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763A -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 Google Patents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763A
KR20200041763A KR1020190001849A KR20190001849A KR20200041763A KR 20200041763 A KR20200041763 A KR 20200041763A KR 1020190001849 A KR1020190001849 A KR 1020190001849A KR 20190001849 A KR20190001849 A KR 20190001849A KR 20200041763 A KR20200041763 A KR 20200041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iction
sliding
circumferential surface
hollo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710B1 (ko
Inventor
조영철
방인석
이찬영
김권일
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Priority to KR1020190001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7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마찰을 일으키는 마찰판과 미끄럼판 상호간에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 거리와 속도가 증가하여 마찰에 의한 큰 에너지 소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이 개시된다. 상기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은 하보강판, 상보강판, 상기 하보강판과 상기 상보강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로 중공부가 형성된 고무탄성체, 상기 중공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층상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과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 변위 시 상기 중공부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아서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복수 개의 미끄럼판 및 위층 및 아래층의 상기 미끄럼판 사이에 각각 삽입되고 외주면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과 이격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 변위 시 상기 중공부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지 않고,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상기 미끄럼판과의 마찰에 의한 힘의 영향을 받으면서 수평변위를 하여 상기 미끄럼판보다 늦게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변위의 반응하며, 접촉면적의 변화 없이 상기 미끄럼판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상기 미끄럼판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복수 개의 마찰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Elastic bearing with multi-layer friction core}
본 발명은 면진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탄성체 내부의 중공부에 서로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 마찰판을 층상으로 삽입하여 코어를 형성한 구조를 가지는 면진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각 등의 지지구조물과 교량 상판 등의 상부구조물 및 지지구조물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구조물에 지지하여주는 교좌장치로 구성된다. 교좌장치 중에는 얇은 철판 등의 삽입보강판(shim plate)을 고무 등의 탄성중합체(elastomer) 내부에 간격을 두고 층상으로 삽입한 것(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고무탄성체"라고 칭함)을 이용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교량의 상부구조물 위로는 차량이나 열차 등이 고속으로 통행하므로 교량에는 시시각각 변화되는 동 하중이 작용한다. 또, 큰 교량에서는 상부구조물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계절 변화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한 열변형으로 상부구조물의 신축량이 커지므로, 상부구조물과 교각의 접촉부위에서 상대적인 수평변위가 허용되어야 한다. 또한, 지진 등에 의해 교량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큰 충격력에 대비하여 수평방향의 충격력을 완충하여 줄 수 있는 지지구조를 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교량의 교각과 상부구조물 사이에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고무탄성체를 이용한 탄성받침을 설치하여 상부구조물의 수평변위에 대응하면서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고, 상부구조물에 미치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은 탄성받침으로서 고무탄성체 내부의 중공부에 납 코어 대신 서로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 마찰판을 층상으로 삽입하여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수평 변형이 발생할 때 마찰판들 간에 마찰을 일으켜 지진력을 감쇠시킬 수 있게 한 면진장치가 공개번호 20-2015-0000709호(발명의 명칭: 미끄러짐이 가능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지진 격리 장치, 발명자: 이재욱 외 5)에 개시되어 있다.
이 이재욱 등의 발명은 동일 직경의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를 중공부에 삽입하고 그 측면을 코어 보호 시트로 둘러싼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 이재욱 등의 발명은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의 직경이 서로 같고 이들이 삽입되는 중공부의 내경 또는 중공부에 삽입되는 보호시트의 내경과 거의 동등하므로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는 고무탄성체의 수평변위에 따라 변하는 중공부의 수평변위에 따라 수평변위 초기와 수평변위 종기의 아주 짧은 일부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에서 거의 같은 속도와 같은 방향으로 수동적으로만 수평운동을 하기 때문에 서로 마찰을 일으키는 구간이 매우 짧고, 상호간에 속도 차이가 커질 여지도 거의 없어서 마찰에 의한 지진에너지 감쇠가 크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공부에 서로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 마찰판을 층상으로 삽입하여 코어를 형성한 구조의 탄성받침에서는 고무탄성체의 수평변위가 증가할수록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간의 접촉면적이 감소하여 지진 에너지의 감쇠성능이 점점 저하되고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의 단위 면적당 부담하는 하중도 점점 증가하므로 정적 하중이 작용하는 평상시보다 동적 하중이 작용하는 지진 시에 하중을 지지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이러한 탄성받침에서 한계상황에서도 견딜 수 있게 제작을 해야 하므로, 이재욱 등의 발명에서와 같이 코어를 구성하는 경우,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의 재료를 낭비하는 결과가 초래되고,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로 인한 탄성받침의 무게 증가의 문제점도 있다.
또한, 이재욱 등의 발명의 코어는 탄성받침이 좌우로 변위를 일으킨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어 고무탄성체에 의해 복원될 때 탄성받침의 수평방향 복원에는 아무런 기여도 하지 않는다.
그 외에 관련 종래기술로는 미국특허번호 US 7,856,766 B2호(발명의 명칭: 면진장치, 발명자: 유키노리 타케노시타 외 1)의 특허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유키노리 타케노시타 등의 발명은 탄성받침이 수평변위를 일으킨 상태에서 상하 유동 시 탄성재 내부에 삽입된 삽입보강판과 코어를 구성하는 마찰판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마찰판과 탄성고무의 내주면 사이에 윤활성이 있는 수지나 고무 등으로 된 마찰저감수단을 삽입하고, 마찰판 상단과 하단에 탄성체나 디스크 스프링 등의 가압수단을 설치한 구성을 하고 있다.
이 유키노리 타케노시타 등의 발명은 각 층의 마찰판이 같은 직경 또는 폭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같은 마찰저감수단의 지지를 받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각 층의 마찰판이 동등한 조건으로 설치되므로, 위 이재욱 등의 발명에서와 마찬가지로 탄성고무가 한쪽 방향으로 수평변위를 일으킬 때 상하로 이웃하는 두 마찰판은 수평변위 초기와 끝의 아주 작은 일부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을 같은 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변위를 일으킨다. 이에 따라 마찰판 상호간에 마찰을 일으키는 구간 또는 마찰거리가 매우 짧고, 마찰을 일으키는 마찰판 상호간의 속도차이도 매우 작아서 마찰로 인한 지진에너지 감쇠효과가 떨어진다.
그리고 유키노리 타케노시타 등의 발명은 앞에서 기술한 이재욱 등의 발명에서와 마찬가지로 마찰판 재료의 낭비와 마찰판으로 인한 탄성받침의 무게 증가의 문제점을 여전히 가진다.
또한, 유키노리 타케노시타 등의 발명은 마찰판이 중공부 내벽에 대해 수지나 고무 등으로 된 마찰저감수단에 의해 중공부의 중심부 또는 내측을 향해 탄성력을 받는 점에서 이재욱 등의 발명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마찰저감수단이 상하로 분할된 것은 탄성받침이 좌우로 변위를 일으킨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어 고무탄성체에 의해 복원될 때 탄성받침의 수평방향 복원에는 아무런 기여를 하지 않는다. 물론, 마찰저감수단이 일체로 된 것은 직립 상태에서 옆으로 휘어졌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는 정도의 힘은 제공할 수 있지만, 옆으로 휘어졌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는 힘은 매우 작기 때문에 교량 등 하중이 큰 구조물을 지지하는 탄성받침의 복원에서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힘이고, 탄성받침의 수평방향 복원에는 거의 기여를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마찰을 일으키는 부재들 상호간의 상대적인 속도차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소산 능력이 뛰어난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마찰을 일으키는 부재들 상호간에 마찰을 일으키는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소산 능력이 뛰어난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의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으면서 소요되는 마찰재료의 양과 탄성받침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 변위 시 상하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서로 마찰을 일으키는 부재들 간의 마찰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거동 안정성이 뛰어난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층마찰 코어가 탄성받침의 복원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방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은 하보강판; 상보강판; 탄성재와 상기 탄성재 내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삽입된 삽입보강판을 구비하여 상기 하보강판과 상기 상보강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로 중공부가 형성된 고무탄성체; 상기 중공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층상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과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 변위 시 상기 중공부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아서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복수 개의 미끄럼판; 및 위층 및 아래층의 상기 미끄럼판 사이에 각각 삽입되고 외주면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과 이격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 변위 시 상기 중공부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지 않고,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상기 미끄럼판과의 마찰에 의한 힘의 영향을 받으면서 수평변위를 하여 상기 미끄럼판보다 늦게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변위의 반응하며, 상기 미끄럼판과 접촉면적의 변화 없이 마찰을 일으키면서 상기 미끄럼판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복수 개의 마찰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은 하보강판; 상보강판; 탄성재와 상기 탄성재 내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삽입된 삽입보강판을 구비하여 상기 하보강판과 상기 상보강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로 중공부가 형성된 고무탄성체; 상기 중공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층상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과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 변위 시 상기 중공부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아서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복수 개의 마찰판; 및 위층 및 아래층의 상기 마찰판 사이에 각각 삽입되고 외주면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과 이격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 변위 시 상기 중공부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지 않고,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상기 마찰판과의 마찰에 의한 힘의 영향을 받으면서 수평변위를 하여 상기 마찰판보다 늦게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변위의 반응하며, 상기 마찰판과 접촉면적의 변화 없이 마찰을 일으키면서 상기 마찰판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미끄럼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판은 상기 마찰판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의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마찰판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때에 따라, 상하로 이웃하여 배치된 상기 미끄럼판 사이의 상기 마찰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 사이를 따라 각각 설치되어 상기 마찰판을 상기 중공부의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 개의 고무링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은 상기 마찰판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의 재료로 상기 마찰판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만들어진 것이 좋다.
때에 따라, 상하로 이웃하여 배치된 상기 마찰판 사이의 상기 미끄럼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 사이를 따라 각각 설치되어 상기 미끄럼판을 상기 중공부의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 개의 고무링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은 상기 마찰판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의 재료로 상기 마찰판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만들어진 것이 좋다.
상기 하보강판과 상기 상보강판 중 어느 하나에 또는 상기 하보강판과 상기 상보강판 둘 모두에 상기 중공부와 마주하는 플러그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장착홈에는 상기 마찰판과 상기 미끄럼판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게 하는 탄성력을 작용시키며 경도가 쇼어 D40~65인 고무 플러그가 설치되고, 상기 미끄럼판은 스테인리스 스틸판, 철판에 크롬도금을 하거나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부착한 것 또는 나일론과 같은 경도 쇼어 D71 이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판은 UHMW-PE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 황동마찰판 또는 PTFE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마찰판의 경도는 쇼어 D50~90인 것이 좋다.
때에 따라, 상하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미끄럼판과 상기 마찰판 사이에 고무패드와 미끄럼판이 삽입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은 스테인리스 스틸판, 철판에 크롬도금을 하거나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부착한 것 또는 나일론과 같은 경도 쇼어 D71 이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판은 UHMW-PE판, PTFE판 또는 경도가 쇼어 D70 이하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판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마찰판이 장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마찰판 장착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미끄럼판은 스테인리스 스틸판, 철판에 크롬도금을 하거나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부착한 것 또는 나일론과 같은 경도 쇼어 D71 이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판은 UHMW-PE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링은 경도가 쇼어 A40~60인 것이 좋다.
설계 목표 하중에서의 상기 고무 플러그와 상기 마찰판 전체의 압축량은 상기 탄성재층 전체 또는 상기 고무탄성체의 압축량에서 ㅁ10%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탄성받침에 비해 마찰을 일으키는 마찰판과 미끄럼판 상호간에 상대적인 속도차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 속도가 증가하여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소산 능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탄성받침에 비해 마찰을 일으키는 마찰판과 미끄럼판 상호간에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 거리가 증가하여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소산 능력이 더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변위 여부에 상관없이 상하로 이웃하는 마찰부재 간의 접촉면적이 거의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어 탄성받침의 거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으면서 소요되는 마찰재료의 양과 탄성받침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이 한쪽 수평방향으로 수평변위를 일으킨 상태에서 방향전환을 하여 복원되는 순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와 10은 도 8에 나타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9와 10에 나타낸 미끄럼판과 마찰판 및 고무링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또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100)은 하보강판(110)과 상보강판(120), 이들 하보강판(110)과 상보강판(120)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로 중공부(132)가 형성된 고무탄성체(130) 및 중공부(132)에 설치된 다층마찰 코어(140)를 가진다. 중공부(132)는 바람직하게 고무탄성체(130)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하보강판(110)과 상보강판(120)의 중앙부에 다층마찰 코어(140)를 구성하는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을 중공부(132)에 삽입할 수 있고 바깥쪽으로 턱(J)이 형성된 관통부(TH)가 갖추어져 있고, 턱(J)에 결합되는 볼트(B)를 통해 커버(112, 122)가 결합되어 있다.
하보강판(110)과 상보강판(120) 바깥으로 탄성받침(100)이 설치되는 구조물 등에 고정하기 위한 하부판(101)과 상부판(102)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고무탄성체(130)는 탄성재(131)와 탄성재(131) 내부에 삽입된 삽입보강판(133)을 가진다. 삽입보강판(133)은 하보강판(110)과 상보강판(120) 보다는 두께가 훨씬 얇고 상하로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보강판(133)으로는 상하의 두 삽입보강판(133) 사이의 탄성재(131)가 형성하는 탄성재층(131a)의 두께보다도 작은 두께의 것이 사용되며, 강판 등의 금속판이나 에프알피(FRP)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고강도 플라스틱판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부(132)에는 다층마찰 코어(140)가 설치되어 있다. 다층마찰 코어(140)는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이 교대로 층을 이루며 적층되어 있다. 미끄럼판(141)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층상으로 배치되고 상하로 이웃한 두 미끄럼판(141) 사이에 마찰판(146)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최하측 및 최상측 마찰판(146)과 커버(112, 122) 사이에는 바람직하게 스테인리스스틸판(ST)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미끄럼판(141)으로는 스테인리스 스틸판, 철판에 크롬도금을 하거나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부착한 것 또는 나일론과 같은 경도 쇼어 D71 이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미끄럼판(141)은 대략 삽입보강판(133) 정도의 두께로 만든 것이 좋다. 이러한 미끄럼판(141)은 중공부(132)의 직경(또는 면적)과 거의 같은 직경(또는 면적) 또는 중공부(132)로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중공부(132)보다 조금 작은 직경(또는 면적)으로 만들어진다. 이에 따라 미끄럼판(141)의 가장자리는 중공부(132) 내주면에 접촉되거나 거의 인접하여 배치되어 고무탄성체(130)의 수평 변위 시 중공부(132)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아서 수평변위를 일으키며, 중공부(132) 내주면의 수평변위에 따라 즉각적으로 또는 바로 중공부(132) 내주면의 수평변위와 같은 정도의 수평변위를 일으킨다.
마찰판(146)은 상하로 이웃한 미끄럼판(141)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며, 미끄럼판(141)보다 작은 직경 또는 미끄럼판(141)보다 작은 수평면적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마찰판(146)의 외주면은 중공부(132)의 내주면과 이격하게 배치되어 고무탄성체(130)의 수평 변위 시 중공부(132)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지 않고,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미끄럼판(141)과의 마찰에 의한 힘의 영향을 받으면서 수평변위를 한다. 이에 따라 마찰판(146)은 미끄럼판(141)보다 늦게 고무탄성체(130)의 수평변위 또는 중공부(132) 내주면의 수평변위에 반응하여 수평변위를 한다. 이러한 마찰판(146)은, 고무탄성체(130)의 수평 변위 시, 위층 및 아래층의 미끄럼판(141)에 대해 상면 및 하면의 전체 면적이 면접촉한 상태로 접촉면적의 변화 없이 미끄럼판(141)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미끄럼판(141)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허용한다.
위와 같은 마찰판(146)은 바람직하게 미끄럼판(141)보다는 두껍게 형성되며, 미끄럼판(141)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달리 표현하면, 미끄럼판(141)은 바람직하게, 마찰판(146)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의 재료로 만들어지고, 마찰판(146)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다. 마찰판(146)의 두께는 대략 탄성재층(131a)의 두께와 같은 정도의 것이 적당하다.
이 실시 예의 경우, 마찰판(146)의 경도는 쇼어 D50~70의 것이 적당하고, 설계 목표 하중에서의 마찰판(146) 전체의 압축량은 탄성재층(131a) 또는 고무탄성체(130)의 압축량과 같게 하는 것이 좋고, 차이가 나더라도 탄성재층(131a) 전체 또는 고무탄성체(130)의 압축량에서 "ㅁ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마찰판(146)으로는 압축하중에 대해 고무로 구성되는 탄성재층(131a)과 비슷한 압축량을 가질 수 있는 UHMW-PE(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로 된 것이 적당하다. 때에 따라 UHMW-PE 외에 PTFE(Polytetrafluoroethylene)판, 경도가 쇼어 D70 이하의 여타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100)에서 지진 등에 의해 고무탄성체(130)가 빠르게 수평변위를 일으키면 고무탄성체(130)에 형성된 중공부(132) 내주면은 즉각적으로 미끄럼판(141)을 측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미끄럼판(141)도 고무탄성체(130)의 수평변위에 즉각 반응하여 고무탄성체(130)와 같은 방향으로 수평변위를 일으킨다.
하지만, 중공부(132)의 내주면과 떨어져 있는 마찰판(146)의 측면은 중공부(132)의 내주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힘을 받지 않는다. 이에 따라 미끄럼판(141)은 마찰판(146)에 대해 큰 속도차이로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마찰판(146)은 최상측 및 최하측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순차적으로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상측 미끄럼판(141) 및 하측 미끄럼판(141)과의 마찰에 의한 마찰력만 받아서 수평방향으로 변위를 하므로 미끄럼판(141)보다는 작은 속도로 수평방향 운동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100)에서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 간의 속도차이는 종래의 것에 비해 크다. 이에 따라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 간의 상대적인 마찰속도는 종래의 것에 비해 크고 상대적인 마찰 거리도 종래의 것에 비해 증가한다.
고무탄성체(130)의 수평변위 시, 마찰판(146) 상측에 배치되는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 하측에 배치되는 미끄럼판(141)의 수평변위 시작 시간에 어느 정도 시간 간격을 줄 수 있으면서 적정 수준의 마찰층을 만들기 위해서는 마찰판(146)의 두께는 미끄럼판(141) 두께의 2~5배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좋다.
또, 고무탄성체(130)가 한쪽 방향으로 수평변위를 하였다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수평변위를 할 때 미끄럼판(141)은 고무탄성체(130)의 중공부(132) 내주면의 힘을 받아서 즉각적으로 방향을 전환하지만 중공부(132) 내주면과 떨어져 있는 마찰판(146)은 중공부(132) 내주면의 힘을 받지 못하므로 바로 방향을 전환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 상호간의 마찰속도와 마찰거리는 종래의 것에 비해 크게 증가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이 한쪽 수평방향으로 수평변위를 일으킨 상태에서 방향전환을 하여 복원되는 순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상하로 이웃하여 배치된 미끄럼판(141) 사이의 마찰판(146)의 가장자리와 중공부(132)의 내주면 사이를 따라 고무링(143)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고무링(143)은 마찰판(146)을 중공부(132)의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마찰판(146)을 중심부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무링(143)으로는 경도가 쇼어 A4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100)에서, 고무탄성체(130)의 수평변위 시, 마찰판(146)은 중공부(132) 내주면의 힘을 고무링(143)을 통해서 받기 때문에 즉각적으로 중공부(132) 내주면의 힘을 받는 미끄럼판(141)과는 달리 수평변위 시작 시간이 지연된다. 이에 따라 마찰판(146)의 가장자리와 중공부(132)의 내주면 사이를 따라 고무링(143)이 설치되는 경우에도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 상호간의 속도차이와 상대적인 마찰속도 및 마찰거리는 종래의 것에 비해 증가한다.
고무탄성체(130)가 한쪽 방향으로 수평변위를 하는 과정에서, 미끄럼판(14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부(132) 내주면의 변위에 따라 같은 정도의 수평변위를 일으키고, 마찰판(146)은 그 위쪽 미끄럼판(141)과 아래쪽 미끄럼판(141)에 의해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수평변위를 일으키면서 이동하는 방향 쪽에 있는 고무링(143) 부분을 압축한다. 고무탄성체(130)가 오른쪽으로 변위하였다가 방향을 전환하여 복원되는 경우, 미끄럼판(141)도 고무탄성체(130)와 거의 동시에 방향전환을 한다.
하지만, 마찰판(146)은 미끄럼판(141)과 달리 고무탄성체(130)와 같이 즉각적으로 또는 바로 방향전환을 하지 못하고 오른쪽에 있는 탄성체를 압축하였다가 미끄럼판(141)과의 마찰력과 오른쪽 고무링(143)의 탄성력에 의해 방향전환을 하여 다시 왼쪽으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마찰판(146)의 방향전환은 미끄럼판(141)의 방향전환 시에 비해 시간지연이 발생하고, 고무링(143)의 압축정도와 마찰판(146)과 미끄럼판(141) 간의 마찰계수 등에 따라 다르겠지만, 마찰판(146)은 이동하는 방향 반대쪽에 있는 고무링(143) 부분과는 떨어질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탄성체(130)가 한쪽 방향으로 수평변위를 하였다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수평변위를 할 때, 미끄럼판(141)은 고무탄성체(130)의 중공부(132) 내주면의 힘을 받아서 즉각적으로 방향을 전환하지만 중공부(132) 내주면과 떨어져 있는 마찰판(146)은 중공부(132) 내주면의 힘을 고무링(143)을 통해서 받으므로 바로 방향을 전환하지 못하고 조금 지연 후 방향을 전환한다. 이에 따라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 상호간의 마찰속도와 마찰거리는 종래의 것에 비해 증가한다.
마찰판(146)이 방향을 전환한 후에는 방향전환 전의 수평변위의 역과정으로 수평변위를 한다. 이러한 과정을 좌우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 지진에너지는 마찰에너지로 소산된다.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100)에 작용하던 수평방향의 외력이 제거되면 고무링(143)은 마찰판(146)을 중공부(132)의 중앙부로 복원시킨다.
나머지 구성은 도 1을 통해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하보강판(110)과 상보강판(120)에 중공부(132)와 마주하는 플러그 장착홈(113)을 각각 형성하고, 이 플러그 장착홈(113)에 고무 플러그(150)가 장착될 수 있다. 고무 플러그(150)과 마찰판(146) 사이에는 바람직하게 스테인리스스틸판(ST)이 설치된다.
마찰판(146)이 경질의 재료로 되어 있어서 압축력을 받아 수축되는 고무탄성체(130)의 수축량 정도로 수축되지 않게 구성된 경우, 고무 플러그(150)는 수축되면서 마찰판(146)에 큰 집중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며,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게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이러한 고무 플러그(150)로는 경도가 쇼어 D40~65인 것이 적당하고, 폴리우레탄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예에서, 미끄럼판(141)으로는 스테인리스 스틸판, 철판에 크롬도금을 하거나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부착한 것 또는 나일론과 같은 경도 쇼어 D71 이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마찰판(146)으로는 UHMW-PE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 황동마찰판 또는 PTFE판이 사용될 수 있다.
마찰판(146)과 중공부(132) 내주면 사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링(143)을 설치하거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링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고무링(143)으로는 쇼어 A40~60의 경도를 가지는 것이 적당하다.
그리고 플러그 장착홈(113)과 고무 플러그(150)는 하보강판(110)과 상보강판(12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고무 플러그(150)가 설치되는 경우, 마찰판(146)으로는 경도가 쇼어 D71~90 정도의 경질의 재료로 된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설계 목표 하중에서의 고무 플러그(150) 전체의 압축량은 고무탄성체(130)를 구성하는 탄성재층(131a) 또는 고무탄성체(130)의 압축량과 같거나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재층(131a) 전체 또는 고무탄성체(130)의 압축량에서 ㅁ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좋다.
때에 따라, 마찰판(146)으로는 경도가 쇼어 D50~70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설계 목표 하중에서의 마찰판(146)과 고무 플러그(150) 전체의 압축량의 합이 탄성재층(131a) 전체 또는 고무탄성체(130)의 압축량과 같거나 비슷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재층(131a) 전체 또는 고무탄성체(130)의 압축량에서 ㅁ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좋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 사이에 고무패드(148)와 미끄럼판(141)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마찰판(146)이 경질의 재료로 되어 압축력을 받아 수축되는 고무탄성체(130)의 수축량 정도로 수축되지 않는 경우, 고무패드(148)는 수축되면서 마찰판(146)에 큰 집중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며,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게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이러한 고무패드(148)의 경도는 탄성재층(131a)의 경도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마찰판(146)으로는 경도가 쇼어 D71~90인 것도 사용될 수 있고, 설계 목표 하중에서의 고무패드(148) 전체의 압축량은 탄성재층(131a) 전체 또는 고무탄성체(130)의 압축량에서 ㅁ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판(146)의 외주면과 중공부(132)의 내주면 사이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링(143)이 설치될 수 있지만, 도 1과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링 없이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100)을 구성할 수 있다.
고무패드(148)만으로 고무탄성체(130)의 수축량을 모두 받아줄 수 있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플러그 설치 없이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100)을 구성할 수 있고, 고무패드(148)만으로 고무탄성체(130)의 수축량을 모두 받아줄 수 없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보강판(110) 및/또는 상보강판(120)에 플러그 장착홈(113)을 형성하여 고무 플러그(150)를 장착할 수 있다.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 등의 나머지 사항은 도 4와 도 5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미끄럼판(141)의 상면과 하면에는 마찰판(146)이 장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마찰판 장착홈(141a)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찰판(146)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도록, 마찰판 장착홈(141a)은 마찰판(146)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마찰판(146)은 마찰판 장착홈(141a) 내에서 수평변위를 할 수 있다. 마찰판(146)의 유동범위를 제한하고자 할 때 적합하다.
나머지 사항은 도 1에서와 같다.
도 9와 10은 도 8에 나타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와 10에 나타낸 미끄럼판과 마찰판 및 고무링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보강판(120)에 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보강판(110)에 플러그 장착홈(123, 113)을 형성하고, 이 플러그 장착홈(123, 113)에 고무 플러그(150)을 설치함과 아울러, 마찰판 장착홈(141a)의 내주면과 마찰판(146)의 외주면 사이에 마찰판(146)을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고무링(143)을 더 설치하여 수평방향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마찰판(146)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하보강판(110)과 상보강판(120) 모두에 플러그 장착홈(113)을 통해 고무 플러그(150)을 설치할 수 있음 물론이다.
이 경우,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은 도 4와 도 5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이 실시 예에서, 고무탄성체(130)의 수평변위 시, 마찰판(146)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는 미끄럼판(141)은 마찰판 장착홈(141a)의 내주면과 고무링(143)을 통해 마찰판(146)에 수평력을 작용시키거나 마찰판(146)으로부터 수평력을 받을 수 있고, 이러한 관계가 상하로 층상으로 배치된 미끄럼판(141)들에 연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다층마찰 코어(140)는 고무탄성체(130)가 수평변위를 일으킨 상태에서 고무탄성체(130)에 복원력을 작용시킨다.
마찰판 장착홈(141a)이 형성된 미끄럼판(141)과 마찰판(146) 및 고무링(143)의 형상은 도 11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나머지는 도 2와 도 3 및 도 8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또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복수 개의 마찰판(146)은 그 외주면이 중공부(132) 내주면에 접촉되거나 인접되게 중공부(132)에 각각 설치하고, 복수 개의 미끄럼판(141)은 마찰판(146)보다 작은 직경 또는 작은 면적으로 각각 형성하여 상하로 이웃한 마찰판(146) 사이에 각각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찰판(146)은 중공부(132)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층상으로 배치되고, 그 외주면은 중공부(132) 내주면과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어, 고무탄성체(130)의 수평 변위 시 중공부(132)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아서 수평변위를 일으킨다. 이에 따라 마찰판(146)은 중공부(132) 내주면의 수평 변위에 따라 바로 또는 즉각적으로 수평변위를 일으킨다.
각 미끄럼판(141)은 위층 및 아래층의 마찰판(146) 사이에 각각 삽입되고 그 외주면은 중공부(132)의 내주면과 이격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미끄럼판(141)은 고무탄성체(130)의 수평 변위 시 중공부(132)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지 않고,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마찰판(146)과의 마찰에 의한 힘의 영향을 받으면서 수평변위를 하여 마찰판(146)보다 늦게 고무탄성체(130)의 수평변위의 반응하여 수평변위를 한다. 또한, 각 미끄럼판(141)은 위층 및 아래층의 마찰판(146)에 대해 상면 및 하면의 전체 면적이 면접촉한 상태로 접촉면적의 변화 없이 마찰판(146)에 대해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상하로 이웃하여 배치된 마찰판(146) 사이의 미끄럼판(141)의 가장자리와 중공부(132)의 내주면 사이를 따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링(143)이 각각 설치되어 미끄럼판(141)을 중공부(132)의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할 수 있지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링 없이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100)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보강판(110) 및/또는 상보강판(120)에 플러그 장착홈(113)이 형성되고, 이 플러그 장착홈(113)에 고무 플러그(150)가 삽입되어 고무탄성체(130)의 수축정도에 따라 같은 정도로 수축될 수 있게 하고, 하중을 받는 상태에서 마찰판(146)과 미끄럼판(141)이 서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4와 5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0:탄성받침 101: 하부판
102: 상부판 110: 하보강판
112, 122: 커버 113, 123: 플러그 장착홈
120: 상보강판 130: 고무탄성체
132: 중공부 140: 다층마찰 코어
141: 미끄럼판 141a: 마찰판 장착홈
143: 고무링 146: 마찰판
150: 고무 플러그

Claims (12)

  1. 하보강판;
    상보강판;
    탄성재와 상기 탄성재 내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삽입된 삽입보강판을 구비하여 상기 하보강판과 상기 상보강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로 중공부가 형성된 고무탄성체;
    상기 중공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층상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과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 변위 시 상기 중공부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아서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복수 개의 미끄럼판; 및
    위층 및 아래층의 상기 미끄럼판 사이에 각각 삽입되고 외주면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과 이격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 변위 시 상기 중공부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지 않고,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상기 미끄럼판과의 마찰에 의한 힘의 영향을 받으면서 수평변위를 하여 상기 미끄럼판보다 늦게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변위의 반응하며, 상기 미끄럼판과 접촉면적의 변화 없이 마찰을 일으키면서 상기 미끄럼판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복수 개의 마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2. 하보강판;
    상보강판;
    탄성재와 상기 탄성재 내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삽입된 삽입보강판을 구비하여 상기 하보강판과 상기 상보강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로 중공부가 형성된 고무탄성체;
    상기 중공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층상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과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 변위 시 상기 중공부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아서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복수 개의 마찰판; 및
    위층 및 아래층의 상기 마찰판 사이에 각각 삽입되고 외주면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과 이격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 변위 시 상기 중공부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힘을 받지 않고,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상기 마찰판과의 마찰에 의한 힘의 영향을 받으면서 수평변위를 하여 상기 마찰판보다 늦게 상기 고무탄성체의 수평변위의 반응하며, 상기 마찰판과 접촉면적의 변화 없이 마찰을 일으키면서 상기 마찰판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미끄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미끄럼판은 상기 마찰판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의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마찰판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4. 제1항에서, 상하로 이웃하여 배치된 상기 미끄럼판 사이의 상기 마찰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 사이를 따라 각각 설치되어 상기 마찰판을 상기 중공부의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 개의 고무링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은 상기 마찰판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의 재료로 상기 마찰판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5. 제2항에서, 상하로 이웃하여 배치된 상기 마찰판 사이의 상기 미끄럼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 사이를 따라 각각 설치되어 상기 미끄럼판을 상기 중공부의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 개의 고무링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은 상기 마찰판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의 재료로 상기 마찰판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하보강판과 상기 상보강판 중 어느 하나에 또는 상기 하보강판과 상기 상보강판 둘 모두에 상기 중공부와 마주하는 플러그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장착홈에는 상기 마찰판과 상기 미끄럼판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게 하는 탄성력을 작용시키며 경도가 쇼어 D40~65인 고무 플러그가 설치되고,
    상기 미끄럼판은 스테인리스 스틸판, 철판에 크롬도금을 하거나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부착한 것 또는 나일론과 같은 경도 쇼어 D71 이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판은 UHMW-PE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 황동마찰판 또는 PTFE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7. 제6항에서, 상기 마찰판의 경도는 쇼어 D5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하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미끄럼판과 상기 마찰판 사이에 고무패드와 미끄럼판이 삽입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은 스테인리스 스틸판, 철판에 크롬도금을 하거나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부착한 것 또는 나일론과 같은 경도 쇼어 D71 이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판은 UHMW-PE판, PTFE판 또는 경도가 쇼어 D70 이하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9. 제1항에서, 상기 미끄럼판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마찰판이 장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마찰판 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10.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미끄럼판은 스테인리스 스틸판, 철판에 크롬도금을 하거나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부착한 것 또는 나일론과 같은 경도 쇼어 D71 이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판은 UHMW-PE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11. 제4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고무링은 경도가 쇼어 A4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12. 제6항에서, 설계 목표 하중에서의 상기 고무 플러그와 상기 마찰판 전체의 압축량은 상기 탄성재층 전체 또는 상기 고무탄성체의 압축량에서 ㅁ10%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KR1020190001849A 2019-01-07 2019-01-07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KR102230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49A KR102230710B1 (ko) 2019-01-07 2019-01-07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49A KR102230710B1 (ko) 2019-01-07 2019-01-07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094A Division KR101962219B1 (ko) 2018-10-12 2018-10-12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763A true KR20200041763A (ko) 2020-04-22
KR102230710B1 KR102230710B1 (ko) 2021-03-22

Family

ID=7047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849A KR102230710B1 (ko) 2019-01-07 2019-01-07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588B1 (ko) * 2021-07-12 2022-02-14 (주)에스코알티에스 경량형 컨테이너선박 해치커버용 샌드위치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2379A (ja) * 1996-03-05 1997-09-16 Nitta Ind Corp 軽荷重用免震装置
JP2012132504A (ja) * 2010-12-21 2012-07-12 Bridgestone Corp 免震装置
KR20150000709U (ko) * 2013-08-09 2015-02-23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미끄러짐이 가능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지진 격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2379A (ja) * 1996-03-05 1997-09-16 Nitta Ind Corp 軽荷重用免震装置
JP2012132504A (ja) * 2010-12-21 2012-07-12 Bridgestone Corp 免震装置
KR20150000709U (ko) * 2013-08-09 2015-02-23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미끄러짐이 가능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지진 격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588B1 (ko) * 2021-07-12 2022-02-14 (주)에스코알티에스 경량형 컨테이너선박 해치커버용 샌드위치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710B1 (ko) 202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949B1 (ko) 면진 장치
KR100757749B1 (ko) 구조물 면진장치
KR101103983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MX2007014959A (es) Muelle estratificado de alta elasticidad.
TWI723121B (zh) 滑動支承裝置
CA2907567A1 (en) Disc and spring isolation bearing
EP3158148B1 (en) A sliding bearing for seismic protection
KR20200041763A (ko)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KR101072070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JP5513956B2 (ja) すべり支承装置
KR102138940B1 (ko) 쐐기를 이용한 탄성 마찰댐퍼 및 이를 이용한 댐핑구조물
KR102138941B1 (ko) 쐐기를 이용한 면진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지지 쐐기기구
KR101962219B1 (ko)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KR101293331B1 (ko)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분력을 이용한 수평변위 조절기구와 교좌장치
JP4292127B2 (ja) 橋梁用支承装置
TW436563B (en) Seismic isolation device
EP4174239A1 (en) Composite sliding block for frictional-type seismic isolators and seismic isolators with said composite sliding block
KR101407142B1 (ko) 마찰저항기구
TWI802579B (zh) 抗震滑動支撐裝置
US20030091247A1 (en) Bearing assembly for a bridge
JP3717287B2 (ja) 免震支承装置
WO2006028391A1 (en) Self centring sliding bearing
KR20020095271A (ko) 교량의 탄성 슬라이드 받침장치
JP3790901B2 (ja) 免震装置
JP2019100437A (ja) 積層ゴム支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