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473B1 -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신축이음부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신축이음부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473B1
KR100469473B1 KR10-2002-0058052A KR20020058052A KR100469473B1 KR 100469473 B1 KR100469473 B1 KR 100469473B1 KR 20020058052 A KR20020058052 A KR 20020058052A KR 100469473 B1 KR100469473 B1 KR 10046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ncrete
expansion joint
road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6528A (ko
Inventor
최치림
신낙현
지동한
이의준
최혁진
이종준
황인동
이완조
Original Assignee
(주) 세일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일콘 filed Critical (주) 세일콘
Priority to KR10-2002-005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4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구조물 등의 신축이음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 신축이음부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교량의 상판도로와 같은 구조물의 신축이음에 있어서 종래의 강제 앵글대신 폴리머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한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그 신축이음시공 방법, 그리고 기존 신축이음부를 해체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구조로 보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신축이음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10a,10b)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1의 이격부(A)에 봉함재(3)가 끼워지되 상·하측이 부착되지 않도록 그 상부에는 일정한 처짐부(5)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백업재(1)가 끼워져 양 구조물 방향으로만 2접점(양측 단부의 수직면)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크구조물(10a,10b) 위에는 제2의 이격부(C)를 가진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포장체(20a,20b)가 타설되어 있으되 상기 제2의 이격부(C)에는 부착방지재(7)를 깔고 그 위에 폴리머 콘크리트/모르터가 타설 연결된 탄성이음부(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축이음방법은 이격부형성단계와 봉함재형성단계 및 이음부형성단계로 이루어지며, 신축이음부 보수방법은 상기 이격부형성단계 앞에 기존 연결구조를 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 신축이음부 보수방법{STRUCTURE OF FLEXIBLE JOIN FOR ROAD CONSTRU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NG FLEXIBLE JOIN AND METHOD OF REPAIRS THEREOF}
본 발명은 도로구조물 등의 신축이음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 신축이음부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교량의 상판도로와 같은 구조물의 신축이음에 있어서 종래의 강재 앵글 대신 폴리머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한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그 신축이음시공 방법, 그리고 기존 신축이음부를 해체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구조로 보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야외에 설치되는 교량의 상판, 지하차도, 하천복개 구조물, 주차장 바닥면 등(이하 '도로구조물'이라 한다)과 같은 구조물은 기온의 변화 또는 차량의 통행에 의해 교량 상판 등에 신축에 의한 변이가 발생한다. 이같은 변이를 방치하면 교량구조물이 파괴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로구조물 사이에 신축을 고려하여 충분한 이격부를 두며, 이같은 도로구조물 간 이격부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차량의 통행에 의해 연결부가 파손되기 때문에 이격부가 신축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신축이음부를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신축이음에는 강재 앵커 등을 이용하는 방법, 단순한 실링재에 의한 포장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전자의 경우에는 차량통행시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도로구조물이 늘어나 유격이 좁아지면서 실링제가 도로 표면보다 부풀어 오르고,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도로구조물의 유격이 늘어나면서 실링제가 쳐져 골이 생김으로써 차량통행시 장애가 된다.
이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최근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특2001-0092117, 2001.10.24자공개)에 개시된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출원번호 10-2000-0014060, 발명자 김해영)이 있다.김해영의 신축이음장치는 도로연결구조물 사이의 연결부를 실링재로 포장할 때 온도에 따른 도로 연결구조물 및 실링제의 가변량을 보상하는 신축판을 설치함으로써 항상 실링제의 표면이 노면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고안이다.
그러나 김해영의 신축이음장치는 별도의 신축판을 삽입 연결하여야 하므로 도로구조물 양단에 강재 앵글을 설치하고 이 앵글 위에 신축판을 체결한 다음 신축판 위에 실링제를 충진시켜 포장하되, 포장시 밀림방지판을 삽입하여 결착력을 높이는 구조이다. 이같은 구조의 신축이음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하는데 번거러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이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실링재를 폴리머 모르타르 또는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도로구조물신축이음 구조를 안출하였다. 본 고안은 시공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공수가 절약될 뿐 아니라, 도로구조물을 연속면으로 연결 시공할 수 있으므로 차량통행시 소음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머 콘크리트등을 이용하여 차량통행시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연속면으로 도로구조물을 연결 시공하되 도로구조물의 간결한 신축이음구조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존 강재앵글 등을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를 보수함에 있어 기존 연결구조를 해체하고 본 발명에 의한 신축이음구조로 교체보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로서 보수방법에 따라 보수된 신축이음부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인 보수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보수된 신축이음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백업재 3 봉함재
5 처짐부 7 부착방지재
9 신축이음부 10a,10b 콘크리트 구조물
12a,12b 콘크리트구조물수직단면
20a,20b 포장재 30a,30b 앵커
A 제1이격부 B 봉함재 두께
C 제2이격부 D 처짐부높이
E 포장체 두께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신축이음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1의 이격부에 봉함재가 끼워 부착되어지되 상·하측이 부착되지 않도록 그 상부에는 일정한 처짐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백업재가 끼워져 양 구조물 방향으로만 2접점(양측 단부의 수직면)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크구조물 위에는 제2의 이격부를 가진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포장체가 타설되어 있으되 상기 제2의 이격부에는 부착방지재를 깔고 그 위에 폴리머 콘크리트/모르터가 타설 연결된 탄성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콘크리트구조물 위에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포장체가 타설된 도로구조물 간의 신축이음방법은,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1의 이격부의 하부에 백업재를 끼우고 봉함재을 부어 시공하되 그 상부에 일정한 처짐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양측 콘크리트구조물 방향으로만 2접점(양측 단부의 수직면)접착되도록 하는 봉함재형성단계;와, 상기 포장체에 제2의 이격부를 형성하고 부착방지재를 깐 뒤, 그 위에 탄성 폴리머 콘크리트 또는 탄성 폴리머 모르터를 타설하여 탄성이음부를 형성하는 탄성이음부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콘크리트구조물 위에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포장체가 타설된 도로구조물 간의 신축이음을 보수하는 방법은, 도로구조물 간의 기존 연결구조를 해체하되 앵커는 남겨두고 콘크리트구조물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1의 이격부 및 포장체에 형성된 제2의 이격부를 복원 내지 형성하는 보수준비단계; 원된 상기 제1의 이격부 하부에 백업재를 끼우고 그 위에 봉함재을 부어넣되 그 상부에 일정한 처짐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양측 콘크리트구조물 방향으로만 2접점(양측 단부의 수직면)접착되도록 하는 봉함재형성단계; 상기 포장체에 형성된 제2의 이격부에 부착방지재를 깐 뒤 그 위에 폴리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모르터를 타설하여 탄성이음부를 형성하는 탄성이음부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수준비단계에서 앵커를 포함하여 기존 연결구조물을 모두 제거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구조물의 연결부는 상부에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포장재(20a,20b)가 타설된 콘크리트구조물(10a,10b)이 일정한 간격(A,C; 이하 A를 "제1이격부", B를 "제2이격부"라 한다)을 두고 교각 위에 놓여진다. 하부의 콘크리트구조물 간에 확보된 제1이격부에는 백업재(1)위에 누수를 방지하는 봉함재(3)가 형성되어 있는데, 봉함재(3)는 양 구조물 방향으로만 접착되어 있다. 즉, 콘크리트구조물의 양단 수직면(12a,12b)에만 부착되고 상부에는 처짐부(5)에 의한 유격공간(5')이, 하부에는 백업재(1)가 끼워져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는 2접점 부착방식이다.
콘크리트구조물의 수평면 위의 포장재(20a,20b) 사이에 형성된 제2이격부(C)에는 부착방지재(7)가 깔려있고, 그 위에 폴리머 콘크리트가 포장재의 노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타설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서 사용되는 백업재(1), 봉함재(3), 부착방지재(7) 및 폴리머 모르터 또는 폴리머 콘크리트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시 여러가지 변형을 수용할 수 있는 물성을 갖추는 것이라야 한다.
이같은 특성을 고려한 이들 재료로서 백업재(1)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었으나 기존 조인트용 백업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백업재(1)의 기능은 봉함재(3) 시공시 하지면과의 부착을 막는 작용을 한다.
봉함재(3)는 수직·수평의 거동, 전단 거동 등을 수용하고 신축이음 사이를 통한 누수방지 기능을 하는 것이어야 하므로 이같은 물성을 갖춘 실리콘 실란트, 우레탄, 합성고무 라텍스, 천연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실리콘 실란트(상표명 DC 902)를 사용하였다.
제1이격부에는 형성된 봉함재(3)을 양 구조물 방향으로만 접착하는 2접점 부착방식을 채용한 이유는 구조물의 변형으로 인하여 봉함재가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이격부의 경우에는 백업재(1)를 사용하여 하지면과의 접착을 막고, 봉함재(3) 상부에 처짐부(5)를 형성하여 일정한 공간(5')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이격부에는 폴리머 필름(7)을 사용하여 폴리머 콘크리트 등이 콘크리크 구조물(10a,10b)의 상면 및 봉함재(5) 상부와의 접착을 방지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머 필름으로서 부착 방지를 위하여 이형 코팅 처리된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부착방지재(7)는 상기 폴리머 모르터나 폴리머콘크리트가 하지면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실리콘 고무, 실리콘 실란트, 실리콘 라텍스, 폴리비닐 및 폴리스티렌 등 폴리머 재질의 필름이 사용되며 폴리머 모르터의 부착 방지를 위하여 이형재를 바르거나 이형 코팅된 것이라야 한다. 두께는 2mm 전후이면 충분하나 다소 얇거나 두꺼워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신축이음부에 타설되는 폴리머 모르터/폴리머 콘크리트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불포화폴리에스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제1액을 주제로 하고, 경화제를 폴리머 제2액으로 하여 소정량의 모래와 혼합하여 제조된다(2액타입).
상기 폴리머 제2액인 경화제는 에폭시의 경우 아민계 경화제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기본 아민계인 폴리에틸렌 아민, 폴리에테르 아민, 사이클로알리패틱 아민이나, 변형 아민계인 폴리아마이드, 아미도아민, 아민 아덕트, 만니치 베이스, 케티민 등과 같은 것이 사용된다.
또한, 라텍스, 아크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폴리머는 1액만으로도 상기 폴리머 모르터/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다(1액타입).
상기 폴리머 모르터/콘크리트는 후술하는 [표 3] 기재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한 이에 상응하는 폴리머를 이용하여 제조하면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폴리머의 종류, 성상, 경화제유무(1액타입인지 2액타입인지 여부), 2액타입의 경우 경화제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이를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이음범위가 40mm인 교량의 신축이음에 시공할 목적으로, 폴리머 2액(경화제)으로서 미국 에어프로덕트사의 ANCAMIDE 910, 325(Kg)과; 폴리머 1액(주제)으로 LG 화학의 LER 850C, 325(Kg); 모래 1300(Kg)의 비율로 배합한 폴리머 모르터를 사용하였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표적인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는 다음 [표 1,2]와 같다.
[표 1] 제조사별 에폭시 수지 제품 목록
LG화학 DOW SHELL CIBA GEIGY 국도화학
LER 830 DER 354 ARALDITE GY281 YDF-170
LER 850 DER 331 Epon 828 ARALDITE GY260 YD-128
LER 855 DER 324 Epon 815 ARALDITE MY757 YD-115
LER 855C YD-115CA
LER 1050-75X DER 671-X-75 Epon 1001-X-75 ARALDITEGT6071-X-75 YD-011X75
LER 5300-70
LER 5500-60
[표 2] 제조사별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 제품 목록
LG화학 HENKEL AIRPRODUCTS DIC 국도화학
LA 0133 G-A0533
LA 0240 LuckamideTD-950 G-0240
LA 0311 Ancamide 260TN LuckamideEA-330 G-0331
LA 1030 VERSAMID 125 Ancamide 350A Luckamide TD-982E G-0930
LA 1534 VERSAMID 140 LuckamideTD-984 G-1034
LA 6022 VERSAMID 115 Ancamide 220 LuckamideB-015 G-5022
LA 6022-70X VERSAMID 115X70 Ancamide 220-X-70 LuckamideB-015-70X G-5022X70
LA 6000-50NX VERSAMID100XN50 Ancamide 100-XN-50 Luckamide N-153-IM65 G-700XN50
LA 6000-70X VERSAMID 100X70 Ancamide 100-X-70 G-700X70
LAD 713 VERSAMID230XB60 LuckamideTD-973 GX-422
LAD 724 GX-328
LAD 727 Ancamide 1618 KH-816
LAD 728
LAD 729 GX-533
LM 137
LM 142
LM 177
LM 185
또한 상기 구조에서 신축이음폭에 해당하는 제1이격부는 6mm에서 51mm 까지 가능하나 40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자가 실험에 의해 확인한 위 각 재료의 바람직한 물성은 다음 표와 같다.
[표 3]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머콘크리트/폴리머 모르터의 특성
요구치 시험방법 비고
압축강도(kgf/cm2) 1일 175이상 ASTM C 579
28일 450 이상 ASTM C 579
인장강도(kgf/cm2) 60 이상 ASTM D 638#
접착강도(kgf/cm2) 105 이상 ASTM C 882
흡수율(%) 1이하 ASTM C 881
신장율(%) 30-50 ASTM D 638#
마모저항성(Wear Index Taber H-22) 1.0 이상 ASTM C 501
가사시간 25분 이상 AASHTO M-200-73
촉진 내후성 시험 3000시간 이상 ASTM C 793
[표 4] 봉함재의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
결과 시험방법
신장율 1400 % 이상 ASTM D 3583
신축허용능력(+100/-50) 10 cycle 이상 ASTM C 719(25.4-76.2mm wide)
촉진 내후성 시험 3000시간 이상 ASTM C 793
[표 5] 신축이음폭(A)에 따른 각 부의 두께 또는 폭
신축이음폭(mm) 6 9 13 19 25 51
처짐의 깊이(mm) 9 9 9 9 9-13 9-13
봉함재의 두께(mm) 6 6 6 9 13 13
백업재의 직경??(mm) 9 13 16 22 32 64
폴리머모르터의 폭(mm) 186 186 186 209 275 561
폴리머모르터의 깊이(mm) 50 50 50 50 50 50
본 발명에 의한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시공방법은, 봉함재 형성단계와 탄성이음부형성단계로서 완료된다.
봉함재 형성단계는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일측 단부(10a)와 타측 단부(10b) 사이에 형성된 제1의 이격부(A)의 하부에 백업재(1)를 끼우고 봉함재(3)을 부어넣되 그 상부에 일정한 처짐부(5)가 형성되도록 하여 양측 콘크리트구조물 방향으로만 2접점(양측 단부의 수직면)접착되도록 시공하는 단계이다.
이어 탄성이음부형성단계는 상기 포장체(20a,20b)에 제2 이격부(C)를 형성하고 부착방지재(7)를 깐 뒤, 그 위에 폴리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모르터를 타설하여 탄성이음부(9)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때 신축이음폭에 따른 각부의 두께 및 폭 등은 [표 3]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의 보수방법에 의해 시공된 단면의 구조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 1과 다른 점은 앵커(30a,30b)를 남겨두고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시공형성한다는 점 뿐이다. 여기서 앵커(30a,30b)까지 제거하고 보수 시공한 것의 단면을 도 3에 나타냈다.
그 보수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도로구조물 간의 기존 연결구조를 해체한다. 이 때 앵커(30a,30b)는 남겨두고 콘크리트구조물의 일측 단부(10a)와 타측 단부(10b) 사이에 형성된 제1의 이격부(A) 및 포장체(20a,20b)에 형성된 제2의 이격부(C)를 복원한 뒤 [표 5]에서 제시한 것과 같은 비율로 이격부를 형성한다. 이 단계를 보수준비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보수준비단계가 전술한 신축이음구조 시공방법의 봉함재 형성단계 앞에 추가된 뒤, 전술한 봉함재형성단계와 탄성이음부형성단계를 진행하면 되는 것이다.
위 실시예에서 보인 것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위 실시예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특히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 변경할 수 있는 범위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며 오직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보호범위가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을 가지는 폴리머 콘크리트 등을 사용하여 연속면으로 도로구조물을 연결 시공함으로써 소음이 나지 아니하는 도로연결부와 간결한 구조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부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구조가 간결하고 모르타르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기존 강재앵글 등을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를 보수함에 있어 기존 연결구조를 해체하고 본 발명에 의한 신축이음구조로 쉽게 교체 보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3)

  1. 콘크리트구조물(10a,10b)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1의 이격부(A)에 봉함재(3)가 끼워지되 상·하측이 부착되지 않도록 그 상부에는 일정한 처짐부(5)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백업재(1)가 끼워져 양 구조물 방향으로만 2접점(12a,12b; 양측 단부의 수직면)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크 구조물(10a,10b) 위에는 제2의 이격부(C)를 가진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포장체(20a,20b)가 타설되어 있으되 상기 제2의 이격부(C)에는 부착방지재(7)를 깔고 그 위에 폴리머 모르터 또는 폴리머 콘크리트가 타설 연결된 탄성이음부(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모르터 또는 폴리머 콘크리트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아크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불포화폴리에스터 및 라텍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액과; 모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모르터 또는 폴리머 콘크리트는, 주제로서 폴리우레탄, 에폭시, 불포화폴리에스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제1액과; 아민계 경화제인 폴리머 제2액과; 소정량의 모래가 포함되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제1액과 폴리머 제2액 및 모래의 조성비가 각각 325중량부,325중량부,130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함재는 실리콘 실란트, 우레탄, 합성고무 라텍스, 천연고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방지재는 폴리에틸렌, 실리콘 고무, 실리콘 실란트, 실리콘 라텍스, 폴리비닐 및 폴리스티렌 필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재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7. 콘크리트구조물 위에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포장체가 타설된 도로구조물 간의 신축이음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일측 단부(10a)와 타측 단부(10b) 사이에 형성된 제1의 이격부(A)의 하부에 백업재(1)를 끼우고 봉함재(3)을 부어넣되 그 상부에 일정한 처짐부(5)가 형성되도록 하여 양측 콘크리트구조물 방향으로만 2접점(양측 단부의 수직면)접착되도록 하는 봉함재형성단계;와
    상기 포장체(20a,20b)에 제2의 이격부(C)를 형성하고 부착방지재(7)를 깐 뒤 그 위에 폴리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모르터를 타설하여 탄성이음부(9)를 형성하는 탄성이음부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 신축이음방법
  8. 콘크리트구조물(10a,10b) 위에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포장체(20a,20b)가 타설된 도로구조물 간의 신축이음을 보수하는 방법으로서,
    도로구조물 간의 기존 연결구조를 해체하되 앵커(30a,30b)는 남겨두고 콘크리트구조물의 일측 단부(10a)와 타측 단부(10b) 사이에 형성된 제1의 이격부(A) 및 포장체(20a,20b)에 형성된 제2의 이격부(C)를 복원 내지 형성하는 보수준비단계;
    복원된 상기 제1의 이격부 하부에 백업재(1)를 끼우고 그 위에 봉함재(3)을 부어넣되 그 상부에 일정한 처짐부(5)가 형성되도록 하여 양측 콘크리트구조물 방향으로만 2접점(양측 단부의 수직면)접착되도록 하는 봉함재형성단계;
    상기 포장체(20a,20b)에 형성된 제2의 이격부(C)에 부착방지재(7)를 깐 뒤 그 위에 폴리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모르터를 타설하여 탄성이음부(9)를 형성하는 탄성이음부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 신축이음 보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준비단계는 앵커(30a,30b)를 포함하여 기존 연결구조물을 모두 제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 신축이음 보수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모르터 또는 폴리머 콘크리트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아크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불포화폴리에스터 및 라텍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액과; 모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모르터 또는 폴리머 콘크리트는 주제로서 폴리우레탄, 에폭시,불포화폴리에스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제1액과; 아민계 경화제인 폴리머 제2액과; 모래를 포함하되 그 조성비가 폴리머1액 325 중량부; 폴리머 2액 325 중량부; 모래 130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방법.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함재는 실리콘 실란트, 우레탄, 합성고무 라텍스, 천연고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방법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방지재는 폴리에틸렌, 실리콘 고무, 실리콘 실란트, 실리콘 라텍스, 폴리비닐 및 폴리스티렌 필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필름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방법.
KR10-2002-0058052A 2002-09-25 2002-09-25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신축이음부 보수방법 KR100469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52A KR100469473B1 (ko) 2002-09-25 2002-09-25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신축이음부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52A KR100469473B1 (ko) 2002-09-25 2002-09-25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신축이음부 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528A KR20040026528A (ko) 2004-03-31
KR100469473B1 true KR100469473B1 (ko) 2005-01-31

Family

ID=3732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052A KR100469473B1 (ko) 2002-09-25 2002-09-25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신축이음부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4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242B1 (ko) * 2006-12-20 2008-04-24 (주)케이알경기서부사업소 교량의 신축조인트
KR101794070B1 (ko) * 2017-04-06 2017-11-06 (유)이지스건설 교량 상판 연결부의 종방향 균열방지를 위한 신축이음구조
KR102163482B1 (ko) * 2019-11-28 2020-10-07 주식회사 유니텍 방수형 구조체를 이용한 누수방지 신축 이음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307B1 (ko) * 2011-02-28 2011-07-05 주식회사 삼안 교량 및 지하차도의 신축이음장치
KR101157063B1 (ko) * 2012-01-12 2012-06-21 한국토지주택공사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1840B1 (ko) 2018-11-29 2019-06-24 (주)씨앤비 신축이음 탄성 봉함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 공법
KR102335800B1 (ko) * 2021-05-14 2021-12-03 진현오 지하차도 신축이음장치 보수시공방법
KR102367221B1 (ko) * 2021-10-12 2022-02-25 주식회사 성민이엔씨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6708U (ko) * 1986-09-30 1988-04-15
US4784516A (en) * 1988-02-10 1988-11-15 Harco Research, Inc. Traffic bearing expansion joint cover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R900005010Y1 (ko) * 1987-02-13 1990-06-05 이유원 추진력 증대를 위한 신축식 자전거 크랭크
JPH03119211A (ja) * 1989-09-30 1991-05-21 Yokohama Rubber Co Ltd:The 橋梁用継目部の伸縮継手構造体
US5024554A (en) * 1990-02-22 1991-06-18 Koch Materials Company Bridge joint construction
KR920001043A (ko) * 1990-06-01 1992-01-29 아끼라 우에다 교량구조물의 신축 이음매 장치
EP0506196A1 (en) * 1991-03-25 1992-09-30 Hollandsche Beton Groep N.V. Method for sealing the joint between two road parts which ar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and are provided with an asphalt road surface, in particular the joint between two bridge roadway parts or between a bridge roadway part and a land-abutment part
US5190395A (en) * 1992-02-12 1993-03-02 Silicone Specialties, Inc. Expansion joint method and system
US6039503A (en) * 1998-01-29 2000-03-21 Silicone Specialties, Inc. Expansion joint system
JP2000129616A (ja) * 1998-10-26 2000-05-09 Masako Nakamura 連続橋梁状構造物の破損防止構造
KR20000072316A (ko) * 2000-08-29 2000-12-05 문영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봉함재를 이용한 교량 또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시공 방법
KR20010085238A (ko) * 2000-02-25 2001-09-07 나남열 교량 구조물의 슬라브 연결부 보수방법 및 그 구조
KR20020046425A (ko) * 2000-12-14 2002-06-21 이필신 교량용 슬래브 이음매의 조인트 시공방법 및 그 조인트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6708U (ko) * 1986-09-30 1988-04-15
KR900005010Y1 (ko) * 1987-02-13 1990-06-05 이유원 추진력 증대를 위한 신축식 자전거 크랭크
US4784516A (en) * 1988-02-10 1988-11-15 Harco Research, Inc. Traffic bearing expansion joint cover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JPH03119211A (ja) * 1989-09-30 1991-05-21 Yokohama Rubber Co Ltd:The 橋梁用継目部の伸縮継手構造体
US5024554A (en) * 1990-02-22 1991-06-18 Koch Materials Company Bridge joint construction
KR920001043A (ko) * 1990-06-01 1992-01-29 아끼라 우에다 교량구조물의 신축 이음매 장치
EP0506196A1 (en) * 1991-03-25 1992-09-30 Hollandsche Beton Groep N.V. Method for sealing the joint between two road parts which ar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and are provided with an asphalt road surface, in particular the joint between two bridge roadway parts or between a bridge roadway part and a land-abutment part
US5190395A (en) * 1992-02-12 1993-03-02 Silicone Specialties, Inc. Expansion joint method and system
US6039503A (en) * 1998-01-29 2000-03-21 Silicone Specialties, Inc. Expansion joint system
JP2000129616A (ja) * 1998-10-26 2000-05-09 Masako Nakamura 連続橋梁状構造物の破損防止構造
KR20010085238A (ko) * 2000-02-25 2001-09-07 나남열 교량 구조물의 슬라브 연결부 보수방법 및 그 구조
KR20000072316A (ko) * 2000-08-29 2000-12-05 문영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봉함재를 이용한 교량 또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시공 방법
KR20020046425A (ko) * 2000-12-14 2002-06-21 이필신 교량용 슬래브 이음매의 조인트 시공방법 및 그 조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242B1 (ko) * 2006-12-20 2008-04-24 (주)케이알경기서부사업소 교량의 신축조인트
KR101794070B1 (ko) * 2017-04-06 2017-11-06 (유)이지스건설 교량 상판 연결부의 종방향 균열방지를 위한 신축이음구조
KR102163482B1 (ko) * 2019-11-28 2020-10-07 주식회사 유니텍 방수형 구조체를 이용한 누수방지 신축 이음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528A (ko)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503A (en) Expansion joint system
CA2767184C (en) Expansion joint sealing system
US4279533A (en) Roadway expansion joint
CA1084320A (en) Joint sealing method
KR101778210B1 (ko) 탄성폴리머콘크리트 조인트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방법
KR100469473B1 (ko)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신축이음부 보수방법
KR20070121382A (ko)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설치 방법
US20060033336A1 (en) Weld-free connectors for structural elements
JP2014526623A (ja) 内部が空いている突起を有する防水用凹凸成形防水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防水工法
US4127350A (en) Elastic joint spanning waterstop element
JP6780289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補修方法
CN105002794A (zh) 复合材料及采用复合材料进行无砟轨道防水维修的方法
US10577760B2 (en) Joint forms and associated techniques for repairing and sealing concrete expansion joints
JP3155525U (ja) 橋桁遊間の目地部補修構造
KR100519931B1 (ko) 혼성 신축이음구조
JP2015067982A (ja) 道路橋梁用ゴムコンクリートとその施工方法及び道路橋梁用ゴムコンクリートを用いた伸縮装置
CN210712542U (zh) 一种柔性桥梁伸缩缝结构
JP2002004312A (ja) 耐震性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JP6095842B1 (ja) 橋梁の床版遊間止水・床版防水構造
KR200333765Y1 (ko) 구조물 틈새 이음 구조
JP6396770B2 (ja) 道路床版のジョイント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80000618U (ko) 이음매 없는 신축음장치용 보강 플레이트 구조
CN211397605U (zh) 一种地铁隧道加固止漏结构
JP6866916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施工方法及び保護シート
JPH11140821A (ja) 埋設形伸縮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