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424B1 - 도전성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도전성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424B1
KR102389424B1 KR1020177004812A KR20177004812A KR102389424B1 KR 102389424 B1 KR102389424 B1 KR 102389424B1 KR 1020177004812 A KR1020177004812 A KR 1020177004812A KR 20177004812 A KR20177004812 A KR 20177004812A KR 102389424 B1 KR102389424 B1 KR 102389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nductive layer
conductive
resin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660A (ko
Inventor
다카히로 우에다
쇼 오타카
다이가 마츠시타
가오리 마츠시타
소우 미야타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7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five-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pyrroles, polythioph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적어도 점착성 도전층 (X) 및 비점착성 도전층 (Y)를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이며, 점착성 도전층 (X) 단독의 부피 저항률 (ρVX)의 값이 1.0×100 내지 1.0×108Ω·㎝이고, 비점착성 도전층 (Y) 단독의 부피 저항률 (ρVY)의 값이 1.0×10-4 내지 1.0×106Ω·㎝이고, 또한 점착성 도전층 (X)의 두께 (tX)와 비점착성 도전층 (Y)의 두께 (tY)의 두께비 [tX/tY]가 20000 이하인, 도전성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당해 도전성 점착 시트는 양호한 점착력을 가짐과 함께, 우수한 대전 방지성 및 도전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도전성 점착 시트{CONDUCTIVE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도전성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컴퓨터, 통신기기 등의 전자기기를 수납하는 용기의 전자 차폐재, 전기 부품 등의 접지선, 나아가서는 마찰 전기 등의 정전기로부터 발생하는 불꽃에 의한 발화 방지재 등의 각종 접합에는, 간이 접착성을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도전성 점착 시트가 갖는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대전 방지성 및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구리 분말, 은 분말, 니켈 분말, 알루미늄 분말 등의 금속 분말 등의 도전성 물질을, 점착성 수지 중에 분산시킨 것이 다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도전성 물질로서 카본 나노튜브 및 카본 마이크로 코일 중 적어도 한쪽을 점착제 중에 분산시킨 도전성 점착제 및 당해 도전성 점착제를 사용한 도전성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1-172582호 공보
그런데, 상기 도전성 점착 시트가 갖는 점착제층의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점착제층의 형성 재료인 점착제 조성물 중에 도전성 물질을 다량으로 배합하여, 도전성 물질 입자의 상호 접촉이 밀(密)하게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점착제 조성물 중에, 다량의 도전성 물질을 배합하면, 당해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으로, 점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점착제층 중의 도전성 물질의 함유량을 저감시키면, 점착제층의 도전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이율배반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도전성 점착 시트는, 점착력 및 도전성을 모두 향상시킨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 아직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양호한 점착력을 가짐과 함께, 대전 방지성 및 도전성이 우수한 도전성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점착성 도전층 및 비점착성 도전층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점착성 도전층 및 비점착성 도전층의 단독으로의 각 부피 저항률을 특정한 범위로 하고, 또한 이 2층의 두께비를 소정의 범위로 조정한 도전성 점착 시트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내지 [16]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적어도 점착성 도전층 (X) 및 비점착성 도전층 (Y)를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이며,
점착성 도전층 (X) 단독의 부피 저항률 (ρVX)의 값이 1.0×100 내지 1.0×108Ω·㎝이고,
비점착성 도전층 (Y) 단독의 부피 저항률 (ρVY)의 값이 1.0×10-4 내지 1.0×106Ω·㎝이고, 또한
점착성 도전층 (X)의 두께 (tX)와 비점착성 도전층 (Y)의 두께 (tY)의 두께비 [tX/tY]가 20000 이하인, 도전성 점착 시트.
[2] 점착성 도전층 (X)의 두께 (tX)가 1 내지 1200㎛인, 상기 [1]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3] 비점착성 도전층 (Y)의 두께 (tY)가 0.01 내지 200㎛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4] 점착성 도전층 (X)가, 점착성 수지 (x1) 및 탄소계 필러 (x2)를 포함하는 점착성 조성물로 형성된 층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5] 상기 점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점착성 수지 (x1)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고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4]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6] 상기 점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탄소계 필러 (x2)의 평균 종횡비가 1.5 이상인,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7] 상기 점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탄소계 필러 (x2)의 함유량이, 점착성 수지 (x1) 100질량부에 대해, 0.01 내지 15질량부인, 상기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8] 상기 점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탄소계 필러 (x2)가 카본 나노 재료인, 상기 [4]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9] 비점착성 도전층 (Y)가, 도전성 고분자, 탄소계 필러 및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층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10] 비점착성 도전층 (Y)가, 폴리티오펜, PEDOT-PSS, 카본 나노 재료 및 ITO(산화인듐주석)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층인,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11] 비점착성 도전층 (Y) 중에 포함되는 도전 재료의 밀도가 0.8 내지 2.5g/㎤인, 상기 [9] 또는 [10]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12] 기재, 비점착성 도전층 (Y) 및 점착성 도전층 (X)를 이 순으로 적층한 구성을 갖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13] 기재의 양면 위에, 비점착성 도전층 (Y) 및 점착성 도전층 (X)로 구성되는 2층체를 각각 갖는, 상기 [12]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14] 상기 기재가, 표면 저항률이 1.0×1014Ω/□ 이상의 절연성 기재인, 상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15] 점착성 도전층 (X) 및 비점착성 도전층 (Y)로 구성되는 2층체를 2매의 박리 시트에 의해 협지한 구성을 갖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16] 제1 점착성 도전층 (X-I), 비점착성 도전층 (Y) 및 제2 점착성 도전층 (X-II)를 이 순으로 적층한 3층체를 2매의 박리 시트에 의해 협지한 구성을 갖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전성 점착 시트.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는 양호한 점착력을 가짐과 함께, 대전 방지성 및 도전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적합한 일 형태의 구성인, 기재를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적합한 일 형태의 구성인, 기재가 없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법으로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며,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양쪽을 나타내는 단어로서 사용하고 있고, 다른 유사 용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전성 점착 시트의 표면 저항률」이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전성 점착 시트가 갖는 점착성 도전층 (X)의 표면측으로부터 측정한 표면 저항률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층의 표면 저항률 및 부피 저항률의 값은 JIS K 7194에 준거해서 측정한 값이며,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도전성 점착 시트]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는, 적어도 점착성 도전층 (X) 및 비점착성 도전층 (Y)를 갖는다.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는 비점착성 도전층 (Y)를 설치함으로써, 점착성 도전층 (X)의 표면 저항률이 대폭으로 저하되어, 대전 방지성 및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점착성 도전층 (X) 중에 다량의 탄소계 필러를 함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는 양호한 점착력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성 도전층 (X)」와 「비점착성 도전층 (Y)」는 점착성의 유무로 구별되며, 점착성의 유무는 각 도전층의 표면에 대한 프로브 택(probe tack)의 피크 톱의 값으로부터 판단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도전층의 표면에 대한 프로브 택의 피크 톱의 값이 0.1N 이상이면, 당해 도전층은 점착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하여, 「점착성 도전층 (X)」로 분류한다.
반대로, 대상이 되는 도전층의 표면에 대한 프로브 택의 피크 톱의 값이 0.1N 미만이면 당해 도전층은 비점착성이라고 판단하여, 「비점착성 도전층 (Y)」로 분류한다.
또한, 대상이 되는 도전층의 표면에 대한 프로브 택의 피크 톱의 값은 JIS Z 0237(1991)에 준거해서 측정되는 값이며,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는, 적어도 점착성 도전층 (X) 및 비점착성 도전층 (Y)를 갖는 구성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이들 이외의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도전성 점착 시트는, 점착성 도전층 (X)와 비점착성 도전층 (Y) 사이에 그 외의 층을 설치한 구성이어도 되지만, 도전성 점착 시트의 표면 저항률을 저하시켜서, 대전 방지성 및 도전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점착성 도전층 (X)와 비점착성 도전층 (Y)가 직접 적층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적합한 일 형태의 구성인, 기재를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도전성 점착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재(13), 비점착성 도전층 (Y)(12) 및 점착성 도전층 (X)(11)를 이 순으로 적층한 구성을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1A)를 들 수 있다. 이 도전성 점착 시트(1A)는, 기재의 한쪽 면 위에, 비점착성 도전층 (Y)(12) 및 점착성 도전층 (X)(11)로 구성되는 2층체(21)를 갖는다.
또한, 도전성 점착 시트(1A)의 구성에 대하여, 점착성 도전층 (X)(11) 위에 박리 시트(14)를 더 적층시킨,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도전성 점착 시트(1B)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도전성 점착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도 1의 (c),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재의 양면 위에, 비점착성 도전층 (Y) 및 점착성 도전층 (X)로 구성되는 2층체(21a, 21b)를 각각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여도 된다.
즉, 도 1의 (c)에 나타내는 도전성 점착 시트(2A)는, 기재(13)의 한쪽 면 위에, 제1 비점착성 도전층 (Y-I)(12a) 및 제1 점착성 도전층 (X-I)(11a)로 구성되는 제1 2층체(21a)를 갖고, 기재(13)의 다른 쪽 면 위에, 제2 비점착성 도전층 (Y-II)(12b) 및 제2 점착성 도전층 (X-II)(11b)로 구성되는 제2 2층체(21b)를 갖는다.
또한, 도 1의 (d)에 나타내는 도전성 점착 시트(2B)는, 도전성 점착 시트(2A)의 구성에 대하여, 제1 점착성 도전층 (X-I)(11a) 위 및 제2 점착성 도전층 (X-II)(11b) 위에 각각 박리 시트(14a, 14b)를 더 적층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적합한 일 형태의 구성인, 기재가 없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도전성 점착 시트로서는, 기재가 없는 도전성 점착 시트여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점착성 도전층 (X)(11) 및 비점착성 도전층 (Y)(12)로 구성되는 2층체(21)를 2매의 박리 시트(14a, 14b)에 의해 협지한 구성을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3)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도전성 점착 시트로서는,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점착성 도전층 (X-I)(11a), 비점착성 도전층 (Y)(12) 및 제2 점착성 도전층 (X-II)(11b)를 이 순으로 적층한 3층체(22)를 2매의 박리 시트(14a, 14b)에 의해 협지한 구성을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4)여도 된다.
상기 이외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도전성 점착 시트로서는, 양면이 박리 처리된 박리 시트의 편면에, 점착성 도전층 (X) 및 비점착성 도전층 (Y)로 구성되는 2층체를 점착성 도전층 (X)가 표출하도록 설치한 것을 롤 형상으로 감은 구성을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 등도 들 수 있다.
상술한 제1 점착성 도전층 (X-I)(11a) 및 제2 점착성 도전층 (X-II)(11b)는 동일한 점착성 조성물로 형성된 층이어도 되고, 다른 점착성 조성물로 형성된 층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비점착성 도전층 (Y-I)(12a) 및 제2 비점착성 도전층 (Y-II)(12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형성 재료로 형성된 층이어도 되고, 다른 형성 재료로 형성된 층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점착성 도전층 (X-I) 및 제2 점착성 도전층 (X-II)의 구성은 점착성 도전층 (X)와 동일하고, 제1 비점착성 도전층 (Y-I) 및 제2 비점착성 도전층 (Y-II)의 구성은 비점착성 도전층 (Y)와 동일하다.
점착성 도전층 (X)는 점착성(상술한 프로브 택의 피크 톱의 값이 0.1N 이상)을 갖고, 또한 도전성(층 단독의 부피 저항률 (ρVX)가 1.0×108Ω·㎝ 이하)을 갖는 층이다.
한편, 비점착성 도전층 (Y)는 비점착성(상술한 프로브 택의 피크 톱의 값이 0.1N 미만)의 층이고, 또한 도전성(층 단독의 부피 저항률 (ρVY)가 1.0×108Ω·㎝ 이하)을 갖는 층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성 도전층 (X) 단독의 부피 저항률 (ρVX)는 1.0×100 내지 1.0×108Ω·㎝이고, 바람직하게는 1.0×100 내지 1.0×106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 내지 1.0×105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 내지 1.0×104Ω·㎝이다.
부피 저항률 (ρVX)를 1.0×100Ω/□ 미만으로 하기 위해서는, 도전성 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점착성 도전층 (X)의 점착력이 저하되기 쉽고, 또한 경제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부피 저항률 (ρVX)가 1.0×108Ω/□을 초과하면, 비점착성 도전층 (Y)를 설치하더라도, 도전성 점착 시트의 표면 저항률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비점착성 도전층 (Y) 단독의 부피 저항률 (ρVY)는 1.0×10-4 내지 1.0×106Ω·㎝이고, 바람직하게는 1.0×10-4 내지 1.0×104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4 내지 1.0×103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4 내지 1.0×102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4 내지 1.0×101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4 내지 1.0×100Ω·㎝이다.
부피 저항률 (ρVY)가 1.0×10- 4Ω/□ 미만, 혹은 1.0×106Ω/□을 초과하면, 비점착성 도전층 (Y)를 설치하더라도, 얻어지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표면 저항률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도전성 점착 시트의 표면 저항률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키는 관점에서, 비점착성 도전층 (Y) 단독의 부피 저항률 (ρVY)는 점착성 도전층 (X) 단독의 부피 저항률 (ρVX)보다 작은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도전층 (X) 단독의 표면 저항률 (ρSX)는 점착력이 양호하고, 표면 저항률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킨 도전성 점착 시트로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102 내지 1.0×1010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2 내지 1.0×108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2 내지 1.0×107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2 내지 1.0×106Ω/□이다.
한편, 비점착성 도전층 (Y) 단독의 표면 저항률 (ρSY)는 표면 저항률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킨 도전성 점착 시트로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10-2 내지 1.0×108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2 내지 1.0×107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2 내지 1.0×106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2 내지 1.0×105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2 내지 1.0×104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2 내지 1.0×103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도전성 점착 시트의 표면 저항률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키는 관점에서, 비점착성 도전층 (Y) 단독의 표면 저항률 (ρSY)는 점착성 도전층 (X) 단독의 표면 저항률 (ρSX)보다 작은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성 도전층 (X)의 두께 (tX)와 비점착성 도전층 (Y)의 두께 (tY)의 두께비[tX/tY]는 20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이다.
당해 두께비가 20000을 초과하면, 점착성 도전층 (X)에 대하여 비점착성 도전층 (Y)의 두께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비점착성 도전층 (Y)를 설치하더라도, 도전성 점착 시트의 표면 저항률을 충분히 저하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당해 두께비의 하한값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양호한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당해 두께비 [tX/tY]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다.
점착성 도전층 (X)의 두께 (tX)는,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0㎛이다.
두께 (tX)가 1㎛ 이상이면, 피착체의 종류에 의존하지 않는 양호한 점착력을 발현시킬 수 있다. 한편, 두께 (tX)가 1200㎛ 이하이면, 얻어지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도전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당해 도전성 점착 시트를 권회체로 했을 때에, 점착성 도전층 (X)가 변형되는 것에 의한 권취 어긋남이나, 권회체의 단부로부터 점착성 도전층 (X)가 비어져 나온다고 하는 폐해를 억제할 수 있다.
비점착성 도전층 (Y)의 두께 (tY)는,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6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30㎛,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다.
두께 (tY)가 0.01㎛ 이상이면, 비점착성 도전층 (Y)의 표면 저항률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두께 (tY)가 200㎛ 이하이면 도전성 점착 시트를 권회체로 했을 때에, 비점착성 도전층 (Y)가 변형되는 것에 의한 권취 어긋남이나, 권회체의 단부로부터 비점착성 도전층 (Y)가 비어져 나온다고 하는 폐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점착 시트의 총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소형의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쉬운 도전성 점착 시트로 할 수 있다.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재료]
점착성 도전층 (X)는, 점착성 수지 (x1) 및 탄소계 필러 (x2)를 포함하는 점착성 조성물로 형성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점착성 조성물은 점착성 수지 (x1)의 종류에 따라, 가교제나 점착 부여제, 이들 이외의 범용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이하, 당해 점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점착성 수지 (x1)>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재료인 점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착성 수지 (x1)은, 질량 평균 분자량이 1만 이상인 점착성을 갖는 수지를 의미한다.
점착성 수지 (x1)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으로서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만 내지 20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만 내지 150만이다.
점착성 조성물 중 점착성 수지 (x1)의 함유량은, 당해 점착성 조성물의 전량(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99.99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99.9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99.5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99.0질량%이다.
점착성 수지 (x1)로서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점착력을 향상시키고, 대전 방지성 및 도전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이소부틸렌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이소부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
점착성 수지 (x1)로서 사용할 수 있는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중합체,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5만 내지 15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만 내지 130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만 내지 110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5만 내지 90만이다.
아크릴계 수지 중에서도,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a1')(이하, 「단량체 (a1')」라고도 한다)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 및 관능기 함유 단량체 (a2')(이하, 「단량체 (a2')」라고도 한다)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단량체 (a1') 및 (a2') 이외의 그 외의 단량체 (a3')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3)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당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공중합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당해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는,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단량체 (a1')가 갖는 알킬기의 탄소수로서는, 점착 특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이다.
단량체 (a1')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 (a1') 중에서도,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 (a1)의 함유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전체 구성 단위(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9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7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5질량%이다.
단량체 (a2')로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물 단량체,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케토기 함유 단량체, 알콕시실릴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 (a2') 중에서도,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으며, (메트)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 (a2)의 함유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전체 구성 단위(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0질량%이다.
단량체 (a3')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미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구성 단위 (a3)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전체 구성 단위(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질량%이다.
또한, 상술한 단량체 (a1') 내지 (a3')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우레탄계 수지)
점착성 수지 (x1)로서 사용할 수 있는 우레탄계 수지로서는, 주쇄 및/또는 측쇄에, 우레탄 결합 및 요소 결합 중 적어도 한쪽을 갖는 중합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올과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해서 얻어지는 우레탄계 예비중합체 (α)나, 당해 우레탄계 예비중합체 (α)에 대하여, 또한 쇄 연장제를 사용한 쇄 연장 반응을 행하여 얻어지는 우레탄계 중합체 (β)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하는 우레탄계 수지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우레탄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수지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만 내지 2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2만 내지 15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만 내지 10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만 내지 7만이다.
우레탄계 예비중합체 (α)의 원료가 되는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렌디올, 폴리에테르형 폴리올, 폴리에스테르형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형 폴리올 등의 폴리올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폴리올이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2관능의 디올, 3관능의 트리올이어도 된다.
이들 폴리올 중에서도, 입수의 용이성, 반응성 등의 관점에서, 디올이 바람직하다.
디올로서는, 예를 들어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등의 알칸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킬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디올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디올 중에서도, 쇄 연장제와의 반응을 더 행하는 경우, 당해 반응에 있어서 겔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질량 평균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예비중합체 (α)의 원료가 되는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2,4-TDI),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2,6-TDI), 4,4'-톨루이딘디이소시아네이트, 2,4,6-트리이소시아네이트톨루엔, 1,3,5-트리이소시아네이트벤젠,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4,4',4"-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2,3-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3-이소시아네이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IPDI), 1,3-시클로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2,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2,6-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4-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상술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서 선택되는 화합물(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변성체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화합물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형 변성체, 당해 화합물과 물을 반응시킨 뷰렛형 변성체, 당해 화합물에 이소시아누레이트환을 함유시킨 이소시아누레이트형 변성체여도 된다.
이들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에서도, 점착성이 우수한 우레탄계 중합체를 얻는 관점에서,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2,4-TDI),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2,6-T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3-이소시아네이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IPDI) 및 이들의 변성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내후성의 관점에서, HMDI, IPDI 및 이들의 변성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예비중합체 (α)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량(NCO%)은, JIS K 1603에 준하여 측정된 값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질량%이다.
쇄 연장제로서는, 수산기 및 아미노기 중 적어도 한쪽을 2개 갖는 화합물, 또는 수산기 및 아미노기 중 적어도 한쪽을 3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및 아미노기 중 적어도 한쪽을 2개 갖는 화합물로서는, 지방족 디올, 지방족 디아민, 알칸올아민, 비스페놀, 방향족 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디올로서는, 예를 들어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등의 알칸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킬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1,3-프로판디아민, 1,4-부탄디아민, 1,5-펜탄디아민, 1,6-헥산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알칸올아민으로서는, 예를 들어 모노 에탄올아민, 모노 프로판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비스페놀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어 디페닐메탄디아민, 톨릴렌디아민, 크실릴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 및 아미노기 중 적어도 한쪽을 3개 이상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의 폴리올, 1-아미노-2,3-프로판디올, 1-메틸아미노-2,3-프로판디올, N-(2-히드록시프로필에탄올아민) 등의 아미노알코올, 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아민의 에틸렌옥시드 또는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부틸렌계 수지)
점착성 수지 (x1)로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이소부틸렌계 수지(이하, 「PIB계 수지」라고도 한다)는, 주쇄 또는 측쇄에 폴리이소부틸렌 골격을 갖는 수지이다.
PIB계 수지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으로서는, 얻어지는 점착성 조성물의 응집력을 충분히 얻고,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점착력의 향상의 관점 및 피착체의 오염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만 이상이고, 또한 피착체에 대한 습윤성이나 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만 내지 10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만 내지 80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7만 내지 60만이다.
PIB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부틸렌의 단독중합체인 폴리이소부틸렌, 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의 공중합체, 이소부틸렌과 n-부텐의 공중합체, 이소부틸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 및 이들 공중합체를 브롬화 또는 염소화 등을 한 할로겐화 부틸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PIB계 수지가 공중합체인 경우, 이소부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가, 전체 구성 단위 중에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하는 PIB계 수지에 있어서, 이소부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당해 PIB계 수지의 전체 구성 단위(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질량%이다.
이들 PIB계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형성되는 점착성 도전층 (X)의 내구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중합했을 때에 밀한 분자 구조를 갖고, 주쇄 및 측쇄에 중합성 이중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이소부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많이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하는 PIB계 수지에 있어서, 이러한 주쇄 및 측쇄에 중합성 이중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이소부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당해 PIB계 수지의 전체 구성 단위(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질량%이다.
또한, PIB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질량 평균 분자량이 높은 PIB계 수지와, 질량 평균 분자량이 낮은 PIB계 수지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하는 PIB계 수지로서는, 질량 평균 분자량이 27만 내지 60만인 PIB계 수지 (p1)(이하, 「PIB계 수지 (p1)」이라고도 한다)과, 질량 평균 분자량이 5만 내지 25만의 PIB계 수지 (p2)(이하, 「PIB계 수지 (p2)」라고도 한다)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량 평균 분자량이 높은 PIB계 수지 (p1)은, 얻어지는 점착성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성 도전층 (X)의 내구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또한, 질량 평균 분자량이 낮은 PIB계 수지 (p2)는, PIB계 수지 (p1)과 양호하게 상용하여, 적절하게 PIB계 수지 (p1)을 가소화시킬 수 있고, 점착성 도전층 (X)의 피착체에 대한 습윤성을 높이며, 점착물성, 유연성 등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PIB계 수지 (p1)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상기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7만 내지 6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9만 내지 48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1만 내지 45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2만 내지 40만이다.
PIB계 수지 (p2)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상기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만 내지 25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8만 내지 23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4만 내지 22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8만 내지 21만이다.
PIB계 수지 (p1) 100질량부에 대한, PIB계 수지 (p2)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4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0질량부,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질량부이다.
PIB계 수지 (p2)의 함유 비율이 5질량부 이상이면, PIB계 수지 (p1)을 충분히 가소화시킬 수 있고, 형성되는 점착성 도전층 (X)의 피착체에 대한 습윤성을 양호하게 함과 함께, 점착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PIB계 수지 (p2)의 함유 비율이 55질량부 이하이면, 형성되는 점착성 도전층 (X)의 점착력, 유지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티렌계 수지)
점착성 수지 (x1)로서 사용할 수 있는 스티렌계 수지는,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하는 스티렌계 수지에 있어서,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당해 스티렌계 수지의 전체 구성 단위(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질량%이다.
스티렌계 수지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만 내지 4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만 내지 30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만 내지 20만이다.
스티렌계 수지가 연화점으로서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6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40℃,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35℃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스티렌계 수지의 연화점은 JIS K 2531에 준거해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스티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이하, 「SBS」라고도 한다), 스티렌-block(블록)-(에틸렌-co-부틸렌)-block-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이하, 「SEBS」라고도 한다), 스티렌-block-(에틸렌-co-부틸렌)-block 디블록 공중합체(이하, 「SEB」라고도 한다), 스티렌-부타디엔 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스티렌-block-(부타디엔-co-이소프렌)-block 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block-(부타디엔-co-이소프렌)-block-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등이나, 이들 공중합체의 카르복실 변성체나, 스티렌과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계 비닐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스티렌계 수지 중에서도, SBS, SEBS 및 SEB가 바람직하고, SBS 및 SEBS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스티렌계 수지가 공중합체인 경우, 공중합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당해 스티렌계 수지로서는,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점착성 수지 (x1)로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산 성분과 디올 성분 또는 폴리올 성분을 중축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공중합체이며, 당해 공중합체의 변성물도 포함된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직접 에스테르화법, 에스테르 교환법 등의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당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공중합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당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무수 프탈산, α-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5-칼륨술포이소프탈산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류,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운데실렌산, 도데칸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류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올 성분 또는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펜탄디올, 2,2,3-트리메틸펜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식 글리콜, 비스페놀 A 등의 방향족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점착성 수지 (x1)로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중합체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당해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공중합체인 경우, 공중합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당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어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메트)아크릴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탄소계 필러 (x2)>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재료인 점착성 조성물에 점착성 수지 (x1)과 함께 포함되는 탄소계 필러 (x2)로서는, 종횡비가 1.5 이상인 탄소계 필러가 바람직하다.
평균 종횡비가 1.5 이상인 탄소계 필러를 함유함으로써, 형성되는 점착성 도전층 (X)의 표면 저항률을 낮게 하고, 또한 비점착성 도전층 (Y)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도전성 점착 시트의 표면 저항률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성 도전층 (X)의 점착력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탄소계 필러 (x2)의 평균 종횡비로서는, 상기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400,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횡비」란, 대상이 되는 탄소계 필러의 짧은 변의 길 이(L)에 대한 긴 변의 길이(H)의 비율, 즉 「긴 변의 길이(H)/짧은 변의 길이(L)」로부터 산출되는 값이다. 또한, 「평균 종횡비」란, 대상이 되는 탄소계 필러 10개의 산출한 당해 「종횡비」의 평균값이다.
또한, 탄소계 필러 (x2)의 긴 변의 길이(H)는, 대상이 되는 탄소계 필러의 높이 방향(길이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한편, 탄소계 필러 (x2)의 짧은 변의 길이(L)는, 대상이 되는 탄소계 필러의 높이 방향(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절단면에 있어서, 당해 단면이 원 또는 타원이면 직경 또는 긴 직경이며, 당해 단면이 다각형이면 당해 다각형의 외접원의 직경을 가리킨다.
탄소계 필러 (x2)의 긴 변의 길이(H)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500㎛,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100㎛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로 10개 선택한 탄소계 필러의 긴 변의 길이의 평균값을, 상기 「탄소계 필러 (x2)의 긴 변의 길이(H)」의 값이라 간주할 수도 있다.
탄소계 필러 (x2)의 짧은 변의 길이(L)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50㎚,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50㎚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로 10개 선택한 탄소계 필러의 짧은 변의 길이의 평균값을, 상기 「탄소계 필러 (x2)의 짧은 변의 길이(L)」의 값이라 간주할 수도 있다.
탄소계 필러 (x2)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기둥 형상, 통 형상, 추 형상, 섬유 형상, 편구 형상(진구도가 통상 0.7 이하), 및 이들을 조합한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형상 중에서도, 양호한 도전성을 갖는 점착성 도전층 (X)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기둥 형상의 탄소계 필러, 통 형상의 탄소계 필러 및 섬유 형상의 탄소계 필러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중 탄소계 필러 (x2)의 함유량은, 점착성 수지 (x1)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 내지 7.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 내지 5.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내지 4.5질량부,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70 내지 3.8질량부이다.
탄소계 필러 (x2)의 함유량이 0.01질량부 이상이면, 형성되는 점착성 도전층 (X)의 단독의 표면 저항률을 낮게 함과 함께, 또한 비점착성 도전층 (Y)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도전성 점착 시트의 표면 저항률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다.
한편, 탄소계 필러 (x2)의 함유량이 15질량부 이하이면, 형성되는 점착성 도전층 (X)의 점착력이 양호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는, 점착성 도전층 (X) 중의 탄소계 필러 (x2)의 함유량이 적어도, 우수한 대전 방지성 및 도전성이 발현되기 때문에, 탄소계 필러 (x2)를 많이 배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의 전량(100질량%)에 대한 탄소계 필러 (x2)의 함유량으로서는, 상기 관점에서, 통상 0.01 내지 10질량%, 바람직하게는 0.30 내지 7.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내지 5.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내지 4.5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70 내지 3.8질량%이다.
탄소계 필러 (x2)로서는, 예를 들어 카본 나노 재료, 카본 블랙, 분쇄 탄소 섬유, 흑연 등을 들 수 있지만, 형성되는 점착성 도전층 (X)의 표면 저항률을 저하시키고, 또한 점착력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카본 나노 재료가 바람직하다.
카본 나노 재료는, 6원환 배열 구조를 주 구조로 하는 그래파이트 시트를 포함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데, 그래파이트 구조 중에 붕소나 질소 등의 탄소 이외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카본 나노 재료가 다른 물질을 내포하고 있는 형태여도 되고, 또한 카본 나노 재료가 다른 도전성 물질에 수식되어 있는 형태여도 된다.
카본 나노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카본 나노튜브(CNT), 카본 나노파이버, 카본 나노혼, 카본 나노콘, 풀러렌 등을 들 수 있으며, 카본 나노튜브가 바람직하다.
카본 나노튜브는, 탄소 6원환 구조를 주 구조로 하는 그래파이트(흑연) 시트가 원통 형상으로 닫힌 구조를 갖는 통 형상의 탄소 다면체이다.
카본 나노튜브에는, 1층의 흑연 시트가 원통 형상으로 닫힌 구조를 갖는 단층 카본 나노튜브와, 2층의 흑연 시트가 원통 형상으로 닫힌 구조를 갖는 2층 카본 나노튜브와, 흑연 시트가 3층 이상 동심 통 형상으로 닫힌 다층 구조를 갖는 다층 카본 나노튜브가 있고, 이들 중 어느 2개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가교제>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재료인 점착성 조성물에는, 가교제를 더 함유해도 된다.
특히, 점착성 수지 (x1)로서, 상술한 아크릴계 수지(특히, 상술한 구성 단위 (a2)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점착성 도전층 (X)의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아미노 수지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상기 화합물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형 변성체, 물과 반응시킨 뷰렛형 변성체, 이소시아누레이트환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형 변성체여도 된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점착성 수지 (x1)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질량부이다.
<점착 부여제>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재료인 점착성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를 더 함유해도 된다.
특히, 점착성 수지 (x1)로서, 상술한 우레탄계 수지, PIB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점착성 도전층 (X)의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점착 부여제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통상 1만 미만이고, 상술한 점착성 수지 (x1)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점착 부여제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형성되는 점착성 도전층 (X)의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4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500이다.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75℃,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70℃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은, JIS K 2531에 준거해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어 로진 수지, 로진 페놀 수지, 및 그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로진계 수지; 이들 로진계 수지를 수소화한 수소화 로진계 수지; 테르펜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등의 테르펜계 수지; 이들 테르펜계 수지를 수소화한 수소화 테르펜 수지; 석유 나프타의 열분해로 생성되는 펜텐, 이소프렌, 피페린, 1.3-펜타디엔 등의 C5 유분(留分)을 공중합해서 얻어지는 C5계 석유 수지 및 이 C5계 석유 수지의 수소화 석유 수지; 석유 나프타의 열분해로 생성되는 인덴, 비닐톨루엔, α- 또는 β-메틸스티렌 등의 C9 유분을 공중합해서 얻어지는 C9계 석유 수지 및 이 C9계 석유 수지의 수소화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 부여제는 단독으로 또는 연화점이나 구조가 다른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점착성 수지 (x1)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6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0질량부이다.
또한, 점착성 수지 (x1)이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질량부이다.
점착성 수지 (x1)이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우레탄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6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질량부이다.
점착성 수지 (x1)이 PIB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PIB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질량부이다.
점착성 수지 (x1)이 스티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스티렌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질량부이다.
점착성 수지 (x1)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질량부이다.
점착성 수지 (x1)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질량부이다.
<그 밖의 첨가제>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재료인 점착성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점착성 수지와 함께 사용되는 범용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이러한 범용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연화제(가소제), 충전제, 방청제, 안료, 염료, 경화제, 경화 보조제,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범용 첨가제를 배합하는 경우, 범용 첨가제의 각각의 배합량은, 점착성 수지 (x1)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6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질량부이다.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재료인 점착성 조성물의 전량(100질량%) 중 점착성 수지 (x1)과 탄소계 필러 (x2)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x1)을 사용하는 경우, 점착성 조성물의 전량(100질량%) 중 점착성 수지 (x1)과 탄소계 필러 (x2)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우레탄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x1)을 사용하는 경우, 점착성 조성물의 전량(100질량%) 중 점착성 수지 (x1)과 탄소계 필러 (x2)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질량% 이상이고, 점착성 수지 (x1)과 탄소계 필러 (x2)와 점착 부여제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PIB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x1)을 사용하는 경우, 점착성 조성물의 전량(100질량%) 중 점착성 수지 (x1)과 탄소계 필러 (x2)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고, 점착성 수지 (x1)과 탄소계 필러 (x2)와 점착 부여제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스티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x1)을 사용하는 경우, 점착성 조성물의 전량(100질량%) 중 점착성 수지 (x1)과 탄소계 필러 (x2)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다.
또한, 「ZZ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x1)」이라는 표기는, 「점착성 수지 (x1)에 포함되는 수지 중, ZZ계 수지의 함유량이 가장 많다」라고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당해 기재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ZZ계 수지의 함유량으로서는, 점착성 수지 (x1)의 전량(100질량%)에 대하여, 통상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0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0질량%이다.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방법>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 방법 (X-1) 및 (X-2)를 들 수 있다.
·방법 (X-1): 점착성 조성물의 유기 용매 용액을 제조하고, 당해 용액을, 후술하는 박리 시트 위에 공지의 도포 방법에 의해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도포막을 건조시켜서 점착성 도전층 (X)를 형성하는 방법.
·방법 (X-2): 점착성 수지 (x1) 및 탄소계 필러 (x2) 등을 가열 혼련해서 콤퍼지트를 제조한 후, 당해 콤퍼지트를 공지의 성형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점착성 도전층 (X)를 형성하는 방법.
(방법 (X-1))
방법 (X-1)은 점착성 수지 (x1)로서,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PIB계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한 형성 방법이다.
방법 (X-1)에 있어서, 사용하는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시클로헥산, n-헥산, 톨루엔, 크실렌,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유기 용매는, 점착성 수지 (x1)의 합성 시에 사용한 유기 용매를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방법 (X-1)에 있어서, 탄소계 필러 (x2)는, 용매 중에 분산시킨 분산액의 형태로, 점착성 수지 (x1)에 대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계 필러 (x2)를 분산액의 형태로 배합함으로써, 저점도의 상태에서 점착성 수지 (x1)과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탄소계 필러 (x2)끼리 근접하기 쉬워져, 필러의 네트워크가 형성됨으로써, 형성되는 점착성 도전층 (X)의 표면 저항률 및 부피 저항률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탄소계 필러 (x2)의 분산액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물 또는 상술한 유기 용매를 들 수 있으며,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다.
탄소계 필러 (x2)의 분산액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매 중에 탄소계 필러 (x2)를 첨가하고, 초음파 등에 의해 진동을 일정 시간 주어 제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탄소계 필러 (x2)의 분산액의 고형분 농도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6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질량%이다.
방법 (X-1)에 있어서, 박리 시트 상으로의 점착성 조성물의 용액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핀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시트 위에 점착성 조성물의 용액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한 후, 건조 처리를 하고, 도포막 중에 포함되는 용매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법 (X-1)에 있어서는, 점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당해 건조 처리 후의 도포층을, 예를 들어 23℃, 50%RH(상대 습도)의 환경 하에서 7일간 내지 30일정도 정치하여, 도포층 내부를 충분히 가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 (X-2))
방법 (X-2)는 점착성 수지 (x1)로서, 스티렌계 수지 등의 가열 혼련에 내구할 수 있는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한 형성 방법이다.
가열 혼련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롤밀, 플라스토밀, 밴버리 믹서, 인터 믹스, 가압 니더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가열 혼련 장치에 의해 얻어진 콤퍼지트를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압축 성형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압축 성형법이 바람직하다.
압축 성형법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제조한 콤퍼지트를, 2매의 박리 시트 사이에 끼워 넣고, 핫 프레스기 등에 의해 가열 압축함으로써 시트상의 점착성 도전층 (X)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2매의 박리 시트 대신에, 기재와 박리 시트로 제조한 콤퍼지트를 끼워 넣어, 시트상의 점착성 도전층 (X)를 성형해도 된다.
[비점착성 도전층 (Y)의 형성 재료]
비점착성 도전층 (Y)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표면 저항률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도전성 고분자, 탄소계 필러 및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티오펜, PEDOT-PSS, 카본 나노 재료 및 ITO(산화인듐주석)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티오펜, PEDOT-PSS 및 카본 나노 재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점착성 도전층 (Y) 중에 포함되는 도전 재료의 밀도로서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경량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5g/㎤,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0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7g/㎤이다.
이하, 비점착성 도전층 (Y)를 구성하는 도전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전성 고분자>
도전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티오펜, PEDOT-PSS(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퀴녹살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티오펜 및 PEDOT-PSS가 바람직하다.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는 도전성 고분자와 함께, 비점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점착성 수지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PIB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점착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도전 재료로서 도전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도전성 고분자의 함유량은, 비점착성 도전층 (Y)의 전량(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0질량%이다.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기 용매의 용액을 제조하고, 당해 용액을, 기재 또는 박리 시트 위에 공지의 도포 방법에 의해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도포막을 건조시켜서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당해 방법에 사용하는 유기 용매의 종류 및 용액의 도포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방법인 「방법 (X-1)」에 관한 기재와 마찬가지이다.
<탄소계 필러>
탄소계 필러로서는, 상술한 탄소계 필러 (x2)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으며, 카본 나노 재료가 바람직하다.
탄소계 필러를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는 탄소계 필러와 함께, 비점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점착성 수지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PIB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점착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도전 재료로서 탄소계 필러를 사용하는 경우, 당해 탄소계 필러의 함유량은, 비점착성 도전층 (Y)의 전량(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질량%이다.
탄소계 필러를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탄소계 필러의 분산액과, 비점착성 수지의 유기 용매의 용액을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의 용액을 제조한 후, 당해 용액을, 기재 또는 박리 시트 위에 공지의 도포 방법에 의해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도포막을 건조시켜서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당해 방법에 사용하는 유기 용매의 종류, 탄소계 필러의 분산액의 제조 방법 및 용액의 도포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방법인 「방법 (X-1)」에 관한 기재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탄소계 필러를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탄소계 필러와 비점착성 수지를 가열 혼련해서 콤퍼지트를 제조한 후, 당해 콤퍼지트를 공지의 성형법에 의해 시트상으로서 얻는 방법이어도 된다.
당해 방법에 사용하는 가열 혼련기, 콤퍼지트의 성형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방법인 「방법 (X-2)」에 관한 기재와 마찬가지이다.
<금속 산화물>
금속 산화물로서는, ITO(산화인듐주석), ZnO(산화아연), IZO(산화아연인듐), AZO(산화아연알루미늄), GZO(산화아연갈륨), IGZO(산화인듐갈륨아연), ATO(산화주석안티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ITO(산화인듐주석)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 재료로서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 비점착성 도전층 (Y)는, 당해 금속 산화물만을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기재에 대하여 증착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기재]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도전성 점착 시트에 사용하는 기재로서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되지만, 절연성 재료를 포함하는 절연성 기재여도 되고,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기재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절연성 기재란, 표면 저항률이 1.0×1014Ω/□ 이상(바람직하게는 1.0×1016Ω/□ 이상)인 기재를 가리킨다.
절연성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상질지, 아트지, 코팅지, 글라신지 등이나 이들 종이 기재에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지 등의 각종 종이류;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세테이트 수지, ABS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염화비닐 수지 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 이들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 이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 등의 기재는 미연신이어도 되고, 세로 또는 가로 등의 1축 방향 혹은 2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 절연성 기재(특히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에는,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슬립제, 안티 블로킹제, 착색제 등이 더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도전성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박, 금속박을 상술한 절연성 기재를 형성하는 수지 등으로 라미네이트한 필름 또는 시트, 상술한 절연성 기재의 표면에 금속 증착 처리를 행한 필름 또는 시트, 상술한 절연성 기재의 표면에 대전 방지 처리를 행한 필름 또는 시트, 메쉬 형상으로 금속선을 짠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전성 기재에 사용되는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은, 금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취급이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이다.
기재가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인 경우, 기재와 비점착성 도전층 (Y)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서, 기재의 표면에 대하여 산화법이나 요철화법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법, 플라즈마 처리법, 크롬산 산화(습식),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조사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철화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트법, 용제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는 기재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정되지만, 비점착성 도전층 (Y)와의 밀착성의 향상 효과나 조작성의 관점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라이머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박리 시트]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도전성 점착 시트에 사용하는 박리 시트로서는, 양면 박리 처리를 한 박리 시트나, 편면 박리 처리된 박리 시트 등이 사용되고, 박리 시트용 기재 위에 박리제를 도포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시트용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글라신지, 코팅지, 상질지 등의 종이 기재, 이들 종이 기재에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제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이소프렌계 수지, 부타디엔계 수지 등의 고무계 엘라스토머, 장쇄 알킬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50㎛이다.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물성]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도전성 점착 시트는, 상술한 형성 방법으로 형성한 점착성 도전층 (X) 및 비점착성 도전층 (Y), 및 기재나 박리 시트를 적절히 접합하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도전성 점착 시트가 갖는 점착성 도전층 (X)의 표면에 대한 프로브 택의 피크 톱의 값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1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9N,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9N,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9N이다.
또한, 당해 프로브 택의 피크 톱의 값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또한, 당해 프로브 택의 피크 톱의 값은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점착력 지표가 되는 물성값이며, 당해 값이 클수록 높은 점착력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도전성 점착 시트가 갖는 점착성 도전층 (X)의 표면측으로부터 측정한 표면 저항률 (ρS)는 바람직하게는 9.0×104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4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3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03Ω/□ 이하이다.
또한, 상기 「도전성 점착 시트가 갖는 점착성 도전층 (X)의 표면측으로부터 측정한 표면 저항률」의 값은, 적어도 점착성 도전층 (X) 및 비점착성 도전층 (Y)가 적층된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의 표출한 점착성 도전층 (X)의 표면측으로부터 측정한 표면 저항률의 값이며, 상술한 「점착성 도전층 (X) 단독의 표면 저항률 (ρSX)」의 값과는 다르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의 물성, 및 도전성 점착 시트, 점착성 도전층 (X) 및 비점착성 도전층의 각 물성에 대해서, 이하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질량 평균 분자량(Mw)>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프 장치(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제품명 「HLC-8020」)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 하에서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측정한 값을 사용했다.
(측정 조건)
·칼럼: 「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2)」 및 「TSK gel G2000HXL」(모두 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순차 연결한 것.
·칼럼 온도: 40℃
·전개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유속: 1.0mL/min
<탄소계 필러의 종횡비, 긴 변 및 짧은 변의 길이>
주사형 전자 현미경(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 제조, 제품명 「S-4700」)을 사용하여, 무작위로 추출한 탄소계 필러의 입자 10개를 관찰하여, 각각의 긴 변의 길이 및 짧은 변의 길이를 측정하고, 탄소계 필러의 입자 10개의 평균값을, 그 필러의 「긴 변의 길이(H)」 및 「짧은 변의 길이(L)」로 하였다. 또한, 종횡비(H/L)는 「긴 변의 길이(H)/ 짧은 변의 길이(L)」로부터 산출했다.
<연화점>
JIS K 2531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밀도>
JIS Z 8807:2012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프로브 택>
JIS Z0237(1991)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10㎜×10㎜의 크기의 시험편을, 23℃, 50%RH(상대 습도)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당해 시험편의 측정 대상의 층의 표면을 표출시켜서, 태킹 시험기(리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제품명 「PROBE TACK TESTER」)를 사용하여, 당해 층의 표면에 대한 프로브 택값을 측정했다.
또한, 당해 프로브 택값은, 직경 5㎜의 스테인리스제 프로브를 1초간, 접촉 하중 0.98N/㎠로, 측정 대상의 층의 표면에 접촉시킨 후, 프로브를 600㎜/초의 속도로, 당해 표면으로부터 이격하는 데 필요한 힘을, 그 층의 표면 프로브 택값으로 하였다.
또한, 비점착성 도전층의 표면에 대해서는, 프로브 택값의 피크 톱을 측정했다. 또한, 도전성 점착 시트가 갖는 점착성 도전층 (X)의 표면에 대해서는, 프로브 택값의 피크 톱 및 적분값을 측정했다.
또한, 측정 대상의 층의 표면에 점착성이 없어, 프로브 택값의 피크 톱이 측정 불가능인 경우에는, 당해 피크 톱의 값을 「0(N)」으로 하였다.
<표면 저항률, 부피 저항률>
JIS K 7194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20㎜×40㎜의 크기의 시험편을, 23℃, 50%RH(상대 습도)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당해 시험편의 측정 대상의 층의 표면을 표출시켜서, 저저항률계(가부시키가이샤 미쯔비시 가가꾸 애널리테크 제조, 제품명 「로레스타 GP MCP-T610형」)를 사용하여, 표면 저항률 및 부피 저항률을 측정했다.
표면 저항률에 대해서는 상기 측정을 3회 행하고, 부피 저항률에 대해서는 상기 측정을 5회 행하여, 표 1 및 2에는 각각의 측정에서 얻은 측정값의 평균값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점착성 도전층 (X) 단독의 표면 저항률 및 부피 저항률의 측정으로는, 점착성 도전층 (X)만이 2매의 박리 시트에 협지된 적층체를 시험편으로 사용하고, 당해 시험편의 한쪽의 박리 시트를 제거하여, 표출한 점착성 도전층 (X)의 표면에 대하여, 이들의 값을 측정했다.
또한, 비점착성 도전층 단독의 표면 저항률 및 부피 저항률의 측정으로는, 비점착성 도전층을 갖는 기재를 시험편으로 사용하고, 당해 시험편의 비점착성 도전층의 표면에 대하여, 이들의 값을 측정했다.
또한, 도전성 점착 시트의 표면 저항률의 측정으로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기재, 비점착성 도전층, 점착성 도전층 (X) 및 박리 시트가 이 순으로 적층된 도전성 점착 시트를 시험편으로 사용하고, 당해 시험편의 박리 시트를 제거하여, 표출한 점착성 도전층 (X)의 표면에 대하여, 표면 저항률의 값만을 측정했다.
제조예 1
(비점착성 도전층 (Y-1)을 갖는 기재의 제작)
기재로서 사용하는,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루미러」, 표면 저항률: 1.18×1018Ω/□) 위에 폴리티오펜의 용액(소켄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베라졸 IW-103」)을, 건조 후의 두께가 2.4㎛가 되도록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당해 도포막을 건조시켜, 폴리티오펜을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1)을 갖는 기재를 얻었다.
제조예 2
(비점착성 도전층 (Y-2)를 갖는 기재의 제작)
아크릴계 수용성 중합체(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타마노리 G-37」, 폴리아크릴산) 100질량부(고형분)에 대하여,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분산액(Agfa사 제조, 상품명 「Orgacon S305」) 10질량부(고형분비) 및 에틸렌글리콜 10질량부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했다.
그리고, 제조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PET 필름 위에, 상기 용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당해 도포막을 건조시켜서, PEDOT-PSS를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2)를 갖는 기재를 얻었다.
제조예 3
(비점착성 도전층 (Y-3)을 갖는 기재의 제작)
스티렌계 수지(크레이톤사 제조, 상품명 「1726M」, SEBS) 100질량부(고형분)에 대하여, 다층 카본 나노튜브(CNT)(나노실사 제조, 상품명 「NC7000」, 상세는 후술한 바와 같음) 10질량부(고형분비)를 첨가하고, 가열 혼련기(가부시키가이샤 도요세이끼 세이사꾸쇼 제조, 제품명 「30C150」)를 사용하여, 100℃, 50rpm의 조건 하에서 혼련하여, 콤퍼지트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콤퍼지트를, 제조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PET 필름과, 두께 75㎛의 박리 시트(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SP-PET751031」) 사이에 끼워 넣고, 핫 프레스기(테스터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제품명 「SA-302」)를 사용하여, 130℃, 10㎫의 조건 하에서 10분간 열 프레스하였다. 열 프레스 후에, 박리 시트를 제거하여, 두께 100.0㎛의 SEBS 및 CNT(10질량부)를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3)을 갖는 기재를 얻었다.
제조예 4
(비점착성 도전층 (Y-4)를 갖는 기재의 제작)
다층 카본 나노튜브의 배합량을 「4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100.0㎛의 SEBS 및 CNT(4질량부)를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4)를 갖는 기재를 얻었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상술한 제조예 1 내지 4에 의해 제작한 비점착성 도전층을 갖는 기재 외에, 이하의 비점착성 도전층을 갖는 기재도 사용했다.
·「ITO를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A)를 갖는 기재」: 상품명 「ITO-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오이케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두께 50㎛의 PET 필름(표면 저항률: 1.18×1018Ω/□)의 편면 위에 두께 1.6㎛의 ITO막을 증착한 것.
·「구리를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B)를 갖는 기재」: 상품명 「니카플렉스」(니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두께 50㎛의 PET 필름(표면 저항률: 1.18×1018Ω/□)의 편면 위에 두께 35.0㎛의 구리막을 접착제로 접합한 것.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비점착성 도전층 (Y-C)를 갖는 기재: 상품명 「메탈루미 #50」(도레이 필름 가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두께 50㎛의 PET 필름(표면 저항률: 1.18×1018Ω/□)의 편면 위에 두께 10.0㎛의 알루미늄막을 증착한 것.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하는, 비점착성 도전층을 갖는 기재의 비점착성 도전층의 각종 물성은 표 1과 같다.
Figure 112017017813327-pct00001
실시예 1 내지 15, 비교예 1 내지 8
(1)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표 2에 나타내는 종류 및 배합량(점착성 수지 100질량부(고형분)에 대한 고형분비)의 탄소계 필러 (x2)를 아세트산에틸 중에 첨가하고, 초음파 세정기로, 초음파(42㎑, 125W)에 의한 진동을 1시간 주어, 고형분 농도 0.5질량%의 탄소계 필러 (x2)의 분산액을 미리 제조했다.
계속해서, 표 2에 나타내는 종류의 점착성 수지 (x1) 100질량부(고형분)에, 당해 탄소계 필러 (x2)의 분산액을 첨가하고, 표 2에 나타내는 종류 및 배합량(고형분비)의 가교제나 점착 부여제를 필요에 따라서 더 첨가했다. 그 후, 아세트산에틸로 적절히 희석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점착성 조성물의 용액을 제조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한 점착성 조성물의 용액을, 박리 시트(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SP-PET381031」, 두께: 38㎛, 표면이 실리콘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박리 처리면 위에 도포해서 도포막을 형성하고, 건조시켜서, 도포층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당해 도포층 위에 상기와 동일한 종류의 박리 시트를 별도로 적층하고, 23℃, 50%RH(상대 습도)의 환경 하에 14시간 정치한 후, 도포층을 충분히 가교시켜서, 표 2에 나타내는 두께의 점착성 도전층 (X)만이 2매의 박리 시트에 협지된 적층체를 얻었다.
(2)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제작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7 내지 8에서는, 상기 적층체의 한쪽의 박리 시트를 제거해서 표출한 점착성 도전층 (X)와, 표 2에 나타내는 종류의 비점착성 도전층을 갖는 기재의 비점착성 도전층을 접합하여, 도전성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1 내지 6에서는, 상기 적층체의 한쪽의 박리 시트를 제거해서 표출한 점착성 도전층 (X)와, 두께 50㎛의 PET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루미러」)을 접합하여, 도전성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6
(1) 점착성 도전층 (X)의 형성
스티렌계 수지(도요 아도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P-907Y」, 상세는 후술한 바와 같음) 100질량부(고형분)에 대하여, 다층 카본 나노튜브(CNT)(나노실사 제조, 상품명 「NC7000」, 상세는 후술한 바와 같음)를 표 2에 나타내는 배합량(고형분비)으로 첨가하고, 가열 혼련기(가부시키가이샤 도요세이끼 세이사꾸쇼 제조, 제품명 「30C150」)를 사용하여, 100℃, 50rpm의 조건 하에서 혼련하여, 콤퍼지트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콤퍼지트를, 2매의 박리 시트(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SP-PET751031」, 두께: 75㎛) 사이에 끼워 넣고, 핫 프레스기(테스터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제품명 「SA-302」)를 사용하여, 130℃, 10㎫의 조건 하에서 10분간 열 프레스하여, 점착성 도전층 (X)만이 2매의 박리 시트에 협지된 적층체를 얻었다.
(2)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제작
상기 적층체의 한쪽의 박리 시트를 제거해서 표출한 스티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성 도전층 (X)와, 비점착성 도전층 (Y-2)를 갖는 기재의 비점착성 도전층을 접합하여, 도전성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표 2에 나타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점착성 조성물 중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점착성 수지 (x1))
·「아크릴계 수지」: n-부틸아크릴레이트(BA) 및 아크릴산(AA)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아세트산메틸 용액, BA/AA=90.0/10.0(질량부), Mw: 70만, 고형분 농도: 33.6질량%.
·「우레탄계 수지」: 라이온·스페셜티·케미칼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US-902A」, 우레탄계 수지, Mw=56,000.
·「PIB계 수지」: Mw 34만의 PIB계 수지(바스프사 제조, 상품명 「오파놀 B50」) 90.9질량부(고형분비) 및 Mw 20만의 PIB계 수지(바스프사 제조, 상품명 「오파놀 B30」) 9.1질량부(고형분비)와의 혼합 수지.
·「스티렌계 수지」: 도요 아도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P-907Y」, SEBS 및 SEB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 SEBS 및 SEB의 합계 함유량=30질량%, 연화점=112℃.
(탄소계 필러 (x2))
·「NC7000」: 상품명, 나노실사 제조, 원통 형상의 다층 카본 나노튜브, 평균 종횡비(H/L): 150, 긴 변의 길이(H): 1.5㎛, 짧은 변의 길이(L): 10㎚.
·「AMC」: 상품명, 우베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원통 형상의 다층 카본 나노튜브, 평균 종횡비(H/L): 100, 긴 변의 길이(H): 1.1㎛, 짧은 변의 길이(L): 11㎚.
(가교제)
·「콜로네이트 L」: 상품명, 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농도: 75질량%.
(점착 부여제)
·「알콘 P-125」: 상품명,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수소화 석유 수지, 연화점: 125℃.
·「YS 폴리스타 K125」: 상품명, 야스하라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테르펜페놀계 수지, 연화점: 125℃.
(기타 성분)
·스티렌계 수지로서 사용하는 「P-907Y」에 포함되는 (x1) 성분 이외의 기타 성분(점착 부여제, 가소제 등)의 혼합물.
실시예 17 내지 23
시판품의 도전성 양면 테이프(닛신 EM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도전성 카본 양면 테이프 7311」, 아크릴계 수지 및 카본 분말을 함유한 점착제층을 2매의 박리 시트에 의해 협지한 구성을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점착성 도전층 (X)로서 사용했다.
상기 시판품의 도전성 양면 테이프의 한쪽의 박리 시트를 제거해서 표출한 점착제층(점착성 도전층 (X))과, 표 3에 나타내는 종류의 비점착성 도전층 (Y-1)을 갖는 기재 혹은 비점착성 도전층 (Y-4)를 갖는 기재의 비점착성 도전층을 접합하여, 도전성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9
상기 시판품의 도전성 양면 테이프의 한쪽의 박리 시트를 표출한 점착제층(점착성 도전층 (X))과, 두께 50㎛의 PET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루미러」)을 접합하여, 도전성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제작한 도전성 점착 시트에 대해서, 상기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각종 물성값을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17813327-pct00002
Figure 112017017813327-pct00003
표 2 및 표 3에 의해, 실시예 1 내지 23의 도전성 점착 시트는 양호한 점착력을 가짐과 함께, 비교예 1 내지 9의 도전성 점착 시트에 비하여, 표면 저항률이 낮아, 대전 방지성 및 도전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는 양호한 점착력을 가짐과 함께, 표면 저항률이 낮기 때문에, 대전 방지성 및 도전성이 우수하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컴퓨터, 통신기기 등의 전자기기를 수납하는 용기의 전자 차폐재, 전기 부품 등의 접지선, 나아가 마찰전기 등의 정전기로부터 발생하는 불꽃에 의한 발화 방지재 등의 부재에 사용되는 접합 부재로서 적합하다.
1A, 1B, 2A, 2B, 3, 4 : 도전성 점착 시트
11 : 점착성 도전층 (X)
11a : 제1 점착성 도전층 (X-I)
11b : 제2 점착성 도전층 (X-II)
12 : 비점착성 도전층 (Y)
12a : 제1 비점착성 도전층 (Y-I)
12b : 제2 비점착성 도전층 (Y-II)
13 : 기재
14 : 박리 시트
21 : 2층체
21a : 제1 2층체
21b : 제2 2층체
22 : 3층체

Claims (16)

  1. 적어도 점착성 도전층 (X) 및 비점착성 도전층 (Y)를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이며,
    점착성 도전층 (X) 단독의 부피 저항률 (ρVX)의 값이 1.0×100 내지 1.0×108Ω·㎝이고,
    비점착성 도전층 (Y) 단독의 부피 저항률 (ρVY)의 값이 1.0×10-4 내지 1.0×106Ω·㎝이고, 또한
    점착성 도전층 (X)의 두께 (tX)와 비점착성 도전층 (Y)의 두께 (tY)의 두께비 〔tX/tY〕가 20000 이하인, 도전성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점착성 도전층 (X)의 두께 (tX)가 1 내지 1200㎛인, 도전성 점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비점착성 도전층 (Y)의 두께 (tY)가 0.01 내지 200㎛인, 도전성 점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점착성 도전층 (X)가, 점착성 수지 (x1) 및 탄소계 필러 (x2)를 포함하는 점착성 조성물로 형성된 층인, 도전성 점착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점착성 수지 (x1)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고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성 점착 시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탄소계 필러 (x2)의 평균 종횡비가 1.5 이상인, 도전성 점착 시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탄소계 필러 (x2)의 함유량이, 점착성 수지 (x1) 100질량부에 대해, 0.01 내지 15질량부인, 도전성 점착 시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탄소계 필러 (x2)가 카본 나노 재료인, 도전성 점착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비점착성 도전층 (Y)가, 도전성 고분자, 탄소계 필러 및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층인, 도전성 점착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비점착성 도전층 (Y)가, 폴리티오펜, PEDOT-PSS, 카본 나노 재료 및 ITO(산화인듐주석)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층인, 도전성 점착 시트.
  11. 제9항에 있어서, 비점착성 도전층 (Y) 중에 포함되는 도전 재료의 밀도가 0.8 내지 2.5g/㎤인, 도전성 점착 시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 비점착성 도전층 (Y) 및 점착성 도전층 (X)를 이 순으로 적층한 구성을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기재의 양면 위에, 비점착성 도전층 (Y) 및 점착성 도전층 (X)로 구성되는 2층체를 각각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표면 저항률이 1.0×1014Ω/□ 이상의 절연성 기재인, 도전성 점착 시트.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성 도전층 (X) 및 비점착성 도전층 (Y)로 구성되는 2층체를 2매의 박리 시트에 의해 협지한 구성을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점착성 도전층 (X-I), 비점착성 도전층 (Y) 및 제2 점착성 도전층 (X-II)를 이 순으로 적층한 3층체를 2매의 박리 시트에 의해 협지한 구성을 갖는, 도전성 점착 시트.
KR1020177004812A 2014-08-28 2015-08-24 도전성 점착 시트 KR102389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3715 2014-08-28
JPJP-P-2014-173715 2014-08-28
PCT/JP2015/073767 WO2016031788A1 (ja) 2014-08-28 2015-08-24 導電性粘着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660A KR20170046660A (ko) 2017-05-02
KR102389424B1 true KR102389424B1 (ko) 2022-04-21

Family

ID=5539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812A KR102389424B1 (ko) 2014-08-28 2015-08-24 도전성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00906B2 (ko)
KR (1) KR102389424B1 (ko)
CN (1) CN106661398A (ko)
TW (1) TWI677555B (ko)
WO (1) WO2016031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5059B (zh) * 2016-09-06 2017-08-11 High conductive tape and its preparation method
JP6831725B2 (ja) * 2017-03-17 2021-02-1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ワーク加工用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582A (ja) 1999-12-14 2001-06-26 Suzuki Sogyo Co Ltd 導電性粘着剤および該導電性粘着剤層を有する導電性複合材
JP2009114394A (ja) 2007-11-08 2009-05-28 Nitto Denko Corp 検査用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2024A1 (en) * 2003-08-06 2005-03-24 Bessette Michael D. Electrically conduct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5060249B2 (ja) * 2007-11-08 2012-10-31 日東電工株式会社 検査用粘着シート
KR20100074083A (ko) * 2007-11-08 2010-07-0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WO2009060687A1 (ja) * 2007-11-08 2009-05-14 Nitto Denko Corporation 粘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396073B2 (ja) * 2008-12-12 2014-01-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導電性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53190A (ja) * 2010-01-26 2011-08-11 Nitto Denko Corp 導電性粘着テープ
JP2012007093A (ja) * 2010-06-25 2012-01-12 Nitto Denko Corp 導電性粘着テープ
JP5580701B2 (ja) * 2010-09-13 2014-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
JP5690833B2 (ja) * 2010-09-30 2015-03-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及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4001297A (ja) * 2012-06-18 2014-01-09 Dic Corp 導電性粘着テープ
JP6376741B2 (ja) * 2013-10-11 2018-08-22 アキレス株式会社 熱剥離性粘着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582A (ja) 1999-12-14 2001-06-26 Suzuki Sogyo Co Ltd 導電性粘着剤および該導電性粘着剤層を有する導電性複合材
JP2009114394A (ja) 2007-11-08 2009-05-28 Nitto Denko Corp 検査用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660A (ko) 2017-05-02
JPWO2016031788A1 (ja) 2017-06-15
JP6500906B2 (ja) 2019-04-17
TWI677555B (zh) 2019-11-21
WO2016031788A1 (ja) 2016-03-03
CN106661398A (zh) 2017-05-10
TW201621012A (zh)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869B1 (ko) 도전성 점착 시트
KR102048696B1 (ko) 점착성 시트
KR102389424B1 (ko) 도전성 점착 시트
KR102390524B1 (ko) 도전성 점착 시트
TWI740935B (zh) 黏著薄片
JP2017057256A (ja) 導電性粘着シート
JP6325859B2 (ja) 導電性樹脂シート
JP2017132874A (ja) 電子部品貼付用アースラベル
JP6811900B2 (ja) 剥離検知ラベル
JP6470944B2 (ja) 導電性粘着剤組成物及び導電性粘着シート
WO2016051829A1 (ja) 導電性粘着シート
WO2020013212A1 (ja) 剥離検知ラベル
JP2001341239A (ja) 帯電防止フィルム及び該帯電防止フィルムを用いた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用剥離フィルム並びに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WO2018101335A1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TWI673337B (zh) 導電性黏著薄片
JP2023060763A (ja) 電子部品用キャリアフィルム、電子部品用キャリア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電磁波シールド膜を備え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23060764A (ja) 電子部品用キャリアフィルム、電子部品用キャリア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電磁波シールド膜を備える電子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