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070B1 -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070B1
KR101072070B1 KR1020080063280A KR20080063280A KR101072070B1 KR 101072070 B1 KR101072070 B1 KR 101072070B1 KR 1020080063280 A KR1020080063280 A KR 1020080063280A KR 20080063280 A KR20080063280 A KR 20080063280A KR 101072070 B1 KR101072070 B1 KR 10107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guide
horizontal elastic
support en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404A (ko
Inventor
조영철
방인석
Original Assignee
조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8131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7207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철 filed Critical 조영철
Priority to KR102008006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07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구조물 지지장치에 사용되는 완충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완충기구는 높이보다 폭이 넓은 단면을 가지고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고 수평탄성체, 상기 가이드공에 간격을 두고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탄성체의 신축을 허용하는 2이상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된 2이상의 가이드부재의 일단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신축방향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교좌장치, 탄성기구, 완충기구, 면진, 브릿지베어링

Description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Shock absorber and device for supporting a structure utilizing the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좌장치 등의 구조물 지지장치에 사용되는 완충기구 및 교각 등의 지지구조물 상에 설치되어 교량 상판 등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여주는 상기 완충기구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 지지장치란 교량의 슬라브 구조체인 상판 등의 상부구조물이 이를 지지하는 교각 등의 지지구조물 위에 적절히 얹혀져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구조물과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상부구조물의 길이 등의 크기나 하중,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일례로는 등록실용신안 20-0262491호(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함)에 개시된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가 있다.
이 교좌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통형의 완충부재(12)를 갖는 완충기구(10)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동몸체와 이를 사방에서 둘러싸는 안내틀체 사이에 원통형의 완충부재(12)를 갖는 완충기구(10)를 사방으로 각각 1개씩 장착하여 교각과 교각의 지지를 받는 상부구조물 사이에서 지나친 수평 변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지진 후에는 상부구조물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려는 복원력을 작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교좌장치는 규모가 비교적 작은 교량에는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상부구조물이 대형인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 대형 구조물의 지지에 사용하기 위한 교좌장치인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통형의 완충부재(12)를 갖는 완충기구(10)를 한 측면에 여러 개를 장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원통형의 완충부재(12)를 갖는 종래의 완충기구(10)와 이를 이용하는 큰 수평하중을 완충하여 주기 위한 종래의 교좌장치를 도 1과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원통형 완충부재를 갖는 종래의 완충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완충기구를 이용한 큰 수평하중을 완충하여주기 위한 종래의 교좌장치를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완충부재(12)를 갖는 종래의 완충기구(10)는 중앙부를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완충부재(12)와 관통공에 삽입되고 일부는 완충부재(12)의 외부로 돌출된 장착대(14)와 이 장착대(14)의 일단에 고정되어 원통형 완충부재(12)의 일 단면을 지지하는 원형의 지지판(16) 및 원형의 지지판(16)의 표면에 부착된 원형의 미끄럼판(18)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의 교좌장치(100)는 교각 등의 지지구조물에 설치되는 하부판(110)과 하부판(11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게 설치되는 베어링 블록 등의 제1부 재(120)를 구비한다.
또한 도 2의 교좌장치(100)는 교량 상판 등의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판(150)과 베어링 블록 등의 제1부재(120)를 둘러싸는 제2부재(160)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160)에는 수평방향으로 한 측면에 4개씩의 구멍(16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162)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통형 완충기구(10)의 장착대(14)가 삽입되어 각각 결합되어, 원통형 완충부재(12)가 제1부재(120)와 제2부재(160) 사이에 배치되도록 각각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완충기구(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좌장치(100)의 일 측면에 여러 개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 개수만큼의 장착대(14)와 완충부재(12)가 필요하다. 이 경우 장착대(14)가 설치되는 제2부재(160)에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완충기구(10)를 설치하는 경우 베어링블록 등의 제1부재(120)에 여러 개의 구멍을 뚫어야 한다.
또 미끄럼판(18)이 대응면에 접촉되어 가압되는 상태에서 미끄럼운동 시 장착대(14)에는 큰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는 데, 각 장착대(14)들이 모두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전단력를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면적이 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각 완충부재(12)가 압축될 때 도 2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 사이의 중앙부가 볼록해지는 벌징(bulging)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여러 개를 설치할 때에는 이웃하는 두 완충부재(12)의 예상되는 최대 압축 시의 벌징 을 고려하여 충분히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교좌장치가 폭방향으로 커지고, 또 완충부재(12)의 단면이 원형이기 때문에 장착대(14)가 설치되는 블록 등의 높이도 높아져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그 외에 블록의 양측에 장착대(14)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좌우 대칭을 맞추어 동일 선상으로 형성해야 하고, 이 경우 최대 압축 시에도 양측의 장착대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해야 되기 때문에 블록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부판(150)이 하부판(1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경우 가장자리에 있는 완충기구(10)가 제1부재(120)의 가장자리를 벗어날 수 있고, 이 경우 교좌장치는 제 기능을 수행 할 수 없게 되고, 원위치로 복귀도 할 수 없게 된다. 물론, 교좌장치 설계 시 이런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베어링 블록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통형 완충부재(12)를 사용하는 종래의 완충기구(10)는 큰 수평하중의 지지가 필요한 교좌장치를 만드는 데 부적당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 지지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완충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가 적게 소요되는 완충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부재의 단면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완충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물 지지장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완충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물 지지장치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완충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도록 해주는 구조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가 적게 소요되는 구조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부재의 단면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구조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한 구조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구조물 지지장치에 비해 베어링 블록의 높이와 폭을 줄일 수 있는 구조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는 상호간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는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어느 한 부재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여주기 위한 완충기구에 있어서, 2개 이상의 가이드부 재가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탄성체, 상기 가이드공에 간격을 두고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탄성체의 신축을 허용하는 2이상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된 2이상의 가이드부재의 일단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신축방향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어느 한 부재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멍형태의 가이드부재 장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공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에 유동 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단과,
상기 제2지지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탄성체 바깥쪽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의 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지지단과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부재 사이를 지지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제2지지단을 이동시켜 상기 수평탄성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구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단과,
상기 제1지지단을 상기 제2부재 또는 상기 제1부재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제1지지단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단을 통과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수평탄성체의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끝단에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간격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2지지단을 이동시켜 상기 수평탄성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평탄성체는 높이보다 폭이 넓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인 단면을 가진다.
상기 수평탄성체는 폴리우레탄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는 니켈, 크롬, 니켈크롬, 아연, MoS2 및 테프론 중 적어도 하나가 도금되거나 코팅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지지단 또는 제2지지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수평탄성체의 단부가 측면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수평탄성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수평탄성체의 단부가 방사상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는 지지구조물상에 설치되는 하부부재, 상기 지지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부재에 대해 적어도 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부부재를 구비하는 구조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부재를 향해 돌출된 제1부재, 상기 상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부재와 간 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어 상기 상부부재가 상기 하부부재에 대해 상기 수평방향으로 수평이동 함에 따라 상기 상부부재와 함께 상기 수평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제1부재와의 간격이 조정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2이상의 가이드부재 장착부, 상기 가이드부재 장착부의 대응 위치에 형성되고 2개 이상의 가이드부재가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는 가이드공이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탄성체, 상기 가이드공에 간격을 두고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평탄성체의 신축을 허용하는 2이상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된 2이상의 가이드부재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신축방향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부재 장착부는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멍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재 장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공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수평탄성체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는 상기 가이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에 유동 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단과,
상기 제2지지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탄성체 바깥쪽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의 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지지단과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부재 사이를 지지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제2지지단을 이동시켜 상기 수평탄성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단을 통과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끝단은 상기 제2부재 또는 상기 제1부재의 바깥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단과,
상기 제1지지단을 상기 제2부재 또는 상기 제1부재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제1지지단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단을 통과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수평탄성체의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끝단에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간격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2지지단을 이동시켜 상기 수평탄성체가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탄성체는 높이보다 폭이 넓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인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우레탄이 적당하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는 니켈, 크롬, 니켈크롬, 아연, MoS2 및 테프론 중 적어도 하나가 도금되거나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지단과 제2지지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수평탄성체의 단부가 측면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수평탄성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수평탄성체의 단부가 방사상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는 구조물 지지장치의 일 측면에 여러 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여러 개를 설치할 경우 고려해야 했던 이웃하는 완충기구간의 벌징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또 단위 길이당 수평탄성체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그 설치 폭을 줄일 수 있고, 완충성능도 뛰어나다. 이에 따라 베어링 블록의 폭과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평탄성체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의 개수와 단면적을 줄일 수 있고, 베어링 블록의 양 측면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공을 동일선상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베어링 블록 등의 제작이 용이하고, 가이드공의 개수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는 단위 길이당 강성이 크기 때문에 그 높이와 폭을 자유로이 조절하여 구조물 지지장치의 높이와 폭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어 각종 구조물에의 적용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이드부재는 외면에 니켈, 코발트, 몰리브덴 등이 도금되기 때문에 압축 시 가이드부재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수평탄성체의 신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내마모성이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수평탄성체 끝단 부근에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탄성체가 일정 이상 압축되더라도 파손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완충기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과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200)는 상호간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는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어느 한 부재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200)는 수평탄성체(210)를 구비한다. 이 수평탄성체(210)는 높이보다 폭이 넓은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좌우로 간격을 두고 2개의 가이드공(2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2개의 가이드공(212) 사이에 슬롯을 형성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수평탄성체(210)의 폭은 높이의 2 내지 4배의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 4배 이상의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가이드공(212)의 개수는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수평탄성체(210)의 높이는 설계하고자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가 부담해야할 수평하중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수평탄성체(210)의 폭이 높이에 비해 1.5배 정도 되는 것까지 사용할 수 있으나, 수평탄성체(210)의 폭이 높이에 비해 1.5배 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는 가이드부재(220)를 2개 장착하는 데 비해 효율성이 떨어지고, 가이드공(212)을 2개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수평탄 성체(210)의 단면적이 줄어들어 효율성이 떨어진다. 즉, 수평탄성체(210)의 폭은 높이의 2배 이상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높이의 원형에 비해 단위 폭당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또 두 가이드부재(220)를 서로 연결함에 따라 가이드부재(220)의 단면적을 줄일 수 있는 장점 등을 감안하면 수평탄성체(210)의 폭이 높이의 1.5배 이상 정도이면 적용가능하고, 더 나아가 높이가 문제가 되지 않거나 폭을 줄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폭과 높이가 같거나 비슷한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수평탄성체(210)는 직사각형의 양측면을 볼록하게 하여 타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수평탄성체(210)로는 직사각형의 모서리 부위를 모따기 하지 않은 것, 작게 모따기 한 것, 크게 모따기 한 것, 라운드지게 형성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원통형 완충부재(21)에서는 가이드공의 직경은 외경의 1/3 ~ 1/4 정도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부재(220)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1/4보다 더 작게 설계할 수도 있다.
이 수평탄성체(210)로는 일반 천연 고무에 비하여 16배 이상 큰 압축계수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십만회의 고속충격에도 견딜 수 있으며, 종래의 원통형 MER 스프링이 여러 개 장착될 장소에 1개만 장착되어도 된다. 이러한 수평탄성체(210)로는 경도가 80A 미만인 것은 너무 물러서 적당하지 않고 경도가 100A를 초과하는 것은 너무 딱딱하여 수평탄체(210)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탄성체(210)로는 경도가 대략 80A ~ 100A의 범위 내에 있 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수평탄성체(21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부재(320)와 제2부재(360) 사이에서 제1부재(320)와 제2부재(360) 상호간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충하여 주고 지속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시변위가 작용할 때는 그 총길이에서 30%정도까지 수축변위를 허용할 수 있게 하고, 지진 시에는 60%정도까지 변위를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과 4에 나타낸 완충기구(200)는 2개의 가이드부재(220)를 구비한다. 이 가이드부재(220)는 가이드공(212)에 각각 삽입되어 수평탄성체(210)의 신축을 허용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가이드부재(220)의 표면에는 수평탄성체(210)의 압축에 의해 가이드공(212)이 좁아지더라도 가이드공(212) 내주면이 잘 미끄러져 수평탄성체(210)가 원활하게 신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니켈 등을 도금하거나 테프론을 적당한 두께로 코팅하여둘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니켈, 크롬, 니켈크롬 중 어느 하나를 30 ~ 50μm 정도의 두께로 도금을 하거나, 전기 아연도금으로 15㎛ 정도의 두께로 도금하거나, 용융 아연도금으로 550g/mㅂ의 정도로 도금하거나, MoS2을 15~25μm 두께로 도금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테프론을 15 ~ 15㎛ 정도로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금 또는 코팅의 두께는 위에서 기재된 두께 이상으로 할 수 있지만, 두께가 너무 과도해지는 경우 도금비용 등이 문제가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20)는 그 장착되는 부재에 따라 그 노출된 일단에 나선(213)을 형성하여 너트(215)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거나, 나선(213)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과 4에 나타낸 완충기구(200)는 제1지지단(230)을 구비한다. 이 제1지지단(230)은 수평탄성체(210)의 단면보다는 크게 하여야 하고, 그 형상은 수평탄성체(210)의 형상에 맞추어 직사각형, 타원형 등의 형태로 하면 된다. 하지만 제1지지단(230)은 수평탄성체(210)의 일 단면을 지지하여주는 것이 주 역할이므로 다른 부재와의 간섭이 없는 부분에 설치된다면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이 제1지지단(230)은 가이드공(212)들에 각각 삽입된 두 가이드부재(212)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수평탄성체(210)의 신축방향의 일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단(230)이 두 가이드부재(220)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여주기 때문에 제1지지단(230)의 슬라이드 운동 시 가이드부재(220)의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 또는 휨모멘트를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래 별개로 설치되던 원통형 MER 스프링의 장착대보다 가이드부재(220)의 직경을 작게 설계하여도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단(230)의 외면에는 폴리테트라 폴루오르 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 PTFE) 등으로 된 미끄럼부재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끄럼부재는 제1지지단(230)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3의 완충기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조물 지지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저면에서 보아 나 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300)는 교각 등의 지지구조물상에 설치되는 하부부재(310)와 교각 등의 지지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고 하부부재(310)에 대해 적어도 한 수평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한 상부부재(350)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부재(310)에는 제1부재(3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부재(320)는 상부부재(350)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 제1부재(320)로는 저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하부부재(310)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성되거나 핀(323)에 의해 하부부재(310)에 형성된 핀구멍(313)에 삽입되고 탄성체(330)의 지지를 받는 베어링 블록 또는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된 부재위에 탑재된 베어링 블록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제1부재(320)의 측면에는 스테인리스스틸판 등의 미끄럼부재(322)가 설치된다.
물론, 하부부재(310)와 제1부재(320) 사이에는 수직하중을 받아주기 위한 탄성체(330)가 설치될 수 있고, 스페리칼 베어링인 경우 수직의 하중을 받아주기 위한 탄성체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350)의 저면에는 제1부재(320)와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위치에 제2부재(360)가 설치된다. 제2부재(360)는 하부부재(310)를 향해 돌출되며, 상부부재(350)가 하부부재(310)에 대해 일 수평방향으로 수평이동 함에 따라 상부부재(350)와 함께 그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부재(320)와의 간격이 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2부재(360)는 제1부재(320)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고 있다. 이 제2부재(360)에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 2개의 구멍으로 된 가이드부재 장착부(3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재 장착부(362)는 제1부재(320)와 마주보는 수평방향 또는 가이드부재(2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부재(220)가 장착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제1부재(320)와 제2부재(360) 사이에 도 3과 4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200)가 제1부재(320)의 4측면 둘레로 설치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어떤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200)가 마주보는 2측면에만 설치될 수 있고, 또 다른 어떤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200)가 어느 한 측면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기구(200)의 가이드부재(220)들은 제2부재(36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 장착부(362)에 장착되어 수평탄성체(210)가 제1부재(320)와 제2부재(360) 사이에서 가이드부재(22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가이드부재 장착부(362)를 따라 가이드부재(2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부재(232)는 제1부재(320)의 측면에 밀착되어 그 측면을 따라 미끄럼운동 가능하다.
도 5와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300)는 원통형 완충기구를 이용하는 종래의 교좌장치에서와는 달리 완충기구간의 간격이 필요치 않아 베어링 블록 등의 제1부재(320)의 폭을 대폭 줄일 수 있고, 가이드부재(22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220)의 삽입을 위한 가이드공(212)의 개수가 줄어들어 단위 폭당 수평탄성체(210)의 단면적이 증가되어 지지강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서도 구조물 지지장치(3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원통형 완충기구를 일 측면에 여러 개 설치하는 경우, 가장자리의 완충기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베어링 블록 등의 제1부재(320)와 제1부재(320)를 둘러싸는 제2부재(360)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설계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200)를 이용하는 경우, 수평탄성체(210)의 일부가 제1부재(320)의 단부를 어느 정도 벗어나더라도 상관이 없기 때문에 제1부재(320)와 제2부재(360)를 종래의 것에 비해 작게 제작하여도 된다.
도 5와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물 지지장치는 상하로 뒤집힌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조물 지지장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7은 도 6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부재(320)에 가이드부재 장착부(322)를 형성하고, 미끄럼부재(322)가 제2부재(36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마주보는 양측의 가이드부재 장착부(322)는 동일선상이 아닌 서로 조금씩 어긋나게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부재(220)에 나선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너트는 필요치 않다.
나머지는 도 5와 6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 내지 10은 도 3 완충기구의 변형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 수평탄성체(210)에는 3개의 가이드공(212)을 수평으로 각각 형성하고, 3개의 가이드부재(220)를 3개의 가이드공(212)에 삽입하여 가이드부 재(220)의 일측 끝단들을 제1지지단(230)에 각각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201)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수평탄성체(210)는 과도하게 압축되는 경우 끝단이 터지는 문제가 생기는 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평탄성체(210)의 일단 또는 양단에 수평탄성체(210)를 둘러싸는 보강부(214)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는 완충기구(201)가 장착되는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대응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보강부(214)로는 수평탄성체보다 강도가 큰 수직지지용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의 것으로 하는 것이 좋고, 금속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 경우에 따라 도 3과 8에 나타낸 완충기구(200, 2001)의 수평탄성체(210) 상면과 하면에 가이드부재(220) 사이를 따라 홈(216)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202, 203)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탄성체(210)가 가이드부재(220)의 길이방향으로 압축될 때 이웃하는 가이드부재(220)들 사이에서 압축되는 수평탄성체(210)가 유동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가이드부재(2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다. 나머지는 도 3과 4 및 도 8을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 완충기구의 배면쪽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1과 유사한 형태의 완충기구가 구조물 지지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과 12에 나타낸 완충기구(204)는 앞 실시예의 수평탄성체(210)에서와 같이 높이보다 폭이 넓은 단면을 가지고 가이드공이 좌우로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어 있는 수평탄성체(210), 가이드공에 각각 삽입되어 수평탄성체(210)의 신축을 허용하는 2개의 가이드부재(220) 및 가이드공에 삽입된 두 가이드부재(220)의 일단들을 서로 연결하고 수평탄성체(210)의 신축방향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단(230)을 구비한다. 이러한 수평탄성체(210), 가이드부재(220) 및 제1지지단(23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지, 제1지지단(230) 반대편의 가이드부재(220)의 끝단은 뒤에서 설명되는 제2부재(360)에 고정되는 점에서 앞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또 앞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단(230)의 전면에 미끄럼부재 등이 설치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미끄럼부재 등은 제1지지단(230) 반대편에 설치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부재(360)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220)의 끝단에는 나선을 형성해두는 것이 좋지만 경우에 따라 용접으로 제2부재(360)에 고정되어도 되고, 그 반대편 끝단에도 나선을 형성하고 너트(222)를 체결하거나, 가이드부재(220) 자체를 볼트로 형성하여도 된다.
도 11과 12에 나타낸 완충기구(204)는 가이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통공(242)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부재(220)에 유동 가능케 결합된 제2지지단(240)을 구비한다. 이 제2지지단(240)은 수평탄성체(210)의 타면을 지지한 상태로 외력에 의해 가이드부재(220)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평탄성체(210)를 압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단(240)에는 간격유지구(2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간격유지구(250)는 수평탄성체(210) 바깥쪽으로 연장된 연장부(252)와 이 연장부(252)의 끝단에 설치되어 제1부재 등 다른 부재의 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254)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부(252)는 여러 개의 봉을 가이드부재(220)의 주변으로 설 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유지구(250)는 제2지지단(240)과 접촉부(254)가 접촉되는 부재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도 접촉부(254)의 표면에는 PTFE 등의 미끄럼부재(256)를 설치하여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과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물 지지장치(204)의 설치상태는 도 1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
도 13은 제1부재(320)와 제2부재(360)의 설치위치를 앞 실시예들과 반대로 구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부재(350)의 저면에 제1부재(320)가 설치되고, 하부부재(310)의 상면에 제2부재(3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부재(350)와 제1부재(320) 사이에는 폿베어링(pot bearing) 형태의 홈에 삽입되거나 전단핀에 의해 고정되어 수직하중을 받아 주기 위한 탄성체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부재(320)의 측면에는 스테인리스스틸판 등의 미끄럼부재(232)가 부착되어 있다.
하부부재(310)에는 제1부재(320)를 일 수평방향으로만 이동을 허용하는 안내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기구(205)는 제2부재(360)의 바깥면에 가이드부재(220)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지지단(230)은 제2부재(36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제2지지단(240)은 제2부재(360)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고, 연장부(252)는 제2부재(360)를 통과하여 제1부재(320)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장부(252)의 끝단에 설치된 접촉부(254)는 제1부재(320)의 일 측면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제1지지단(230)과 제2지지단(240)에는 수평탄성체(210)가 과도하게 압축 시 그 끝단이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234, 24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에서 지진 등에 의해 상부구조물에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충격력이 가해지면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부재(350)도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부부재(350)의 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제1부재(320)도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오른쪽에 설치된 완충기구(205)의 접촉부(254)와 연장부(252)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제2지지단(240)을 가압하고, 제2지지단(240)은 가이드부재(220)를 타고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수평탄성체(210)를 오른쪽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수평탄성체(210)는 오른쪽으로 압축되면서 충격력을 완충하여 준다. 그 후 상부구조물에 반대편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부부재(350)와 제1부재(320)는 왼쪽으로 이동하고, 오른쪽의 완충기구(205)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그 이후에는 왼쪽에 설치된 완충기구(205)가 작용하면서 지진 등에 의한 수평력을 완충하여준다.
도 14는 도 13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실시예는 제1지지단(230)을 제2부재(360) 등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단 부착수단(260)을 구비하는 점, 제2지지단(240)을 통과한 2개의 가이드부재(220)가 수평탄성체(210)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끝단에 설치된 접촉부(254)가 제1부재(320)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한 점에서 도 13과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기타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는 높이가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이드부재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옆으로 세워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와 구조물 지지장치는 내진설계가 필요한 교량 등의 구조물 건설에 이용가능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완충부재를 갖는 완충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완충기구를 이용한 종래의 교좌장치를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 완충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의 완충기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구조물 지지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10은 도 3 완충기구의 변형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 완충기구의 배면쪽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1과 유사한 형태의 완충기구가 구조물 지지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206 : 완충기구 210 : 수평탄성체
212 : 가이드공 214, 234, 244 : 보강부
220 : 가이드부재 230 : 제1지지단
240 : 제2지지단 250 : 간격유지구
300 : 구조물 지지장치 310 : 하부부재
320 : 제1부재 330 : 탄성체
350 : 상부부재 360 : 제2부재

Claims (18)

  1. 상호간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는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어느 한 부재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여주기 위한 완충기구에 있어서,
    2개 이상의 가이드부재가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탄성체;
    상기 가이드공에 간격을 두고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탄성체의 신축을 허용하는 2이상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된 2이상의 가이드부재의 일단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신축방향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어느 한 부재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멍형태의 가이드부재 장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공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에 유동 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단과,
    상기 제2지지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탄성체 바깥쪽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의 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지지단과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부재 사이를 지지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제2지지단을 이동시켜 상기 수평탄성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단과,
    상기 제1지지단을 상기 제2부재 또는 상기 제1부재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제1지지단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단을 통과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수평탄성체의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끝단에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간격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2지지단을 이동시켜 상기 수평탄성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탄성체는 높이보다 폭이 넓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인 단면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탄성체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는 니켈, 크롬, 니켈크롬, 아연, MoS2 및 테프론 중 적어도 하나가 도금되거나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단 또는 제2지지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수평탄성체의 단부가 측면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구.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탄성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수평탄성체의 단부가 방사상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구.
  10. 지지구조물상에 설치되는 하부부재, 상기 지지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부재에 대해 적어도 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부부재를 구비하는 구조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부재를 향해 돌출된 제1부재;
    상기 상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부재와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어 상기 상부부재가 상기 하부부재에 대해 상기 수평방향으로 수평이동 함에 따라 상기 상부부재와 함께 상기 수평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제1부재와의 간격이 조정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2이상의 가이드부재 장착부;
    상기 가이드부재 장착부의 대응 위치에 형성되고 2개 이상의 가이드부재가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는 가이드공이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탄성체;
    상기 가이드공에 간격을 두고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평탄성체의 신축을 허용하는 2이상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된 2이상의 가이드부재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신축방향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 장착부는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멍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재 장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공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수평탄성체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2이상의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에 유동 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단과,
    상기 제2지지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탄성체 바깥쪽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의 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지지단과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부재 사이를 지지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제2지지단을 이동시켜 상기 수평탄성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단을 통과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끝단은 상기 제2부재 또는 상기 제1부재의 바깥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탄성체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단과,
    상기 제1지지단을 상기 제2부재 또는 상기 제1부재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제1지지단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단을 통과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수평탄성체의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끝단에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간격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2지지단을 이동시켜 상기 수평탄성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탄성체는 높이보다 폭이 넓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인 단면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15.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탄성체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16.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는 니켈, 크롬, 니켈크롬, 아연, MoS2 및 테프론 중 적어도 하나가 도금되거나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17.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단과 제2지지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수평탄성체의 단부가 측면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18.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탄성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수평탄성체의 단부가 방사상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KR1020080063280A 2008-07-01 2008-07-01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KR101072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280A KR101072070B1 (ko) 2008-07-01 2008-07-01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280A KR101072070B1 (ko) 2008-07-01 2008-07-01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04A KR20100003404A (ko) 2010-01-11
KR101072070B1 true KR101072070B1 (ko) 2011-10-10

Family

ID=41813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280A KR101072070B1 (ko) 2008-07-01 2008-07-01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845B1 (ko) * 2012-11-16 2013-08-12 주식회사 큐빅스 교량용 면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59B1 (ko) * 2010-07-13 2011-07-21 유니슨이앤씨(주) 면진용 디스크 받침
KR200474170Y1 (ko) * 2013-02-22 2014-08-27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수평 변위의 복원이 가능한 지진 격리 장치
KR101357054B1 (ko) * 2013-08-26 2014-02-03 (주)에스알텍 이중프레임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1633816B1 (ko) * 2014-03-12 2016-07-08 포인텍이앤씨(주) 구조물 지지장치
CN114124851B (zh) * 2021-11-11 2024-02-27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阿克苏供电公司 抗干扰型信息通信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813Y1 (ko) 2001-09-04 2001-12-24 최용운 점성유체(粘性流體)제동기를 장착한내진교좌(耐震橋座)장치
KR200267332Y1 (ko) 2001-11-19 2002-03-09 조영철 이중완충구조를 갖는 교좌장치
KR200262491Y1 (ko) 2001-09-29 2002-03-20 조영철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KR100692956B1 (ko) 2006-09-18 2007-03-12 (주)알티에스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813Y1 (ko) 2001-09-04 2001-12-24 최용운 점성유체(粘性流體)제동기를 장착한내진교좌(耐震橋座)장치
KR200262491Y1 (ko) 2001-09-29 2002-03-20 조영철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KR200267332Y1 (ko) 2001-11-19 2002-03-09 조영철 이중완충구조를 갖는 교좌장치
KR100692956B1 (ko) 2006-09-18 2007-03-12 (주)알티에스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845B1 (ko) * 2012-11-16 2013-08-12 주식회사 큐빅스 교량용 면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04A (ko) 201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070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KR100692956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기구
US6629688B1 (en) Damping arrangement
KR101103983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KR20130043856A (ko) 강재 스프링을 이용한 교량용 디스크받침
KR100757212B1 (ko) 면진 핑거 조인트
KR101232906B1 (ko) 진동감쇠 마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KR101289820B1 (ko) 이중패드 면진장치
KR100783245B1 (ko) 복수의 탄성기둥을 가지는 교좌장치
KR101351069B1 (ko) 완충구조를 갖는 감쇠용 교좌장치
KR101127938B1 (ko) 면진 장치
KR20170002125A (ko) 자동복원형 면진받침
KR200262491Y1 (ko)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KR100646329B1 (ko) 교량의 내진 장치
KR101293331B1 (ko)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분력을 이용한 수평변위 조절기구와 교좌장치
KR100638576B1 (ko) 다층마찰면을 갖는 교좌장치
KR100997697B1 (ko) 교량용 면진받침
KR102230710B1 (ko)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KR101997614B1 (ko) 중공탄성판 포트받침
JP4566971B2 (ja) すべり支承免震装置
KR101205907B1 (ko)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
KR100501429B1 (ko) 포트베어링
KR200471176Y1 (ko) 지압판이 구비된 마찰진자 받침
US20030091247A1 (en) Bearing assembly for a bridge
KR20130043857A (ko) 탄성중합체 스프링을 이용한 교량용 디스크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59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825

Effective date: 201803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