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399B1 - 가스용 프레스 불판 및 이를 갖는 트윈 로스터 - Google Patents

가스용 프레스 불판 및 이를 갖는 트윈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399B1
KR102381399B1 KR1020200107372A KR20200107372A KR102381399B1 KR 102381399 B1 KR102381399 B1 KR 102381399B1 KR 1020200107372 A KR1020200107372 A KR 1020200107372A KR 20200107372 A KR20200107372 A KR 20200107372A KR 102381399 B1 KR102381399 B1 KR 102381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ing
grilling plate
burner
plate
ro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410A (ko
Inventor
남미화
Original Assignee
남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미화 filed Critical 남미화
Priority to KR1020200107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3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윈 로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윈 로스터는 테이블에 설치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용 화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버너와 제2버너;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버너와 상기 제2버너의 화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점화 조절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제1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제1구이판과, 상기 제2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제2구이판을 포함하는 구이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2구이판은 구이면이 상기 제1구이판의 구이면과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1구이판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용 프레스 불판 및 이를 갖는 트윈 로스터{Press grill for gas and Two-win roas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가스용 프레스 불판 및 이를 갖는 트윈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음식점에서 사용하고 있는 로스터는 제공되는 메뉴에 한정하여 구이 또는 해물탕이나 전골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대중음식점에서 선택된 메뉴에 맞게 전골 또는 구이용 로스터를 구비하여 손님에게 한가지 방법으로 조리된 음식을 제공하는데 테이블 중앙 내부에 원형이나 사각형태의 로스터를 설치하여 손님들이 즉석에서 육류를 구워먹거나 아니면 해물탕이나 전골 등을 조리하여 먹을 때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 음식점에서 테이블에 로스터를 구비할 때 손님들에게 제공하는 주메뉴에 따라 로스터를 선택하여 설치하는데, 각종 육류나 해산물 등을 구워먹는 식당에서는 로스터를 테이블 내에 설치 열원을 숯불, 가스를 이용하여 먹으며, 해물탕이나 전골 등 국물 있는 음식을 주메뉴로 하는 식당에서 이동이 간편한 휴대용 가스버너를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전골냄비를 가열하여 먹는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대중음식점에서 많이 사용하는 로스터는 구이용으로 사용할때에는 버너 위에 구이판을 올려놓고, 전골 요리를 할때에는 구이판 대신에 삼발이를 올려놓고 사용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중음식점을 찾는 손님들의 취향도 다양해지면서 단순히 조리된 음식물을 제공하는 것 보다는 다양한 조리방법으로 다른 음식점들과 차별화를 가져와 치열한 경쟁속에서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는 현실이다.
또한, 대중음식점에서는 종래의 로스터에 의한 한정된 조리방법을 통해 취향이 각기 다른 손님들의 구미에 맞게 조리 방법의 선택 폭을 넓게 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어 다른 음식점과 차별화를 갖지 못하여 영업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같은 테이블에 착선한 손님들의 취향에 맞게 구이와 전골 요리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트윈 로스터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빠른 시간에 육류를 익힐 수 있는 트윈 로스터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척이 용이한 구이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버너의 착화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트윈 로스터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테이블에 설치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용 화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버너와 제2버너;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버너와 상기 제2버너의 화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점화 조절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제1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제1구이판과, 상기 제2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제2구이판을 포함하는 구이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2구이판은 구이면이 상기 제1구이판의 구이면과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1구이판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회동되는 트윈 로스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이판 어셈블리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으로 노출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제1구이판과 상기 제2구이판이 안착되도록 내측면에 받침편들을 갖는 구이판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이판은 양측면에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이판 프레임은 상기 제2구이판이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힌지부가 삽입되는 축받이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이판 프레임은 측면에 상기 제1버너 및 상기 제2버너의 점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태 점검구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이판은 상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제1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이판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구이판에 포개졌을 때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제1테두리부가 위치되는 요홈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이판과 상기 제2구이판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구이판 프레임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이판 프레임에 놓여지는 상기 제2구이판의 구이면은 상기 제2구이판의 구이면보다 높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버너는 조리용기가 올려져 지지되는 삼발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버너와 제2버너를 갖는 로스터에 사용되는 구이판 어셈블리에 있어서: 로스터의 본체 상단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그리고 제1구역과 제2구역을 갖는 구이판 프레임; 상기 구이판 프레임의 제1구역에 안착되는 제1구이판; 상기 구이판 프레임의 제2구역에 안착되는 그리고 상기 제1구이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구이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2구이판은 구이면이 상기 제1구이판의 구이면과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1구이판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회동되는 구이판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이판은 양측면에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이판 프레임은 상기 제2구이판이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힌지부가 삽입되는 축받이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이판 프레임은 측면에 상기 제1버너 및 상기 제2버너의 점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이판은 상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제1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이판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구이판에 포개졌을 때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제1테두리부가 위치되는 요홈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같은 테이블에 착선한 손님들의 취향에 맞게 구이와 전골 요리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빠른 시간에 구이 대상물의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구이판과 제2구이판이 서로 분리된 구조이기 때문에 경첩부분에 대한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이판 프레임의 점검구를 통해 버너의 착화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분이 손실되지 않아 구이대상물 본연의 깊은 맛을 유지시킬 수 있고, 증기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윈 로스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구이판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이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구이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구이판이 제1구이판에 얹혀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트윈 로스터의 다양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윈 로스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윈 로스터(10)는 테이블(20)에 설치된다. 트윈 로스터(10)는 케이스 본체(12), 제1버너(14), 제2버너(16), 점화 조절부(18) 그리고 구이판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2)는 테이블(20)에 장착된다. 케이스 본체(12)는 통상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조리용 화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버너(14)와 제2버너(16)는 케이스 본체(12)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제1버너(14)와 제2버너(14)는 가스를 이용한 가스 버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화 조절부(18)는 케이스 본체(12)의 일측에 제공된다. 점화 조절부(18)는 제1버너(14)와 제2버너(16)의 화력을 개별적으로 점화 및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점화조절 스위치(18a)들을 포함하며, 이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로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구이판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이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구이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제2구이판이 제1구이판에 얹혀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구이판 어셈블리(100)는 제1구이판(110)과 제2구이판(120) 그리고 구이판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이판(110)은 제1버너(14)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구이판 프레임(130)의 제1구역(A)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된다. 제2구이판(120)은 제2버너(16)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구이판 프레임(130)의 제2구역(B)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된다. 여기서 제1구역(A)은 제1버너(14)의 상부에 대향되는 위치이고, 제2구역(B)은 제2버너(16)의 상부에 대향되는 위치이다.
구이판 프레임(130)은 테이블(20)의 상면으로 노출된 케이스 본체(12)의 상단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구이판 프레임(130)은 4개의 측면을 갖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이판 프레임(130)은 제1구이판(110)과 제2구이판(120)이 안착되도록 내측면에 받침편(138)들을 갖는 내측 플랜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이판 프레임(130)은 양측에 손잡이(131)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손잡이(131)를 잡고 케이스 본체(12)의 상단 개구부에 용이하게 안착시키거나 탈착시킬 수 있다. 구이판 프레임(130)의 제1측면과 제2측면에는 제2구이판(120)의 힌지축(122)이 삽입되는 축받이홈(132)을 갖는다. 제2구이판(120)은 힌지축(122)이 축받이홈(132)에 삽입된 상태로 구이판 프레임(130)의 제2구역(B)에 안착되며, 필요시 힌지축(122)을 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구이판 프레임(130)은 길이방향과 나란한 양측면에 제1버너(14) 및 제2버너(16)의 점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136)들을 갖는다. 사용자는 테이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점검구(136)들을 통해 제1버너(14) 및 제2버너(16)의 화염을 확인할 수 있다.
제1구이판(110)과 제2구이판(120)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제2구이판(120)은 구이면(구이대상물이 놓여지는 상면)이 제1구이판(110)의 구이면과 마주본 상태로 제1구이판(110)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구이판(120)은 양측면에 힌지축(122)(힌지부)을 갖는다. 힌지축(122)은 구이판 프레임(130)의 축받이홈(132)에 삽입된다. 제2구이판(120)은 일측에 걸이용 도구(미도시됨)를 걸 수 있는 걸이부(127)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2구이판이 달궈진 상태에서 걸이용 도구를 이용해 걸이부(127)를 잡고 힌지축(122)을 축으로 회동시켜 제1구이판(110)에 엎어 놓을 수 있다.
따라서, 달겨진 제1,2구이판(110,120) 사이에 구이 대상물이 놓여지는 구이 공간이 형성되며, 구이 대상물은 제1구이판(120)과 제2구이판(120)의 양면에서 빠르게 구워질 수 있다. 여기서 구이 공간은 완전한 밀폐 공간은 아니지만 구이 대상물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아래와 위에서 열이 전달됨으로 보다 빠른 조리가 가능하다.
한편, 제1구이판(110)과 제2구이판(120)은 서로 유기적인 결합 관계 없이 이격된 상태로 구이판 프레임(130)에 안착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제1구이판(110)과 제2구이판(120) 중 어느 하나를 구이판 프레임(130)으로부터 쉽게 제거한 후 전골 냄비를 조리할 수 있다.
구이판 프레임(130)에 놓여지는 제2구이판(120)의 구이면은 제1구이판의 구이면보다 높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구이판(110)은 상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제1테두리부(119)를 포함하며, 제2구이판(120)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제1구이판(110)에 포개졌을 때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제1테두리부(119)가 위치되는 요홈부(129)를 갖는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트윈 로스터의 다양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트윈 로스터의 제1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1구이판(110)과 제2구이판(120)을 구이판 프레임(130)에 모두 올려놓은 상태에서 양쪽에서 구이 대상물을 구울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트윈 로스터의 제2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구이 대상물을 보다 빠르게 굽기 위한 사용법으로, 우선 도 6에서와 같이 제1구이판(110)과 제2구이판(120) 각각에서 구이 대상물을 굽다가, 제2구이판(120)이 달궈진 상태에서 제2구이판(120)을 제1구이판(110)에 엎어 놓으면, 구이 대상물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빠른 굽기가 가능하다.
특히, 제1구이판(110)과 제2구이판(120) 사이 공간에 놓인 구이대상물은 제2구이판(120)의 자중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제2구이판(120) 상면에 돌출 형성된 그릴 돌기들에 의해 그릴 자국이 남게 되면서 구이 대상물을 더욱 맛깔 나게 구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비워있는 제2버너(16)에는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른 조리 요리(찌게, 전골, 샤브샤브..)를 위한 냄비를 삼발이(17)에 올려놓을 수 있다.
한편, 제1구이판(110)과 제2구이판(120) 사이에서 구이 대상물이 익으면 제2구이판(120)을 제거하고 구이 대상물을 섭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윈 로스터는 제2구이판을 간단하게 분리 및 회동시켜 구이 대상물을 빠르게 구울 수 있고, 다양한 메뉴 선택에 따른 요리를 한 테이블에서 바로 즐길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트윈 로스터 12 : 케이스 본체
14 : 제1버너 16 : 제2버너
100 : 구이판 어셈블리 110 : 제1구이판
120 : 제2구이판 130 : 구이판 프레임

Claims (12)

  1. 테이블에 설치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용 화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버너와 제2버너;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버너와 상기 제2버너의 화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점화 조절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제1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제1구이판과, 상기 제2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제2구이판을 포함하는 구이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2구이판은 구이면이 상기 제1구이판의 구이면과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1구이판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회동되고,
    상기 구이판 어셈블리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으로 노출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제1구이판과 상기 제2구이판이 안착되도록 내측면에 받침편들을 갖는 구이판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구이판 프레임에 놓여지는 상기 제2구이판의 구이면은 상기 제1구이판의 구이면보다 높게 제공되는 트윈 로스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이판은
    양측면에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이판 프레임은
    상기 제2구이판이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힌지부가 삽입되는 축받이홈을 포함하는 트윈 로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프레임은
    측면에 상기 제1버너 및 상기 제2버너의 점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태 점검구들을 갖는 트윈 로스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이판은
    상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제1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이판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구이판에 포개졌을 때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제1테두리부가 위치되는 요홈부를 갖는 트윈 로스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이판과 상기 제2구이판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구이판 프레임에 안착되는 트윈 로스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버너는
    조리용기가 올려져 지지되는 삼발이를 더 포함하는 트윈 로스터.
  9. 제1버너와 제2버너를 갖는 로스터에 사용되는 구이판 어셈블리에 있어서:
    로스터의 본체 상단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그리고 제1구역과 제2구역을 갖는 구이판 프레임;
    상기 구이판 프레임의 제1구역에 안착되는 제1구이판;
    상기 구이판 프레임의 제2구역에 안착되는 그리고 상기 제1구이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구이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2구이판은 구이면이 상기 제1구이판의 구이면과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1구이판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회동되며,
    상기 구이판 프레임에 놓여지는 상기 제2구이판의 구이면은 상기 제2구이판의 구이면보다 높게 제공되는 구이판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이판은
    양측면에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이판 프레임은
    상기 제2구이판이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힌지부가 삽입되는 축받이홈을 포함하는 구이판 어셈블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프레임은
    측면에 상기 제1버너 및 상기 제2버너의 점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들을 갖는 구이판 어셈블리.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이판은
    상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제1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이판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구이판에 포개졌을 때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제1테두리부가 위치되는 요홈부를 갖는 구이판 어셈블리.
KR1020200107372A 2020-08-25 2020-08-25 가스용 프레스 불판 및 이를 갖는 트윈 로스터 KR102381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372A KR102381399B1 (ko) 2020-08-25 2020-08-25 가스용 프레스 불판 및 이를 갖는 트윈 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372A KR102381399B1 (ko) 2020-08-25 2020-08-25 가스용 프레스 불판 및 이를 갖는 트윈 로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410A KR20220026410A (ko) 2022-03-04
KR102381399B1 true KR102381399B1 (ko) 2022-03-30

Family

ID=8081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372A KR102381399B1 (ko) 2020-08-25 2020-08-25 가스용 프레스 불판 및 이를 갖는 트윈 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3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542Y1 (ko) * 2003-06-24 2003-09-19 주식회사 은성산업 양면 프라이팬
KR200380129Y1 (ko) * 2004-12-30 2005-03-25 박준식 무쇠 대류복식구이판
JP2011167113A (ja) * 2010-02-18 2011-09-01 Owada Seisakusho:Kk 食品焼成装置
KR101474898B1 (ko) * 2013-07-16 2014-12-19 민 우 전 로스톨 없는 간텍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18B1 (ko) * 2008-11-12 2011-01-06 김은배 다목적 숯불 구이기
KR200459644Y1 (ko) * 2009-09-09 2012-04-16 (주)오니코리아 육류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542Y1 (ko) * 2003-06-24 2003-09-19 주식회사 은성산업 양면 프라이팬
KR200380129Y1 (ko) * 2004-12-30 2005-03-25 박준식 무쇠 대류복식구이판
JP2011167113A (ja) * 2010-02-18 2011-09-01 Owada Seisakusho:Kk 食品焼成装置
KR101474898B1 (ko) * 2013-07-16 2014-12-19 민 우 전 로스톨 없는 간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410A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0986A (en) Multi-purpose electric fast cooking apparatus
EP2133013B1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US9119500B2 (en) Griddle plate for a gas grill
US20140261012A1 (en) Cooking grill having rack supporting individual grilling modules
KR102263362B1 (ko) 전골 및 구이용 팬이 마련된 가정용 불판
JPS6284714A (ja) バ−ベキユ−装置
US5823174A (en) Portable cooking device with vertically arranged hearth
KR20120008881U (ko) 돌판구이 겸용 조개류 찜이 가능한 로스터
US20130213242A1 (en) Infrared charcoal grill
US20230337857A1 (en) Griddle
KR102381399B1 (ko) 가스용 프레스 불판 및 이를 갖는 트윈 로스터
WO2006052366A2 (en) Combined griddle, wok and grill cookware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JP4340781B2 (ja) 間接加熱式調理板
KR20170027039A (ko) 다기능 불판
US20080053427A1 (en) Versatile food cooking grill and grill features
KR200370079Y1 (ko) 고기구이 및 전골요리 겸용 조리기구
KR102377822B1 (ko) 캠핑용 불판
KR200365191Y1 (ko) 3가지 이상의 복합메뉴를 제공하는 로스터
KR200371930Y1 (ko) 직열 투입 조리용기
KR101363688B1 (ko) 간접 가열 방식 숫불 구이기
KR102589991B1 (ko) 간접 가열식 로스터 구조를 갖는 캠핑용 가스버너
WO2009066846A1 (en) Multi-layer cooker
KR20040087397A (ko) 다용도 양면조리팬
JP3084976U (ja) 調理用加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