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402B1 -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차확인방법 - Google Patents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차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402B1
KR102383402B1 KR1020200084671A KR20200084671A KR102383402B1 KR 102383402 B1 KR102383402 B1 KR 102383402B1 KR 1020200084671 A KR1020200084671 A KR 1020200084671A KR 20200084671 A KR20200084671 A KR 20200084671A KR 102383402 B1 KR102383402 B1 KR 102383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andby mode
confirmation
school vehic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6803A (ko
Inventor
진영일
Original Assignee
진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일 filed Critical 진영일
Priority to KR102020008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4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아동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중, 하차확인시스템은 차량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신호가 인가되면 발광하는 경광등과, 차량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신호가 인가되면 소리가 발생되는 스피커와, 차량 내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경광등과 스피커를 오프시키는 버튼으로 이루어진 하차확인장치; 차량의 뒷문 열림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뒷문 열림 감지부; 상기 하차확인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뒷문 열림 감지부에 의해 뒷문 열림이 감지되면, 뒷문의 닫힘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하차확인장치의 전원이 온(on)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차확인방법{Unloading confirmation system for school vehicles and unloading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차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탑승도어가 열리면 설정된 시간동안 대기모드가 실행되고, 이 대기모드가 실행되는 도중에 통학차량의 시동걸림이 확인되면 하차확인 경고유닛의 전원이 온되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하차확인시스템의 미비점을 보완한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차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통학차량 내에 아이들이 남겨진 채 통학차량의 운행을 종료함에 따라 남겨진 어린아이가 통학차량 내에서 질식사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특히, 무더운 여름에는 차량의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기 때문에 통학차량 내에 아이가 남겨질 경우 호흡곤란이나 질식사고의 위험도가 매우 높아진다. 이에 따라 도로교통법에서는 통학차량 내에 아이가 방치되어 있음을 운전자 및 동승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차확인장치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상기한 하차확인장치는 통학차량의 엔진정지 후, 3분 이내에 탑승실의 후방에 설치된 확인벨을 누르지 않으면 통학차량 내에 어린이가 남아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하차확인장치로부터 경고음 및 경고광이 작동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는 물론 주변의 사람들에게 알려줌으로써 아동잔류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안전장치이다.
상기한 종래의 하차확인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통학차량은 대부분이 12 내지 15인용 승합차를 사용하고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아동을 태우지 않고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현재 적용된 하차확인장치는 통학차량의 시동을 거는 순간 시동을 감지하여 전원이 온되므로, 통합차량 내에 아동이 타고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전원이 온되므로, 통학차량의 운행을 마친후에는 매번 운전자가 탑승실의 맨 끝까지 이동하여 확인벨을 눌러주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운전자들은 탑승실을 통해 확인벨을 누르지 않고, 리어도어를 열어서 간단하게 확인벨을 눌러서 하차확인장치를 오프시키는 편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만에 하나 탑승실에 아이가 타고 있다면 아동잔류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730823호 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201757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탑승차량의 탑승도어가 열리면 설정된 시간동안 대기모드가 실행되고, 이 대기모드가 실행되는 도중에 통학차량의 시동걸림이 확인되면 하차확인 경고유닛의 전원이 온되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차확인시스템을 이용하는 하차확인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통학차량에 설치되어 탑승도어열림 및 시동걸림의 2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전원이 온되고 시동이 꺼진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작동되는 하차확인 경고유닛,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이 작동되었을 때 이를 정지시키기 위한 확인벨을 포함하는 하차확인장치; 상기 통학차량의 탑승도어열림을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 상기 통학차량의 시동걸림을 감지하는 시동걸림감지부; 및 상기 도어열림감지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수신되면 설정시간동안 대기모드가 실행되도록 하고, 대기모드 실행도중 상기 시동걸림감지부로부터 시동걸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의 전원을 온시켜주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열림감지부 및 시동걸림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신호수신부로 도어열림신호가 수신된 경우, 대기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대기모드 실행부; 및 상기 대기모드 실행부에 의해 대기모드가 실행되는 도중, 상기 신호수신부로 시동걸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으로 전원이 온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대기모드 실행부의 대기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대기시간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을 이용하는 하차확인방법으로, 통학차량의 탑승도어 열림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도어 열림감지단계; 상기 탑승도어의 열림이 감지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대기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대기모드 실행단계; 상기 대기모드 실행 중에 통학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하차확인 경고유닛의 전원이 온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운행종료로 시동이 꺼진 후, 확인벨을 누르면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이 일정시간동안 대기모드 상태가 되고, 상기 대기모드 중에 통학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의 전원이 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학차량의 탑승도어가 열린 후, 일정시간 동안 대기모드가 실행되고, 대기모드 내에 통학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탑승자가 탔건 타지 않았건 하차확인 경고유닛의 전원이 온 되어 작동대기 상태가 되므로 설사 운전자가 아동이 탑승한 상태인지를 인지하지 못한 경우라 하더라도 아동잔류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반면, 탑승도어가 열리고 시동을 걸지 않았은 경우, 탑승도어가 열리지 않고 시동을 건 경우에는 하차확인 경고유닛이 작동되지 않으므로 시동을 걸면 다른 조건 없이 하차확인 경고유닛의 전원이 무조건 온 되었던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운전자의 관리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의 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의 제어부에 대한 세부 구성도
본 발명은 아동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대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하는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차확인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의 제어부에 대한 세부 구성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은, 하차확인장치(100), 도어열림감지부(200), 시동걸림감지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차확인장치(100)는 통학차량(1)에 설치되어 탑승도어열림 및 시동걸림의 2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전원이 온되고 시동이 꺼진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작동되는 하차확인 경고유닛(110)과,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이 작동되었을 때 이를 정지시키기 위한 확인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은 통학차량(1) 내/외부에 설치되어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발광하는 경광등(111)과, 통학차량의 내/외부에 설치되어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경고음이 발생되는 스피커(1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은 일정 시간 이내에 확인벨(120)을 누르게 되면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의 전원이 오프되고, 반대로 일정시간 내에 확인벨(120)을 누르지 않으면 작동되어 운전자 및 주변사람들에게 경보(경고등, 경고음)를 발생하게 된다.
도어열림감지부(200)는 상기 통학차량(1)의 탑승도어(2) 열림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어열림감지부(200)는 탑승도어(2)가 한 번이라도 열리면 아이가 탑승한 것으로 간주하기 위하여 도어열림을 감지하는 것이고, 이 도어열림조건은 향후 통학차량(1)의 시동이 걸리는 조건이 더해지면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에 전원이 온 되게 하는 일 조건이 된다.
시동걸림감지부(300)는 상기 통학차량(1)의 시동걸림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시동걸림감지부(300)는 상기 도어열림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400)에서 수신되면 1차 조건이 만족되고, 이 1차 조건이 만족된 상태에서 설정시간동안 대기모드가 실행된다.
상기 대기모드는 탑승도어(2)가 열렸다고 해서 무조건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에 전원이 온되는 것은 불합리할 수 있으므로 대기모드를 두어서 대기모드 실행중에 시동걸림이 감지되면 비로소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의 전원이 온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탑승도어(2)는 아이가 탑승하지 않더라도 다른 이유에 의해 열 수도 있는 것이므로 이 하나의 조건만으로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의 전원을 온한다는 것은 자칫 운전자에게 불필요한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앞서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동이 걸렸다는 2번 째 조건이 합쳐졌을 때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의 전원이 온되도록 하였다.
제어부(400)는 상기 도어열림감지부(200)로부터 열림신호가 수신되면 설정시간동안 대기모드가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대기모드 실행도중 상기 시동걸림감지부(300)로부터 시동걸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의 전원을 온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400)는 구체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열림감지부(200) 및 시동걸림감지부(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410)와, 상기 신호수신부로 도어열림신호가 수신된 경우 대기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대기모드 실행부(420)와, 상기 대기모드 실행부에 의해 대기모드가 실행되는 도중 상기 신호수신부(410)로 시동걸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으로 전원이 온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대기모드 실행부(420)의 대기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대기시간 설정부(4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기사간 설정부(421)는 사용자가 20 ~ 30분 범위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한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을 이용하는 하차확인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1 단계, 탑승도어 열림 여부 감지단계
즉, 1 단계는, 상기 도어열림감지부(200)에 의해 통학차량(1)의 탑승도어(2)가 열렸는지를 감지하는 단계로서, 앞서 설명하였듯이, 탑승도어(2)의 열림여부는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의 전원을 온하기 위한 첫번째 조건이 된다. 즉, 탑승도어(2)가 열렸다면 누군가가 탑승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의미다.
2 단계, 대기모드 실행단계
즉, 2 단계는, 탑승도어(2)의 열림이 감지되면 설정된 시간(20~30분) 동안 대기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앞서 설명하였듯이, 대기모드는 탑승도어(2)가 열렸다고 해서 무조건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에 전원이 온되는 것은 운전자에게 불필요한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대기모드 실행중에 시동이 걸리는 조건이 더해진 경우에 한하여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의 전원이 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탑승도어(2)가 열리는 제1 조건을 만족한다 하더라도 통학차량(1)의 시동이 걸리지 않았다면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의 전원이 온되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확인벨(120)을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탑승도어(2)가 열렸다 하더라도 통학차량(1)의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즉 2번 째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아이들이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예컨대, 운전자 또는 기타 통학차량 관리자가 탑승도어(2)를 열었을 경우 실제로는 아이들이 탑승하지 않은 경우이고, 이 경우에는 통학차량(1)을 운행하지도 않을 것이므로 아동잔류사고의 원인이 되지 않는 것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3 단계, 하차확인 경고유닛의 온단계
즉, 3 단계는 상기 대기모드 실행 중에 통학차량(1)의 시동이 걸리면 상기 도어열림감지부(20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에 전원이 온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반대로, 대기모드 실행 중에 통학차량(1)의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앞서 설명하였득이 통학차량(1) 내부에 아이들이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의 전원을 온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아이가 탑승하지 않았음에도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의 전원이 온되어 운전자에게 사후처리에 대한 불필요한 부담을 지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단계로, 운행종료단계
즉, 4 단계는, 차량의 운행이 종료되어 시동이 꺼진 후, 확인벨(120)의 누름신호가 제어부(400)로 전송되면, 제어부는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을 설정된 시간동안 대기모드가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대기모드 실행중에 시동 걸림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도어열림감지부(20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하며, 제어부는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이 온되도록 제어한다.
상황예를 들어 부연 설명하면, 아이들이 탑승한 통학차량(1)을 운행하는 도중에 주유를 위하여 주유소에 들른 경우, 주유중에는 통학차량의 시동을 잠시 꺼놔야 하고, 주유가 완료되면 다시 시동을 켜게 된다.
이때, 통학차량(1)의 시동을 끄고, 확인벨(120)을 누르면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이 오프될 것이고, 주유가 완료되어 시동을 걸더라도 통학차량(1)의 탑승도어(2)를 열지 않았다면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운행종료후에도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은 계속해서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아이잔료사고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통학차량(1)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설정시간동안 대기모드가 실행되도록 하고, 이 대기모드 실행 중에 시동이 걸릴 경우 탑승도어(2)의 열림여부와 관계없이 하차확인 경고유닛(110)의 전원이 자동으로 온 됨에 따라 아이잔료사고의 우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0 : 하차확인장치 110 : 하차확인 경고유닛
120 : 확인벨 200 : 도어열림감지부
300 : 시동걸림감지부 400 : 제어부
410 : 신호수신부 420 : 대기모드 실행부
430 : 전원공급부

Claims (4)

  1. 통학차량에 설치되어 탑승도어열림 및 시동걸림의 2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전원이 온되고 시동이 꺼진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작동되는 하차확인 경고유닛,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이 작동되었을 때 이를 정지시키기 위한 확인벨을 포함하는 하차확인장치;
    상기 통학차량의 탑승도어열림을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
    상기 통학차량의 시동걸림을 감지하는 시동걸림감지부; 및
    상기 도어열림감지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수신되면 설정시간동안 대기모드가 실행되도록 하고, 대기모드 실행도중 상기 시동걸림감지부로부터 시동걸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의 전원을 온시켜주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열림감지부 및 시동걸림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신호수신부로 도어열림신호가 수신된 경우, 대기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대기모드 실행부; 및
    상기 대기모드 실행부에 의해 대기모드가 실행되는 도중, 상기 신호수신부로 시동걸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으로 전원이 온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모드 실행부의 대기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대기시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을 이용하는 하차확인방법으로,
    통학차량의 탑승도어 열림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도어 열림감지단계;
    상기 탑승도어의 열림이 감지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대기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대기모드 실행단계;
    상기 대기모드 실행 중에 통학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하차확인 경고유닛의 전원이 온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학차량의 운행종료로 시동이 꺼진 후, 확인벨을 누르면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이 일정시간동안 대기모드 상태가 되고, 상기 대기모드 중에 통학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하차확인 경고유닛의 전원이 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KR1020200084671A 2020-07-09 2020-07-09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차확인방법 KR10238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671A KR102383402B1 (ko) 2020-07-09 2020-07-09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차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671A KR102383402B1 (ko) 2020-07-09 2020-07-09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차확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803A KR20220006803A (ko) 2022-01-18
KR102383402B1 true KR102383402B1 (ko) 2022-04-06

Family

ID=8005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671A KR102383402B1 (ko) 2020-07-09 2020-07-09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차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4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631B1 (ko) 2017-04-27 2017-07-17 정준영 차량 내 갇힘 방지 경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823B1 (ko) 2016-08-19 2017-04-27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차량 내 잔류 인원 확인 장치
KR101931371B1 (ko) * 2017-03-20 2018-12-20 주식회사 로비텍 차량 내 승객 미하차 방지 시스템
KR102017570B1 (ko) 2018-01-25 2019-09-05 나래아이시티 주식회사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195926B1 (ko) * 2018-11-09 2021-01-12 박현근 통학차량의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
KR102151196B1 (ko) * 2018-12-28 2020-09-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광센서를 이용한 차량내 승객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631B1 (ko) 2017-04-27 2017-07-17 정준영 차량 내 갇힘 방지 경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803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9941B2 (ja) 遠隔操作制御装置および遠隔操作制御方法
JP4556776B2 (ja) 車載制御装置
JP6061085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US10343553B2 (en) Detecting and signalling the presence of a passenger involuntarily left unattended in a motor vehicle
KR20060103222A (ko)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US10311693B1 (en)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83402B1 (ko)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차확인방법
US10013827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opening/closing body
KR20200053851A (ko) 통학차량의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
JP2007112364A (ja) 車載電源システム
JP2009262856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06316434A (ja) 遠隔操作装置
JP5083412B2 (ja) 車両用制御装置及び方法
CN114643941A (zh) 车辆上下电控制方法、装置及车辆
CN113370925A (zh) 下车辅助装置
KR20050002117A (ko) 자동차의 질식사 방지장치
JP2009074325A (ja) パワーウィンドウ装置
JP2005193761A (ja) 鉄道車両用ドア開閉制御装置
KR102651873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83648A (ja) 車両の施錠装置
JP2008168833A (ja) 装着後の車輌盗難防止器により車輌のその他の設備を操作制御する方法と装置
KR200488674Y1 (ko) 차량 갇힘 사고 방지 장치
CN207257572U (zh) 一种aps安全智能预警处理系统
KR20200107297A (ko) 차량 내부의 아이 확인 시스템
CN116714539A (zh) 车辆自动下电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