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502B1 - 이동식 교체장치, 이를 활용한 교체시스템 및,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교체장치, 이를 활용한 교체시스템 및,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502B1
KR101830502B1 KR1020160056265A KR20160056265A KR101830502B1 KR 101830502 B1 KR101830502 B1 KR 101830502B1 KR 1020160056265 A KR1020160056265 A KR 1020160056265A KR 20160056265 A KR20160056265 A KR 20160056265A KR 101830502 B1 KR101830502 B1 KR 101830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ing
frame
moving
suppor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534A (ko
Inventor
김준수
김병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56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50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6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크레인의 이동영역 및, 상기 이동영역 외측의 예비영역에 걸쳐서 설치되는 주행프레임부; 상기 이동영역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예비영역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가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를 매개로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프레임부 상에서 교체대상물을 거치하여 이동시키는 주행대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단이 상기 이동영역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확장가압판이 상기 이동영역의 바닥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소재로 구성되는 상기 예비영역의 바닥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교체장치, 이를 활용한 교체시스템 및, 교체방법{MOVAVLE EXCHANGING APPARATUS AND EXCHANGING SYSTEM AND EXCHANGING METHDO OF USING IT}
본 발명은 교체대상물은 안정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이동식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중량물을 이송하는 설비인 천장크레인이나 대차 등의 차륜은 그 마모된 양이 안전기준을 초과하거나, 균열 등이 발생한 경우 차륜을 교체하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중량물인 천장크레인의 차륜 등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천장크레인을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들어올린 후 체인블록 및 와이어로프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인력에 의존하여 천장크레인의 차륜을 레일 밖으로 이동시켜 교체작업을 수행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방법은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교체 완료시까지 조업중단이 발생하면서 조업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중량물인 천장크레인 차륜 등이 교체를 위한 이동 중에 낙하되거나, 이탈되면서 작업자가 협착되는 안전상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교체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인출입시켜 해체 및, 설치할 수 있어 교체를 위한 작업시간을 감소되면서 조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식 교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교체대상물을 안정적으로 해체 및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교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천장크레인의 이동영역 및, 상기 이동영역 외측의 예비영역에 걸쳐서 설치되는 주행프레임부; 상기 이동영역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예비영역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가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를 매개로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프레임부 상에서 교체대상물을 거치하여 이동시키는 주행대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단이 상기 이동영역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확장가압판이 상기 이동영역의 바닥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소재로 구성되는 상기 예비영역의 바닥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체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주행프레임부는, 상기 이동영역 및 상기 예비영역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주행대차부가 이동하는 주행프레임; 및, 상기 주행대차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암나사부에 체결되고, 상기 주행프레임 상에 설치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행대차부를 이동시키는 스크류볼트를 구비하는 주행핸들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예비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프레임의 단부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이동영역에 형성된 레일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프레임;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승강시키는 제1 유압잭;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하측에 선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승강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프레임;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 복수 개의 링크암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을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지지레그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지지레그부재는, 상기 예비영역을 바닥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확장가압판; 상기 제2 지지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확장가압판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암; 상기 제1 링크암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2 링크암; 및, 일측단부가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블록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행대차부는, 주행롤러가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스크류볼트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관통형성된 대차본체; 상기 대차본체의 상측에 제공되어, 교체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홈이 형성된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교체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천장크레인을 승강시키는 리프팅장치; 및, 상기 리프팅장치에 의해 승강된 상기 천장크레인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천장크레인의 교체대상물을 거치하여 상기 이동영역 및, 상기 예비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동식 교체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교체장치를 활용한 교체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천장크레인을 리프팅장치에 의해 승강시키는 단계;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동식 교체장치를 상기 이동영역 및, 상기 예비영역에 걸쳐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동영역으로 상기 주행대차부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천장크레인에서 교체대상물을 해체하여 상기 주행대차부에 교체대상물을 거치하는 거치단계; 상기 주행대차부에 거치된 교체대상물을 상기 이동영역에서 상기 예비영역으로 인출하는 인출단계; 상기 예비영역으로 인출된 교체대상물을 제거하고, 교환되는 교체대상물을 상기 주행대차부에 거치하여 상기 이동영역으로 인입시키는 인입단계; 및, 상기 이동영역으로 인입된 교체대상물을 상기 천장크레인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식 교체장치를 활용한 교체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체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인출입시켜 해체 및, 설치할 수 있어 교체를 위한 작업시간을 감소되면서 조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교체대상물을 안정적으로 해체 및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교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교체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 교체장치의 제2 지지부재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식 교체장치를 활용한 교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체장치(2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체장치(20)는 주행프레임부(100), 제1 지지부재(200), 제2 지지부재(300) 및 주행대차부(4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제3 지지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교체장치(20)는 천장크레인(C)의 이동영역(S1) 및, 상기 이동영역(S1) 외측의 예비영역(S2)에 걸쳐서 설치되는 주행프레임부(100)와, 상기 이동영역(S1)의 바닥면(F)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프레임부(100)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200)와, 상기 예비영역(S2)의 바닥면(F)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프레임부(100)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300)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100)가 상기 제1 지지부재(200) 및 상기 제2 지지부재(300)를 매개로 바닥면(F)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프레임부(100) 상에서 교체대상물(D)을 거치하여 이동시키는 주행대차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프레임부(100)는 천장크레인(C)이 이동하는 레일(R)이 형성되는 이동영역(S1) 및, 이동영역(S1)의 외측에 형성되는 예비영역(S2)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주행프레임부(100)는 주행대차부(400)가 이동하는 평판형의 부재가 이동영역(S1)과 예비영역(S2)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고, 이동영역(S1)의 바닥면(F)에는 제1 지지부재(200)가 설치되어 주행프레임부(100)를 지지하고, 예비영역(S2)의 바닥면(F)에는 제2 지지부재(300)가 설치되어 주행프레임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00)는 이동영역(S1)의 바닥면(F)에 고정되고, 제2 지지부재(300)는 예비영역(S2)의 바닥면(F)에 고정된 상태에서 주행프레임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00)는 이동영역(S1)의 바닥면(F)에 고정되고, 주행프레임부(100)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00)는 예비영역(S2)의 바닥면(F)에 고정되고, 주행프레임부(100)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제1 지지부재(200)와 별도로 구동되면서 주행프레임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200), 제2 지지부재(300)는 교체대상물(D)이 거치되는 주행대차부(400)가 교체대상물(D)의 하측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승강시킨 상태에서 교체대상물(D)을 해체하여 주행대차부(400)에 거치할 수 있다.
주행대차부(400)는 상기 주행프레임부(100)가 상기 제1 지지부재(200) 및 상기 제2 지지부재(300)를 매개로 교체대상물(D)의 하측 바닥면(F)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프레임부(100) 상에서 교체대상물(D)을 거치하여 이동영역(S1) 및, 예비영역(S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교체대상물(D)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동식 교체장치(20)로서, 교체대상물(D)이 복수 개인 경우 이동식 교체장치(20)를 교체대상물(D)의 하측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교체대상물(D)을 연속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200)의 하단이 상기 이동영역(S1)의 바닥면(F)에 형성되는 고정홈(H)에 삽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부재(300)의 하단에 형성된 확장가압판(331)이 상기 예비영역(S2)의 바닥면(F)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영역(S1)의 바닥면(F)은 천장크레인(C)이 이동하는 레일(R)이 설치되는 베이스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비영역(S2)의 바닥면(F)은 베이스판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이동하는 작업통로를 형성하는 이동발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예비영역(S2)에 설치되는 이동발판은 이동영역(S1)에 설치되어 베이스판에 비해 강도가 낮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하중이 작은 작업자가 이동하는 이동발판은 상대적으로 하중이 큰 천장크레인(C)이 이동하는 레일(R)이 설치되는 베이스판에 비해 강도가 작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00)의 하단이 이동발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큰 베이스판에 형성된 고정홈(H)에 삽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재(300)는 베이스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강도의 소재로 구성되는 이동발판 상으로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제2 지지부재(300)의 하단에 형성된 확장가압판(331)이 예비영역(S2)의 바닥면(F)을 형성하는 이동발판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프레임부(100)는 주행프레임(110) 및, 주행핸들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주행프레임부(100)는 상기 이동영역(S1) 및, 상기 예비영역(S2)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주행대차부(400)가 이동하는 주행프레임(110) 및, 상기 주행대차부(400)의 대차본체(410)를 관통하여 설치된 암나사부(미도시)에 체결되고, 상기 주행프레임(110) 상에 설치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행대차부(400)를 이동시키는 스크류볼트(131)를 구비하는 주행핸들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주행프레임(110)은 주행대차부(400)가 이동하는 평판형의 부재가 이동영역(S1)과 예비영역(S2)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프레임(110)의 상측에는 주행롤러(411)가 이동하는 주행라인(111)의 형성되고, 주행라인(111)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주행롤러(411)의 폭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13)이 형성되며, 주행라인(111)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주행롤러(411)의 폭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115)가 설치될 수 있다.
주행핸들부재(130)의 스크류볼트(131) 일측단부에는 스크류볼트(131)를 회전시키는 조작핸들(13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부재(300)와 함께 상기 예비영역(S2)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프레임(110)의 단부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 지지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부재(500)는 제2 지지부재(300)와 함께 상기 예비영역(S2)에 설치되어 주행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다.
주행프레임(110)의 예비영역(S2)은 제2 지지부재(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나, 중량물인 교체대상물(D)이 이동하는 예비영역(S2)에서의 교체대상물(D)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3 지지부재(500)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재(300)는 상기 예비영역(S2)의 중앙부분을 지지하고, 제3 지지부재(500)는 상기 예비영역(S2)의 외측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3 지지부재(500)는 상기 주행프레임(110)의 단부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타입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200)는 제1 지지프레임(210), 제1 유압잭(230) 및, 제1 승강가이드(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200)는 상기 이동영역에 형성된 레일(R)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00)는, 상기 주행프레임부(100)를 지지하는 제1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주행프레임부(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프레임부(100)를 승강시키는 제1 유압잭(230)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100)의 하측에 선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2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주행프레임부(10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승강가이드(2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210)의 하단은 이동역역의 바닥면(F)에 형성되는 고정홈(H)에 삽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210)은 하단에 고정홈(H)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13)가 부설되고 이격 형성된 한 쌍의 등변사다리꼴부재(211) 및, 등변사다리꼴부재(211)의 사이를 연결하고 제1 승강가이드(250)가 관통되는 가이드홀(217)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21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프레임(210)의 한 쌍의 등변사다리꼴부재(211) 및, 한 쌍의 가이드부재(215)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제1 유압잭(2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승강가이드(250)는 선단부가 주행프레임(110)에 고정되고 가이드부재(215)의 가이드홀(21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봉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승강가이드(250)의 하단에는 확경된 헤드부가 형성되어 제1 승강가이드(250)가 가이드부재(215)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재(300)는 제2 지지프레임(310) 및, 제2 지지레그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00)는 상기 주행프레임부(100)를 지지하는 제2 지지프레임(310)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310)에 복수 개의 링크암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제2 지지프레임(310)을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지지레그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지지레그부재(330)는 제2-1 지지레그부재와 제2-2 지지레그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 지지레그부재와 제2-2 지지레그부재가 제2 지지프레임(310)에 힌지결합되면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1 지지레그부재는 주행프레임(110)의 일측단부 방향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2 지지레그부재는 주행프레임(110)의 타측단부 방향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1 지지레그부재, 상기 제2-2 지지레그부재는 각각 별도로 높이조절될 수 있어, 제2-1 지지레그부재, 제2-2 지지레그부재가 설치되는 예비영역(S2)의 바닥면(F)의 높이차를 미세조절하여 주행대차부(400)가 이동하는 주행프레임(1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레그부재(330)는 확장가압판(331), 가이드프레임(333), 제1 링크암(335), 제2 링크암(337) 및, 조절부재(339)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지지레그부재(330)는, 상기 예비영역(S2)을 바닥면(F)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확장가압판(331)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310)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333)과, 상기 확장가압판(331)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310)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암(335)과, 상기 제1 링크암(335)과 상기 가이드프레임(333)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2 링크암(337) 및, 일측단부가 상기 제2 지지프레임(310)에 고정된 고정블록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333)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333)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절부재(339)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333)은 제2 지지프레임(310)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본체 및, 가이드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링크암(335)과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링크암(335)은 일측단부는 가이드프레임(333)의 제1 힌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제2 링크암(337)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제2 링크암(337)은 확장가압판(331), 제2 지지프레임(310) 및, 제1 링크암(335)과 각각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링크암(337)은 'T' 자형의 부재로 구비되어, 제2 링크암(337)의 3 곳의 단부에 확장가압판(331), 제2 지지프레임(310) 및, 제1 링크암(335)과 각각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재(339)에 의해 가이드프레임(333)이 슬라이드되면서 가이드프레임(333)에 힌지 결합된 제1 링크암(335)이 함께 이동될 수 있고, 제2 지지프레임(310) 및 제1 링크암(335)에 각각 힌지결합된 제2 링크암(337)이 회동되면서 제2 지지프레임(31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지지레그부재(330)에 의해 제2 지지프레임(310)의 높이가 승강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339)에 의해 가이드프레임(333)이 제2 지지프레임(310)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가이드프레임(333)에 힌지 결합된 제1 링크암(335)이 제2 지지프레임(310)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 링크암(335)에 힌지결합된 제2 링크암(337)이 제2 지지프레임(310)의 하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2 지지레그부재(330)가 제2 지지프레임(31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339)에 의해 가이드프레임(333)이 제2 지지프레임(310)의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가이드프레임(333)에 힌지 결합된 제1 링크암(335)이 제2 지지프레임(310) 상에서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 링크암(335)에 힌지결합된 제2 링크암(337)이 제2 지지프레임(310)의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2 지지레그부재(330)가 제2 지지프레임(31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대차부(400)는 대차본체(410), 받침대(430) 및, 이탈방지볼트(450)를 구비할 수 있다.
주행대차부(400)는, 주행롤러(411)가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스크류볼트(131)가 결합되는 암나사부(미도시)가 관통형성된 대차본체(410)와, 상기 대차본체(410)의 상측에 제공되어, 교체대상물(D)이 거치되는 거치홈이 형성된 받침대(430) 및, 상기 받침대(430)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교체대상물(D)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볼트(450)를 구비할 수 있다.
받침대(430)는 대차본체(410)의 상면에 형성되고, 받침대(430)와 대차본체(410)를 연결하는 직각삼각형 형상의 보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식 교체장치(20)를 활용한 교체시스템은 리프팅장치(10) 및, 이동식 교체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R) 상에서 이동하는 천장크레인(C)을 승강시키는 리프팅장치(10) 및, 상기 리프팅장치(10)에 의해 승강된 상기 천장크레인(C)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천장크레인(C)의 교체대상물(D)을 거치하여 상기 이동영역(S1) 및, 상기 예비영역(S2)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식 교체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
리프팅장치(10)는 교체대상물(D)이 포함된 천장크레인(C)의 하측에 설치되어 천장크레인(C)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리프팅장치(10)는 중량물인 천장크레인(C)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천장크레인(C)이 이동하는 레일(R)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유압실린더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식 교체장치(20)는 리프팅장치(10)에 의해 천정크레인이 승강된 상태에서 천장크레인(C)의 교체대상물(D)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식 교체장치(20)의 주행대차부(400)가 천장크레인(C)의 교체대상물(D)을 거치한 상태에서 이동영역(S1)과 예비영역(S2)에 걸쳐서 설치된 주행프레임부(100) 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식 교체장치(20)는 교체대상물(D)을 이동영역(S1)에서 예비영역(S2)으로 인출시켜 인출된 교체대상물(D)을 제거하고, 교환되는 교체대상물(D)을 주행대차부(400)에 거치하여 이동영역(S1)으로 인입시키고 인입된 교체대상물(D)을 천장크레인(C)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교체장치(20)를 활용한 교체시스템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이동식 교체장치(2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동식 교체장치(20)를 활용한 교체시스템에서 활용되는 이동식 교체장치(20)의 주행프레임부(100), 제1 지지부재(200), 제2 지지부재(300) 및, 주행대차부(40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식 교체장치(2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동식 교체장치(20)를 활용한 교체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식 교체장치(20)를 활용한 교체방법은 레일(R) 상에서 이동하는 천장크레인(C)을 리프팅장치(10)에 의해 승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식 교체장치(20)를 상기 이동영역(S1) 및, 상기 예비영역(S2)에 걸쳐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영역(S1)으로 상기 주행대차부(40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천장크레인(C)에서 교체대상물(D)을 해체하여 상기 주행대차부(400)에 교체대상물(D)을 거치하는 거치단계와, 상기 주행대차부(400)에 거치된 교체대상물(D)을 상기 이동영역(S1)에서 상기 예비영역(S2)으로 인출하는 인출단계와, 상기 예비영역(S2)으로 인출된 교체대상물(D)을 제거하고, 교환되는 교체대상물(D)을 상기 주행대차부(400)에 거치하여 상기 이동영역(S1)으로 인입시키는 인입단계 및, 상기 이동영역(S1)으로 인입된 교체대상물(D)을 상기 천장크레인(C)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장치(10)는 교체대상물(D)이 포함된 천장크레인(C)의 하측에 설치되어 천장크레인(C)을 승강시킬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교체장치(20)는 리프팅장치(10)에 의해 천정크레인이 승강된 상태에서 천장크레인(C)의 교체대상물(D)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천장크레인(C)에서 교체대상물(D)을 해체하여 상기 주행대차부(400)에 교체대상물(D)을 거치하는 거치단계에서는 이동식 교체장치(20)의 제1 지지부재(200), 제2 지지부재(300)는 교체대상물(D)이 거치되는 주행대차부(400)가 교체대상물(D)의 하측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상승시킨 상태에서 천장크레인(C)에서 교체대상물(D)을 해체하여 주행대차부(400)에 거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교체장치(20)의 주행대차부(400)가 천장크레인(C)의 교체대상물(D)을 거치한 상태에서 이동영역(S1)과 예비영역(S2)에 걸쳐서 설치된 주행프레임부(100) 상으로 이동하면서 천장크레인(C)에서 해체된 교체대상물(D)을 인출할 수 있다.
교체대상물(D)을 상기 천장크레인(C)에 체결하는 단계에서는 이동식 교체장치(20)의 제1 지지부재(200), 제2 지지부재(300)는 교체대상물(D)이 거치되는 주행대차부(400)가 교체대상물(D)의 하측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상승시킨 상태에서 교체대상물(D)을 인입된 교체대상물(D)을 천장크레인(C)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교체장치(20)를 활용한 교체방법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이동식 교체장치(2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동식 교체장치(20)를 활용한 교체방법에서 활용되는 이동식 교체장치(20)의 주행프레임부(100), 제1 지지부재(200), 제2 지지부재(300) 및, 주행대차부(40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식 교체장치(2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리프팅장치 20: 이동식 교체장치
100: 주행프레임부 110: 주행프레임
111: 주행라인 113: 이탈방지턱
115: 스토퍼 130: 주행핸들부재
131: 스크류볼트 133: 조작핸들
200: 제1 지지부재 210: 제1 지지프레임
211: 등변사다리꼴부재 213: 고정돌기
215: 가이드부재 217: 가이드홀
230: 제1 유압잭 250: 제1 승강가이드
300: 제2 지지부재
310: 제2 지지프레임 311: 고정블록
330: 제2 지지레그부재 331: 확장가압판
333: 가이드프레임 335: 제1 링크암
337: 제2 링크암 339: 조절부재
400: 주행대차부
410: 대차본체 411: 주행롤러
430: 받침대 450: 이탈방지볼트
500: 제3 지지부재 C: 천장크레인
D: 교체대상물 F: 바닥면
H: 고정홈 R: 레일
S1: 이동영역 S2: 예비영역

Claims (10)

  1. 천장크레인의 이동영역 및, 상기 이동영역 외측의 예비영역에 걸쳐서 설치되는 주행프레임부;
    상기 이동영역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예비영역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가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를 매개로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프레임부 상에서 교체대상물을 거치하여 이동시키는 주행대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단이 상기 이동영역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확장가압판이 상기 이동영역의 바닥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소재로 구성되는 상기 예비영역의 바닥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프레임부는,
    상기 이동영역 및, 상기 예비영역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주행대차부가 이동하는 주행프레임; 및,
    상기 주행대차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암나사부에 체결되고, 상기 주행프레임 상에 설치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행대차부를 이동시키는 스크류볼트를 구비하는 주행핸들부재;를 구비하는 이동식 교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예비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프레임의 단부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교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이동영역에 형성된 레일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프레임;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승강시키는 제1 유압잭;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하측에 선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승강가이드;를 구비하는 이동식 교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프레임;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 복수 개의 링크암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을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지지레그부재;를 구비하는 이동식 교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레그부재는,
    상기 예비영역을 바닥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확장가압판;
    상기 제2 지지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확장가압판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암;
    상기 제1 링크암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2 링크암; 및,
    일측단부가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블록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이동식 교체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차부는,
    주행롤러가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스크류볼트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관통형성된 대차본체;
    상기 대차본체의 상측에 제공되어, 교체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홈이 형성된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교체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볼트;를 구비하는 이동식 교체장치.
  9.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천장크레인을 승강시키는 리프팅장치; 및,
    상기 리프팅장치에 의해 승강된 상기 천장크레인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천장크레인의 교체대상물을 거치하여 상기 이동영역 및, 상기 예비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동식 교체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교체장치를 활용한 교체시스템.
  10.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천장크레인을 리프팅장치에 의해 승강시키는 단계;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동식 교체장치를 상기 이동영역 및, 상기 예비영역에 걸쳐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동영역으로 상기 주행대차부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천장크레인에서 교체대상물을 해체하여 상기 주행대차부에 교체대상물을 거치하는 거치단계;
    상기 주행대차부에 거치된 교체대상물을 상기 이동영역에서 상기 예비영역으로 인출하는 인출단계;
    상기 예비영역으로 인출된 교체대상물을 제거하고, 교환되는 교체대상물을 상기 주행대차부에 거치하여 상기 이동영역으로 인입시키는 인입단계; 및,
    상기 이동영역으로 인입된 교체대상물을 상기 천장크레인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식 교체장치를 활용한 교체방법.
KR1020160056265A 2016-05-09 2016-05-09 이동식 교체장치, 이를 활용한 교체시스템 및, 교체방법 KR101830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65A KR101830502B1 (ko) 2016-05-09 2016-05-09 이동식 교체장치, 이를 활용한 교체시스템 및,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65A KR101830502B1 (ko) 2016-05-09 2016-05-09 이동식 교체장치, 이를 활용한 교체시스템 및, 교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534A KR20170126534A (ko) 2017-11-20
KR101830502B1 true KR101830502B1 (ko) 2018-02-21

Family

ID=6080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265A KR101830502B1 (ko) 2016-05-09 2016-05-09 이동식 교체장치, 이를 활용한 교체시스템 및,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2847B1 (ja) 2020-09-30 2022-04-12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静電チャック装置の補修方法
KR102383976B1 (ko) * 2021-09-06 2022-04-08 두텍 주식회사 높은 정비 편의성과 횡강성을 갖는 휠보기가 장착된 크레인의 3축 이동 및 전도방지 기능을 갖춘 안전한 크레인 휠보기 및 크레인 휠보기 교체장치
KR102383978B1 (ko) * 2022-02-09 2022-04-08 두텍 주식회사 안전 래칫암을 구비한 rmqc 트롤리 레일 정비용 트롤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534A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502B1 (ko) 이동식 교체장치, 이를 활용한 교체시스템 및, 교체방법
CN102359385A (zh) 隧道防水板铺挂装置
CN107792818B (zh) 一种大吨位液压翻转台
US3724602A (en) Automobile hoist
JP4270401B2 (ja) 鉄道用保守車両
CN202273689U (zh) 隧道防水板铺挂装置
US11629036B2 (en) Outrigger pad hoist apparatus
KR20140003820U (ko) 파이프 설치용 장치
KR20140147522A (ko) 콘크리트 도상용 침목 제거 장치
CN111715699B (zh) 一种轧机主传动轴的拆装装置及工艺
CN114701954A (zh) 一种道岔更换装置及系统
JPH1178810A (ja) 廃自動車分解設備
CN220838641U (zh) 一种敞车地板缝隙调整装置
KR101061185B1 (ko) 철도차량의 컨트롤 데스크 조립용 이송장치
CN219385827U (zh) 一种无砟轨道板更换系统及更换车
RU224027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вагонов
CN213560539U (zh) 一种用于激光焊机锁紧缸更换时楔形块转移的装置
RU2758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вагонов
CN219155573U (zh) 一种起重机箱型梁小车轨道的更换工装
CN112551017B (zh) 一种轮对上下轨道装置及上下轨道方法
JP2556948Y2 (ja) 搬入装置を備えたタイヤ切断機
US20070152202A1 (en) Roller jack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same
CN214611303U (zh) 一种可移动搬运装置
CN214033205U (zh) 换轨车组
CN107601351B (zh) 一种随行夹具转移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