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856B1 - 교량용 포트 베어링 - Google Patents

교량용 포트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856B1
KR102391856B1 KR1020210155937A KR20210155937A KR102391856B1 KR 102391856 B1 KR102391856 B1 KR 102391856B1 KR 1020210155937 A KR1020210155937 A KR 1020210155937A KR 20210155937 A KR20210155937 A KR 20210155937A KR 102391856 B1 KR102391856 B1 KR 102391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otective seal
edge
module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희연
박민규
Original Assignee
비승산업(주)
장희연
박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승산업(주), 장희연, 박민규 filed Critical 비승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155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7Pot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윤활제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윤활제에 대한 보수를 쉽게 진행 가능하게 하는 보호 씰의 결합 구조를 단순화 가능한 교량용 포트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용 포트 베어링{A port bearing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포트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윤활제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윤활제에 대한 보수를 쉽게 진행 가능하게 하는 보호 씰의 결합 구조를 단순화 가능한 교량용 포트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가설할 때 계절의 온도변화, 바람, 지진 등의 충격 등에 의한 상대변위나 상부구조물(교판)의 수평력을 정적으로 흡수하여 교량의 내진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내구 수명을 연장하고자 상부구조물(교판)의 양단부와 교각 사이에는 내진받침의 하나인 포트 타입의 교량받침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설치 사용되는 기존의 포트 타입의 교량받침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포트 타입의 교량받침은 크게 고정단과 일방향 가동단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포트 타입의 교량받침은 교각에 매설되는 하부플레이트와 피스톤 실린더와 고무로 이루어져 하중(수직력) 및 수평력을 흡수하는 수직/수평력 흡수부재와 상부구조물이 얹혀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포트 타입의 교량받침은 피스톤 실린더와 고무에 의해 수평력과 수직력을 받아주게 되는데, 상기 피스톤 실린더에서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력을 받아주게 되고,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하중과 같은 수직력을 받아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력과 수직력을 받아주도록 된 종래의 포트 타입의 교량받침 중 고정단은 피스톤 실린더와 고무를 포함하는 수직/수평력 흡수부재가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어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력에 의한 피스톤 실린더와 고무와의 마찰로 인한 손상이 쉽게 발생함은 물론 강한 수평력에 의한 고무의 파손(터짐)과 외벽의 깨어(터짐)짐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고정단과 혼합 설치되는 일방향 가동단은 상기 고정단에서 나타나는 단점을 어느 정도 해결한 반면, 상부 플레이트의 가이드홈 양단이 개방되어 있어 피스톤 실린더의 가이드키로부터 이탈되어 낙교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포트 타입의 교량받침은 교각에 직접 매설되어지는 것이어서 콘크리트 타설시 교각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간섭이 일어나 철근에 대한 간섭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PVC 관을 이용한 설치공간을 미리 확보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종래의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2408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피스톤 실린더의 상면에 볼트에 의해 설치된 가이드키에 상부플레이트의 밑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체결함에 따라 피스톤 실린더와 고무가 마찰되어 손상되거나 강한 수평력에 의한 하부플레이트의 외벽 깨어짐 현상을 해소하였고, 피스톤 실린더의 상면에 불소수지(PTFE)를 더 설치하여 충격흡수 및 하중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으며, 피스톤 실린더의 가이드키에서 가이드 되는 상부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의 양단이 차단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키로부터의 가이드홈 이탈에 따른 낙교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불소수지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윤활제가 이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윤활제가 굳어져 교량받침의 내구 연한이 저하될 수 있으며, 마찰력 증가로 인하여 교량 구조물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후,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호 씰을 통해 윤활제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 하는 새로운 형태의 포트 베어링이 개발되었지만,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포트 베어링의 경우 보호 씰이 추가되며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어, 현재 구성을 단순화한 새로운 형태의 포트 베어링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2408호(2006.07.2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윤활제 보호를 위해 결합되는 보호 씰의 복잡한 결합구조를 단순화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포트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교량용 포트 베어링은, 상부면이 교량과 접하는 상부 플레이트(110);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 하측에 위치되는 미끄럼판(120); 상부면이 상기 미끄럼판(120)과 접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내부에 윤활제가 충진되는 마찰판(131)과, 상기 마찰판(131)이 결합되며 가장자리에 테두리 립(132-1)이 형성되는 마찰판 하우징(132)을 포함하는 마찰판 모듈(130); 상기 마찰판 모듈(130) 하측에 위치되는 봉합판(140); 상기 봉합판(140) 하측에 위치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150); 상기 마찰판 모듈(130)의 하측, 상기 봉합판(140) 및 상기 탄성부재(150)가 끼워지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모듈(160); 상기 미끄럼판(120)과 상기 테두리 립(13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씰링하는 제1 보호 씰 모듈(170); 및 상기 테두리 립(132-1)과 상기 하부모듈(160) 사이의 공간을 씰링하는 제2 보호 씰 모듈(18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보호씰 모듈(170)은 상기 미끄럼판(120)과 상기 테두리 립(132-1)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보호 씰(171)과, 상기 테두리 립(132-1)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보호 씰(171)을 압박 고정하는 제1 고정수단(172);을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 립(132-1)은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보호 씰(171)이 끼워지는 제1 끼움 홈(132-1A);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보호씰(171)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수단(172)은 상기 테두리 립(132-1) 가장자리에 밀착 배치되는 제1 압박 플레이트(172-1)와, 상기 제1 압박 플레이트(172-1)를 상기 테두리 립(132-1)에 결합하는 제1 체결수단(17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압박 플레이트(172-1)는 스텐 또는 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보호 씰 모듈(180)은 상기 테두리 립(132-1)과 상기 하부모듈(160)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보호 씰(181)과, 상기 하부 모듈(160)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보호 씰(181)을 압박 고정하는 제2 고정수단(18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모듈(160)은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보호 씰(181)이 끼워지는 제2 끼움 홈(16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고정수단(182)은 상기 하부 모듈(160) 가장자리에 밀착 배치되는 제2 압박 플레이트(182-1)와, 상기 제2 압박 플레이트(182-1)를 상기 하부 모듈(160)에 결합하는 제2 체결수단(18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교량용 포트 베어링은 제1 압박 플레이트가 단차부에 위치된 제1 보호 씰을 압박 고정하므로, 간단한 구조로도 제1 보호 씰을 안정적으로 고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교량용 포트 베어링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교량용 포트 베어링의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교량용 포트 베어링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교량용 포트 베어링의 제1 보호 씰 모듈 및 제2 보호 씰 모듈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포트 베어링(1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교량용 포트 베어링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교량용 포트 베어링의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교량용 포트 베어링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교량용 포트 베어링의 제1 보호 씰 모듈 및 제2 보호 씰 모듈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교량용 포트 베어링(100)은 상부면이 교량과 접하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 하측에 위치되는 미끄럼판(120)과, 상부면이 상기 미끄럼판(120)과 접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내부에 윤활제가 충진되는 마찰판(131)과, 상기 마찰판(131)이 결합되며 가장자리에 테두리 립(132-1)이 형성되는 마찰판 하우징(132)을 포함하는 마찰판 모듈(130)과, 상기 마찰판 모듈(130) 하측에 위치되는 봉합판(140)과, 상기 봉합판(140) 하측에 위치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150)와, 상기 마찰판 모듈(130)의 하측, 상기 봉합판(140) 및 상기 탄성부재(150)가 끼워지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모듈(160)과, 상기 미끄럼판(120)과 상기 테두리 립(13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씰링하는 제1 보호 씰 모듈(170)과, 상기 테두리 립(132-1)과 상기 하부모듈(160) 사이의 공간을 씰링하는 제2 보호 씰 모듈(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교량을 지지하는 교량용 포트 베어링(100)은 상부 플레이트(110) 하측에 위치되어 높은 하중을 지지하는 미끄럼판(120), 마찰판(131) 및 마찰판 하우징(132)을 포함하는 마찰판 모듈(130)의 파손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마찰판(131)의 마찰부에 충진되는 윤활제가 외부에 노출되어 쉽게 변색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미끄럼판(120)과 마찰판 모듈(130)의 결합부를 결합과 해제가 용이하고 높은 씰링 능력을 가지는 제1 보호 씰 모듈(170)로 씰링하여 준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호보 씰 모듈(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판(120)과 상기 테두리 립(132-1)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보호 씰(171)과, 상기 테두리 립(132-1)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보호 씰(171)을 압박 고정하는 제1 고정수단(1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테두리 립(132-1) 상측 가장자리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호 씰(171)이 끼워지는 제1 끼움 홈(132-1A)이 형성되어, 제1 보호 씰(171)이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한번 설명하면, 제1 고정수단(172)은 테두리 립(132-1) 가장자리에 밀착 배치되는 제1 압박 플레이트(172-1)와, 제1 압박 플레이트(172-1)를 테두리 립(132-1)에 결합하는 제1 체결수단(17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제1 보호 씰(171)을 단차를 가지는 제1 끼움 홈(132-1A)에 위치시켜, 제1 체결수단(172-2)이 테두리 립(132-1)에 결합 시, 제1 압박 플레이트(172-1)가 제1 보호 씰(171)을 압박 고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보호 씰(171)은 천연고무, 합성고무와 같이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 플레이트(172-1)는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가져 제1 보호 씰(171)을 안정적으로 압박 가능한 스텐 또는 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권장되나 이는 일실시예로 필요에 따라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보호 씰 모듈(180)은 상기 테두리 립(132-1)과 상기 하부 모듈(160)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보호 씰(181)과, 상기 하부 모듈(160)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보호 씰(181)을 압박 고정하는 제2 고정수단(1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160)은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보호 씰(181)이 끼워지는 제2 끼움 홈(16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182)은 상기 하부 모듈(160) 가장자리에 밀착 배치되는 제2 압박 플레이트(182-1) 및 상기 제2 압박 플레이트(182-1)를 상기 하부 모듈(160)에 결합하는 제2 체결수단(18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설명한 제1 보호 씰 모듈(170)과 같이, 제2 끼움 홈(161)에 끼워진 제2 보호 씰(181)을 제2 체결수단(182-2)을 통해 제2 압박 플레이트(182-1)가 하부 모듈(16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압박 고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보호 씰(171) 및 제2 보호 씰(181)은 열가소성 고무; 비스페놀 A(BP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TMPTGE),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 에테르(HDGE) 및 부틸글리시딜 에테르(BGE)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에폭시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 및 열안정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폭시 화합물 1~10중량부,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 상기 공중합체 1~10중량부 및 열안정제 0.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고무는 탄성, 신축성, 내후성 및 밀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천연고무(NR),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SBS), 폴리클로로프렌 고무(C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이소프렌 고무(I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로부터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비스페놀 A(Bisphenol A; BP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Trimethylolpropane triglycidyl ether; TMPTGE),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 에테르(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HDGE) 및 부틸글리시딜 에테르(Butylglycidyl ether; BGE)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며, 비스페놀 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부틸글리시딜 에테르가 반응하여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이 제조된다.
이때 비스페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5~30중량부,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 에테르 5~20중량부 및 부틸글리시딜 에테르 5~20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의 함량은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접착성이 저하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구성 및 내후성이 저하된다.
실란 커플링제는 유기 화합물과 결합할 수 있는 유기 관능기 및 무기물과 반응할 수 있는 가수분해기를 가지며,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켜 제조된 고무제품의 탄성, 내후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알킬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불소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비닐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이 사용된다.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다한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으로 오히려 계면 접착 특성 및 내구성이 저하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는 조성물 내의 성분들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내열성 및 내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로는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60~80:20~4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 범위에서 조성물의 내수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구성이 저하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된다.
상기 열안정제는 내후성, 내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페놀 항산화제, 알킬화 모노페놀, 알킬티오메틸페놀, 하이드로퀴논, 알킬화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록시벤질, 트리아진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열안정제의 함량은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후성, 내열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조성물의 접착력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에틸 헥실 아크릴산, 데실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 헥실 메타크릴산, 데실메타크릴산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100:20~50:2~1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 범위에서 조성물의 방염성, 내열성 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사용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구성이 저하된다.
아울러,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보호 씰(171)의 하면과, 제1 보호씰(171)의 하면과 접하는 상기 제1 끼움 홈(132-1A)의 상부면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돌기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보호 씰(171)이 테두리 립(132-1)의 최외각에 위치될 경우 설령 제1 압박 플레이트(172-1)로 압박 고정한다 할지라도, 일정 이상의 힘이 인가될 경우 제1 보호 씰(171)이 뒤틀리며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서로 접하는 제1 보호 씰(171)의 하면과 제1 끼움 홈(132-1A)의 상면에 서로 대응되는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뒤틀림에 대해 높은 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돌기와 홈은 단수 개일 수 있으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돌기와 홈은 제1 보호 씰(171)과 제1 끼움 홈(132-1A) 외에도 제2 보호 씰(181)과 제2 끼움 홈(161)의 결합면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보호 씰(171)과 상기 제2 보호 씰(181)이 변형되며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제1 압박 플레이트(172-1)와 상기 제2 압박 플레이트(182-1)의 능력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제1 압박 플레이트(172-1)와 제2 압박 플레이트(182-1) 상에는 제1 보호 씰(171) 및 제2 보호 씰(181)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삽입 립이 돌출 형성되고, 제1 보호 씰(171)과 제2 보호 씰(181)의 가장자리에 삽입 립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 립 및 삽입 립과 대응되는 홈은 상하 높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교량용 포트 베어링 110 : 상부 플레이트
120 : 미끄럼판 130 : 마찰판 모듈
131 : 마찰판 132 : 마찰판 하우징
132-1 : 테두리 립 132-1A : 제1 끼움 홈
140 : 봉합판 150 : 탄성부재
160 : 하부모듈
170 : 제1 보호 씰 모듈 171 : 제1 보호 씰
172 : 제1 고정수단 172-1 : 제1 압박 플레이트
172-2 : 제1 체결수단
180 : 제2 보호 씰 모듈 181 : 제2 보호 씰
182 : 제2 고정수단 182-1 : 제2 압박 플레이트
182-2 : 제2 체결수단

Claims (5)

  1. 상부면이 교량과 접하는 상부 플레이트(110);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 하측에 위치되는 미끄럼판(120);
    상부면이 상기 미끄럼판(120)과 접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내부에 윤활제가 충진되는 마찰판(131)과, 상기 마찰판(131)이 결합되며 가장자리에 테두리 립(132-1)이 형성되는 마찰판 하우징(132)을 포함하는 마찰판 모듈(130);
    상기 마찰판 모듈(130) 하측에 위치되는 봉합판(140);
    상기 봉합판(140) 하측에 위치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150);
    상기 마찰판 모듈(130)의 하측, 상기 봉합판(140) 및 상기 탄성부재(150)가 끼워지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모듈(160);
    상기 미끄럼판(120)과 상기 테두리 립(13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씰링하는 제1 보호 씰 모듈(170); 및
    상기 테두리 립(132-1)과 상기 하부모듈(160) 사이의 공간을 씰링하는 제2 보호 씰 모듈(180)을 포함하는 교량용 포트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립(132-1)은 상측 가장자리에 제1 보호 씰(171)이 끼워지도록 단차를 가지는 제1 끼움 홈(132-1A)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씰 모듈(170)은
    상기 미끄럼판(120)과 상기 테두리 립(132-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테두리 립(132-1)의 단차를 가지는 제1 끼움 홈(132-1A)에 배치되는 제1 보호 씰(171)과,
    상기 테두리 립(132-1)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보호 씰(171)을 압박 고정하는 제1 고정수단(17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172)은
    상기 테두리 립(132-1) 가장자리에 밀착 배치되는 제1 압박 플레이트(172-1)와,
    상기 제1 압박 플레이트(172-1)를 상기 테두리 립(132-1)에 결합하는 제1 체결수단(172-2)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 립(132-1)의 상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 보호 씰(171)이 끼워지는 단차를 가지는 제1 끼움 홈(132-1A)이 형성되어, 제1 보호 씰(171)이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1 압박 플레이트(172-1)가 상기 테두리 립(132-1)의 단차부에 위치된 제1 보호 씰(171)을 압박 고정하므로, 제1 보호 씰(171)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포트 베어링.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씰 모듈(180)은
    상기 테두리 립(132-1)과 상기 하부모듈(160)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보호 씰(181)과,
    상기 하부 모듈(160)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보호 씰(181)을 압박 고정하는 제2 고정수단(1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포트 베어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수단(182)은
    상기 하부 모듈(160) 가장자리에 밀착 배치되는 제2 압박 플레이트(182-1)와,
    상기 제2 압박 플레이트(182-1)를 상기 하부 모듈(160)에 결합하는 제2 체결수단(18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포트 베어링.
KR1020210155937A 2021-11-12 2021-11-12 교량용 포트 베어링 KR10239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937A KR102391856B1 (ko) 2021-11-12 2021-11-12 교량용 포트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937A KR102391856B1 (ko) 2021-11-12 2021-11-12 교량용 포트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856B1 true KR102391856B1 (ko) 2022-05-06

Family

ID=8158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937A KR102391856B1 (ko) 2021-11-12 2021-11-12 교량용 포트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85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1922A (ja) * 1994-07-28 1996-02-13 Seibu Polymer Corp 杭と鞘管間におけるグラウト流出防止シール部材及びそのシール部材を用いたシール構造
KR200422408Y1 (ko) 2006-03-22 2006-07-26 (주)서해이앤씨 포트 타입의 교량받침
JP2007291676A (ja) * 2006-04-24 2007-11-08 Kaimon:Kk 構造物用ゴム密封型固定支承装置
KR20110127993A (ko) * 2010-05-20 2011-11-28 김정태 내진교좌장치
JP2014025195A (ja) * 2012-07-24 2014-02-06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支承装置及びダストカバー
KR101381593B1 (ko) * 2013-11-01 2014-04-04 주식회사 유신 원형 탄성받침
KR20160108098A (ko) * 2015-07-21 2016-09-19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KR101861358B1 (ko) * 2017-10-17 2018-05-28 비승산업(주) 유지보수가 쉬운 교량용 포트 베어링
CN111321677A (zh) * 2020-04-28 2020-06-23 丁凤景 一种可局部更换的桥梁支座及更换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1922A (ja) * 1994-07-28 1996-02-13 Seibu Polymer Corp 杭と鞘管間におけるグラウト流出防止シール部材及びそのシール部材を用いたシール構造
KR200422408Y1 (ko) 2006-03-22 2006-07-26 (주)서해이앤씨 포트 타입의 교량받침
JP2007291676A (ja) * 2006-04-24 2007-11-08 Kaimon:Kk 構造物用ゴム密封型固定支承装置
KR20110127993A (ko) * 2010-05-20 2011-11-28 김정태 내진교좌장치
JP2014025195A (ja) * 2012-07-24 2014-02-06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支承装置及びダストカバー
KR101381593B1 (ko) * 2013-11-01 2014-04-04 주식회사 유신 원형 탄성받침
KR20160108098A (ko) * 2015-07-21 2016-09-19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KR101861358B1 (ko) * 2017-10-17 2018-05-28 비승산업(주) 유지보수가 쉬운 교량용 포트 베어링
CN111321677A (zh) * 2020-04-28 2020-06-23 丁凤景 一种可局部更换的桥梁支座及更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659B1 (ko)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KR101374606B1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1908415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커튼월 어셈블리
FI121548B (fi) Rakennusten lasitusjärjestelmä
US20150292176A1 (en) Outdoor tank waterproofing sheet and outdoor tank waterproofing method
KR102391856B1 (ko) 교량용 포트 베어링
KR20220072957A (ko) 방음터널용 지붕구조물
KR101618325B1 (ko) 복합시트를 이용한 옥상 슬라브 방수구조 및 방법
CN210163950U (zh) 一种底板变形缝
KR100469473B1 (ko)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신축이음부 보수방법
CN202706239U (zh) 一种用于变形缝的柔性卷材
CN102720275A (zh) 一种用于变形缝的柔性卷材及其施工方法
KR102419801B1 (ko)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KR102401961B1 (ko) 교량 연석부의 신축이음장치 연결방법
CN210597006U (zh) 一种桥梁养护用伸缩缝防尘装置
KR102590330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차수벽 및 그 시공방법
CN202879389U (zh) 密封条
CN217601747U (zh) 一种中埋式止水带组件
CN215482269U (zh) 一种用于土木工程结构的支座
CN216739215U (zh) 波纹钢桥涵抗震沉降装置
CN107023085A (zh) 压力分离式止水带及其安装方法
CN216406183U (zh) 一种整体式顶板后浇带预制盖板
CN217557426U (zh) 一种防渗漏的防水卷材
KR20060132287A (ko) 방수신축이음장치
CN216040770U (zh) 一种透光窗及棚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