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491Y1 -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 Google Patents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491Y1
KR200262491Y1 KR2020010030141U KR20010030141U KR200262491Y1 KR 200262491 Y1 KR200262491 Y1 KR 200262491Y1 KR 2020010030141 U KR2020010030141 U KR 2020010030141U KR 20010030141 U KR20010030141 U KR 20010030141U KR 200262491 Y1 KR200262491 Y1 KR 200262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frame
buffer
bridge
larg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조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철 filed Critical 조영철
Priority to KR2020010030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491Y1/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교각과 상판에 각각 부착되는 하부판과 상부판의 사이에 유동가능한 이동몸체를 장치하고 이 이동몸체에 수평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들을 사방으로 설치하는 한편 이동몸체와 하부판 사이에 완충디스크를 개재하여 결합함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의 충격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에서의 큰 충격에도 교량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강도의 완충디스크를 장착함에 의하여 큰 수직하중에도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부구조물(상판)의 형태에 상관없이 소,중,장 지간의 교량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뛰어나다. 본 장치는 또한 지압면적이 작으므로 큰 연단거리확보가 필요치 않아 설치가 용이하다. 특히, 본 교좌장치는 지진등과 같은 급격한 횡방향의 충격력은 완충부재를 통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완충부재를 외부에서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완충부재의 파손이나 성능저하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Description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A Structural Bearing with a Large Shock Absorbing Force}
본 고안은 교량구조물에서 교각상에 상판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교각과 상판에 각각 부착되는 하부판과 상부판의 사이에 유동가능한 이동몸체를 장치하고 이 이동몸체에 수평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들을 사방으로 설치하는 한편 이동몸체와 하부판 사이에 완충디스크를 개재하여 결합함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의 충격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에서의 큰 충격에도 교량을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좌장치란 교량의 슬라브 구조체인 상판이 이를 지지하는 교각상에 적절히 얹혀져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 교량의 규격이나 지지하중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와 기능을 갖는다.
종래 교좌장치의 하나로 탄성고무와 납을 이용한 것이 있는 데, 이는 지진의 방향에 관계없이 전체 횡방향에 대해 면진기능이 있으나 충격흡수량에 한계가 있어 작은 구조물에만 사용되고, 지속적인 지진에는 충격흡수력이 더욱 떨어지며 납과의 접촉면에 있는 고무가 녹는 현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교체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그 외에 탄성고무와 특수고무를 이용한 것이 있는 데, 이는 내구성이 좋고 전체 횡방향에 대해 면진기능이 있으나, 이 역시 면진력이 떨어지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교각과 상판 사이에 별도로 설치하여 교각에 미치는 지진에 의한 횡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점성댐퍼를 설치하기도 하지만, 점성댐퍼가 설치된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력만을 흡수할 수 있고, 받침과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며 시공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타 교좌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특허공개번호 제2000-58244호 '충격전이용 교좌장치' 에 게재된 것이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한 방향의 횡력만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다른 방향으로 횡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전혀 그 기능을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 기존의 교좌장치들은 교량이 길어 열변위가 크게 발생할 경우 그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진과 같은 급격한 충격을 신속하게 완화하는데 역부족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교량의 교각과 상판에 각각 부착되는 하부판과 상부판의 사이에 유동가능한 이동몸체를 장치하고 이 이동몸체에 수평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들을 사방으로 설치하는 한편 이동몸체와 하부판 사이에 완충디스크를 개재하여 결합함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의 충격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에서의 큰 충격에도 교량을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및 그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부판 102 : 볼트공
110 : 하부안착부 200 : 상부판
202 : 볼트공 204 : 너트공
210 : 미끄럼판 220,220a : 안내틀체
222 : 관통공 224 : 장착공
226 : 미끄럼판 230 : 고정볼트
232 : 너트 300 : 이동몸체
302 : 지지공 310 : 상부안착부
320 : 접촉판 330 : 미끄럼판
400~400c : 완충부재 402 : 중공
410 : 장착대 412 : 너트
420 : 접촉판 500,500a : 완충디스크
510 : 금속링 520 : 고정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는 교량의 교각상에 설치되어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교각과 상판 상호간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각상에 고정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상에 이동가능케 고정되는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와 상기 하부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교량의 수직하중을 완충하는 완충디스크; 상기 이동몸체상에 이동가능케 장착되며, 저부에 상기 이동몸체를 에워싸는 사각형의 안내틀체를 구비하는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안내틀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측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교각과 상판 상호간에 작용하는 모든 수평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및 그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교각(10)상에 부착되는 하부판(100)과, 이 하부판(100)상에 위치되어 교각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교량의 상판이 고정되는 상부판(200) 및, 이 상부판(200)과 하부판(100) 사이에 개재되어 하부판(100)과 상부판(200)이 일정변위로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이동몸체(300)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이동몸체(300)의 상부에는 완충부재(400)가 사방으로 설치되어 교량상판의 길이방향으로의 요동 및 폭방향으로 요동을 함께 완화시키게 된다. 대략적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판(100)은 교량의 교각(10)에 고정되는 부재로, 교각(10)에 앵커소켓(Anchor Socket)(20)을 매설한 상태에서 체결볼트(30)로 체결하여 고정되는 데, 이를 위해 하부판(100)의 가장자리에는 볼트공(102)들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판(100)의 중심상에는 원형으로 돌출하여 하부안착부(110)를 형성하고 있다. 이 하부안착부(110)는 그와 대응되는 이동몸체(300)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안착부(310)와 회전가능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안착부(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를 이루고 있으며, 그에 안착되는 상부안착부(310)는 요입부를 이루어 상호 요철결합되게 되는 데, 이때 그 사이에 완충디스크(500)가 개재되게 된다. 이 완충디스크(500)는 상하요동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재질은 고무로 되어 있으며, 그 하방외주연에 금속링(510)을 설치하여 요입부인 상부안착부(3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상부안착부(310) 및 하부안착부(110)는 원통형으로 형상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그것은 교량의 상하요동시 좌우로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으로, 그 비틀림에 탄성의 완충디스크(500)가 유효적절하게 비틀리면서 이동몸체(300)가 하부판(100)에서 어느정도 선회되면서 비틀림의 요동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부안착부(310) 및 하부안착부(110)는 이외에도 팔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단면으로 형상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안착부(310)를 요입부로 그리고 하부안착부(110)를 돌출부로 하여 상호 결합하고 있으나, 반대로 하여 상부안착부(310)를 돌출부로 그리고 하부안착부(110)를 요입부로 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몸체(300)의 상부면에는 안착되는 상부판(200)과의 진동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불소수지의 접촉판(320)이 부착되어 있고, 그와 밀착되는 상부판(200)의 저면부에도 접촉판(320)의 좌우로의 이동시 접촉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의 미끄럼판(210)이 부착되어 있다.
상부판(200)은 이동몸체(300)를 에워싸는 사각박스형의 안내틀체(220)가 저면에 취부되어 있다. 이를 위해 안내틀체(220)가 장착되는 상부판(200)에는 볼트공(202)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틀체(220)에도 수직방향으로 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안내틀체(220)의 하방에서 관통공(222)에 고정볼트(230)를 수직방향으로 삽입시켜 볼트공(202)을 통해 상부판(200)의 상면부로 돌출한 볼트(230)단에 너트(232)를 체결하여 안내틀체(220)를 상부판(200)에 고정하고 있다.
사각박스형의 안내틀체(220)는 사방에서 그 내부에 위치한 이동몸체(300)의 측면에 밀착되게 수평방향으로 완충부재들(400,400a,400b,400c)이 장착되어 있다. 이 완충부재(400,400a,400b,400c)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는 원통형의 스프링(Mass Energy Regulator Spring)으로, 고무에 비하여 16배이상 큰 압축계수를 가지며 수십만회의 고속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고 일반적으로 2개에서 8개 정도가 장착되는 데,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사방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완충부재(400,400a,400b,400c)는 안내틀체(220)와 이동몸체(300) 사이에서 지속적인 복원력을 제공하여 교량의 상,하부구조물 사이에서 지나친 변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지진후 상부구조물의 원위치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완충부재(400,400a,400b,400c)는 상시변위가 작용할 때는 그 총길이에서 30%정도까지 수축변위를 허용할 수 있게 하고, 지진시에는 60%정도까지 변위를 허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완충부재로는 MER스프링 대신에 다른 탄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완충부재(400,400a,400b,400c)는 도 2b에서 보는 바와같이 그 외측단부의 내측에 체결된 장착대(410)가 완충부재(400,400a,400b,400c)의 중공(402)을 관통하면서 안내틀체(220)에 사방으로 천공된 장착공(224)들에 삽입되어 안내틀체(220)의 외부에서 너트(412)를 체결하여 수평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고정되게 된다. 이때, 안내틀체(220)에 고정된 완충부재(400,400a,400b,400c)의 외측단은 안내틀체(220)내에 수용되어 있는 이동몸체(300)의 측면에 밀착되게 된다.
안내틀체(220)는 이물질이 완충부재(400,400a,400b,400c)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어 마찰면들과 완충부재의 부식을 방지함에 의하여 내구성을 유지도록 하며, 그에 장착된 완충부재(400,400a,400b,400c)는 그 단부에 불소수지의 접촉판(420)이 부착되어 있고, 그와 밀착되는 이동몸체(300)의 측면부위에는 불소수지와의 마찰계수가 작아 진동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의 미끄럼판(330)이 부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교량의 요동시 이동몸체(300)에 고정된 미끄럼판(330)과 완충부재(400,400a,400b,400c)에 고정된 접촉판(420)이 밀착되면서 완충부재(400,400a,400b,400c)는 압축되게 되는 데, 이때 장착대(410)는 장착공(224)을 통해 안내틀체(220)외부로 그 변위만큼 출수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되어 상호운동하는 부위들에는 스테인리스스틸의 미끄럼판과 불소수지의 접촉판이 부착되어 접촉하고 있는 데, 접촉판으로는 폴리테트라 폴로루 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PTFE)코팅을 이용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이 PTFE는 유백색이며 유연한 수지의 일종이다. 특히, 접촉부위중에서 이동몸체(300)와 그에 안착된 상부판(200)은 수직하중을 받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의 미끄럼이 클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이동몸체(300)의 상면부에 부착된 접촉판(320)은 그와 접촉하는 스테인리스스틸의 미끄럼판(210)과의 마찰계수를 크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대략 0.15~0.08이 적당하다. 이를 위해, 이동몸체(300)에 부착된 접촉판(320)으로는 탄소가 많이 함유된 특수 PTFE가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서 본 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교량의 열팽창이나 지진등에 의한 변위가 발생하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변화가 있게 되는 데, 그러면 그러한 충격은 완충부재(400,400a,400b,400c)로 전달된다. 그에 따라서, 상부판(200)이 이동몸체(300)에서 이동하면서 완충부재(400,400a,400b,400c)가 순간적으로 수축팽창하여 순간적인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완충부재(400,400a,400b,400c)는 사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직선상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완충부재가 그 탄성방향쪽의 충격을 흡수하고, 그와 대략 수직한 방향의 진동은 그와 직교하게 일직선상에 배치된 다른쪽 한쌍의 완충부재가 흡수하게 된다. 이때, 완충부재(400,400a,400b,400c)의 좌우방향으로의 요동은 그 단부에 부착된 접촉판(420)이 그와 접촉하고 있는 이동몸체(300)의 미끄럼판(330)상에서 미끄럼이동하면서 완화시키게 된다.
물론, 이때의 수직방향으로의 변위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몸체(300)와 하부판(100) 사이에 개재된 완충디스크(500)가 수축팽창하면서 흡수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로, 본 실시예는 도 1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완충부재의 장착구조를 보다 단순화시킨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2b에 개시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발췌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400)를 이동몸체(300)에 장착하여 수평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며 이동가능케 지지한 것으로, 완충부재(4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측단부의 내측에 체결된 장착대(410)가 완충부재(400)의 중공(402)을 관통하면서 이동몸체(300)에 사방으로 천공된 지지공(302)들에 삽입되어 지지되게 된다. 이때, 상부판(200)의 저면부에는 완충부재(400)의 외측단에 밀착되는 내면을 갖는 박스형의 안내틀체(220a)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에 개시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안내틀체(220a)를 상부판(200)에 일체로 형성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있다. 이 안내틀체(220a)는 완충부재(400)가 이동몸체(300)에서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규제하여 진동시 완충부재의 저항강성을 유지도록 하는 동시에 이물질이 완충부재(400)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어 마찰면들과 완충부재의 부식을 방지함에 의하여 내구성을 유지도록 하는 것으로, 완충부재(400)와 밀착되는 부위에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의 미끄럼판(226)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와 밀착되는 완충부재(400)의단부측면에는 스테인리스스틸과의 마찰계수가 작아 요동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불소수지의 접촉판(420)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교량의 요동시 상부판(200)의 안내틀체(220a)에 고정된 미끄럼판(226)과 완충부재(400)에 고정된 접촉판(420)이 밀착되면서 완충부재(400)는 압축되게 되는 데, 이때 장착대(410)는 지지공(302)을 통해 이동몸체(300)의 내부로 그 변위만큼 진입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이동몸체와 하부판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적용하였으며, 이와 함께 안내틀체를 상부판에 고정하는 구조도 약간의 변화를 주었다. 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판(100)과 이동몸체(300) 사이에는 상하요동에 따른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디스크(500a)가 개재되어 있다. 이 완충디스크(500a)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제조되며, 하부판(100)과 이동몸체(300)를 결합하는 고정핀(520)에 의해 하부판(100)과 이동몸체(30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결합되게 된다. 특히, 완충디스크(500a)는 평균압축응력 5.0Ksi를 수용하며 회전을 허용하도록 설계된 고강도 폴리우레탄판으로, 적당한 압축변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외부에 오목한 홈이 있으며 내부에는 적당한 회전여유가 있다. 통상 완충디스크(500a)의 허용회전량은 0.02Rad이며, 필요시 그 허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디스크(500a)를 회전가능케 지지하고 있는 고정핀(520)은 회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강도 핀으로, 전단(Shear), 벤딩(Bending),지압(Bearing)에 대하여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고정핀(520)에 의해 완충디스크(500a)를 개재하고 하부판(100)과 이동몸체(3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교량의 진동시 하부판(100)과 이동몸체(300)는 수직방향으로의 변위는 물론 상호 회전방향으로의 변위도 수용하여 완충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400)가 도 1에서와 같이 안내틀체(220)에 장착되어 안내틀체(2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이동몸체(300)의 측면을 향하여 밀착되고 있다. 그리고, 안내틀체(220)에는 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있고, 그와 대응되는 상부판(200)에는 고정볼트(230)와 체결되는 암나선이 형성된 너트공(20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틀체(220)를 상부판(200)의 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230)를 하방에서 수직하게 세워 안내틀체(220)의 관통공(222)을 관통시켜 상부판(200)의 너트공(204)에 체결함으로써 상부판(200)의 저부에 안내틀체(220)를 고정하게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받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는 교량의 교각과 상판에 각각 부착되는 하부판과 상부판의 사이에 유동가능한 이동몸체를 장치하고 이 이동몸체에 수평방향으로 완충부재들을 사방으로 설치하여 모든 수평방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아울러, 이동몸체와 하부판 사이에 고탄성의 완충디스크를 개재하여 결합함에 의하여 수직방향에서의 큰 충격에도 교량을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부구조물(상판)의 형태에 상관없이 소,중,장 지간의 교량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뛰어나며, 형태 및 구조가 간단하며 기존의 제품에 비해 제품높이가 낮아 재래식 교좌장치가 설치된 기존교량의 유지보수용으로도 적합하다. 더 나아가,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은 기존교량의 구조체를 내진보강하지 않고서도 교좌장치만을 교체하여 기존교량의 내진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지압면적이 작으므로 큰 연단거리확보가 필요치 않아 설치가 용이하다. 특히, 본 교좌장치는 지진등과 같은 급격한 횡방향의 충격력은 완충부재를 통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완충부재의 교축 및 교축직각방향의 압축강성을 각각 달리할 수 있으므로 충격량에 따른 설계가 용이함은 물론, 완충부재를 외부에서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완충부재의 파손이나 성능저하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Claims (12)

  1. 교량의 교각상에 설치되어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교각과 상판 상호간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각상에 고정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상에 이동가능케 고정되는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와 상기 하부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교량의 수직하중을 완충하는 완충디스크;
    상기 이동몸체상에 이동가능케 장착되며, 저부에 상기 이동몸체를 에워싸는 사각형의 안내틀체를 구비하는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안내틀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측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교각과 상판 상호간에 작용하는 모든 수평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하부판에 탑재되는 저면부에 상부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판은 상기 상부안착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하부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안착부와 상기 하부안착부 사이에 상기 완충디스크가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착부와 하부안착부는 어느 일측이 원통형상으로 돌출하며, 그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타측은 상기 완충디스크를 개재하고 상기 원통형상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요입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과 상기 이동몸체는 그 대응면부가 평면부를 이루며, 그 사이에 완충디스크를 개재하고 고정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축심상에 장착대가 구비되고 그 내단이 상기 이동몸체에 밀착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대가 상기 이동몸체에 형성된 지지공내부로 일정부분 진입되어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편 외측단은 상기 안내틀체의 내면에 밀착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외단부와 그와 밀착되는 상기 안내틀체의 내면에는 각각 마찰계수가 작은 불소수지의 접촉판과 스테인리스스틸의 미끄럼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7.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축심상에 장착대가 구비되고 그 내단이 상기 안내틀체에 밀착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대가 상기 안내틀체에형성된 장착공을 관통하여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편 외측단은 상기 이동몸체의 외측면에 밀착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외단부와 그와 밀착되는 상기 이동몸체의 외면에는 각각 마찰계수가 작은 불소수지의 접촉판과 스테인리스스틸의 미끄럼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의 상면과 그와 대응되는 상기 상부판의 저면에는 각각 마찰계수가 작은 불소수지의 접촉판과 스테인리스스틸의 미끄럼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틀체는 상기 상부판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틀체에는 수직의 관통공이 천공되고, 상기 상부판의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공이 천공되어, 상기 안내틀체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 및 상기 볼트공을 통과하여 출수된 상기 볼트단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안내틀체를 상기 상부판의 저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틀체에는 수직의 관통공이 천공되고, 상기 상부판의 대응되는 부위에는 암나선이 형성된 너트공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틀체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을 관통시켜 상기 너트공에 체결함에 의하여 상기 안내틀체를 상기 상부판의 저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KR2020010030141U 2001-09-29 2001-09-29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KR200262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41U KR200262491Y1 (ko) 2001-09-29 2001-09-29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41U KR200262491Y1 (ko) 2001-09-29 2001-09-29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491Y1 true KR200262491Y1 (ko) 2002-03-20

Family

ID=7306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141U KR200262491Y1 (ko) 2001-09-29 2001-09-29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491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328A (ko) * 2002-08-10 2002-11-18 양병찬 회전자유형 마찰지진격리장치
KR100773879B1 (ko) 2005-12-13 2007-11-06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교좌장치
KR100826279B1 (ko) * 2007-09-06 2008-04-29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폴리우레탄 디스크를 이용한 지진격리장치
KR100997697B1 (ko) * 2008-04-16 2010-12-02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교량용 면진받침
KR100997698B1 (ko) * 2008-04-17 2010-12-02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교량용 면진받침
KR101072070B1 (ko) 2008-07-01 2011-10-10 조영철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KR101081439B1 (ko) 2008-08-08 2011-11-09 (주)엠피기술산업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KR101483071B1 (ko) * 2013-03-26 2015-01-16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KR101483997B1 (ko) 2013-05-02 2015-01-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부품 교체 및 검사가 용이한 마찰 면진장치
CN115180007A (zh) * 2022-08-09 2022-10-14 安徽超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太阳能板用的具有缓冲保护功能的运输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328A (ko) * 2002-08-10 2002-11-18 양병찬 회전자유형 마찰지진격리장치
KR100773879B1 (ko) 2005-12-13 2007-11-06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교좌장치
KR100826279B1 (ko) * 2007-09-06 2008-04-29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폴리우레탄 디스크를 이용한 지진격리장치
KR100997697B1 (ko) * 2008-04-16 2010-12-02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교량용 면진받침
KR100997698B1 (ko) * 2008-04-17 2010-12-02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교량용 면진받침
KR101072070B1 (ko) 2008-07-01 2011-10-10 조영철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KR101081439B1 (ko) 2008-08-08 2011-11-09 (주)엠피기술산업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KR101483071B1 (ko) * 2013-03-26 2015-01-16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KR101483997B1 (ko) 2013-05-02 2015-01-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부품 교체 및 검사가 용이한 마찰 면진장치
CN115180007A (zh) * 2022-08-09 2022-10-14 安徽超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太阳能板用的具有缓冲保护功能的运输装置
CN115180007B (zh) * 2022-08-09 2023-12-12 安徽超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太阳能板用的具有缓冲保护功能的运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848B1 (ko) 이중완충구조를 갖는 교좌장치
KR100692956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기구
KR100660035B1 (ko) 교좌장치
KR100716088B1 (ko) 마찰을 이용한 수직진동 감쇠베어링
EA021188B1 (ru) Многонаправленный торсионный гистерезисный демпфер
KR101162687B1 (ko) 면진장치
KR200262491Y1 (ko)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KR100757749B1 (ko) 구조물 면진장치
KR200398506Y1 (ko)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101829592B1 (ko) 다기능 지진동 저감장치
KR101232906B1 (ko) 진동감쇠 마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CN111827098B (zh) 一种触发式有限负刚度高强弹簧减震支座
RU2348556C1 (ru) Аморт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KR101351069B1 (ko) 완충구조를 갖는 감쇠용 교좌장치
KR100773880B1 (ko) 수직진동 감쇠 베어링
KR102087999B1 (ko) 교량 받침 구조물용 앵커 소켓 어셈블리
KR101051059B1 (ko) 면진용 디스크 받침
KR20090033673A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트러스교
KR100784609B1 (ko) 교량용 내진 받침장치
KR200267332Y1 (ko) 이중완충구조를 갖는 교좌장치
KR20090033669A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교량
KR100816890B1 (ko) 충격하중을 분산시키는 슬리브 구조를 가진 교량지지용디스크 받침
KR101192503B1 (ko) 레일간 등간격 조절 및 제진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KR100638240B1 (ko) 교좌장치
KR100549373B1 (ko) 수직진동 감쇠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305

Effective date: 2008071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513

Effective date: 201006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