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221B1 -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221B1
KR102367221B1 KR1020210135215A KR20210135215A KR102367221B1 KR 102367221 B1 KR102367221 B1 KR 102367221B1 KR 1020210135215 A KR1020210135215 A KR 1020210135215A KR 20210135215 A KR20210135215 A KR 20210135215A KR 102367221 B1 KR102367221 B1 KR 102367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ridge
expansion joint
bridg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민이엔씨
박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민이엔씨, 박준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민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13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7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량 하체(1a, 1b)의 하단부에 대한 상호 유격되는 상태를 유지하되,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이음 본체(120)를 형성할 때 하측에서 하체(1a, 1b)의 하단부로의 하중을 분산하여 무게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하체(1a, 1b)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중 분산체(110); 및 하중 분산체(110)의 상부에서 복수의 결속부재(121)에 의해 하체(1a, 1b)의 하단부와 체결됨으로써, 교량 신축 이음 장치(100)에 의해 두개의 교량간이 이음 시공시 이음 본체(120) 자체의 체결력과 결속부재(121)에 의한 체결력을 함께 향상시키는 이음 본체(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에 따르면, 교량의 연결시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하중 분산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빗물)에 대한 처리 및 재처리를 통해 가뭄과 홍수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예방력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Bridge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량의 연결시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하중 분산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우수에 대한 처리 및 재처리를 통해 가뭄과 홍수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예방력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각을 갖는 긴 교량은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수축 또는 팽창에 대응하기 위하여 복수의 교량 상판을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하고, 그 연이어 설치된 교량 상판의 각 끝단과 끝단 사이에 교량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교량 상판의 각 끝단과 끝단 사이에 교량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이유는, 온도 변화에 따른 상판의 수축 또는 팽창을 보상하고, 차량 통과시 상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판 간의 유격 공간을 보상하여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유도하며, 우수가 교량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교량 신축 이음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57065(2008.06.17)호 "핑거형 교량신축이음장치의 이물제거장치(Filth eliminating apparatus of finger type flexible connecting device for bridge)"는 핑거형 교량신축이음장치의 신축이음쇠 하부에 설치되는 고무 재질의 시트(sheet)에 적층되는 이물을 풍력(風力)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물제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5-0083414(2005.09.07)호 "동저감형 교량신축이음장치(A Vibration Reduce Type Expansion Joint Structure)"는 서로 인접하는 교량상판의 상면 모서리부분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플레이트본체의 일면에 핑거와 핑거삽탈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핑거플레이트를 별도로 형성하여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핑거플레이트를 일체형으로 결합 고정하고, 핑거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는 요홈(Grooving)을 종방향(차량의 진행방향)으로 형성하며, 핑거플레이트를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능력이 탁월한 Fe-Mn방진합금(Fe-Mn Damping - Alloys)으로 형성하여서 된 진동저감형 교량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와 핑거플레이트를 별도로 성형하고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핑거플레이트를 일체형으로 결합 고정시킴으로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핑거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요홈(Grooving)을 종방향(차량의 진행방향)으로 형성하고 핑거플레이트를 Fe-Mn방진합금(Fe-Mn Damping - Alloys)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차량이 통과할 때에 진동과 소음을 줄이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3-0108093(2013.09.09)호 "교량신축이음장치 설치시 사용되는 후타재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Bridge expansion joints are used when installing and using the same construction method shifter materials composition)"은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설치시 사용되는 기존 후타재의 단점인 제설제등의 화학제품에 의한 열화, 내수성이 취약해 발생되는 중성화, 내충격성이 취약해 발생되는 균열 및 박리에 의한 파괴등을 극복하여 공용수명을 증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신축이음장치 설치시 사용되는 후타재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0-0134351(2020.10.16)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Joints for bridge)"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진동 등으로 인해 고정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 신축에 의한 변형을 원활히 수용하고 강판의 이탈로 인한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설치 후에도 안정된 결합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교량의 연결시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하중 분산력을 효과적으로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기존의 구성요소에 대한 큰 변경 및 추가적인 구성 없이도 우수에 대한 처리 및 재처리를 통해 가뭄과 홍수 등 자연재해에 대한 예방력을 높일 수 있는 기술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57065(2008.06.17)호 "핑거형 교량신축이음장치의 이물제거장치(Filth eliminating apparatus of finger type flexible connecting device for bridg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5-0083414(2005.09.07)호 "동저감형 교량신축이음장치(A Vibration Reduce Type Expansion Joint Structur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3-0108093(2013.09.09)호 "교량신축이음장치 설치시 사용되는 후타재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Bridge expansion joints are used when installing and using the same construction method shifter materials composition)"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0-0134351(2020.10.16)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Joints for bridg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의 연결시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하중 분산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에 대한 처리 및 재처리를 통해 가뭄과 홍수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예방력도 높일 수 있는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교량 하체(1a, 1b)의 하단부에 대한 상호 유격되는 상태를 유지하되,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이음 본체(120)를 형성할 때 하측에서 하체(1a, 1b)의 하단부로의 하중을 분산하여 무게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하체(1a, 1b)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중 분산체(110); 및
하중 분산체(110)의 상부에서 결속부재(121)에 의해 하체(1a, 1b)의 하단부와 체결됨으로써, 교량 신축 이음 장치(100)에 의해 두개의 교량간이 이음 시공시 이음 본체(120) 자체의 횡방향 체결력과 결속부재(121)에 의한 체결력을 함께 향상시키는 이음 본체(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 이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콘트리트 재질 육면체 구조의 하중 분산체(110)에서 중앙을 관통하여 하체(1a, 1b)의 하단부에 미리 형성된 홈으로 고정을 시킬 수 있는 연결형 탄성체(11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형 탄성체(111)는 하중 분산체(110)의 중앙에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는 탄성체에 의해 돌출 길이가 조절 가능한 형태로 하중 분산체(110)를 하체(1a, 1b)의 하단부 사이의 고정을 위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에서 삽입을 위해 하중 분산체(11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하체(1a, 1b)의 하단부 사이에 삽입하면, 연결형 탄성체(111) 내부의 탄성체에 의해 횡방향에 해당하는 양방향으로 외력이 형성되어 하체(1a, 1b)의 하단부에 미리 형성된 홈의 위치로 찾아 들어가서 두개의 하체(1a, 1b)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량 신축 이음 장치가 적용되는 교량은 하체(1a, 1b)가 슬라브 구조의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체 위에 설치되는 상판(2a, 2b)은 아스콘 또는 시멘트 모르타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는 속경성 결합재 100 중량부, 섬유 0.1 내지 10 중량부,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0.1 내지 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 수지 0.1 내지 5 중량부, 팽창재 0.1 내지 5 중량부, 폴리카본산계 고유동화제 0.1 내지 5 중량부, 규사 30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용성 개질 라텍스 0.1 내지 5 중량부, 알콕시 실란 가수분해물 0.1 내지 2 중량부, 실리코네이트계 액상 성분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고,
클링커 0.5 내지 10 중량부, 이수석고 및 반수석고 혼합물 1 내지 10 중량부, 플라스터 0.5 내지 10 중량부, 무수석고 0.5 내지 10 중량부, 실리카퓸 0.1 내지 5 중량부, 플라이애쉬 0.01 내지 5 중량부, 석회석 0.5 내지 10 중량부, 슬래그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분말 성분을 포함하며,
활성촉진제 0.1 내지 2 중량부 및 리튬계 반응촉진제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교량 하체(1a, 1b)의 하단부에 대한 상호 유격되는 상태를 유지하되,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이음 본체(120)를 형성할 때 하측에서 하체(1a, 1b)의 하단부로의 하중을 분산하여 무게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하체(1a, 1b)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중 분산체(110)를 설치하는 제 1 단계; 및
하중 분산체(110)의 상부에서 결속부재(121)에 의해 하체(1a, 1b)의 하단부와 체결됨으로써, 교량 신축 이음 장치(100)에 의해 두개의 교량간이 이음 시공시 이음 본체(120) 자체의 체결력과 결속부재(121)에 의한 체결력을 함께 향상시키는 이음 본체(120)를 설치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 이음 장치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콘트리트 재질 육면체 구조의 하중 분산체(110)에서 중앙을 관통하여 하체(1a, 1b)의 하단부에 미리 형성된 홈으로 고정을 시킬 수 있는 연결형 탄성체(111)를 활용하여 하중 분산체(11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에 따르면, 교량의 연결시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하중 분산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빗물)에 대한 처리 및 재처리를 통해 가뭄과 홍수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예방력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 이음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 이음 장치(100)에 대한 제어장치(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 이음 장치(100)를 이용한 시공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량 신축 이음 장치(100)이 적용되는 교량은 하체(1a, 1b)가 슬라브 구조의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하체(1a, 1b) 위에 설치되는 상판(2a, 2b)은 아스콘 또는 시멘트 모르타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교량의 두개에 대한 신축 이음을 위한 교량 신축 이음 장치(100)는 이음되는 두개의 교량에서 서로 마주보는 "L자" 형태로 형성되는 하체(1a, 1b)의 하단부에 대한 상호 유격되는 상태를 유지하되,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이음 본체(120)를 형성할 때 하측에서 하체(1a, 1b)의 하단부로의 하중을 분산하여 무게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하중 분산체(110)가 하체(1a, 1b)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콘트리트 재질 등으로 형성가능한 육면체 구조의 하중 분산체(110)는 중앙을 관통하는 연결형 탄성체(111)를 이용하여 하체(1a, 1b)의 하단부에 미리 형성된 홈으로 고정을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형 탄성체(111)는 하중 분산체(110)의 중앙에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는 탄성체에 의해 돌출 길이가 조절 가능한 형태로 하중 분산체(110)를 하체(1a, 1b)의 하단부 사이의 고정을 위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에서 삽입을 위해 하중 분산체(11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하체(1a, 1b)의 하단부 사이에 삽입하면, 연결형 탄성체(111) 내부의 탄성체에 의해 횡방향에 해당하는 양방향으로 외력이 형성되어 하체(1a, 1b)의 하단부에 미리 형성된 홈의 위치로 찾아 들어가서 두개의 하체(1a, 1b)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하중 분산체(110)는 교량 신축 이음 장치(100)에 의해 두개의 교량간이 이음 시공시 횡방향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중 분산체(110)에 형성된 연결형 탄성체(111) 도 1에서 하나로 도시되어 있으나 교량의 중량에 따라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중 분산체(110)의 상부에 하체(1a, 1b)의 상단부와 상판(2a, 2b)으로 이루어진 하체(1a, 1b)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의 형성된 수직 구조체 상에는 이음 본체(120)가 형성됨으로써, 2개의 교량 이음부에 서로 마주보게 매설되고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그 위를 지나는 사람이나, 차량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음 본체(120)는 두개의 수직 구조체 사이에 배치되어 하체(1a, 1b)의 상단부와 상판(2a, 2b)을 서로 신축성 있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음 본체(120)에는 ㄱ자 형상의 두개로 형성되는 결속부재(121)에 의해 하체(1a, 1b)의 하단부와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체결됨으로써, 이음 본체(120)에는 교량 신축 이음 장치(100)에 의해 두개의 교량간이 이음 시공시 이음 본체(120) 자체의 횡방향 체결력과, 결속부재(121)에 의해 종방향 및 횡방향 체결력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과 같이, 또한 결속부재(121)의 상단으로는 추가적인 회방향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ㄷ자 형상의 결속체결단(121b)이 홈이 결속부재(121)의 수평방향 단을 향하여 형성되며, ㄷ자 형상의 홈으로는 종방향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면이 원인 바 형상의 추가결속단(121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음 본체(120)의 상부면에는 천공으로 형성된 반구 형태의 배수공(122)을 통해 이음 본체(120)의 상부면으로 고이는 빗물 등이 유도되도록 하며, 배수공(122)의 상부에는 격자 형태의 망이 형성되어 미리 설정된 규격 이상의 분상체 및 입상체의 입자 등이 걸러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음 본체(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배수공(122)의 하단 중앙부로부터 하중 분산체(110)와 하체(1a, 1b)의 하단부의 유격 간격으로 연결되어 하체(1a, 1b)의 하단부의 하부면까지 연결되는 배수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횡 방향을 기준으로 배수공(122) 및 배수 라인은 하중 분산체(1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종 방향으로도 복수개가 형성됨으로써 2×n(n은 1 이상의 자연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이음 본체(120) 및 하중 분산체(110), 하체(1a, 1b) 및 상판(2a, 2b)에 별도의 구조체 없이도 우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라인의 하부 끝단에는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상단"은 하체(1a, 1b) 사이에 걸치면서 하중 분산체(110)의 하부면의 하부에 부착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복수개로 형성되는 배수 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유입하도록 하기 위해 횡방향 단면이 도 1과 같이 역삼각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역삼각형의 상부면을 통해 복수개의 배수 라인을 통해 흡수된 우수에 대해서 1차적인 보관을 수행하며, 센서모듈(210)을 구성하는 수위 센서에 의해 역삼각형의 상부면의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우수가 흡수되는 경우 2차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상단" 간에 연결되는 파이프라인에 해당하는 2차 흡수층으로 흐를 수 있는 있도록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상단"에 형성된 구동모듈(250)에 포함된 전자밸브에 대해서 제어모듈(230)에 의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상단"은 1차 흡수층인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상단" 및 파이프라인 각각에 형성된 센서모듈(210)을 구성하는 수위 센서에 대한 센싱에 따라 모두 임계치를 초과한 것으로 제어모듈(230)이 분석한 경우,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상단" 에서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하단"으로 형성된 구동모듈(250)에 포함된 전자밸브에 대해서 제어모듈(230)에 의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하단"은 횡단면은 상단은 평면으로 하단이 곡면으로 형성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내부로 흡수되는 우수의 양을 높일 뿐만 아니라, 우수가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하단"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구동모듈(250)에 포함된 전자밸브를 통한 우수의 유출이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상단"에서 미리 설정된 유속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도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교량 신축 이음 장치(100)이 적용되는 교량은 하체(1a, 1b) 위에 상판(2a, 2b)이 구성되며, 이는 아스콘 또는 시멘트 모르타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는 친환경 폴리머 모르타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속경성 결합재 100 중량부, 섬유 0.1 내지 10 중량부,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0.1 내지 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 수지 0.1 내지 5 중량부, 팽창재 0.1 내지 5 중량부, 폴리카본산계 고유동화제 0.1 내지 5 중량부, 규사 30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며,
수용성 개질 라텍스 0.1 내지 5 중량부, 알콕시 실란 가수분해물 0.1 내지 2 중량부, 실리코네이트계 액상 성분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고,
클링커 0.5 내지 10 중량부, 이수석고 및 반수석고 혼합물 1 내지 10 중량부, 플라스터 0.5 내지 10 중량부, 무수석고 0.5 내지 10 중량부, 실리카퓸 0.1 내지 5 중량부, 플라이애쉬 0.01 내지 5 중량부, 석회석 0.5 내지 10 중량부, 슬래그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분말 성분을 포함하며,
활성촉진제 0.1 내지 2 중량부 및 리튬계 반응촉진제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촉진제 성분을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속경성 결합제는 현장여건을 감안하여 일반적인 경우 OPC(포틀랜트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조기강도가 필요한 경우 조강시멘트 및 알루미나 시멘트 등을 적절히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틀랜트 시멘트 100 중량비와 칼슘알루미네이트,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마그네슘알루미네이트 및 마그네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혼합물 20~50 중량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 포틀랜트 시멘트(OPC)는 주요 성분이 C3S 51%, C2S 25%, C3A 9%, C4AF 9%, CaSO4 4% 정도이며, 비표면적은 3,300cm2/g 전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슘알루미네이트,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마그네슘알루미네이트 및 마그네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알루미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멘트로서, 화학적 저항성이 우수하며, 산성 분위기 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경화시간이 짧은 조강 시멘트 일종으로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적정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경성 결합재에는 고로슬래그 분말을 포틀랜트 시멘트 100 중량부 대비 약 1~10 중량부의 범위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2.85 ~ 2.95 g/m3의 밀도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로슬래그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처럼 물과 접하는 것만으로 자기 촉발적 수화반응을 개시할 수 없는 잠재수경성 물질로서, 고로슬래그와 물이 접촉하게 되면 슬래그 입자의 표면에 치밀한 불투수성 겔박막이 형성되므로 입자 속까지 물이 침투하는 것이 방해되고 더 이상 반응이 일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알칼리(Ca(OH)2, KOH, NaOH) 및 황산염(CaSO4)등의 자극을 받아 겔박막이 파괴되면서 군도구조의 겔로 변화하고 고로슬래그로부터 이온의 용출과 불용성 물질이 석출되면서 경화하기 시작하는데, 고로슬래그를 콘크리트에 활용하게 되면 일반 포틀랜트시멘트만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장기강도 증진, 수밀성 향상, 수화열 억제 및 화학 저항성 향상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친환경 섬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의 처짐, 방수막 크랙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내열성과 내한성에 우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섬유는 미세한 그물조직으로 밀실한 조직을 형성하여 모르타르의 크랙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는 친환경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리오셀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올라이트 미분말에 사용하는 합성 제올라이트는 알칼리, 물, 유기 기질의 혼합물로 구성된 실리카 알루미나겔을 느리게 결정화시켜 만들어진다. 이렇게 제올라이트를 합성으로 생산하면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최종 제품(합성 제올라이트)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 제올라이트는 천연제올라이트보다 견고한 제올라이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미분말의 성능으로는 양이온 교환 특성, 우수한 흡착성,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증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양이온 교환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제올라이트의 대표적인 특성중 하나로 양이온이 쉽게 교환되며 공동의 크기에 따라 특정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교환할수 있는 선택적 교환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토질 및 수질개량제 및 폐수처리,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제올라이트 미분말이 첨가된 모르타르의 경우 하수구조물의 특성상 폐수가 항상 존재함으로 보수보강시 탁월한 성능을 나타낼수 있다.
다음으로, 우수한 흡착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제올라이트 미분말은 적합한 크기와 형태의 무기 및 유기분자들을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어서, 공동의 크기에 따라 서로 섞여 있는 다른 분자들을 각각 분리할 수 있는 분자체 기능(molecular sieving)의 특성을 갖게 된다. 제올라이트의 흡착 및 분자체 특성과 관련된 응용 분야로는 각종 가스의 전조제로의 응용 및 천연가스 및 LPG에서의 불순 가스 제거 등이 있다. 이러한 특성상 하수구조물의 경우 다량의 가스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또한 작업시 안정성을 확보할수 있다.
또한,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증가에 대해서 살펴보면, 합성 제올라이트는 아스팔트의 생산 공정에서 첨가제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활용은 1990년대 독일에서 시작되었다. 합성 제올라이트 미분말은 아스팔트의 제조나 설치시 발생하는 열을 낮춰 주어, 이산화 탄소, 에어로솔 및 증기를 덜 방출하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고온 상태에서는 아스팔트가 더욱 촘촘하게 압축되어, 추운 날씨나 장시간 동안 도로포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성능은 제올라이트를 모르타르에 첨가했을시 모르타르가 겨율철 낮은 온도에 노출되어도 손상을 현저하게 덜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올라이트 미분말은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 및 고화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를 추가하되, PPS 수지가 본래 가지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포함하는 제성질을 크게 해하지 않으도록 PPS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용매로 N-methyl-2-pyrrolidone 중합체 1 내지 5 중량부, 돌가루 2 내지 3 중량부로, 중탄 5 내지 7 중량부, 금속 수산화물 3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올라이트 미분말 복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돌가루는 석면을 불포함하고,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규산염에 해당하는 Talcum을 사용함으로써, 제올라이트 미분말 복합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리오셀 섬유 및 합성 제올라이트 미분말을 포함하는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의 강도를 높이며, 중탄은 은폐력 향상, 체질안료(extender pigments)로서 작용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접착력증대 및 리바운드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의 경화 전 상태에서는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작업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의 경화 후 상태에서는 표면 부착력 증가, 응집력 증가, 굴곡 강도 증가, 굴곡성 증진 및 방수력 증대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500,000 범위에 드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재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의 도포 후 경화시 수축에 따른 균열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는 팽창효과가 적어 균열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물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팽창재는 섬유보강재 100 중량부, 무기팽창재 30 내지 65 중량부, 금속분말계 팽창재 3 내지 5 중량부, 안정제 2 내지 3 중량부, 강도증진제 25 내지 35 중량부, 알칼리자극제 1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팽창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하이브리드 팽창재를 구성하는 무기팽창재는 모르타르의 경화 후 수축에 대한 보상 팽창을 하도록 하여 모르타르의 경화 후 건조수축이 발생하는 균열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이다.
시멘트의 단점인 경화 후 수축을 고려하여 사용되는 구성으로 임계치 미만일 경우 팽창효과가 미미하여 수축균열을 억제하지 못하게 되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팽창되어 경화체가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전체적인 물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팽창재를 구성하는 섬유보강재는 모르타르의 인장력 증대, 국부적 균열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하면서 역학적 성질을 개선 및 보강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으로, 모르타르 내에서 불연속적이며 단상인 섬유질 재료를 분산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폴리카본산계 고유동화제는 모르타르의 입자 표면에 흡착하여 입자 표면에 전하를 주어 입자들끼리 상호 반력을 일으키므로, 응집된 입자를 분산시켜 유동을 증가시켜 감수 효과로 인한 강도 증진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유동화제로서는 폴리카본산계 외에 멜라민셀폰산계, 나프탈렌셀폰산계, 폴리카본산계, 리그닌슬폰산계 또는 알킬아릴슬폰산계 유동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리그닌술포네이트, 폴리나프탈렌술포네이트, 폴리멜라민술포네이트 또는 폴리카복실레이트계 감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단독 또는 둘 이상 혼합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유동화제 사용시 응결시간에 영향을 주므로 응결시간 조절제를 적절히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규사는 모르타르 혼합재로 사용되며, 평균 입경이 0.3 내지 1.5 mm인 세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의 유동성 및 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성 개질 라텍스는 합성수지계 에멀젼 라텍스로서,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 10~20 중량비, SBR(Styrene-Butadiene rubber) 고무 10~20 중량부, 하이드록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0.1~5 중량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5~30 중량비, 갈산 0.1~5 중량부, 금속 양이온 1~10 중량비, 분산제 0.5~5 중량비 및 물 40~70 중량비의 비율로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산(2-HEMA : 2-hydroxyethyl methacrylate), 메타크릴산메틸(MMA : methyl methacrylate), n-부틸 아크릴레이트(n-BA : n-butyl acrylate) 및 아크릴산(AAc : acrylic acid)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음이온 또는 비이온 유화제 및 개시제를 첨가하여 합성된 폴리 아크릴레이트 하이브리드 에멀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건조가 빠르고 외부 폭로조건에서도 우수한 내후성, 내구성, 자외선안정성을 나타내며 수용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친환경적이다.
상기 SBR 고무는 탄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형분이 50% 이상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에서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용매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용액 상태에서 상기 갈산을 분산 및 용해시켜 갈산의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 용매로는 에틸렌 글리콜계의 2가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가교밀도를 향상시켜 망목상 상태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여 물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하이드록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실 프로필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실 에틸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산과 글리콜류 화합물의 축합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푸마르산과 디에틸렌글리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산가 18~20mg/KOH의 범위에 드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모르타르의 내후성, 내광성, 내스크래치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갈산은 탄닌을 산 또는 알칼리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페놀카르복시산으로 C7H6O5·H2O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로서, 표면의 방청,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금속 양이온은 구체적인 예로서 Ca2+, Mg2+, Zn2+, Cu2+, Fe2+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수용성 라텍스의 혼합시 액상 내에서 내부 성분을 고르게 분산시켜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비이온 타입의 폴리옥시알킬렌형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 타입의 폴리카르복실염계 계면활성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콕시 실란 가수분해물은 졸-겔 공정을 통해 실란을 실리카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와 같이 얻어진 실리카겔의 세공중에 메타크릴산 메틸을 넣은 후 이를 중합 및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타크릴산 메틸의 함량은 알콕시 실란 함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코네이트계 액상 성분은 칼륨메틸실리코네이트 0.1~5 중량비, 3-아이오도-2-프로피닐-N-부틸 카바메이트 0.1~5 중량비,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 0.1~10 중량비 및 플루오르(F)기를 함유한 무기계 폴리머 0.1~5 중량비의 비율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륨메틸실리코네이트는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의 강화 성분을 모재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침투시켜 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발수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륨메틸실리코네이트는 상기 실리코네이트계 액상 성분 중에 0.1~3 중량비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륨메틸실리코네이트는 고형분 함량이 30~40 중량%이고 pH 12~14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3-아이오도-2-프로피닐-N-부틸 카바메이트는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에 사용될 경우 콘크리트의 각종 유해 성분들이 외부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3-아이오도-2-프로피닐-N-부틸 카바메이트는 상기 실리코네이트계 액상 성분 중에 0.1~5 중량비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는 조성물의 각 성분들 간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며 콘크리트 내부의 기계적 강도 및 수밀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폭시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상기 실리코네이트계 액상 성분 중에 0.1~10 중량비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플로오르(F)기를 함유한 무기계 폴리머는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이 도포된 후 표면이 산성 조건에 노출될 경우 내산 특성을 강화시켜 산에 의한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로오르(F)기를 함유한 무기계 폴리머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와 플루오르 알칼리 실리케이트가 50~65:35~5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을 경우에는 강도 저하의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모르타르의 겉마름 현상으로 인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로오르(F)기를 함유한 무기계 폴리머는 상기 실리코네이트계 액상 성분 중에 0.1~10 중량비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비 미만이면 내산 강화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비를 초과하면 상용성이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클링커는 규산칼슘인 알라이트, 베라이트 및 세라이트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링커는 분말성분과 액상성분의 혼합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링커는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클링커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분말성분과 액상성분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수석고 및 반수석고는 점성을 증가시켜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수석고 및 반수석고는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점성 및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라스터(plaster)는 분말 성분에 포함된 성분이 액상성분과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라스터는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따라서, 상기 플라스터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분말 성분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이 액상성분과 용이하게 혼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강도 및 내화학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무수석고는 황산칼슘의 무수물에 해당하는 광물로서, 분말성분과 액상성분의 혼합시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수석고는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무수석고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모르타르의 부착성이 저하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실리카퓸(silica fume)은 비정질의 활성 실리카로서 평균입경이 0.15㎛ 정도이며, 완전 구형에 가까운 입자이다. 실리카퓸은 구상입자의 특성에 의해 분말성분 입자 사이의 충진 효과에 의하여 방수성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키며, 모르타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실리카퓸은 모르타르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 실리카퓸은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실리카퓸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모르타르의 방수성 및 내화학성이 저하되고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플라이애쉬(fly ash)는 화력발전소 등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시설에서 석탄을 태우고 남은 성분들이 산화물 형태로 남아 산화 실리콘(SiO2)나 산화 알루미늄(Al2O3)성분의 미세한 먼지로 남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플라이애쉬를 코팅제에 혼합하여 사용하면 작업성이 개선되고 장기적인 강도 및 수밀성이 향상되어 경제적이다. 상기 플라이애쉬는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플라이애쉬의 함량이 0.01 미만인 경우는 모르타르의 부착성능이 저하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석회석은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의 부착성을 보조적으로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석회석은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석회석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부착성 향상 효과가 저하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슬래그는 제철소 등에서 철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슬래그의 주성분은 알루미나 규산염이며, 이를 분말성분에 혼합하는 경우 모르타르의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특히 슬래그는 투수성이 낮아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의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래그는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슬래그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내구성, 내화학성 및 방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활성촉진제는 초기 응결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모르타르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부착성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칼슘, 마그네슘, 망간 또는 알루미늄의 활성 다가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염화물염, 탄산염, 황산염 또는 수산염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0.5~2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계 반응촉진제는 응결(종결) 이후 시멘트 수화물이 생성을 촉진하여 강도 발현에 영향을 미치고 미세 공극을 치밀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탄산리튬, 황산리튬, 수산화리튬, 산화리튬, 염화리튬, 인산리튬, 질산화리튬, 리튬 실리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0.5~1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은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의 입경은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산화규소(SiO2), 황산바륨(BaSO4), 산화알루미늄(Al2O3), 탄산칼슘(CaCO3), 탈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일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 이음 장치(100)에 대한 제어장치(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장치(200)는 센서모듈(210), 통신모듈(220), 제어모듈(230), 저장부(240) 및 구동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모듈(230)은 상술한 우수에 대한 제어 뿐만 아니라, 센서모듈(210)을 구성한 수위센서에 대한 제어를 통해 각 수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인 경우, 통신모듈(220)을 통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관리 서버(미도시)로부터의 우수 제공 요청에 따라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하단"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대한 오프(OFF) 제어를 통해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상단 및 하단, 그리고 파이프라인에 저장된 우수에 대해서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하단"과 연결된 우수 저장 탱크로 우수에 대한 제공을 통해 가뭄에 대한 대응책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모듈(230)은 통신모듈(220)을 통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관리 서버로부터 각 지역별 미리 설정된 기간별 강수량 정보를 수신하여 주기적으로 저장부(240)에 저장하고, 미리 설정됨 임계 이하의 강수량인 경우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130)의 하단"과 연결된 우수 저장 탱크로 우수에 대한 제공을 통해 가뭄에 대한 대응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30)은 외부의 관리 서버로 액세스 하도록 통신모듈(220)을 제어한 뒤, 외부 관리 서버 상에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DCS DB에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고 상태 관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30)에서 사용되는 분석/제어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
제어모듈(230)의 분석/제어 프로그램은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DCS DB에 분산 저장된 지역별 및 기간별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다수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30)의 분석/제어 프로그램은 DCS DB에 분산 저장된 지역별 및 기간별 수집 데이터인 강수량 정보와 지역별 우수 저장 탱크의 저수율을 비교하고, 우수 저장 탱크의 저수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고, 현재의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이전 까지의 강수량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이상 상태로 분석하여 각 센서모듈(210)을 구성하는 수위센서에 대한 점검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통신모듈(22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 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교량 신축 이음 장치 110 : 하중 분산체
111 : 연결형 탄성체 120 : 이음 본체
121 : 앵커 볼크 122 : 배수공
130 : 마감부재형 우수 관리부 200 : 제어장치

Claims (7)

  1. 교량 하체(1a, 1b)의 하단부에 대한 상호 유격되는 상태를 유지하되,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이음 본체(120)를 형성할 때 하측에서 하체(1a, 1b)의 하단부로의 하중을 분산하여 무게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하체(1a, 1b)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중 분산체(110); 및
    하중 분산체(110)의 상부에서 결속부재(121)에 의해 하체(1a, 1b)의 하단부와 체결되며, 교량 이음부에 서로 마주보게 매설되고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음 본체(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 이음 장치로서,
    콘트리트 재질 육면체 구조의 하중 분산체(110)에서 중앙을 관통하여 하체(1a, 1b)의 하단부에 미리 형성된 홈으로 고정을 시킬 수 있는 연결형 탄성체(111);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형 탄성체(111)는 하중 분산체(110)의 중앙에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는 탄성체에 의해 돌출 길이가 조절 가능한 형태로 하중 분산체(110)를 하체(1a, 1b)의 하단부 사이의 고정을 위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에서 삽입을 위해 하중 분산체(11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하체(1a, 1b)의 하단부 사이에 삽입하면, 연결형 탄성체(111) 내부의 탄성체에 의해 횡방향에 해당하는 양방향으로 외력이 형성되어 하체(1a, 1b)의 하단부에 미리 형성된 홈의 위치로 찾아 들어가서 두개의 하체(1a, 1b)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 이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량 신축 이음 장치가 적용되는 교량은 하체(1a, 1b)가 슬라브 구조의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체 위에 설치되는 상판(2a, 2b)은 아스콘 또는 시멘트 모르타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 이음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는 속경성 결합재 100 중량부, 섬유 0.1 내지 10 중량부,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0.1 내지 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 수지 0.1 내지 5 중량부, 팽창재 0.1 내지 5 중량부, 폴리카본산계 고유동화제 0.1 내지 5 중량부, 규사 30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용성 개질 라텍스 0.1 내지 5 중량부, 알콕시 실란 가수분해물 0.1 내지 2 중량부, 실리코네이트계 액상 성분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고,
    클링커 0.5 내지 10 중량부, 이수석고 및 반수석고 혼합물 1 내지 10 중량부, 플라스터 0.5 내지 10 중량부, 무수석고 0.5 내지 10 중량부, 실리카퓸 0.1 내지 5 중량부, 플라이애쉬 0.01 내지 5 중량부, 석회석 0.5 내지 10 중량부, 슬래그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분말 성분을 포함하며,
    활성촉진제 0.1 내지 2 중량부 및 리튬계 반응촉진제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 이음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10135215A 2021-10-12 2021-10-12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 KR102367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215A KR102367221B1 (ko) 2021-10-12 2021-10-12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215A KR102367221B1 (ko) 2021-10-12 2021-10-12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221B1 true KR102367221B1 (ko) 2022-02-25

Family

ID=8049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215A KR102367221B1 (ko) 2021-10-12 2021-10-12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22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116A (ja) * 1996-04-04 1997-10-21 Nippon Shinshiyuku Sochi Kogyo Kk 鋼道路橋の伸縮継手支持体、鋼道路橋の伸縮継手取付け部の構造及び鋼道路橋における伸縮継手の施工方法
KR20030003510A (ko) * 2001-07-03 2003-01-10 주식회사 한국피엔알건설 탄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신축 이음 구조물
KR20040026528A (ko) * 2002-09-25 2004-03-31 (주) 세일콘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신축이음부 보수방법
JP2010053562A (ja) * 2008-08-27 2010-03-11 Nitta Ind Corp 伸縮継手補強用二次コンクリート部を床版から除去するための構造
KR20100123192A (ko) * 2009-05-14 2010-11-24 조영철 신축이음 조성물, 신축이음 조성물 제조방법, 탄성 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82318A (ko) * 2016-01-06 2017-07-14 이원숙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0387813A (zh) * 2019-07-27 2019-10-29 蓝海绿业生态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桥梁的伸缩缝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274310B1 (ko) * 2021-02-02 2021-07-08 주식회사 에코이앤씨 장기 내구성 증진을 위한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116A (ja) * 1996-04-04 1997-10-21 Nippon Shinshiyuku Sochi Kogyo Kk 鋼道路橋の伸縮継手支持体、鋼道路橋の伸縮継手取付け部の構造及び鋼道路橋における伸縮継手の施工方法
KR20030003510A (ko) * 2001-07-03 2003-01-10 주식회사 한국피엔알건설 탄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신축 이음 구조물
KR20040026528A (ko) * 2002-09-25 2004-03-31 (주) 세일콘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신축이음부 보수방법
JP2010053562A (ja) * 2008-08-27 2010-03-11 Nitta Ind Corp 伸縮継手補強用二次コンクリート部を床版から除去するための構造
KR20100123192A (ko) * 2009-05-14 2010-11-24 조영철 신축이음 조성물, 신축이음 조성물 제조방법, 탄성 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82318A (ko) * 2016-01-06 2017-07-14 이원숙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0387813A (zh) * 2019-07-27 2019-10-29 蓝海绿业生态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桥梁的伸缩缝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274310B1 (ko) * 2021-02-02 2021-07-08 주식회사 에코이앤씨 장기 내구성 증진을 위한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보강 공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5-0083414(2005.09.07)호 "동저감형 교량신축이음장치(A Vibration Reduce Type Expansion Joint Structur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57065(2008.06.17)호 "핑거형 교량신축이음장치의 이물제거장치(Filth eliminating apparatus of finger type flexible connecting device for bridg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3-0108093(2013.09.09)호 "교량신축이음장치 설치시 사용되는 후타재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Bridge expansion joints are used when installing and using the same construction method shifter materials composition)"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0-0134351(2020.10.16)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Joints for b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310B1 (ko) 장기 내구성 증진을 위한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보강 공법
KR100880908B1 (ko)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면 포장공법
KR101954681B1 (ko) 콘크리트 중성화·염해방지 및 표면방식보수공법
KR101470344B1 (ko) 방수 및 발수 기능 있는 고유동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10089549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중성화 및 염해 방지용 시멘트 모르타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공법
KR101959437B1 (ko) 친환경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2298193B1 (ko) 부착성,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및 강재 구조물 표면 보호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표면 보호 공법
KR101820350B1 (ko)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내산, 내황산염 및 염화 이온 침투 저항성이 우수한 친환경적인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방법
KR101663690B1 (ko) 도로 측구 및 소파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634367B1 (ko) 수지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방수공법
KR102164414B1 (ko) 내염해성 폴리머 보수보강 모르타르, 내염해성 보수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법
KR101802698B1 (ko)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도로 측구 및 도막 바닥 보수보강 공법
KR102336116B1 (ko) 콘크리트 외벽 무황변을 가진 고탄성 크랙 보수 공법
KR102322804B1 (ko) 내구성, 내화학성 및 부착성 향상을 위한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보강 공법
KR101621199B1 (ko)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2323780B1 (ko) 서냉 슬래그 분말을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공법
KR20130023928A (ko)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반강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그라우트 주입재
KR101068593B1 (ko) 개질 아크릴 폴리머를 이용한 초속경 방수콘크리트 도로포장재 조성물의 시공방법
KR10185120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부착성을 향상시킨 보수보강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 공법
KR102372576B1 (ko) 폴리머 혼화제 개질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도로포장의 단면 보수보강 방법
KR102105860B1 (ko) 고로슬래그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초속경 콘크리트 교면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포장 시공방법
KR101902477B1 (ko) 아스팔트복합방수층의 시공방법
KR102367221B1 (ko) 교량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 공법
KR102281520B1 (ko) 부착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공법
KR101848273B1 (ko) 구스 아스팔트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