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813Y1 - 점성유체(粘性流體)제동기를 장착한내진교좌(耐震橋座)장치 - Google Patents
점성유체(粘性流體)제동기를 장착한내진교좌(耐震橋座)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6813Y1 KR200256813Y1 KR2020010026963U KR20010026963U KR200256813Y1 KR 200256813 Y1 KR200256813 Y1 KR 200256813Y1 KR 2020010026963 U KR2020010026963 U KR 2020010026963U KR 20010026963 U KR20010026963 U KR 20010026963U KR 200256813 Y1 KR200256813 Y1 KR 20025681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ring
- circular
- bridge
- plate
- viscous fluid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접점에 위치하여 상부구조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구조에 전달하고, 지진력, 풍력, 차량의 견인 및 제동력, 온도 변화에 안전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점성유체 제동기를 장착한 내진 교좌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은, 교량 상부구조의 하단에 위치하며, 결합수단에 의해 교량의 상부구조와 결합되는 원형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중심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원주 형태를 가지며, 길이방향 원주 중간 지점의 원주면을 따라 서로 120도 이격된 위치에 3개의 원형 홈이 수직 안쪽 방향으로 형성된 주 지지봉, 상기 상부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원주상에 위치하며, 상기 주 지지봉을 중심으로 각각 120도 이격되고, 이웃한 두개의 원형 홈간의 중간 위치에서 하향 돌출된 3개의 원주형 부 지지봉, 상기 주 지지봉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하며, 양쪽 끝에 각각 하나의 앵커 베어링을 가지며, 주 지지봉의 원형 홈과 체결되는 제1 앵커 베어링은 점성유체를 담고있는 몸통과 연결되어 있고, 반대쪽 제2 앵커 베어링은 상기 몸통내 점성유체속에서 움직이는 피스톤 로드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 3개의 점성유체 제동기, 교량 하부구조의 상단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속이 비어있는 수직 방향의 원주로서, 원주의 안쪽 방향으로 원주의 두께를 달리하는 두개의 원형 턱을 구비하되 교량 하부구조와 가까운 쪽에 있는 제1 원형 턱의 지름을 제2 원형 턱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고, 제2 원형 턱이 이루는 원주 내부면상에는 상기 점성유체 제동기의 제2 앵커 베어링과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포트(Bearing Pot), 상기 베어링 포트의 제1 원형 턱 내부에 형성된 고무재질의 합성 중합체판, 상기 베어링 포트의 제1 원형 턱 내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합성 중합체판상에 형성되는 포트 커버, 상기 베어링 포트의 제2 원형 턱 내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주 지지봉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판, 상기 포트 커버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불소 수지판 및 상기 하부판과 불소 수지판 사이에 위치하며, 불소 수지판과 마주하는 면을 마찰이 적도록 연마하여 형성된 스테인레스 미끄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미지의 방향에서 작용하는 순간적인 수평하중의 감쇠는 물론이고 교좌장치의 3대 기본기능, 즉 받침, 굴림 및 미끄럼짐 기능도 만족하게 수행하여 교량의 기능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하여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점성유체(粘性流體)제동기를 장착한 내진교좌(耐震橋座)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미지의 방향에서 작용하는 순간적인 수평하중의 감쇠는 물론이고 교좌장치의 3대 기본기능, 즉 받침, 굴림 및 미끄럼짐 기능도 만족하게 수행하여 교량의 기능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하여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하여 개시한다.
교좌 장치란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접점에 위치하면서 상부구조에서 전달되는 각종하중을 하부구조에 전달하고, 지진력, 풍력, 차량의 견인 및 제동력, 기온 변화등에 안전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교좌 장치는 교량 자체하중에 적응하고 교량의 신축변위량을 흡수하게 하여 교량의 각종하중을 교각이나 교대에 직접 전달하지 않게 하고 교좌 장치의 완충기능을 거치게 하여 교량의 기능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하고 내구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교좌 장치의 목적을 위하여 개발된 주요 교좌 장치는 평면 교좌 장치(Plane bearing), 선 교좌 장치(Linear bearing), 스페리칼교좌 장치(Spherical bearing), 고력 황동 교좌장치(Oilless bearing), 포트 교좌 장치(Pot bearing), 로러 교좌 장치(Roller bearing), 로카 교좌 장치(Rocker bearing), 중앙 힌지 교좌 장치(Central hinge bearing), 핀 교자 장치(Pin bearing), 피봇 교좌 장치(Pivot bearing) 등이다.
이들 각종 교좌 장치들은 서로 차이는 있지만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강풍이나 지진에 대한 감쇠능력은 별로 없기 때문에 교량이 교각이나 교대에서 떨어지는 낙교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시된 것이 점성유체 제동기(Fluid viscous damper)이다. 이 제동기의 특색은 온도 변화 등에 의한 교량의 신축 변위와 같이 매우 느린 속도로 진행되는 변위에 대해서는 거의 무저항이고 돌풍이나 지진과 같이 단 주기이고 고속인 변위에 대해서는 마치 고체와 직결된 것과 같이 작응하여 상기 점성유체 제동기가 받은 거의 모든 하중을 교각이나 교대에 전달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제동기와 전기한 기존의 교좌 장치를 일체화 시키지 않고 따로 따로 작용하게 하여 결국 기존 교좌 장치의 보조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장치는 교량의 종과 횡 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만을 담당하게 하였기 때문에 강풍이나 지진과 같이 미지의 방향에서 오는 하중에 대해서는 사실상 무방비 상태이고 상기 점성유체 제동기는 파손되고 말 것이다.. 그 이유는 상기 점성유체 제동기의 두 개의 고정단(Anchor)중, 한 개는 완전 고정식이기때문이다. 즉 자유힌지(Free hinge)식의 고정단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 한가지 최근에 개발된 교좌 장치는 적층(積層)고무탄성 교좌 장치(Laminated Elastomeric Bearing)이다. 이 교좌 장치는 고무와 고무사이에 보강용 강판을 층상(層狀)형태로 설치하여 수직하중에 대해서는 고무의 좌굴현상 없이 지탱할 수 있으며, 수평하중에 대해서는 고무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상부 구조물의 고유진동 주기를 길게 함으로써 돌풍이나 지진으로 인한 영향력을 줄이고자 하는 면진 구조(免震, Isolation system)에 속하는 탄성 교좌 장치이다. 상기 적층 고무탄성 교좌 장치의 중앙부위에 납(Lead)봉을 삽입한 납면진 교좌장치(Lead rubber bearing)가 있다. 상기 적층 고무탄성 교좌 장치와 납면진 교좌장치는 면진 교좌 장치로서, 전술한 여러 교좌장치에 비하여 고가이고, 교량의 지간(支間)이 갈수록 교좌 장치의 높이가 너무 높아지는 폐단이 있고 시간경과에 수반하여 고무의 산화가 진행되어 교좌장치의 효율을 크게 떨어뜨린다. 상기와 같은 현실을 볼 때 현재 정부의 도로교 시방서에서 요구하고 있는 내진용 교량 교좌 장치는 별로 없는 것이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고안은 교량 교좌 장치의 3대 기능, 즉 받침, 굴림, 및 미끄러짐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뿐만 아니라 미지의 각도에서 작용하는 돌풍이나 지진하중을 충분히 감쇠하여 교량과 그 관련 구조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내구수명을 연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내진 교좌장치의 종단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내진 교좌장치를 A-A' 방향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내진 교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점성유체 제동기의 단면 상세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내진 교좌장치의 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 상부구조 12 : 결합볼트
13 : 상부판 14 : 부 지지봉
15 : 주 지지봉 16 : 제1 앵커 베어링 보호판
17 : 제1 앵커베어링 18 : 피스톤로드
19 : 점성유체 제동기의 몸통 20 : 점성유체 제동기의 고정간
21 : 제1 앵커베어링 보호판 22 : 제2 앵커베어링
23 : 하부판 24 : 스테인레스 미끄럼판
25 : 불소수지판(PTFE) 26 : 포트커버
27 : 합성중합체(탄성고무)판 28 : 베어링 포트(Bearing Pot)
29 : 앵커스터드(Anchor stud) 30 : 교각/교대
31 : 상부구조 결합용 나사구명
43 : 피스톤 44 : 점성유체 챔버
45 : 피스톤 로드의 가동공간 46 : 결합볼트
< 실시 예 >
본 고안은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접점에 위치하여 상부구조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구조에 전달하고, 지진력, 풍력, 차량의 견인 및 제동력, 온도 변화 등에 안전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점성유체 제동기를 장착한 내진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량 상부구조의 하단에 위치하며, 결합수단에 의해 교량의 상부구조와 결합되는 원형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중심으로 부터 하향 돌출된 원주 형태를 가지며, 길이방향 원주 중간 지점의 원주면을 따라 서로 120도 이격된 위치에 3개의 원형 홈이 수직 안쪽 방향으로 형성된 주 지지봉; 상기 상부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원주상에 위치하며, 상기 주 지지봉을 중심으로 각각 120도 이격되고, 이웃한 두개의 원형 홈간의 중간 위치에서 하향 돌출된 3개의 원주형 부 지지봉; 상기 주 지지봉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하며, 양쪽 끝에 각각 하나의 앵커 베어링을 가지며, 주 지지봉의 원형 홈과 체결되는 제1 앵커 베어링은 점성유체를 담고있는 몸통과 연결되어 있고, 반대쪽 제2 앵커 베어링은 상기 몸통내 점성유체속에서 움직이는 피스톤 로드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 3개의 점성유체 제동기; 교량 하부구조의 상단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속이 비어있는 수직 방향의 원주로서, 원주의 안쪽 방향으로 원주의 두께를 달리하는 두개의 원형 턱을 구비하되 교량 하부구조와 가까운 쪽에 있는 제1 원형 턱의 지름을 제2 원형 턱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고, 제2 원형 턱이 이루는 원주 내부면상에는 상기 점성유체 제동기의 제2 앵커 베어링과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포트(Bearing Pot); 상기 베어링 포트의 제1 원형 턱 내부에 형성된 고무로 이루어진 합성 중합체판; 상기 베어링 포트의 제1 원형 턱 내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합성 중합체판상에 형성되는 포트 커버; 상기 베어링 포트의 제2 원형 턱 내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주 지지봉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판; 상기 포트 커버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불소 수지판; 및 상기 하부판과 불소 수지판 사이에 위치하며, 불소 수지판과 마주하는 면을 마찰이 적도록 연마하여 형성된 스테인레스 미끄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앵커 베어링과 한쪽 끝단이 연결되면서 점성유체를 담고있는 상기 점성유체 제동기의 몸통은, 내부 중앙부가 관통된 구조로 서로 연결된 두개의 공간과, 상기 제2 앵커 베어링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 외벽면에 형성된 원주형 구조로서, 상기 제2 앵커 베어링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 상에는 원형 피스톤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내진 교좌장치는 주 지지봉의 원형 홈내에 결합된 제1 앵커 베어링과, 베어링 포트의 원형 홈내에 결합된 제2 앵커 베어링이 원형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 베어링 주위를 따라 주 지지봉 및 베어링 포트의 벽면상에 고정되는 앵커 베어링 보호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동작 설명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내진 교좌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상부구조(11)와 교각/교대(30)사이의 소정위치에 적의 설치되는 교좌 장치에 있어, 교좌 장치는 하부쪽에서 부터 포트모양의 베어링 포트(28), 그 내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합성중합체판(27)을 깔고, 상기 합성중합체판(27) 위에 포트커버(26)를 얹고, 상기포트커버(26) 위에 불소수지판(25)를 깔고, 상기 불소수지판(25)위에 스테인레스 미끄럼판(24)을 설치, 상기 미끄럼판(24)위에 하부판(23)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판(23)중앙에 주 지지봉(15)을 결합하고, 3개의 부 지지봉(14)을 상기 하부판(23) 원주가까이에 상기 주 지지봉(15)을 중심으로 각각 120도가 되는 소정위치에 세워서 결합하고, 3개의 점성유체 제동기(도 4)를 상기 주 지지봉(15)과 베어링포트(28)원주 내측 적소에 앵커베어링 보호판 1 및 2(16,21)를 사용하여 평면적으로 주 지지봉(15)중심점을 기준으로 각각 120도 되게 장착하되 각 부 지지봉(14) 중간에 위치하게 한다. 연후에 상부판(13)을 주 지지봉(15)과 부 지지봉(14)에 결합하여 구성된다.
곡선구간을 달리고 있는 지하철 속에서 승객들은 차량 진행속도의 가감과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진동과 쏠림을 느끼게 된다. 차안에 있는 대부분의 노인들은 손잡이를 붙잡아서 몸의 균형을 유지하나, 젊은이들은 자기의 두 발로 버팀으로써 균형을 유지 할 수 있다. 예컨대 노인이 주위의 물체를 붙잡아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처럼 구조물에 어떤 보조재를 설치하여 진동과 쏠림에 견딜 수 있게 하는 구조물이 내진(耐震)구조의 개념이며, 젊은이가 두발로 버티어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처럼, 구조물 자체에서 진동과 쏠림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진동과 쏠림을 제어하는 구조물이 제진(制震)구조의 개념이다. 한편 진동과 쏠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구조물에 전달되지 않게 하는 것은 면진(免震)구조의 개념이다.
지진력은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으로 분해하여 생각할 수 있는데 지진으로 인한 구조물이나 교량의 파괴는 주로 짧은 주기(20 hertz이상)의 수평하중과 수직하중의 합력에 의한 것이며 주로 수평하중에 대하여 견딜 수 있도록 구조물을 설계하는 것이 내진 기술이다.
본 고안인 점성유체 제동기를 장착한 내진교좌 장치에서 주역격인 점성유체 제동기(도 4)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상기 점성유체 제동기의 원리는 공지된 기술이며, 점성유체 챔버(44)는 점성유체로 충만 되어 있다. 점성유체의 점성은 일반적으로 매우 커서 반 고체성의 유체라 할 수 있으며 특수한 성질을 가지게끔 제품화된 실리콘 콤파운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상기 점성유체 제동기의 피스톤(43) 직경은 점성유체 챔버(44)직경의 0.8전후이다. 상기 점성유체제동기(도 4)를 교량의 상부구조(11)와 교각/교대(30)사이에 체결하여 대기온도 변화에 의한 교량상부구조(11)의 신축/팽창과 같은 아주 느린 변위에 대해서는 별 저항 없이 상기 피스톤(43)이 전 후진하여 이 변위량을 수용하지만 돌풍이나 지진하중과 같은 순간적 부하에 대해서는 잠금장치로 작용하여 교량 상부구조(11)에 유발된 지진력, 특히 수평하중을 각 교각/교대(30)에 균등분배하는 하중분산 효과로 인하여 낙교(落僑)는 방지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점성유체 제동기(도 4)는 교량의 상부 면에서 운행되고 있는 차량의 제동력 및 견인력과 돌풍, 지진력과 같은 단시간이고 속도가 빠른 하중에 대해서는 교량의 상부구조(11)와 교각/교대(30)를 순간적으로 경식(硬式)연결하여 하중을 교각/교대(30)에 균등 분배하여 구조물을 보호한다.
상기 합성중합체판(27)은 일종의 특수 고무판이며 그 기능은 교좌 장치의 3대 기능중에서 받침과 굴림기능을 담당하고, 스테인레스 미끄럼판(24)의 하부면은 연마하여 되도록 마찰계수가 적게 표면을 처리하여 상기 스테인레스 미끄럼판(24)하부면과 접하는 불소수지판(25)이 잘 미끄러질 수 있게 한다. 즉, 교량의 상부구조(11)에 발생한 신축 변위량을 상기 점성유체 제동기(도 4)가 거의 무저항으로 흡수할 수 있지만 이것은 상기 상부구조(11)와 교각/교대(30)간에 마찰저항이 적을수록 양호한 결과를 얻는다. 이와 같은 마찰감소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상기 스테인레스 미끄럼판(24)과 불소수지판(25)의 역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은 교좌 장치의 3대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하고 모든 방향에서 작용하는 짧고 빠른 하중을 적절히 감쇠하여 구조물의 수명연장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이와 같이 모든 방향에서 작용하는 짧고 빠른 하중을 적절히 감쇠할 수 있는 것은 점성유체 제동기(도 4)의 양 고정단(앵커베어링1 및 2)을 구형(17 및 22)으로 형성하여 가상공간의 좌우상하 360도 어느 방향에서 작용한 힘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자유힌지 개념을 도입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 예 1 >
도로용 강교가 4차선(교량폭 : 21m)이고, 지간(支間,span)이 50m이며, 상기 강교의 활하중과 사하중의 총합을 1500톤으로 가정하고 이 경우에 있어 본 고안에 의한 교좌 장치의 규모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교량에 소용되는 전체 교좌 장치의 수는 설계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지만 이 경우 8기로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1 교좌 장치가 담당할 수직 하중 W는 수학식 1 과 같다.
한편, 지진시 각 교좌 장치가 부담할 수평하중 계산은 그리 단순한 것은 아니지만 여기서는 지극히 기본적인 요소만을 계산하되, 복잡한 것에 대하여는 가정치를 사용한다. 교량의 총중량이 1500톤이고 중력가속도를 9.81㎨로 할 때, 질량은 수학식 2 와 같다.
다음으로, 수평방향의 지진력을 구하기 위해서 먼저 교량의 고유 주기 T를 수학식 3 과 같이 계산한다.
= 1.3초
여기에서 m 은 질량이고, k는 종방향 기둥의 강성(가정치 사용)이다.
다음에는 탄성지진 응답계수 Cs를 수학식 4 와 같이 계산한다.
여기서 A는 가속도계수(강원도, 전라남도,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은 0.14임)이고, S는 지반계수(지반종류가 Ⅱ일 때 1.2)이다. A 및 S값은 가정 치이다.
다음에는 총 수평 지진력 Fx를 수학식 5와 같이 계산한다.
그러므로 각 교좌 장치가 부담하는 수평 지진력 Fh는 수학식 6 과 같다.
이때, 수평하중 32톤에 적당한 점성유체 제동기의 제1 앵커 베어링(17) 및제2 앵커 베어링(22)간의 길이는 약 51cm가 된다.
다음에는 주 지지봉(15)의 길이와 직경을 수학식 7 과 같이 계산한다.
주 지지봉(15)의 길이 L = 25 cm
주 지지봉(15)의 지름 D = 9 cm(제1앵커배어링(17)이 형성되는 반구부분을 제외한 지름)
주 지지봉(15)의 탄성계수 E = 2100000 kgf/cm2
모멘트
봉의 단면 2차 모멘트 I = πD4/64 = (3.14 X 94)/64 = 322 cm4
또한 주 지지봉(15)의 중심에서 최대 응력점 까지의 거리 y를 수학식 8 과 같이 계산한다.
따라서 발생하는 최대 휨응력(σ)은 수학식 9 와 같다.
SM400 강재 사용시 허용 응력 σa = 1400 kgf/cm2
따라서 σa 〉σ 이므로 계산결과는 만족스럽다.
다음에는 강교가 기온변화에 의하여 교량길이가 얼마나 변하는지 살펴본다.
철재의 열팽창계수(α)는 1.2 X 10-5이다. 따라서 기후의 최대 온도변화를 섭씨 60도라 하면, 50m 지간 교량의 최대 신축변위량은 수학식 10과 같다.
= 0.036 m = 36 mm
따라서 도 4 에서 피스톤(43)의 좌우측에 각각 40mm, 합계 80mm의 충분한 이동가능 거리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내진 교좌장치를 통해 교량 교좌 장치의 3대 기능인 받침, 굴림 및 미끄러짐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미지의 각도에서 작용하는 돌풍이나 지진하중을 충분히 감쇠하여 교량과 그 관련 구조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내구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접점에 위치하여 상부구조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구조에 전달하고, 지진력, 풍력, 차량의 견인 및 제동력, 온도 변화에 안전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점성유체 제동기를 장착한 내진 교좌장치에 있어서,교량 상부구조의 하단에 위치하며, 결합수단에 의해 교량의 상부구조와 결합되는 원형 상부판;상기 상부판의 중심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원주 형태를 가지며, 길이방향 원주 중간 지점의 원주면을 따라 서로 120도 이격된 위치에 3개의 원형 홈이 수직 안쪽 방향으로 형성된 주 지지봉;상기 상부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원주상에 위치하며, 상기 주 지지봉을 중심으로 각각 120도 이격되고, 이웃한 두개의 원형 홈간의 중간 위치에서 하향 돌출된 3개의 원주형 부 지지봉;상기 주 지지봉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하며, 모든 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양쪽 끝에 각각 하나의 구형의 앵커 베어링을 가지며, 주 지지봉의 원형 홈과 체결되는 제1 앵커 베어링은 점성유체를 담고있는 몸통과 연결되어 있고, 반대쪽 제2 앵커 베어링은 상기 몸통내 점성유체속에서 움직이는 피스톤 로드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 3개의 점성유체 제동기;교량 하부구조의 상단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속이 비어있는 수직 방향의 원주로서, 원주의 안쪽 방향으로 원주의 두께를 달리하는 두개의 원형 턱을 구비하되 교량 하부구조와 가까운 쪽에 있는 제1 원형 턱의 지름을 제2 원형 턱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고, 제2 원형 턱이 이루는 원주 내부면상에는 상기 점성유체 제동기의 제2 앵커 베어링과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포트(Bearing Pot);상기 베어링 포트의 제1 원형 턱 내부에 형성된 고무재질의 합성 중합체판;상기 베어링 포트의 제1 원형 턱 내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합성 중합체판상에 형성되는 포트 커버;상기 베어링 포트의 제2 원형 턱 내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주 지지봉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판;상기 포트 커버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불소 수지판; 및상기 하부판과 불소 수지판 사이에 위치하며, 불소 수지판과 마주하는 면을 마찰이 적도록 연마하여 형성된 스테인레스 미끄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 제동기를 장착한 내진 교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 베어링과 한쪽 끝단이 연결되면서 점성유체를 담고있는 상기 점성유체 제동기의 몸통은, 내부 중앙부가 관통된 구조로 서로 연결된 두개의 공간과, 상기 제2 앵커 베어링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 외벽면에 형성된 원주형 구조로서, 상기 제2 앵커 베어링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 상에는 원형 피스톤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 제동기를 장착한 내진 교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지지봉의 원형 홈내에 결합된 제1 앵커 베어링과, 베어링 포트의 원형 홈내에 결합된 제2 앵커 베어링이 원형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 베어링 주위를 따라 주 지지봉 및 베어링 포트의 벽면상에 고정되는 앵커 베어링 보호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 제동기를 장착한 내진 교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6963U KR200256813Y1 (ko) | 2001-09-04 | 2001-09-04 | 점성유체(粘性流體)제동기를 장착한내진교좌(耐震橋座)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6963U KR200256813Y1 (ko) | 2001-09-04 | 2001-09-04 | 점성유체(粘性流體)제동기를 장착한내진교좌(耐震橋座)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6813Y1 true KR200256813Y1 (ko) | 2001-12-24 |
Family
ID=7306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6963U KR200256813Y1 (ko) | 2001-09-04 | 2001-09-04 | 점성유체(粘性流體)제동기를 장착한내진교좌(耐震橋座)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6813Y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6328A (ko) * | 2002-08-10 | 2002-11-18 | 양병찬 | 회전자유형 마찰지진격리장치 |
KR100430645B1 (ko) * | 2001-12-13 | 2004-05-10 | 유니슨 주식회사 | 낙교방지 및 과다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2단계 충격흡수장치 |
KR101072070B1 (ko) | 2008-07-01 | 2011-10-10 | 조영철 |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
KR101081439B1 (ko) | 2008-08-08 | 2011-11-09 | (주)엠피기술산업 |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
KR101705171B1 (ko) * | 2015-09-11 | 2017-02-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가스 리프터 |
KR101749589B1 (ko) * | 2017-04-07 | 2017-06-21 |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
KR20180113790A (ko) * | 2017-04-07 | 2018-10-17 | 이준희 |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
CN109056505A (zh) * | 2018-09-27 | 2018-12-21 | 北方民族大学 | 一种方便更换的桥梁抗震限位装置 |
CN114277674A (zh) * | 2022-01-14 | 2022-04-05 | 宁波市高等级公路建设管理中心 | 一种可有效抗震的盖梁安装结构 |
-
2001
- 2001-09-04 KR KR2020010026963U patent/KR20025681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0645B1 (ko) * | 2001-12-13 | 2004-05-10 | 유니슨 주식회사 | 낙교방지 및 과다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2단계 충격흡수장치 |
KR20020086328A (ko) * | 2002-08-10 | 2002-11-18 | 양병찬 | 회전자유형 마찰지진격리장치 |
KR101072070B1 (ko) | 2008-07-01 | 2011-10-10 | 조영철 |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
KR101081439B1 (ko) | 2008-08-08 | 2011-11-09 | (주)엠피기술산업 |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
KR101705171B1 (ko) * | 2015-09-11 | 2017-02-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가스 리프터 |
KR101749589B1 (ko) * | 2017-04-07 | 2017-06-21 |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
KR20180113790A (ko) * | 2017-04-07 | 2018-10-17 | 이준희 |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
KR102158964B1 (ko) | 2017-04-07 | 2020-10-23 | (주) 탐진씨앤에스 |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
CN109056505A (zh) * | 2018-09-27 | 2018-12-21 | 北方民族大学 | 一种方便更换的桥梁抗震限位装置 |
CN109056505B (zh) * | 2018-09-27 | 2024-03-01 | 北方民族大学 | 一种方便更换的桥梁抗震限位装置 |
CN114277674A (zh) * | 2022-01-14 | 2022-04-05 | 宁波市高等级公路建设管理中心 | 一种可有效抗震的盖梁安装结构 |
CN114277674B (zh) * | 2022-01-14 | 2024-02-02 | 宁波市高等级公路建设管理中心 | 一种可有效抗震的盖梁安装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31593B2 (en) | Directional sliding pendulum seismic isolation systems and articulated sliding assemblies therefor | |
US4644714A (en) | Earthquake protective column support | |
CN103147394B (zh) | 抗拔双向滑动摩擦支座 | |
KR200256813Y1 (ko) | 점성유체(粘性流體)제동기를 장착한내진교좌(耐震橋座)장치 | |
KR200473182Y1 (ko) |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 |
US6971795B2 (en) | Seismic isolation bearing | |
CN1327084C (zh) | 一种斜拉索减振装置 | |
KR102263498B1 (ko) | 케이블에서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장치 | |
CZ2000515A3 (cs) | Způsob ochrany budov a objektů před dynamickými silami ze zrychlení základové desky, například při zemětřesení,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 |
US6115972A (en) | Structure stabilization system | |
KR101232906B1 (ko) | 진동감쇠 마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 |
KR101815644B1 (ko) | 엑스 형태의 제진장치 | |
KR20120022520A (ko) | 지진 격리 장치 | |
KR20140056798A (ko) | 덮개판과 지지대가 구비된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 |
KR100820001B1 (ko) | 댐퍼부재를 갖는 교좌장치 | |
CN104746424A (zh) | 一种钢阻尼球型支座 | |
JP2010189999A (ja) | 免震構造、及び免震構造を有する建物 | |
KR101297635B1 (ko) | 마찰판의 탈락 방지수단을 구비한 구조용 받침 | |
CN101718077B (zh) | 桥梁抗震支座 | |
JPH0562179B2 (ko) | ||
KR100402372B1 (ko) | 방향성 마찰진자 지진격리장치 | |
Kaplan et al. | Optimal design of a base isolated system for a high‐rise steel structure | |
CN211079896U (zh) | 一种摩擦摆式的桥梁减隔震钢支座 | |
HU190312B (en) | Apparatus for decreasing the seismic loads arising on tower-like constructions of high centre of gravity for preventing the turning-over of building wedge provided with flexible members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wall structure | |
WO2001042593A2 (en) | Seismic isolation bea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41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