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754B1 -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754B1
KR102385754B1 KR1020210104990A KR20210104990A KR102385754B1 KR 102385754 B1 KR102385754 B1 KR 102385754B1 KR 1020210104990 A KR1020210104990 A KR 1020210104990A KR 20210104990 A KR20210104990 A KR 20210104990A KR 102385754 B1 KR102385754 B1 KR 102385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jig
insertion hole
measur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부
Priority to KR1020210104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2Feeler-pin gauges, e.g. dial gauges
    • G01B3/28Depth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key-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11Shaping by machi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에 삽입홀과 결합홈을 가공한 후 그 공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스톤 로드를 절개하는 대신에 피스톤 로드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여러 지그를 이용하여 삽입홀의 깊이와 결합홈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그부재로 피스톤 로드에 형성된 삽입홀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제1지그와, 하단부가 피스톤 로드에 형성된 결합홈에 걸림되는 제2지그 및 피스톤 로드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지그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 피스톤 로드의 삽입홀에 제1지그를 삽입한 후 하이트 게이지를 이용하여 제1지그의 위치를 측정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삽입홀의 깊이를 산정하는 단계와; 제1지그를 제거한 후 피스톤 로드의 삽입홀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제2지그를 삽입하여 제2지그의 하단 부분이 피스톤 로드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후 하이트 게이지를 이용하여 제1지그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결합홈의 위치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Machining Tolerance Measuring Method of Piston Rod for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본 발명은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 로드에 삽입홀과 결합홈을 가공한 후 그 공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스톤 로드를 절개하는 대신에 피스톤 로드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여러 지그를 이용하여 삽입홀의 깊이와 결합홈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어 서스펜션(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ECS)이란, 노면 상태와 운전 조건에 따라 차체 높이를 변화시켜, 주행 안전성과 승차감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자 제어 현가장치'라고도 한다.
자동차는 서스펜션이 부드러우면 승차감은 좋지만 급가속시나 급제동시 차량의 자세가 심하게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서스펜션이 견고하면 자세 변화는 심하지 않지만 노면의 진동이 흡수되지 않아 주행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전자 제어 서스펜션(ECS)은 이 두 경우의 장점은 고루 살리면서 단점은 없앤 첨단 시스템으로, 노면이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에서는 차 높이를 높여 차체를 보호하고, 고속도로와 같이 고속 주행이 가능한 도로에서는 차 높이를 낮추어 공기 저항을 줄여 줌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전자 제어 서스펜션은 공기압식과 유압식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스프링의 신축작용을 억제하여 차체를 안정시키고 차량의 흔들림에 대한 저항 역할을 수행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를 구비하고 있다.
쇽 업소버는 기본적으로 차축에 연결되고 오일이 가득 채워진 내통과, 그 외측에 위치하며 오일이 반 정도 채워진 외통 및 일단은 내통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외통 외측으로 연장되어 차체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피스톤 로드가 상하로 신장 및 이완되는 리바운드와 컴프레션 행정시 피스톤 밸브의 양쪽 챔버에 주입된 오일을 피스톤 밸브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필요로 하는 감쇠력 특성을 얻고 있다.
피스톤 밸브는 피스톤 로드에 결합된 피스톤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피스톤 로드에 유로를 형성하여 오일의 일부를 바이패스시킴으로써 감쇠력을 조절하기도 한다.
이를 위하여 피스톤 로드에 홀을 가공하게 되는데, 피스톤 로드에 형성된 홀의 규격이 정밀하지 않을 경우 전자 제어 서스펜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에 홀을 가공한 후, 가공된 홀의 깊이와 결합홈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홀 가공이 완료된 피스톤 로드 중 일부를 샘플링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된 피스톤 로드(50)의 홀 가공부를 반으로 절개하여 절개면에 나타난 삽입홀(51)의 깊이와 결합홈(52)의 위치를 측정하여 가공 공차를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은 일정 주기 또는 제작 팁의 교체시에만 치수를 측정하게 되어 제품 불량이 나타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피스톤 로드를 절개하여 측정함에 따라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 조사가 끝단 피스톤 로드를 폐기할 수밖에 없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국내 특허문헌을 찾지 못하였으며, 인접 기술분야의 선행기술로는 다음의 특허문헌들이 검색되었다.
특허문헌 1은, 지그블록 상에 안착된 검사물이 고정되는 클램프부와, 검사물의 홀과 동축을 이루도록 안내홀이 구비되는 지그본체; 상기 안내홀상에 삽입설치되는 지지부시와, 지지부시 상에 선회되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삽입되는 누름대와 연계작되는 측정자부가 일단에 구비되고, 다른 일단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회동부시와, 손잡이 상에 선회되도록 설치되고, 다이얼핀이 누름대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다이얼게이지가 구비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측정자부를 회전시켜 홀의 치수는 물론 편심정도 및 편심방향이 정밀하게 검출됨과 아울러 측정자부를 회전시 다이얼게이지가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용이한, 홀 검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실린더튜브와, 상기 실린더튜브 외주에 스프링받침판, 너클브라켓, ABS센서브라켓, 브레이크호스브라켓, 조향브라켓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쇽업쇼바의 형상을 검사하는 쇽업쇼바 검사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쇽업쇼바가 안착되는 지그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쇽업쇼바의 실린더튜브 일단으로 왕복이동되게 설치되어 접촉되는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변위센서가 포함된 실린더튜브측정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실린더튜브 타단을 받치고 상기 스프링받침판으로 왕복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받침판에 접촉되는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변위센서가 포함된 스프링받침판측정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너클브라켓으로 왕복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너클브라켓에 형성된 홀에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가 포함된 너클브라켓감지부; 및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린더튜브와 스프링받침판의 범위값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실린더튜브측정부의 이동거리와 상기 스프링받침판측정부의 이동거리와 각각 비교하여 범위값 내에서는 정상 판별하고, 상기 너클브라켓은 비접촉시 정상 판별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제어판넬부;가 포함되는 쇽업쇼바 검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주행중인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의 전자식 서스펜션의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로크의 변위와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스트로크의 상한과 하한에 정해진 범위 이내로 인접하는 경우에 적용할 스트로크 제한 게인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스트로크 제한 게인값을 기본 댐핑 감쇠력에 적용하여 보정된 댐핑 감쇠력을 구하는 단계와, 계산된 보정 댐핑 감쇠력이 발휘되도록 상기 전자제어 서스펜션에 제어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스트로크의 상한 또는 하한 직전에 댐핑력을 증가시켜 스트로크의 상항 또는 하한에서 구성요소가 접촉하여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한 전자제어 서스펜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KR 10-0998114 B1 KR 10-2017-0123001 A KR 10-2018-0069486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 제어 서스펜션에서 사용되는 피스톤 로드에 삽입홀과 결합홈을 가공한 후 그 공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스톤 로드를 절개하는 대신에 피스톤 로드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여러 지그를 이용하여 삽입홀의 깊이와 결합홈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 제어 서스펜션에서 사용되는 피스톤 로드의 홀 가공 공차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그부재로 피스톤 로드에 형성된 삽입홀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제1지그와, 하단부가 피스톤 로드에 형성된 결합홈에 걸림되는 제2지그 및 피스톤 로드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지그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 피스톤 로드의 삽입홀에 제1지그를 삽입한 후 하이트 게이지를 이용하여 제1지그의 위치를 측정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삽입홀의 깊이를 산정하는 단계와; 제1지그를 제거한 후 피스톤 로드의 삽입홀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제2지그를 삽입하여 제2지그의 하단 부분이 피스톤 로드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후 하이트 게이지를 이용하여 제1지그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결합홈의 위치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지그는 삽입홀의 내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가 모따기 가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지그는 일정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일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탄성편과, 피스톤 로드의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탄성편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의 상부에 연결되어 탄성편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 따르면, 제2지그는 피스톤 로드의 로드 상단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단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위치확인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지그를 이용한 게이지 측정값을 피스톤 로드를 절개하여 측정한 실제값을 비교하여 그 편차가 일정 이하인 경우에만 지그부재로 사용하는 유효성 평가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은 피스톤 로드에 형성된 삽입홀 및 결합홈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스톤 로드를 절개하는 대신에 피스톤 로드의 홀에 삽입되는 여러 지그를 이용하여 삽입홀의 깊이와 결합홈의 위치를 측정함에 따라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고 절개에 의해 폐기되는 피스톤 로드의 양을 최소화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 따르면, 제2지그가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탄성편의 하단 부분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피스톤 로드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결합홈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피스톤 로드에 착탈시키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 따르면, 제2지그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통해 유효한 제2지그만 사용함에 따라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홀 가공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 작용되는 게이지를 나타낸 참고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서 사용되는 제1지그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서 제1지그를 이용하여 삽입홀의 깊이를 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서 사용되는 제2지그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서 제2지그를 이용하여 결합홈의 위치를 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홀 가공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 작용되는 게이지를 나타낸 참고사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서 사용되는 제1지그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서 제1지그를 이용하여 삽입홀의 깊이를 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서 사용되는 제2지그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에서 제2지그를 이용하여 결합홈의 위치를 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은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제어 서스펜션에서 사용되는 피스톤 로드의 홀 가공 공차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제1지그(10)와 제2지그(20) 및 스프링(30)으로 이루어진 지그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제1지그(10)를 이용하여 삽입홀(51)의 깊이를 산정하는 단계와; 제1지그(20)를 이용하여 결합홈(52)의 위치를 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그(10)는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50)에 형성된 삽입홀(51)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 또는 미세하게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홀(51)의 내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가 모따기 가공되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홀(51)의 깊이가 39.56㎜인 경우 제1지그(10)의 길이는 39.55~39.56㎜로 형성된다.
상기 제2지그(20)는 하단부가 피스톤 로드(50)에 형성된 결합홈(52)에 걸림되어 피스톤 로드(5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도 3과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의 틈새(25)가 형성되도록 일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탄성편(21)(22)과, 피스톤 로드(50)의 결합홈(52)에 삽입되도록 탄성편(21)(22)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틈새(25)의 상부에 연결되어 탄성편(22)(22)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가이드 홈(26)과, 피스톤 로드(50)의 로드 상단(55)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단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위치확인홈(24)을 구비한다.
이때, 제2지그(20)는 상단으로부터 결합돌기(23)의 상측 사이의 거리가 제1지그(1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으로부터 위치확인홈(24)까지의 거리는 삽입홀(51)의 저면으로부터 결합홈(52)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30)은 도 3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50)의 삽입홀(51)에 삽입되어 상기 제2지그(20)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그(10)를 이용하여 삽입홀(51)의 깊이를 산정하는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 로드(50)의 삽입홀(51)에 제1지그(10)를 삽입한 후 하이트 게이지(60)를 이용하여 제1지그(10)의 위치를 측정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삽입홀(51)의 깊이를 산정하고 하이트 게이지(60)의 영점을 조정하는 단계이다.
즉, 하이트 게이지(60)를 이용하여 피스톤 로드(50)의 최상단 위치와 상기 피스톤 로드(50)의 삽입홀(51)에 삽입된 제1지그(10)의 상면 위치를 각각 측정하여, 두 위치의 편차와 제1게이지(10)의 길이를 이용하여 삽입홀(51)의 깊이를 산정함과 아울러 하이트 게이지(60)의 영점을 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지그(20)를 이용하여 결합홈(52)의 위치를 산정하는 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50)의 삽입홀(51)에 위치한 제1지그(10)를 제거한 후 피스톤 로드(50)의 삽입홀(51)에 스프링(30)을 설치하고 스프링(3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제2지그(20)를 삽입하여 제2지그(20)의 하단 부분이 피스톤 로드(50)의 결합홈(5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후 하이트 게이지(60)를 이용하여 제2지그(20)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결합홈(52)의 위치를 산정하는 단계이다.
즉, 영점 조정이 완료된 하이트 게이지(60)를 이용하여 피스톤 로드(50)에 삽입 고정된 제2지그(20)의 상단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결합홈(52)의 위치를 산정하는 것이다.
참고로, 이와 관련하여, 상기 삽입홀(51)의 저면으로부터 결합홈(52)까지의 거리가 27.57㎜인 피스톤 로드(50)에 적용되는 15개의 제2지그(20)를 제작하여 피스톤 로드(50)에 결합시킨 후 피스톤 로드(5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지그(20)의 상단 높이를 하이트 게이지(60)로 측정하는 방식으로 제2지그(20)의 동일성을 평가한 결과 다음의 표 1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Figure 112021091920952-pat00001
즉, 삽입홀(51)의 저면으로부터 결합홈(52)까지의 거리와 제작된 15개의 제2지그(20)에 대한 측정치수의 전체 평균은 27.58㎜, 최소편차는 0, 최대편차는 0.03㎜으로 나타났으며, 최대편차를 보인 NO.5는 폐기하였다.
그리고, 제2지그(20)의 유효성 평가를 위하여, 상기 제2지그(20)를 이용한 게이지 측정값을 피스톤 로드(50)를 절개하여 비디오메타로 측정한 실제값을 비교한 결과 다음의 표 2를 얻을 수 있었다.
Figure 112021091920952-pat00002
즉, 14개의 피스톤 로드(50)에 대한 게이지 측정값과 실제값을 비교 검증한 결과 최소편차 0.001㎜, 최대편차 0.021㎜로 나타났으므로, 제2지그를 현장에 적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제1지그
20...제2지그
21, 22...탄성편
23...결합돌기
24...위치확인홈
25...틈새
26...위치확인홈
30...스프링
50...피스톤 로드
51...삽입홀
52...결합홈
55...로드 상단

Claims (5)

  1. 전자 제어 서스펜션에서 사용되는 피스톤 로드의 홀 가공 공차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그부재로 피스톤 로드(50)에 형성된 삽입홀(51)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제1지그(10)와, 하단부가 피스톤 로드(50)에 형성된 결합홈(52)에 걸림되고 일정 크기의 틈새(25)가 형성되도록 일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단이 서로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복원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틈새(25)의 상부에 연결된 탄성가이드 홈(26)을 구비하는 한 쌍의 탄성편(21)(22)과, 피스톤 로드(50)의 결합홈(52)에 삽입되도록 탄성편(21)(22)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23)를 포함하는 제2지그(20) 및 피스톤 로드(50)의 삽입홀(51)에 삽입되어 상기 제2지그(2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0)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
    피스톤 로드(50)의 삽입홀(51)에 제1지그(10)를 삽입한 후 하이트 게이지(60)를 이용하여 제1지그(10)의 위치를 측정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삽입홀(51)의 깊이를 산정하는 단계와;
    제1지그(10)를 제거한 후 피스톤 로드(50)의 삽입홀(51)에 스프링(30)을 설치하고 스프링(3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제2지그(20)를 삽입하여 제2지그(20)의 하단 부분이 피스톤 로드(50)의 결합홈(5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후 하이트 게이지(60)를 이용하여 제2지그(20)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결합홈(52)의 위치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10)는 삽입홀(51)의 내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가 모따기 가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20)는 피스톤 로드(50)의 로드 상단(55)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단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위치확인홈(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
  5.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20)를 이용한 게이지 측정값을 피스톤 로드(50)를 절개하여 측정한 실제값을 비교하여 그 편차가 일정 이하인 경우에만 지그부재로 사용하는 유효성 평가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
KR1020210104990A 2021-08-10 2021-08-10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 KR102385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990A KR102385754B1 (ko) 2021-08-10 2021-08-10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990A KR102385754B1 (ko) 2021-08-10 2021-08-10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754B1 true KR102385754B1 (ko) 2022-04-15

Family

ID=8121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990A KR102385754B1 (ko) 2021-08-10 2021-08-10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005B1 (ko) * 2023-04-06 2023-07-25 김동수 정밀부품 검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4502A (ja) * 1993-12-21 1995-07-14 Mitsubishi Motors Corp 穴深さ測定器
KR20010046415A (ko) * 1999-11-12 2001-06-15 류정열 디젤엔진 실린더헤드의 노즐홀 가공 검사용 게이지 및검사방법
US20030217479A1 (en) * 2002-05-24 2003-11-27 Shen He Yun Tool and method for measuring depth of countersunk portion of a hole
KR100998114B1 (ko) 2009-09-29 2010-12-02 김용규 홀 검사장치
US20110000344A1 (en) * 2009-07-01 2011-01-06 Jeremy Summers Depth gauge and adjustment tool for adjustable fastener receptacles and method
JP2012243697A (ja) * 2011-05-24 2012-12-10 Nissan Motor Co Ltd スパークプラグ管理用ゲージとシリンダヘッドのプラグ穴管理用ゲージおよびそれらのゲージセット
KR20170123001A (ko) 2016-04-28 2017-11-07 정송진 쇽업쇼바 검사장치
KR20180069486A (ko)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제어 서스펜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4502A (ja) * 1993-12-21 1995-07-14 Mitsubishi Motors Corp 穴深さ測定器
KR20010046415A (ko) * 1999-11-12 2001-06-15 류정열 디젤엔진 실린더헤드의 노즐홀 가공 검사용 게이지 및검사방법
US20030217479A1 (en) * 2002-05-24 2003-11-27 Shen He Yun Tool and method for measuring depth of countersunk portion of a hole
US20110000344A1 (en) * 2009-07-01 2011-01-06 Jeremy Summers Depth gauge and adjustment tool for adjustable fastener receptacles and method
KR100998114B1 (ko) 2009-09-29 2010-12-02 김용규 홀 검사장치
JP2012243697A (ja) * 2011-05-24 2012-12-10 Nissan Motor Co Ltd スパークプラグ管理用ゲージとシリンダヘッドのプラグ穴管理用ゲージおよびそれらのゲージセット
KR20170123001A (ko) 2016-04-28 2017-11-07 정송진 쇽업쇼바 검사장치
KR20180069486A (ko)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제어 서스펜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005B1 (ko) * 2023-04-06 2023-07-25 김동수 정밀부품 검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754B1 (ko) 전자 제어 서스펜션용 피스톤 로드의 가공 공차 측정방법
CN102840265A (zh) 半主动悬架可控筒式液压减振器阀参数的优化设计方法
DE10201810473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alibrieren von höhensensoren einer fahrzeugaufhängung
CN102608202B (zh) 轮毂单元的探伤检查装置
CN105313960A (zh) 用于车辆悬架的可调整前束曲线转向节和方法
CN105424386A (zh) 一种汽车减震器试验台
CN109751945B (zh) 一种管材对称冲弯精度检验台及其使用方法
US6360580B1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vehicle shock absorbers
EP0810067A1 (en) Method of and instrument for measuring roll diameter in roll grinder
CN114111664A (zh) 一种无框车门玻璃位置精度检测点检测装置
KR101172765B1 (ko) 솔레노이드밸브 홀더의 검사 지그
CN109341586B (zh) 非接触式三维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212567252U (zh) 一种高度阀角度测试工装
CN212109958U (zh) 一种可检测调节手柄刚度的转向管柱总成间隙检测装置
KR101942902B1 (ko) 차량 구속 디바이스
CN216482644U (zh) 一种具有检测功能的减震器激光打码装置
CN108507660B (zh) 一种平板式制动检验平台的称重传感器检定方法
KR102267138B1 (ko) 범퍼용 시험장치
CN109747497A (zh) 一种座椅悬架自适应控制方法
CN205352716U (zh) 一种汽车减震器试验台
CN111780641A (zh) 一种汽车车门铰链检具
US2853790A (en) Suspension height gauge for vehicular torsion bar suspension systems
CN111879218A (zh) 一种高度阀角度测试工装
KR20210043203A (ko) 스핀들 가공장치
CN112413030A (zh) 一种减振器阻尼控制和性能评定方法、以此方法优化的减振器和采用此减振器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