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993A - 내진교좌장치 - Google Patents

내진교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993A
KR20110127993A KR1020100047561A KR20100047561A KR20110127993A KR 20110127993 A KR20110127993 A KR 20110127993A KR 1020100047561 A KR1020100047561 A KR 1020100047561A KR 20100047561 A KR20100047561 A KR 20100047561A KR 20110127993 A KR20110127993 A KR 20110127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late
bridge
blocking film
foreig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3149B1 (ko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김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태 filed Critical 김정태
Priority to KR102010004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14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진교좌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내진교좌장치는 교각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보강판과, 교량 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보강판과, 상기 하부 보강판과 상기 상부 보강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과, 상기 하부 보강판의 외둘레에서 상기 상부 보강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이물질 유입 차단막과,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막의 하부를 상기 하부 보강판에 부착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며, 이물질 유입 차단막을 내진교좌장치에 쉽게 부착 및 탈착할 수 있어 조립공정이 용이하고, 탈거된 이물질 유입 차단막을 쉽게 교환 및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유입 차단막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교량 등을 들어 올리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교좌장치 {SEISMIC ISOLATION BRIDGE BEARING}
본 발명은 내진교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과 교각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이물질 유입 차단막이 구비된 내진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과 같은 구조물은 차량 등의 통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치되며, 복수의 교각위에 교량의 상판이 설치된 구조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량은 차량의 이동이나 지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 또는 수축 등에 의해 교각에 대해 미세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교각과 교량 사이에는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내진교좌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내진교좌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내진교좌장치(20)는 교각(1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보강판(22)과, 교량(14)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보강판(24)을 포함하고, 하부 보강판(22)과 상부 보강판(24) 사이에 탄성받침(26)이 설치된다.
일례로, 이러한 탄성받침(26)은 하부 보강판(22)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패드(26a) 및 가압판(26b)을 포함하며, 하부 보강판(22)에는 완충패드(26a) 및 가압판(26b)을 안착시키기 위해 내측으로 단차져서 형성된 안착부(22a)가 형성된다.
또한, 가압판(26b)의 상부에는 교량(14)의 하중을 지지하며 진동에 대해 윤활기능을 하기 위한 부싱(28)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보강판(24)의 하부에는 이 부싱(28)과 접촉시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표면처리가 된 미끄럼판(29)이 설치된다.
한편, 종래의 내진교좌장치(20)는 하부 보강판(22)과 상부 보강판(24) 사이의 틈새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완충패드(26a) 또는 부싱(28)이 이러한 이물질에 접촉하여 손상을 입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부 보강판(22)과 상부 보강판(24) 사이의 틈새에는 새와 같은 야생동물들이 서식처로 사용될 수 있어서, 하부 보강판(22)과 상부 보강판(24)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기 위한 구조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종래의 내진교좌장치(20)는 하부 보강판(22)과 상부 보강판(24) 사이에 이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한 이물질유입 차단막(30)이 설치된다.
종래에는 하부 보강판(22)의 상면 둘레에 이물질유입 차단막(30)의 하단을 끼울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물질유입 차단막(30)의 상부는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부 보강판(24)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내진교좌장치(20)는 이물질유입 차단막(30)을 설치하기 위해 하부 보강판(22)에 홈(22b)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따라 홈(22b)의 가공을 위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고, 사용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홈(22b)이 변형되어 이물질유입 차단막(30)이 쉽게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교량(14)이 진동 등에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부 보강판(24)에 밀착된 이물질유입 차단막(30)이 홈(22b)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탈된 이물질유입 차단막(30)을 홈(22b)에 재설치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더불어, 상부 보강판(24)과 하부 보강판(22) 사이가 좁고 이물질유입 차단막(30)을 재설치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이물질유입 차단막(30)을 재설치하기 위해 교량(14)을 들어 올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에 따라 교량(14) 또는 하부 보강판(22) 등이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는 이물질유입 차단막을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내진교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진교좌장치는 교각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보강판과, 교량 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보강판과, 상기 하부 보강판과 상기 상부 보강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과, 상기 하부 보강판의 외둘레에서 상기 상부 보강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이물질 유입 차단막과,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막의 하부를 상기 하부 보강판에 부착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막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자성체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막의 하부에 접착되거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보강판의 일측에는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막의 하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 유입 차단막을 내진교좌장치에 쉽게 부착 및 탈착할 수 있어 조립공정이 용이하고, 탈거된 이물질 유입 차단막을 쉽게 교환 및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유입 차단막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교량 등을 들어 올리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내진교좌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교좌장치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 부분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부분이 변형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부분이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도 3의 B부분이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진교좌장치(2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교좌장치(20)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진교좌장치(120)는 하부 보강판(122), 상부 보강판(124), 탄성받침(126),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 및 자성체(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내진교좌장치(120)는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에 대해 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내진교좌장치(120)는 구조물의 일례로 교량(114)에 설치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나, 교량(114) 외에도 상부와 하부 사이에 진동이 전달되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의 내진교좌장치(120)는 교각(112)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량(114)을 지지하며, 지진이나 차량의 이동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변형을 흡수하여 변형 및 복원되며 교량(11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내진교좌장치(120)는 교각(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보강판(122)과, 교량(114)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 보강판(124)을 포함하고, 하부 보강판(122)과 상부 보강판(124) 사이에는 하중을 지지하며 탄성 변형 및 복원이 이루어지는 탄성받침(126)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하부 보강판(122)에는 탄성받침(126)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122a)가 형성된다. 이 안착부(122a)는 하부 보강판(122)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안착부(122a)에는 탄성받침(126)이 안착되어 움직이지 않게 설치된다.
여기서, 탄성받침(126)은 하부 보강판(122)의 안착부(122a)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패드(126a)와, 이 완충패드(126a)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전달하는 가압판(126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판(126b)의 상부에는 상부 구조물인 교량(114)의 하중을 전달하며, 교량(114)의 진동 또는 팽창, 수축시 교각(112)에 대해 교량(114)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윤활 기능을 하는 부싱(128)이 설치된다.
일례로, 부싱(128)은 테프론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교량(114)의 저면에는 부싱(128)과 접촉시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한 미끄럼판(129)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판(129)은 스텐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처리에 의해 표면이 매끄럽게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보강판(122)의 외둘레에는 상부 보강판(124)의 저면에 밀착되는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은 하단부가 하부 보강판(122)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부 보강판(124)의 저면에 밀착되어, 하부 보강판(122)과 상부 보강판(124)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은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교량(114)의 이동시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이 마찰에 의해 꺾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고, 상부 보강판(124)의 저면과 밀착되는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고무 재질 이외에도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은 폴리우레탄(PU : polyuretha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의 하부에는 자성체(132)가 설치된다. 이 자성체(132)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보강판(122)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은 자성체(132)가 하부 보강판(122)에 부착되는 힘을 이용하여 하부 보강판(12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개방된 결합홈(13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결합홈(130a)에는 자성체(132)가 삽입되어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결합홈(130a)은 하나로 연통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형성되어 단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이 변형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하부 보강판(122)에는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된다.
일례로, 하부 보강판(122)의 일측에는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의 하부를 지지하는 걸림턱(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걸림턱(123)은 하부 보강판(122)의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걸림턱(123)은 하부 보강판(122)의 일측에서 환형으로 연속되어 돌출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이루어져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자성체(132)는 이물질 유입 차단막(130)에 형성된 결합홈(130a)에 끼워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6은 도 3의 B부분이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물질 유입 차단막(230)의 하부에 자성체가 삽입되는 결합홈(23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결합홈(230a)은 내측으로 삽입된 자성체(232)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개방된 입구가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결합홈(230a)의 입구에는 자성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후크 형태의 돌출부(230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은 도 3의 B부분이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이물질 유입 차단막(330)의 하부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자성체(332)가 결합될 수 있다.
이 자성체(332)는 하부 보강판(122)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물질 유입 차단막(330)을 하부 보강판(122)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성체(332)는 이물질 유입 차단막(330)의 내측면에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이루어져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단속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성체(332)는 체결부재에 의해 이물질 유입 차단막(330)의 하부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 유입 차단막(330)은 자성체(332)에 의해 하부 보강판(122)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등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부 보강판(122)의 외둘레에 제1형 벨크로 테이프(암형)가 설치되고, 이물질 유입 차단막(330)의 하부에는 제1형의 벨크로 테이프(암형)에 얽히면서 부착되는 제2형의 벨크로 테이프(수형)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물질 유입 차단막(330)에 설치된 제2형의 벨크로 테이프를 하부 보강판(122)의 외둘레에 설치된 제1형의 벨크로 테이프에 부착시켜 이물질 유입 차단막(330)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2 : 교각 114 : 교량
120 : 내진교좌장치 122 : 하부 보강판
122a : 안착부 123 : 걸림턱
124 : 상부 보강판 126 : 탄성받침
126a : 완충패드 126b : 가압판
128 : 부싱 129 : 미끄럼판
130 : 이물질 유입 차단막 130a : 결합홈
132 : 자성체

Claims (4)

  1.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보강판과,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보강판과,
    상기 하부 보강판과 상기 상부 보강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과,
    상기 하부 보강판의 외둘레에서 상기 상부 보강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이물질 유입 차단막과,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막의 하부를 상기 하부 보강판에 부착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내진교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막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자성체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교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막의 하부에 접착되거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교좌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강판의 일측에는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막의 하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교좌장치.


KR1020100047561A 2010-05-20 2010-05-20 내진교좌장치 KR101163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561A KR101163149B1 (ko) 2010-05-20 2010-05-20 내진교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561A KR101163149B1 (ko) 2010-05-20 2010-05-20 내진교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993A true KR20110127993A (ko) 2011-11-28
KR101163149B1 KR101163149B1 (ko) 2012-07-06

Family

ID=4539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561A KR101163149B1 (ko) 2010-05-20 2010-05-20 내진교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1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098A (ko) * 2015-07-21 2016-09-19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CN107761553A (zh) * 2017-09-30 2018-03-06 温州大学瓯江学院 铁基合金芯橡胶隔震支座
KR20200144954A (ko) 2019-06-20 2020-12-30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울을 장착한 도마
KR102391856B1 (ko) * 2021-11-12 2022-05-06 비승산업(주) 교량용 포트 베어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534B1 (ko) * 2016-04-29 2017-02-16 대경산업(주) 일체형 탄성받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137Y1 (ko) 2003-04-28 2003-08-06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교량 슈의 개폐식 빗물덮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098A (ko) * 2015-07-21 2016-09-19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CN107761553A (zh) * 2017-09-30 2018-03-06 温州大学瓯江学院 铁基合金芯橡胶隔震支座
KR20200144954A (ko) 2019-06-20 2020-12-30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울을 장착한 도마
KR102391856B1 (ko) * 2021-11-12 2022-05-06 비승산업(주) 교량용 포트 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3149B1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149B1 (ko) 내진교좌장치
KR101530663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방수부재 결합 구조물
JP2011033187A (ja) バルブステムシール
MX2011013785A (es) Metodo y aparato para una abrazadera de una junta de deslizamiento de tres puntos de la bomba de chorro.
EP3106687B1 (en) Dust cover for ball joint
EP3153726A1 (en) Ball joint dust cover
CN107420542A (zh) 高压静态密封
RU2555060C2 (ru)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ной механизм,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и уплотнение для такого дискового тормозного механизма
JPWO2017018168A1 (ja)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ダストカバー
KR101415335B1 (ko) 디스크 타입 탄성받침
CN108779799B (zh) 运动引导装置用的盖
JP3191037U (ja) メータユニット及び該メータユニットのメータボックスへの取付け構造
US20160102703A1 (en) Dust cover for ball joint
US4234199A (en) Sealing arrangements
CN110546395A (zh) 用于商用车的盘式制动器
JP2017096320A (ja) ガスケット
JP2006118169A (ja) 建造物支承構造
JP5244220B2 (ja) 支承装置
EP2647871A1 (en) Air spring
KR100881604B1 (ko) 고 안정성 부반력 포트받침
KR101695145B1 (ko) 교량받침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EP2937581B1 (en) Ball joint dust cover
KR200418599Y1 (ko) 시공이 편리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
JP2011052810A (ja) 樹脂製クリップ
CN203702955U (zh) 用于止动系统的保护挡板及止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