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098A -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098A
KR20160108098A KR1020150103207A KR20150103207A KR20160108098A KR 20160108098 A KR20160108098 A KR 20160108098A KR 1020150103207 A KR1020150103207 A KR 1020150103207A KR 20150103207 A KR20150103207 A KR 20150103207A KR 20160108098 A KR20160108098 A KR 20160108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fastening
fastening member
engaging portions
brid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145B1 (ko
Inventor
손종만
손만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103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14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는, 교량의 상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교각에 설치되는 하판부재와, 상기 상판 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상판 구조물의 수평변위 또는 회전변위를 수용하기 위한 변위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단부는 상기 상판부재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변위수용부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물질 유입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방지구가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구비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기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교량받침에 장착하여 적용할 수 있고,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높이를 조절하여 가변시킬 수 있음으로써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의 간격이 크거나 작더라도 용이하게 가변시켜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DUST PROTECTION DEVICE FOR BRIDGE BEARING}
본 발명은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받침의 작동면이나 작동영역으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이미 설치된 교량받침에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이를 지지하는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수직 및 수평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하면서 동시에 온도 등이 변화에 따른 상부구조물의 신축현상에 대해서도 원활히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교량받침(20)은 교각(1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보강판(22)과, 교량(14)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보강판(24)을 포함하고, 하부 보강판(22)과 상부 보강판(24) 사이에 탄성받침(26)이 설치된다. 탄성받침(26)은 하부 보강판(22)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패드(26a) 및 가압판(26b)을 포함하며, 하부 보강판(22)에는 완충패드(26a) 및 가압판(26b)을 안착시키기 위해 내측으로 단차져서 형성된 안착부(22a)가 형성된다. 또한, 가압판(26b)의 상부에는 교량(14)의 하중을 지지하며 진동에 대해 윤활기능을 하기 위한 부싱(28)이 설치되고, 상부 보강판(24)의 하부에는 부싱(28)과 접촉시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표면처리가 된 미끄럼판(29)이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종래의 교량받침(20)은 하부 보강판(22)과 상부 보강판(24) 사이의 틈새로 먼지를 포함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완충패드(26a) 또는 부싱(28)이 이러한 이물질에 접촉하여 손상을 입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부 보강판(22)과 상부 보강판(24) 사이의 틈새에는 새와 같은 야생동물들이 서식처로 사용될 수 있어서, 하부 보강판(22)과 상부 보강판(24)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기 위한 구조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종래의 교량받침(20)은 하부 보강판(22)과 상부 보강판(24) 사이에 이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한 이물질유입 차단막(30)이 설치된다.
이물질유입 차단막(30)은 하부 보강판(22)의 상면 둘레에 형성되는 홈에 끼움 결합되고, 이물질유입 차단막(30)의 상부는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부 보강판(24)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8757호(공고일 : 2002.12.26)에는 교량받침용 먼지유입방지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교량받침용 먼지유입방지구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에 장착홈을 형성하고 이 장착홈에 먼지유입방지구를 끼움 결합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받침의 먼지유입방지구조는, 이물질유입 차단막(또는 먼지유입방지구)을 설치하기 위해 하부 보강판에 장착홈을 형성해야 함으로써, 홈의 가공을 위한 비용이 발생하였고, 사용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차단막의 변형과 손상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교량이 진동 등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부 보강판에 밀착된 이물질유입 차단막의 변형과 손상으로 이물질유입 차단막을 홈에 재설치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더불어, 상부 보강판과 하부 보강판 사이가 좁고 이물질유입 차단막을 재설치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고, 이물질유입 차단막을 재설치하기 위해 교량을 들어 올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교량 또는 하부 보강판 등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8757호(공고일 : 2002.12.26)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받침의 작동면이나 작동영역으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이미 설치된 교량받침에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교량의 상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교각에 설치되는 하판부재와, 상기 상판 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상판 구조물의 수평변위 또는 회전변위를 수용하기 위한 변위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단부는 상기 상판부재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변위수용부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물질 유입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판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홈; 및 선택된 상기 위치조절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체결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위치조절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 및 상기 숫나사부와 체결 결합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됨에 따라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체결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일체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영역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유연성을 갖는 금속띠 또는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마련되는 결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금속띠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상부영역 외주면에 접하는 내측면에 고무재로 이루어진 완충재가 코팅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2개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서로 맞닿는 양쪽의 몸체부 각 단부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각각의 결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쪽 각 단부를 체결하여 결속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몸체부의 한쪽 각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 및 상기 몸체부의 다른쪽 각 단부를 체결하여 결속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의 한쪽 각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 상기 몸체부의 다른 쪽 일단에 마련되는 고리; 및 상기 몸체부의 다른 쪽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고리를 당기도록 된 래치타입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의 한쪽 각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 상기 몸체부의 다른쪽 각 단부에 결합공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결합부; 및 각각의 상기 결합공이 일치되도록 양쪽의 상기 결합부가 서로 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된 결합공에 끼워져 양쪽의 결합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2개로 분할된 상기 몸체부의 양쪽 각 단부에 결합공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결합부; 및 각각의 상기 결합공이 일치되도록 양쪽의 상기 결합부가 서로 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된 결합공에 끼워져 양쪽의 결합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쪽 단부를 체결하여 결속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마련되는 고리;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고리를 당기도록 된 래치타입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쪽 각 단부에 결합공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결합부; 및 각각의 상기 결합공이 일치되도록 양쪽의 상기 결합부가 서로 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된 결합공에 끼워져 양쪽의 결합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는 끼움 결합되되, 상기 체결부재의 상단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하단부에 끼움단이 형성되거나,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하단부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수용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는, 중간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거나, 중간부에 구형의 확장부가 형성되거나, 상단부에 구형의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방지구가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구비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기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교량받침에 장착하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방지구의 높이를 조절하여 가변시킬 수 있음으로써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의 간격이 크거나 작더라도 용이하게 가변시켜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먼지유입방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먼지유입방지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가 포트베어링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방지구와 체결부재가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내주면에는 완충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가 스페리칼 교량받침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방지구와 체결부재의 다른 결합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높이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는 구면자를 사용하는 스페리칼형, 포트베어링(Pot Bearing)형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해야 하는 구조의 다양한 교량받침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가 도 3에 도시된 교량받침과는 다른 형태의 교량받침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100)는, 교량의 상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교각에 설치되는 하판부재(210)와, 상판 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판부재(220)와, 상판부재(220)와 하판부재(210)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상판 구조물(220)의 수평변위 또는 회전변위를 수용하기 위한 변위수용부재(230)를 포함하는 교량받침(200)에 적용되는 것으로, 하판부재(210)의 상부영역(212)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체결부재(300)와,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체결부재(300)에 하단부(410)가 결합되며 상단부(420)는 상판부재(220)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변위수용부재(23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물질 유입방지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부재(300)는, 하판부재(210)의 상부영역(212)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링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끼움홈(35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체결부재(300)는 하부부재(210)의 상에 단이 지게 형성된 상부영역(212)에 끼움결합 된다. 이러한 체결부재(30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물질 유입방지구(400)는, 체결부재(300)의 끼움홈(350)에 하단부(410)가 끼움 결합되며 상단부(420)는 상판부재(220)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변위수용부재(23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자체 탄성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지 유입방지구(400)의 하단부(410)에는 이탈방지돌기부(410A)가 양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끼움홈(350)의 내측 하부에는 확장부(35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확장부(350A)와 이탈방지돌기부(410A)의 구조에 의해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하단부(410)가 끼움홈(350)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부재(300)로부터 이물질 유입방지구(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체결부재(300)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체결부재(300)의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재(370)가 코팅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체결부재(300)의 내주면에는 완충재(370)로서 연질의 고무재나 합성수지재가 코팅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데, 이는 체결부재(300)와 상부영역(212)과의 사이에서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밀폐성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자체 탄성을 발생시킴으로써 체결부재(30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와 체결부재(300)의 결합구조는,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하단부(410) 일부가 체결부재(300)를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즉,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하단부(410)에 수용홈(410A)이 형성되어 체결부재(300)의 상단부가 수용홈(410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하단부(410)의 일부가 체결부재(300)의 내주면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연장단(41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연장단(410B)은 체결부재(300)가 하판부재(210)의 상부영역(212)을 감싸면서 결합될 때, 체결부재(300)와 상부영역(212) 사이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체결부재(300)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부재(210)의 단이진 상부영역(212)에 체결부재(300)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300)의 끼움홈(350)에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하단부(410)를 끼워 결합하면,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상단부(420)는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판부재(220)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에 밀착된다.
이때, 하판부재(210)에 이물질 유입방지구(400)를 구비한 체결부재(300)가 결합된 후 변위수용부재(230)와 상판부재(220)이 하판부재(2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교량받침이 작용하더라도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상단부(420)가 탄력적으로 상판부재(220)의 저면에 밀착되므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변위수용부재(23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물질 유입방지구(400)가 결합된 체결부재(300)를 상부영역(2112)에 끼워 결합하는 것만으로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가 스페리칼 교량받침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는 구면자를 사용하는 스페리칼형 교량받침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체결부재(3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300)는, 하판부재(210)의 상부영역(212)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유연성을 갖는 금속띠 또는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몸체부(310)와, 몸체부(310)의 양단에 마련되는 결속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러한 체결부재(300)의 몸체부(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금속띠 또는 고무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되되,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구조를 갖으며, 개구된 몸체부(310)의 양단부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결속부(320)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몸체부(310)의 상면에 전술한 이물질 유입방지구(400)가 결합되기 위한 끼움홈(350)이 형성됨 물론이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300)가 일측이 개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몸체부(310)을 양쪽으로 벌린 후 상부영역(212)를 감싸도록 결합하고, 그 양단을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결속부(320)로 결합함으로써, 체결부재(300)를 상부영역(212)에 결합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영역(212)이 형성되지 않은 기 설치된 교량받침의 하판부재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결속부(320)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320A)와 래치타입 클램프(32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320D)을 갖는 결합부(320C)와 결합핀(320E)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300)는, 2개로 분할된 몸체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각 몸체부(320) 단부는 서로 맞닿는 부분에서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32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된 체결부재(300)의 각 몸체부(320) 한쪽은 힌지(330)에 의해 결합되고, 각각의 다른쪽은 고리(320A)와 래치타입 클램프(320B)로 이루어진 체결부(32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부(320)가 고리(320A)와 래치타입 클램프(320B)로 이루어짐으로써, 체결부재(300)를 상부영역(212)에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된 체결부재(300)의 각 몸체부(320) 단부는, 한쪽은 힌지(330)로 결합되고, 다른쪽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된 체결부재(300)의 각 몸체부(320)는, 결합공(320D)을 갖는 결합부(320C)와 결합핀(320E)으로 구성된 체결부(32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양쪽의 결합부(320C)가 서로 겹쳐져 결합공(320D)가 일치되면, 일치된 결합공(320D)에 결합핀(320E)을 끼움으로써 각 몸체부(320)의 양단을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2개로 분할된 몸체부(320)의 한쪽 단부는 힌지(330)로 결합하고, 다른 쪽은 결합공(320D)을 갖는 결합부(320C)와 결합핀(320E)으로 구성된 체결부(320)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힌지(330)에 의해 양쪽의 몸체부(310)가 힌지(33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하판부재(210)의 상부영역(212) 외주면을 감싸면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체결부재(300)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상면 폭)를 갖는 것이고, 그 상면에는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하단부(410)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홈(350)이 연이어 형성된다. 이 끼움홈(350)은 힌지(330)에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 유입방지구(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300)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끼움홈(350)에 끼움 결합된다.
한편, 이물질 유입방지구(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410)에서 상단부(420)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거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중간부에 구형의 확장 변형부(460A)가 형성될 수 있고, 도 1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420)에 구형의 확장 변형부(460B)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형의 확장 ㅂ변형부(460A,460B)는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자체 탄성을 증가시켜 상판부재(220)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밀착성을 높이고, 눌림이 발생할 때, 변형되면서 상판부재(220)의 저면에 더욱 밀착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2개로 분할 구성된 체결부재(300)가 적용된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받침(200)의 하판부재(210)의 상부영역(212) 외주면에, 이물질 유입방지구(400)가 결합된 체결부재(300)를 결합시킨다. 즉, 양쪽의 몸체부(310)를 힌지(330)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회동시켜 벌린 후, 반 원호형의 한쪽 몸체부(310)의 내주면을 상부영역(212) 한쪽에 밀착시켜고, 다른 쪽 몸체부(310)를 힌지(33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부영역(212)의 다른 쪽에 밀착시켜, 양쪽 몸체부(310)의 각 단부에 마련된 결속부(320)를 이용하여 결속한다.
이때, 결속부(320)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결속하고, 고리(320A)와 래치타입 클램프(320B)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래치타입 클램프(320B)를 고리(320A)에 걸어 양쪽 몸체부(310)의 단부를 결속하며, 결합부(320C)와 결합핀(320E)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결합공(320D)이 일치되도록 양쪽의 결합부(320C)를 일치시킨 후 일치된 결합공(320D)에 결합핀(320E)을 끼움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체결부재(300)가 상부영역(212)에 장착되므로,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상단부(420)가 상판부재(220)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므로, 이물질이 상판부재(220)와 하판부재(210) 사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즉, 이물질 유입방지구(400)가 결합된 체결부재(300)를 교량받침(200)의 하판부재(210)를 감싸도록 결합하는 작업만으로 이물질 유입방지구(400)가 하판부재(210)에 장착될 수 있음으로써, 각종 이물질이 변위수용부재(230)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체결부재(300)가 2개로 분할 구성된 경우에, 체결부재(300)를 기 시공된 교량받침(200)의 하판부재(210)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변위수용부재(23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판부재(210)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물질 유입방지구(400)를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100)는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단부(420)가 상판부재(220)의 저면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높이조절수단은, 하판부재(210)의 상부영역(212)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212A)와, 숫나사부(212A)와 체결 결합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됨에 따라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체결부재(300)의 몸체부(310)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31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판부재(210)의 상부영역(212) 외주면에 숫나사부(212A)가 형성되고, 체결부재(300)의 몸체부(310) 내주면에 암나사부(310A)가 형성됨으로써, 체결부재(300)를 상부영역(212)에 장착하여 숫나사부(212A)와 암나사부(310A)이 맞물리도록 한 후, 체결부재(300)를 정회전 시키거나 역회전시킴으로써,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체결부재(3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별도의 볼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볼트는 체결부재(300)를 관통하여 상부영역(212)에 체결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은, 하판부재(210)의 상부영역(212)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홈(212B)과, 선택된 위치조절홈(212B)에 삽입되어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체결부재(300)의 몸체부(310) 내주면에 형성되는 위치조절돌기(3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하판부재(210)의 상부영역(212) 외주면 전체에 다수개의 위치조절홈(212B)이 높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체결부재(300)의 몸체부(310) 내주면에 위치조절돌기(310B)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체결부재(300)를 상부영역(212)에 장착할 때, 위치조절돌기(310B)를 선택한 위치조절홈(212B)에 끼운 후 체결부재(300)를 장착함으로써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9은 도 17에 도시된 높이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은, 체결부재(300)의 몸체부(310) 상면에 제1 나사산(360A)을 갖는 나사 끼움홈(360)이 형성되고,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하단부(410)에는 나사 끼움홈(36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회전 작동에 의해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제1 나사산(360A)에 체결되는 제2 나사산(360B)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몸체부(310)에 나사 끼움홈(360)이 형성되고,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하단부(410)가 나사 끼움홈(360)에 끼워진 후 선택적으로 정회전되거나 역회전됨에 따라 제1 나사산(360A)과 제2 나사산(360B)이 맞물리게 되므로 이물질 유입방지구(4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200 : 교량받침 210 : 하판부재
212 : 상부영역 212A : 숫나사부
212B : 위치조절홈 220 : 상판부재
230 : 변위수용부재 300 : 체결부재
310 : 몸체부 310A : 암나사부
310B : 위치조절돌기 320 : 결속부
320B : 래치타입 클램프 320A : 고리
330 : 힌지 350 : 끼움홈
350A : 확장부 350B : 이탈방지돌기부
360 : 나사 끼움홈 360A : 제1 나사산
360B : 제2 나사산
400 : 이물질 유입방지구 410 : 하단부
420 : 상단부 460A, 460B : 확장부

Claims (13)

  1. 교량의 상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교각에 설치되는 하판부재와, 상기 상판 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상판 구조물의 수평변위 또는 회전변위를 수용하기 위한 변위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단부는 상기 상판부재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변위수용부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물질 유입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판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홈; 및 선택된 상기 위치조절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체결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위치조절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 및 상기 숫나사부와 체결 결합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됨에 따라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체결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일체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영역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유연성을 갖는 금속띠 또는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마련되는 결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금속띠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상부영역 외주면에 접하는 내측면에 고무재로 이루어진 완충재가 코팅되거나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판부재의 상부영역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2개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서로 맞닿는 양쪽의 몸체부 각 단부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각각의 결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쪽 각 단부를 체결하여 결속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몸체부의 한쪽 각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 및
    상기 몸체부의 다른쪽 각 단부를 체결하여 결속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의 한쪽 각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
    상기 몸체부의 다른 쪽 일단에 마련되는 고리; 및
    상기 몸체부의 다른 쪽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고리를 당기도록 된 래치타입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의 한쪽 각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
    상기 몸체부의 다른쪽 각 단부에 결합공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결합부; 및
    각각의 상기 결합공이 일치되도록 양쪽의 상기 결합부가 서로 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된 결합공에 끼워져 양쪽의 결합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2개로 분할된 상기 몸체부의 양쪽 각 단부에 결합공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결합부; 및
    각각의 상기 결합공이 일치되도록 양쪽의 상기 결합부가 서로 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된 결합공에 끼워져 양쪽의 결합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쪽 단부를 체결하여 결속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마련되는 고리;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고리를 당기도록 된 래치타입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쪽 각 단부에 결합공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결합부; 및
    각각의 상기 결합공이 일치되도록 양쪽의 상기 결합부가 서로 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된 결합공에 끼워져 양쪽의 결합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는 끼움 결합되되, 상기 체결부재의 상단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하단부에 끼움단이 형성되거나,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의 하단부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수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구는,
    중간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거나, 중간부에 구형의 확장부가 형성되거나, 상단부에 구형의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KR1020150103207A 2015-07-21 2015-07-21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KR101695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207A KR101695145B1 (ko) 2015-07-21 2015-07-21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207A KR101695145B1 (ko) 2015-07-21 2015-07-21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789 Division 2015-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098A true KR20160108098A (ko) 2016-09-19
KR101695145B1 KR101695145B1 (ko) 2017-01-12

Family

ID=5710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207A KR101695145B1 (ko) 2015-07-21 2015-07-21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856B1 (ko) * 2021-11-12 2022-05-06 비승산업(주) 교량용 포트 베어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6984A (ja) * 2000-05-23 2002-08-14 Nippon Light Metal Co Ltd 鋼材製施設体の防蝕方法及び防蝕具並びに防蝕構造
KR200298757Y1 (ko) 2002-09-19 2002-12-26 유니슨산업 주식회사 교량받침용 먼지유입방지구
KR20070057329A (ko) * 2005-12-01 2007-06-07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교량의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KR20110127993A (ko) * 2010-05-20 2011-11-28 김정태 내진교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6984A (ja) * 2000-05-23 2002-08-14 Nippon Light Metal Co Ltd 鋼材製施設体の防蝕方法及び防蝕具並びに防蝕構造
KR200298757Y1 (ko) 2002-09-19 2002-12-26 유니슨산업 주식회사 교량받침용 먼지유입방지구
KR20070057329A (ko) * 2005-12-01 2007-06-07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교량의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KR20110127993A (ko) * 2010-05-20 2011-11-28 김정태 내진교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856B1 (ko) * 2021-11-12 2022-05-06 비승산업(주) 교량용 포트 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145B1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31787A (ja) パイプ継手
US10508447B2 (en) Sealing cover for concrete anchor
KR101695145B1 (ko)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US20220316624A1 (en) Riser support assembly
KR101967586B1 (ko) 슬리브의 입상배관 고정 구조
JP4017509B2 (ja) ミシン用ガスケッ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ミシン
KR101917803B1 (ko) 호스 꼬임 방지구조를 갖는 호스 연결구
BRPI0504596B1 (pt) disposição para a fixação de uma peça de material sintético em uma peça suporte
KR20120034731A (ko) 바닥 프로파일 장치
KR101163149B1 (ko) 내진교좌장치
KR102173234B1 (ko) 그루브 조인트용 파이프
US20100017957A1 (en) Gasket for installing a sink in a counter and methods of using same
JP2014238154A (ja) 分岐管接続装置
JP2017161080A (ja) 水道管フランジ部の締結方法、シール部材、及び水道管フランジ部の締結構造
JP2004324666A (ja) 縁切り弁
JP6917608B2 (ja) 管継手の離脱防止方法及び装置、並びに受口金具
JP6694925B2 (ja) 支持補助部材
JP5939481B2 (ja) 排水口構造
KR10062620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262486Y1 (ko) 구면형 교좌장치
JP2016169552A (ja) パッキン及び水洗式大便器
JP6126117B2 (ja) 逆流防止装置
KR100689054B1 (ko) 맨홀과 관의 결합구조
KR20090072268A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20090129675A (ko) 클램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