경화층인 직선 편광자는, 예를 들면, 기재층 상에 형성된 배향층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직선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재층 상에, 직선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을 기재층과 함께 연신함으로써, 직선 편광자를 형성해도 좋다. 직선 편광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기재층은, 직선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 이용하여도 좋다. 기재층의 재료 및 두께는,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마찬가지여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직선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 그리고, 이 조성물을 이용한 직선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개 2013-37353호 공보, 특개 2013-33249호 공보, 특개 2017-83843호 공보 등에 기재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직선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에 더하여, 용매, 중합 개시제, 가교제, 레벨링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 증감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성분은, 각각 1종만을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직선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이 함유하고 있어도 좋은 중합 개시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이고, 보다 저온 조건 하에서,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점에서, 광중합성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광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 또는 산을 발생할 수 있는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광의 작용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부 이상 8질량부 이하이다. 이 범위 내이면, 중합성기의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고, 또한,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쉽다.
액정 경화층인 직선 편광자의 두께는, 통상 10μ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μm 이상 8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μm 이상 5μm 이하이다.
직선 편광판(2)은, 기재층과 액정 경화층인 직선 편광자와의 적층체여도 좋다. 혹은 기재층은, 직선 편광자로부터 박리 제거되어도 좋다. 액정 경화층인 직선 편광자를 포함하는 직선 편광판(2)은, 배향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가지지 않아도 좋다. 직선 편광판(2)는, 액정 경화층인 직선 편광자의 단면 또는 양면에 적층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으로는, 상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직선 편광자와 보호 필름은, 후술하는 첩합층(제3첩합층)을 통하여 적층할 수 있다.
액정 경화층인 직선 편광자는, 직선 편광자의 보호 등을 목적으로, 그 단면 또는 양면에 오버코트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오버코트층은, 예를 들면 직선 편광자 상에 오버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광경화형 수지, 수용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직선 편광자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Py는, 통상 9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7%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8.7%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9.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9.4% 이상이며, 99.9% 이상이어도 좋다. 직선 편광자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Py는, 99.999% 이하 또는 99.99% 이하여도 좋다.
시감도 보정 편광도Py는, 적분구 포함 분광 광도계(일본 분광 주식회사제의 「V7100」)를 이용하고, 얻어진 편광도에 대하여 「JIS Z 8701」의 2도 시야(C광원)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실시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직선 편광자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Py를 높게 하는 것은, 광학 적층체의 반사 방지 기능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시감도 보정 편광도Py가 95% 미만이면, 반사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직선 편광자의 시감도 보정 단체(單體) 투과율Ty은, 통상 4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41.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1.2% 이상이고, 42% 이상이어도 좋고, 42.5% 이상이어도 좋다. 직선 편광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은, 통상 50% 이하이고, 48% 이하여도 좋고, 46% 이하여도 좋고, 44% 이하여도 좋고, 43% 이하여도 좋다.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이 과도하게 높으면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가 너무 낮아져서, 광학 적층체의 반사 방지 기능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은, 적분구 포함 분광 광도계(일본 분광 주식회사제의 「V7100」)를 이용하고, 얻어진 투과율에 대하여 「JIS Z 8701」의 2도 시야(C광원)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실시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2) 위상차층
광학 적층체는, 제1 위상차층(3a)을 가지는 위상차층(3)을 포함한다. 직선 편광판(2)과 제1 위상차층(3a)은, 제2첩합층(20)을 통하여 적층할 수 있다. 위상차층(3)은, 제1 위상차층(3a) 만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2층 이상의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여도 좋다. 즉, 위상차층(3)은, 제1 위상차층(3a)과는 별도의 위상차층을 1층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위상차층 (3)은, 그 표면을 보호하는 오버코트층, 위상차층(3)을 지지하는 기재층 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1 위상차층(3a)은, 예를 들면 λ/4층이다. 위상차층(3)이 2층의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경우, 당해 층의 위상차층의 조합으로는, 직선 편광판(2)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λ/4층과 포지티브 C층과의 조합, λ/2층과 λ/4층과의 조합, 포지티브 C층과 λ/4층과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위상차층끼리의 적층으로는 후술하는 첩합층(제4첩합층)을 이용할 수 있다.
λ/4층은, 파장 550nm에서의 면내 위상차치 Re(550)가, 통상 90nm이상 220nm 이하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00nm 이상 200nm 이하의 범위이다. λ/2층은, 파장 550nm에서의 면내 위상차치 Re(550)가, 바람직하게는 200nm 이상 300nm 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포지티브 C층은, 파장 550nm에서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치 Rth(550)가, 통상 -170nm 이상 -10nm 이하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50nm 이상 -20nm 이하의 범위이다.
위상차층(3)은, 상술한 내부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역파장 분산성을 가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분산α가 0.9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장 분산α이 0.80 이상 0.93 이하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파장 분산α이 0.80 이상 0.90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파장 분산α이 0.80 이상 0.88 이하이다.
파장 분산α이란, 파장 450nm에서의 면내 위상차치 Re(450)와 파장 550nm에서의 면내 위상차치 Re(550)와의 비이다.
파장 분산 α=면내 위상차치 Re(450)/면내 위상차치 Re(550)
제1 위상차층(3a) 및 다른 위상차층은, 상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연신 등에 의해 형성되는 위상차 필름이어도 좋고, 액정 경화층이어도 좋다. 액정 경화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배향 상태로 중합 경화한 경화물층이다. 위상차층(3)은, 액정 경화층을 1층 이상 포함할 수 있고, 2층 또는 그 이상의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는, 봉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원반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일방을 이용하여도 좋고, 이들 양쪽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해도 좋다. 봉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기재층에 대하여 수평 배향 또는 수직 배향한 경우는, 당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은, 당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장축 방향과 일치한다. 원반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배향한 경우는, 당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은, 당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원반면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존재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액정 경화층이 면내 위상차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적합한 방향으로 배향시키면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봉상의 경우는, 당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을 기재층 평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향시킴으로써 면내 위상차가 발현하고, 이 경우, 광축 방향과 지상축 방향은 일치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원반상인 경우는, 당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을 기재층 평면에 대하여 수평에 배향시킴으로써 면내 위상차가 발현하고, 이 경우, 광축과 지상축은 직교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는, 배향층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조합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고, 또한, 액정성을 가지는 화합물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2 종류 이상 병용하는 경우, 적어도 한 종류가 분자 내에 2이상의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 반응기는,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이고, 광중합성 반응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반응기는, 광중합 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광중합성 반응기의 예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가지는 액정성은, 써모트로픽성 액정이어도 리오트로픽 액정이어도 좋고, 써모트로픽 액정을 질서도로 분류하면, 네마틱 액정이어도 스메틱 액정이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는, 위상차층에 인접하는 배향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배향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소망의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갖는다. 배향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기재층에 대하여 수직 배향한 수직 배향층이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기재층에 대하여 수평 배향한 수평 배향층이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기재층에 대하여 경사 배향시키는 경사 배향층이어도 좋다.
액정 경화층의 두께는, 0.1μm 이상이어도 좋고, 0.5μm 이상이어도 좋고, 1μm 이상이어도 좋고, 2μm 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1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μm 이하여도 좋고, 5μm 이하여도 좋다.
액정 경화층은, 기재층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건조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은, 기재층 상에 형성된 배향층 상에 도포해도 좋다. 기재층의 재료 및 두께는, 상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마찬가지여도 좋다. 기재층은, 액정 경화층인 위상차층과 함께 광학 적층체에 편입되어도 좋고, 기재층을 박리하여, 액정 경화층만, 또는 당해 액정 경화층 및 배향층이 광학 적층체로 편입되어도 좋다.
(3) 점착제층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광학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는, 적층 필름(1), 제1첩합층(10), 직선 편광판(2), 제2첩합층(20), 위상차층(3)과, 점착제층(50)을 구비한다. 위상차층(3)은, 바람직하게는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다. 점착제층(50)은, 광학 적층체의 시인측(적층 필름(1)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할 수 있고, 유기 EL표시 소자 등의 화상 표시 소자로의 광학 적층체의 첩합에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에서, 적층 필름(1)은 기재 필름(1b)과 그 위에 적층되는 광학 기능층(A)(1a)을 구비한다. 직선 편광판(2)은, 직선 편광자 (2b)와 그 양면에 제3첩합층(30)을 통하여 적층되는 보호 필름(2a, 2c)을 구비한다. 보호 필름(2a, 2c)의 어느 일방은 생략되어도 좋다. 위상차층(3)은, 제1 위상차층(3a) 및 제2 위상차층(3b)를 구비한다.
도 6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는, 제1 위상차층(3a) 및 제2 위상차층(3b)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제4첩합층(40)에 의해 첩합되어 있다. 다만, 제4첩합층(40) 및 제2 위상차층(3b)은 생략되어도 좋다.
점착제층(50)의 두께는, 예를 들면 250μm 이하여도 좋고, 박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μ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μm 이하이다. 당해 점착제층의 두께의 하한치는,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1μm 이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μ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이다.
점착제층(50)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호적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또는 열경화형이어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는,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호적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로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는,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가지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통상은 가교제를 더 함유한다. 가교제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이고,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실산금속염을 형성하는 금속 이온,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아민 화합물,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에폭시 화합물 또는 폴리올,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적층 필름>(3) 수지층」의 설명에 기재한 자외선 흡수제를 더 함유해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 있어서도 점착성을 가지고 필름 등의 피착체에 밀착시킬 수 있고,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여 밀착력을 조정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진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에 더하여,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더 함유한다. 필요에 따라서, 광중합 개시제, 광증감제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
(4) 세퍼레이트 필름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광학 적층체는, 점착제층(50)의 외표면(제2 위상차층(3b)과는 반대측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세퍼레이트 필름(6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는, 세퍼레이트 필름(60)을 가지는 것 이외는 도 6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와 마찬가지의 층 구성을 가진다. 세퍼레이트 필름(60)은 통상, 단면에 실리콘계, 불소계 등의 이형제 등에 의해 이형 처리가 수행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고, 그 이형 처리면이 점착제층(50)에 붙여 합쳐진다.
세퍼레이트 필름(60)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이다. 세퍼레이트 필름(60)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μm 이상 50μm 이하이다.
(5) 프로텍트 필름
도 8에 나타내는 것처럼, 광학 적층체는, 적층 필름(1) 측의 면에 적층되는 프로텍트 필름(70)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도 8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는, 프로텍트 필름(70)을 가지는 것 이외는 도 7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와 마찬가지의 층 구성을 가진다. 프로텍트 필름(70)은, 예를 들면,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된다.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상술의 기재가 인용된다.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다.
(6) 전면판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광학 적층체는, 전면판(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90)은 통상, 광학 적층체에서의 시인측의 최표면에 배치된다. 전면판(90)은, 예를 들면, 적층 필름(1)의 시인측의 면에 제5첩합층(80)을 통하여 적층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나는 광학 적층체는, 제5첩합층(80) 및 전면판(90)을 가지는 것 이외는 도 7에 나타나는 광학 적층체와 마찬가지의 층 구성을 가진다.
전면판(90)은, 광을 투과 가능한 판상체라면, 재료 및 두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전면판(90)은, 1층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전면판(90)으로는, 수지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수지판, 수지 시트, 수지 필름 등), 유리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유리판, 유리 필름 등), 수지제의 판상체와 유리제의 판상체의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전면판은, 표시장치의 최표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전면판(90)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00μ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00μm 이하이다. 당해 두께는, 통상 10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이다.
수지제의 판상체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틸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타)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강도 및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수지제의 판상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 아미드이미드 등으로 형성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다.
경도의 관점에서, 전면판(90)은, 하드 코트층을 구비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면에 형성되고 있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을 설비함으로써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드 코트층에 대해서는 상술의 기재가 인용된다.
전면판(90)이 유리판인 경우, 유리판은, 디스플레이용 강화 유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리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μm 이상 1000μm 이하이면 좋고, 10μm 이상 800μm 이하여도 좋다. 유리판을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표면 경도를 갖는 전면판을 구성할 수 있다.
전면판(90)은, 강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영률이 70GPa 이상이고, 80GPa 이상이어도 좋다. 전면판(90)의 영률은, 통상 100GPa 이하이다. 영률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장변 110mm×단변 10mm의 전면판(60)의 측정용 샘플을 슈퍼 컷터를 이용하여 자른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Shimadzu Corporation제, 오토 그래프 AG-Xplus 시험기)의 상하 그립 도구로, 그립 도구의 간격이 5cm가 되도록 상기 측정용 샘플의 장변 방향 양단을 끼우고, 온도 23℃ 상대습도 55%의 환경 하, 인장 속도 4mm/분으로 측정용 샘플의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겨, 얻어진 응력-장력 곡선에서의 20~40MPa사이의 직선의 기울기로부터, 온도 23℃ 상대습도 55%에서의 영률을 산출할 수 있다.
적층 필름(1)이 고굴절률층을 포함하고, 그 시인 측의 면에 제5첩합층(80)을 통하여 전면판(90)이 배치되는 경우, 상술의 얼룩을 시인하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제5첩합층(80)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 1.5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46 이상 1.50 이하이고, 전면판(90)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49 이상 1.5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1.52 이하이다. 제5첩합층(80)은,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이다.
광학 적층체가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전면판(90)은, 화상표시장치의 전면(화면)을 보호하는 기능(윈도우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터치 센서로서의 기능, 블루 라이트 컷 기능, 시야각 조정 기능 등을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7) 첩합층
광학 적층체는, 두개의 층(또는 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첩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첩합층으로는, 적층 필름(1)과 직선 편광판(2)을 첩합하는 제1첩합층 (10), 직선 편광판(2)과 위상차층(3)을 첩합하는 제2첩합층(20), 직선 편광자(2b)와 보호 필름(2a, 2c)을 첩합하는 제3첩합층(30), 제1 위상차층(3a)과 제2 위상차층(3b)를 첩합하는 제4첩합층(40), 전면판(90)을 첩합하기 위한 제5첩합층(80)(적층 필름(1)이 가지는 수지층(1c)이라고 파악해도 좋다.) 등을 들 수 있다.
첩합층은,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접착제층이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상기(3)의 기재가 인용된다.
접착제 조성물로는, 예를 들면,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 수계2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접착제이고, 예를 들면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성 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광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 바인더 수지 및 광반응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로는, 광경화성 에폭시계 모노머, 광경화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광경화성 우레탄계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 및 이들 모노머에 유래하는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중성 라디칼, 음이온 라디칼, 양이온 라디칼 등의 활성종을 발생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첩합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μm 이상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0.5μm 이상, 1μm 이상 또는 2μm 이상이며, 100μm 이하, 50μm 이하, 25μm 이하, 15μm 이하 또는 5μm 이하여도 좋다.
첩합층을 통하여 첩합되는 대향하는 두 개의 표면은, 미리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화염 처리 등의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화상표시장치>
본 발명에 관한 화상표시장치는, 본 발명에 관한 광학 적층체와 화상 표시 소자(유기 EL표시 소자 등)를 포함한다. 광학 적층체는, 화상 표시 소자의 시인 측에 배치된다. 점착제층(50)을 이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에서는, 광학 적층체의 일례로서 도 9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가 이용되고 있다. 광학 적층체는, 그 점착제층(50)을 이용하여 화상 표시 소자(100)에 첩합되어 있다. 광학 적층체에서의 점착제층(50)과는 반대측의 면(시인 측의 최표면)에는, 제5첩합층(80)을 통하여 전면판(90)이 적층되어 있다.
화상표시장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전계 발광(유기 EL) 표시장치, 무기 전계 발광(무기 EL) 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전계 발광 표시장치 등의 화상표시장치를 들 수 있다.
화상표시장치는, 스마트 폰, 타블렛 등의 모바일 기기, 텔레비전, 디지털 포토프레임, 전자 간판, 측정기 또는 계기류, 사무용기기, 의료기기, 전산기기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1) 적층 필름의 시감 반사율 Y 및 반사 색상(a* 및 b*)
우선, Shimadzu Corporation제의 분광 광도계 「MPC-2200」을 이용하여, 가시광역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에는, 측정면의 이면측에 점착제층을 통하여 흑색 아크릴판(KANASE Inc. 「카나세라이트 1410」)을 첩합하였다. 얻어진 반사 스펙트럼으로부터 시감 반사율 Y 및 반사 색상(a* 및 b*)을 산출하였다. 시감 반사율은, 얻어진 반사율 Y에 시감도 계수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2) 광학 기능층(A)의 광학 막후 및 굴절률(@550nm)
우선, Shimadzu Corporation제의 분광 광도계 「MPC-2200」을 이용하여, 적층 필름에서의 가시광역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에는, 측정면의 이면측에 점착제층을 통하여 흑색 아크릴판(KANASE Inc. 「카나세라이트 1410」)을 첩합하였다. 얻어진 반사 스펙트럼에 대하여, 박막 간섭 스펙트럼의 계산식으로부터 산출한 스펙트럼의 특히 파장 550nm의 반사율을 맞추도록 스펙트럼 피팅을 실시하여,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과 광학 막후를 산출하였다.
(3) 위상차층의 위상차 특성
위상차층의 위상차 특성은, Oji Scientific Instruments의 「KOBRA-WP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1) 적층 필름의 제작
(1-1)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광중합 개시제(BASF사 제의 「이르가큐어 184」)와 희석 용제(메틸에틸 케톤/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질량비=5/1)를 혼합하여, 교반 하였다. 여기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Nippon Kayaku Co.,Ltd.사 제의 「KAYARAD-DPHA」)를 더하여 교반하였다. 한편, 산화지르코늄 입자 분산액(CIK-Nano Tek.제의 「ZRMIBK15WT%-P03」, 고형분 15 질량%, 평균 일차 입자 지름 7.8nm)을 가하여 교반하고,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산화지르코늄 입자 분산액에 대하여, MICROTRAC사 제의 「MT3300EX」를 이용하여 일차 입자 지름 분포를 측정했는데, 입자 지름 0.1nm 이상 15nm의 범위가 전체에 차지하는 비율은 99.56%였다.
(1-2) 적층 필름의 제작
기재 필름으로서의 두께 40μm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굴절률 1.49. 이하, 「TAC 필름」이라고도 한다.) 상에, 상기 (1-1)에서 조제한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 건조 및 자외선 조사하고, 기재 필름과 표 1에 나타내는 광학 막후를 가지는 광학 기능층(고굴절률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을 병합하여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적층 필름의 시감 반사율 Y 및 반사 색상을 병합하여 표 1에 나타낸다.
(2) 광학 적층체의 제작
(2-1) 적층 필름으로의 전면판의 첩합
상기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광학 기능층 상에, 점착제층(굴절률 1.49)를 적층하였다. 점착제층에 무알칼리 유리판(굴절률 1.51)을 첩합하여, 유리판/점착제층/광학 기능층/기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전면판(유리판) 포함 적층 필름을 얻었다.
(2-2) 직선 편광판의 제작
두께 20μm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몰% 이상)을 건식 연신에 의해 약 5배에 종 일축 연신하고, 더욱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온도 60℃의 순수한 물에 1분간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 칼륨/물의 질량비가 0.05/5/100인 온도 28℃의 수용액에 60초간 침지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질량비가 8.5/8.5/100인 온도 72℃의 수용액에 300초간 침지하였다. 이어서 온도 26℃의 순수한 물로 20초간 세정한 후, 온도 65℃로 건조 처리를 실시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수지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두께 8μm의 직선 편광자를 얻었다.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카르복실기변성폴리비닐알코올〔KURARAY CO., LTD. 제의 「KL-318」〕을 3질량부 용해하여,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에 수용성 폴리아미드에폭시수지(Taoka Chemical Co., Ltd. 제의 「스미레즈 레진650(30)」, 고형분 농도 30질량%)을,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질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수계 접착제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직선 편광자의 일방의 면에, 상기에서 얻어진 수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하드 코트층(이하, 「HC층」이라고도 한다.)을 가지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하, 「COP 필름」이라고도 한다.)을 적층하여, 직선 편광자의 타방의 면에, 상기에서 얻어진 수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TAC 필름을 적층하고, 온도 80℃에서 5분간 건조함으로써, 직선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가지는 직선 편광판을 얻었다. 직선 편광판의 층 구조는, HC층/COP 필름/수계 접착제층/직선 편광자/수계 접착제층/TAC 필름이다. 직선 편광판의 HC층 상에, 기재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프로텍트 필름을 적층하여, 프로텍트 필름 포함 직선 편광판(이하, 「PF 포함 직선 편광판」이라고도 한다.)을 얻었다.
(2-3) 위상차층 적층체의 제작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층 상에 배향층을 형성하고, 봉상의 네마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1기재층 포함 제1위상차층을 제작하였다. 제1 위상차층은 λ/4층이었다. 제1위상차층의 두께는 2μm였다. 제1위상차층의 파장 분산α〔면내 위상차값 Re(450)/면내 위상차값 Re(550)〕는 0.85이고, Re(550)는 142nm였다. 이하에 상세를 나타낸다.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하기 구조의 광배향성 재료(중량 평균 분자량:50000, m:n=50:50)는 특개 2021-196514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하였다. 광배향성 재료 2 질량부와 시클로펜타논(용제) 98 질량부를 성분으로 하여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광배향성 재료:
[화 1]
[네마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제조]
하기에 나타내는 구조를 가지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A1)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A2)을, 각각 조제하였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A1)은, 특개 2019-003177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준비하였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A2)은, 특개 2009-17389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준비하였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A1):
[화 2]
중합성 액정 화합물(A2):
[화 3]
클로로포름 10mL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A1) 1mg를 용해시켜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용액을 광로장 1cm의 측정용 셀에 측정용 시료를 넣고, 측정용 시료를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Shimadzu Corporation제 「UV-2450」)에 세팅하고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극대 흡수도가 되는 파장을 읽었고, 파장 300~400nm의 범위에서의 극대 흡수 파장 λmax는 356nm이었다.
[제1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중합성 액정 화합물(A1)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A2)을 질량비 93:7로 혼합하고,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레벨링제 「BYK-361N」(BM Chemie사제) 0.1질량부와 광중합 개시제로서 「이르가큐어 OXE-03」(BASF JAPAN 주식회사제) 3질량부를 첨가하였다. 또한 고형분 농도가 13 질량%가 되도록 N-메틸-2-피롤리돈(NMP)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온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제1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제1 위상차층의 제작]
제1기재층으로서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다이아 호일 Mitsubishi Plastics, Inc. 제)에, 상기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에 의해 도포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을 120℃에서 2분간 건조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건조 피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UV조사 장치(SPOT CURE SP-9;Ushio Inc.제)를 이용하여, 편광 자외광 100mJ(313nm기준)를 조사하여, 배향층을 얻었다. 일본 분광 주식회사제의 Ellipsometer M-220을 이용하여 측정한 배향층의 막후는 100nm이었다.
얻어진 배향층 상에, 상기 제1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에 의해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였다. 이 도포막을 120℃에서 2분간 가열 건조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건조 피막을 얻었다. 이어서, 고압 수은 램프(Ushio Inc.제 「유니큐어 VB-15201BY-A」)를 이용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노광량 500mJ/cm2(365nm기준)의 자외광을 상기 건조 피막에 조사함으로써,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기재면 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향한 상태로 경화한 제1 위상차층을 형성하고, 제1기재층/배향층/제1 위상차층(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층 포함 제1위상차층을 얻었다. 올림푸스 주식회사제의 레이저 현미경 LEXT OLS4100를 이용하여 측정한 제1 위상차층의 막후는 2.0μm였다.
또한,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2기재층 포함 제 2 위상차층을 제작하였다.
[제2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중합성 액정 화합물 Paliocolor LC242(BASF JAPAN사 제) 100 질량부와 레벨링제 「BYK-361N」(BYK-Chemie사 제) 0.1질량부와 광중합 개시제 「Omnirad907」(IGM Resin B.V.사 제) 2.5질량부를 혼합하였다. 또한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PGME) 400질량부를 첨가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온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제2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LC242:
[화 4]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시판의 배향성 폴리머인 산에버SE-610(Nissan Chemical Corporation 제)에 2-부톡시에탄올을 고형 분량이 1질량%가 되도록 가하여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2위상차층의 제작]
제2기재층으로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JAPAN ZEON CORPORATION 제, ZF14)를 이용하여, 그 단면에 코로나 처리 장치(AGF-B10; KASUGA DENKI, INC.제)를 이용하여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그 표면에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여, 90℃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얻어진 배향층의 막후를 레이저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는데, 30nm였다. 이어, 배향층 상에 제2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한 후, 고압 수은 램프(Ushio Inc.제 「유니큐어 VB-15201BY-A」)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노광량 1000mJ/cm2(365nm기준)의 자외광을 상기 건조 피막에 조사함으로써, 제2기재층 포함 제2 위상차층을 얻었다. 막후를 레이저 현미경으로 측정했는데, 제2위상차층의 막후는 450nm이었다. 면 내 위상차 값은, Oji Scientific Instruments제의 KOBRA-W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Re(550)=1nm, Rth(550)=-75nm였다. 따라서, 제2기재층 제2위상차층은, nx≒ny<nz로 나타내지는 광학 특성을 가졌다. 한편, COP의 파장 550nm에 있서의 위상차 값은 약 0이기 때문에, 당해 광학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하에 나타내는 양이온 경화성 성분을 혼합하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조제하였다.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상품명:CEL2021P, Daicel Corporation제):70 질량부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상품명:EX-211, Nagase ChemteX Corporation.제):20 질량부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상품명:EX-121, Nagase ChemteX Corporation.제): 10 질량부
양이온 중합 개시제(상품명:CPI-100, 50% 용액, San-Apro Ltd.제): 4.5 질량부(실질 고형분 2.25 질량부)
1, 4-디에톡시나프탈렌: 2.0 질량부
제1기재층 포함 제1위상차층의 위상차층 측 및 제2기재층 포함 제2 위상차층의 위상차층 측에, 각각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일방의 코로나 처리면에, 조제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기재층 포함 제1 위상차층과 제2기재층 포함 제2위상차층을 맞붙였다. 제2기재층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켜,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경화 후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의 두께는 1.5μm였다.
(2-4) 광학 적층체의 제작
상기 (2-2)로 얻어진 직선 편광판에서의 TAC 필름 측의 표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첩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2-3)에서 얻어진 위상차 적층체의 제1기재층을 박리 제거하고, 노출된 배향층 상에, 상기 직선 편광판에 첩합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원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원 편광판에 대하여, 하기에 기재된 반사 색상과 반사율을 측정했는데, 반사율 Y:5.2%, 반사 색상 a*:-0.1, b*:-1.6였다.
이어서, 상기 원 편광판의 직선 편광판의 HC층 상에, 점착제층을 통하여 상기 (2-1)에서 얻어진 전면판 포함 적층 필름을 적층하고,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이 때, 전면판 포함 적층 필름은, 그 기재 필름 측에서 점착제층을 통하여 직선 편광판에 첩합하였다.
(3)광학 적층체의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
Konica Minolta사 제의 「Cm2600d」를 이용하여, 상기(2)에서 얻어진 광학 적층체의 반사 색상 a* 및 b*, 그리고 반사율 Y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측정 시에는, 광학 적층체에서의 광을 입사시키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광학 적층체에서의 전면판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통하여 유리판(두께 0.7mm, Corning Incorporation사 제의 「이글 XG」)에 반사판(반사율:96% 이상, 확산 반사율:9% 이하) 상에, 상기에서 얻어진 유리판 포함의 광학 적층체를, 전면판을 위로 하여 놓고, 반사판/공기/유리판/광학 적층체의 층 구성으로 한 상태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광학 적층체의 반사 색상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a*가 0.0 이상 2.0 이하이고, 또한 b*가 -5.0 이상 -2.5 이하이다.
B:a* 또는 b*가 상기 범위 외이다.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 Y를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반사율 Y가 5.5% 이하이다.
B:반사율 Y가 5.5% 초과이다.
<실시예 2~4>
(1)적층 필름의 제작
광학 기능층(고굴절률층)의 광학 막후를 표 1에 나타내는 것처럼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고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실시예 1과 같은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 및 적층 필름의 시감 반사율 Y 및 반사 색상을 표 1에 나타낸다.
(2)광학 적층체의 제작, 그리고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
상기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고,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1) 적층 필름의 제작
(1-1)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광중합 개시제(BASF 사 제의 「이르가큐어 184」) 0.4 질량부와 희석 용제(메틸에틸케톤/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질량비=5/1) 29.6 질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여기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Nippon Kayaku Co.,Ltd.사 제의 「KAYARAD-DPHA」)를 70.0질량부 가하여 교반하고,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2) 적층 필름의 제작
기재 필름으로서의 두께 40μm의 TAC 필름(굴절률 1.49) 상에, 상기(1-1)에서 조제한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 건조 및 자외선 조사하여, 기재 필름과 표 1에 나타나는 광학 막후(5μm)를 가지는 광학 기능층(고굴절률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 그리고 적층 필름의 시감 반사율 Y 및 반사 색상을 표 1에 나타낸다.
(2) 광학 적층체의 제작, 그리고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
상기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고,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1) 적층 필름의 제작
(1-1)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광중합 개시제(BASF 사 제의 「이르가큐어 184」) 0.3 질량부와 희석 용제(메틸에틸케톤/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질량비=5/1) 44.6 질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여기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Nippon Kayaku Co.,Ltd.사 제의 「KAYARAD-DPHA」)를 2.0 질량부 가하여 교반하였다. 한편, 산화지르코늄 입자 분산액(CIK-Nano Tek.제의 「ZRMIBK15WT%-P03」, 고형분 15 질량%, 평균 일차 입자 지름 7.8nm) 53.4 질량부를 가하여 교반하고,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2) 적층 필름의 제작
기재 필름으로서의 두께 40μm의 TAC 필름(굴절률 1.49) 상에, 상기 (1-1)에서 조제한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 건조 및 자외선 조사하고, 기재 필름과 표 1에 나타내는 광학 막후를 가지는 광학 기능층(고굴절률층)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 그리고 적층 필름의 시감 반사율 Y 및 반사 색상을 표 1에 나타낸다.
(2) 광학 적층체의 제작, 그리고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 상기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고,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5>
(1) 적층 필름의 제작
광학 기능층(고굴절률층)의 광학 막후를 표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한 것 이외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비교예 2와 같은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 그리고 적층 필름의 시감 반사율 Y 및 반사 색상을 표 1에 나타낸다.
(2) 광학 적층체의 제작, 그리고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 상기 (1)로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고,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6>
(1) 적층 필름의 제작
(1-1)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광중합 개시제(BASF 사 제의 「이르가큐어 184」) 0.4 질량부와 희석 용제(메틸에틸케톤/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질량비=5/1) 17.6 질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여기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Nippon Kayaku Co.,Ltd.사 제의 「KAYARAD-DPHA」)를 2.9 질량부 가하여 교반하였다. 또한, 산화 지르코늄 입자 분산액(CIK-Nano Tek.제의 「ZRMIBK15WT-P03」, 고형분 15 질량%, 평균 일차 입자 지름 7.8nm) 79.1 질량부를 가하여 교반하고,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2) 적층 필름의 제작
기재 필름으로서의 두께 40μm의 TAC 필름(굴절률 1.49) 상에, 상기(1-1)에서 조제한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 건조 및 자외선 조사하고, 기재 필름과 표 1에 나타내는 광학 막후를 가지는 광학 기능층(고굴절률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 그리고 적층 필름의 시감 반사율 Y 및 반사 색상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7~8>
(1) 적층 필름의 제작
광학 기능층(고굴절률층)의 광학 막후를 표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한 것 이외는 비교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비교예 6과 같은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 그리고 적층 필름의 시감 반사율 Y 및 반사 색상을 표 1에 나타낸다.
(2) 광학 적층체의 제작, 그리고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 상기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고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고,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9>
(1) 적층 필름의 제작
(1-1)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광중합 개시제(BASF 사제의 「이르가큐어 184」) 0.4 질량부와 희석 용제(메틸에틸케톤/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질량비=5/1) 29.6 질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여기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Nippon Kayaku Co.,Ltd.사제의 「KAYARAD-DPHA」)를 70.0 질량부 가하여 교반하고,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2)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광중합 개시제(BASF 사제의 「이르가큐어 127」) 0.2질량부와 희석 용제(메틸이소부틸케톤/아세트니트릴 질량비=7/3) 91.1 질량부를 혼합하여, 교반 하였다. 여기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Nippon Kayaku Co.,Ltd.사제의 「KAYARAD-PET-30」) 3.1 질량부, 중공 실리카 입자(고형분 20 질량%, 평균 일차 입자 지름 60nm) 5.5질량부, 그리고 레벨링제(Dainichiseika Co.,Ltd.제의 「세이카빔 10-28(MB)」0.1 질량부를 가하여 교반하고,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3) 적층 필름의 제작
기재 필름으로서의 두께 40μm의 TAC 필름(굴절률 1.49) 상에, 상기 (1-1)로 조제한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 건조 및 자외선 조사하여, 표 1에 나타내는 광학 막후(3μm)를 가지는 고굴절률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고굴절률층 상에, 상기 (1-2)로 조제한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 건조 및 자외선 조사하여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고, 기재 필름과 표 1에 나타내는 광학 막후를 가지는 광학 기능층(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 그리고 적층 필름의 시감 반사율 Y 및 반사 색상을 표 1에 나타낸다.
(2) 광학 적층체의 제작, 및,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 상기(1)로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게하고 광학 적층체를 제작해,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1) 적층 필름의 제작
저굴절률층의 광학 막후를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것 이외는 비교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비교예 9와 같은 고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 및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 그리고 적층 필름의 시감 반사율 Y 및 반사 색상을 표 1에 나타낸다.
(2) 광학 적층체의 제작, 그리고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 상기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고, 반사 색상 및 반사율 Y의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표 1에서, 비교예 9및 10에서의 광학 기능층의 광학 막후의 수치는, 고굴절률층의 광학 막후/저굴절률층의 광학 막후를 나타낸다. 비교예 9및 10에서의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의 수치는,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1 적층 필름, 1a 광학 기능층(A), 1b 기재 필름, 1c 수지층, 1d 개재층, 2 직선 편광판, 2a, 2c 보호 필름, 2b 직선 편광자, 3 위상차층, 3a 제1 위상차층, 3b 제2 위상차층, 10 제1첩합층, 20 제2첩합층, 30 제3첩합층, 40 제4첩합층, 50 점착제층, 60 세퍼레이트 필름, 70 프로텍트 필름, 80 제5첩합층, 90 전면판, 100 화상 표시 소자.

Claims (11)

  1.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광학 기능층(A)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
    상기 적층 필름은, 시감 반사율 Y가 9.0% 이하이고, 반사 색상의 a*가 0.3 이상 7.0 이하이고, 반사 색상의 b*가 -10.0 이상 0 이하인,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A)은, 굴절률이 1.55 이상 1.68 이하인, 적층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A)의 굴절률과 상기 기재 필름의 굴절률과의 차가 0.05 이상 0.20 이하인, 적층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A)은, 광학 막후가 150nm 이상 200nm 이하인, 적층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A)은, 산화 지르코늄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 지르코늄 입자의 일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입자 지름 0.1nm이상 15nm의 범위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적층 필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필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필름 또는 (메타)아크릴계 수지필름인, 적층 필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A)에서 상기 기재 필름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수지층을 더 포함하는, 적층 필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과 상기 광학 기능층(A)의 사이에, 프라이머층 및 하드 코트층으로부터 선택되는 개재층을 가지는, 적층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적층 필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과, 원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1. 제10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247007193A 2021-10-01 2022-09-28 적층 필름, 광학 적층체 및 화상표시장치 KR202400713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62939 2021-10-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1366A true KR20240071366A (ko) 2024-05-22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372B1 (ko)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US9740044B2 (en) Set of polarizing plates having a young's modulus and front-plate-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same
KR101727871B1 (ko)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WO2015050074A1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前面板一体型液晶表示パネル
KR102525401B1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JPWO2015178224A1 (ja) 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535072B1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20086429A (ja)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20160095612A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200093041A (ko) 경화성 조성물,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JP6900213B2 (ja) 反射防止層および映り込み防止層付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93816B1 (ko) 광학 적층체 및 그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16186558A (ja) 光学積層体
JP7462597B2 (ja) 円偏光板、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6819156B2 (ja) 液晶表示装置
KR20240071366A (ko) 적층 필름, 광학 적층체 및 화상표시장치
WO2023054463A1 (ja) 積層フィルム、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WO2023054595A1 (ja) 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8060150A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KR20240071393A (ko)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9131220A1 (ja) 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液晶表示パネル
JP2023053913A (ja) 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CN117957469A (zh) 光学层叠体和图像显示装置
WO2023127471A1 (ja) 円偏光板及び有機el表示装置
WO2022270402A1 (ja) 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