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577B1 -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577B1
KR102384577B1 KR1020210125885A KR20210125885A KR102384577B1 KR 102384577 B1 KR102384577 B1 KR 102384577B1 KR 1020210125885 A KR1020210125885 A KR 1020210125885A KR 20210125885 A KR20210125885 A KR 20210125885A KR 102384577 B1 KR102384577 B1 KR 102384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crylate
ingrown
present
siloxa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숙
이대범
Original Assignee
이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숙 filed Critical 이미숙
Priority to KR1020210125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577B1/ko
Priority to KR1020220042040A priority patent/KR20230043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577B1/ko
Priority to PCT/KR2022/014155 priority patent/WO2023048474A1/ko
Priority to TW111135926A priority patent/TWI82600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록산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광개시제 및 폴리티올을 포함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면, 내향성 손발톱에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내향성 손발톱이 휘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컬을 발생시킴으로써,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의 최적 배합을 통해 컬량을 최대화하면서 손발톱의 표면에서 경화물이 탈락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경화 후 잔여물이 나타나지 않고 반응열에 의한 열감이 높아지지 않도록 조절하여, 내향성 손발톱의 교정 효과 및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orrecting Ingrown Nail}
본 발명은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향성 손발톱에 도포 후 경화시키는 경우 내향성 손발톱이 휘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컬을 유도함으로써 내향성 손톱 또는 발톱을 교정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내향성 손발톱(ingrown (toe)nail)은 손톱이나 발톱이 살 속으로 파고들어 염증 및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내향성 손발톱은 비만이나 노화로 인하여 손발톱에 자연적으로 굴곡이 심해지는 경우, 무좀을 오래 방치하여 손발톱의 모양이 변형되는 경우, 또는 꽉 조이는 신발을 장시간 신었을 때 발톱이 발톱 바깥쪽의 살을 지속적으로 누르게 되는 경우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향성 손발톱 질환은 발톱, 특히 엄지 발톱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내향성 발톱은 정상적인 발톱에 비해 두께가 상당히 두껍기 때문에 발톱이 살을 더 강한 힘으로 파고들게 되어 염증이나 통증이 심해진다. 염증이 악화되는 경우 냄새가 나고 통증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며, 보행이 어렵고 신발 착용에 의해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등 생활에 심각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내향성 손발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5692호에서는 탄성이 있는 판스프링을 발톱에 장착함으로써 내향성 발톱을 정상 발톱으로 올바르게 교정하는 교정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정기를 발톱에 부착하게 되면 착용감으로 인하여 일상 생활이나 보행 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장치의 크기로 인해 교정기를 끼운 채로 신발을 신기 어렵기 때문에 외출 시에는 지속적인 교정이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은 교정 장치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톱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내향성 발톱을 교정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1734호에서는 니트로셀룰로오스, 아크릴수지, 디부틸프탈레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발프로산 및 카페인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발톱에 코팅하여 내향성 발톱 교정 효과를 나타내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코팅제를 이용하여 내향성 발톱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발톱의 표면을 연마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기술은 코팅제를 이용하여 발톱 표면을 부드럽게 하면서 발톱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교정에 부수적인 역할을 할 뿐 교정 효과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며,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교정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향성 손발톱이 휘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컬을 유도하여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폭시 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실록산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광개시제 및 폴리티올을 포함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실록산 수지 1 내지 50중량%,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0 내지 50중량%, 광개시제 0.1 내지 15중량%, 폴리티올 2 내지 10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록산 수지는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실록산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3개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록산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1 내지 3:1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개시제는 양이온 개시제 및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300nm 이하에서 최대 흡수 피크를 갖는 단파장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이온 개시제 및 라디칼 개시제의 중량비는 1:2 내지 1: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레벨링제 및 중합 금지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은, 도포 및 경화의 간단한 방법을 통해 내향성 손발톱이 휘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컬을 발생시켜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교정 장치나 외과적 수술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지속적인 교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의 최적 배합을 통해 컬량을 최대화하면서 손발톱의 표면에서 경화물이 탈락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경화 후 잔여물이 나타나지 않고 반응열에 의한 열감이 높아지지 않도록 조절하여, 내향성 손발톱의 교정 효과 및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의 교정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향성 손발톱의 표면에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교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을 교정하고자 하는 손발톱의 표면에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조성물이 경화되면서 역컬이 발생하여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역컬"은 내향성 손발톱이 휘어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발생하는 컬을 의미하며, 반대로 용어 "정컬"은 내향성 손발톱이 휘어진 방향으로 발생하는 컬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면, 별도의 교정 장치 없이도 내향성 손발톱의 교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초래하지 않고, 신발 착용 여부와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교정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을 위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단순히 손발톱을 보호하고 유연성을 부여하는 효과만 있을 뿐 실질적인 물리적 교정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을 이용하면 조성물을 손발톱에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 만으로도 물리적 힘에 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내향성 손발톱 표면에 도포하면, 경화시 발생하는 수축 현상으로 인해 정컬이 발생하여 내향성 손발톱 증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구성 성분 및 배합을 조절함으로써, 역컬을 발생시키면서 경화성 및 부착력이 모두 우수하여 내향성 손발톱의 교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은 실록산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광개시제 및 폴리티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록산 수지는 광경화성 수지로서, 분자 내 Si-O 결합으로 이루어진 실록산(siloxane) 작용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록산 수지는 경화시 역컬을 유발하기 위한 성분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내향성 손발톱에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경우, 조성물이 내향성 손발톱이 휘어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것 만으로도 내향성 손발톱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교정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록산 수지는 1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수지, 즉 에폭시 실록산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 실록산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역컬의 컬량이 향상되고 경화물이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내향성 손발톱의 교정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폭시 실록산 수지는 폴리실록산의 말단에 에폭시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21109312452-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일 수 있고,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기, C1-C6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일 수 있으며,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시기, C1-C6의 에폭시알콕시기 또는 C1-C6의 에폭시사이클로알킬기일 수 있고,
n은 1 내지 6의 정수일 수 있으며,
m + m'은 10 내지 1,0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 실록산 수지는 알킬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의 축합반응(condensation)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실록산 수지로서 상기 에폭시 실록산 수지와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실록산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록산 수지로서 에폭시 실록산 수지만을 이용하게 되면 네일용 UV 램프로 조사하는 경우 열감이 발생하는 문제 및 컬이 고르게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에폭시 실록산 수지에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실록산 수지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실록산 수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21109312452-pat00002
상기 식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일 수 있고,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기, C1-C6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일 수 있으며,
m + m'은 10 내지 1,0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실록산 수지는 폴리실록산의 반복단위 내에 Si-H 결합을 포함하는 실록산 수지, 즉 하이드로실록산(hydrosiloxane)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실록산 수지는 알킬하이드로실록산-디알킬실록산 공중합체, 알킬하이드로실록산 등 분자 내 알킬하이드로실록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2에서 하나 이상의 R이 수소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폭시 실록산 수지와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실록산 수지는 중량 기준으로 1:2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8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실록산 수지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하는 경우, 내향성 손발톱의 굴곡면에서 역컬이 고르게 발생하면서 컬량이 높고, 미경화 잔여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경화시 열감이 나타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록산 수지의 총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실록산 수지와 함께 사용되는 중합성 화합물로서, 본 발명에서 용어 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 뿐만 아니라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도 포함하는 의미이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란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올리고머 및 모노머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으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분자 내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으며, 중합 가능한 불포화 작용기를 분자 내에 3개 이상 함유하는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2관능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2관능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사이클로헥산, 트랜스-1,4-사이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중합 가능한 불포화 작용기를 분자 내에 3개 이상 함유하는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3개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일 수 있다. 이 때, 관능기 수는 5 내지 20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8 내지 18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관능기 수가 적은 경우, 역컬이 아닌 정컬이 유도되어 총 컬량이 줄어들 수 있고, 컬량이 변화하는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향성 손발톱에 가해지는 교정 효과가 미미하거나, 오히려 정컬에 의해 내향성 손발톱을 악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관능기 수가 3관능 이상, 바람직하게는 5관능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관능 이상으로 높아질수록, 컬 발생 속도 및 컬량이 증가하게 되어 내향성 손발톱 교정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록산 수지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1 내지 3:1일 수 있으며, 1:1 내지 2: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경화되면서 역컬이 발생하고 컬량이 증가하여 내향성 손발톱의 교정 효과가 향상되며, 네일용 UV 램프로 경화시에도 경화 후에 잔여물이 남지 않고 우수한 경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광개시제(photoinitiator)는 광 조사에 의해 수지 및 중합성 화합물을 중합시키는 성분이다. 상기 광개시제는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개시제로는 양이온 개시제 또는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양이온 개시제 및 라디칼 개시제를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이온 개시제는 광 조사에 의해 양이온을 형성하여 중합을 개시하는 개시제로, 본 발명에서 양이온 개시제는 역컬을 유발하기 위한 성분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이온 개시제로는 오늄염(onium salt)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늄염 개시제는 요오드늄염, 설포늄염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4-페닐티오)페닐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페닐)[4-(2-메틸프로필)페닐]-요오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티오디-4,1-페닐렌)비스(디페닐설포늄) 디헥사 플루오로안티몬네이트 및 (티오디-4,1-페닐렌)비스(디페닐설포늄) 디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양이온 개시제로서 철-아렌 복합체와 같은 유기금속염(organometallic salt); o-니트릴벤질 트리아릴 실릴 에테르, 트리아릴 실릴 퍼옥사이드, 아실 실란 등의 유기 실란; 알파-설포닐옥시케톤, 알파-하이드록시메틸벤조인 설포네이트 등의 잠재성 황산(latent sulfonic acid)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양이온 개시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5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양이온 개시제에 의한 역컬 현상이 나타나면서, 경화시 황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광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하여 중합을 개시하는 개시제로, 본 발명에서 라디칼 개시제는 조성물의 경화를 유도하면서 수축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라디칼 개시제는 흡수 파장 영역에 따라 단파장 개시제 및 장파장 개시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라디칼 개시제는 단파장 개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단파장 개시제"는 3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nm 이하의 파장에서 최대 흡수 피크가 나타나는 개시제를 의미할 수 있다.
라디칼 개시제로서 장파장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조성물이 경화될 때 손발톱 굴곡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수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향성 손발톱 교정 효과를 떨어뜨리고 오히려 질환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라디칼 개시제로 단파장 개시제를 사용함으로써, 경화시 수축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역컬이 나타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라디칼 개시제는, 예를 들어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온,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α,α-다이에톡시아세토페논 등일 수 있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 개시제 및 라디칼 개시제를 혼합 사용하는 경우, 중량비는 1:2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3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역컬을 유도하여 우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황변 현상을 최소화하고, 표면에 미경화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티올(polythiol)은 표면 경화를 촉진하면서, 본 발명의 성분들에 의한 역컬이 유지되도록 하여 내향성 손발톱의 교정 효과를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상기 폴리티올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머캅토메틸-1,8-디머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1,1,3,3-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4,6-비스(머캅토메틸티오)-1,3-디티안, 2-(2,2-비스(머캅토메틸티오)에틸)-1,3-디티아에탄, 1,1,2,2-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에탄 및 3-머캅토메틸-1,5-디머캅토-2,4-디티아펜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티올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역컬 유도 효과를 유지하면서 경화물이 우수한 경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은 자외선(UV) 흡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5 내지 3중량% 포함되어, 경화시 역컬이 발생하는 속도를 조절하여 손발톱의 표면에서 경화물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사지논(benzoxazinone)계, 트리아진(triazi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및 벤조페논(benzophenone)계 자외선 흡수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는, 벤조사지논(benzoxazinone)계는 사이텍사의 CYASORB UV-3853S; 트리아진(triazine)계는 사이텍사의 CYASORB UV-1164, 바스프사의 TINUVIN 1577, TINUVIN P, TINUVIN 234, TINUVIN 326, TINUVIN 328, TINUVIN 329, TINUVIN 571, TINUVIN 400, TINUVIN 479;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는 시바사의 CYASORB UV-2337, CYASORB UV-5411, 바스프사의 TINUVIN 360, TINUVIN 213, TINUVIN 99-2, TINUVIN 171, TINUVIN 328, TINUVIN 384-2, TINUVIN 900, TINUVIN 928, TINUVIN 1130, 송원산업의 SONGSORB 1000, SONGSORB 2340, SONGSORB 3200, SONGSORB 3260, SONGSORB 3270, SONGSORB 3280; 벤조페논(benzophenone)계는 사이텍사의 CYASORB UV-9, CYASORB UV-24, CYASORB UV-531, 시바사의 CHIMASSORB 81, 송원산업의 SONGSORB 8100 등이 있으며, 각각의 UV 흡수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은 표면의 크레터링(crater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벨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코팅성 및 경화성을 고려하여 조성물 전체에 대해 0.1 내지 1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벨링제는 실리콘계, 불소계, 아크릴계 등의 제제일 수 있다.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레벨링제의 예로는, 비와이케이(BYK) 케미 사의 BYK-323, BYK-331, BYK-333, BYK-337, BYK-373, BYK-375, BYK-377, BYK-378; 대구 사의 TEGO Glide 410, TEGO Glide 411, TEGO Glide 415, TEGO Glide 420, TEGO Glide 432, TEGO Glide 435, TEGO Glide 440, TEGO Glide 450, TEGO Glide 455, TEGO Rad 2100, TEGO Rad 2200N, TEGO Rad 2250, TEGO Rad 2300, TEGO Rad 2500; 3M 사의 FC-4430, FC-4432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 0.1 내지 1중량%의 중합 금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합 금지제로는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하이드로퀴논 모노에틸 에테르, p-메톡시페놀, p-t-부틸카테콜 등의 페놀 화합물, N,N-디에틸하이드록실아민, N-니트로소페닐하이드록실아민암모늄염(쿠페론) 등의 하이드록실아민 화합물, 디티오벤조일디설파이드, 테트라에틸티우람디설파이드 등의 유기황 화합물 등이 있으며, 각각의 중합 금지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은 용매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코팅 조성물의 용매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사이클로헥사논, 헥산, 헵탄, 옥탄,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메틸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용매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광경화성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를 들어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습윤제, 소포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을 교정하고자 하는 내향성 손발톱 상에 도포하고, UV 램프로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통해 교정할 수 있다. 이 때, 코팅층을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회 형성하여 교정 효과를 조절하고, 코팅층이 탈락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역컬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최상부의 코팅층 상에는 탑코트를 도포한 후 최종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를 완료시킬 수 있다.
조성물의 도포 두께는 회당 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일 수 있으며, UV 건조는 회당 10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10초 내지 1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조성물의 건조(경화)에 이용하는 UV 램프의 사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네일 숍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UV 램프로서 300 내지 450nm 범위 내의 파장을 방출하고, 50 내지 100W의 전력을 갖는 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을 손발톱에 도포하고 광을 조사하면, 조성물이 경화되면서 손발톱 굴곡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로써, 내향성 손발톱의 양 단부에 굴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물리적 힘이 가해지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어,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과적 수술이나 교정 장치 없이, 코팅제를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것 만으로도 간편하게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교정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의 최적 배합을 통해 역컬을 발생시키면서 컬량을 최대화하여 교정 효과를 향상시켰으며, 경화시 수축되거나 피착면에서 탈락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조성물이 용이하게 경화되도록 조절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간단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우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실험방법과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제조
아래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실록산 수지 에폭시 실록산 5 5 5 5 5 5 -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실록산 25 25 25 25 25 25 25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5관능 23 23 - 23 23 28.8 28
6관능 - - 23 - - - -
폴리티올 6.4 6.4 6.6 6.6 6.8 - 6.4
양이온 개시제 0.2 0.2 0.2 0.2 - 1 0.2
라디칼 개시제 단파장 개시제 5 5 5 - 5 5 5
장파장 개시제 - - - 5 - - -
자외선 흡수제 0.1 - - - - - 0.1
레벨링제 0.2 0.2 0.2 0.2 0.2 0.2 0.2
중합금지제 0.1 0.2 - - - - 0.1
용매 PGMA 15 15 15 15 15 15 15
MIBK 20 20 20 20 20 20 20
상기 표 1에서 사용된 성분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에폭시 실록산: 에폭시프로폭시프로필 디메톡시실릴 폴리디메틸실록산(C社)
-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실록산: 메틸하이드로실록산(G社)
- 15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POLYGOMER PN-3915(P社)
-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POLYGOMER PN-3640(P社)
- 폴리티올: 4관능 폴리티올(S社)
- 양이온 개시제: 설포늄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Omnicat 270, I社)
- 단파장 라디칼 개시제: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Omnirad 184, I社)
- 장파장 라디칼 개시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Omnirad TPO, I社)
- 자외선 흡수제: 하이드록실페닐 트리아진(Tinuvin 400, B社)
- 레벨링제: 실리콘-프리 아크릴계 레벨링제(TEGO Flow 460 N, E社)
- 중합금지제: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MEHQ)
- PGMA: 2-메톡시-1-메틸에틸 아세테이트
- MIBK: 메틸 이소부틸 케톤
비교예: 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제조
종래 디스플레이용 코팅에 적용되는 광경화성 조성물과 본 발명 조성물의 특성 비교를 위하여, 비교예로서 에폭시 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에폭시 실록산 수지 10.3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58.6중량%, (4-메틸페닐)[4-(2-메틸프로필)페닐]아이오도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양이온 개시제) 1.4중량%,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라디칼 개시제) 2.1중량%, 메틸-5-노르보넨-2,3-디카르복실릭안하이드라이드(경화제) 3.4중량% 및 메틸에틸케톤(용매) 24.1중량%의 조성을 갖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경화 후 컬량 측정 및 경화도 확인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을 0.5T 두께의 인조네일 팁에 20㎛ 두께로 도포하고, UV LED 네일 램프로 30초 동안 건조한 후 동일 조건에서 도포 및 건조를 반복하였다. 상기 UV LED 네일 램프로는 네일숍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램프의 사양에 따라, 365~405nm 파장대에서 전력 70W인 램프를 이용하였다.
1회 도포 및 건조 결과와 2회차 도포 및 건조 결과에서 네일 팁이 벌어진 정도와, 24시간 실내에 보관 후 네일 팁이 벌어진 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단위: mm). 이 때, 역컬의 양은 양수로, 정컬의 양은 음수로 표기하였다.
또한, 경화 후 표면에 잔여물을 확인하고, 표면에 미경화 잔여물이 없는 경우에는 ○, 잔여물이 남은 경우에는 ×로 표시하여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구분 1회 도포 후 2회 도포 후 24시간 보관 후 표면 경화도
제조예 1 0.3 0.7 1.2
제조예 2 0.2 0.6 1.0
제조예 3 0 0.3 0.6
제조예 4 0 -0.3 -0.5
제조예 5 0 0 -0.2 ×
제조예 6 0.2 0.6 1.0
제조예 7 0 0 0.2 ×
표 2의 결과에 따르면, 제조예 1의 조성물을 네일 팁에 도포한 결과 역컬이 발생하고, 24시간 후 컬량이 1.2mm로 높으면서 잔여물 없이 경화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제조예 2의 경우에도 역컬이 발생하고, 24시간 후 1.0mm의 컬량이 나타났으며, 잔여물 없이 경화가 완료되었다. 다만, 제조예 2의 경우 UV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아 제조예 1에 비해 컬량이 다소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으며, 발톱 표면에 도포시 열감이 다소 발생하였다.
제조예 3의 경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서 제조예 1에 사용한 화합물과 동일한 수준의 점도를 가지면서 관능기의 수가 적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한 것으로, 실험 결과 24시간 후 컬량이 제조예 1의 절반 수준인 0.6mm로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관능기 수가 높을수록 네일 팁이 벌어지는 속도와 컬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라디칼 개시제로서 장파장 개시제를 사용한 제조예 4 및 광개시제로서 양이온 개시제 없이 라디칼 개시제만을 사용한 제조예 5의 조성물은 경화시 수축되어 역컬이 아닌 정컬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내향성 손발톱을 오히려 악화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양이온 개시제가 없는 제조예 5의 경우에는 표면에 미경화 잔여물이 관찰되었다.
또한, 폴리티올을 배합에서 제외한 제조예 6의 경우, 제조예 1에 비해 컬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며, 높은 경화반응을 위하여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양이온 개시제의 함량을 증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표면에 미경화 잔여물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역컬의 컬량을 늘리고 경화성을 확보하여 교정 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폴리티올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에폭시 실록산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제조예 7을 사용한 경우 경화에 의해 수축이 발생하여 컬량이 매우 낮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양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상기 실험 결과에 따라, 실록산 수지로서 에폭시 실록산 수지를 사용하고,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서 관능기 수가 높은 화합물을 사용하며, 광개시제로서 양이온 개시제 및 단파장 라디칼 개시제를 혼합 사용하고, 폴리티올을 배합하는 경우, 경화시 역컬이 발생하여 네일팁 굴곡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서 컬량이 높고 경화가 잘 일어나, 우수한 교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내향성 발톱 교정 시험
2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상기 제조예 1의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을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톱에 도포하고 경화시킨 다음, 교정 효과를 관찰하였다.
도 1 및 2는 상기 실험 결과를 촬영한 사진으로, 두 피실험자 모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였을 때 발톱 양 단부의 굴곡이 완만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내향성 손발톱 조성물이 실제로 내향성 발톱의 교정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디스플레이용 광경화성 조성물과의 경화 특성 비교
비교예의 광경화성 조성물을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경화시킨 후 컬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네일 팁의 굴곡면에 고르게 역컬이 발생하지 않고, 경화물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높은 가교밀도가 요구되어 중합성 화합물의 배합량이 높은 디스플레이용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우 유연성이 낮아 내향성 손발톱과 같이 굴곡면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 산업에 적용되는 UV 램프가 아닌 UV 네일 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 높은 반응열이 발생하여, 내향성 손발톱에 적용 시 화상의 우려가 있었다.
반면, 상기 실험예 1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을 만족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의 경우 역컬이 발생하면서 컬량이 높고, 유연성이 우수하여 굴곡면에서도 역컬을 유지할 수 있으며, 표면 경화도가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는 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 디스플레이 등 전자기기 산업에 이용되는 광경화성 조성물과 달리 내향성 손발톱 교정에 최적화된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구현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현형태에 대해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에폭시 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실록산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광개시제 및 폴리티올을 포함하며,
    상기 광개시제가 양이온 개시제 및 300nm 이하에서 최대 흡수 피크를 갖는 단파장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록산 수지 1 내지 50중량%,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0 내지 50중량%, 광개시제 0.1 내지 15중량%, 폴리티올 2 내지 10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수지가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실록산 수지를 더 포함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3개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인,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중량비가 1:1 내지 3:1인,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개시제 및 라디칼 개시제의 중량비가 1:2 내지 1:50인,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자외선 흡수제, 레벨링제 및 중합 금지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KR1020210125885A 2021-09-23 2021-09-23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KR102384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85A KR102384577B1 (ko) 2021-09-23 2021-09-23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KR1020220042040A KR20230043029A (ko) 2021-09-23 2022-04-05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PCT/KR2022/014155 WO2023048474A1 (ko) 2021-09-23 2022-09-22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TW111135926A TWI826008B (zh) 2021-09-23 2022-09-22 嵌甲矯正用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85A KR102384577B1 (ko) 2021-09-23 2021-09-23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040A Division KR20230043029A (ko) 2021-09-23 2022-04-05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577B1 true KR102384577B1 (ko) 2022-04-08

Family

ID=811828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885A KR102384577B1 (ko) 2021-09-23 2021-09-23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KR1020220042040A KR20230043029A (ko) 2021-09-23 2022-04-05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040A KR20230043029A (ko) 2021-09-23 2022-04-05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384577B1 (ko)
TW (1) TWI826008B (ko)
WO (1) WO20230484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474A1 (ko) * 2021-09-23 2023-03-30 이미숙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682A (ko) * 2009-12-08 2012-09-19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손발톱 또는 인공 손발톱 피복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50023541A (ko) * 2012-06-04 2015-03-05 로레알 Uv-led로 라디칼 중합가능한 수지의 점착성 없는 표면 광경화를 위한 속 경화성 화장품 조성물
KR20150028995A (ko) * 2012-06-22 2015-03-17 마이콘 덴탈 서플라이 코., 인크. 방사선-경화성의 안정한 손발톱 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50083416A (ko) * 2014-01-09 2015-07-17 파칼리 엔터프라이즈 코., 엘티디. 저 감작성을 갖는 손톱래커 조성물
KR101646004B1 (ko) * 2015-10-15 2016-08-09 유한회사 베리카화장품 젤 폴리시 조성물
KR20160146690A (ko) * 2014-04-25 2016-12-21 가부시키가이샤 사쿠라 크레파스 광경화성 인공 손발톱 조성물
US20180092827A1 (en) * 2016-06-15 2018-04-05 Mycone Dental Supply Co., Inc. One part acrylic nail formulation with discontinuous phase
KR20190098956A (ko) * 2016-12-19 2019-08-23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손톱 또는 인공 손톱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210005044A (ko) * 2018-04-26 2021-01-13 페터 시브레르 손상된 케라틴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5959A (en) * 1996-08-16 1998-07-28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Nail strengthening compositions and a method for strengthening nails
KR101565692B1 (ko) 2014-04-21 2015-11-04 서영훈 내향성발톱 교정기
KR102021734B1 (ko) 2018-05-24 2019-09-16 김선희 내향성 발톱교정 및 이에 사용되는 발톱보호코팅제
EP3876034A1 (en) * 2020-03-04 2021-09-08 Arkema France 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a photoinitiator
KR102384577B1 (ko) * 2021-09-23 2022-04-08 이미숙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682A (ko) * 2009-12-08 2012-09-19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손발톱 또는 인공 손발톱 피복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50023541A (ko) * 2012-06-04 2015-03-05 로레알 Uv-led로 라디칼 중합가능한 수지의 점착성 없는 표면 광경화를 위한 속 경화성 화장품 조성물
KR20150028995A (ko) * 2012-06-22 2015-03-17 마이콘 덴탈 서플라이 코., 인크. 방사선-경화성의 안정한 손발톱 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50083416A (ko) * 2014-01-09 2015-07-17 파칼리 엔터프라이즈 코., 엘티디. 저 감작성을 갖는 손톱래커 조성물
KR20160146690A (ko) * 2014-04-25 2016-12-21 가부시키가이샤 사쿠라 크레파스 광경화성 인공 손발톱 조성물
KR101646004B1 (ko) * 2015-10-15 2016-08-09 유한회사 베리카화장품 젤 폴리시 조성물
US20170266102A1 (en) * 2015-10-15 2017-09-21 Valika Cosmetics Ltd. Gel polish composition
US20180092827A1 (en) * 2016-06-15 2018-04-05 Mycone Dental Supply Co., Inc. One part acrylic nail formulation with discontinuous phase
KR20190098956A (ko) * 2016-12-19 2019-08-23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손톱 또는 인공 손톱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210005044A (ko) * 2018-04-26 2021-01-13 페터 시브레르 손상된 케라틴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474A1 (ko) * 2021-09-23 2023-03-30 이미숙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6008B (zh) 2023-12-11
TW202313071A (zh) 2023-04-01
KR20230043029A (ko) 2023-03-30
WO2023048474A1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95256A1 (en) Photocurable Primer Composition And Coated Structure Comprising Cured Primer Composition
TWI495686B (zh) A stabilized polyene-polythiol-based hardening resin composition
KR102384577B1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 조성물
US20230037488A1 (en)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JP5907588B2 (ja) シルセスキオキサン化合物及びこれを含むコーティング組成物
US20170266102A1 (en) Gel polish composition
WO2018070438A1 (ja) 耐光性ハードコート材
JP5773131B2 (ja) チオール基含有シルセスキオキサンの製造方法ならびにチオール基含有シルセスキオキサンを含む硬化性樹脂組成物、当該硬化物、およびこれらから誘導される各種物品
JP2017159506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20170698A1 (ja) 含フッ素硬化性組成物及び物品
JP2015193820A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基板端部保護剤
JPH05156163A (ja) 紫外線硬化性珪素樹脂−有機メルカプタン組成物
US10383802B2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JP2017090761A (ja) 保護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134450A (ja) 光硬化性人工爪組成物
KR101403067B1 (ko) 자외선 경화성 코팅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 경도 코팅막
JP2017088560A (ja) 光硬化性人工爪組成物
JP7021628B2 (ja) 重合性官能基を有する有機ケイ素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む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US11078385B2 (en) Removable radiation-curable silicone composition and release sheet
JPH0433936A (ja) 被覆ポリカーボネ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TW202039608A (zh) 光硬化性聚矽氧樹脂組成物及由其硬化成的聚矽氧樹脂成形體以及該成形體的製造方法
TW202005999A (zh) 光硬化性組成物及其硬化物
JP2019167414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接着剤
WO2023085158A1 (ja) 光硬化性組成物
KR101488848B1 (ko)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uv 경화성피복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