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172B1 -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172B1
KR102379172B1 KR1020200183186A KR20200183186A KR102379172B1 KR 102379172 B1 KR102379172 B1 KR 102379172B1 KR 1020200183186 A KR1020200183186 A KR 1020200183186A KR 20200183186 A KR20200183186 A KR 20200183186A KR 102379172 B1 KR102379172 B1 KR 102379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housing body
air
cooling
electric ki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상사
Priority to KR102020018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의 컨트롤러를 대상으로 한 냉각 작용이 컨트롤러의 회로보드에서 방출되는 열을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으로 직접 전달시켜 외부 대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컨트롤러의 발열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는 동시에 전동킥보드 내 모터 등의 설치 공간 활용도 향상 및 전동킥보드의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는, 전동킥보드의 컨트롤러에 대한 발열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회로보드가 내장되도록 상기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에 형성되는 컨트롤러 하우징부와, 상기 컨트롤러 하우징부 내외로의 공기 순환을 위해 상기 컨트롤러 하우징부에 형성되며, 공기 및 수증기는 통과시키면서 물의 통과는 차단하는 기능성 막을 갖는 복수의 통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Heating preventing structure for controller of electric kick board}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의 컨트롤러를 대상으로 한 냉각 작용이 컨트롤러의 회로보드에서 방출되는 열을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으로 직접 전달시켜 외부 대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컨트롤러의 발열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는 동시에 전동킥보드 내 모터 등의 설치 공간 활용도 향상 및 전동킥보드의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어린이나 청소년의 놀이수단 또는 근거리 이동수단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킥보드는 보드프레임에 전후로 휠이 설치되고, 전방의 휠이 핸들 및 조향포스트에 의해 조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킥보드는 사용자가 보드프레임에 한 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 발로 지면을 박차는 동작을 통해 동력이 발생되어 주행하게 되고,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전방의 휠의 주행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전동식 킥보드(이하 “전동킥보드”라 함)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동킥보드는 배터리, 모터, 컨트롤러 등 전장 부품의 동작 중 열이 발생되므로, 이에 대한 냉각 기능이 필요하다.
전동킥보드의 컨트롤러를 예로 더 설명하면, 기존의 전동킥보드에서 컨트롤러의 냉각은 컨트롤러에서 발생되는 열이 해당 컨트롤러의 케이스에 전달되고, 컨트롤러의 케이스에 전달된 열이 해당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으로 전달되며, 보드프레임에 전달된 열이 해당 보드프레임을 통해 최종 발산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즉, 컨트롤러에서 방출되는 열의 발산이 해당 컨트롤러의 케이스를 거쳐 해당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에 전달된 후 보드프레임을 통해 최종 발산되는 2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열 발산 성능 다시 말해 냉각 성능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037131호(2019.11.26.공고), “전동 킥보드 및 그 냉각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037535호(2011.05.26.공고), “전동식 자전거용 모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동킥보드의 컨트롤러를 대상으로 한 냉각 작용이 컨트롤러의 회로보드에서 방출되는 열을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으로 직접 전달시켜 외부 대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컨트롤러의 발열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는 동시에 전동킥보드 내 모터 등의 설치 공간 활용도 향상 및 전동킥보드의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는, 전동킥보드의 컨트롤러에 대한 발열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회로보드가 내장되도록 상기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에 형성되는 컨트롤러 하우징부와; 상기 컨트롤러 하우징부 내외로의 공기 순환을 위해 상기 컨트롤러 하우징부에 형성되며, 공기 및 수증기는 통과시키면서 물의 통과는 차단하는 기능성 막을 갖는 복수의 통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동킥보드의 컨트롤러를 대상으로 한 냉각 작용이 컨트롤러의 회로보드에서 방출되는 열을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으로 직접 전달시켜 외부 대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컨트롤러의 발열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는 동시에 전동킥보드 내 모터 등의 설치 공간 활용도 향상 및 전동킥보드의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에서 컨트롤러 하우징부의 하우징 본체를 냉각수 수용공간 중심으로 간략하게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에서 컨트롤러 하우징부에 대한 통기부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는 컨트롤러 하우징부(10) 및 복수의 통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트롤러 하우징부(10)는 전동킥보드용 컨트롤러의 회로보드(1)가 내장되도록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에 형성된다.
통기부(20)는 컨트롤러 하우징부(10)에 복수로 설치되며, 이러한 통기부(20)는 컨트롤러 하우징부(10) 내외로의 공기 순환을 위한 것이고, 이때 통기부(20)는 공기 및 수증기는 통과시키면서 물의 통과는 차단하는 기능성 막(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기능성 막(21)이 고어텍스(gore-tex)를 소재로 형성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연 설명하면, 통기부(20)는 컨트롤러 하우징부(10)에 형성되는 통기홀(22)에 기능성 막(21)이 부착된 구성이며, 또한 이러한 통기부(20)들은 컨트롤러 하우징부(10)의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공기 순환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전동킥보드의 컨트롤러를 대상으로 한 냉각 작용이 해당 컨트롤러의 회로보드(1)에서 방출되는 열이 해당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으로 직접 전달되면서 외부 대기를 통해 냉각되는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해당 컨트롤러의 발열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전동킥보드의 컨트롤러에 대한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기존 컨트롤러에서의 외부 케이스가 삭제됨에 따라, 전동킥보드의 모터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는 동시에 전동킥보드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에서 컨트롤러 하우징부의 하우징 본체를 냉각수 수용공간 중심으로 간략하게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에서 컨트롤러 하우징부에 대한 통기부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는 컨트롤러 하우징부(100), 통기부(200), 수위감지센서(300),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0),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20), 제어부(500), 냉각수 보충 표시램프(600),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2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트롤러 하우징부(100)는 전동킥보드용 컨트롤러의 회로보드(1')가 내장되도록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000)에 형성되며, 이러한 컨트롤러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본체(110) 및 결합블록(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 본체(110) 및 결합블록(120)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결합블록(120)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결합블록(120)이 합성수지 소재의 하우징 본체(110)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110)는 상부를 개방한 사각 박스형 구조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전동킥보드용 컨트롤러의 회로보드(1')가 내장되며, 각 측벽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냉각수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각 측벽의 상면에는 해당 측벽의 냉각수 수용공간(111)과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구(111a)가 형성되는 동시에 각 냉각수 유입구(111a)별 개폐용 마개(111b)가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110)는 냉각수 수용공간(111) 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기 위한 용도의 센서 설치홈(113)이 형성된다. 즉, 센서 설치홈(113)은 어느 하나의 냉각수 수용공간(111)과 통하도록 하우징 본체(110)의 측벽에 형성되며, 이러한 센서 설치홈(113)은 냉각수 수용공간(111) 모두를 대상으로 냉각수 수용공간(111)별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일부 냉각수 수용공간(111)을 대상으로 해당 냉각수 수용공간(111)별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110)는 후술되는 통기부(200) 형성을 위한 통기홀(112)이 복수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결합블록(120)을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000)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용의 볼트삽입홀(114)이 형성된다.
결합블록(120)은 하우징 본체(110)를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000)에 결합하기 위한 용도이며, 이를 위해 결합블록(120)은 수직 방향을 따라 나사홀(121)이 형성된다.
통기부(200)는 하우징 본체(110)의 통기홀(112)과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통기부(200)는 하우징 본체(110)의 내외로 공기가 통하면서 순환이 이루어져 하우징 본체(110) 내 컨트롤러 회로보드(1')에 냉각 기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기부(200)는 하우징 본체(110)의 통기홀(111)별로 공기 및 수증기는 통과시키면서 물의 통과는 차단하는 특성의 기능성 막(210)이 부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기능성 막(210)이 고어텍스(gore-tex)를 소재로 형성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우징 본체(110)의 통기홀(112) 및 이를 토대로 형성되는 통기부(200)들은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공기 순환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위감지센서(300)는 하우징 본체(110)의 센서 설치홈(113)에 하우징 본체(110)의 어느 한 냉각수 수용공간(111)과 통하도록 설치되어 해당 냉각수 수용공간(11) 내 수위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수위감지센서(300)가 설치된 센서 설치홈(113)이 밀봉되어 해당 냉각수 수용공간(111) 내의 냉각수 누수가 방지됨은 물론이며, 이를 위한 밀봉 구성은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부연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설치홈(113)은 하우징 본체(110)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센서 설치홈(113)별로 수위감지센서(300)가 설치되어 해당 냉각수 수용공간(111) 내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다.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0) 및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20)은 수위감지센서(300) 및 후술되는 제어부(500) 간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다시 말해 수위감지센서(300)의 감지 신호가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0) 및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20)의 중계 기능을 통해 제어부(500)에 전송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0) 및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20)이 각각 하우징 본체(110)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500)는 하우징 본체(110)에 내장되며, 이러한 제어부(500)는 하우징 본체(110)의 냉각수 수용공간(111) 내 물 보충 시기를 파악 및 알리기 위해 임계수위가 사전에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수위감지센서(300)로부터 상기 임계수위 미만의 수위 신호가 전송될 경우 후술되는 냉각수 보충 표시램프(600)를 점등 상태로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수위감지센서(300) 중 하나의 수위감지센서(300)를 통해 상기 임계수위 미만의 수위 신호가 전송되면 제어부(500)가 냉각수 보충 표시램프(600)를 점등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500)가 모든 수위감지센서(300)를 통해 상기 임계수위 미만의 수위가 전송될 시 냉각수 보충 표시램프(600)를 점등 상태로 제어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냉각수 보충 표시램프(600)는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000)에 형성되는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2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210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2100)는 컨트롤러 하우징부(100)로부터 상측에서 컨트롤러 하우징부(100)와 접하도록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000)에 형성되며, 이러한 컨틀로러 하우징 접촉부(2100)는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 요철형 덮개(2120), 나사홈(2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은 보드프레임(200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이러한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은 컨트롤러 하우징부(100)로부터 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은 상단에 후술되는 요철형 덮개(2120)의 거치를 위한 단차부(2111)를 갖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요철형 덮개(2120)는 사방 단부를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의 단차부(2111)에 거치시키면서 보드프레임(2000)에 결합되어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을 외부로부터 가려 덮는다. 이때 단차부(2111)의 높이는 요철형 덮개(2120)의 철부를 기준으로 한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요철형 덮개(2120)가 보드프레임(20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됨 없이 보드프레임(20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요철형 덮개(2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을 외부로부터 가려 덮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요철형 덮개(2120)는 복수의 에어홀(2121)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에어홀(2121)들을 통해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의 내외로 공기가 통할 수 있다.
나사홈(2130)은 컨트롤러 하우징부(100)의 결합블록(120)이 나사 결합되기 위한 구성으로써, 다시 말해 결합블록(120)이 그 나사홀(121) 및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2100)의 나사홈(2130)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볼트를 통해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2100)에 결합되고, 이를 통해 컨트롤러 하우징부(100)가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0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2100)에 의해서, 컨트롤러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본체(110) 내에서 방출되는 열이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2100)의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 아래쪽의 보드프레임(2000) 면에 전달되고, 이때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 아래쪽의 보드프레임(2000) 면은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과 접하면서 공랭 기능을 통해 항시 냉각되는 상태이므로, 하우징 본체(110)의 열 방출 및 그에 따른 하우징 본체(110) 내 회로보드(1')에 대한 냉각 기능이 매우 양호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을 덮고 있는 덮개가 요철형 덮개(2120)의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의 그 아래쪽 보드프레임(2000) 면에 대한 공랭 기능이 보다 양호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요철형 덮개(2120)의 요부에 상술한 냉각수 보충 표시램프(600)가 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기본적인 작용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의 작용과 대동소이하므로 도 1을 참조한 실시 예의 내용을 참조하면 될 것이고, 이에 더하여 본 실시 예는 아래에 설명되는 작용들을 더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즉, 하우징 본체(110)에 형성되는 냉각수 수용공간(111) 및 그에 수용된 냉각수를 통한 수냉식 냉각 기능 그리고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2100)의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을 통한 공랭식 냉각 기능에 의해서 하우징 본체(110) 내 컨트롤러 회로보드(1')에 대한 냉각 기능이 크게 향상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수용공간(111)에 대한 냉각수 보충 시기가 자동 알림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될 수 있으므로, 냉각수 수용공간(111)에 대한 냉각수의 공급이 제때 이루어지면서 냉각수 수용공간(111)을 통한 수냉식 냉각 기능이 항상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 : 회로보드 2,2000 : 보드프레임
10,100 : 컨트롤러 하우징부 20,200 : 통기부
21,210 : 기능성 막 22,112 : 통기홀
110 : 하우징 본체 111 : 냉각수 수용공간
111a : 냉각수 유입구 111b : 마개
113 : 센서 설치홈 114 : 볼트삽입홀
120 : 결합블록 121 : 나사홀
300 : 수위감지센서 410 :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420 :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500 : 제어부
600 : 냉각수 보충 표시램프 2100 :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
2110 : 공랭용 에어유입공간 2111 : 단차부
2120 : 요철형 덮개 2121 : 에어홀
2130 : 나사홈

Claims (1)

  1. 전동킥보드의 컨트롤러에 대한 발열 방지 구조에 있어서,
    합성수지를 소재로 상부를 개방한 사각 박스형 구조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상기 컨트롤러의 회로보드(1')가 내장되며, 각 측벽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냉각수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각 측벽의 상면에는 해당 측벽의 냉각수 수용공간(111)과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구(111a)가 형성되는 동시에 각 냉각수 유입구(111a)별 개폐용 마개(111b)가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수용공간(111) 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기 위한 용도의 센서 설치홈(113)이 형성되되, 상기 센서 설치홈(113)은 상기 냉각수 수용공간(111)과 통하도록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통기홀(112)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000)에 결합블록(120)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용의 볼트삽입홀(114)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110)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나사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110)를 상기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000)에 결합시키는 기능의 상기 결합블록(12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 및 결합블록(120)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화되는 컨트롤러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통기홀(112)과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내외로 공기가 통하면서 순환이 이루어져 하우징 본체(110) 내 상기 컨트롤러의 회로보드(1')에 냉각 기능이 제공되게 하고,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통기홀(111)별로 공기 및 수증기는 통과시키면서 물의 통과는 차단하는 특성의 기능성 막(210)이 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통기홀(112)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통기부(200):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센서 설치홈(113)에 하우징 본체(110)의 어느 한 냉각수 수용공간(111)과 통하도록 설치되어 해당 냉각수 수용공간(11) 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00):
    상기 수위감지센서(300) 및 제어부(500) 간의 통신을 위해 설치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300)의 감지 신호가 상기 제어부(500)에 전송되도록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0) 및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20):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내장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냉각수 수용공간(111) 내 물 보충 시기를 파악 및 알리기 위해 임계수위가 사전에 설정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300)로부터 상기 임계수위 미만의 수위 신호가 전송될 경우 냉각수 보충 표시램프(600)를 점등 상태로 작동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500):
    상기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000)에 형성되는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2100)에 설치되는 상기 냉각수 보충 표시램프(60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2100)는 컨트롤러 하우징부(100)로부터 상측에서 컨트롤러 하우징부(100)와 접하도록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00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동킥보드의 보드프레임(2000)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러 하우징부(100)로부터 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 요철형 덮개(2120)의 거치를 위한 단차부(2111)를 갖는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과;
    상기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을 외부로부터 가려 덮는 기능을 하며, 복수의 에어홀(2121)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홀(2121)들을 통해 상기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의 내외로 공기가 통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요철형 덮개(2120)와;
    상기 컨트롤러 하우징부(100)의 결합블록(120)이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홈(2130)을 포함하고,
    상기 요철형 덮개(2120)의 요부에 상기 냉각수 보충 표시램프(600)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 하우징 접촉부(2100)는, 상기 컨트롤러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본체(110) 내에서 방출되는 열이 상기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 아래쪽의 보드프레임(2000) 면에 전달되되, 상기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 아래쪽의 보드프레임(2000) 면은 상기 공랭용 에어유입공간(2110)과 접하면서 공랭 기능을 통해 항시 냉각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
KR1020200183186A 2020-12-24 2020-12-24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 KR102379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186A KR102379172B1 (ko) 2020-12-24 2020-12-24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186A KR102379172B1 (ko) 2020-12-24 2020-12-24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172B1 true KR102379172B1 (ko) 2022-03-28

Family

ID=8099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186A KR102379172B1 (ko) 2020-12-24 2020-12-24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1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432B1 (ko) 2022-04-21 2022-08-26 연제혁 전동퀵보드용 허브모터 냉각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전동퀵보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9493U (ko) * 1985-06-04 1986-12-13
JP2001180557A (ja) * 2000-11-17 2001-07-03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型車両
KR101037535B1 (ko) 2009-04-17 2011-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동식 자전거용 모터
JP2011110980A (ja) * 2009-11-25 2011-06-09 Honda Motor Co Ltd 倒立振子型移動体の電装部品冷却装置
JP2012081879A (ja) * 2010-10-12 2012-04-26 Fuji Heavy Ind Ltd 車両の充電器及びバッテリ冷却構造
KR20120071327A (ko) * 2010-12-22 2012-07-02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차량
KR20180071170A (ko) * 2016-12-19 2018-06-27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
KR20190118246A (ko) *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유테크 전동 킥보드 및 그 냉각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9493U (ko) * 1985-06-04 1986-12-13
JP2001180557A (ja) * 2000-11-17 2001-07-03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型車両
KR101037535B1 (ko) 2009-04-17 2011-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동식 자전거용 모터
JP2011110980A (ja) * 2009-11-25 2011-06-09 Honda Motor Co Ltd 倒立振子型移動体の電装部品冷却装置
JP2012081879A (ja) * 2010-10-12 2012-04-26 Fuji Heavy Ind Ltd 車両の充電器及びバッテリ冷却構造
KR20120071327A (ko) * 2010-12-22 2012-07-02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차량
KR20180071170A (ko) * 2016-12-19 2018-06-27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
KR20190118246A (ko) *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유테크 전동 킥보드 및 그 냉각 시스템
KR102037131B1 (ko) 2018-04-10 2019-11-26 주식회사 유테크 전동 킥보드 및 그 냉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432B1 (ko) 2022-04-21 2022-08-26 연제혁 전동퀵보드용 허브모터 냉각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전동퀵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9172B1 (ko) 전동킥보드 컨트롤러 발열 방지 구조
KR101276006B1 (ko) 전자 제어 장치
JP2013229180A (ja) バッテリ装置
PT99414B (pt) Sistema amti-roubo para veiculos motorizados
WO2012098780A1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移動体
EP3468319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KR20170103242A (ko) 벤팅 가스의 배기 구조가 개선된 셀 모듈 어셈블리
JP6119350B2 (ja) 電源装置
EP0778180B1 (en) A container for an electronic control unit
CN208387148U (zh) 具有安全保护功能的车辆控制器
US11731568B2 (en) Communication unit and vehicle
JP4285139B2 (ja) 車両用液圧制御装置
JP2006120468A (ja) 電気回路収納用容器
JP6615703B2 (ja) 基板収容ケース、電装ユニット及び作業機
JP2005127526A (ja) 冷蔵庫
US20060237464A1 (en) Vehicle vacuum flask
CN213566250U (zh) 一种电动车防盗报警器外壳
JP2574792Y2 (ja) 防水筺体
KR950005339Y1 (ko) 세탁기
CN216724209U (zh) 烹饪器具
KR200151857Y1 (ko) 방열수단이 구비된 컴퓨터용 책상
CN218975633U (zh) 控制装置以及阻车设备
CN214472556U (zh) 一种信号接插件
CN210405942U (zh) 一种防水型线路板总成
CN210793429U (zh) 一种电池包车锁内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