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862B1 -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862B1
KR102108862B1 KR1020180139989A KR20180139989A KR102108862B1 KR 102108862 B1 KR102108862 B1 KR 102108862B1 KR 1020180139989 A KR1020180139989 A KR 1020180139989A KR 20180139989 A KR20180139989 A KR 20180139989A KR 102108862 B1 KR102108862 B1 KR 102108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rizontal
vertical
concrete structur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태
조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음코리아
조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음코리아, 조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음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39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지하 주차창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측면의 결로방지 및 방수 처리할 수 있는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가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를 덮어 고정하되, 상기 수평단열재와 수직단열재를 각각 커버하는 수평보호패널과 수직보호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보호패널에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의 시공을 위한 격벽부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와 결합되어 함께 거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를 구비한 방수보호판; 상기 방수보호판의 수평보호패널과 수직보호패널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로부터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는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이 교차되어 단면이 십자형인 프로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패널과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낮은 높이에 상기 격벽부 내부에 방수를 위하여 수평으로 드레인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패널 상부에 상기 격벽부를 관통하는 윕 홀이 일정 거리마다 구비되며, 상기 수평보호패널의 격벽부 반대편 끝단에는 시공 시 누름콘크리트에 묻히게 되어 크랙을 차단하게 되는 크랙 방지용 차단벽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Corner-waterproofing apparatus for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지하 주차창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측면의 결로방지 및 지수 처리할 수 있는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지하주차장벽체 방수구조는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천정슬라브의 상단면(1)과 내력벽(2)의 외측 상부에 각각 일체로 시공되는 수평방수층(4a) 및 수직방수층(4b)과, 상기 수직방수층(4b)의 외측에 시공되어 수직방수층(4b)을 보호하도록 조적조로 시공되는 방수보호층(30)과, 상기 수평방수층(4a)의 상단면에 타설시공되는 보호몰탈층과, 상기 보호몰탈층의 상단면과 방수보호층(30)상단에 타설되는 누름콘크리트층(70)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지하주차장벽체 방수구조의 시공방법은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천정슬라브(1)와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받침턱(3)을 형성하는 내력벽(2)을 일체로 콘크리트로 타설 시공된 상태에서 천정슬라브(1)의 상단면과 내력벽(2)의 외측 상부면을 면처리를 한 후 각각 일체로 수평방수층(4a) 및 수직방수층(4b)을 시공하고, 상기 수평방수층의 상단면에 보호몰탈층을 타설시공하고, 상기 보호몰탈층의 상단면에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를 증대시키는 수평철망(50)을 설치하기도 하고, 상기 수평철망의 상단면의 모서리부를 제외한 누름콘크리트층(70)을 타설시공하여 완공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지하주차장벽체 방수구조의 시공방법은 수직방수층(4b)을 보호하도록 그 외측에 조적조로 시공되는 방수보호층(30)이 시공될 뿐만 아니라 누름콘크리트층이 선, 후누름콘크리트층로 2회 분리 타설 시공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두가지 공종으로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공기가 지연되었다. 즉, 조적조로 시공되는 방수보호층이 선시공되어야 누름콘크리트층을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방수보호층이 시공될 때까지 대기시간만큼 공기가 지연되었다.
둘째, 방수보호층 공사를 하기 위해 누름콘크리트층을 선, 후누름콘크리트층로 2회 분리 타설시공하기 때문에 방수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누름콘크리트층을 선, 후누름콘크리트층로 2회분리 타설시공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방수보호층을 시공하기 때문이다.
즉, 방수보호층을 시공하기 위해 소요되는 재료들인 벽돌, 몰탈 등을 운반하여 적재해 둘 장소가 필요한데 수평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선누름콘크리트층의 일부분에 적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방수보호층을 시공하기 위해 소요되는 재료들인 벽돌, 몰탈 등을 운반하여 적재해 둘 장소를 확보하기 위해 선누름콘크리트층을 먼저 시공하고 방수보호층이 시공된 다음 후누름콘크리트층을 시공하였다.
셋째, 방수보호층의 최상부면과 누름콘크리트층(70)간의 이질적인 재료로 접합되기 때문에 접착력이 약하여 방수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방수보호층 공사중에 수평방수층의 모서리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방수보호층 공사를 하기 위해 소요되는 장비, 재료 등이 보호몰탈층에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몸무게에 의해서도 파손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받침턱을 내력벽에 일체로 시공하기 위해서 거푸집공사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013566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상단 모서리에 단열재와 함께 방수보호판을 설치함으로써 신속한 시공과 저렴한 가격으로 방수 신뢰도록 높일 수 있는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직 내벽 상단과 슬래브가 연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단 모서리를 상부면의 누름콘크리트와 함께 방수하고 보호하기 위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상단 모서리에서 수평한 부분을 덮는 수평단열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직한 부분을 덮는 수직단열재를 포함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가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를 덮어 고정하되, 상기 수평단열재와 수직단열재를 각각 커버하는 수평보호패널과 수직보호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보호패널에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의 시공을 위한 격벽부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와 결합되어 함께 거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를 구비한 방수보호판; 상기 방수보호판의 수평보호패널과 수직보호패널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로부터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는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이 교차되어 단면이 십자형인 프로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패널과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낮은 높이에 상기 격벽부 내부에 방수를 위하여 수평으로 드레인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패널 상부에 상기 격벽부를 관통하는 윕 홀이 일정 거리마다 구비되며, 상기 수평보호패널의 격벽부 반대편 끝단에는 시공 시 누름콘크리트에 묻히게 되어 크랙을 차단하게 되는 크랙 방지용 차단벽이 형성된 무근 일체화 키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직 내벽 상단과 슬래브가 연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단 모서리를 상부면의 누름콘크리트와 함께 방수하고 보호하기 위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상단 모서리에서 수평한 부분을 덮는 수평단열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직한 부분을 덮는 수직단열재를 포함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가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를 덮어 고정하되, 상기 수평단열재와 수직단열재를 각각 커버하는 수평보호패널과 수직보호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보호패널에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의 시공을 위한 격벽부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와 결합되어 함께 거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를 구비한 방수보호판; 상기 방수보호판의 수평보호패널과 수직보호패널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로부터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는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이 교차되어 단면이 십자형인 프로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패널과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낮은 높이에 상기 격벽부 내부에 방수를 위하여 수평으로 드레인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패널 상부에 상기 격벽부를 관통하는 윕 홀이 일정 거리마다 구비되며, 상기 수평보호패널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내측에 치형이 형성된 치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보호패널에는 상기 치형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면에 치형이 형성된 치형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단열재 사이에는, 방수막, 방수코팅, 와이어 메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부로부터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는 단면이 수직인 수직패널과 상기 수직패널 끝단이나 그 중간부분에 단면이 반달형, 또는 화살촉 형태의 프로파일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부재는 부틸 테이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보호패널은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패널은 부틸 테이프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격벽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평보호패널에 고정된 지지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벽돌 등의 재료를 기피하고 단열재와 방수보호판을 시공하고 부착부재를 통해 고정한 다음 누름콘크리트를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2) 본 발명은 방수보호판에 일체형 키를 형성하여 누름콘크리트와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공 후,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3) 본 발명은 격벽부에 드레인 패널과 윕 홀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방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면 방수 보호장치의 시공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의 시공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방수보호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방수보호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일체형 키의 다양한 실시예의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방수보호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방수보호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과 동일한 도면으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의 프로파일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가 적용된 지하주차장 측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100)는, 수직 내벽(2) 상단과 슬래브(1)가 연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2)의 상단 모서리를 상부면의 누름콘크리트(200)와 함께 방수하고 보호하기 위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100)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11,112), 방수보호판(120), 그리고 부착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111,11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 2) 상단 모서리에서 수평한 부분을 덮는 수평단열재(111)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 2)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직한 부분을 덮는 수직단열재(1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열재(111,112)는 양면이 모두 부착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방수보호판(120)에 일체로 부착된 상태로 공장에서 제조되어 현장에서 바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 2)과 상기 단열재(111,112) 사이에는, 방수막(101,102), 방수코팅, 와이어 메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방수코팅 등을 단열재(111,112)를 설치하기 전에 시공할 수 있고, 그 외 방수를 위한 다양한 제품들을 삽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수평단열재(111)와 수직단열재(112)는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을 적용할 수도 있고, 그 외 다른 단열재를 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단열재(111,112)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 2) 상단 모서리에 수평부분과 수직부분에 설치되어 그 부분을 단열하게 됨으로써 온도 변화를 감소시켜 이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수보호판(12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단열재(111,112)가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111,112)를 덮어 고정하되, 상기 수평단열재(111)와 수직단열재(112)를 각각 커버하는 수평보호패널(121)과 수직보호패널(121)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보호패널(121)에는 상기 누름콘크리트(200)의 타설 시공을 위한 격벽부(123)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200)와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보호패널(121)과 상기 격벽부(123)로부터 각각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124,12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용 돌출부(124,125)는 누름콘크리트(200)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일체형 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방수보호판(12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하게 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합성수지 외에도 재지로는 아연도금 칼라 강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방수보호판(120)의 수평보호패널(121)과 수직보호패널(122)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또는 절곡된 형태로 사출되어 이루어지되,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평보호패널(121)에는 끝단이 절곡되어 단이 형성되어 있고, 그 부분에 수평단열재(111)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보호패널(121) 끝단에는 단이 형성되도록 수직으로 절곡된 부분(121a)과 다시 수평으로 절곡되어 끝단부를 이루는 부분(121b)으로 형성되고, 상기 끝단부는 부틸 테이프(13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체(1, 2)의 상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단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에는 격벽부(1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부(123) 또한 사출 성형 시, 일체로 성형되어 사출된다. 격벽부(123)는 누름콘크리트(200)를 타설시 거푸집처럼 흘러내리지 않도록 댐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격벽부(123)는, 도 4를 참고하면,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와 같이, 상기 수평보호패널(121)의 수평한 몸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결합용 돌출부(124,125)는, 도 4를 참고하면, 수평보호패널(121)의 중간 부분에 단면이 십자형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격벽부(123)의 중간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단면이 십자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용 돌출부(124,125)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는 바, 도 6을 참고하면, 십자형(a)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평보호패널(121)로부터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124)는 단면이 수직인 수직패널(124a)과 상기 수직패널(124) 끝단이나 그 중간부분에 단면이 십장형(124b), 반달형(c), 망치형(b) 또는 화살촉(d) 형태의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부(12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격벽부(123)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평보호패널(121)에 고정된 지지패널(123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패널(123a)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누름콘크리트(200)에 의한 압력에 더 내구성 있게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착부재(130)는 상기 방수보호판(120)의 수평보호패널(121)과 수직보호패널(122)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 2)에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부착부재(130)는 소위 부틸방수 테이프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보호패널(122)은, 도 3을 참고하면,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패널은 부틸 테이프(130)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콘크리트는 구조물 상단 모서리 부분에 본 발명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가 설치된 단면도를 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11,112), 방수보호판(12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태에서 누름콘크리트(200)가 타설 시공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콘크리트(200)에 일체형 키인 결합용 돌출부(124,125)들에 의해 단열재(111,112) 및 방수보호판(120)가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방수보호판(120)는 물론 단면이 일정한 프로파일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그 중 일부를 절개하여 단열재(111,112)가 드러나도록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보호패널(121)의 끝단은 부틸 테이프(130)에 의해 부착 고정되고, 수직보호패널(122)의 하단부도 부틸 테이프(130)에 의해 부착 고정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보호패널(122)은 수직 방향을 따라 2개로 제작하여 이어 붙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분할 개수는 물론 사정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이 또한 부틸 테이프(130)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방수보호판(120)를 프로파일 단면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수평보호패널(121) 상부에는 결합용 돌출부(124)와 격벽부(123)가 형성되어 있고, 격벽부(123)에도 결합용 돌출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격벽부(123) 양측에는 지지패널(123a)이 설치되어 격벽부(123)를 지탱하는데 보조하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번 실시예에서는 격벽부(123)로부터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125)는 수평패널(125b)과 수직패널(125a)이 교차되어 단면이 십자형의 프로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패널(125b)과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낮은 높이에 상기 격벽부(123) 내부에 방수를 위하여 수평으로 드레인 패널(126)이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패널(126) 상부에 상기 격벽부(123)를 관통하는 윕 홀(126a,126b)이 일정 거리마다 구비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때, 누름콘크리트(200)와 격벽부(123) 내측 사이 공간으로 빗물 등이 침투할 수 있는데, 침투 시, 빗물은 1차적으로 십자형 결합용 돌출부(125) 내측에 모이게 된다. 모인 빗물은 격벽부(123) 내측의 윕 홀(126a)을 통하여 격벽부(123) 내부로 이동한 다음, 드레인 패널(126)에 의해 다시 격벽부(123) 외측의 윕 홀(126b)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어떠한 형태로든 부재들 사이에 발생된 결로나 빗물은 콘크리트 구조물(1, 2)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더욱 방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번 실시예에서는 결합용 돌출부(125)가 격벽부(123)로부터만 돌출된 점에 차이점이 있다. 즉 방수보호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는 생략된 것이다. 이렇게 하더라도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탈락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차이점은 드레인 패널(126) 상부에 단면이 X자형의 패널(127,128)이 설치된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격벽부(123)로부터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125)는 수평패널(125b)과 수직패널(125a)이 교차되어 단면이 십자형인 프로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패널(125b)과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낮은 높이에 상기 격벽부(123) 내부에 방수를 위하여 수평으로 드레인 패널(126)이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패널(126)과 격벽부(123)에 의해 이루어지는 폐쇄 공간에 단면이 X자형의 패널(127,128)이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패널(126) 상부에 상기 격벽부(123)를 관통하는 윕 홀(126a',126b',126c',126d')이 일정 거리마다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X자형의 패널(127,128)에 의해 격벽부(123)의 내구성을 더욱 크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고하면, 도 9는 도 8과 동일한 도면으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결합용 돌출부(125)의 수평패널(125b)에 일정 길이마다 콘크리트 타설 시 통과될 수 있는 홀(125c)이 형성된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홀(125c)을 둠으로써 콘크리트가 상기 홀(125c)을 통과하고 메운 상태에서 양생이 되기 때문에 완공 후, 더욱 견고하게 보호판(120)이 누름콘크리트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번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 내벽 상단(2)과 슬래브(1)가 연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단 모서리를 상부면의 누름콘크리트와 함께 방수하고 보호하기 위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상단 모서리에서 수평한 부분을 덮는 수평단열재(111)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직한 부분을 덮는 수직단열재(112)를 포함하는 단열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111,112)가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111,112)를 덮어 고정하되, 상기 수평단열재(111)와 수직단열재(112)를 각각 커버하는 수평보호패널(221)과 수직보호패널(222)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보호패널(221)에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의 시공을 위한 격벽부(223)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와 결합되어 함께 거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부(223)로부터 각각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225)를 구비한 방수보호판(2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용 돌출부(225)는 상기 격벽부(223)로부터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수보호판(220)의 수평보호패널(221)과 수직보호패널(222)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2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격벽부(223)로부터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225)는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이 교차되어 단면이 십자형인 프로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패널과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낮은 높이에 상기 격벽부 내부에 방수를 위하여 수평으로 드레인 패널(226)이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패널 상부에 상기 격벽부(223)를 관통하는 윕 홀이 일정 거리마다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평보호패널(221)의 격벽부(223) 반대편 끝단에는 시공 시 누름콘크리트에 묻히게 되어 크랙을 차단하게 되는 크랙 방지용 차단벽(227)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이 전번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평보호패널(221)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내측에 치형이 형성된 치형 삽입홈(220a)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보호패널(222)에는 상기 치형 삽입홈(220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면에 치형이 형성된 치형 삽입부(222a)가 형성된 점도 전번 실시예와 기술적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에 의해, 무근콘크리트의 크랙을 방지하고, 수평보호패널(221)과 수직보호패널(222)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
2 :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벽
100 :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111 : 수평 단열재 112 : 수직 단열재
120, 220 : 방수보호판 121, 221 : 수평보호패널
122, 222 : 수직보호패널 123, 223 : 격벽부
124, 125 : 결합용 돌출부 126, 226 : 드레인 패널
200 : 누름콘크리트 220a : 치형 삽입홈
222a : 치형 삽입부 227 : 크랙 방지용 차단벽

Claims (7)

  1. 수직 내벽 상단과 슬래브가 연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단 모서리를 상부면의 누름콘크리트와 함께 방수하고 보호하기 위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상단 모서리에서 수평한 부분을 덮는 수평단열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직한 부분을 덮는 수직단열재를 포함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가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를 덮어 고정하되, 상기 수평단열재와 수직단열재를 각각 커버하는 수평보호패널과 수직보호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보호패널에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의 시공을 위한 격벽부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와 결합되어 함께 거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를 구비한 방수보호판;
    상기 방수보호판의 수평보호패널과 수직보호패널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로부터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는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이 교차되어 단면이 십자형인 프로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패널과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낮은 높이에 상기 격벽부 내부에 방수를 위하여 수평으로 드레인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패널 상부에 상기 격벽부를 관통하는 윕 홀이 일정 거리마다 구비되며,
    상기 수평보호패널의 격벽부 반대편 끝단에는 시공 시 누름콘크리트에 묻히게 되어 크랙을 차단하게 되는 크랙 방지용 차단벽이 형성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2. 수직 내벽 상단과 슬래브가 연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단 모서리를 상부면의 누름콘크리트와 함께 방수하고 보호하기 위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상단 모서리에서 수평한 부분을 덮는 수평단열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직한 부분을 덮는 수직단열재를 포함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가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를 덮어 고정하되, 상기 수평단열재와 수직단열재를 각각 커버하는 수평보호패널과 수직보호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보호패널에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의 시공을 위한 격벽부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와 결합되어 함께 거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를 구비한 방수보호판;
    상기 방수보호판의 수평보호패널과 수직보호패널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로부터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는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이 교차되어 단면이 십자형인 프로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패널과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낮은 높이에 상기 격벽부 내부에 방수를 위하여 수평으로 드레인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패널 상부에 상기 격벽부를 관통하는 윕 홀이 일정 거리마다 구비되며,
    상기 수평보호패널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내측에 치형이 형성된 치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보호패널에는 상기 치형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면에 치형이 형성된 치형 삽입부가 형성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단열재 사이에는, 방수막, 방수코팅, 와이어 메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구비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로부터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는 단면이 수직인 수직패널과 상기 수직패널 끝단이나 그 중간부분에 단면이 반달형, 또는 화살촉 형태의 프로파일이 형성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부틸 테이프인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호패널은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패널은 부틸 테이프로 서로 연결된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격벽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평보호패널에 고정된 지지패널을 더 포함하는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KR1020180139989A 2018-11-14 2018-11-14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KR102108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989A KR102108862B1 (ko) 2018-11-14 2018-11-14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989A KR102108862B1 (ko) 2018-11-14 2018-11-14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862B1 true KR102108862B1 (ko) 2020-05-11

Family

ID=7072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989A KR102108862B1 (ko) 2018-11-14 2018-11-14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8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372A (ko) * 1985-07-26 1987-03-13 성홍경 콘크리트 구축물의 방수시공 방법
KR0135669B1 (ko) 1994-10-26 1998-04-24 최훈 지하주차장벽체 방수구조
KR20060132287A (ko) * 2005-06-17 2006-12-2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방수신축이음장치
KR20090122661A (ko) * 2008-05-26 2009-12-01 차응섭 결합판이 형성된 터널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용방수부재
KR101353816B1 (ko) * 2013-08-08 2014-01-22 현태식 터널용 마감 실런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20704B1 (ko) * 2018-09-07 2018-11-21 (주)지음이공일공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KR101966082B1 (ko) * 2017-12-20 2019-04-05 주식회사 지에스코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372A (ko) * 1985-07-26 1987-03-13 성홍경 콘크리트 구축물의 방수시공 방법
KR0135669B1 (ko) 1994-10-26 1998-04-24 최훈 지하주차장벽체 방수구조
KR20060132287A (ko) * 2005-06-17 2006-12-2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방수신축이음장치
KR100756373B1 (ko) * 2005-06-17 2007-09-10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방수신축이음장치
KR20090122661A (ko) * 2008-05-26 2009-12-01 차응섭 결합판이 형성된 터널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용방수부재
KR101353816B1 (ko) * 2013-08-08 2014-01-22 현태식 터널용 마감 실런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66082B1 (ko) * 2017-12-20 2019-04-05 주식회사 지에스코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101920704B1 (ko) * 2018-09-07 2018-11-21 (주)지음이공일공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1351C (en) System for forming and insulating concrete slab edges
US20070289239A1 (en) Slab edge insulating form system and methods
US200701992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ishing an edge of an insulated concrete form (icf) wall
KR19990088254A (ko) 복합건재및그제조방법
JP5179344B2 (ja) 建物の基礎構造及び建物の基礎工法
KR200383509Y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US7147197B2 (en) Concrete home building
KR101920704B1 (ko)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KR102239566B1 (ko) 방수구조
KR102108862B1 (ko)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KR20180013048A (ko) 수처리 시설용 frp 영구거푸집
JP5893579B2 (ja) 基礎構造の施工方法
CN113089719B (zh) 叠合墙结构和叠合墙结构的施工方法
KR102340320B1 (ko) 단열갱폼
KR100677873B1 (ko)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
JP200914438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付属部材
US2074721A (en) Building element
KR101088735B1 (ko) 방수턱 일체형 조립식벽체
JP7498675B2 (ja) 組積造外壁の防水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200053193A (ko) 복합 단열재를 사용한 영구 거푸집
AU2006262036B2 (en) Form for casting light weight composite concrete panels
KR200402508Y1 (ko)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
KR102269864B1 (ko) 건축용 단열 배수판
RU222387U1 (ru) Формованная плита для систем утепления фундаментов и цоколей с формированием пристенного дренажа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