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287A - 방수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방수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287A
KR20060132287A KR1020050052557A KR20050052557A KR20060132287A KR 20060132287 A KR20060132287 A KR 20060132287A KR 1020050052557 A KR1020050052557 A KR 1020050052557A KR 20050052557 A KR20050052557 A KR 20050052557A KR 20060132287 A KR20060132287 A KR 2006013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joint device
concrete structure
waterproof expansion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6373B1 (ko
Inventor
정승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Priority to KR102005005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373B1/ko
Publication of KR2006013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4Watertight packings for use under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46Fo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 측구, 암거등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설치할 때 외기온도차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체가 신축작용을 원활히 하도록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정한 간격마다 방수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내로 우수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면서 외기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신축작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체내의 내부응력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구연한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수신축이음장치 {waterproof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도 1은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로서 콘크리트 구조체사이에 나무판을 양측에 대고, 그 사이에 충전제를 충전하여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신축이음장치로서, 콘크리트 구조체 사이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방수신축이음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신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방수신축이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방수신축이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크리트 구조체 11 : 나무판
12 : 충전재
20 : 신축이음장치
30 : 방수신축이음장치 31 : 지지판
32 : 실런트 33 : 발포재
34 : 절곡부 35 : 확장부
36 : 수팽창지수재 37 : 전단볼트
40 : 실런트 충전구간
50 : 발포재충전구간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 측구, 암거등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설치할 때 외기 온도차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체가 신축작용을 원활히 하도록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정한 간격마다 방수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내로 우수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면서 신축작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체내의 내부응력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구연한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정한 간격마다 콘크리트 구조체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판을 설치하고, 상기 일정한 간격내의 상부에는 실런트를 충전하도록 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재를 충전하도록 한 방수신축이음장치이거나,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정한 간격마다 콘크리트 구조체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판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 분의 끝단부에서 하향으로 절곡시킨 절곡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에 매입하도록 하고, 상기 일정한 간격내의 상부에는 실런트를 충전하도록 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재를 충전하도록 한 방수신축이음장치이거나,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정한 간격마다 콘크리트 구조체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판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의 끝단부에서 하향으로 절곡시킨 절곡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에 매입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부분에는 상기 지지판을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확장시킨 확장부를 설치하고,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한쌍의 지지판의 사이의 상부에는 실런트를 충전하도록 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재를 충전한 다음 확장부내에는 수팽창지수재를 충전한 다음 그 하부에는 발포재를 충전하도록 한 방수신축이음장치이다.
상기의 모든 방수신축이음장치의 지지판의 외측인 콘크리트 구조체와 접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전단볼트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옹벽, 측구, 암거등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설치할 때 외기 온도차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체가 신축작용을 할때 원활히 신축작용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정한 간격마다 방수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체내에 내부응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구연한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방수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에는 도 1과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10)의 일정한 거리 마다 콘크리트 구조체의 사이에 나무판(11)을 양측에 설치한 다음, 상기 나무판(11) 사이에 충전재(12)를 충전하도록 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구조체(10) 사이에 충전재(12)를 충전하도록 하거나 또는 판상으로 제작된 스티로폼을 삽입하여 신축이음장치(20)를 설치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신축이음장치(20)는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여 콘크리트 구조체(10)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과 우수 또는 기름등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와 같이 설치된 신축이음장치(20)내에 침투되어 콘크리트 구조체(10)내에 설치된 상기 신축이음장치가 이탈되거나 파괴되어 콘크리트 구조체의 신축작용에 대응할 수 없어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구연한을 단축시키는등의 문제점이 상존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체 사이에 방수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체가 외기 온도차에 의하여 신축작용을 원활히하여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에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신축이음장치내에 우수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사전에 제작된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를 콘크리트 구조체 사이에 삽입하면 설치가 왼료되도록 하는 긴밀성과 설치가 간편한 방수신축이음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 측구, 암거등의 콘크리트 구조체(10)의 일정한 간격마다 방수신축이음장치(30)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 구 조체(10)를 설치하여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30)는 콘크리트 구조체(10)의 일정한 간격마다 콘크리트 구조체(10)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판(31)을 설치하고, 상기 일정한 간격내의 상부에는 실런트(32)를 충전하도록 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재(33)를 충전하도록 한 방수신축이음장치(30)이거나,
콘크리트 구조체(10)의 일정한 간격마다 콘크리트 구조체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판(31)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의 끝단부에서 하향의 절곡부분으로 이루어진 절곡부(34)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의 표면에 매입하도록 하고, 상기 일정한 간격내의 상부에는 실런트(32)를 충전하도록 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재(33)를 충전하도록 한 방수신축이음장치(30)이거나,
콘크리트 구조체(10)의 일정한 간격마다 콘크리트 구조체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판(31)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판(31)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의 끝단부에서 하향의 절곡부분으로 이루어진 절곡부(34)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의 표면에 매입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31)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부분에는 상기 지지판(31)을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확장시킨 확장부(35)를 설치하고,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한쌍의 지지판(31)의 사이의 상부에는 실런트(32)를 충전하도록 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재(33)를 충전한 다음 확장부(35)내에는 수팽창지수재(36)를 충전한 다음 그 하부에는 발포재(33)를 충전하도록 한 방수신축이음장치(30)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수신축이음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콘크리트 구조체와 콘크리트 구조체(10) 사이에 통상적으로 10 ~ 15m정도의 간격을 두고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30)를 설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판(31)을 설치하고, 상기 일정한 간격내의 상부에는 실런트(32)를 충전하도록 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재(33)를 충전하도록 하여 방수신축이음장치(30)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실런트(32)는 외부에서 우수등의 이물질이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30)내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발포재(33)는 탄성재질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가 신축작용을 할때 한쌍의 지지판(31) 사이에 충전된 상기 발포재(3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신축작용이 원활히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실런트(32)와 발포재(33) 모두 탄성력을 갖고 있는 것임과 동시에 방수기능도 함께 갖고 있는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31)의 외측인 콘크리트 구조체(10)와 접하는 부분에 콘크리트 구조체와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단볼트(37)를 다수개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체(10)내에 상기 전단볼트(37)가 매입되도록 하여 신축작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도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30)가 콘크리트 구조체(1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신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콘크리트 구조체와 콘크리트 구조체(10) 사이에 통상적으로 10 ~ 15 m정도의 간격 을 두고 방수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판(31)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의 끝단부에서 하향의 절곡부분으로 이루어진 절곡부(34)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의 표면에 매입하도록 하고, 상기 일정한 간격내의 상부에는 실런트(32)를 충전하도록 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재(33)를 충전하도록 한 방수신축이음장치(3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실런트(32)는 외부에서 우수등의 이물질이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30)내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발포재(33)는 탄성재질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가 신축작용을 할때 한쌍의 지지판(31) 사이에 충전된 상기 발포재(3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신축작용이 원활히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실런트(32)와 발포재(33) 모두 탄성력을 갖고 있는 것임과 동시에 방수기능도 함께 갖고 있는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31)의 상단부에 절곡부(34)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매입하도록 하면서 상기 지지판(31)과 콘크리트 구조체(10)사이에 우수 또는 이물질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판(31)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수평연장된 부분의 끝단에 하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둔 절곡부(34)를 설치하여 상기 실런트(32)에 의하여 방수신축이음장치(30)내로 우수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지지판(31)과 콘크리트 구조체(10)사이로 우수 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31)의 외측인 콘크리트 구조체(10)와 접하는 부분에 콘크리트 구조체(10)와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단볼트(37)를 다수개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체내에 상기 전단볼트가 매입되도록 하여 신축작용에 좀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도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가 콘크리트 구조체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수신축이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콘크리트 구조체(10)와의 사이에 10 ~ 15m정도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수신축이음장치(30)를 설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판(31)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판(31)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의 끝단부에서 하향의 절곡부분으로 이루어진 절곡부(34)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의 표면에 매입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31)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부분에는 상기 지지판(31)을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확장시킨 확장부(35)를 설치하고,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한쌍의 지지판(31)의 사이의 상부에는 실런트(32)를 충전하도록 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재(33)를 충전한 다음 확장부(35)내에는 수팽창지수재(36)를 충전한 다음 그 하부에는 발포재(33)를 충전하도록 한 방수신축이음장치(30)이다.
상기 실런트(32)는 외부에서 우수등의 이물질이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30)내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발포재(33)는 탄성재질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가 신축작용을 할때 한쌍의 지지판(31) 사이에 충전된 상기 발포재(3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신축작용이 원활히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실런트(32)와 발포재(33) 모두 탄성력을 갖고 있는 것임과 동시에 방수기능도 함께 갖고 있는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31)의 상단부에 절곡부(34)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매입하도록 하면서 상기 지지판(31)과 콘크리트 구조체(10)사이에 우수 또는 이물질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판(31)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수평연장된 부분의 끝단에 하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둔 절곡부(34)를 설치하여 상기 실런트(32)에 의하여 방수신축이음장치(30)내로 우수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지지판(31)과 콘크리트 구조체(10)사이로 우수 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31)의 외측인 콘크리트 구조체(10)와 접하는 부분에 콘크리트 구조체와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단볼트(37)를 다수개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체(10)내에 상기 전단볼트(37)가 매입되도록 하여 신축작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도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30)가 콘크리트 구조체(1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판(31)의 상단부에서 일정거리 하향된 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된 확장부(35)를 설치하여 상기 확장부(35)가 콘크리트 구조체(10)내에 매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확장부(35)내에는 수팽창지수재(36)를 충전하도록 하여 만에 하나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30)내로 유입된 우수등이 더 깊숙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습기에 의하여 체적이 팽창되는 수팽창지수재(36)를 충전하여 상기 확장부(35)내에서 습기에 의하여 체적이 팽창되어 보다 긴밀하게 상기 확장부내에 충만되도록 하여 우수가 더 이상 아래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확장부(35)의 상하부에는 발포재(33)를 충전하여 이 또한 지수재의 역할도 하면 서 확장부(35) 내에 충전된 수팽창지수재(36)와 함께 탄성재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여 신축작용을 원활히 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수신축이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의 방수신축이음장치(30)의 지지판(31)의 외측에 다수개의 전단볼트(37)를 더 설치하여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30)의 지지판(31)과 콘크리트 구조체(10)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30)는 공장제품이거나 또는 현장에서 조립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판(31)의 재질은 강판 또는 프라스틱제품등 다양한 재질의 제품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지지판(31)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돌기(미도시)를 설치하여 발포재, 실런트 및 수팽창지수재가 지지판에 보다 더 밀착접착되어 부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 사이에 방수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체가 외기 온도차에 의하여 신축작용을 원활히하여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에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신축이음장치내에 우수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사전에 제작된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를 콘크리트 구조체 사이에 삽입하면 설치가 왼료되도록 하는 긴밀성과 설치가 간편한 시공성이 뛰어난 효율적인 방수신축이음장치인 것이다.

Claims (6)

  1. 콘크리트 옹벽, 측구, 암거등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정한 간격마다 방수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 구조체를 설치하여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판을 설치하고, 상기 일정한 간격내의 상부에는 실런트를 충전하도록 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재를 충전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판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의 끝단부에서 하향의 절곡부분으로 이루어진 절곡부와, 상기 일정한 간격내의 상부에는 실런트를 충전하도록 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재를 충전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신축이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판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의 끝단부에서 하향의 절곡부분으로 이루 어진 절곡부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부분에는 상기 지지판을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확장시킨 확장부를 설치하고,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한쌍의 지지판의 사이의 상부에는 실런트를 충전하도록 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재를 충전한 다음 상기 확장부내에는 수팽창지수재를 충전한 다음 그 하부에는 발포재를 충전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신축이음장치.
  4. 제 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외측에 다수개의 전단볼트를 더 설치하여 상기 방수신축이음장치의 지지판과 콘크리트 구조체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신축이음장치.
  5. 제 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발포재 및 수팽창지수재는 탄성재이며, 지수재역할도 동시에 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신축이음장치.
  6. 제 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돌기를 더 설치하여 실런트, 발포재 및 수팽창지수재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신축이음장치.
KR1020050052557A 2005-06-17 2005-06-17 방수신축이음장치 KR100756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557A KR100756373B1 (ko) 2005-06-17 2005-06-17 방수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557A KR100756373B1 (ko) 2005-06-17 2005-06-17 방수신축이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562U Division KR200394252Y1 (ko) 2005-06-17 2005-06-17 방수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287A true KR20060132287A (ko) 2006-12-21
KR100756373B1 KR100756373B1 (ko) 2007-09-10

Family

ID=3781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557A KR100756373B1 (ko) 2005-06-17 2005-06-17 방수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3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4411A (zh) * 2015-07-17 2015-11-18 上海交通大学 一种地下构筑物墙板后浇膨胀加强带的构筑方法
KR102108862B1 (ko) * 2018-11-14 2020-05-11 주식회사 지음코리아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KR20220104384A (ko) * 2021-01-18 2022-07-26 (주) 명덕건설 안전성과 신축성을 겸비한 건축 구조물용 바닥슬라브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1172A (ja) * 1993-06-01 1994-12-13 Shoei Kamei 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伸縮目地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4411A (zh) * 2015-07-17 2015-11-18 上海交通大学 一种地下构筑物墙板后浇膨胀加强带的构筑方法
KR102108862B1 (ko) * 2018-11-14 2020-05-11 주식회사 지음코리아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KR20220104384A (ko) * 2021-01-18 2022-07-26 (주) 명덕건설 안전성과 신축성을 겸비한 건축 구조물용 바닥슬라브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373B1 (ko) 2007-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625B2 (en) Masonry wall panel for retaining bricks
RU2639760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вставки компенсационного стыка, предупреждающей образование трещи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8121374A (ja) 道路橋における伸縮継手の埋設構造
US20050218277A1 (en) Non-destructive form bracke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0756373B1 (ko) 방수신축이음장치
KR101650365B1 (ko) 콘크리트 크랙 유도용 이중 신축줄눈 장치
KR101002361B1 (ko)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KR101122681B1 (ko)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JP3860600B1 (ja) 煉瓦積み外壁施工用配筋バンド金具
JP4656966B2 (ja) 地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200394252Y1 (ko) 방수신축이음장치
KR10105214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신축이음부 물받이 시공방법
KR10041277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2003328381A (ja) 可撓ゴム継手とその取付け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12900655A (zh) 一种建筑施工的防水变形缝结构及其施工方法
CN212613100U (zh) 地面变形缝构造
CN202706239U (zh) 一种用于变形缝的柔性卷材
KR20200025634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JP4968972B2 (ja) 水平スリット材を用いた外壁の施工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101560189B1 (ko)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JP3585221B2 (ja) 可撓ゴム継手とそれを用いた地下構造物の連結構造および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CN112459269A (zh) 一种土木工程伸缩缝防水结构
KR20100097386A (ko) 배수판 조립체
JP6503096B2 (ja) 軽量盛土工法における表面材取付構造及び軽量盛土工法の構築構造
JP3807693B2 (ja) 縦張外壁板の接合水切金具及びそ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