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382A -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382A
KR20070121382A KR1020060056374A KR20060056374A KR20070121382A KR 20070121382 A KR20070121382 A KR 20070121382A KR 1020060056374 A KR1020060056374 A KR 1020060056374A KR 20060056374 A KR20060056374 A KR 20060056374A KR 20070121382 A KR20070121382 A KR 20070121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expansion
wall
joint member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0585B1 (ko
Inventor
조준희
Original Assignee
조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희 filed Critical 조준희
Priority to KR1020060056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585B1/ko
Publication of KR2007012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1Fill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 E04B1/6804Joint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floor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이음부와 구조물 사이의 바닥면 접착 강도를 줄이고 측면에 신축성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신축이음부의 수축이나 팽창시 벽면의 신장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측면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은, 서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콘트리트 구조물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상기 공간부에 끼워진 백업제와 상기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설치된 지지철판 및 신축이음부에 충진된 신축이음부재로 이루어지는 신축이음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부재와 상기 신축이음부가 형성된 콘트리트 구조물 벽면에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설치 방법은, 서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간부 상부에 신축이음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간부에 백업제를 끼워 넣고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지지철판을 설치한 다음 신축이음부에 신축이음부재를 충진시키는 신축이음 설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 부재를 충진시키는 과정 이전에 신축이음부 벽면에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신축이음, 바닥면, 벽면, 고무시트, 접착, 탈락

Description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설치 방법{THE EXPANSION JOINT USING ELASTICITY POLYMER AND METHOD FOR INSTALLE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설치 방법을 순차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설치 방법을 순차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설치 방법을 순차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7a 및 도 7b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콘크리트 구조물
11 : 포장재, 12 : 공간부, 13 : 백업제
2 : 신축이음부
21 : 고무 시트, 22 :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 23 : 신축이음 부재
24 : 지지철판, 25 : 지지못, 26 : 프라이머층, 27 : 컬러 규사층
본 발명의 신축이음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이음부와 구조물 사이의 바닥면 접착 강도를 줄여 바닥면과 벽면의 접촉 면적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고무시트를 부착하고, 측면에 신축성 접착제를 부착하여 신축이음부의 수축이나 팽창시 벽면의 신장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측면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구조물에는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 수축 및 지반의 부동 침하, 지진에 의해 응력이 작용하여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교량의 경우 상판은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되거나 팽창되므로 교량의 상판의 수축과 팽창을 고려하여 이웃하는 상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의 상판 간에는 상판들을 상호 연결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아울러 상판의 수축과 팽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으 며, 이물질이나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신축이음 장치가 설치된다. 교량에서의 신축이음 장치는 유간 틈새를 보상하여 차량의 통행을 안전하게 하고, 또한 우수 등이 하부구조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신축이음 장치나 방수, 배수층의 성능이 완벽하지 못한 경우에는 교각이나 구조물에 물이 흘러들어가 교량이나 구조물이 파괴되어 위험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도 7a 및 도 7b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고무아스팔트계 신축이음을 이용하였다.
도 7a를 참조하면, 우선 콘크리트 구조물위에 설치되는 포장재(110)로 이루어지는 신축 구조물은 신축이음부(20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콘트리트 구조물(100) 사이 공간부에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의 누출이나 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백업제(300)를 설치하고, 백업제(300)의 상부에 지지철판(400)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신축이음부(200)의 벽면과 바닥면에 고무아스팔트를 발라준 후 신축이음부(200)에 골재와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 혼합물을 포장재(500)와 같은 높이로 채워 넣어 신축이음을 완성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 설치 방법에서는 벽면에 바르는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가 액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사중에 아랫 방향으로 흘러내려 바닥면에는 흥건하게 고이게 되고, 벽면에는 흘러내려 얇은 두께만 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골재와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신축이음 부재를 채워 넣으면 여름철 및 겨울철의 온도 변화에 의한 교량 상판의 팽창 또 는 수축시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신축이음 부재의 벽면이 탈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가 공사시에 바닥면에 고이게 되어 신축이음 부재의 바닥면은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게 되고, 벽면에는 바인더가 적게 도포되기 때문에 신축이음의 수축팽창시 측면에서 균열이 쉽게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 부재의 바닥 접촉면 S1이 벽면 접촉면 S2보다 더 크기 때문에 바닥면 접촉력이 벽면 접촉력보다 커 바닥면에 비하여 벽면 탈락이 더 쉽게 발생한다.
결국, 온도 변화에 따라 상판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벽면 탈락이 쉽게 발생하게 되어 신축이음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의 연화점이 100℃ 근처인데, 여름철 지표면의 온도가 60℃를 상회하며 과적된 차량의 타이어의 온도가 100℃가 훨씬 넘기 때문에, 타이어 온도가 상승한 차량이 신축이음부에 정지하는 경우 차량의 바퀴 온도에 의하여 신축이음부의 표층이 밀려나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신축이음부의 열에 의한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와 골재를 혼합한 후 콤펙타로 다짐 공정을 진행하는 설치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다시 말해, 골재의 입도가 작아지면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와 골재의 접착 강도가 증가하므로, 신축이음부 표층에 잔골재와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를 혼합하 여 살포한 후 콤펙타로 다지는 설치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짐 공정에 이용되는 콤펙타의 표면에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가 달라붙어 시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이음 바닥면에 고무 시트를 설치하여 신축 이음 부재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접촉면적과 벽면 접폭면적을 균일하게 하여, 바닥면과 벽면에 작용하는 응력을 고르게 함으로써, 신축이음부의 수축 팽창시 벽면 탈락을 방지하며, 신축이음부재 벽면에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를 부착하여 벽면 신장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의 설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이음 표층 코팅을 함에 있어서 신축이음부에 신축이음 부재를 채워 넣은 후에 표층에 잔골재와 아스팔트 바인더를 혼합한 후 플라이애시를 뿌리고 나서 컴펙타로 다짐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아스팔트계 바인더가 컴펙타에 달라붙지 않는 다짐 공정을 통해 표층의 골재 입도를 작게 하여 표층의 바인더와의 접착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여름철 차량 바퀴에 의해 신축이음부재 표층이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은, 서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콘트리트 구조물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상기 공간부에 끼워진 백업제와 상기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설치된 지지철판 및 신축이음부에 충진된 신축이음부재로 이루어지는 신축이음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부재와 상기 신축이음부가 형성된 콘트리트 구조물 벽면에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신축이음에서 상기 지지철판 상부에는 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과 벽면 접촉 면적을 고르게 하기 위한 고무 시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이음 부재 상부에는 컬러 규사층이 더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설치 방법은, 서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간부 상부에 신축이음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간부에 백업제를 끼워 넣고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지지철판을 설치한 다음 신축이음부에 신축이음부재를 충진시키는 신축이음 설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 부재를 충진시키는 과정 이전에 신축이음부 벽면에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신축이음 부재를 지지철판 설치한 후에는 상기 지지철판 상부면에 고무시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설치 방법은 상기 신축이음 부재 상부에 컬러 규사층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 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코팅된 콘크리트 구조물(1)위에 포장재(12)가 서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12)가 형성되며 공간부(12) 상부에 신축이음부(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은 골조 위에 설치된 것으로, 이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는 포장재가 포설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콘트리트 구조물(1)의 사이 즉 공간부(12)에는 백업제(13)가 끼워져 있다.
상기 백업제(13)는 후술하는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가 교각 아래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강우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의 시공온도가 180℃ 정도이므로, 250℃ 정도의 온도에서 녹지 않는 성질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백업제(13)는 겨울철 시공 후에 수분을 빨아들여 얼게되면 부피가 팽창하여 교량을 파손시킬 수 있으므로 수분 흡수가 없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량의 수축 팽창시 이탈되지 말아야 하므로 신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공간부(12)의 상부 즉 상기 신축이음부(2)의 바닥면에는 상기 공간부(12)를 폐쇄하기 위한 고무 시트(2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무 시트(21)는 후술하는 신축이음 부재(23)와 신축이음부(2)의 바닥면의 접촉 강도를 저하시켜 후술하는 신축이음 부재의 수축 팽창시에 벽면의 신장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신축이음부(2) 벽면에는 탄성 폴리머가 되는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22)가 부착되며, 상기 신축이음부(2)에는 신축이음 부재(23)가 채워지며, 상기 신축이음 부재(23)는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와 골재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표 1> 골재의 입도
골재입도 깊이 8㎝ 미만인 경우 깊이 8㎝ 이상인 경우
26㎜ 통과 100%
19㎜ 통과 100% 85~100%
13㎜ 통과 85~100% 0~30%
9㎜ 통과 0~30% 0~5%
6㎜ 통과 0~5%
공극률 40% 40%
상기 표 1은 시공 깊이에 따른 신축이음 부재로 이용되는 골재의 입도의 통과율을 나타낸 것으로, 신축이음의 깊이가 8㎝ 미만인 경우와 8㎝ 이상인 경우로 구별하였다.
표 1을 참조하면, 신축이음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입도가 큰 골재를 사용하여야 차량의 통과시 하중을 신축이음이 견딜 수 있으므로 신축이음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입도가 큰 골재를 선택하여 내하중을 증가시키도록 하며, 일정 공극을 만들어 주어 강도 증가 역할은 골재가하고, 신축 작용 역할을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가 하도록 하기 위한 부피 비율은 골재 :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6:4 정도를 유지하여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가 채워질 수 있는 공극률을 만들어 줌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신축이음부(2) 벽면과 상기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22) 사이에는 부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층(26)이 더 코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축이음부(2)의 바닥면에 고무 시트(21)를 설치하여, 신축이음부(2)의 바닥면과 콘크리트 구조물(1) 사이의 접착면적을 줄여 신축이음부(2) 벽면의 접착 면적과 유사하게 만들어줌으로써, 벽면에 과도한 응력 작용을 방지하여 벽면의 경계면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경우 신축이음 부재의 바닥면과 콘크리트 구조물 접착 면적이 크기 때문에 벽면에 큰 응력이 작용하여 벽면 경계부에서의 탈락 가능성이 높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닥면의 접착 면적을 줄여 벽면 경계부에서의 탈락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신축이음부(2) 벽면에 접착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22)를 부착함으로써, 교량의 신축 작용을 흡수하도록 하여 신축이음부(2) 경계면에서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하고,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와 골재가 혼합된 신축이음 부재(23)가 일부의 신축 작용, 방진, 방수, 및 탄성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의 단면도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번호를 적용하였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작용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 이음은, 서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12)가 형성되며 공간부(12) 상부에 신축이음부(2)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1)과, 상기 공간부(12)에 끼워지는 백업제(13)와, 상기 공간부(12)를 충진하도록 상기 신축이음부(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철판(24)과, 상기 지지철판(24) 및 백업제(13)를 관통하여 상기 백업제(13)와 지지철판(24)을 고정시키는 지지못(25)과, 상기 지지철판(24) 상부에 구비되는 고무 시트(21)와, 상기 신축이음부(2) 벽면에 코팅되는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22)와, 상기 신축이음부(2)에 채워진 신축이음 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에 따르면, 지지철판(24)에 의해 차량의 통과시에 받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신축이음 부재(23)가 보호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고무 시트(21)를 이용하여 신축이음 부재(23) 바닥면과 콘크리트 구조물(1)간의 접착 면적을 벽면 접착 면적보다 크지 않게한다.
즉, 벽면과 바닥면의 접촉 면적을 고르게 하여 바닥면과 벽면에 작용하는 응력을 균일하게 분산할 뿐만 아니라, 벽면에 탄성폴리머인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22)를 부착하여 벽면 접촉력을 향상시켜, 신축이음 부재의 수축 팽창시 벽면의 신장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신축 작용에 의해 벽면 경계면에서의 탈락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신축이음부(2) 벽면과 상기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22) 사이에는 부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층(26)이 더 코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의 단면도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번호를 적용하였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작용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은, 서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12)가 형성되며 공간부(12) 상부에 신축이음부(2)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1)과, 상기 공간부(12)에 끼워지는 백업제(13)와, 상기 공간부(12)를 폐쇄하도록 상기 신축이음부(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철판(24)과, 상기 지지철판(24) 및 백업제(13)를 관통하여 상기 백업제(13)와 지지철판(24)을 고정시키는 지지못(25)과, 상기 지지철판(24) 상부에 구비되는 고무 시트(21)와, 상기 상기 신축이음부(2) 벽면에 코팅된 프라이머층(26)과 상기 신축이음부(2) 벽면에 코팅되는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22)와, 상기 신축이음부(2)에 채워진 신축이음 부재(23)와, 상기 신축이음 부재(23) 상부에는 컬러 규사층(2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신축이음 부재(23)의 표층에는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가 1㎜ 정도 코팅되고, 그 상부에 컬터 규사층(27)이 도포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신축이음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설치 방법을 순차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서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12)가 형성되며 공간부(12) 상부에 신축이음부(2)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1)의 상기 공간부(12)에 백업제(13)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나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2)를 폐쇄하도록 상기 신축이음부(2)의 바닥면에 고무 시트(21)를 설치한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이음부(2)의 벽면에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22)를 부착하고 상기 신축이음부(2)에 신축이음 부재(23)를 채워 넣는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 설치 방법을 순차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서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12)가 형성되며 공간부(12) 상부에 신축이음부(2)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1)의 공간부에 백업제(13)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나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2)를 폐쇄하도록 상기 신축이음부(2)의 바닥면에 지지철판(24)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철판(24) 및 백업제(13)를 관통하여 상기 백업제(13)와 지지철판(24)을 고정시키는 지지못(25)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철판(24)의 상부에 고무 시트(21)를 설치한다.
이어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이음부(2)의 벽면에 프라이머층(26)을 코팅한 후 탄성폴리머인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22)를 부착하고, 상기 신축이음부(2)에 신축이음 부재(23)를 채워 넣는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설치 방법을 순차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서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12)가 형성되며 공간부(12) 상부에 신축이음부(2)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1)의 공간부에 백업제(13)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나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2)를 폐쇄하도록 상기 신축이음부(2)의 바닥면에 지지철판(24)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철판(24) 및 백업제(13)를 관통하여 상기 백업제(13)와 지지철판(24)을 고정시키는 지지못(25)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철판(24)의 상부에 고무 시트(21)를 설치한다.
이어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이음부(2)의 벽면에 프라이머층(26)을 코팅한 후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22)를 부착하고, 상기 신축이음부(2)에 신축이음 부재(23)를 채워 넣는다.
이후,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이음 부재(23) 상부에 컬러 규사층(27)를 도포한다.
상기 컬러 규사층(27)을 도포하는 방법은 신축이음 부재 상부에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를 코팅한 후 칼라 규사를 도포하고 플라이애시를 뿌린 다음 다짐 공정을 진행하여 도포하거나, 상기 신축이음 부재 상부에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와 칼라 규사를 혼합하여 도포하고 플라이애시를 뿌리면서 다짐 공정을 진행하여 실시하는 도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층을 시공하는 이유는 골재와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의 혼합물 로 형성된 신축이음은 신축작용을 해야 하는 특성상 바인더의 함량이 높아지게 되는데,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의 물성은 아스팔트에 비해 내열성이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바인더의 함량이 AP-5 아스팔트를 바인더로 사용하는 일반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연성이 매우 높아 여름철 고무아스팔트계 바인더와 골재로 형성된 신축이음 부재가 밀려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축이음부(2)를 신축이음 부재(23)로 채운 후 그 표층에 칼라 규사와 아스팔트 바인더를 도포한 후 플라이애쉬를 뿌리고 다짐 공정을 진행하면 표층이 밀려 나지 않고, 시공시 컴펙타 표면에 아스팔트계 바인더가 달라붙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짐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하여 적은 입도를 가지는 골재로 표층을 형성함으로써, 여름철 차량에 의해 루터링이나 표층 밀림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 신축이음을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1) 사이의 공간부를 폐쇄하는 고무 시트(21)를 설치하여 상판의 수축시 신축이음부가 유연하게 적응하도록 하고, 고무시트를 이용하여 신축이음 부재(23) 바닥면과 콘크리트 구조물(1) 사이의 접착 면적을 감소시켜 접착 강도를 줄일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부의 측면에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를 부착하여 신축이음 부재의 수축이나 팽창시 벽면의 신장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벽면 경계면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축이음 바닥면에 고무 시트를 설치하 여 신축이음부 바닥면에서의 신축이음 부재와 콘트리트 구조물 접촉면적 줄여 부착 강도를 줄여 신축이음부의 수축, 팽창시 벽면의 신장을 자유롭게 하고, 신축이음부재 벽면에 프라이머층과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를 설치하여, 신축이음 부재 벽면 탈락을 방지함으로써 신축이음부의 불량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이음 표층 코팅을 함에 있어서 신축이음부에 신축이음 부재를 채워 넣은 후에 표층에 컬러 규사와 아스팔트 바인더를 혼합한 후 플라이애시를 뿌리고 나서 컴펙타로 다짐 공정을 진행하여, 아스팔트계 바인더가 컴펙타에 달라붙지 않아 다짐 공정을 통해 표층의 골재 입도를 작게할 수 있게됨에 따라 표층 강도를 높여 여름철 표층이 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서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12)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1)과 상기 콘트리트 구조물(1)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2)와 상기 공간부(12)에 끼워진 백업제(13)와 상기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설치된 지지철판(24) 및 신축이음부(2)에 충진된 신축이음부재(23)로 이루어지는 신축이음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부재(23)와 상기 신축이음부(2)가 형성된 콘트리트 구조물(1) 벽면에는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22)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철판(24) 상부에는 신축이음부(2)와 콘크리트 구조물(1)의 바닥면과 벽면 접촉 면적을 고르게 하기 위한 고무 시트(21)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 부재(23) 상부에는 컬러 규사층(27)이 더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
  4. 서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간부 상부에 신축이음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간부에 백업제를 끼워 넣고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지지철판을 설치한 다음 신축이음부에 신축이음부재를 충진시키는 신축이음 설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 부재를 충진시키는 과정 이전에 신축이음부 벽면에 고무아스팔트계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설치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 부재를 지지철판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신축이음 부재를 충진시크는 과정 사이에 상기 지지철판 상부면에 고무시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설치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 부재를 충진시키는 과정 이후에 상부에 컬러 규사층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설치 방법.
KR1020060056374A 2006-06-22 2006-06-22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설치 방법 KR100800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374A KR100800585B1 (ko) 2006-06-22 2006-06-22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374A KR100800585B1 (ko) 2006-06-22 2006-06-22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설치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858U Division KR200425255Y1 (ko) 2006-06-22 2006-06-22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382A true KR20070121382A (ko) 2007-12-27
KR100800585B1 KR100800585B1 (ko) 2008-02-04

Family

ID=3913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374A KR100800585B1 (ko) 2006-06-22 2006-06-22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58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948B1 (ko) * 2010-07-30 2011-03-02 고삼석 지하차도의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및 시공방법
KR101345565B1 (ko) * 2013-10-18 2014-01-02 (유)이지스건설 덧씌운 아스콘 포장의 반사균열을 억제하기 위한 줄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20212B1 (ko) * 2012-06-05 2014-07-17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모듈러 구조물 및 모듈러 구조물의 설치방법
CN104372735A (zh) * 2013-08-17 2015-02-25 姚胜南 一种桥梁无缝式伸缩缝填充预制件
CN108252208A (zh) * 2018-03-07 2018-07-06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桥梁变形缝
CN108951894A (zh) * 2018-08-31 2018-12-07 上海宝冶建筑工程有限公司 双边叠合板与内墙板配模方法及其配模结构和调节胶条
CN110552286A (zh) * 2019-09-26 2019-12-10 谷丹 一种桥梁伸缩缝结构及其制备方法
KR20200021656A (ko) * 2018-08-21 2020-03-02 (주)우주엔지니어링 도로구조물용 신축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KR102160593B1 (ko) * 2020-05-26 2020-09-28 김태호 지하차도용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7386030A (zh) * 2023-09-19 2024-01-12 山东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建筑伸缩缝构造
CN117386030B (zh) * 2023-09-19 2024-05-28 山东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建筑伸缩缝构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97B1 (ko) 2009-06-12 2010-04-26 이수명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216310B1 (ko) * 2010-09-28 2012-12-28 김재환 도로구조물의 무소음 신축이음구조
KR101354505B1 (ko) 2012-01-27 2014-01-24 김남훈 교각 지점부의 교량 연속화 방법
KR101341147B1 (ko) * 2013-06-25 2013-12-11 원문철 도로-교량간 포장 일체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211A (ja) * 1989-09-30 1991-05-21 Yokohama Rubber Co Ltd:The 橋梁用継目部の伸縮継手構造体
US5513927A (en) * 1994-08-01 1996-05-07 Baker; Richard J. Bridge joint construction
JPH09273118A (ja) * 1996-04-09 1997-10-21 Yoshiyuki Ogushi 床版等の継目構造
JP3371102B2 (ja) 2000-02-23 2003-01-27 ショーボンド建設株式会社 橋梁伸縮継手
KR100403390B1 (ko) * 2000-08-29 2003-10-30 주식회사 화신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봉함재를 이용한 교량 또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시공 방법
KR20020046425A (ko) 2000-12-14 2002-06-21 이필신 교량용 슬래브 이음매의 조인트 시공방법 및 그 조인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948B1 (ko) * 2010-07-30 2011-03-02 고삼석 지하차도의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및 시공방법
KR101420212B1 (ko) * 2012-06-05 2014-07-17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모듈러 구조물 및 모듈러 구조물의 설치방법
CN104372735A (zh) * 2013-08-17 2015-02-25 姚胜南 一种桥梁无缝式伸缩缝填充预制件
KR101345565B1 (ko) * 2013-10-18 2014-01-02 (유)이지스건설 덧씌운 아스콘 포장의 반사균열을 억제하기 위한 줄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8252208A (zh) * 2018-03-07 2018-07-06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桥梁变形缝
KR20200021656A (ko) * 2018-08-21 2020-03-02 (주)우주엔지니어링 도로구조물용 신축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CN108951894A (zh) * 2018-08-31 2018-12-07 上海宝冶建筑工程有限公司 双边叠合板与内墙板配模方法及其配模结构和调节胶条
CN110552286A (zh) * 2019-09-26 2019-12-10 谷丹 一种桥梁伸缩缝结构及其制备方法
KR102160593B1 (ko) * 2020-05-26 2020-09-28 김태호 지하차도용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7386030A (zh) * 2023-09-19 2024-01-12 山东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建筑伸缩缝构造
CN117386030B (zh) * 2023-09-19 2024-05-28 山东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建筑伸缩缝构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585B1 (ko) 200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585B1 (ko)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설치 방법
KR101355399B1 (ko)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59407B1 (ko) 배수기능이 강화된 구조물 신축이음부 방수 및 배수로시공방법
KR101712845B1 (ko) 도막방수와 그리드를 이용한 교면 방수구조
US3932051A (en) Highway construction
KR100403390B1 (ko)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봉함재를 이용한 교량 또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시공 방법
JP5852353B2 (ja) 橋梁に用いる伸縮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94070B1 (ko) 교량 상판 연결부의 종방향 균열방지를 위한 신축이음구조
CN110029576B (zh) 一种无钢无缝桥梁伸缩缝装置及其施工工艺
CN103088752A (zh) 一种桥梁无缝式伸缩缝的施工方法
CN103498399A (zh) 新型沥青混凝土路面结构
KR101174256B1 (ko) 지하차도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포장층 연결부재 및 포장층 시공방법
KR20170082318A (ko)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345565B1 (ko) 덧씌운 아스콘 포장의 반사균열을 억제하기 위한 줄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43094A (ko) 도로용 접착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접착 시공방법
WO2017000087A1 (zh) 一种桥面铺块及铺装该铺块的桥梁及该铺块的加工方法
KR200425255Y1 (ko)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KR20100089616A (ko) 보강망을 구비한 신축이음
KR102199977B1 (ko) 포장층과 방수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교량 상판 방수구조 및 교량 상판 방수공법
KR100686186B1 (ko) 교량용 배수 구조물
KR20200021656A (ko) 도로구조물용 신축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CN208104944U (zh) 一种维修罩面用高性能排水沥青路面铺装结构
CN210712542U (zh) 一种柔性桥梁伸缩缝结构
KR100408895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방법
CN208088114U (zh) 桥梁伸缩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