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962B1 - 접안패드 및 접안패드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접안패드 및 접안패드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962B1
KR102385962B1 KR1020200156188A KR20200156188A KR102385962B1 KR 102385962 B1 KR102385962 B1 KR 102385962B1 KR 1020200156188 A KR1020200156188 A KR 1020200156188A KR 20200156188 A KR20200156188 A KR 20200156188A KR 102385962 B1 KR102385962 B1 KR 102385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abric
eyepiece
fabric shee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태
Original Assignee
(주)한보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보이앤씨 filed Critical (주)한보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156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29C51/082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by shaping between complementary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 B29C51/262Clamping means for the sheets, e.g. clamp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29C2043/3615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 B29C2043/3631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moving in a frame for pressing and stretching; material being subjected to compress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29C2043/3615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 B29C2043/3634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having specific surface shape, e.g. grooves, projections, 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완충기능이 향상된 접안패드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시트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소재의 베이스원단의 표면에 신축가능한 페브릭 소재의 외피를 덧대고, 베이스원단과 외피 사이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우레탄 계열의 접착시트를 삽입한 접착층을 구비하여 베이스원단의 표면에 외피를 덧댄 상태에서 열 압착 합지하여 원단시트를 제작하는 원단시트 제작단계와, 원단시트 제작단계에서 합지된 원단시트를 오븐에 넣어 연화점에 이르도록 가열하여 베이스원단이 유연하게 움직임되면서 연신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연화단계와, 연화단계에서 연화점에 도달한 상태의 원단시트를 성형기의 상,하부 금형 사이에 삽입한 다음, 상,하부 금형을 프레싱하여 옵셋성형부와 형상유지부에 의하여 원단시트를 지지한 상태로 정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내공간을 갖도록 금형의 형상대로 늘려서 성형하는 연신성형단계와, 연신성형단계에서 금형에 의하여 프레싱된 원단시트의 형상기억이 이루어지도록 냉각시키는 경화단계와, 연신성형단계에서 옵셋성형부에 의하여 가압 성형된 옵셋구간의 테두리를 따라 재단하는 스크랩 제거단계로 접안패드를 제작함으로써 원료 특성을 활용하여 간단하게 옵셋구간을 경계로 돌출된 형상의 접안부 및 접안부의 내측으로는 접안부가 유연성 있게 움직이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접안패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안패드 및 접안패드 제작방법{Eyepiece 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yepiece pad}
본 발명은 신체에 접촉되는 기기 또는 기구에 장착되는 접안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완충기능이 향상된 접안패드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에 접촉하여 사용하는 전통적인 기기나 기구로는 망원경이나 현미경과 같은 광학기기가 있고 최근에는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을 체험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HMD(head mounted display)가 있다.
이러한 기기 또는 기구들은 사용자의 눈과 가깝게 위치하는 접안렌즈를 구비하며 접안렌즈가 구비된 접안렌즈부에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게 접안될 수 있도록 접안패드가 구비된다.
종래의 접안패드는 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0054호(2012.03.19.)에서와 같이 얼굴형상에 맞닿는 고무 재질로 접안렌즈 커버를 장착하여 안구 주변이 물리적으로 압박되는 것을 최소화하였으나, 장시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눈과 그 주변이 지속적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피로를 원활히 해소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접안패드를 고무가 아닌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으며, 그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79570호(2016.02.04)의 휴대용 입체영상장치에서는 기기 테두리에 접안렌즈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접하는 밀착부를 구성하였고, 이는 착용자의 안면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가변성이 허용되어야 하므로 많은 사용자의 피부에 가해지는 압박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상으로 연성의 재질인 스펀지 등을 덧댐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에 휴대용 입체 영상 장치를 착용한 자국이 남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스펀지는 쿠션감은 높지만 경도가 높아지면서 경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안패드로서의 완충기능을 충분히 갖추기가 어렵고, 성형 제작시의 온도조건이나 후가공 과정에서 형태 변형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접안패드는 신체가 접촉되는 부위나 기기나 기구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스펀지나 또 다른 예의 EVA폼의 경우에는 다양한 접안패드 형상으로 성형하기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프레스 성형 구조 열 압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결국 경화가 이루어지며 완충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접안패드의 형상이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완충기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접안할 때 긴밀하게 접안이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는 구조의 접안패드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접안패드를 여러 사람이 반복 착용하는 경우에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 종래의 구조는 이물질이 묻더라도 접안패드만을 단독으로 세척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청결한 관리가 어렵고 세균 번식의 우려가 높기 때문에 매우 비위생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안패드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작원단의 물성을 활용하여 모재를 늘려서 간단하게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성형시 형상변형률 증가시켜 다양한 형상으로 접안패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충분한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접안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접안패드만을 기기 또는 기구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세척 등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시트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소재의 베이스원단의 표면에 신축가능한 페브릭 소재의 외피를 덧대고, 베이스원단과 외피 사이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우레탄 계열의 접착시트를 삽입한 접착층을 구비하여 베이스원단의 표면에 외피를 덧댄 상태에서 열압착으로 합지하여 원단시트를 제작하는 원단시트 제작단계와, 원단시트 제작단계에서 합지된 원단시트를 오븐에 넣어 연화점에 이르도록 가열하여 베이스원단이 유연하게 움직임되면서 연신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연화단계와, 연화단계에서 연화점에 도달한 상태의 원단시트를 성형기의 상,하부 금형 사이에 삽입한 다음, 상,하부 금형을 프레싱하여 옵셋성형부와 형상유지부에 의하여 원단시트를 지지한 상태로 정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내공간을 갖도록 금형의 형상대로 늘려서 성형하는 연신성형단계와, 연신성형단계에서 금형에 의하여 프레싱된 원단시트의 형상기억이 이루어지도록 냉각시키는 경화단계와, 연신성형단계에서 옵셋성형부에 의하여 가압 성형된 옵셋구간의 테두리를 따라 재단하는 스크랩 제거단계로 접안패드를 제작함으로써 원료 특성을 활용하여 간단하게 옵셋구간을 경계로 돌출된 형상의 접안부 및 접안부의 내측으로는 접안부가 유연성 있게 움직이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접안패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접안패드 및 접안패드 제작방법에 의하면, 원단의 열가소성 성질을 활용하여 가열 및 냉각에 의하여 유연성 및 형상기억 성형구조로 낮은 온도에서도 성형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제작이 가능하고 가열된 상태에서 형상 변형률이 크기 때문에 성형성을 극대화하여 설계의 제약이 거의 없이 금형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는 물론 스펀지 등의 소재에서 재질 두께를 압착하는 방식으로는 구현할 수 없는 난해한 형태의 접안패드도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합지된 시트상의 원단을 성형한 상태에서 그 내부가 빈공간을 구성하도록 접안패드가 제작되므로 무게가 매우 가볍고, 흡음기능에 의한 차음효과와, 완충기능을 우수하게 할 수 있으며, 합지구조의 시트를 활용하여 피부에 맞닿는 시트 표면의 질감을 부드럽게 제공하여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접안패드가 유연성있게 움직임되기 때문에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사용하더라도 안면 형상이나 신체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기기 또는 기구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기 또는 기구로부터 접안패드만을 분리할 수 있고 탈부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고,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기기나 기구의 사용대상에 대한 호환성을 크게 넓힐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안패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안패드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접안패드 제작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단시트 제작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화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연신성형공정 및 경화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크랩 제거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마감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신체에 접촉되는 기기 또는 기구에 장착되는 접안패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안패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원단(10)의 표면에 외피(20)가 덧대어 구성된 상태의 원단시트(1)를 구성하고, 원단시트(1)를 옵셋구간(2)과 굴곡진 형태의 접안부(3) 및 공간(4)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원단시트(1)는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면서도 시트상으로 구현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소재(이하 'TPU시트'라 함)의 베이스원단(10)를 모재로 구성하고, 그 베이스원단(10)의 표면에 신축가능한 페브릭 소재의 외피(20)를 덧대어 다층 구조의 원단시트로 구성되며, 이에 의하여 원단시트(1)의 연신작용이 이루어지더라도 외력에 대해 충분한 강성이 확보된다.
베이스원단(10)은 70~100℃에서 연화가 이루어지는 저연화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100~120℃ 온도범위로 가열하면 베이스원단(10)은 연화가 이루어지면서 변형가능한 준비상태가 되고, 외피(20)에 사용되는 패브릭 소재는 연화가 이루어지지 않지만, 소정의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베이스원단(10)과 외피(20)로 이루어진 원단시트(1)는 형태 변형이 가능하게 되며 변형시 외피에 의하여 과연신을 방지하고 냉각되어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결정화되면서 경화됨으로써 프레스 성형하여 옵셋구간(2)을 경계로 돌출된 형상의 접안부(3) 및 접안부의 내측으로는 접안부가 유연성 있게 움직이도록 공간(4)을 형성하도록 경화되어 접안패드 형상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외피는 피부에 접촉되는 촉감을 편안하게 하여 착용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접안패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시트 제작단계(S100)와, 연화단계(S200)와, 연신성형단계(S300)와, 경화단계(S400)와, 스크랩 제거단계(S500)를 통하여 제조되며, 이하에서는 각각의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원단시트 제작단계(S100)는 베이스원단(10)과 외피(20)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시트를 합지하여 다층 구조의 원단시트를 구성하는 단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원단(10)은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면서도 시트상으로 구현되는 TPU시트로 구성된다.
TPU시트는 경도가 70~80 shore A인 소재를 사용하고, 300~700% 범위까지 늘어나게 되는 고신율 특성에 의하여 연신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TPU시트의 두께는 0.05~0.25T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5T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고신율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형상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원단(10)의 양면에는 각각 외피(20)를 덧대어 접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베이스원단(10)과 외피(20) 사이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우레탄 계열의 접착시트를 삽입한 접착층(15)을 구비하여 베이스원단(10)의 표면에 외피(20)를 덧댄 상태에서 열 압착에 의한 방식으로 원단시트(1)를 제작할 수 있다.
열 압착에 의한 합지방식은 가열된 롤 사이를 통과시켜 롤링작업에 의하여 합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상,하 프레스 방식으로 열 압착하여 원단시트(12)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때 열 압착을 위한 가열온도는 100~120℃의 범위로 가열하여 베이스원단(10)과 외피(20)를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외피(20)는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베이스원단(10)의 연신 작용이 이루어질 때 이에 대응하게 외피(20)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늘어나면서 원단시트(1)가 접안패드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형상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연화단계(S200)는, 원단시트(1)를 가열하여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TPU시트가 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성형하기 이전의 준비 단계로서, 원단시트 제작단계에서 합지된 원단시트(1)를 오븐(100)에 넣어 연화점에 이르도록 가열하여 베이스원단(10)이 유연하게 움직임되면서 연신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오븐(100)은 히터(160)가 장착된 가열실(120)을 구비하여 히터(160)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 즉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원단시트(1)를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하면 베이스원단(10)이 흐물거리는 상태가 되며 연신 가능한 준비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열실(120)에서 80~150℃의 온도에서 30초~2분간 가열하여 원단시트(1)를 구성하는 베이스원단(10)을 연신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때, 가열실(120)의 일측에 개폐구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원단시트(1)를 하나씩 삽입 및 가열한 후 인출하도록 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가열실(120)을 관통하도록 컨베이어(140)를 장착하여 원단시트(1)를 컨에이어(140)를 통하여 공급함으로써 원단시트(1)가 가열실 내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히터(160)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연속, 반복적으로 복수의 원단시트를 연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연화상태로 준비된 원단시트(1)는 연신성형단계(S300)를 통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접안패드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연신성형단계(S300)는 성형기(200)에 장착되어 있는 암,수 금형 구조로 서로 맞물려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성형기(20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상,하부 금형(220,240)을 장착하여 상,하 프레스 성형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 단계는 연화단계(S200)에서 준비된 원단시트(1)를 금형의 내부에 안치시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원단시트(1)가 연화점을 초과하여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연신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하부금형의 상단에 안치시키고 성형기(200)를 동작시키면 상,하부 금형이 치합되면서 접안패드의 형상으로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하부금형(220,240)에는 각각 옵셋성형부(222,242)와 형상유지부(224,244)가 형성되며, 상,하부금형이 치합될 때 상,하부 금형(220,240) 사이에 위치한 원단시트(1)를 프레싱하여 성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옵셋성형부(222,242)와 형상유지부(224,244)에 의하여 원단시트(1)가 지지됨과 동시에 금형의 형상대로 늘려서 성형하는 연신성형에 의하여 옵셋구간(2), 접안부(3), 공간(4)의 성형이 이루어지며, 전체 접안패드의 인장이 균일한 장력으로 이루어지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단시트(1)는 옵셋성형부(222,242)가 맞물려 지지된 상태에서 베이스원단(10)의 연신된 상태가 외피(2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베이스원단(10)의 과연신을 방지하고 금형에 의하여 연신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하부금형의 성형간격을 원단시트(1)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여 원단시트(1)가 눌려진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옵셋성형부(222,242)의 성형두께인 맞물림 간격을 접안부(3)의 성형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유지부(224,244)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깊이 형성하여 성형이 이루어지는 부분은 공간(4)의 폭을 상대적으로 협소하게 형성하고, 형상유지부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부분은 공간(4)의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여 전체 접안패드의 인장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부 금형에는 가이드핀(226)과 가이드홈(246)이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원단시트를 성형할 때 상,하부 금형의 금형 간격 유지 및 시트 정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성형하고자 하는 대상부분의 테두리를 따라서 가압하는 상기 옵셋성형부와 함께 이중 구조로 시트 정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금형의 프레싱 압력조절이 수행되면서 원단시트(1)의 파열을 방지하고 연신 성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하부금형의 프레싱 동작수행이 이루어져 원단시트(1)의 변형이 이루어진 이후에 냉각 경화시켜 베이스원단(10)과 접착층(15)의 경화에 의하여 원단시트(1)의 성형 가공된 상태가 고정되고 변형되지 않게 유지되도록 하는 경화단계(S400)를 통하여 성형된 형태 그대로 형상기억이 이루어지면서 냉각된다.
경화단계(S400)는 성형기(200)에서 프레싱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함으로써 열가소성 소재인 TPU시트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자연냉각을 할 경우 2~3분간 성형상태를 유지하여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상,하부금형에 냉각수를 주입하여 냉각시간을 줄임으로써 제작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경화가 완료된 원단시트(1), 즉 반제품 상태의 접안패드는 상부금형이 들어올려진 후 하부금형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형상유지부 간격이 원단시트가 성형된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상부금형을 들어올릴 때 반제품 상태의 접안패드가 하부금형에 남게 된다.
그리고 하부금형(240)은 성형기에 장착된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왕복 작동이 이루어는 것으로, 원단시트(1)를 안착시킬 때 또는 경화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하부금형이 인출가능한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자가 간단하게 삽인 인출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인출된 반제품 상태의 접안패드는 스크랩 제거단계(S500)를 통하여 후가공된다.
스크랩 제거단계(S500)는 연신성형단계에서 옵셋성형부에 의하여 가압 성형된 옵셋구간(2)의 테두리를 따라 재단하는 단계로서, 접안패드가 장착되는 기기나 기구의 장착부 구조에 대응하여 옵셋구간(2)의 폭을 좁게 재단하거나 넓게 재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제작된 접안패드는 기기나 기구의 장착부에 직접 끼워 장착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마감단계(S600)를 통하여 접안패드의 개구된 공간(4)을 차단함으로써 접안부(3)가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비틀리지 않고 형상복원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랩 제거단계에서 재단된 옵셋구간에 마감시트(5)가 접착하여 접안패드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신체에 밀착되게 착용하여 유연성있게 가압되더라도 사용한 이후에는 정위치로 다시 복원되는 힘, 즉 반발 회복에 의한 형상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마감시트(5)는 원단시트(1)의 스크랩을 활용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원단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소재의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형상변형 후 복원력을 더 부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시트(5)에 의하여 내부 공간(4)의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면 공간(4) 자체가 완충기능을 수행하게 됨은 물론, 접안부(3)가 유연성있게 움직임 될 때 공간(4) 내의 공기가 유출되지 않고 완충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시트(5)에는 벨크로패스너가 구비되어 접안패드를 기기나 기구에 탈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마감시트(5)에 벨크로패스너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기나 기구의 접안패드 장착부에도 마감시트(5)와 대응하게 벨크로패스너가 형성되어 접안패드만을 간단하게 탈부착하여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크기에 맞는 접안패드로 교체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기기나 기구의 사용대상에 대한 호환성을 크게 넓힐 수 있다.
1: 원단시트 2: 옵셋구간 3: 접안부
4: 공간 5: 마감시트
10: 베이스원단 15: 접착층
20: 외피
100: 오븐
120: 가열실
140: 컨베이어
160: 히터
200: 성형기
220: 상부금형 222: 옵셋성형부 224: 형상유지부
226: 가이드핀
240: 상부금형 242: 옵셋성형부 244: 형상유지부
246: 가이드홈

Claims (5)

  1.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시트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소재의 베이스원단(10)의 표면에 신축가능한 페브릭 소재의 외피(20)를 덧대고, 베이스원단(10)과 외피(20) 사이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우레탄 계열의 접착시트를 삽입한 접착층(15)을 구비하여 베이스원단(10)의 표면에 외피(20)를 덧댄 상태에서 열압착으로 합지하여 원단시트(1)를 제작하는 원단시트 제작단계(S100)와,
    원단시트 제작단계에서 합지된 원단시트(1)를 오븐(100)에 넣어 연화점에 이르도록 가열하여 베이스원단(10)이 유연하게 움직임되면서 연신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연화단계(S200)와,
    연화단계에서 연화점에 도달한 상태의 원단시트(1)를 성형기(200)의 상,하부 금형(220,240) 사이에 삽입한 다음, 상,하부 금형을 프레싱하여 옵셋성형부(222,242)와 형상유지부(224,244)에 의하여 원단시트(1)를 지지한 상태로 정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내공간을 갖도록 금형의 형상대로 늘려서 성형하는 연신성형단계(S300)와,
    연신성형단계에서 금형에 의하여 프레싱된 원단시트(1)의 형상기억이 이루어지도록 냉각시키는 경화단계(S400)와,
    연신성형단계에서 옵셋성형부에 의하여 가압 성형된 옵셋구간의 테두리를 따라 재단하는 스크랩 제거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패드 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제거단계에서 재단된 옵셋구간을 이용하여 개구된 부분을 마감하고, 마감표면을 벨크로패스너로 형성하는 마감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패드 제작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원단시트를 금형의 형상대로 늘려서 성형하는 연신성형단계(S300)는 원단시트를 성형할 때 가이드핀에 의하여 금형 간격 유지 및 시트 정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고, 성형하고자 하는 대상부분의 테두리를 따라서 가압하는 옵셋성형부에 의하여 시트 정위치 고정이 이루어져 이중구조로 고정되면서도 금형의 프레싱 압력조절이 수행되면서 연신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패드 제작방법.
  4. 신체에 접촉되는 기기나 기구에 장착되어 신체부위를 감싸며 착용되는 접안패드에 있어서,
    시트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소재의 베이스원단(10)과 신축가능한 페브릭 소재의 외피(20)가 적층된 상태로 합지된 원단시트(1)를 가열하여 연신시키고, 프레스 성형하여 옵셋구간(2)을 경계로 돌출된 형상의 접안부(3) 및 접안부의 내측으로는 접안부가 유연성 있게 움직이도록 공간(4)을 형성하도록 경화되어 형상구현이 이루어지는 접안패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구간(2)에는 접안부(3)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성형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마감시트(5)가 접착되고, 마감시트(5)에는 벨크로패스너가 구비되어 접안패드를 기기나 기구에 탈착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패드.
KR1020200156188A 2020-11-20 2020-11-20 접안패드 및 접안패드 제작방법 KR102385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188A KR102385962B1 (ko) 2020-11-20 2020-11-20 접안패드 및 접안패드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188A KR102385962B1 (ko) 2020-11-20 2020-11-20 접안패드 및 접안패드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962B1 true KR102385962B1 (ko) 2022-04-15

Family

ID=8121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188A KR102385962B1 (ko) 2020-11-20 2020-11-20 접안패드 및 접안패드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9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377A (ko) * 2003-02-25 2004-09-01 (주)아이디어누리 의류용 에어몰드 제조방법
JP3686587B2 (ja) * 2001-02-13 2005-08-24 株式会社タバタ ゴーグル用バックル
KR101120877B1 (ko) * 2010-02-25 2012-03-13 안광남 안경 및 그 제조방법
WO2019015192A1 (zh) * 2017-07-19 2019-01-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6587B2 (ja) * 2001-02-13 2005-08-24 株式会社タバタ ゴーグル用バックル
KR20040076377A (ko) * 2003-02-25 2004-09-01 (주)아이디어누리 의류용 에어몰드 제조방법
KR101120877B1 (ko) * 2010-02-25 2012-03-13 안광남 안경 및 그 제조방법
WO2019015192A1 (zh) * 2017-07-19 2019-01-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0051B2 (ja) 貼着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RU2579731C2 (ru) Х-образный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элемент бюстгальтера и бюстгальтер, включающий такой элемент
US9259038B2 (en) Bra cup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060199685A1 (en) Machine laminated basketball
US201302803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laminated and molded garments
US2007026713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reast prosthesis
JP6081351B2 (ja) カップ部を備えた女性用衣類及び女性用衣類の製造方法
US20160256295A1 (en) Breast Prosthesis with Air Layer
EP3162326A1 (en) Thermoplastic cast having excellent deformability and rigidi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2385962B1 (ko) 접안패드 및 접안패드 제작방법
KR20090113533A (ko) 열성형 맞춤 인솔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89676A (ko) 밑창과 중창이 일체화된 신발창 제조방법
WO2011105635A1 (ko) 탄성금형을 이용한 브래지어 몸체의 제조방법
JP5021044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ブラジャー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7128074B2 (ja) 靴成形体の製造方法
EP3243487A1 (en) Breast prosthesis with air layer
US10773133B2 (en) Leather-adhered baseball/softb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9098058A1 (ja) シ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50095597A (ko) 열가소성 수지의 경질필름이나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압공성형이나 진공성형으로 깔창을 제조하는 방법
KR20100023420A (ko)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29145B1 (ko) 냉각성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볼륨시트 커버의 제조 방법
CN112512772B (zh) 用于鞋类物品的缓冲构件及相关方法
JP2003253511A (ja) 増肉補助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70821A (ko)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JP6920981B2 (ja) シ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