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420A -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420A
KR20100023420A KR1020080082162A KR20080082162A KR20100023420A KR 20100023420 A KR20100023420 A KR 20100023420A KR 1020080082162 A KR1020080082162 A KR 1020080082162A KR 20080082162 A KR20080082162 A KR 20080082162A KR 20100023420 A KR20100023420 A KR 20100023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oft
mold
hard
silicon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현
Original Assignee
임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현 filed Critical 임승현
Priority to KR102008008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3420A/ko
Publication of KR2010002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1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hardness, e.g. Vickers, Shore, Brine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연질부와 경질부 및 이질부를 일체화할 수 있도록 한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제 1금형 내에 액상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고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열 및 가압하고 경화시켜 연질부를 형성하며;
제 1금형에서 경화된 연질부를 제 2금형의 원료 주입부 내에 끼움 결합되도록 배치시킨 후에, 연질부의 실리콘 원료와는 다른 경도를 갖는 경질부의 실리콘 원료를 원료 주입부 내에 주입하여 충전하고, 이어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열 및 가압하고 경화시켜 연질부와 경질부가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되도록 형성시키고;
일체화된 연질부와 경질부의 경계부위를 절단하고 절단부위를 제외한 연질부와 경질부를 서로 이격된 틈새를 갖도록 제 2금형의 원료 주입부내에 배치한 후에, 앞의 연질부와 경질부의 경도와 다른 이질부를 구성하는 액상의 실리콘 원료를 연질부와 경질부 사이의 틈새 부위에 주입하고 가열 및 가압 경화시켜 일체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실리콘 원료의 연질부와 경질부 및 이질부를 접착제 없이 일체형으로 접합할 수 있으므로, 접착제의 부작용 및 불안감 없이 시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 부위의 끊어짐없이 접합 및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포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품 불량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이질부를 구성하는 부위의 면적을 연질부와 경질부의 경계부위를 절단하는 부위만큼 해당되는 면적을 가변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부위별 경도 및 색상을 달리하여 시술받는 이의 개인 취향에 따라 적어도 3가지 이상의 경도 및 색상 중에서 적합한 경도 및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MEDICAL TREATMENT IMPLAN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이종의 실리콘 소재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접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빠른 속도로 다양화 및 다변화되면서 외모에 대한 관심과 가치기준이 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생활의 자신감을 회복하고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외과적 수술을 통해 외모를 변화시키고 보완하는 성형수술이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미적 기준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얼굴부분 가운데 코는 서양인들처럼 크고 높은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짐에 따라 융비술(隆鼻術, rhinoplasty)이 유행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융비술은 코의 하부가 해부학적 구조상 연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반응이 거의 없고 우수한 촉감 및 흡수율을 갖는 귀 연골이나 비중격 연골 등 의 자가 연골을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자가 연골을 채취하기 위해서 상당한 비용과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격이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뼈의 모양에 잘 맞도록 세밀한 조각이 가능하고, 수술 후에도 크기나 모양의 변화가 없는 실리콘 보형물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실리콘은 시술 후 실리콘 특유의 경도로 인하여 피부와 같은 쿠션감이나 탄력성을 지니지 못하므로 시술자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부위별로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연질부와 경질부의 이종의 실리콘소재로 구성된 코 성형용 보형물이 제안되었으며, 이의 제조방법은 "ㄱ" 자 형태로 구성된 연질부와 "-"자 형태의 경질부를 각각 먼저 경화시켜 제조한 후에, 각각 제조된 연질부와 경질부의 경계부위를 접착제로 도포하여 붙여서 일체로 접착하는 제조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때, 연질부와 경질부의 제조방식은 프레스의 금형 내에 액상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해 경화시키는 방식은 기존 공지된 방식이다.
기존의 보형물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연질부와 경질부의 조각들을 서로 접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보형물의 삽입 후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부위가 서로 이탈되어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재수술을 통해 분리된 보형물을 빼낸 후에 새로운 보형물로 교체해야 하므로, 재 시술에 따른 병원의 비용 및 수술 시간의 손실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인 고객의 불만이 제기되고 병원 및 의사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으로는, 접착제의 경우 시술자인 의사는 의료용과 비의료용(공업용)의 구분이 불가능하므로, 시술자인 의사가 부적합한 접착제를 자신도 모른 상태에서 사용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의사가 시술시 불안감을 가진 상태로 시술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접착제가 의료용이라 하더라도 접착제 자체가 인체에 부적합할 수 있으므로, 염증이나 면역 이상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연질부가 경질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반면에, 일단부가 경질부에 접착되고 절곡된 타단부의 길이가 긴 "ㄱ" 자 형태의 조각으로 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방식대로 연질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실리콘 원료를 금형 내에 주입하는 도중에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게 되면서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기포가 발생된 제품은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제품 불량률이 증가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연질부의 성형시 상, 하 2단 금형으로 제작되므로, 길이가 긴 타단부를 외부로 빼내는 과정에서 일부가 금형 내부에 끼이게 될 경우, 에어를 분사하더라도 쉽게 이탈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코 성형용 보형물의 경우 전체 부위가 동일한 경도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성형후에 성형된 부위가 자연스럽지 못한 형태를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콧날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은 소프트한 경도보다는 다소 딱딱한 경도의 소재가 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경도가 서로 다른 원료들로 구성된 일체형 구조의 보형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원료 주입 방식을 개선한 코 성형용 보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성형 환자들의 개별적인 취향에 따라 각 부위별 경도를 다르게 구성한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장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 하부 금형으로 구성된 제 1금형 내에 액상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고 프레스로 가열 및 가압하여 경화시켜 연질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 하측 금형으로 구성된 제 2금형에 마련된 원료 주입부의 일부에 상기 경화된 연질부를 끼워서 배치한 후에, 상기 원료 주입부의 나머지 부위에 상기 실리콘 원료와는 다른 경도를 갖는 경질부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고 프레스로 가열 및 가압하여 경화시켜 상기 연질부와 경질부가 일체화되도록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경질부와 연질부의 경계부위를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나머지 경질부와 연질부 부위를 상기 제 2금형의 원료 주입부에 각각 배치한 후에 상기 연질부와 경질부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와 다른 경도를 갖는 액상의 이질부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고 경화시켜 상기 연질부와 경질부 및 이질부를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질부와 이질부 및 경질부는 "┐"자 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연질부와 이질부 및 경질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스의 가압시 상기 연질부의 타단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하측 금형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베이스 금형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상, 하측 금형 및 베이스 금형으로 이루어진 3단 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로 가압 성형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틈새부위에 상기 이질부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틈새 부위에 상기 이질부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 외에 또 다른 경도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질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금형을 상, 하 연통되는 다수개의 성형공이 형성된 상부 금형과 상기 성형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원료 주입홈을 갖는 하부 금형으로 구성하되,
액상의 실리콘 원료를 상기 하부 금형의 원료 주입홈 내에 주입하여 충전시킨 후에, 상기 하부 금형의 상측에 상기 상부 금형을 안착시키고 가압함에 따라, 상기 실리콘 원료의 내부에 발생된 기포를 상기 상부 금형의 성형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연질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금형의 상측에 배치되어 프레스로부터 전해지는 가압력을 전달하고 일측면에 상기 성형공에 대응되는 마감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질부의 단부를 마감하는 가압 금형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연질부를 상기 상, 하부 금형 및 가압 금형으로 이루어진 3단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스로 가압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인 코 성형용 보형물은 청구항 1의 방법에 의해 적어도 세 부분이 서로 다른 경도의 실리콘 원료들이 액상에서 경화되어 순차적으로 고체화되는 연질부와 이질부 및 경질부로 구성되며, 각 원료들의 경계 부위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일체로 접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연질부와 경질부를 일체화할 수 있도록 한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실리콘 원료의 연질부와 경질부를 접착제 없이 일체형으로 접합할 수 있으므로, 접착제의 부작용 및 불안감 없이 시술할 수 있으며, 접착 부위의 끊어짐없이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콘 원료의 주입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품 생산시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연질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3단 금형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금형으로부터 경화된 연질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이질부를 구성하는 부위의 면적을 연질부와 경질부의 경계부위를 절단하는 부위만큼 해당되는 면적을 가변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부위별 경도 및 색상을 달리하여 시술받는 이의 개인 취향에 적합한 경도 및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 하부 금형(110,120)으로 이루어지는 제 1금형(100) 내에 액상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고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열 및 가압하고 경화시켜 연질부(12)를 형성하며(S1);
제 1금형(100)에서 경화된 연질부(12)를 제 2금형(200)의 원료 주입부(222) 내에 끼움 결합되록 배치시킨 후에(S2), 연질부(12)의 실리콘 원료와는 다른 경도를 갖는 경질부(14)의 실리콘 원료를 원료 주입부(222) 내에 주입하여 충전하고, 이어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열 및 가압하고 경화시켜 연질부(12)와 경질부(14)가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되도록 형성시키고(S3);
일체화된 연질부(12)와 경질부(14)의 경계가 되는 중간부위(여기서는 경계부위라 칭함)를 절단하고 절단부위를 제외한 연질부(12)와 경질부(14)를 서로 이격되어 틈새를 갖도록 제 2금형의 원료 주입부내에 배치한 후에(S4), 앞의 연질부(12) 와 경질부(14)의 경도와 다른 이질부(13)를 구성하는 액상의 실리콘 원료를 연질부(12)와 경질부(14) 사이의 틈새 부위에 주입하고 가열 및 가압 경화시켜 일체화시키는 단계(S5)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 1금형(100)은 상, 하측이 관통되도록 다수개 형성된 성형공(114)을 갖는 상부 금형(110)과, 상부 금형(110)의 성형공(114)들에 각각 대응되는 요홈 형태의 원료 주입홈(122)들이 형성된 하부 금형(1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 2금형(200)은 연질부(12)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공(224)을 갖는 원료 주입부(222)가 다수개 형성된 하측 금형(220)과, 하측 금형(220)의 상측에 안착되고 일측(하측)면에 원료 주입부(2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실리콘 원료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도록 성형홈(212)이 형성된 상측 금형(210)으로 구성된 것이다.
연질부(12)를 형성하는 단계(S1)는 하부 금형(120)의 원료 주입홈(122)들에 연질부(12)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를 각각 주입한 후에, 상부 금형(110)을 하부 금형(120)의 상측에 안착시키고, 하측면에 각 성형공(114)에 대응되는 홈 형태의 마감홈(132)들이 형성된 가압 금형(130)을 상부 금형(110)의 상측에 안착시킨 후에 가압 금형(130)의 상측에서 프레스의 가압력을 전달하여 형성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때, 연질부(12)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는 과정은 내부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부 금형(110)을 통해 원료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 금형(120)의 원료 주입홈(122)에 실리콘 원료를 먼저 주입한 후에 상부 금형(110)을 안착시킴에 따라, 원료 주입홈(122)에 충전된 실리콘 원료가 상부 금형(110)의 성형공(114)들 을 통해 일부가 배출되면서 내부의 기포가 같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원료의 주입과정에서 발생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이후에, 상부 금형(110)의 성형공(114) 테두리 측으로 배출된 실리콘 원료는 이후의 금형 분리작업시 별도로 제거하는 작업을 가질 수 있다.
경화된 연질부(12)를 경질부(14)와 일체화시키는 단계는, 연질부(12)의 타단부가 하측 금형(220)의 원료 주입부(222)중 결합공(224)에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배치한 후에(S2), 연질부(12)의 일단부가 수용된 원료 주입부(222)의 나머지 공간에 경질부(14)를 구성하는 액상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한다.
이어서, 하측면에 원료 주입부(222)와 대응되는 성형홈(212)이 다수개 형성된 상측 금형(210)을 하측 금형(220)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상측 금형(210)의 상측면을 프레스로 가열 및 가압하여 경질부(14)의 실리콘 원료와 연질부(12)를 일체화시킨다.
이때, 하측 금형(220)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베이스 금형(230)을 이용하여 연질부(12)의 타단부가 하측 금형(220)에 수용된 상태에서 바닥과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프레스 가열 및 가압 성형시 연질부(12)의 단부에 하중이 전달되어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하측 금형(220)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26)가 형성되고, 베이스 금형(230)의 상부에 돌기부(226)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홈(235)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 하측 금형(210,220)의 정위치 조립을 위해 상측 금형(210)의 하 측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15)를 복수개 형성하고, 하측 금형(220)에는 고정돌기(215)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공(225)을 형성함으로써, 상, 하측 금형(210,220)의 조립시 원료 주입부(222)와 성형홈(212)이 정확하게 일치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질부(14)에 비해 경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연질부(12)는 성형작업시 프레스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170~180℃의 온도 범위내에서 10분 동안 경화작업을 수행하며, 경질부(14)는 프레스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130~180℃의 온도 범위내에서 10분 동안 경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경도가 낮을수록 경화에 요구되는 온도가 높아지는 상관관계를 가지며, 앞서 설명한 온도 및 시간은 연질부(12)와 경질부(14)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를 경화시키기에 적합한 일 예를 설명한 것이므로, 굳이 이에 한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원료들의 경도가 다른 경우에는 각각의 원료의 경화에 적합한 온도,압력,시간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180℃를 초과할 때에는 고온에 의해 액체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경화작업이 어려우며, 120℃ 미만의 온도일 때에는 급격한 냉각으로 인한 물성 변화 등의 이유로 인해 올바른 경화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이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를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질부(12)를 형성시키는 단계는 연질부(12)가 상, 하부 금형(110,120) 및 가압 금형(130)으로 구성된 3단 금형에 의해 제조되므로, 길이가 긴 연질부(12)의 타단부를 금형으로부터 이탈 및 분리시키는 작업이 2단 금형에 비 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3단 금형의 각 금형 두께가 2단 금형보다 얇기 때문에 이탈 및 분리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후에, 연질부(12)와 경질부(14)가 일체화된 후에 연질부(12)와 경질부(14)의 경계가 되는 부위를 일정 폭 만큼 절단하고, 절단된 부위를 버린 후에 나머지 부위의 연질부(12)와 경질부(14)를 다시 제 2금형(200)의 원료 주입부(222)에 각각 배치시킨다.
이어서, 제 2금형내에 배치된 연질부(12)와 경질부(14)사이에 절단된 부위만큼 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그 틈새 공간에 연질부(12)와 경질부(14)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와는 다른 경도를 갖는 이질부(13)를 구성하는 액상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한다.
이때, 연질부(12)와 경질부(14)의 경계부위가 절단될 때 절단된 부위의 면적만큼 이질부(13)의 주입공간이 되므로, 연질부(12)와 경질부(14) 및 이질부(13)에 해당되는 면적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연질부(12)에 해당되는 부위만큼 더 절단하거나, 경질부(14)에 해당되는 부위를 더 절단함에 따라 이질부(13)의 해당부위 면적이 커지게 되어 각 부위별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질부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에서, 3가지 경도외에 또 다른 경도가 요구될 경우에는 앞의 세가지 실리콘 원료외에 다른 실리콘 원료를 절단된 연질부와 경질부사이의 틈새 부위에 또 다른 경도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한 틈새 부위에 이질부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를 일부 채운 후에, 또 다른 경도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 또는 도포하여 틈새 부위를 채우면 최소 4가지 경도를 갖는 제품이 제조된다.
이는, 3가지 뿐만 아니라 4가지 이상의 부위별 경도를 갖는 코 성형용 보형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질부(13)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가 주입된 후에는 연질부(12)와 경질부(14) 및 이질부(13)를 일체화시키기 위해 다시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열 및 가압하여 경화시켜 일체화시킨 후에, 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키면 최종 제품의 제조작업이 완료된다.
여기서 프레스는 일반적인 공지의 것을 채용하므로 구체적인 생략은 생략하기로 하되, 일 예로 유압식 프레스를 채택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 성형용 보형물(10)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연질부(12)와, 연질부(12)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도록 접합되는 이질부(13)와, 이질부(13)의 단부에 연장되도록 접합되며 연질부(12)와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경질부(14)로 구성된다.
경질부(14)는 이질부(13)의 일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자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각 경도가 다른 경우에는 이질부(13) 부분이 시술과정에서 콧날 부위를 받쳐주는 부분이 되므로, 이질부(13)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의 경도는 소프트 한 연질부(12)보다는 다소 딱딱한 경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경질부(14)와 연질부(12) 및 이질부(13)의 각 경계 부위는 액상의 실리콘 원료가 각각 경화되는 과정에서 일체로 접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각 연질부(12)와 이질부(13) 및 경질부(14)는 각각의 다른 색상 및 경도를 가지거나, 같은 색상의 것을 채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연질부(12)와 이질부(13) 및 경질부(14)는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실리콘 원료들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일체로 접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경질부(14)와 연질부(12) 및 이질부(13)가 "┐"자 형태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로 든 것에 불과하며 다른 형태의 것도 얼마든지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질부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질부와 경질부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연질부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를 하부 금형에 주입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연질부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를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측 금형을 저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질부와 경질부 및 이질부를 일체로 접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3 단계로 구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형물 12 : 연질부
13 : 이질부 14 : 경질부
100 : 제 1금형 110 : 상부 금형
114 : 성형공 120 : 하부 금형
122 : 원료 주입홈 130 : 가압 금형
132 : 마감홈 200 : 제 2금형
210 : 상측 금형 220 : 하측 금형
222 : 원료 주입부 224 : 결합공
230 : 베이스 금형

Claims (7)

  1. 상, 하부 금형(110,120)으로 구성된 제 1금형(100) 내에 액상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고 프레스로 가열 및 가압하여 경화시켜 연질부(12)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 하측 금형(210,220)으로 구성된 제 2금형(200)에 마련된 원료 주입부(222)의 일부에 상기 경화된 연질부(12)를 끼워서 배치한 후에, 상기 원료 주입부(222)의 나머지 부위에 상기 실리콘 원료와는 다른 경도를 갖는 경질부(14)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고 프레스로 가열 및 가압하여 경화시켜 상기 연질부(12)와 경질부(14)가 일체화되도록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경질부(14)와 연질부(12)의 경계부위를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나머지 경질부(14)와 연질부(12) 부위를 상기 제 2금형(200)의 원료 주입부(222)에 서로 이격되어 틈새를 갖도록 각각 배치한 후에 상기 틈새 부위에 상기 연질부(12)와 경질부(14)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와 다른 경도를 갖는 액상의 이질부(13)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고 경화시켜 상기 연질부(12)와 경질부(14) 및 이질부(13)를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보형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12)와 이질부(13) 및 경질부(14)는 "┐"자 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보형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12)와 이질부(13) 및 경질부(14)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스의 가압시 상기 연질부(12)의 타단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하측 금형(220)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베이스 금형(230)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상, 하측 금형(210,220) 및 베이스 금형(230)으로 이루어진 3단 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로 가압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보형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틈새부위에 상기 이질부(13)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틈새 부위에 상기 이질부(13)를 구성하는 실리콘 원료 외에 또 다른 경도의 실리콘 원료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보형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12)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금형(100)을 상, 하 연통되는 다수개의 성형공(114)이 형성된 상부 금형(110)과 상기 성형공(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원료 주입홈(122)을 갖는 하부 금형(120)으로 구성하되,
    액상의 실리콘 원료를 상기 하부 금형(120)의 원료 주입홈(122) 내에 주입하여 충전시킨 후에, 상기 하부 금형(120)의 상측에 상기 상부 금형(110)을 안착시키고 가압함에 따라, 상기 실리콘 원료의 내부에 발생된 기포를 상기 상부 금형(110) 의 성형공(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보형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12)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금형(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프레스로부터 전해지는 가압력을 전달하고 일측면에 상기 성형공(114)에 대응되는 마감홈(132)이 형성되며 상기 연질부(12)의 단부를 마감하는 가압 금형(130)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연질부(12)를 상기 상, 하부 금형(110,120) 및 가압 금형(130)으로 이루어진 3단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스로 가압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보형물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의 방법에 의해 적어도 세 부분이 서로 다른 경도의 실리콘 원료들이 액상에서 경화되어 순차적으로 고체화되는 연질부(12)와 이질부(13) 및 경질부(14)로 구성되며, 각 원료들의 경계 부위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일체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보형물.
KR1020080082162A 2008-08-22 2008-08-22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3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162A KR20100023420A (ko) 2008-08-22 2008-08-22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162A KR20100023420A (ko) 2008-08-22 2008-08-22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420A true KR20100023420A (ko) 2010-03-04

Family

ID=4217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162A KR20100023420A (ko) 2008-08-22 2008-08-22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34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2329A (zh) * 2013-02-28 2013-06-12 上海康宁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整形用鼻梁假体的制作方法
WO2020050514A1 (ko) * 2018-09-07 2020-03-12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코 성형수술용 몰드
KR20210151342A (ko) 2020-06-05 2021-12-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부위 성형용 연골 슬라이싱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2329A (zh) * 2013-02-28 2013-06-12 上海康宁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整形用鼻梁假体的制作方法
WO2020050514A1 (ko) * 2018-09-07 2020-03-12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코 성형수술용 몰드
KR20210151342A (ko) 2020-06-05 2021-12-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부위 성형용 연골 슬라이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0051B2 (ja) 貼着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837119A (zh) 一种隐形正畸矫治器的制造方法
JP2012501755A5 (ko)
RU2007141653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х фасонных частей
KR20100023420A (ko)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90255618A1 (en) Breast Prosthesis for Patients with Edema
KR20090070821A (ko) 코 성형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64727B1 (ko) 3d 프린팅 기반 무금형 신발 제조방법
KR101812963B1 (ko) 보형물 또는 그러한 보형물의 중간생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보형물 또는 그러한 보형물의 중간생성물
TW201738849A (zh) 骨骼製造方法及其模具
KR100930952B1 (ko) 성형수술용 인조 보형물의 진공성형방법 및 그 금형
CN105291348B (zh) 一种液态硅胶同时包导电胶和塑胶的包胶工艺
CN208625936U (zh) 一种耳廓矫形器
CN108371576A (zh) 一种耳廓矫形器及其制备方法
WO2006099969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wirbelsäulen-implantaten
KR102385962B1 (ko) 접안패드 및 접안패드 제작방법
KR200381761Y1 (ko) 신발제조용 신골
CN113087522A (zh) 一种陶瓷关节的陶瓷涂层
KR20170011464A (ko) 3d 성형장치
JP2010131320A (ja) 義歯の製造方法
KR100900003B1 (ko) 의지용 맞춤형 실리콘 소켓의 제조방법 및 위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의지용 실리콘 소켓
CN202801863U (zh) 人工鼻子假体
CN215242549U (zh) 一种人工骨模具
TW20062414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golf club head main body of composite material and its forming mold
CN108938142A (zh) 一种镂空型硅橡胶整形植入体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