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847B1 - 내진형 교좌장치 - Google Patents
내진형 교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4847B1 KR100834847B1 KR1020070040448A KR20070040448A KR100834847B1 KR 100834847 B1 KR100834847 B1 KR 100834847B1 KR 1020070040448 A KR1020070040448 A KR 1020070040448A KR 20070040448 A KR20070040448 A KR 20070040448A KR 100834847 B1 KR100834847 B1 KR 1008348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elastic
- support member
- support
- earthquak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상부 구조물(교량 상판)과 하부 구조물(교각) 사이에 설치되면서 특히, 지진 발생시 상부 구조물의 과도한 변위 변동을 억제하는 내진형 교좌장치(bridge bearing)가 제공된다. 상기 내진형 교좌장치는, 제 1 구조물과 연계되는 제 1 받침부재(10); 제 2 구조물과 연계되는 제 2 받침부재(30); 상기 제 1,2 받침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패드(50) 또는 베어링유닛; 및 상기 제 1,2 구조물의 변위 변동에 대응하면서 그 두 구조물의 진동에 견디도록 상기 제 1 받침부재(10)와 제 2 받침부재(30) 사이에 연계되는 받침부재 링크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재 링크수단(70)은, 상기 제 1,2 받침부재 연결부위에 대응하여 신장된 링크바디(72), 상기 링크바디(72)에 구비되되 구조물 변위 변동에 대응토록 탄성력을 갖춘 탄성체(74) 및 상기 제 1,2 받침부재(10,30)중 하나와 탄성체(74)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재(7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지진 발생시 구조물의 대형 파손을 예방하는 한편, 특히 기존의 복잡하거나 제작 비용이 고가인 내진형 교좌장치들에 비하여 구조는 간단하면서 내진성은 더 우수하게 한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교좌장치, 내진형 교좌장치, 교량, 상판, 교각
Description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일반적인 교좌장치들의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형 교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도 2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내진형 교좌장치를 도시한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인 내진형 교좌장치의 링크수단 변형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인 내진형 교좌장치의 링크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인 내진형 교좌장치에서 링크수단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인 내진형 교좌장치에서 링크수단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내진형 교좌장치 10,30.... 받침부재(상,하부 플레이트)
12,32.... 링크 조립홈 14,34.... 돌출단
50.... 압축부재 70.... 받침부재 링크수단
72.... 링크바디 74.... 탄성체
76.... 링크부재 80.... 고정판
본 발명은 교량 상판과 교각 사이의 접점에 설치되는 교좌장치(bridge bearing)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교량 상판 등의 상부 구조물의 미세 변위 변동에 대응하면서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받치고, 지진 발생시에는 상부 구조물의 과도한 변위 변동을 차단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지진 발생시 구조물의 대형 파손을 예방하는 한편, 특히 기존의 복잡하거나 제작 비용이 고가인 내진형 교좌장치들에 비하여 구조는 간단하면서 내진성은 더 우수하게 한 내진형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교좌장치는 교량(고가도로 등)의 상판(상부 구조물)과 교각이나 지주(하부 구조물)의 접점에 위치하면서 상판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교각에 전달하고 지진, 바람, 온도 변화 등에 안전하게 적응토록 하는 장치이다.
예컨대, 이와 같은 교좌장치는 교량하중에 적응하고 신축을 흡수하게 함으로 써, 교량의 변위를 교각이나 교대에 직접 전달하지 않게 하고 교좌장치의 완충기능을 거치게 하여 교량의 기능을 원활히 하고 내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이와 같은 알려진 교좌장치는 그 기본 기능으로 받침(支待), 굴림(回轉), 미끄러짐(移動)기능이 있다.
그리고, 교좌장치는 그 상판 받침구조에 따라 고정형과 가동형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a 및 도 1b에서는 종래 알려진 교좌장치 특히, 탄성받침형 교좌장치들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 상판(상부 구조물)에 시공되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교각(하부 구조물)에 안착되는 하부플레이트(120) 및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110)(120) 사이에 게재되어 압축력과 변형력을 지지하는 압축부재(1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좌장치(100)의 상,하부 플레이트(110)(120)에는 필요에 따라 스토퍼(150)들이 부착되어 고정형 또는 가동형의 고정단 또는 가동단으로 사용된다.
이때, 도 1에서 미설명부호인 'B'는 교량 상판(상부 구조물)과 교각(하부 구조물)에 시공되는 앵커볼트이다.
그런데,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한 종래의 일반적인 교좌장치(100)들은 상판과 교각에 각각 일체로 장설되는 상,하부 플레이트(110)(120)들은 상판의 변위에 따라 서로 상대적인 운동을 하면서, 중앙에 개재되는 압축패드(130) 또는 베어링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변형력과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여 교각측으로 전달하므로 지진과 같은 급격한 환경변화가 없는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하중 및 변형력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교좌장치들은 지진 등과 같이 상판에 큰 변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고정단이나 가동단으로 사용되는 스토퍼(150)들이 부착됨에도 불구하고 상,하부 플레이트(110)(120)가 어긋나거나 패드(130)가 이탈되는 등의 이상작용으로 교좌장치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스토퍼 대신에 또는 별도의 내진 구조를 갖춘 내진형 교좌장치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즉, 지진 발생시 교량 상판이 과도하게 변위가 변동되면서 교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진 기능을 갖춘 상태에서 상판을 받치는 내진형 교좌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알려진 종래의 내진형 교좌장치들은,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판의 변위 방향에 대응하는 교좌장치 (내진) 방향성이 한정되거나, 상판의 교각 이탈을 방지하는 내진 효율에 문제가 있거나, 또는 고가의 실린더를 사용하는 복잡한 구조여서 시공이나 장치의 유지 보수도 어렵고, 특히 시공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평상시에는 교량 상판 등의 상부 구조물의 미세 변위 변동에 대응하면서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받치고, 지진 발생시에는 상부 구조물의 과도한 변위 변동을 차단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지진 발생시 구조물의 대형 파손을 예방하는 한편, 특히 기존의 복잡하거나 제작 비용이 고가인 내진형 교좌장치들에 비하여 구조는 간단하면서 변위 변동 대응이나 내진성은 더 우수하게 한 내진형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 1 구조물과 연계되는 제 1 받침부재; 제 2 구조물과 연계되는 제 2 받침부재; 상기 제 1,2 받침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패드 또는 베어링유닛; 및 상기 제 1,2 구조물의 변위 변동에 대응하면서 그 두 구조물의 진동에 견디도록 상기 제 1 받침부재와 제 2 받침부재 사이에 연계되는 받침부재 링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재 링크수단은, 상기 제 1,2 받침부재 연결부위에 대응하여 신장된 링크바디, 상기 링크바디에 구비되되 구조물 변위 변동에 대응토록 탄성력을 갖춘 탄성체 및 상기 제 1,2 받침부재중 하나와 탄성체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교좌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2 구조물 중 하나는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상판과 이 상판을 받치는 교각(또는 지주)중 하나이고, 그 제 1,2 구조물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상판과 교각 중 나머지 하나이며, 상기 제 1,2 받침부재는 해당 구조물에 각각 연계 시공되는 상,하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상기 제1 받침부재와 제 2 받침부재는, 상기 링크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링크 삽입홈을 구비하되 링크수단의 받침부재 교체를 용이토록 일체로 돌출된 돌출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1,2 받침부재 돌출단의 링크 삽입홈과 상기 링크바디에 구비된 탄성체 사이에 수직하게 끼움 연결되어 링크수단은 제 1,2 받침부재에서 이격된 상태로 그 사이에 수평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수단에 구비된 링크바디의 양단부는 상기 탄성체가 설치되는 탄성체 삽입홈이 구비되면서 강도 유지를 위하여 라운딩하게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는 핀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링크부재가 끼워져 구조물 변위 변동과 내진 방 향의 대응성을 높이는 원형의 내접면과 상기 링크바디 삽입홈에 끼워져 밀착되는 외접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링크바디에 걸리어 지지되는 고정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는 링크부재가 끼워지는 내접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의 외접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체의 외접면에는 복수의 탄성판이 체결되어 링크바디의 삽입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는 받침부재의 돌출단에 형성된 링크 삽입홈에 끼워져 스톱핑 볼트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링크부재가 끼워지는 탄성체의 상,하측에는 상기 링크부재에 체결되거나 링크바디에 고정되는 탄성체 고정판이 탄성체를 지지토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형 교좌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진형 교좌장치(1)는, 크게 제 1 구조물과 연계되는 제 1 받침부재(10)와, 제 2 구조물과 연계되는 제 2 받침부재(30)와, 상기 제 1,2 받침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패드(50) 또는 베어링유닛 및, 상기 제 1 받침부재(10)와 제 2 받침부재(30) 사이에 구조물 변위 변동에 대응하면서 구조물 내진을 가능토록 연계되되 구조물의 변위 또는 내진 방향에 대응이 용이하게 구성된 받침부재 링크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교좌장치와 연계되는 상기 제 1,2 구조물은,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 구조물 예를 들어, 교량 또는 고가도로 등의 상판(미도시)과 하부 구조물 예를 들어, 교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받침부재(10)(30)는 상기 제 1 구조물의 상판과 제 2 구조물의 교각에 연계 시공되는 상,하부 플레이트로 제공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면부호 10과 30을 각각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로 설명하고, 연계되는 제 1,2 구조물을 각각 교량의 상판과 교각으로 설명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하부 플레이트(10)(30)에는 상판과 교각 시공시 일체로 장설되는 앵커부재(볼트)(90)들이 도 2 및 도 3과 같이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좌장치(1)가 설치되는 상판과 교각에 각각 연계되는 상 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30) 중 내진이 필요한 구성은 상부 플레이트(10)이다.
즉, 상부 플레이트(10)는 교량 상판과 연계되기 때문에, 교량 상판이 외부 온도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될 때 상부 플레이트도 마찬가지로 변위 변동이 발생된다.
그러나, 하부 플레이트(30)는 교각과 연계되기 때문에, 변위 변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결국, 본 발명의 내진형 교좌장치(1)에서는 상판과 연계되는 상부 플레이트(10)의 변위 변동이 정상 상태에서는 상판 이동에 대응하여 같이 변위가 발생되도록 하고, 지진 등과 같이 과도하게 상판이 이동하는 경우 상부 플레이트(10)의 과도한 변위 변동을 차단하여 내진을 가능하게 한다.
즉, 지진이 발생되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판과 연계되는 상부 플레이트(10)의 변위 변동을 보상 작용하되, 지진 등의 비정상 상태에서는 상부플레이트(10)를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링크수단(70)으로 교각에 고정된 하부 플레이트(30)에 연계하여 상부 플레이트(와 일체의 구조물인 상판)의 과도한 이동을 억제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특히 중요한 것은 본 발명의 교좌장치(1)에서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부 플레이트(10)의 사방으로 돌출된 원형의 돌출단(14)과 하부 플레이트(30)의 사방으로 돌출된 원형의 돌출단(34) 사이에 교대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링크수단(70)들이 수평하게 연계되기 때문에, 상부플레이트(10)의 변위 변동 방향이 어 느 방향이든지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보상하게 한다.
예컨대, 기존에 알려진 대부분의 내진형 교좌장치는 상부 플레이트의 변위 변동 방향에 원활하게 대응하는 방향성에서 한계가 있었는데, 이는 사각의 브라켓트사이에 탄성체를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다음,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플레이트들과 연계되는 링크수단(7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측 상부 플레이트(10)와 교각측 하부 플레이트(30) 사이에 연계되는 본 발명의 받침부재 링크수단(70)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0)(30) 연결부위에 대응하여 신장된 링크바디(72)와, 상기 링크바디(72)에 구비되되 구조물 변위 변동에 대응토록 탄성력을 갖춘 탄성체(74) 및, 상,하부 플레이트(10)(30)와 탄성체(74)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부재(7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30)에는 상기 링크부재(76)가 조립되는 링크 삽입홈(12)(32)을 포함하되 링크수단의 연결을 가능토록 일체로 돌출된 원형의 돌출단(14)(34)들을 포함한다.
즉, 상기 돌출단들은 정사각형의 플레이트 사방에 일체로 돌출되되, 상부 플레이트(10)의 돌출단(14)과 하부 플레이트(30)의 돌출단(34)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형태인데, 이는 상기 링크수단(70)의 링크부재(76) 연결을 위한 배치이다.
이때,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10)(30)의 사방에 서로 엇갈리게 일체로 돌출되는 돌출단(14)(34)들은 링크수단(70)이 연결되므로 시공후 링크수단의 교체를 용 이하게 하기 위하여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링크수단의 연결부위가 어느정도 이격되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링크수단(70)이 상,하부 플레이트 몸체에 너무 밀착되면 시공시 콘크리트 등이 부착되어 나중에 링크수단의 교체를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바디(72)의 양측에는 상기 탄성체(14)가 조립되는 탄성체 삽입홈(72a)이 구비되고, 상기 링크부재(76)는 핀부재이다.
특히, 상기 탄상체(74)는 링형태로 그 내부로 링크부재(76)가 끼워지는 링크핀 내접면(74a)은 상부 플레이트와 연결된 링크부재(74)가 이동하는 변위 방향이 어느쪽이든 링크부재의 변위 변동이나 복귀를 용이토록 하는 탄성 작용과 내진 방향 대응성을 높이도록 원형의 내접면(74a)으로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링크수단(70)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0)의 돌출단 삽입홈(12)에 링크부재(76)가 끼워지고, 이 링크부재는 하측에 위치된 링크바디(72)의 삽입홈(72a)에 끼움 조립된 탄성체(74)의 원형 내접면(74a)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상판의 변위 변동시 상부 플레이트(10)의 돌출단 삽입홈(12)에 수직하게 끼워지는 링크부재(76)는 상판과 일체로 상부플레이트의 변위 변동시 같이 변위로 변동되고, 이때 링크수단(70)의 링크바디(72)에 양단부측으로 라운딩한 부위의 홈(72a)에 끼워진 탄성체(74)의 일 부위를 압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74)는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제공되고, 따라서 도 6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과 상부 플레이트(10)와 이에 연계되는 링크부재(76)가 상판 변위 변동으로 이동하면 탄성체(74)를 압박하지만, 상판 변위 변동이 복귀되면 탄성체(74)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이므로 복귀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링크수단(70)에서 탄성체는 상판 변위 변동 특히, 정상적인 온도에 따른 상판의 미세 변위 변동을 수용하고 보상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체(74)가 링 형태이므로 그 내경면의 링크부재 내접면(74a)이 원형이기 때문에, 상판 변위 변동 방향이 어느 방향으로 발생하든 원활하게 수용 보상한다.
즉, 본 발명의 탄성체(74)는 끼워지는 링크부재(76)의 변위 변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형성이 우수한 것이고, 균일하게 작용되게 한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76)는 받침부재 링크 삽입홈(12)(32)에 끼워진 상태에서 구멍(h)을 통하여 스톱핑 볼트(76a)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76)가 끼워지는 탄성체(74)를 링크바디에서 고정토록 상기 링크부재(76)에는 상,하로 고정판(80)이 체결될 수 있는데, 상기 링크부재(76)의 상,하측에 나사를 형성시키고, 이에 링형태의 상기 고정판(80)을 체결하여 탄성체(74)가 링크바디(72)의 홈(72a)에서 링크부재의 유동(변위 변동)에 따라 상,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고정판(80)은 링형태로 중앙에는 링크부재가 통과하는 구 멍이 형성된 상태로 링크바디에 용접 등으로 탄성체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반원형 형태로 하나의 링을 형성하는 행태로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탄성체(74)는 탄성력이 우수하고 내구성도 높으면서 수명도 긴 가황고무로 성형시키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상기 탄성체(74)는 탄성력이 우수한 합성고무 예를 들어 'neoplane rubber'일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탄성체(74)는 스틸과 고무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외접면(74b)에 도포하여 링크바디(72)의 홈(72) 내부에 부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이하에서는 상기 링크수단(70)의 여러 변형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판(80)은 체결 수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먼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74)는, 상기 링크바디(72)의 홈(72a)에 걸리어 지지되는 고정턱(7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탄성체(74)의 링크바디 홈 체결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다음,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74)의 링크부재(76)인 링크핀 접면은 링크부재(76)인 링크핀 조립력을 높이토록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 내접면(74a')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경우, 링크핀의 직경(D1)을 탄성체 내접면(74a')간의 간격 D2보다 약간 크게 하면, 끼움시 탄성체를 억지 끼움형태로 압박하기 때문에, 조립력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링크부재(76)가 연계된 상판과 상부 플레이트(10)의 변위 변동과 복귀시 탄성체의 탄성 작용성도 우수하게 할 것이다.
다음,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탄성체(74)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링크바디(72)의 탄성체 삽입홈(72a)에 끼워지는 상기 탄성체(74)의 외접면(74b)에는 다수개의 돌기(74b')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74b')들은 도 9의 요부도와 같이, 링크부재(76)의 변위 변동으로 탄성체가 압박된후 링크부재의 복귀 즉, 상판과 상부플레이트의 복귀시 그 복귀력을 보다 강화시키는 역할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다음,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탄성체(74)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74)의 외접면을 8각형 등의 다각면(74b")으로 형성시키고, 각각의 면에 홈(78a)을 수직으로 형성시키고, 상판 과 상부 플레이트(10)의 변위 변동후 복귀력을 높이도록 탄성판(78) 즉, 판스프링을 체결한 후, 이와 같이 구조 개선된 탄성체를 링크바디(72)의 삽입홈(72a)에 끼워서 조립하고, 도 6의 고정판(80)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경우, 상기 탄성판(78)은 링크부재(76)가 연계된 상판과 상부 플레이트(10)의 변위 변동시 대응과 복귀시 탄성 복귀력을 보다 강하게 제공하여 링크부재와 연계된 상판과 상부 플레이트의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변위 변동을 원활하게 한다.
물론, 도 7 내지 도 10의 탄성체의 여러 변형예들에 있어서, 상판이 지진 등으로 과도하게 변위가 변동되는 경우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링크수단(70)의 링크바디(72) 길이가 한정되어 있고, 일단은 상부 플레이트, 타단은 하부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과 상부 플레이트와 링크부재의 과도한 변위 변동은 어느 방향으로 진행되든지 억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내진형 교좌장치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교량 상판을 미세 변형에 대응하면서 안정적으로 받치고, 지진 발생시에는 상판의 과도한 변위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한다.
또한, 교량의 수명을 연장하고 지진 발생시 교량의 대형 파손을 예방하게 한다.
특히, 기존의 복잡한 구조의 내진형 교좌장치들에 비하여 구조는 간단하면서 내진성은 우수하게 작용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1)
- 제 1 구조물과 연계되는 제 1 받침부재(10);제 2 구조물과 연계되는 제 2 받침부재(30);상기 제 1,2 받침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패드(50) 또는 베어링유닛; 및상기 제 1,2 구조물의 변위 변동에 대응하면서 그 두 구조물의 진동에 견디도록 상기 제 1 받침부재(10)와 제 2 받침부재(30) 사이에 연계되는 받침부재 링크수단(70);을 포함하며,상기 받침부재 링크수단(70)은, 상기 제 1,2 받침부재 연결부위에 대응하여 신장된 링크바디(72), 상기 링크바디(72)에 구비되되 구조물 변위 변동에 대응토록 탄성력을 갖춘 탄성체(74) 및 상기 제 1,2 받침부재(10,30)중 하나와 탄성체(74)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재(7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교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구조물 중 하나는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상판과 이 상판을 받치는 교각(또는 지주)중 하나이고, 그 제 1,2 구조물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상판과 교각 중 나머지 하나이며, 상기 제 1,2 받침부재는 해당 구조물에 각각 연계 시공되는 상,하부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교좌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부재(10)와 제 2 받침부재(30)는, 상기 링크부재(76)가 끼워져 고정되는 링크 삽입홈(12)(32)을 구비하되 링크수단의 받침부재 교체를 용이토록 일체로 돌출된 돌출단(14)(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교좌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76)는 상기 제1,2 받침부재 돌출단의 링크 삽입홈(12)(32)과 상기 링크바디에 구비된 탄성체(74) 사이에 수직하게 끼움 연결되어 링크수단은 제 1,2 받침부재에서 이격된 상태로 그 사이에 수평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교좌장치.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에 구비된 링크바디(72)의 양단부는 상기 탄성체(14)가 설치되는 탄성체 삽입홈(72a)이 구비되면서 강도 유지를 위하여 라운딩하게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76)는 핀부재로 제공되며,상기 탄성체(74)는 상기 링크부재가 끼워져 구조물 변위 변동과 내진 방향의 대응성을 높이는 원형의 내접면(74a)과 상기 링크바디 삽입홈(72a)에 끼워져 밀착되는 외접면(7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교좌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74)는, 상기 링크바디(72)에 걸리어 지지되는 고정턱(74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교좌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74)는 링크부재가 끼워지는 내접면(74a')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교좌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74)의 외접면(74b)에는 다수개의 돌기(74b')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교좌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74)의 외접면(74b)에는 복수의 탄성판(78)이 체결되어 링크바디(72)의 삽입홈(72a)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교좌장치.
- 제4항,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76)는 받침부재의 돌출단에 형성된 링크 삽입홈(12)(32)에 끼워져 스톱핑 볼트(76a)로 체결 고정되고,상기 링크부재(76)가 끼워지는 탄성체(74)의 상,하측에는 상기 링크부재(76)에 체결되거나 링크바디에 고정되는 탄성체 고정판(80)이 탄성체를 지지토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교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0448A KR100834847B1 (ko) | 2007-04-25 | 2007-04-25 | 내진형 교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0448A KR100834847B1 (ko) | 2007-04-25 | 2007-04-25 | 내진형 교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4847B1 true KR100834847B1 (ko) | 2008-06-03 |
Family
ID=3976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0448A KR100834847B1 (ko) | 2007-04-25 | 2007-04-25 | 내진형 교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484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6398A (ko) * | 2019-03-04 | 2020-09-14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내진 신축이음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74515U (ko) | 1981-04-28 | 1982-11-04 | ||
JPH07180114A (ja) * | 1993-12-24 | 1995-07-18 | Ohbayashi Corp | 免震支承のせん断変形修正構造 |
JPH0913324A (ja) * | 1995-07-03 | 1997-01-14 | Kawasaki Heavy Ind Ltd | 構造物用免震支承構造 |
KR200338431Y1 (ko) | 2003-10-02 | 2004-01-16 | (주)한맥기술 | 교량의 충격하중 분산 교좌장치 |
KR20060114973A (ko) * | 2005-05-03 | 2006-11-08 | 주식회사 기주건설 | 교량구조물의 내진보강용 충격완화장치 |
KR100646329B1 (ko) | 2005-06-02 | 2006-11-23 |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 교량의 내진 장치 |
-
2007
- 2007-04-25 KR KR1020070040448A patent/KR10083484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74515U (ko) | 1981-04-28 | 1982-11-04 | ||
JPH07180114A (ja) * | 1993-12-24 | 1995-07-18 | Ohbayashi Corp | 免震支承のせん断変形修正構造 |
JPH0913324A (ja) * | 1995-07-03 | 1997-01-14 | Kawasaki Heavy Ind Ltd | 構造物用免震支承構造 |
KR200338431Y1 (ko) | 2003-10-02 | 2004-01-16 | (주)한맥기술 | 교량의 충격하중 분산 교좌장치 |
KR20060114973A (ko) * | 2005-05-03 | 2006-11-08 | 주식회사 기주건설 | 교량구조물의 내진보강용 충격완화장치 |
KR100646329B1 (ko) | 2005-06-02 | 2006-11-23 |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 교량의 내진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6398A (ko) * | 2019-03-04 | 2020-09-14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내진 신축이음장치 |
KR102174473B1 (ko) | 2019-03-04 | 2020-11-05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내진 신축이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2956B1 (ko) |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기구 | |
KR200398506Y1 (ko) |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 |
KR20090127692A (ko) |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 |
KR101062220B1 (ko) | 교량용 내진 받침장치 | |
KR100687452B1 (ko) | 교좌장치 | |
KR101051059B1 (ko) | 면진용 디스크 받침 | |
KR100834847B1 (ko) | 내진형 교좌장치 | |
KR100965236B1 (ko) | 진동 흡수가 가능한 트러스교 | |
JP4274557B2 (ja) | 水平荷重弾性支持装置 | |
KR101117297B1 (ko) | 자체복원능력을 갖는 지진격리장치 | |
KR200262491Y1 (ko) |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 |
KR200402133Y1 (ko) | 가동형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 |
KR101297635B1 (ko) | 마찰판의 탈락 방지수단을 구비한 구조용 받침 | |
KR100784609B1 (ko) | 교량용 내진 받침장치 | |
KR101386048B1 (ko) | 스페리칼 받침 | |
KR100731788B1 (ko) | 자석 키를 가진 일체형 탄성받침 | |
KR100303287B1 (ko) | 무교좌및무신축이음형교대구조 | |
KR20140117052A (ko) |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 |
KR101341845B1 (ko) | 고하중용 디스크받침 | |
KR200289990Y1 (ko) | 교량용 탄성받침대 | |
KR20160109284A (ko) | 교량용 탄성 받침 | |
KR100448486B1 (ko) | 교좌장치 | |
KR101409400B1 (ko) | 모자형 강재댐퍼를 구비한 고무탄성받침 | |
KR101105642B1 (ko) | 일체형 교량받침 | |
KR200418599Y1 (ko) | 시공이 편리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