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040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040B1
KR102381040B1 KR1020170094635A KR20170094635A KR102381040B1 KR 102381040 B1 KR102381040 B1 KR 102381040B1 KR 1020170094635 A KR1020170094635 A KR 1020170094635A KR 20170094635 A KR20170094635 A KR 20170094635A KR 102381040 B1 KR102381040 B1 KR 102381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drum
air
wall portion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8613A (ko
Inventor
요시나리 시마다
다카히로 나카시마
유지 아오시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421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8086229A/ja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792,60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38871B2/en
Priority to EP17873763.1A priority patent/EP3526388B1/en
Priority to PCT/KR2017/011887 priority patent/WO2018097493A1/en
Publication of KR2018005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수조 내의 기압차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탈수 시의 소음을 억제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세탁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도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기압이 저하되는 상기 드럼의 중심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흡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을 수용한 드럼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세탁이나 헹굼, 탈수 등의 일련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식 세탁기는, 외측 케이스(100)의 전면에, 문으로 밀폐되는 투입구(101)가 설치되어 있어, 의류 등의 세탁물의 출입은 이 투입구(101)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외측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수조(102)가 가로로 놓여 있다. 수조(102)의 내부에는, 둘레 벽부에 다수의 통공이 개구되어 있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드럼(103)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세탁이나 헹굼, 탈수의 일련의 처리는, 이 드럼(103)에 세탁물이 수용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수조(102)는, 그 개구가 투입구(101)의 근방에 위치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조(102)는 서스펜션 등에 의하여, 외측 케이스(100)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수조(102)의 개구와 투입구(101) 사이의 간극은, 탄성을 가진 패킹 등에 의하여, 누수되지 않도록 밀폐될 수 있다.
사용 시에 투입구(101)의 문이 닫히는 것에 의하여, 수조(102)는, 대략 밀폐상태가 되지만, 그것은 이른바 수밀 상태이며 기밀 상태는 아니다. 즉, 세탁이나 헹굼, 탈수 처리 시에도, 수조(102)의 내부는, 통상, 수조(102)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급수 경로나 배수 경로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고 있어, 수조(102)의 외부로 기체가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하여, 세탁기의 수조에 배기 구멍을 형성한 드럼식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세탁기에서는, 세탁 시에 급수하는 것에 의하여, 대략 밀폐된 수조의 내압이 상승하여, 적정한 급수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의 둘레 벽의 후부 상측에 배기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탈수 시에 튀어 오르는 세탁수의 물보라가 배기 구멍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조 내에 돌출된 판형의 리브가 배기 구멍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54177호
탈수 시에 세탁물의 수분을 털어내기 위하여, 드럼(103)은 회전축(J)을 중심으로 고속으로 회전한다. 그 때, 도 1에 화살표 A가 가리키는 바와 같이, 드럼(103) 내의 공기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 나간다. 이 때, 드럼(103)의 외주면과 수조(102)의 내주면 사이에 충분한 간극이 있으면, 밀려 나간 공기는, 도 1에 화살표 B가 가리키는 바와 같이, 드럼(103)의 개구의 주위로부터 드럼(103) 내부로 환류한다. 또, 드럼(103)의 저면에도 구멍이 뚫려 있으므로, 소량이지만, 도 1에 화살표 B'가 가리키는 바와 같이, 드럼(103)의 저면의 구멍을 통하여 드럼(103) 내에 환류한다.
그런데, 드럼(103) 내에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기류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환류한 공기는, 드럼(103)에 들어가면 곧바로 그 기류로 끌려 들어가, 드럼(103)의 중심부로 돌아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드럼(103)으로부터 밀려 나간 공기의 일부는, 급수 경로나 배수 경로를 통하여 수조(102)로부터 빠져 나와, 수조(102) 내의 공기량이 감소한다.
특히 최근에는, 드럼(103)이 대용량화되어, 드럼(103)의 외주면과 수조(102)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이 좁게 되어 있는 점에서, 드럼(103) 내로의 환류가 저해되어, 급수 경로나 배수 경로를 통하여 수조(102)로부터 빠져 나오기 쉽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수조(102)의 중심부는 외주부에 비해 저압이 되는 점에서, 그 기압차에 의하여, 케이스(100)의 내부에 탄성 지지되어 있는 수조(102)는, 도 1에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로 인하여, 수조(102)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그 주변 부재와 접촉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 내의 기압차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탈수 시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도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기압이 저하되는 상기 드럼의 중심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흡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드럼의 전단부와 상기 도어 사이, 또는 상기 드럼의 후단부와 상기 수조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에 연결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와 마주보는 단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도어의 후면 또는 상기 단벽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흡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구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벽부의 외면에 장착되어 상기 흡기 유로를 형성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 도입구를 포함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기 도입구는 상기 수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벽부의 외면에는, 상기 단벽부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흡기 유로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리브와 끼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리브 감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원통형의 본체 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벽부의 일 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배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단벽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흡기구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본체 벽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배기구로부터 상기 제1커버부재의 상부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보조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구는 상기 단벽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벽부의 내면에 장착되어 상기 흡기구로부터 공기를 아래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상기 드럼의 둘레 벽부와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원통형의 본체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둘레 벽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과 상기 본체 벽부 사이의 간극을, 상기 둘레 벽부의 중간부와 상기 본체 벽부의 사이의 간극보다 크게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상기 드럼의 둘레 벽부와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원통형의 본체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둘레 벽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과 상기 본체 벽부 사이의 간극을, 상기 둘레 벽부의 중간부와 상기 본체 벽부의 사이의 간극보다 크게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드럼의 후단부와 상기 수조 사이에, 상기 수조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도풍판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도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구에 연결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드럼의 중심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수조의 일 면 또는 상기 도어의 일 면에 마련되는 흡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상기 개구와 마주보는 단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단벽부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벽부의 일 면에 장착되고, 상기 흡기구와 연통되어 공기를 가이드하는 흡기 유로를 형성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 유로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흡기 유로를 통해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이 상기 수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출구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원통형의 본체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 벽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벽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흡기구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본체 벽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배기구로부터 상기 제1커버부재의 상부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보조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마주보는 단벽부와 원통형의 본체 벽부를 포함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드럼의 중심부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흡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둘레 벽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과 상기 본체 벽부 사이의 간극을, 상기 둘레 벽부의 중간부와 상기 본체 벽부의 사이의 간극보다 크게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드럼의 후단부와 상기 수조 사이에, 상기 수조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도풍판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탈수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쾌적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4는 단벽부의 외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X-X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버 부재의 외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커버 부재의 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탈수 시의 드럼 회전수의 변화와 수조의 전방으로의 변위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비교예).
도 8b는 탈수 시의 드럼 회전수의 변화와 수조의 전방으로의 변위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실시예).
도 9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세탁기에 의한 탈수 시의 소음(PWL)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도 5 상당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도 5 상당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도 5 상당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도 5 상당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를 나타낸다. 세탁기(1)는, 전자동식 세탁기일 수 있으며, 세탁, 헹굼, 탈수의 일련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세탁기(1)에는, 건조 처리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은, 건조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세탁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세탁기(1)는, 외측 케이스(10), 수조(20), 드럼(30), 모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케이스(10)는, 프레임에, 프론트 패널(11), 리어 패널(12), 한 쌍의 사이드 패널(13, 13), 탑 패널(14), 보텀 패널(15)을 조립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에는, 환형의 다이어프램(16)을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문(18)으로 개폐되는 원형의 의류 투입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의류 투입구(17)의 상방에는, 스위치나 모니터 등, 세탁기(1)를 운전하기 위하여 이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수조(20)는, 수지의 사출 성형 부재로 구성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용기로 이루어지며, 의류 투입구(17)와 대략 동직경의 개구(21a)가 형성된 환형의 개구부(21)와, 개구부(21)와 대향하는 원반형의 단벽부(22)와, 이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원통형의 본체 벽부(24)를 갖고 있다. 단벽부(22)의 중앙부에는, 알루미늄 합금제 등의, 축 구멍(23a)을 가진 베어링 하우징(23)이 수지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단벽부(22)의 외면에는, 수조(20)의 경량화와 강성의 강화를 양립하기 위하여, 그 중앙 부위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직경측 리브(25)와, 그 중앙 부위의 주위에 동심원형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원주측 리브(26)가 설치되어 있다. 단벽부(22)의 외면에는 또, 커버 부재(50)가 장착되어 있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수조(20)는, 개구(21a)와 의류 투입구(17)가 앞뒤로 겹쳐지도록, 개구부(21)를 전방으로 향한 상태로, 외측 케이스(10)의 내부에 가로로 놓여 있다. 외측 케이스(10)의 내부 상측의 좌우에는, 한 쌍의 스프링(2, 2)이 앞뒤로 떨어져 설치되어 있고, 외측 케이스(10)의 내부 하측의 좌우에는, 한 쌍의 댐퍼(3, 3)가 앞뒤로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수조(20)는, 이들 스프링(2) 및 댐퍼(3)를 통하여, 외측 케이스(10)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개구부(21)는, 다이어프램(16)에 연결되어 있고, 의류 투입구(17)와 개구(21a) 사이는, 다이어프램(16)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다. 따라서, 문(18)이 닫히는 것에 의하여, 개구(21a)는 밀폐된다.
수조(20)의 상부 근방에는, 외부로부터의 급수를 받아들이는 급수받이 용기(5)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받이 용기(5)는, 급수 호스(6)를 통하여 수조(20)의 상부에 설치된 급수구(27)에 접속되어 있고, 세탁 시나 헹굼 시에는, 급수받이 용기(5) 및 급수구(27)를 통하여 수조(20)의 내부에 소정량의 물이 공급된다. 수조(20)의 내부의 공기는, 이들 급수 호스(6), 급수받이 용기(5)를 통하여 수조(2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수조(20)의 하단부에는, 배수구(28)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구(28)에는, 배수 호스(7)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 호스(7)의 말단은, 외측 케이스(10)의 외부에 도출되어 있다. 배수 호스(7)의 상류측에 순환 펌프를 설치하고, 세탁 시나 헹굼 시에, 수조(20)에 저류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배수 시나 탈수 시, 미사용 시의 수조(20)의 내부는, 배수 호스(7)를 통하여 수조(20)의 외부와 연통하여, 수조(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드럼(30)은, 수조(20)보다 약간 작은 원통형의 용기로 되어 있으며, 개구(21a)보다 약간 소경인 드럼 개구(31a)가 형성된 원환형의 프론트부(31)와, 프론트부(31)와 대향하는 플랜지 샤프트(32)와, 이들 프론트부(31) 및 플랜지 샤프트(32)를 연결하는 원통형의 둘레 벽부(33)로 구성되어 있다. 둘레 벽부(33)의 외주면은, 본체 벽부(24)의 내주면과 약간의 간극(미소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둘레 벽부(33)에는, 내외로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33a)(세공군(細孔群))이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도 2에서는 일부만 표시).
플랜지 샤프트(32)는, 샤프트(34)의 일단이 고정되는 보스부(32a)와, 보스부(32a)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암부(32b)와, 각 암부(32b)의 선단으로 이어지는 원환형의 플랜지부(32c)를 갖고, 플랜지부(32c)가 둘레 벽부(33)에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샤프트(32)의 앞면은, 다수의 구멍(32e)이 형성된 원판형의 커버(32d)로 덮여 있다. 커버(32d)에 의하여, 드럼(30)의 저면이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34)는, 베어링 하우징(23)의 축 구멍(23a)에 베어링(35)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고, 드럼(30)은, 수조(20)의 내부에서 대략 수평의 회전축(J)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모터(40)는, 그 구동축(41)이 회전축(J)과 평행으로 후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수조(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축(41)의 선단에는, 소경의 서브 풀리(42)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축 구멍(23a)을 통하여 수조(20)의 외부에 돌출한 샤프트(34)의 단부에는, 대경의 메인 풀리(43)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 서브 풀리(42)와 메인 풀리(43)에는, 엔드리스 벨트(44)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40)의 구동은, 세탁기(1)의 운전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생략)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으며, 제어장치에 실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타이밍으로, 구동축(41)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 속도가 변화한다. 이로 인하여, 드럼(30)은, 세탁 행정이나 헹굼 행정에서는, 수조(20)에 세정수나 헹굼수가 체류된 상태로, 의류가 둘레 벽부(33)에 붙지 않는 저속도(예를 들면 30rpm 등)로 회전하여, 세정수 등과 함께 의류가 교반된다.
그리고, 탈수 행정에서는, 수조(20)로부터 배수 가능한 상태로, 의류가 둘레 벽부(33)에 붙는 고속도로 드럼(30)이 회전해, 탈수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수조(20)의 내부가, 급수 호스(6)나 배수 호스(7)를 통하여 수조(20)의 외부와 연통하고,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상태로, 드럼(30)이 1000rpm을 넘는 고속도로 소정 시간 회전한다. 이로 인하여, 의류에 포함되는 수분은, 통공(33a)을 통하여 드럼(30)으로부터 유출하여, 수조(20)에 받아진 후, 배수 호스(7)를 통하여 배수된다.
그 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30)의 내부로부터 공기도 유출되기 때문에, 수조(20)의 중심부가 외주부에 비해 저압이 되어, 수조(20)가 전방으로 끌려 당겨 이동하면, 수조(20)가 그 주변 부재와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하여, 이 세탁기(1)에서는, 탈수 시에 수조(20)의 내부에 기압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드럼(30)과 수조(20) 사이에, 드럼(30)의 중심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수조(20)의 중심부가 상대적으로 저압이 되는 점에서, 수조(20)의 내부에 면해 있는 단벽부(22)의 중앙 부위에, 수조(20)의 외부로 연통하는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가 수조(20)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드럼(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기류에 방해받지 않고, 수조(20)의 중심부로 공기를 보낼 수 있어, 수조(20)의 내부에서 기압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벽부(22)의 중앙 부위, 상세하게는, 베어링 하우징(23)의 상부 근방에, 벽면(22a)을 관통하는 흡기구(60)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60)를 베어링 하우징(23)의 상부 근방에 배치한 것은, 수지이기 때문에 성형이 용이한 점과, 중앙 부위 중에서도, 세탁 시나 헹굼 시에 흡기구(60)를 통하여 물이나 거품이 수조(20)로부터 유출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이 세탁기(1)에서는, 흡기구(60)로부터 물이나 거품이 유출되어도 외측 케이스(10)의 내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단벽부(22)의 외면에 커버 부재(50)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흡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7에, 그 커버 부재(50)를 나타낸다. 커버 부재(50)는, 플레이트형의 수지의 사출 성형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벽부(22)의 외면 구조에 대응한 형상의 커버 본체(51)와, 커버 본체(51)의 외주의 복수 개소로부터 돌출된 체결 플랜지(5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51)는, 판형의 제1플레이트부(51a)와, 제1플레이트부(51a)의 일부에서 두께가 얇은 관로를 형성하고 있는 제2플레이트부(51b)를 갖고 있다. 제2플레이트부(51b)는, 그 일단에 폭이 넓은 외기 도입구(53)를 갖고, 제1플레이트부(51a)의 중간에 개구되어 있는 중간 개구(54)와 외기 도입구(53)를 연통시키고 있다.
제1플레이트부(51a)에는, 직경측 리브(25) 및 원주측 리브(26)가 감합하는 리브 감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 감합부(55)는, 중간 개구(54)를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부(51a)의 소정 영역의 외주를 따른 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 감합부(55)에는, 탄성을 가진 패킹(56)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단벽부(22)의 커버 본체(51)의 장착 부위에는, 직경측 리브(25) 및 원주측 리브(26)를 이용한, 흡기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 형성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 플랜지(52)의 배치에 대응한 단벽부(22)의 외면의 복수 개소에는, 체결 보스(6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단벽부(22)의 외면에는, 원주측 리브(26)로서, 중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원주측 리브(26a), 제2 원주측 리브(26b), 제3 원주측 리브(26c), 및 제4 원주측 리브(26d)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원주측 리브(26a) 및 제3 원주측 리브(26c)는, 메인 리브인 제2 원주측 리브(26b) 및 제4 원주측 리브(26d)보다 얇은 보조 리브로 되어 있으며, 메인 리브와 보조 리브가 직경 방향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직경측 리브(25)도 역시 두꺼운 메인 리브와 얇은 보조 리브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이 원주 방향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직경측 리브(25)에 있어서의 메인 리브(직경측 메인 리브(25a))는, 중심 부위로부터 외주측으로 뻗어 있는 데 대해, 직경측 리브(25)에 있어서의 보조 리브(직경측 보조 리브(25b))는, 제1 원주측 리브(26)의 외주로부터 외주측으로 뻗어 있다. 직경측 리브(25)의 돌출단 및 원주측 리브(26)의 돌출단은, 서로 이어져 있으며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흡기구(60)는, 제1 원주측 리브(26a)보다 중심측에 있어서의 인접하고 있는 2개의 직경측 메인 리브(25a, 25a)의 사이의 비교적 넓은 스페이스를 이용해 크게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60)에 인접한 제1 원주측 리브(26a)는, 직경측 보조 리브(25b)를 경계로 한쪽이 생략되는 것에 의하여 직경 방향에 연통로(62)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로(62) 및 흡기구(60)의 형성에 의한 단벽부(22)의 강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흡기구(60)의 중심측에는, 흡기구(60)의 양측의 직경측 메인 리브(25a, 25a)에 이어지는 보강 리브(63)가 설치되어 있다. 연통로(62)에 인접한, 직경측 메인 리브(25a)와 직경측 보조 리브(25b)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원주측 리브(26b)(메인 리브)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고,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이가 절반 정도로 되어 있다(저위 리브(64)).
커버 부재(50)는, 도 3,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 도입구(53)를 상방으로 향한 상태로 단벽부(22)의 외면의 소정 위치에 씌운 상태로, 각 체결 보스(61)에 겹쳐지는 각 체결 플랜지(52)를 나사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단벽부(22)에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리브 감합부(55)가, 직경측 리브(25) 및 원주측 리브(26)의 돌출단의 소정의 영역(도 4에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에, 패킹(56)을 통하여 밀착하여, 단벽부(22)의 외면에, 그 소정의 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직경측 리브(25) 및 원주측 리브(26), 흡기구(60)가 형성되어 있는 단벽부(22)의 벽면(22a), 및 제1플레이트부(51a)로 나뉜 밀폐 공간(65)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개구(54)의 하방에 저위 리브(64)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밀폐 공간(65)은 중간 개구(54)를 통하여 제2플레이트부(51b)에 연통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단벽부(22)의 외면을 따라 그 중앙 부위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있는 흡기 통로가 형성되고, 흡기구(60)는, 수조(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외기 도입구(53)를 통하여 수조(20)의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흡기 통로의 측벽은, 단벽부(22)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직경측 리브(25) 및 원주측 리브(26)를 이용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 부재(50)는 간소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두께가 얇은 제2플레이트부(51b)와의 조합에 의하여, 단벽부(22)로부터 거의 돌출시키는 일 없이, 용적이 큰 흡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도 5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를 효율적으로 수조(20)의 내부 중앙에 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단벽부(22)로부터의 흡기 통로의 돌출량이 크면, 그만큼 외측 케이스(10)에 대한 수조(20)의 용적을 감소시킬 필요가 생기지만, 이 세탁기(1)의 경우,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조(20)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흡기구(60)를 통하여, 수조(20)의 외측에 물이나 거품이 유출되어도, 흡기구(60)의 외측에는 흡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조(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외기 도입구(53)로부터 밖에 외부로 유출시킬 수 없다. 따라서, 외측 케이스(10)의 내부로 물이나 거품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기 통로의 도중에는, 물이나 거품의 유출을 저해하는 저위 리브(6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측 케이스(10)의 내부로 물이나 거품이 빠져 나오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도 8a에, 비교예로서, 흡기구 및 흡기 통로를 형성하기 전의 세탁기에 의한 탈수 시의 드럼 회전수(rpm)의 변화와 수조의 전방으로의 변위량(mm)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8b에, 실시예로서 상기 설명한 흡기구 및 흡기 통로를 가진 세탁기에 의한 탈수 시의 드럼 회전수(rpm)의 변화와 수조의 전방으로의 변위량(mm)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들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수조가 3mm이상 전방으로 이동한 것에 비하여, 실시예에서는, 수조는 거의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았다. 따라서, 흡기구의 형성에 의하여, 수조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도 9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세탁기에 의한 탈수 시의 소음(PWL)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주파수(Hz)이다.
수조가 전방으로 크게 이동하면, 수조가 다이어프램으로 밀려 소리가 발생한다(160Hz 근처). 실시예의 세탁기에서는, 특히 그 소리가 저감되고 있어, 비교예의 세탁기에 비해, 탈수 시의 소음 억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검증되었다.
<제1 변형예>
도 10에, 상기 설명한 세탁기(1)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의 세탁기(1A)는, 상기 설명한 세탁기(1)와 비교하면, 흡기 구조가 다르다. 그 외의 구조는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세탁기(1A)에서는, 단벽부(22)의 벽면(22a)을 관통하는 개구(외기 도입 개구(70))가, 단벽부(22)의 중앙 부위가 아닌 상단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인접하고 있는 직경측 메인 리브(25a) 및 직경측 보조 리브(25b), 그리고 제3 원주측 리브(26c) 및 제4 원주측 리브(26d)의 각각에 의하여 주위가 나뉜 단벽부(22)의 벽면(22a)에, 외기 도입 개구(7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문형의 횡단면을 갖고, 상단이 밀폐되고 하단이 해방되어 있는 띠형의 가이드 부재(71)가, 단벽부(22)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단벽부(22)의 내면을 따라 그 상단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있는 관로(내측 관로(72))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71)의 상부는 외기 도입 개구(70)에 덮이도록 배치되고, 가이드 부재(71)의 하단은 단벽부(22)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세탁기(1A)에서는, 외기 도입 개구(70)를 통하여 수조(20)의 외부로 연통하고 있는 내측 관로(72)에 의하여 흡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수조(20)의 내부에 연통하고 있는 내측 관로(72)의 하단부(72a)에 의하여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세탁기(1A)에 있어서도, 탈수 시에는, 외기 도입 개구(70), 내측 관로(72), 및 그 하단부(72a)를 통하여, 공기가 수조(20)의 중심부에 도입되기 때문에, 세탁 시나 헹굼 시에 물이나 거품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탈수 시에 수조(20)의 내부에서 기압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세탁기(1A)의 경우, 단벽부(22)의 외면 구조는 종래와 같아도 되므로, 외측 케이스(10)로의 수조(20)의 설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외기 도입 개구(70)가 단벽부(22)의 외주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수조(20)의 강성의 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제2 변형예>
도 11에, 상기 설명한 세탁기(1)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의 세탁기(1B)는, 상기 설명한 세탁기(1)나 세탁기(1A)와 비교하면, 흡기 구조가 다르다. 그 외의 구조는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세탁기(1B)의 흡기 구조는, 둘레 벽부(33)의 후단부와 본체 벽부(24) 사이의 간극을, 둘레 벽부(33)의 중간부(둘레 벽부(33)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사이)와 본체 벽부(24) 사이의 간극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통기 통로(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둘레 벽부(33)와 본체 벽부(24) 사이의 간극은, 드럼(30)의 대용량화에 의하여 매우 작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그 간극을 통하여 공기가 흐르기 어려워져 공기의 환류가 저해되는 결과, 급수 호스(6)나 배수 호스(7)를 통하여, 많은 공기가 수조(20)의 외부에 배출되어 버려, 수조(20)의 내부에 기압차가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세탁기(1B)에서는, 수조(20)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상측 모서리부의 내경을 다른 부분보다 확대해 간극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통기 통로(80)를 형성하고 있다. 둘레 벽부(33)의 후단부는, 이 통기 통로(80)에 면해 있기 때문에, 통기 통로(80)를 통하여, 수조(20)의 단벽부(22)와 드럼(30)의 플랜지 샤프트(32) 사이의 간극(후부 간극)에 연통한다. 따라서, 드럼(30)의 둘레 벽부(33)로부터 외측으로 밀려 나오는 공기의 일부를, 통기 통로(80) 및 후부 간극을 통하여 드럼(30)의 중심부에 환류시킬 수 있다. 즉, 이 세탁기(1B)에서는, 통기 통로(80) 및 후부 간극으로, 흡기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드럼(30)의 후단부의 외경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통기 통로(8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제3 변형예>
도 12에, 상기 설명한 세탁기(1)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의 세탁기(1C)는, 상기 설명한 세탁기(1) 등과 비교하면, 흡기 구조가 다르다. 그 외의 구조는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세탁기(1C)에서는, 수조(20)의 본체 벽부(24)의 후단 부위에 있어서의 상부에, 드럼(30)의 둘레 벽부(33)와 대향하는 배기구(9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조(20)에는, 보조 커버 부재(91)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보조 커버 부재(91)에 의하여, 외기 도입구(53)에 연통하는 우회 통로가 구성되어 있다. 배기구(90)는, 그 보조 커버 부재(91)에 의하여 덮여 있다. 따라서, 탈수 시에 배기구(90)로부터 밀려 나오는 공기는, 우회 통로, 흡기 통로, 흡기구(60)를 통하여, 드럼(30)의 중심부에 환류하므로, 수조(20)의 내부에 기압차가 발생하지 않아,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변형예>
도 13에, 상기 설명한 세탁기(1)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의 세탁기(1D)는, 상기 설명한 세탁기(1) 등과 비교하면, 흡기 구조가 다르다. 그 외의 구조는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세탁기(1D)의 흡기 구조는, 드럼(30)의 후단부와 수조(20) 사이에 도풍판(80)을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조(20)의 내면에 있어서의, 본체 벽부(24)의 후단 부위에 있어서의 상부, 및 거기에 이어지는 단벽부(22) 중 적어도 중심까지의 부분의 영역과, 드럼(30)의 후단부(상세하게는, 둘레 벽부(33)의 후단 부위 및 플랜지 샤프트(32)의 부분)의 외면 사이의 간극에, 도풍판(80)이, 수조(20)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상태로 전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풍판(80)은, 두께가 얇은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단벽부(22)의 벽면(22a)의 내면을 따라 그 중심 부분에서 상단 부분까지 전개되는 주벽부(80a)와, 주벽부(80a)에 이어진 상태로, 본체 벽부(24)의 내면을 따라 전방으로 전개되는 부벽부(80b)를 갖고 있다.
이 도풍판(80)과 수조(20)의 내면 사이의 간극에 의하여, 부벽부(80b)의 전단측으로부터 주벽부(80a)의 중심측까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풍로(도풍 통로)가 구성되어 있다. 도풍판(80)과 대향하고 있는 수조(20)의 내면에는, 공기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벽형이나 지주형의 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있고(도시하지 않음), 도풍판(80)은, 이들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탈수 시에, 드럼(30)의 후단부로부터 원주 방향 외측으로 유출되는 공기는, 부벽부(80b)가 없으면 수조(20)의 내면에 충돌하여, 수조(20)의 외측으로 유출되거나 확산되어 난류를 형성하지만, 부벽부(80b)가 있으면, 부벽부(80b)에 충돌하여, 도풍 통로에는 그 영향이 미치지 않기 때문에, 도풍 통로에 원활히 공기를 도입할 수 있다.
또, 드럼(30)의 플랜지 샤프트(32)의 부분과 단벽부(22)의 벽면(22a)의 내면 사이의 간극에서도, 드럼(30)이 고속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도 13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30)의 중심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 특히, 암부(32b)가 있기 때문에, 그 교반에 의하여 강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기 쉽다. 이로 인하여, 이 간극에서는, 드럼(30)의 중심부를 향해 공기가 흐르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에 대해, 도풍판(80)을 설치함으로써, 이 간극이, 주벽부(80a)에 의하여, 플랜지 샤프트(32)측과 단벽부(22)측으로 구획되며, 단벽부(22)측의 도풍 통로에는 그 역풍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드럼(30)의 중심부를 향해 공기를 원활히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탈수 시에 드럼(30)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 나가는 공기는, 도풍 통로를 통하여, 드럼(30)의 중심부로 원활히 환류할 수 있으므로, 수조(20)의 내부에 기압차가 발생하지 않아,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는, 상기 설명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의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의 세탁기(1)에서는, 수조(20)의 단벽부(22)의 중앙 부위에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설명한 변형예와 같은 가이드 부재(71)를 문(18)의 내면에 장착하는 등 하여, 문(18)의 중앙부에 흡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각 변형예의 흡기 구조도 마찬가지이며, 드럼(30)의 앞측에 설치할 수 있고, 전후 양쪽 모두에 설치할 수 있다.
1 세탁기
10 외측 케이스
17 의류 투입구
18 문(도어)
20 수조
25 직경측 리브
26 원주측 리브
30 드럼
40 모터
50 커버 부재
60 흡기구

Claims (20)

  1.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기압이 저하되는 상기 드럼의 중심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흡기 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에 연결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와 마주보는 단벽부로서, 그 외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단벽부와,
    상기 리브와 끼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리브 감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벽부의 외면에 장착되어 상기 단벽부의 외면과 함께 상기 흡기 유로를 형성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드럼의 후단부와 상기 수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상기 드럼의 중심부의 기압 저하로 인한 기압차에 의해 공기를 흡입 및 가이드하는 세탁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단벽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흡기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 도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기 도입구는 상기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흡기 유로의 일면을 형성하는 세탁기.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원통형의 본체 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벽부의 일 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배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연결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흡기구로 공기를 가이드하고,
    상기 본체 벽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배기구로부터 상기 커버 부재의 상부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보조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드럼의 둘레 벽부와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원통형의 본체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둘레 벽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과 상기 본체 벽부 사이의 간극을, 상기 둘레 벽부의 중간부와 상기 본체 벽부의 사이의 간극보다 크게 하여 형성되는 세탁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드럼의 후단부와 상기 수조 사이에, 상기 수조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도풍판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세탁기.
  12.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구에 연결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와 마주보는 단벽부를 포함하는 수조로서, 상기 단벽부는 그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드럼의 중심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수조의 일 면 또는 상기 도어의 일 면에 마련되는 흡기구; 및
    상기 단벽부의 일 면에 장착되도록 상기 리브와 끼움 결합되는 리브 감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벽부와 함께 상기 흡기구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흡기 유로를 형성하는 커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상기 드럼의 중심부의 기압 저하로 인한 기압차에 의해 공기를 흡입 및 가이드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단벽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세탁기.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유로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흡기 유로를 통해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이 상기 수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출구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세탁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원통형의 본체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 벽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벽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배기구로부터 상기 커버 부재의 상부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보조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8.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마주보는 단벽부와 원통형의 본체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벽부의 외면에는 상기 단벽부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마련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드럼의 중심부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흡기 유로; 및
    상기 리브와 끼움 결합되는 리브 감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벽부에 장착되어 상기 단벽부와 함께 상기 흡기 유로를 형성하는 커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상기 드럼의 중심부의 기압 저하로 인한 기압차에 의해 공기를 흡입 및 가이드하는 세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드럼의 둘레 벽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과 상기 본체 벽부 사이의 간극을, 상기 둘레 벽부의 중간부와 상기 본체 벽부의 사이의 간극보다 크게 하여 형성되는 세탁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드럼의 후단부와 상기 수조 사이에, 상기 수조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도풍판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세탁기.
KR1020170094635A 2016-11-24 2017-07-26 세탁기 KR102381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92,600 US10538871B2 (en) 2016-11-24 2017-10-24 Washing machine
EP17873763.1A EP3526388B1 (en) 2016-11-24 2017-10-26 Washing machine
PCT/KR2017/011887 WO2018097493A1 (en) 2016-11-24 2017-10-26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28377 2016-11-24
JPJP-P-2016-228377 2016-11-24
JP2017042126A JP2018086229A (ja) 2016-11-24 2017-03-06 ドラム式洗濯機
JPJP-P-2017-042126 2017-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613A KR20180058613A (ko) 2018-06-01
KR102381040B1 true KR102381040B1 (ko) 2022-03-31

Family

ID=8093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635A KR102381040B1 (ko) 2016-11-24 2017-07-26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0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3079A (ja) * 1999-10-21 2001-04-24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3144789A (ja) * 2001-11-14 2003-05-20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7209526A (ja) * 2006-02-09 2007-08-23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JP2011239990A (ja) * 2010-05-19 2011-12-01 Sharp Corp 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4295A (ja) * 1995-12-26 1997-09-09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JP4535968B2 (ja) 2005-08-23 2010-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3079A (ja) * 1999-10-21 2001-04-24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3144789A (ja) * 2001-11-14 2003-05-20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7209526A (ja) * 2006-02-09 2007-08-23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JP2011239990A (ja) * 2010-05-19 2011-12-01 Sharp Corp 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613A (ko)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412B2 (en) Washing machine with odor removal function
KR20130016932A (ko) 세탁기
EP3582373A1 (en) Brushless dc motor and drain pump having the same
JP200724446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0094227A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230323588A1 (en) Washing machine
JP2014158599A (ja) 洗濯機、洗濯方法
JP2011041646A (ja) 洗濯機
US10538871B2 (en) Washing machine
KR20160016441A (ko) 세탁기
JP5756431B2 (ja) 洗濯乾燥機
KR102381040B1 (ko) 세탁기
CN111945392B (zh) 排水泵及包括其的衣物处理装置
JP6712245B2 (ja) 洗濯機
JP2015043866A (ja) 洗濯乾燥機
KR101606663B1 (ko) 의류건조기
KR20180015872A (ko) 세탁기
JP7121713B2 (ja) 洗濯機
TW201738428A (zh) 洗衣機
JP2018086229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70089709A (ko)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한 세탁장치
JP200419471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7190414B2 (ja) 縦型洗濯機
JP2017221356A (ja) 洗濯機
JP5676196B2 (ja) 給水口取付部品および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