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406B1 -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406B1
KR101998406B1 KR1020190048400A KR20190048400A KR101998406B1 KR 101998406 B1 KR101998406 B1 KR 101998406B1 KR 1020190048400 A KR1020190048400 A KR 1020190048400A KR 20190048400 A KR20190048400 A KR 20190048400A KR 101998406 B1 KR101998406 B1 KR 10199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enter beam
expansion joint
sliding
typ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석
심기철
최정수
박동병
이광훈
이창우
이호정
김봉환
장대영
Original Assignee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센터빔(100); 상기 센터빔(100)의 하면에 부착되는 브라켓(200); 상기 브라켓(2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빔(300)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빔(100)의 하면과 상기 지지빔(300)의 상면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상부미끄럼패드(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빔(300)의 하면과 상기 브라켓(200)의 하판(203) 상면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하부미끄럼패드(20)가 구비되 구비되며, 하나의 센터빔(100)과 다른 센터빔(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간격조절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30)은, 상기 센터빔(100)의 아래에 체결되는 연결판(31); 상기 연결판(31)의 아래쪽에서 하나의 센터빔(100)과 다른 센터빔(100)을 연결하도록 체결되는 고무판(33); 상기 고무판(33)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상고정판(341) 및 하고정판(342); 상기 상고정판(341)과 연결판(31) 사이에 구비되는 상회전마찰판(321); 상기 하고정판(342)의 아래에 구비되는 하회전마찰판(322)을 포함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일형 신축이음장치{Rail type 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교량에 사용되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 조립 및 시공이 간편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축이음장치는 교각 위에 올려지는 상부구조물과 상부구조물을 교축방향으로 연결하여 상판의 온도변화, 습도변화, 차량하중 등에 따라 발생하는 신장과 수축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이다.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부재의 길이가 길어서 다른 타입의 신축이음장치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내구성면에서의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내구성이 우수하다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차량의 충격과 하중에 의해 변형, 파손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상부구조물의 신축과 변형을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그리고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사용되는 레일과 부품들은 범용적인 부품이 아니어서 개별 생산으로 인해 초기 투자비가 높은 단점이 있었고,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너비만큼 긴 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미끄럼패드, 브라켓, 센터빔, 지지빔 간의 접합 위치가 많고 조립이 복잡하였으며, 미끄럼패드의 수명이 짧아 잦은 보수, 보강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에는 종래의 레일형 신축이음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일측 상부구조물(10)과 타측 상부구조물(10)의 단부에 각각 갓빔(11)이 결합되고, 갓빔(11)사이에는 다수의 중앙빔(12)들이 띠모양의 씰고무(13)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갓빔(11)과 중앙빔(12)의 하부에는 지지대(14)가 설치되어 지지대 (14)가 갓빔(11)과 중앙빔(12)을 떠받치고 있으며, 지지대(14)와 갓빔(11) 사이에는 상부베어링(15)과 하부베어링(16)이 삽설되어 상부구조물(10)의 거동을 수용하는 것이 나타나 있는데,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고, 간편하게 조립 및 시공할 수 있으며, 미끄럼패드가 오랜시간 동안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특허공보 10-1652769호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간편하게 조립 및 시공할 수 있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끄럼패드의 설치, 보수가 간편하고, 미끄럼패드의 수명이 긴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윤활제의 유출을 방지하여 미끄럼패드의 형상변형 및 위치 이탈이 방지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센터빔(100); 상기 센터빔(100)의 하면에 부착되는 브라켓(200); 상기 브라켓(2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빔(300)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빔(100)의 하면과 상기 지지빔(300)의 상면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상부미끄럼패드(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빔(300)의 하면과 상기 브라켓(200)의 하판(203) 상면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하부미끄럼패드(20)가 구비되며, 하나의 센터빔(100)과 다른 센터빔(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간격조절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30)은, 상기 센터빔(100)의 아래에 체결되는 연결판(31); 상기 연결판(31)의 아래쪽에서 하나의 센터빔(100)과 다른 센터빔(100)을 연결하도록 체결되는 고무판(33); 상기 고무판(33)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상고정판(341) 및 하고정판(342); 상기 상고정판(341)과 연결판(31) 사이에 구비되는 상회전마찰판(321); 상기 하고정판(342)의 아래에 구비되는 하회전마찰판(322)을 포함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미끄럼패드(10)는, 미끄럼판삽입홈(111)이 형성된 우레탄디스크(11)에 미끄럼판(12)이 결합된 것이거나 미끄럼판삽입홈(151)이 형성된 강판(15)에 미끄럼판(12)이 결합된 것이다.
상기 하부미끄럼패드(20)는, 미끄럼판삽입홈(214)이 형성된 우레탄디스크(21)에 미끄럼판(22)이 결합된 것이거나 윤활제홈(23)이 형성된 우레탄디스크(21)이다.
상기 미끄럼판삽입홈(214)이 하나이고, 하나의 우레탄디스크(21)에 하나의 미끄럼판(22)이 결합되며, 하나의 미끄럼판(22)에는 윤활제홈(23)이 형성되거나, 상기 미끄럼판삽입홈(214)이 복수 개이고, 하나의 우레탄디스크(21)에 복수 개의 미끄럼판(22)이 결합된다.
상기 미끄럼판(12)에는 윤활제홈(1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미끄럼패드(10)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빔(100)의 하면에는 체결홈(101)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볼트(16)를 상기 체결홈(101)에 체결하여 상기 상부미끄럼패드(10)를 센터빔(100)의 하면에 체결한다.
상기 우레탄디스크(21)의 둘레면에는, 상부수직면(211); 하부수직면(212); 및 상기 상부수직면(211)과 하부수직면(212) 사이에 형성되는 홈(21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판(203)에는 우레탄디스크삽입홈(20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수직면(212)이 상기 우레탄디스크삽입홈(20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부미끄럼패드(20)를 상기 브라켓(200)에 결합한다.
상기 우레탄디스크(21)의 중앙 하면에는 핀홈(2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판(203)에는 전단핀(205)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핀홈(24)에 상기 전단핀(205)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하부미끄럼패드(20)를 상기 브라켓(200)에 결합한다.
상기 상부미끄럼패드(10)의 둘레에는 상부유출방지링(17)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미끄럼패드(20)의 둘레에는 하부유출방지링(27)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빔(300)의 상면과 하면에는 스테인레스강판(301)이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부미끄럼패드는 체결볼트에 의해 센터빔에 결합되고, 하부미끄럼패드는 전단핀 또는 우레탄디스크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하부 미끄럼패드의 조립과 교체가 간편하다.
둘째, 미끄럼판, 우레탄디스크에 윤활제홈이 형성되어 있고, 윤활제홈에 윤활제를 충전할 수 있어 교량 상부구조물의 신축, 변위에 따라 상,하부 미끄럼패드가 원활하게 이동한다.
셋째, 상부미끄럼패드(10)의 둘레에는 상부유출방지링(17)이 구비되고, 하부미끄럼패드(20)의 둘레에는 하부유출방지링(27)이 구비됨으로써 윤활제의 유출이 방지되고, 상,하부 미끄럼패드가 장기간동안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
넷째, 하판(203)에 전단핀(205)이 구비되어 있고, 핀홈(24)에 전단핀(205)을 삽입하여 하부미끄럼패드(20)를 브라켓(200)에 결합하기 때문에 상부구조물의 회전변위도 수용할 수 있다.
다섯째, 지지빔(300)의 상면과 하면에 스테인레스강판(301)을 부착하여 센터빔의 이동이 원활하고, 지지빔 상면과 하면의 부식과 변형을 방지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서는, 센터빔의 하부에 간격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거더의 신장과 수축에 대응하여 신축이음장치가 원활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5, 6은 도 4의 A 확대도이다.
도 7, 8, 9는 도 2는 본 발명의 하부미끄럼패드의 실시예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부미끄럼패드의 삽입 확대도이다.
도 11, 12, 13은 본 발명의 하부미끄럼패드가 하판에 결합되는 실시예들이다.
도 14, 15는 상부유출방지링이 구비된 모습이다.
도 16, 17은 도 4의 B 확대도이다.
도 18은 센터빔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평상시의 센터빔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센터빔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간격조절수단이 회전변위를 수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센터빔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평상시의 센터빔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센터빔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간격조절장치의 확대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센터빔(100), 브라켓(200), 지지빔(300), 고무씰(400)을 포함한다.
각 센터빔(100)의 하면에는 브라켓(200)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200)의 내부를 가로질러 관통하도록 지지빔(300)이 설치된다.
상기 센터빔(100)과 지지빔(300)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I형 단면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반드시 I형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브라켓(200)은 2개의 상판(201), 2개의 측판(202) 및 2개의 측판(202)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는 하판(2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상판(201)이 상기 센터빔(100)의 하면에 부착된다.
이웃하는 센터빔(100)의 사이에는 센터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무씰(400)이 끼워져 센터빔의 이동을 흡수하면서 우수, 이물질 등이 신축이음장치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과 거더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센터빔(100)이, 상기 지지빔(300)에 의해 지지되면서 지지빔(300)의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센터빔(100)의 하면과 상기 지지빔(300)의 상면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상부미끄럼패드(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빔(300)의 하면과 상기 브라켓(200)의 하판(203) 상면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하부미끄럼패드(2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미끄럼패드(10)는 상기 센터빔(100)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미끄럼패드(20)는 브라켓(200)의 상기 하판(203) 위에 결합된다.
도 5에는 상부미끄럼패드(10)의 일실시예가 나타나 있는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상부미끄럼패드(10)는 우레탄디스크(11)와 미끄럼판(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레탄디스크(11)에는 미끄럼판삽입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끄럼판(12)이 상기 미끄럼판삽입홈(11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미끄럼판(12)의 지지빔(300)을 향하는 면에는 윤활제홈(13)이 형성되어 윤활제(grease)를 충전할 수 있다.
도 6에는 상부미끄럼패드(10)의 다른 실시예가 나타나 있는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상부미끄럼패드(10)는 강판(15)과 미끄럼판(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판(15)에는 미끄럼판삽입홈(1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끄럼판삽입홈(151)에 미끄럼판(12)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강판(15)과 미끄럼판(12)의 평면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한데, 사각형도 사용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도 상기 미끄럼판(12)의 지지빔(300)을 향하는 면에는 윤활제홈(13)이 형성되어 윤활제(grease)를 충전할 수 있다.
도 5, 6에 도시되어 있는 상부미끄럼패드(10)를 센터빔(100)의 하면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상부미끄럼패드(10)에는 체결공(14)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빔(100)의 하면에는 체결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10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볼트(16)를 상기 체결홈(101)에 체결하여 상기 상부미끄럼패드(10)를 센터빔(100)의 하면에 체결한다.
이때 체결볼트(16)는 접시머리볼트를 사용하여 볼트머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접시머리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부미끄럼패드에는 접시머리가 수용될 수 있는 접시머리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8, 9에는 하부미끄럼패드(20)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실시예는 하나의 우레탄디스크(21)에 하나의 미끄럼판(22)이 결합된 형태로, 하나의 미끄럼판삽입홈(214)이 형성된 우레탄디스크(21)에 하나의 미끄럼판(22)이 결합된 형태이다.
상기 하나의 미끄럼판(22)에는 1개 이상의 윤활제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하부미끄럼패드(20)는, 미끄럼판을 사용하지 않고 우레탄디스크(21)만으로 하부미끄럼패드(20)를 형성하는 실시예이고, 이때에는 우레탄디스크(21)에 윤활제홈(2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하부미끄럼패드(20)는, 하나의 우레탄디스크(21)에 복수 개의 미끄럼판삽입홈(214)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미끄럼판삽입홈(214)에 작은 미끄럼판(22)들이 결합되는 형태이다.
이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브라켓(200)의 하판(203) 상면에 하부미끄럼패드(20)를 결합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하부미끄럼패드의 우레탄디스크(21)의 둘레면은, 상부수직면(211), 하부수직면(212) 및 상기 상부수직면(211)과 하부수직면(212) 사이에 형성되는 홈(213)이 구비되는 형태이다.
상기 홈(213)의 형상은 도면에는 삼각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곡선형, 반원형 등 다른 형상의 홈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결합구조는 하판(203)에 우레탄디스크삽입홈(204)을 형성하고, 우레탄디스크(21)를 상기 우레탄디스크삽입홈(204)에 삽입하되, 상기 하부수직면(212)이 상기 우레탄디스크삽입홈(204)과 부합하도록 삽입하여 결합하는 구조이다.
즉 우레탄디스크삽입홈(204)의 깊이가, 하부수직면(212)의 높이와 같거나 조금 크도록 하여 상기 우레탄디스크(21)의 하부수직면(212)이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디스크삽입홈(204)과 우레탄디스크(21)의 삽입구조에 의해 충분한 결속력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우레탄디스크삽입홈(204)과 우레탄디스크(21)가 접하는 부분에 접착제를 미리 도포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과 시공에 소용되는 공정과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부미끄럼패드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접착제를 미리 도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 12, 13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결합구조는, 상기 우레탄디스크(21)의 중앙 하면에 핀홈(24)을 형성하고, 상기 하판(203)에는 전단핀(205)이 구비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 핀홈(24)에 상기 전단핀(205)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하부미끄럼패드(20)를 상기 브라켓(200)에 결합하는 구조이다.
상기 핀홈(24) 속에 상기 전단핀(205)이 충분히 삽입되어야 하므로, 핀홈(24)의 높이가 전단핀(205)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이때 도 11, 12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핀홈(24)의 상부에 미끄럼판(22)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핀홈(24)이 우레탄디스크(21)를 상하로 관통하지 않거나, 핀홈(24)이 우레탄디스크(21)를 상하로 관통하여 미끄럼판(22)의 하면까지 이러져도 무방하나(어느 경우이든지 전단핀의 길이가 핀홈의 높이보다는 작거나 같아야 한다), 도 13과 같이 우레탄디스크(21)만으로 하부미끄럼패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핀홈(24)이 우레탄디스크(21)를 상하로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윤활제홈(13, 23)에 충전한 윤활제가 사용 중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미끄럼패드(10)의 둘레에는 상부유출방지링(17)을 구비하고, 하부미끄럼패드(20)의 둘레에는 하부유출방지링(27)을 구비한다.
상부유출방지링(17)은 상부미끄럼패드(10)의 둘레를 감싸면서 센터빔(100)의 하면에 부착되어, 미끄럼판(12)의 옆으로 윤활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하부유출방지링(27)은 하부미끄럼패드(20)의 둘레를 감싸면서 하판(203)의 상면에 부착되어, 윤활제의 유출을 방지한다.
상부유출방지링(17)과 하부유출방지링(27)은 탄성에 의해 밀폐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단면의 형상은 도 14,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끝이 바깥쪽으로 휘어진 평판 형상을 취할 수도 있고, 도 15,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 단면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외 타원, 다각형 형상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빔(300)과 상,하부 미끄럼패드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하고, 접촉면의 부식,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빔(300)의 상면과 하면에 스테인레스강판(301)을 부착할 수 있다. 핀접합 또는 용접을 통해 지지빔과 스테인레스강판이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디스크(21)의 둘레면에는, 상부수직면(211), 하부수직면(212) 및 상기 상부수직면(211)과 하부수직면(212) 사이에 형성되는 홈(213)이 구비되어 있는데(도 8 참조), 이러한 둘레면의 형상, 구조는 상부미끄럼패드에 사용되는 우레탄디스크(11)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도 5 참조).
위에서 설명한 미끄럼판(12, 22)의 재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또는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HMWPE,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센터빔(10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센터빔의 하부에 간격조절수단(3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8 내지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간격조절수단(30)은 센터빔(30)의 중앙 위치에서 센터빔을 가로질러 교축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9, 23은 평상시의 센터빔(100)의 정렬모습이고, 도 18, 22는 상부구조물이 신장했을 때(센터빔의 간격이 좁아졌을 때)의 센터빔 정렬 모습이며, 도 20, 24는 상부구조물이 수축했을 때(센터빔의 간격이 넓어졌을 때)의 정렬모습이고, 도 21은 상부구조물에 횡변위가 발생했을 때 간격조절수단(30)의 회전변위를 수용하는 모습이다.
상기 간격조절수단(30)은, 도 18 내지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흡수하고, 간격 조절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바로 인접하는 센터빔을 연결할 수도 있고(도 22 내지 24 참조), 중앙에 하나의 센터빔을 둔 상태에서 2개의 센터빔을 연결하는 형태도 가능하며(도 18 내지 21 참조), 다른 형태로의 설치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간격조절수단(30)의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도 25 참조), 연결판(31), 상회전마찰판(321), 상고정판(341), 고무판(33), 하고정판(342), 하회전마찰판(322), 상볼트(351) 및 하볼트(3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면에는 상기 연결판(31), 상회전마찰판(321), 상고정판(341) 및 하고정판(342), 하회전마찰판(322)이 떨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해 떨어진 것으로 도시한 것이고, 실제로는 상기 구성들이 서로 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센터빔(100)의 아래에는 상볼트(351)에 의해 연결판(31)이 체결되고, 상기 연결판(31)의 아래쪽에서 하나의 센터빔(100)과 다른 센터빔(100)을 연결하도록 체결되는 고무판(33)이 체결되며, 상기 고무판(33)에 상하면에 접하여 고무판을 고정하는 상고정판(341) 및 하고정판(342)이 체결되고, 간격조절수단의 회전변위 수용과 마찰회전을 통해 간격조절장치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고정판(341)과 연결판(31) 사이에 상회전마찰판(321)이 구비되고, 상기 하고정판(342)의 아래에는 하회전마찰판(3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들 상회전마찰판(321), 상고정판(341), 고무판(33), 하고정판(342) 및 하회전마찰판(322)은 하볼트(352)에 의해 상기 연결판(31)에 체결되며, 간격조절수단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상부구조물이 신장되었을 때 도 18과 같이 고무판(33)의 중앙부분이 두꺼워지면서 상부구조물의 신장을 흡수하고, 상부구조물이 수축했을 때는 도 24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고무판(33)의 중앙부분이 늘어나면서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간격이 벌어졌을 때 고무판에는 복원력이 작용하고 있어 상부구조물이 다시 신장하게 되면 센터빔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고무판은 센터빔의 간격이 줄어들었을 때 고무판이 아래로 쳐지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가져야 하고, 경도 40~70 인 고무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회전마찰판(321) 및 하회전마찰판(322)은 PTFE, UHMWPE를 포함하는 열가소성플라스틱 또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연결판(31), 상고정판(341) 및 하고정판(342)은 철판 또는 스테인레스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센터빔 101. 체결홈
300. 지지빔 301. 스테인레스강판
400. 고무씰
200. 브라켓 201. 상판
202. 측판 203. 하판
204. 우레탄디스크삽입홈 205. 전단핀
10. 상부미끄럼패드
11. 우레탄디스크 12. 미끄럼판
13. 윤활제홈 14. 체결공
15. 강판 16. 체결볼트
17. 상부유출방지링
111. 미끄럼판삽입홈 151. 미끄럼판삽입홈
20. 하부미끄럼패드
21. 우레탄디스크 22. 미끄럼판
23. 윤활제홈 24. 핀홈
27. 하부유출방지링
211. 상부수직면 212. 하부수직면
213. 홈 214. 미끄럼판삽입홈
30. 간격조절수단
31. 연결판
321. 상회전마찰판 322. 하회전마찰판
33. 고무판
341. 상고정판 342. 하고정판
351. 상볼트 352. 하볼트

Claims (10)

  1.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센터빔(100);
    상기 센터빔(100)의 하면에 부착되는 브라켓(200);
    상기 브라켓(2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빔(300)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빔(100)의 하면과 상기 지지빔(300)의 상면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상부미끄럼패드(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빔(300)의 하면과 상기 브라켓(200)의 하판(203) 상면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하부미끄럼패드(20)가 구비되며,
    하나의 센터빔(100)과 다른 센터빔(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간격조절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30)은, 상기 센터빔(100)의 아래에 체결되는 연결판(31); 상기 연결판(31)의 아래쪽에서 하나의 센터빔(100)과 다른 센터빔(100)을 연결하도록 체결되는 고무판(33); 상기 고무판(33)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상고정판(341) 및 하고정판(342); 상기 상고정판(341)과 연결판(31) 사이에 구비되는 상회전마찰판(321); 상기 하고정판(342)의 아래에 구비되는 하회전마찰판(322)을 포함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미끄럼패드(10)는,
    미끄럼판삽입홈(111)이 형성된 우레탄디스크(11)에 미끄럼판(12)이 결합된 것이거나
    미끄럼판삽입홈(151)이 형성된 강판(15)에 미끄럼판(12)이 결합된 것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미끄럼패드(20)는,
    미끄럼판삽입홈(214)이 형성된 우레탄디스크(21)에 미끄럼판(22)이 결합된 것이거나
    윤활제홈(23)이 형성된 우레탄디스크(21)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판삽입홈(214)이 하나이고, 하나의 우레탄디스크(21)에 하나의 미끄럼판(22)이 결합되며, 하나의 미끄럼판(22)에는 윤활제홈(23)이 형성되거나,
    상기 미끄럼판삽입홈(214)이 복수 개이고, 하나의 우레탄디스크(21)에 복수 개의 미끄럼판(22)이 결합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판(12)에는 윤활제홈(13)이 형성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미끄럼패드(10)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빔(100)의 하면에는 체결홈(101)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볼트(16)를 상기 체결홈(101)에 체결하여 상기 상부미끄럼패드(10)를 센터빔(100)의 하면에 체결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디스크(21)의 둘레면에는,
    상부수직면(211); 하부수직면(212); 및 상기 상부수직면(211)과 하부수직면(212) 사이에 형성되는 홈(21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판(203)에는 우레탄디스크삽입홈(20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수직면(212)이 상기 우레탄디스크삽입홈(20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부미끄럼패드(20)를 상기 브라켓(200)에 결합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디스크(21)의 중앙 하면에는 핀홈(2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판(203)에는 전단핀(205)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핀홈(24)에 상기 전단핀(205)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하부미끄럼패드(20)를 상기 브라켓(200)에 결합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9.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미끄럼패드(10)의 둘레에는 상부유출방지링(17)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미끄럼패드(20)의 둘레에는 하부유출방지링(27)이 구비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10.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300)의 상면과 하면에는 스테인레스강판(301)이 부착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1020190048400A 2019-04-25 2019-04-25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10199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00A KR101998406B1 (ko) 2019-04-25 2019-04-25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00A KR101998406B1 (ko) 2019-04-25 2019-04-25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406B1 true KR101998406B1 (ko) 2019-07-11

Family

ID=6725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400A KR101998406B1 (ko) 2019-04-25 2019-04-25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4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2072A1 (de) * 2020-01-29 2021-08-05 Maurer Engineering Gmbh Übergangskonstruktion zur überbrückung einer bauwerksfuge
KR20210140996A (ko) * 2020-05-14 2021-11-23 김태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320A (ja) * 1999-09-07 2001-03-21 Daichi Koei Kk 橋梁用伸縮装置
KR20010112003A (ko) * 2000-06-14 2001-12-20 이 정 수 레일조인트 간격제어용 경사진 탄성베어링
CN102337726A (zh) * 2010-07-26 2012-02-01 辽宁北方橡塑机械有限公司 桥梁模数式伸缩装置
KR101652769B1 (ko) 2014-06-19 2016-09-02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용 단차 및 유간세팅장치
KR101744909B1 (ko) * 2016-08-09 2017-06-09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유지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320A (ja) * 1999-09-07 2001-03-21 Daichi Koei Kk 橋梁用伸縮装置
KR20010112003A (ko) * 2000-06-14 2001-12-20 이 정 수 레일조인트 간격제어용 경사진 탄성베어링
CN102337726A (zh) * 2010-07-26 2012-02-01 辽宁北方橡塑机械有限公司 桥梁模数式伸缩装置
KR101652769B1 (ko) 2014-06-19 2016-09-02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용 단차 및 유간세팅장치
KR101744909B1 (ko) * 2016-08-09 2017-06-09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유지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2072A1 (de) * 2020-01-29 2021-08-05 Maurer Engineering Gmbh Übergangskonstruktion zur überbrückung einer bauwerksfuge
JP7462767B2 (ja) 2020-01-29 2024-04-05 マウレール エンジニアリング ゲーエムベーハー 構造継ぎ目を橋渡しするための移行構造体
KR20210140996A (ko) * 2020-05-14 2021-11-23 김태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KR102388523B1 (ko) 2020-05-14 2022-04-28 김태호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406B1 (ko)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JP5193221B2 (ja) 構造部材のためのカバーアセンブリ
KR101795337B1 (ko) 걸침판부를 가지는 핑거 조인트
KR101969964B1 (ko) 구조체에 두 개의 병치 패널을 열 팽창 및 수축을 허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어셈블리
US8919065B2 (en) Expansion joint system using flexible moment connection and friction springs
US10767320B2 (en) Cover assembly for structural members
JP2018119287A (ja) 橋梁用全方向伸縮継手
KR101415335B1 (ko) 디스크 타입 탄성받침
KR19990066356A (ko) 구조물의 지진격리용 고무받침
CA3014382A1 (en) Expansion joint system
JP3954057B2 (ja) 建造物支承構造
RU2673931C1 (ru) Осевой демпфер
EP2284842B1 (en) Pressure vessel sliding support unit and system using the sliding support unit
GB2070110A (en) Clamp for Fixing Railway Rails
JP2008095932A (ja) すべり支承免震装置
KR200426214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20136132A (ko)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분력을 이용한 수평변위 조절기구와 교좌장치
KR200262486Y1 (ko) 구면형 교좌장치
JP6945758B1 (ja) 滑り免震装置と免震支承
KR100877836B1 (ko) 포트 베어링
KR100962703B1 (ko) 구조물의 이음매
KR100834847B1 (ko) 내진형 교좌장치
WO2023217431A1 (en) Structural sliding bearing
KR102368724B1 (ko) 다층 마찰 면진장치
JPS607371Y2 (ja) 支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