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429B1 -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429B1
KR102381429B1 KR1020200101642A KR20200101642A KR102381429B1 KR 102381429 B1 KR102381429 B1 KR 102381429B1 KR 1020200101642 A KR1020200101642 A KR 1020200101642A KR 20200101642 A KR20200101642 A KR 20200101642A KR 102381429 B1 KR102381429 B1 KR 10238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thermoplastic polyester
cole
specimen
elastom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944A (ko
Inventor
유진
이현정
이병준
권영록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20010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4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Plastics; Rubber; Leather
    • G01N33/442Resins; Pla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사출 성형 시편에 대하여 측정된 특정 물성 값들을 평가 기준으로 사용함으로써, 고가의 블로우 몰딩 장비가 필요한 블로우 몰딩 시편에 대한 장기간 및 고비용의 테스트 없이도 간단하고 손쉽게 해당 수지의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고, 중간 공급자(tier) 또는 최종 사용자(end user) 테스트에서의 합격/불합격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 평가 방법{Method for evaluating durability of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for blow molding}
본 발명은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사출 성형 시편에 대하여 측정된 특정 물성 값들을 평가 기준으로 사용함으로써, 고가의 블로우 몰딩 장비가 필요한 블로우 몰딩 시편에 대한 장기간 및 고비용의 테스트 없이도 간단하고 손쉽게 해당 수지의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고, 중간 공급자(tier) 또는 최종 사용자(end user) 테스트에서의 합격/불합격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수지는 우수한 내열성, 내화학성, 내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기전자, 자동차 등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등속조인트 부츠, 에어덕트, 더스트커버, 벨로우즈 등 블로우 몰딩법으로 성형하는 부품에 있어서 기존 소재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예컨대, 자동차 부품 제조를 위한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경우, 중간 공급자(tier) 또는 최종 사용자(end user)(즉, 완성차 업체)에서는 ES(Engineering Specification) 테스트를 통하여 내구성을 평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ES 테스트 방법은, 예컨대, 다음과 같다: 먼저 블로우 성형기를 이용해 블로잉 제품을 성형한 다음, 성형품을 실차와 동일한 드라이브 샤프트에 장착하고, 장착된 제품을 온도조절이 가능한 챔버 안에 위치시킨다. 그 후, 상기 챔버 안에 지정된 그리스를 일정 중량 채운 다음, 크랭크축의 움직임에 따라 꺽임각이 최대 45도까지 발생할 수 있도록 제품을 거치시키고, 미리 정해진 챔버의 온도 및 싸이클(예컨대, 최저 -40℃최고 120℃)로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최대 240시간)동안 제품을 작동시킨 후, 시험종료 후에 크랙이나 그리스 누유가 없는 제품을 내구성 테스트 통과 제품으로 본다.
상기와 같은 ES 테스트는 시편의 제조를 위하여 고가의 블로우 성형기를 필요로 하고, 또한 그 테스트는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2주 이상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공급하는 대부분의 소재 업체는 고가의 블로우 성형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시편의 성형조차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내구성 평가를 위해서는 고온 오븐에서 에이징한 시편의 인장강도, 신율 등의 물성 저하율을 측정하는 등 열적 노화에 기인한 물성 저하만 측정하는 데에 그치고 있으며, 이러한 평가에는 직접적인 회전이나 꺽임 등의 역학, 고분자 구조에 기인한 유변학적 특성이 전혀 반영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소재 업체는 자신들이 공급하는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이 ES 테스트를 통과할지 여부를 예측할 수 없으며, 중간 공급자 또는 최종 사용자를 통하지 않으면 그 내구성을 미리 테스트해 보기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로우 몰딩 시편을 사용하지 않고도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고, 중간 공급자 또는 최종 사용자의 ES 테스트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지의 사출 성형 시편으로부터 얻어진 평균 위상각(phase angle) 및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creep modulus)를 평가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의 사출 성형 시편으로부터 얻어진 Cole-Cole 플롯(plot)의 형태가 추가의 평가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가의 블로우 몰딩 장비가 없는 경우에도 사출 성형 시편을 사용하여 간단하고 손쉽게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고, 블로우 몰딩 시편을 사용한 ES 테스트에서의 합격/불합격 여부를 높은 신뢰도로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소재 업체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되는 ES 테스트를 직접 진행하지 않고도 최종 사용자(end user)가 원하는 규격에 맞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시편들에 대하여 얻어진 평균 위상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점탄성 물질에 있어서 위상각(δ)과 탄성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위상각이 작을수록 탄성에 가까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시편들에 대하여 얻어진 크리프 모듈러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시편들에 대하여 얻어진 Cole-Cole 플롯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Cole-Cole 플롯의 두 가지 형태인 호형(arc shape) 및 발산형(divergence shape)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호형이 고전단 영역(High shear)으로 갈수록 점탄성 손실이 적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평가 방법에서는, 평가 대상인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수지의 사출 성형 시편으로부터 얻어진 평균 위상각(phase angle) 및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creep modulus)를 평가 기준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평가 가능한 TPEE 수지는 경질의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와 연질의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를 갖는 열가소성 블록 공중합체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하드 세그먼트는 방향족 디카르복실 화합물 및 디올로부터 유래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로부터 유래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 화합물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방향족 디카르복실레이트(aromatic dicarboxylate)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1,5-디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1,5-dinaphthalenedicarboxylic acid, 1,5-NDCA), 2,6-디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2,6-dinaphthalenedicarboxylic acid, 2,6-NDCA),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된다.
상기 디올로는 고리형 지방족 디올 또는 탄소수 2 내지 8의 선형 지방족 디올이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4-부탄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리형 지방족 디올은 탄소수 3 내지 1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로는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polyoxyalkylene glycol)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polyoxyethylene glycol),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polyoxypropylene glycol),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polyoxytetramethylene glycol, PTMEG)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이 사용된다.
또한, 베이스 수지의 반응 사이트 증가를 위해, TPEE의 제조에는 분지제(branching agent)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지제로는 글리세롤(glycerol), 펜타에리스리톨(pentaerythrit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glycol)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이 사용된다. 또한, TPEE의 제조는 적절한 촉매(예컨대, 테트라-n-부톡시 티타늄(tetra-n-butoxy titanium, TBT)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평가 가능한 TPEE는, 상기한 성분들을 반응기에 투입한 뒤, 올리고머화 반응과 중축합 반응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 용융 중합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올리고머화 반응은 140~215℃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며, 중축합 반응은 210~250℃에서 2~4시간 동안 760 torr에서 0.3 torr까지 단계적으로 감압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여 분지형 엘라스토머를 제조한다.
상기 TPEE 100 중량% 내의 소프트 세그먼트 함량은 다양할 수 있고, 예컨대, 5~75중량% 또는 30~70중량%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사출 성형 시편은 제습 건조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습 건조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수분 함량은 200 ppm 이하일 수 있으며, 이는, 예컨대, 100℃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4시간 이상 건조하여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출 성형 시편은 사출후 안정화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사출 성형 시편은 사출후 최소 72시간의 안정화 시간을 거친 것일 수 있다.
상기 평균 위상각(phase angle)은, 평가 대상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사출 성형 시편을 레오미터로 주파수 스윕(Frequency sweep)하여 얻어진 저장탄성과 손실탄성의 교차점(Tan δ(delta)=1)에서 시험종료까지의 범위에서의 위상각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평균 위상각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먼저, 평가 대상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시편을 동적 기계적 분석이 가능한 레오미터에 장착한다. 이 후, 230℃, 3% strain, 0.01~500 rad/s, 4 decade point 조건으로 주파수 스윕하여 얻어진 원 데이터(raw data) 중 100~500 rad/s 범위 안에서 저장탄성과 손실탄성의 교차점부터 시험종료까지의 위상각들의 평균값을 구하여 이를 평균 위상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평균 위상각이 42.5° 이하인 경우, 평가 대상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가 내구성 평가 기준을 통과한 것(즉, 블로우 몰딩용으로서 요구되는 내구성을 갖춘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평균 위상각이 42° 이하, 41.5° 이하 또는 41° 이하인 경우, 내구성 평가 기준을 통과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creep modulus)는, 평가 대상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ASTM D638에 따라 제조된 규격의 인장시험용 사출 시편에 대하여 크리프 시험을 행한 결과 얻어진 신율변화율을 인가압력으로 나누어 구한 크리프 모듈러스(creep modulus)의 시험 종료시 최종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먼저, 평가 대상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ASTM D638 규격의 인장시편으로 사출하고, 시편을 크리프 시험기에 장착한 후, 150℃의 챔버 내에서 1.4MPa의 압력을 인가하여 100 시간동안 크리프 시험을 실시하고, 시험결과 얻어진 신율변화율을 압력으로 나누어 구한 크리프 모듈러스의 시험 종료시 최종값을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로 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동일 수지로부터 제조된 여러 개(예컨대, 5개)의 시편에 대하여 얻어진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들의 평균값을 해당 수지의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가 8 psi 이상인 경우, 평가 대상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가 내구성 평가 기준을 통과한 것(즉, 블로우 몰딩용으로서 요구되는 내구성을 갖춘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가 9 psi 이상, 10 psi 이상 또는 11 psi 이상인 경우, 내구성 평가 기준을 통과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의 상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15 psi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평균 위상각 및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 이외에, 평가 대상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사출 성형 시편으로부터 얻어진 Cole-Cole 플롯(plot)의 형태가 추가의 평가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Cole-Cole 플롯은, 평가 대상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사출 성형 시편을 레오미터로 주파수 스윕(Frequency sweep)하여 얻어진 저장 탄성율(G”)과 손실 탄성율(G')을 각각 각속도(ω)로 나누어 얻어진 η'(eta') 및 η”(eta”)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하여 대수스케일로 플로팅한 것이다(하기 식 및 도 4 참조).
Figure 112020085230262-pat00001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Cole-Cole 플롯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먼저, 평가 대상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시편을 동적 기계적 분석이 가능한 레오미터에 장착한다. 이 후, 230℃, 3% strain, 0.01~500 rad/s, 4 decade point 조건으로 주파수 스윕하여 얻어진 저장 탄성율(G”)과 손실 탄성율(G')을 각각 각속도(ω)로 나누어 얻어진 η' 및 η”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하여 대수스케일로 플로팅한다.
Cole-Cole 플롯의 형태는 호형(arc shape)과 발산형(divergence shape)으로 구분되는데(도 5 참조), 호형 플롯이 발산형 플롯보다 손실탄성 저하 대비 저장탄성 저하율이 적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shear 증가시 호형 플롯이 발산형 플롯보다 점탄성 손실이 적음을 의미하고, 이는 해당 시편의 내구성이 보다 우수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Cole-Cole 플롯이 호형(부분적으로 호의 형태를 나타내는 준호형(semi-arc shape)을 포함한다)인 경우, 평가 대상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가 내구성 평가 기준을 통과한 것(즉, 블로우 몰딩용으로서 요구되는 내구성을 갖춘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들을 수분 함량 200 ppm 이하로 건조시킨 후 사출 성형하고 최소 72시간동안 안정화시킨 시편에 대하여, 평균 위상각,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 및 Cole-Cole 플롯을 각각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하였다.
- 시편 1: 블로우 몰딩 제품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RIEL 5406BS BK, 반응성 첨가제 함량: 0.7 wt.%)
- 시편 2: 블로우 몰딩 제품용 TRIEL 5406BS BK-sample A(TRIEL 5406BS BK 조성 대비 반응성 첨가제를 0.2 wt.% 증량한 샘플)
- 시편 3: 블로우 몰딩 제품용 TRIEL 5406BS BK-sample B(TRIEL 5406BS BK 조성 대비 반응성 첨가제를 0.2 wt.% 감량한 샘플)
- 시편 4: DuPont사의 Hytrel HTR8341C
1. 평균 위상각(average phase angle)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2mm 두께를 갖는 지름 25mm 디스크 형상을 가진 시편으로 사출하여 레오미터(TA instruments 사의 ARES-G2)에 장착하고, 230℃, 3% strain, 0.01~500 rad/s, 4 decade point 조건으로 주파수 스윕(Frequency sweep)하였다. 얻어진 원 데이터(raw data) 중 100~500 rad/s 범위 안에서 저장탄성과 손실탄성의 교차점부터 시험종료까지의 위상각들의 평균값을 구하여 이를 평균 위상각으로 하였다. 시편별로 구해진 평균 위상각을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2.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final creep modulus)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ASTM D638 규격의 인장시편으로 사출하고, 시편을 크리프 시험기(Toyoseiki 사의 NO. 145-B-PC)에 장착한 후, 150℃의 챔버 내에서 1.4MPa의 압력을 인가하여 100 시간동안 ASTM D638에 따라 크리프 시험(Creep test)을 실시하였다. 5개의 시편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 얻어진 신율변화율을 압력으로 나누어 구한 크리프 모듈러스의 시험 종료시 최종값의 평균을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로 하였다. 시편별로 구해진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각 시편들에 대하여 얻어진 크리프 모듈러스를 도 3에 나타내었다.
3. Cole-Cole 플롯(Cole-Cole plot)
Cole-Cole 플롯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플로팅하였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2mm 두께를 갖는 지름 25mm 디스크 형상을 가진 시편으로 사출하여 레오미터(TA instruments 사의 ARES-G2)에 장착하고, 230℃, 3% strain, 0.01~500 rad/s, 4 decade point 조건으로 주파수 스윕(Frequency sweep)하여, 주파수 변화에 따른 저장 탄성율 및 손실 탄성율을 수득하였다. 그 후, 얻어진 저장 탄성율(G”)과 손실 탄성율(G')을 각각 각속도(ω)로 나누어 얻어진 η'(eta') 및 η”(eta”)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하여 대수스케일로 플로팅하였다. 각 시편들에 대하여 얻어진 Cole-Cole 플롯을 도 4에 나타내었다.
4. ES 테스트
상기 시편 1 내지 4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에 대하여 완성차 업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ES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ES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블로우 성형기(Ossberger사DSE)를 이용해 각각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블로잉 제품으로 성형한 다음, 성형품을 실차와 동일한 드라이브 샤프트에 장착하였다. 장착된 제품을 온도조절이 가능한 챔버 안에 위치시킨 후, 상기 챔버 안에 입고전 완성차 업체에서 지정한 그리스를 일정 중량 채운 다음, 크랭크축의 움직임에 따라 꺽임각이 최대 45도까지 발생할 수 있도록 제품을 거치시키고, 완성차 업체에서 지정한 챔버의 온도 및 싸이클(최저 -40℃최고 120℃)로 미리 정해진 시간(최대 240시간)동안 제품을 작동시킨 후, 시험종료 후에 크랙이나 그리스 누유가 없는 제품을 내구성 테스트 통과로 판정하였다. 시편별 총 6회의 테스트를 실시하여, 4회 이상 통과할 경우, 합격 제품으로 하였다.
[표 1]
Figure 112020085230262-pat00002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특정 수준 이하의 평균 위상각 및 특정 수준 이상의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추가로, 호형 또는 준호형의 Cole-Cole 플롯 그래프 형태)를 만족시키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가 ES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내구성이 우수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2.5° 이하의 평균 위상각 및 8 psi 이상의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추가로, 호형 또는 준호형의 Cole-Cole 플롯 그래프 형태)를 합격 판정의 기준으로 정할 경우, 완성차 업체의 현행 ES 테스트를 직접 진행하지 않고도 그 결과를 “합격”으로 예측할 수 있다.

Claims (10)

  1.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지의 사출 성형 시편으로부터 얻어진 평균 위상각,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 및 Cole-Cole 플롯의 형태를 평가 기준으로 사용하되,
    상기 평균 위상각이 42.5° 이하이고, 상기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가 8 내지 15 psi이며, 상기 Cole-Cole 플롯의 형태가 호형이면,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가 내구성 평가 기준을 통과한 것으로 판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 시편은 수분 함량 200 ppm 이하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 시편은 사출후 안정화된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위상각은, 상기 사출 성형 시편을 레오미터로 주파수 스윕하여 얻어진 저장탄성과 손실탄성의 교차점에서 시험종료까지의 범위에서의 위상각의 평균값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크리프 모듈러스는, ASTM D638에 따라 제조된 규격의 사출 시편에 대하여 크리프 시험을 행한 결과 얻어진 신율변화율을 압력으로 나누어 구한 크리프 모듈러스의 시험 종료시 최종값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le-Cole 플롯은, 상기 사출 성형 시편을 레오미터로 주파수 스윕하여 얻어진 저장 탄성율(G”)과 손실 탄성율(G')을 각각 각속도(ω)로 나누어 얻어진 η'(eta') 및 η”(eta”)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하여 대수스케일로 플로팅한 것인,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01642A 2020-08-13 2020-08-13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 평가 방법 KR10238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642A KR102381429B1 (ko) 2020-08-13 2020-08-13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642A KR102381429B1 (ko) 2020-08-13 2020-08-13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944A KR20220021944A (ko) 2022-02-23
KR102381429B1 true KR102381429B1 (ko) 2022-04-01

Family

ID=8049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642A KR102381429B1 (ko) 2020-08-13 2020-08-13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42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313A (ja) 2000-03-16 2001-09-26 Osaka Gas Co Ltd 樹脂管評価方法
JP2006250811A (ja) 2005-03-11 2006-09-21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と樹脂との複合材料の評価方法
KR100655973B1 (ko) * 2005-10-28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활석 함유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의 스크랩 함유량의유변물성을 이용한 측정방법
JP2007024693A (ja) 2005-07-15 2007-02-01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高分子材料の耐久性評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0510406A (ja) 2006-11-22 2010-04-02 ヘクセル コーポレイション 強度及び弾性率の向上した炭素繊維と、これらを調製するための関連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756831B1 (ko) 2016-03-03 2017-07-12 주식회사 이지컴퍼지트 토우 프리프레그 물성평가 시험용 시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9144125A (ja) 2018-02-21 2019-08-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ナノコンポジットの耐久性能を評価する方法
JP2020046293A (ja) 2018-09-19 2020-03-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の劣化度評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4017476B1 (pt) * 2012-01-18 2021-03-30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Copolímero em bloco, composições elastomérica, asfáltica e adesiva, pneu de veículo, métodos para preparar um polímero ou copolímero em bloco termoplástico, e polímero termoplástico
KR102097132B1 (ko) * 2016-11-24 2020-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에틸렌 수지의 물성 평가 방법
KR102184390B1 (ko) * 2017-09-29 2020-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313A (ja) 2000-03-16 2001-09-26 Osaka Gas Co Ltd 樹脂管評価方法
JP2006250811A (ja) 2005-03-11 2006-09-21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と樹脂との複合材料の評価方法
JP2007024693A (ja) 2005-07-15 2007-02-01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高分子材料の耐久性評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655973B1 (ko) * 2005-10-28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활석 함유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의 스크랩 함유량의유변물성을 이용한 측정방법
JP2010510406A (ja) 2006-11-22 2010-04-02 ヘクセル コーポレイション 強度及び弾性率の向上した炭素繊維と、これらを調製するための関連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756831B1 (ko) 2016-03-03 2017-07-12 주식회사 이지컴퍼지트 토우 프리프레그 물성평가 시험용 시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9144125A (ja) 2018-02-21 2019-08-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ナノコンポジットの耐久性能を評価する方法
JP2020046293A (ja) 2018-09-19 2020-03-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の劣化度評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944A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ckley et al. Elasticity and inelasticity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Sensitivity to chemical and physical structure
JP5786256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成形品
JP6115038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CN110366578B (zh) 模具污染性得到改善的聚酯弹性体树脂组合物
CN107257814B (zh) 可生物降解的共聚酯组合物
EP3415564B1 (en)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grease resistance
KR20170020134A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Li et al. Lignin valorization by forming thermally stimulated shape memory copolymeric elastomers—partially crystalline hyperbranched polymer as crosslinks
KR20070122528A (ko)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그의 조성물
KR102381429B1 (ko)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 평가 방법
CN113461921A (zh) 低熔点热塑性聚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Diaz et al. Effect of hydrolytic degrada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y of a thermoplastic polyether ester elastomer
Hofmann et al.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partially biobased thermoset polyester using renewable building blocks from isosorbide, 1, 3‐propanediol, and fumaric acid
Abbas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environmentally friendly shape memory polyurethanes based on poly (epsilon-caprolactone) diol/castor oil mixtures
KR102289472B1 (ko) 무수당 알코올 유도체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512431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樹脂
Panwiriyarat et al. Elaboration and properties of renewable polyurethanes based on natural rubber and biodegradable poly (butylene succinate) soft segments
Lee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polyetherester elastomers using chain extender
Chen et al. Poly (trimethylene terephthalate)/Poly (butylenes succinate) blend: Phase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y control using its transesterification system as the compatibilizer
JP5772445B2 (ja) 無機強化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CN105189645B (zh) 酯系树脂组合物、该酯系树脂组合物的制备方法以及使用了该酯系树脂的成型品
KR102247363B1 (ko) 그리스 내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KR100795169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KR20220035777A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47491B1 (ko)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