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907B1 -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907B1
KR101205907B1 KR1020120063311A KR20120063311A KR101205907B1 KR 101205907 B1 KR101205907 B1 KR 101205907B1 KR 1020120063311 A KR1020120063311 A KR 1020120063311A KR 20120063311 A KR20120063311 A KR 20120063311A KR 101205907 B1 KR101205907 B1 KR 101205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bridge
pin membe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빅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빅스
Priority to KR102012006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는 교량의 상판 하면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재와,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고 원형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완충부재를 통과하여 수용홈에 삽입되는 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 부재가 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경은 핀부재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구조를 단순화하여 설치가 쉽고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교량이 연신 및 수축할 수 있도록 교량의 상판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Buffer Bearing System For Bridge}
본 발명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교량의 연신 및 수축을 수용하면서 교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이나 하천뿐만 아니라 바다를 가로질러 양안을 연결하거나 육지에서 높은 위치에 길을 만들 때 교량이 설치된다.
교량은 일반적으로 교각 위에 상판을 올려주는 구조를 가지며, 교각을 없이 설치하는 사장교(현수교)일지라도 중앙 또는 양안에 상판을 지지하는 구조물(교각 또는 기둥 모두 포함)이 설치되므로 기본적으로는 상판과 교각의 구조를 가진다.
교량의 상판은 교각과 교각 또는 교각과 교대(교각중 양안측에 위치하는 받침으로 교대도 광의로는 교각의 일종이므로 이하에 호칭되는 교각에는 교대도 포함됨)를 이어주는 강체로서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을 위해 놓여지는데, 대형 교량인 경우에는 다수의 교각과 상판이 필요로 되며, 상판 위에는 사람이나 차량 또는 대하중의 중기나 트레일러 등이 통행하므로 시시각각 변화되는 동 하중이 작용한다.
특히 교량이 크면 클수록 상판이 길어지므로 계절의 변화나 일교차에 따른 열변형으로 연신 및 수축량이 커지며, 특히 상판은 동/하절기 기온차에 의한 수축및 연신 등의 변형뿐만 아니라 통행하는 차량 등에 의한 동 하중으로 변형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교량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완충 받침장치를 설치하여 상판의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고, 상판의 수축 및 연신에 충분히 대응하도록 한다.
종래의 교량 지지용 완충받침이 등록특허공보 10-0613027(2006년 08월 08일)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613027에 개시된 종래의 교량 지지용 완충받침은 교각의 상면에서 다수개의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놓여지고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중심판과, 상기 하부판과 중심판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내부 응력을 완충시켜 주는 폴리우레탄 탄성 베어링과, 상기 중심판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놓여져 미끄럼을 원활하게 하는 불소수지판과, 상기 교량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불소수지판의 상부에 놓여지며 양측단부에 이동제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양측면부에 각각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부판의 이동제한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턱이 형성되어 턱의 상부면에 체결공이 천공되어 있는 이동제한 고정부와, 상기 이동제한 고정부의 외측면으로 고정되되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져 수직부는 볼트로 고정되고, 수평부는 상부판을 덮어 상부판의 부반력을 잡아주는 부반력방지브래킷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 지지용 완충받침은 교각의 상면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하부판을 고정하기 때문에 교각에 설치작업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교량 지지용 완충받침은 하부판과 중심판 사이에 폴리우레탄 탄성 베어링이 설치되며, 중심판과 상부판 사이에 불소수지판이 설치되는 구조로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613027(2006년 08월 08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핀이 교각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를 단순화하여 설치가 쉽고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교량이 연신 및 수축할 수 있도록 교량의 상판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는 교량의 상판 하면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재와,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고 원형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완충부재를 통과하여 수용홈에 삽입되는 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재가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경은 핀부재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완충부재의 하면에는 제1슬라이드판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제2슬라이드판이 고정되어 완충부재와 브라켓 사이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각의 상면에는 브라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무수축 몰타르가 형성되고, 액상의 무수축 몰타르의 상면에 브라켓을 배치한 후 무수축 몰타르를 경화하여 브라켓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는 교량의 상면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재와,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고 원형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완충부재를 통과하여 수용홈에 삽입되는 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 부재가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경은 핀 부재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는 상판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여 교량의 연신 및 수축에 대응하고,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상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며, 핀 부재가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삽입되어 설치가 쉽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가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 A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 B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가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 A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교량의 상판(100) 하면과 교각(200)의 상면 사이에는 상판(100)의 하중과 상판(100)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판(100)의 연신 및 수축 변형시 상판(10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상판(10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 받침장치(300)가 설치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완충받침장치(300)는 교량의 상판(100)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판(20)과, 고정판(20)의 하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판(10)과, 지지판(10)의 하면에 고정되는 완충부재(30)와, 지지판(10)의 하면 중앙에 고정되어 지지판(10)이 교각(200)의 상면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 부재(40)와, 교각(200)의 상면에 고정되어 핀 부재(40)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브라켓(6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고정판(20)은 교량의 상판(100) 하면에 볼트로 체결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판(20)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틸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교각(200)의 상면에는 브라켓(60)을 고정하기 위한 무수축 몰타르(210)가 형성된다. 즉, 교각(200)의 상면에 무수축 몰타르(210)를 바른 다음에 무수축 몰타르(210)의 상면에 브라켓(60)을 고정시킨 후 무수축 몰타르(210)가 경화되면 브라켓(60)이 무수축 몰타르(21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된다. 이외에, 브라켓(60)을 교각(200)의 상면에 직접 앵커 볼트 등으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브라켓(60)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으로 중앙에 핀 부재(40)가 수납되는 수납홈(6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납홈(62)의 내경은 핀 부재(40)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핀 부재(40)와 수납홈(62)의 내면 사이는 간격(T1)을 유지하여 핀 부재(40)가 수납홈(6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거나, 측방향 이동되거나,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고정판(20)의 하면에는 제1슬라이드판(50)이 고정되고, 지지판(10)의 상면에는 제2슬라이드판(52)이 고정되어 제1슬라이드판(50)과 제2슬라이드판(52)이 서로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슬라이드판(50)과 제2슬라이드판(52) 사이에는 윤활유나 그리스 등이 추가되어 두 슬라이드판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슬라이드판(50)과 제2슬라이드판(52)은 상판(100)의 하중을 충분히 견디면서 미끄럼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불소 수지판 등 다양한 판이 적용될 수 있다.
지지판(10)의 상면에는 제2슬라이드판(52)이 안착되는 안착홈(12)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2)의 높이는 제2슬라이드판(52)의 높이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제2슬라이드판(52)이 지지판(10)의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판(10)은 원판이나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판(10)의 하면에 고정되는 완충부재(30) 역시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핀 부재(40)는 강도가 강한 고강도 재질로 형성되어 완충 받침장치(300)가 교각(200)의 상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핀 부재(40)가 수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측방향 이동 및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판(100)의 상하 진동, 측방향 유동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핀 부재(40)는 완충부재(40)의 중앙을 통과하여 지지판(10)의 하면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된다. 즉, 지지판(10)의 하면 중앙에는 나사홈(14)이 형성되고 핀 부재(40)의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부(42)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완충 받침장치는 교각(200)의 상면에 핀 부재(40)를 삽입하고 고정판(20)을 상판(100)의 하면에 체결하면 설치 작업이 완료되므로 설치가 쉽고 간단하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 따른 완충 받침장치는 상판(100)에 고정되는 고정판(20)과, 완충부재(30)가 장착되는 지지판(10)과, 교각(2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브라켓(60)에 삽입되는 핀 부재(40)로 구성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충 받침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부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충받침장치의 평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완충받침장치는 교량의 상판(100) 하면에 고정되는 지지판(10)과, 지지판(10)의 하면에 고정되는 완충부재(30)와, 지지판(10)의 하면 중앙에 고정되어 지지판(10)이 교각(200)의 상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 부재(40)와, 교각(200)의 상면에 고정되어 핀 부재(40)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브라켓(60)을 포함한다.
지지판(10)은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교량의 상판(100) 하면에 볼트로 체결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10)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틸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브라켓(60)은 핀 부재가 삽입되는 수납홈(62)이 형성되고 교각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브라켓(60)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무축 몰타르(210)에 의해 교각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고, 앵커 볼트 등으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브라켓(60)의 수납홈(62)의 내경은 핀 부재(40)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핀 부재(40)와 수납홈(62)의 내면 사이는 간격(T2)을 유지하여 핀 부재(40)가 수납홈(6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거나, 측방향 이동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핀 부재(40)가 수납홈(62)에 설정된 범위 내에서 측방향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판(100)이 연신 및 수축 변형시 핀 부재(40)가 수납홈(62)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100)의 연신 및 수축 변형에 대응한다.
완충부재(30)의 하면에는 제1슬라이드판(80)이 고정되고, 브라켓(60)의 상면에는 제1슬라이드판(80)과 접촉되는 제2슬라이드판(82)이 장착되어 상호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제1슬라이드판(80)과 제2슬라이드판(82) 사이에는 윤활유나 그리스 등이 추가되어 두 슬라이드판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슬라이드판(80)과 제2슬라이드판(82)은 상판(100)의 하중을 충분히 견디면서 미끄럼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불소 수지판 등 다양한 판이 적용될 수 있고, 중앙에는 핀 부재(40)가 통과하도록 개구된 형태를 갖는다.
핀 부재(40)는 강도가 강한 고강도 재질로 형성되어 완충 받침장치가 교각(200)의 상면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핀 부재(40)는 완충부재(30)의 중앙을 통과하여 지지판(10)의 하면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된다. 즉, 지지판(10)의 하면 중앙에는 나사홈(14)이 형성되고 핀 부재(40)의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부(42)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완충 받침장치는 지지판(10)이 상판(100)의 하면에 고정되고 지지판(10)의 하면에 장착된 핀 부재(40)가 교각(200)의 상면에 고정된 브라켓(60)의 수납홈(62)에 삽입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완충 받침장치는 상판(100)의 하면에 장착되고 완충부재(30)가 고정되는 지지판(10)과, 지지판(10)의 하면에 고정되어 브라켓(60)의 수납홈(62)에 삽입되는 핀 부재(40)로 구성되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지지판 14: 나사홈
20: 고정판 30: 완충부재
40: 핀 부재 50: 제1슬라이드판
52: 제2슬라이드판 60: 브라켓
62: 수용홈

Claims (6)

  1. 교량의 상판 하면에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재;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완충부재를 통과하는 핀 부재; 및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핀 부재가 삽입되는 원형의 수납홈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핀 부재가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홈의 내경은 핀 부재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하면에는 제1슬라이드판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제2슬라이드판이 고정되어 완충부재와 브라켓 사이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교각의 상면에는 브라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무수축 몰타르가 형성되고, 상기 핀 부재의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핀 부재가 지지판의 하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63311A 2012-06-13 2012-06-13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 KR101205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11A KR101205907B1 (ko) 2012-06-13 2012-06-13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11A KR101205907B1 (ko) 2012-06-13 2012-06-13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599A Division KR20130139727A (ko) 2012-09-11 2012-09-11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907B1 true KR101205907B1 (ko) 2012-11-28

Family

ID=4756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311A KR101205907B1 (ko) 2012-06-13 2012-06-13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9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904B1 (ko) * 2016-10-27 2018-01-29 (주)큐빅스 철도교용 포트받침
KR102182743B1 (ko) * 2020-02-20 2020-11-25 주식회사 무릉 에어밸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589A (ja) 2000-05-09 2001-11-16 Yokohama Rubber Co Ltd:The 滑り支承体の構造
KR200403743Y1 (ko) 2005-07-22 2005-12-14 (주)알티에스 교좌장치
KR100816890B1 (ko) 2008-01-10 2008-03-27 주식회사 케이.알 충격하중을 분산시키는 슬리브 구조를 가진 교량지지용디스크 받침
KR100845064B1 (ko) 2007-05-11 2008-07-09 조영철 교좌장치의 수평하중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589A (ja) 2000-05-09 2001-11-16 Yokohama Rubber Co Ltd:The 滑り支承体の構造
KR200403743Y1 (ko) 2005-07-22 2005-12-14 (주)알티에스 교좌장치
KR100845064B1 (ko) 2007-05-11 2008-07-09 조영철 교좌장치의 수평하중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KR100816890B1 (ko) 2008-01-10 2008-03-27 주식회사 케이.알 충격하중을 분산시키는 슬리브 구조를 가진 교량지지용디스크 받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904B1 (ko) * 2016-10-27 2018-01-29 (주)큐빅스 철도교용 포트받침
KR102182743B1 (ko) * 2020-02-20 2020-11-25 주식회사 무릉 에어밸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035B1 (ko) 교좌장치
KR100757749B1 (ko) 구조물 면진장치
KR100948359B1 (ko) 교량받침 기능을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KR100741718B1 (ko) 프리스트레스가 적용된 마찰 감쇠형 전단키
CN102317548B (zh) 多向扭转滞后减震器(mthd)
KR100692956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기구
US20050262650A1 (en) Expansion joint system including damping means
KR101003775B1 (ko) 교좌 장치
CN104831621A (zh) 导轨型抗拔高阻尼橡胶隔震支座
KR101103983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JP2010265927A (ja) 構造物用の滑り支承
KR101205907B1 (ko)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
KR101295845B1 (ko) 교량용 면진장치
KR20090026074A (ko) 지지 구조
KR200262491Y1 (ko)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KR100646329B1 (ko) 교량의 내진 장치
CN101718077B (zh) 桥梁抗震支座
KR20130139727A (ko)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
KR101951734B1 (ko) 교량의 핑거 조인트
KR101326640B1 (ko) 오토프리세팅이 가능한 탄성받침, 그 시공방법
KR100816890B1 (ko) 충격하중을 분산시키는 슬리브 구조를 가진 교량지지용디스크 받침
KR20090033669A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교량
CN203346787U (zh) 扁弹簧钢板伸缩缝
KR20090109880A (ko) 교량용 면진받침
CN211420841U (zh) 一种桥梁工程用的抗震支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