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523B1 -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523B1
KR102388523B1 KR1020200057980A KR20200057980A KR102388523B1 KR 102388523 B1 KR102388523 B1 KR 102388523B1 KR 1020200057980 A KR1020200057980 A KR 1020200057980A KR 20200057980 A KR20200057980 A KR 20200057980A KR 102388523 B1 KR102388523 B1 KR 102388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beam
rail
support
sl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0996A (ko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김태호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호,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filed Critical 김태호
Priority to KR1020200057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52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구비된 탄성체와 베어링을 손쉽게 교체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에 따르면, 프레임상승장치(20)와 프레임하강장치(30)를 이용하여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켜 베어링(14)을 제어한 후, 프레임하강장치(30)를 이용하여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고 상기 탄성부재(15)를 교체하고, 다시 상기 프레임상승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하여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새로운 베어링(14)을 배치함으로써, 베어링(14)과 탄성부재(15)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14)과 탄성부재(15)를 교체하기 위해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전체를 들어내야 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the method of repairing of rail joint apparatus}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구비된 탄성체와 베어링을 손쉽게 교체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판은 여러개로 분할되어 제작되며, 기온의 변화에 따라 상판이 신축하여 상판 사이의 간격이 변화된다.
따라서, 교랑의 상판에는 각 상판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도록 된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일단이 일측의 배치에 고정된 서포트빔(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면이 상판(1)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서포트빔(11)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레일(12)과, 상기 레일(12)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3a)와 상기 연장부(13a)의 하단에서 상기 서포트빔(11)의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부(13b)를 갖는 프레임(13)과,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의 사이에 구비된 베어링(14)과,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15)와, 전후단이 상기 레일(12)의 사이에 고정결합된 러버씰(16)로 구성된다.
이러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다른 종류의 신축이음장치에 비해 상판(1)의 간격이 넓더라도 손쉽게 대응할 수 있어서, 신축량이 400mm 이상으로 넓은 곳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베어링(14)이나 탄성부재(15)를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전체를 들어낸 상태에서 베어링(14)이나 탄성부재(15)를 교체하여야 함으로, 유지보수가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53640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량에 설치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구비된 탄성체와 베어링(14)을 손쉽게 교체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일단이 일측의 상판(1)에 고정된 서포트빔(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면이 상판(1)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서포트빔(11)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레일(12)과, 상기 레일(12)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3a)와 상기 연장부(13a)의 하단에서 상기 서포트빔(11)의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부(13b)를 갖는 프레임(13)과,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의 사이에 구비된 베어링(14)과,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15)와, 전후단이 상기 레일(12)의 사이에 고정결합된 러버씰(16)로 구성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상승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3)을 상측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5)가 압축되고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고 상기 베어링(14)을 제거하는 단계와, 프레임하강장치(30)를 이용하여 프레임(13)을 하측으로 하강시켜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고 상기 탄성부재(15)를 교체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상승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3)을 상측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5)가 압축되고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하여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새로운 베어링(14)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상승장치(20)는 전후방향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빔(1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2)에 의해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보조빔(21)과,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보조빔(21)의 상면에 배치되며 작동시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푸셔(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하강장치(30)는 전후방향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2 보조빔(31)과, 상단은 상기 프레임(13)의 지지부(13b)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으로 연장된 수평부(32b)가 구비된 커넥터(32)와,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넥터(32)의 수평부(32b) 상면에 배치되며 작동시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32)와 프레임(13)이 하강되도록 하는 푸셔(33)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32)는 하단에 상기 수평부(32b)가 구비된 수직부(32a)와, 상기 수직부(32a)의 상단 일측에 전후방향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3)의 지지부(13b)에 결합되는 고리부(32c)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32b)는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32a)의 하단에서 상기 고리부(32c)의 연장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보조빔(31)은 상기 상판(1)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빔(11)은 상하면이 평행을 이루는 직사각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보조빔(31)에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빔(11)에 결합되는 결합부(4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40)는 상기 제2 보조빔(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부(41)와, 상기 수직부(4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서포트빔(11)의 상하측에 위치되는 상하측 연장바(42,43)와, 상기 상측 연장바(4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밀착되며 선단부에는 서포트빔(11)의 일측에 걸리는 걸림턱(44a)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바(44)와, 상기 슬라이드바(4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44)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실린더기구(45)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바(44)의 하측면과 하측 연장바(43)의 상면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바(44)는 상기 상측 연장바(42)에 선단부쪽으로 상향경사지게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기구(45)를 작동시켜 상기 슬라이드바(44)를 선단부쪽으로 전진시키면 슬라이드바(44)의 하측면과 하측 연장바(43)의 상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상기 슬라이드바(44)를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건 후 상기 슬라이드바(44)를 작동시켜 슬라이드바(44)를 후퇴시키면 상기 슬라이드바(44)와 하측 연장바(43)가 상기 서포트빔(11)의 상하면에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에 따르면, 프레임상승장치(20)와 프레임하강장치(30)를 이용하여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켜 베어링(14)을 제거한 후, 프레임하강장치(30)를 이용하여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고 상기 탄성부재(15)를 교체하고, 다시 상기 프레임상승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하여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새로운 베어링(14)을 배치함으로써, 베어링(14)과 탄성부재(15)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14)과 탄성부재(15)를 교체하기 위해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전체를 들어내야 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프레임상승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프레임상승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프레임상승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프레임하강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프레임하강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프레임하강장치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프레임하강장치의 커넥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프레임하강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일단이 일측의 상판(1)에 고정된 서포트빔(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면이 상판(1)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서포트빔(11)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레일(12)과, 상기 레일(12)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3a)와 상기 연장부(13a)의 하단에서 상기 서포트빔(11)의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부(13b)를 갖는 프레임(13)과,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의 사이에 구비된 베어링(14)과,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15)와, 전후단이 상기 레일(12)의 사이에 고정결합된 러버씰(16)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베어링(14)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탄성부재(15)를 교체하는 단계와,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새로운 베어링(14)을 배치하는 단계를 통해 유지보수된다.
상기 베어링(14)을 제거하는 단계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상승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3)을 상측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5)가 압축되고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의 사이에 구비된 베어링(14)을 빼내어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프레임상승장치(20)는 전후방향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빔(1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2)에 의해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보조빔(21)과,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보조빔(21)의 상면에 배치되며 작동시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푸셔(2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2)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하단이 상기 서포트빔(11)의 상측둘레부와 상기 제1 보조빔(21)의 하측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체인 또는 금속와이어를 이용한다.
상기 푸셔(23)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유압식 자키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2)를 이용하여 제1 보조빔(21)을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고정하고, 상기 푸셔(23)를 상기 프레임(13)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보조빔(21)의 상면에 올려놓은 후,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23)에 유압을 공급하여 푸셔(23)가 신장되도록 하면, 푸셔(23)가 상기 프레임(13)과 레일(12)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15)가 압축되면서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이 확대된다.
즉, 상기 제1 보조빔(21)은 상기 고정부재(22)에 의해 상기 서포트빔(11)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밀려나지 않음으로, 상기 푸셔(23)가 신장되면 푸셔(23)에 의해 프레임(13)의 지지부(13b)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져, 프레임(13) 전체와 레일(12)이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의 하측에 구비된 베어링(14)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를 교체하는 단계는,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하강장치(30)를 이용하여 프레임(13)을 하측으로 하강시켜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고, 작업자가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의 사이에 구비된 낡은 탄성부재(15)를 제거하고,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의 사이에 새로운 탄성부재(15)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프레임하강장치(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2 보조빔(31)과, 상단은 상기 프레임(13)의 지지부(13b)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으로 연장된 수평부(32b)가 구비된 커넥터(32)와,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넥터(32)의 수평부(32b) 상면에 배치되며 작동시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32)와 프레임(13)이 하강되도록 하는 푸셔(33)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보조빔(31)은 도시 안된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상판(1)에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32)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에 상기 수평부(32b)가 구비된 수직부(32a)와, 상기 수직부(32a)의 상단 일측에 전후방향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3)의 지지부(13b)에 결합되는 고리부(32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32a)는 상기 고리부(32c)를 프레임(13)의 지지부(13b)에 걸었을 때, 하단이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면에 비해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하방향의 길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2b)는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32a)의 하단에서 상기 고리부(32c)의 연장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32)의 고리부(32c)를 상기 프레임(13)의 지지부(13b)에 걸면 2개의 수평부(32b)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평부(32b)는 상기 고리부(32c)의 연장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각각 90도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수평부(32b)가 경사진 각도 또는 수평부(32b)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푸셔(33)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유압식 자키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32)의 고리부(32c)를 지지프레임(13)의 지지부(13b)에 걸어 상기 수평부(32b)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에 위치된 수평부(32b)의 상면에 상기 푸셔(33)를 배치하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33)에 유압을 공급하여 푸셔(33)가 신장되도록 하면, 푸셔(33)가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면을 상측으로 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보조빔(31)은 상기 상판(1)에 고정되어 상승되지 않음으로, 이에 대한 반발력으로 커넥터(32)가 하측으로 하강되면서 상기 프레임(13)과 레일(12)을 하측으로 당겨,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의 사이에 구비된 오래된 탄성부재(15)를 제거하고,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에 새로운 탄성부재(15)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5)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새로운 베어링(14)을 배치하는 단계는 전술한 프레임상승장치(20)를 상기 레일(12)에 설치하고, 상기 푸셔(23)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3)을 상측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5)가 압축되고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새로운 베어링(14)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한편, 서포트빔(11)의 상면에 새로운 베어링(14)을 배치한 후, 상기 프레임상승장치(20)를 제거하면, 상기 레일(12) 및 프레임(13)의 자중과 상기 탄성부재(15)의 탄성에 의해 레일(12)과 프레임(13)이 하강되어, 레일(12)의 하측면이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배치된 베어링(14)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에 따르면, 프레임상승장치(20)와 프레임하강장치(30)를 이용하여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켜 베어링(14)을 제어한 후, 프레임하강장치(30)를 이용하여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고 상기 탄성부재(15)를 교체하고, 다시 상기 프레임상승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하여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새로운 베어링(14)을 배치함으로써, 베어링(14)과 탄성부재(15)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14)과 탄성부재(15)를 교체하기 위해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전체를 들어내야 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서포트빔(11)은 상하면이 평행을 이루는 직사각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보조빔(31)에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빔(11)에 결합되는 결합부(4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40)를 이용하여, 제2 보조빔(31)을 상기 서포트빔(11)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40)는 상기 제2 보조빔(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부(41)와, 상기 수직부(4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서포트빔(11)의 상하측에 위치되는 상하측 연장바(42,43)와, 상기 상측 연장바(4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밀착되며 선단부에는 서포트빔(11)의 일측에 걸리는 걸림턱(44a)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바(44)와, 상기 슬라이드바(4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44)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실린더기구(4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바(44)의 하측면과 하측 연장바(43)의 상면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44)는 상기 상측 연장바(42)에 선단부쪽으로 상향경사지게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측 연장바(42)의 하측면은 선단부쪽으로 상향경사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바(44)의 상면에는 상기 상측 연장바(42)의 하측면이 삽입되는 결합홈(44b)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44b)의 내부 바닥면은 상기 상측 연장바(42)의 하측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측 연장바(42)의 하측면이 상기 결합홈(44b)의 내부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바(44)가 상측 연장바(42)의 하측면을 따라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기구(45)는 상기 슬라이드바(44)와 형행을 이루도록 상기 상측 연장바(42)의 일측에 고정되며 피스톤로드가 상기 슬라이드바(44)에 연결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바(44)를 선단부쪽으로 전진시키면 슬라이드바(44)의 하측면과 하측 연장바(43)의 상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바(44)를 기단부쪽으로 후퇴시키면, 상기 슬라이드바(44)는 상측 연장바(42)의 하측면의 경사를 따라 하강되어. 슬라이드바(44)의 하측면과 하측 연장바(43)의 상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결합부(40)를 이용하여 제2 보조빔(31)을 이용하여 상기 서포트빔(11)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45)를 신장시켜 상기 슬라이드바(44)를 선단부쪽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슬라이드바(44)가 상기 상부 연장바의 선단부로 길게 돌출되며, 이때, 슬라이드바(44)의 하측면과 하측 연장바(43)의 상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제2 보조빔(31)을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바(44)를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건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바(44)는 상기 걸림턱(44a)에 의해 상기 서포트빔(11)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바(44)가 서포트빔(11)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45)를 축소시켜 슬라이드바(44)를 후퇴시키면, 상기 상하측 연장바(42,43)가 서포트빔(11)쪽으로 전진되며, 이때, 상기 슬라이드바(44)의 하측면과 하측 연장바(43)의 상면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슬라이드바(44)와 하측 연장바(43)가 상기 서포트빔(11)의 상하면에 강하게 밀착고정되어, 상기 제2 보조빔(31)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보조빔(31)에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빔(11)에 결합되는 결합부(40)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40)에 의해 상기 서포트빔(11)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보조빔(31)을 상판(1)에 고정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제2 보조빔(31)을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서포트빔 12. 레일
13. 프레임 14. 베어링
15. 탄성부재 16. 러버씰
20. 프레임상승장치 30. 프레임하강장치

Claims (5)

  1. 삭제
  2.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일단이 일측의 상판(1)에 고정된 서포트빔(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면이 상판(1)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서포트빔(11)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레일(12)과,
    상기 레일(12)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3a)와 상기 연장부(13a)의 하단에서 상기 서포트빔(11)의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부(13b)를 갖는 프레임(13)과,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의 사이에 구비된 베어링(14)과,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15)와,
    전후단이 상기 레일(12)의 사이에 고정결합된 러버씰(16)로 구성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상승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3)을 상측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5)가 압축되고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고 상기 베어링(14)을 제거하는 단계와,
    프레임하강장치(30)를 이용하여 프레임(13)을 하측으로 하강시켜 프레임(13) 지지부(13b)의 상면과 서포트빔(11)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고 상기 탄성부재(15)를 교체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상승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3)을 상측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5)가 압축되고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과 레일(12)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하여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새로운 베어링(14)을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상승장치(20)는
    전후방향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빔(1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2)에 의해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보조빔(21)과,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보조빔(21)의 상면에 배치되며 작동시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푸셔(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하강장치(30)는
    전후방향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3) 지지부(13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2 보조빔(31)과,
    상단은 상기 프레임(13)의 지지부(13b)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으로 연장된 수평부(32b)가 구비된 커넥터(32)와,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넥터(32)의 수평부(32b) 상면에 배치되며 작동시 상기 제2 보조빔(31)의 하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32)와 프레임(13)이 하강되도록 하는 푸셔(33)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32)는
    하단에 상기 수평부(32b)가 구비된 수직부(32a)와,
    상기 수직부(32a)의 상단 일측에 전후방향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3)의 지지부(13b)에 결합되는 고리부(32c)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32b)는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32a)의 하단에서 상기 고리부(32c)의 연장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빔(31)은 상기 상판(1)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빔(11)은 상하면이 평행을 이루는 직사각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보조빔(31)에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빔(11)에 결합되는 결합부(4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40)는
    상기 제2 보조빔(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부(41)와,
    상기 수직부(4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서포트빔(11)의 상하측에 위치되는 상하측 연장바(42,43)와,
    상기 상측 연장바(4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밀착되며 선단부에는 서포트빔(11)의 일측에 걸리는 걸림턱(44a)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바(44)와,
    상기 슬라이드바(4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44)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실린더기구(45)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바(44)의 하측면과 하측 연장바(43)의 상면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바(44)는 상기 상측 연장바(42)에 선단부쪽으로 상향경사지게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기구(45)를 작동시켜 상기 슬라이드바(44)를 선단부쪽으로 전진시키면 슬라이드바(44)의 하측면과 하측 연장바(43)의 상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상기 슬라이드바(44)를 상기 서포트빔(11)의 상면에 건 후 상기 슬라이드바(44)를 작동시켜 슬라이드바(44)를 후퇴시키면 상기 슬라이드바(44)와 하측 연장바(43)가 상기 서포트빔(11)의 상하면에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KR1020200057980A 2020-05-14 2020-05-14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KR102388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980A KR102388523B1 (ko) 2020-05-14 2020-05-14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980A KR102388523B1 (ko) 2020-05-14 2020-05-14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996A KR20210140996A (ko) 2021-11-23
KR102388523B1 true KR102388523B1 (ko) 2022-04-28

Family

ID=7869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980A KR102388523B1 (ko) 2020-05-14 2020-05-14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52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1307A (ja) 2000-03-23 2001-10-05 Nippon Chuzo Kk 橋梁用伸縮装置の取付け構造
KR200352102Y1 (ko) 2004-02-24 2004-06-10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JP2004183379A (ja) 2002-12-05 2004-07-02 Kawaguchi Metal Industries Co Ltd 橋梁用伸縮装置の制振構造
KR100865752B1 (ko) * 2007-12-17 2008-10-29 코레일트랙 주식회사 철도교의 교좌장치 교체공법
KR101503394B1 (ko) 2014-06-30 2015-03-18 진형건설(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레일 교체시공방법
KR101998406B1 (ko) 2019-04-25 2019-07-11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0156A (en) * 1976-08-16 1977-06-21 A. J. Harris & Sons, Inc. Bridge expansion joint
JPS60203707A (ja) * 1984-03-27 1985-10-15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橋梁メンテナンス装置
KR100536406B1 (ko) * 2003-09-02 2005-12-14 유니슨 주식회사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20150004621U (ko) * 2014-06-19 2015-12-30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1307A (ja) 2000-03-23 2001-10-05 Nippon Chuzo Kk 橋梁用伸縮装置の取付け構造
JP2004183379A (ja) 2002-12-05 2004-07-02 Kawaguchi Metal Industries Co Ltd 橋梁用伸縮装置の制振構造
KR200352102Y1 (ko) 2004-02-24 2004-06-10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KR100865752B1 (ko) * 2007-12-17 2008-10-29 코레일트랙 주식회사 철도교의 교좌장치 교체공법
KR101503394B1 (ko) 2014-06-30 2015-03-18 진형건설(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레일 교체시공방법
KR101998406B1 (ko) 2019-04-25 2019-07-11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996A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7235C (en) Plate-handling system inserting plate from gage side
KR200483472Y1 (ko) 콘크리트 도상용 침목 제거 장치
KR102388523B1 (ko)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JP2012012835A (ja) 高所作業用作業床の施工方法
JP2004308415A (ja) 重荷重の移動装置
KR101066577B1 (ko) 대형 임펠러의 분해 및 조립용 지지장치
JP5735461B2 (ja) スライディング用薄型ジャッキ、このジャッキを用いた重量物の移動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4515316A (ja) プレスの2つのビーム間の変形加工中の偏りを補償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830502B1 (ko) 이동식 교체장치, 이를 활용한 교체시스템 및, 교체방법
KR20140147522A (ko) 콘크리트 도상용 침목 제거 장치
KR101897099B1 (ko) 무인상 교량받침 시공방법
KR20090107472A (ko) 시트파일 인발장치
CN215943527U (zh) 一种模板推出结构
US3272148A (en) Rail anchor applying machine
JP2001254315A (ja) 沓座の補修方法
KR101731896B1 (ko) 거동식 일체형 유압잭
US4045855A (en) Truck bolster lifting device
KR101018458B1 (ko) 빔 인양방법
CN207188482U (zh) 连杆式压模装置
CN216227820U (zh) 一种立式装柱机
KR100527659B1 (ko) 콘크리트제품 성형기용 몰드 클램핑장치
CN218695476U (zh) 一种沙发焊接用定位工装
RU2585383C2 (ru) Установка моторно-гидравлическая для удаления балласта из шпальных ящико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и ее опорная рамка
CN214656037U (zh) 一种作业设备逃离装置
KR20110077072A (ko) 크라이밍 잭 장치를 이용한 다리의 상판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