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363B1 - 만성 상처의 괴사조직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만성 상처의 괴사조직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363B1
KR102376363B1 KR1020187033305A KR20187033305A KR102376363B1 KR 102376363 B1 KR102376363 B1 KR 102376363B1 KR 1020187033305 A KR1020187033305 A KR 1020187033305A KR 20187033305 A KR20187033305 A KR 20187033305A KR 102376363 B1 KR102376363 B1 KR 102376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debridement
necrotic tissue
removal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058A (ko
Inventor
에브제니아 로진스키
다프나 게블린저
데보라 한나 바르트펠트
에일론 아스쿠라이
Original Assignee
메디운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운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메디운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9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73Cysteine endopeptidases (3.4.22), e.g. stem bromelain, papain, ficin, cathepsin 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2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14Hemi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C12N9/50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 C12N9/63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2Cysteine endopeptidases (3.4.22)
    • C12Y304/22031Ananain (3.4.22.3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2Cysteine endopeptidases (3.4.22)
    • C12Y304/22032Stem bromelain (3.4.22.3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52Polypeptides, proteins, e.g. glycoproteins, lipoproteins, cytokines
    • A61L2300/254Enzymes, proenzy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 괴사조직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및 수용성 겔화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의 형태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상처 부위에 국소 적용함을 포함하는, 만성 상처의 괴사조직제거의 방법에 관한 것이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상처 부위에 4주 이하의 기간에 걸쳐 10회 이하로 상처 부위에 적용되어 만성 상처의 괴사조직제거를 달성한다.

Description

만성 상처의 괴사조직제거 방법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상처 괴사조직제거(debridement)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처 부위에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및 수용성 겔화제(gelling agent)를 포함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debriding formulation)을 국소 적용함을 포함하는, 만성 상처의 괴사조직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debriding formulation)은 상처 부위에 4주 이하의 기간에 걸쳐 10회까지 적용됨으로써 만성 상처의 괴사조직제거를 달성한다.
발명의 배경
만성 또는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는 매년 수백만명의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일반적인 가벼운 질병(ailment)이다. 대부분의 만성 상처는 피부 및 피하 조직으로의 혈류를 감소시키는 국소 또는 일반화된 혈관 기능부전에 의해 유발된다. 가장 흔한 유형의 만성 또는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는 압력 궤양(와위(decubiti) 또는 "욕창(bed sore)"), 당뇨병성 궤양, 동맥 궤양, 정맥 궤양, 및 수술후/외상 후 궤양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만성 상처는 피부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한다. 이러한 손상은 피부의 전체 두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흔히 더 깊은 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손상된 피부는 건강한 피부의 해부 조직을 손실하며, 각질층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괴되고 후속적으로 피부의 내층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더 이상 보호되지 않는다. 더욱이, 손상된 피부는 전형적으로 치유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거되어야만 하는 가피(eschar), 손상되고/되거나 비정상적인 세포를 함유한다. 제자리에 가피를 남겨두는 것은 이웃하고 있는, 손상되지 않은 조직으로 손상을 확대시켜 보다 깊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가피는 또한 세균 성장을 위한 배지 및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감염, 오염원 및 패혈증의 원인으로 제공된다.
만성 상처에서 가피 및 괴사 조직의 조성 및 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는 이것이 세포외 매트릭스 단백질 및 자가분해 괴사조직제거의 분해 생성물을 나타내는 다수의 단백질 종으로 구성됨을 나타내었다. 이들 연구는 만성 상처 괴사조직제거가 만성 상처에서 생존가능하지 않은(non viable) 및 괴사 조직의 다양한 성분을 분해하는 다중 효소 특이성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괴사조직제거"로 알려진, 가피, 질환이 있고/있거나 비정상인 세포의 제거는 시술(surgical procedure)에 의해, 기계적 수단(드레싱 교환, 목욕)에 의해, 자가분해 과정(침연(marceration)을 촉진하는 드레싱)에 의해 또는 효소적 수단에 의해 수행된다. 수술은 괴사조직제거의 가장 일반적인 절차 중의 하나이며, 여기서 작은 괴사 부위가 전체 손상된 피부에서 제거된다. 이러한 방법은 작은 접하지 않은 표면(non-tangential surface)에 한정된다. 이는 또한 보존되는 경우, 천연 치유 과정을 위한 공급원으로서 제공할 수 있는, 건장한 조직의 큰 분획의 제거를 포함한다. 수술 절차는 또한 더 비싸고 의료 자원을 필요로 한다.
효소적 괴사조직제거는 고통이 거의 없고, 보다 선택적이며 잘-훈련된 의료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주로 기계적 및 외과적 괴사조직제거보다 유리하다. 괴사조직제거를 위한 단백질분해 효소의 적용은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들 효소는 세균으로부터 분리된 것들 및 파파야(파파인), 무화과(피신), 및 파인애플(브로멜라인)과 같은 식물 공급원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 것들을 포함한다. 포유동물 숙주에서의 살아있는 조직으로부터 생존가능하지 않은, 특히 가피 조직의 분해, 절개 및 분리를 위해 유용한 파인애플 식물로부터 기원한 가수분해 효소가 다른 것들 중에서도 미국 특허 제4,197,291호; 제4,226,854호; 제4,307,081호; 제4,329,430호 및 제5,830,739호에 기술되어 있다.
단백질분해 효소의 국소 적용으로부터 수득된 치료학적 활성의 정도는 특히, 효소의 고유의 촉매 특성에 의해 지배된다. 단백질분해 효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국소적 사용과 관련된 주요 문제는 효소의 촉매 활성이 병변 부위에서 대표적인 저 pH, 상처 층의 표면 및/또는 드레싱 표면으로의 효소 분자의 흡수, 및 상처 삼출물 내의 모이어티(moiety)에 의한 효소 활성의 억제로 인하여 급속하게 약화된다. 따라서, 안정한 효소 제형은 복잡하다.
Santyl® 연고와 같은 몇가지 연고가 가피의 괴사조직제거용으로 현재 시판되고 있다. 이들 연고는 대표적으로 수개월 동안 매일 적용되어 바람직한 상처 괴사조직제거를 달성한다.
미국 특허 제4,668,228호(Bolton 등에게 허여됨)는 가피 및 괴사 조직의 괴사조직제거를 위해 유용한 단백질분해 효소, 예컨대, 서브틸리신, 브로멜라인을 폐색성 또는 반-폐색성 외과 접착 테이프의 접착 매쓰 표면(adhesive mass surface) 위에 건조 분말 형태로 함유하는 괴사조직제거용 테이프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668,228호에 따르면, 괴사조직제거용 테이프를 화상이 있는 표면에 적용하는 경우, 폐색성 테이프 백킹(backing)을 침투할 수 없는 상처로부터의 물이 괴사조직제거용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미국 특허 제4,784,653호(Bolton 등에게 허여됨)는 외부 층으로서 폐색성 필름, 중간 층으로서 섬유의 흡수성 층, 및 친수성 및 소수성 특성 둘 다를 갖는 아크릴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내부 상처에 접하는 습윤-접착제(wet-stick adhesive)를 갖는 3층 샌드위치-형 구조를 포함하는 궤양 및 화상형 상처를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흡수성 접착 드레싱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784,653호에 따르면, 괴사조직제거용 효소는 경우에 따라 접착성 매쓰(adhesive mass)에 첨가될 수 있다.
미국 제5,271,943호(Bogart 등에게 허여됨)는 최소 항복점(yield point)이 약 800 포이즈(poise)이고 최대 겉보기 점도가 약 100,000 cps인 치료학적 겔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겔은 물, 염화나트륨, 및 겔화제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5,514,370호(Stern 등에게 허여됨)는 비-수성 부형제 속에 고 농도의 콜라게나제를 함유하는 국소 적용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514,370호는 또한 필수적으로 비-수성 부형제 및 콜라게나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상처에 적용함을 포함하여,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804,213호(Rolf에게 허여됨)는 건조 미립자 형태의 천연 또는 합성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예비패키지화된 상처 드레싱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804,213호에 따르면, 건조 미립자 형태의 하이드로콜로이드는 밀봉된 용기(container)를 습기로부터 분리하는 구획 속에 함유된다. 물과 혼합된 후, 혼합물은 이것이 상처에 부어지거나 확산되도록 하기에 충분히 유체(fluid)이다. 상처에 적용한 후에, 수화된 하이드로콜로이드성 분산액은 고화되기 시작하여 물, 하이드로콜로이드 및 생물학적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고체의, 자가-지지 굴곡성 드레싱(self-supporting flexible dressing)을 형성한다.
미국 특허 제6,548,556호(Hobson 등에게 허여됨)는 단백질분해 효소 및 무수 친수성 폴록사머 담체를 함께 사용하는 효소적 무수 친수성 데브라이더(debrider)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8,062,661호(Caldwell 등에게 허여됨)는 피부 상처를 하이드로겔 패치 괴사조직제거 조성물과 접촉시키고 피부 상처로부터 하이드로겔 패치 괴사조직제거 조성물을 제거하여 피부 상처로부터 외부 물질을 제거함을 포함하는 피부 상처를 괴사조직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된 국제 특허원 공보 제WO 2006/054309호는 가피 조직을 괴사조직 제거하고 및 상처 치유하는데 유용한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괴사조직제거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된 국제 특허원 공보 제WO 2013/011514호는 두피트렌 질환(Dupuytren's disease) 및 페이로니병(Peyronie's disease)을 포함하는, 과량의 콜라겐 침착과 관련된 연결 조직 질환의 치료를 위해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추출물을 개시하고 있다.
2016년 1월 31일자로 출원되어,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허여된 미국 가특허원 제62/289,246호는 건조 형태인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및 수성 겔 담체를 포함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사용 전에,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은 수성 겔 담체와 혼합되어 만성 상처의 괴사조직제거 및 치료에 유용한 괴사조직제거용 조성물을 형성한다.
완전한 상처 괴사조직제거를 달성하고 만성 상처의 봉합 및 치유를 촉진하는 만성 상처의 효소적 괴사조직제거의 개선된 방법에 대해 오랫 동안 느껴온 충족되지 않은 필요성이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처 부위에 괴사조직제거용 제형(debriding formulation)을 4주 이하의 기간 동안 10회 이하 적용하는 요법(regimen)으로 국소 적용함을 포함하는, 상처의 괴사조직제거 및/또는 상처, 특히 만성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i) 줄기 브로멜라인 (EC 3.4.22.32) 및 아나나인(ananain)(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및 (ii) 수용성 겔화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로서 제형화되며, 여기서 수용성 겔화제는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이외의 것이고,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어도 4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됨으로써 가피/딱지(slough) 및 다양한 형태의 약화된 괴사 조직의 괴사조직제거를 달성한다.
상처 괴사조직제거는 상처 층 제조(wound bed preparation: WBP)의 중요한 공정이며 상처 치유 및 완전한 상처 봉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만성 상처 관리에 있어 필수적인 중재로 고려된다.
Santyl® 연고와 같은, 만성 상처 치료용으로 오늘날 이용가능한 효소적 괴사조직제거제는 장기간, 예컨대, 3, 6 또는 심지어 12개월 동안 매일 적용하여 가피 제거를 달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이르러, 본 발명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적용당 약 24시간 동안 상처 부위에 유지시키면서, 10회까지 이를 만성 상처 위에 적용하는 것은 만성 상처의 필수적으로 완전한 가피(eschar) 괴사조직제거를 생성하였음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단기간의 치료 요법(treatment regimen)을 필요로 하며, 환자 순응도를 증진시키고, 몇일내에, 즉, 오늘날 공지된 효소적 괴사조직제거 방법보다 더 빠른 속도로 만성 또는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의 괴사조직제거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공지된 효소적 상처 괴사조직제거의 공지된 방법보다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다음의 성분을 포함한다:
(a) (i) 줄기 브로멜라인(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의 혼합물;
(ii) 수용성 겔화제(여기서 수용성 겔화제는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이외의 것이다);
(iii) 항-응고제(anti-aggregation agent) 또는 항-응집제(anti-agglomeration agent);
(iv) pH 조절제; 및
(b) 물을 포함하는 건조되거나 동결건조된 형태의 조성물,
여기서, 사용 전에, 조성물 (a)은 물 (b)과 혼합되어 점도가 약 2,000,000 센티포이즈(cP) 내지 약 8,500,000 cP의 범위이고 pH가 약 6.0 내지 약 8.0의 범위인 균질한 하이드로겔임을 특징으로 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형성하며,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속의 단백질의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0.5% (w/w) 내지 약 7% (w/w)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일부 구현예에서 pH가 약 6.4 내지 약 8.0의 범위, 예컨대, pH가 약 7.0이다. 이러한 pH 범위에서, 단백질분해 효소의 활성은 필수적으로 최대이다. 이들 pH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pH 조절제를 포함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인 효소적 괴사조직제거용 제제를 수득할 수 있도록 한다.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즉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의 혼합물의 활성제의 단백질 특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혼합물은 응고 또는 응집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음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응고 또는 응집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항-응고제 또는 항-응집제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균질한 하이드로 겔을 형성할 수 있다.
이의 성분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한편으로는 적절하게 점성이어서 단백질분해 효소가 만성 상처의 가피 조직으로 침투하여 생존가능하지 않은 조직을 효과적으로 괴사조직제거하도록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필수적으로 상처 부위로부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누출없이, 상처 부위에 국재화되도록 한다.
또한, 이의 성분으로 인하여,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제조 과정은 단순하고, 용이하며, 신속하고, 성분을 혼합하여 균질한 하이드로겔을 수득하는데 단지 수 분, 예컨대, 2분 미만이 걸리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혼합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제조는 의료인의 보조없이도, 환자가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만성 또는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를 가진 노인 환자용으로 특히 유리하다.
제1 국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처의 괴사조직제거의 치료가 요구되는 대상체의 상처 부위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4주 이하의 기간 동안 10회 이하 적용의 요법으로 국소 적용함을 포함하는 상처의 괴사조직제거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하이드로겔 형태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i) 줄기 브로멜라인 (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및 (ii) 수용성 겔화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수용성 겔화제는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이외의 것이고,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적어도 4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될 상처는 만성 상처이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만성 상처는 당뇨병성 궤양, 정맥 울혈성 궤양, 동맥 기능부전 궤양, 압력 궤양, 수술-후 상처, 및 외상-후 상처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각각의 가능성은 본 발명의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만성 상처는 당뇨병성 사지 궤양(diabetic lower extremity ulcer) 또는 정맥 하지 궤양(venous leg ulcer)이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적용하는 것은 10회 이하의 적용의 요법으로 수행되며,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상처 부위와 약 4 내지 24시간 동안, 예를 들면, 약 6 시간 동안, 약 8 시간 동안, 약 10 시간 동안, 약 12 시간 동안, 약 16 시간 동안, 약 24 시간 동안, 또는 매일 적용당 사이의 어떠한 정수 동안 접촉하여 유지된다. 각각의 가능성은 본 발명의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10회 까지의 적용 동안 적용당, 대안적으로 8회 까지의 적용 동안 약 24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10일의 연속일 동안 적용당 약 24 시간 동안 매일 적용된다.
여전히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적용하는 것은 격일의 10회까지의 적용의 요법으로 수행되며,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약 48 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여전히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적용하는 것은 격일의 8회까지의 적용 요법으로 수행되며,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약 48 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여전히 추가의 구현예에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적용하는 것은 10회까지의 적용 동안, 또는 8회까지의 적용 동안, 주당 3회 적용의 요법으로 수행되며,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약 48 시간 동안 및 적용당 약 72 시간 동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여전히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어느 것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적용하는 요법은 1회, 2회 또는 상처가 완전히 괴사조직제거될 때까지 반복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가피가 재발생하고 상처 봉합이 아직 수득되지 않은 경우, 가피가 완전히 괴사조직제거될 때까지 상기 요법을 1회, 2회 이상 반복한다.
여전히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적용하는 요법은 적어도 1일, 예를 들면, 2일, 3일, 4일, 5일, 6일, 1주, 2주, 3주, 4주 이상, 또는 이들 사이의 어떠한 정수의 적용의 중단을 수반한다. 각각의 가능성은 본 발명의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여전히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예를 들면, 괴사조직제거용 제형과 상처 부위의 약 6 시간 동안의 접촉 후, 약 8 시간 동안의 접촉 후, 약 10 시간 동안의 접촉 후, 약 12 시간 동안의 접촉 후, 약 24 시간 동안의 접촉 후, 약 48 시간 동안의 접촉 후, 또는 약 72 시간 동안의 접촉 후와 같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과 적어도 4 시간 동안의 접촉 후 상처 부위의 세척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전히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마취제, 항세균제, 항진균제, 및 소염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활성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취제와 같은 활성제를 상처 부위에 국소 적용할 수 있거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적용 전에, 괴사조직제거용 제형과 동시에, 또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적용 후에 경구적으로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처 괴사조직제거 방법에 사용될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다음 성분:
(a)(i) 줄기 브로멜라인 (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수용성 겔화제;
(iii) 항-응고제;
(iv)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건조된 또는 분말화된 형태의 조성물; 및
(b) 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사용 전에, 조성물 (a)는 물 (b)와 혼합되어 점도가 약 2,000,000 cP 내지 약 8,500,000 cP의 범위이고 pH가 약 6.0 내지 약 8.0임을 특징으로 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형성하며,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속의 단백질의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0.5% (w/w) 내지 약 7% (w/w)의 범위이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속의 단백질의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2% (w/w) 내지 약 7% (w/w)의 범위이고, 대안적으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1% (w/w) 내지 약 5% (w/w)의 범위이며, 추가로 대안적으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1% (w/w), 2%, 2.5%, 3%, 4%, 5%, 6%, 또는 약 7%이다. 각각의 가능성은 본 발명의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속의 단백질의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2% (w/w)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수용성 겔화제는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겔화제, 반-합성 겔화제 및 합성 겔화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겔화제는 예를 들면,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천연 검, 전분, 아가(agar), 및 펙틴과 같은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다당류이다. 각각의 가능성은 본 발명의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라서, 수용성의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겔화제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0.25% (w/w) 내지 약 5% (w/w)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구아 검이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항-응고제는 락토즈, 슈크로즈, 만니톨, 및 글루코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올리고사카라이드이다. 각각의 가능성은 본 발명의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라서, 항-응고제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10% (w/w) 내지 약 25% (w/w)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락토즈이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pH 조절제는 인산칼륨, 탄산칼륨, 인산나트륨, 및 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각각의 가능성은 본 발명의 별도의 구현예이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라서, pH 조절제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2% (w/w) 내지 약 10% (w/w)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이염기성 인산칼륨과 일염기성 인산칼륨의 조합물이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점도는 약 2,000,000 cP 내지 약 7,000,000 cP, 대안적으로 약 2,400,000 cP 내지 약 6,200,000 cP의 범위이다. 각각의 가능성은 본 발명의 별도의 구현예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pH는 약 6.0 내지 약 7.0의 범위이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라서, pH는 약 7.0이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물은 괴사조직제거용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55% (w/w) 내지 약 90% (w/w)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과 같은 소포제, 항-산화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PEG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전히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마취제, 진통제, 소염제, 항생제, 항-진균제, 성장 인자, 및 치유 촉진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될 상처는 만성 상처이고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i)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활성 주요 성분(active principal ingredient: API)으로 지정된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0.25% (w/w) 내지 약 5% (w/w)의 범위의 양의 구아 검;
(ii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10% (w/w) 내지 약 25% (w/w)의 범위의 양의 락토즈;
(iv)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2% (w/w) 내지 약 10% (w/w)의 범위의 양의 인산칼륨; 및
(v)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100% (w/w)를 완성시키는 양의 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속의 단백질의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양의 약 0.5% (w/w) 내지 약 7% (w/w)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 (w/w) 내지 약 5% (w/w)의 범위이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치료될 상처는 만성 상처이고,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i)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활성 주요 성분(API)으로 지정된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0.25% (w/w) 내지 약 5% (w/w)의 범위의 양의 구아 검;
(ii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10% (w/w) 내지 약 25% (w/w)의 범위의 양의 락토즈;
(iv) 괴사조직제거용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2% (w/w) 내지 약 10% (w/w)의 범위의 양의 인산칼륨;
(v) 괴사조직제거용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0.5% (w/w) 내지 약 10% (w/w)의 범위의 양의 PEG; 및
(v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100%를 완성시키는 양의 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속의 단백질의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0.5% (w/w) 내지 약 7% (w/w)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 (w/w) 내지 약 5% (w/w)의 범위이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다음을 포함한다:
Figure 112018114340646-pct00001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처 괴사조직 제거 방법에 사용될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다음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a)(i)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수용성 겔화제;
(iii) 항-응고제;
(iv)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건조된 또는 분말화된 형태의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사용 전에, 조성물 (a)를 물과 혼합하여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형성시키는 단계(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점도가 약 2,000,000 cP 내지 약 8,500,000 cP의 범위이고 pH가 약 6.0 내지 약 8.0의 범위인 균질한 하이드로겔임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국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처를 치료하고/하거나 상처의 봉합을 촉진하고/하거나 상처를 치료할 필요가 있는 대상체의 상처 부위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4주 이하의 기간 동안 10회까지의 적용의 요법으로 국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처를 치료하고/하거나 상처의 봉합을 촉진하고/하거나 상처를 치유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i) 줄기 브로멜라인 (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및 (ii) 수용성 겔화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의 형태로 존재하며, 여기서 수용성 겔화제는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이외의 것이고,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상기 어디에서도 정의한 바와 같이 적용당 적어도 4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다른 국면에 따라서, 본 발명은:
(a) (i) 줄기 브로멜라인(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수용성 겔화제(여기서 수용성 겔화제는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이외의 것이다);
(iii) 항-응고제;
(iv)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건조되거나 분말화된 형태의 조성물; 및
(b) 물을 포함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제공하며,
여기서, 조성물 (a)은 물 (b)과 혼합되어 점도가 약 2,000,000 cP 내지 약 8,500,000 cP의 범위이고 pH가 약 6.0 내지 약 8.0의 범위인 균질한 하이드로겔임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속의 단백질의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0.5% (w/w) 내지 약 7% (w/w)의 범위이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a) (i) 줄기 브로멜라인(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0.25% (w/w) 내지 약 5% (w/w)의 범위의 양의 구아 검;
(ii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10% (w/w) 내지 약 25% (w/w)의 범위의 양의 락토즈;
(iv)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건조되거나 분말화된 형태의 조성물; 및
(b) 약 55% (w/w) 내지 약 90% (w/w)의 범위의 양의 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조성물 (a)는 물 (b)과 혼합되어 점도가 약 2,000,000 cP 내지 약 8,500,000 cP의 범위이고 pH가 약 .0 내지 약 8.0의 범위인 균질한 하이드로겔임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속의 단백질의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0.5% (w/w) 내지 약 7% (w/w), 바람직하게는 약 1% (w/w) 내지 약 5% (w/w)의 범위이다.
특정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다음을 포함한다:
Figure 112018114340646-pct00002
다른 국면에 따라서, 상처의 괴사조직제거에 및/또는 상처의 치료에 및/또는 상처의 봉합의 촉진 및/또는 상처의 치유에 사용하기 위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제공되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i) 줄기 브로멜라인 (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및 (ii) 수용성 겔화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수용성 겔화제는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이외의 것이고,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4주 이하의 기간 동안 10회 이하의 적용의 요법으로 상처 부위에 국소 적용되며,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적용당 적어도 4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구현예는 후속되는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1a 내지 1f는 돼지에서 유도된 만성 상처의 사진이다. 도 1a는 치료 전의 만성 상처를 나타내고 도 1b1c는 각각 본 발명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사용한, 치료 7일째 및 10일째에서의 만성 상처를 나타낸다. 대조군으로서, 치료 전(도 1d) 또는 비히클(vehicle)로만 치료한 후 7일째 및 10일째(각각 도 1e1f)의 만성 상처를 나타낸다.
2는 24시간 동안 상처에 적용된 활성 약제학적 성분(API)의 농도의 함수로서 돼지에서 유도된 만성 상처의 10회 치료 후 깨끗한 부위 퍼센트를 나타낸다. 넓은 파선은 모델의 신뢰 구간(95%)을 나타낸다.
3은 24시간 동안 돼지에서 유도된 만성 상처에 적용된 API의 농도의 함수로서 깨끗한 곡선하 영역(AUC)을 나타낸다. 넓은 파선은 모델의 신뢰 구간(95%)을 나타낸다.
4는 24시간 동안 돼지에서 유도된 만성 상처에 적용된 API의 농도의 함수로서 가피 곡선하 영역(AUC)을 나타낸다. 넓은 파선은 모델의 신뢰 구간(95%)을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상처의 괴사조직제거를 위한 및/또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및/또는 상처의 봉합을 촉진하기 위한 및/또는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의 상처 부위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debriding formulation)을 4주 이하의 기간 동안 10회 이하의 적용의 요법(regimen)으로 국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i) 줄기 브로멜라인 (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및 (ii) 수용성 겔화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의 형태로 존재하며, 여기서 수용성 겔화제는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이외의 것이고,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적어도 4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본 발명은 또한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성 효소 혼합물 및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이외의 수용성 겔화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형태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제공한다.
이제, 돼지에서 유도된 만성 상처에 본 발명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10회 이하의 적용 동안 적용하는 것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적용단 24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경우, 만성 상처의 필수적으로 완전한 가피 괴사조직제거를 생성하였음이 개시된다. 괴사조직제거용 조성물이 상처 부위와 적용당 48시간 동안 2회 및 적용당 72시간 동안 1회 접촉하여 유지되는 경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만성 상처에 10회 이하의 적용 동안 주당 3회 적용되는 경우 유사한 괴사조직제거가 달성될 수 있다.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및 다양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debriding formulation)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사용된 용어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은 브로멜라인으로부터 부분 정제된 효소 제제를 지칭한다.
용어 "브로멜라인"은 상업적으로 시판될 수 있는 파인애플 식물의 줄기로부터 기원한 단백질 추출물을 지칭한다.
브로멜라인(또한 Debrase® 또는 NexoBrid®로 명명됨)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및 이의 제조는 제WO 2006/054309호 및 제WO 2013/01151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내용은 본원에 완전히 설정된 경우와 같이 참고로 포함된다.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은 브로멜라인 속에 존재하는 적어도 2개의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줄기 브로멜라인 (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한다. 단백질분해 혼합물은 예를 들면, 아나나인 (EC 3.4.22.31) 전구체, 과일 브로멜라인 (EC 3.4.22.33) 전구체, 및 줄기 브로멜라인 (EC 3.4.22.31) 전구체와 같은 브로멜라인의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전구체들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백질분해 혼합물은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단편(참고: 예를 들면, 제WO 2006/054309호), 자칼린-유사 렉틴, 및/또는 브로멜라인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 따라서,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혼합물은 줄기 브로멜라인 (EC 3.4.22.32), 아나나인 (EC 3.4.22.31), 브로멜라인의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전구체, 및 자칼린-유사 렉틴을 포함한다.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은 제WO 2013/011514호에 개시된 과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제조의 최종 단계로서, 단백질분해 혼합물은 동결건조되어 사용할 때까지 동결건조된 분말로서 저장된다.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은 매우 안정하며 2 내지 8℃에서 장기간, 예컨대, 3년 이하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간 후,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은 제조 공정 직후에 측정되는 원래의 괴사조직제거 활성의 적어도 90%를 유지한다.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활성 주요 성분(API)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속의 단백질의 양, 또는 대안적으로 API의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0.5% (w/w) 내지 약 7% (w/w)의 범위이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단백질 또는 API이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1% (w/w) 내지 약 5% (w/w)의 범위, 예를 들면, 약 1% (w/w), 2%, 3%, 4%, 5%, 6%, 7%, 또는 대안적으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2% (w/w)이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 용어 "건조하다", "건조된", "동결건조된" 또는 "분말화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5% (w/w) 이하의 양의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지칭하며, 대안적으로 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3%, 2%, 1%, 0.5% 이하, 또는 추가로 대안적으로 약 0.1% (w/w) 이하의 범위이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라서,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것으로서 용어 "하이드로겔"은 겔-유사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성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균질한" 하이드로겔은 점도가 일정한(예컨대, 완전히 잘 혼합된) 하이드로겔을 의미한다.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부형제는 모두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하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연방 또는 주 정부의 관리 기관에 의해 승인되거나 미국 약전 또는 사람에게 사용하기 위해 다른 일반적으로 인식된 약전에 나열됨을 의미한다.
용어 "약"은 나타낸 값의 10% 초과 또는 미만인 값을 지칭한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부형제는 수용성이다. 용어 "수용성"은 전형적으로 실온에서 1 gr/ml 내지 1 gr/30 ml의 범위의 수중 용해도를 갖는 제제를 지칭한다.
수용성 겔화제은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겔화제, 반-합성 겔화제, 및 합성 겔화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겔화제는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수용성의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겔화제는 예를 들면,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전분, 아가, 펙틴, 알기네이트, 카라기난, 또는 이의 조합과 같은, 수용성의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다당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가능성은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갈락토만난 및 글루코만난의 비-제한적인 예는 구아 검, 로커스트 콩 검, 크산탄 검, 검 아카시아, 검 트라가칸트, 겔란 검, 및 이의 혼합물이다. 각각의 가능성은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라서, 수용성의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겔화제는 구아 검이다.
다른 생중합체(biopolymer)는 예를 들면, 키틴, 키토산, 콜라겐, 젤라틴, 예를 들면, 헤파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더마탄 설페이트, 및 헤파란 설페이트와 같은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프로테오글리칸, 피브로넥틴, 및 라미닌을 포함한다.
반-합성 겔화제는 셀룰로즈 에테르(예컨대,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검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 겔화제는 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중합체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괴사조직제거용 조성물은 또한 항-응고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항-응고제 또는 항-응집제는 수용성 올리고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락토즈, 슈크로즈, 만니톨, 소르비톨, 및 글루코즈와 같은 어떠한 공지된 항-응고제이다. 각각의 가능성은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라서, 항-응고제는 락토즈이다.
pH 조절제는 바람직하게는 pKa가 6.0 초과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pH 조절제는 예를 들면, 인산칼륨,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및 인산나트륨과 같은 어떠한 공지된 pH 조절제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pH 조절제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2% (w/w) 내지 약 10% (w/w)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일염기성 인산칼륨 및 이염기성 인산칼륨의 조합물이다. 이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속에서 보다 많은 양의 일염기성 인산칼륨 및 이염기성 인산칼륨은 적용 부위에서 출혈을 유발함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pH 조절제가 일염기성 인산칼륨 및 이염기성 인산칼륨과의 조합물인 경우, 이들의 총 양은 바람직하게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10% 이하이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출혈없이 효과적인 괴사조직제거를 달성함이 개시된다.
조성물은 소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소포제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PEG-1450, PEG-3350,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성물은 예를 들면, 벤질 알코올, 파라벤, 메틸- 또는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및/또는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 디하이드로퀴논, 부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 및 디티오트레이톨과 같은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마취제, 항세균제, 항진균제, 소염제, 진통제, 성장 인자 및/또는 치유를 촉진하는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취제는 아메토카인(테트라카인), 리그노카인(요오도카인), 크실로카인, 부피바카인, 프릴로카인, 로피바카인, 벤조카인, 메피보카인, 코카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가능성은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항세균제는 아만파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아만파딘 설페이트, 아미카신, 아미카신 설페이트, 아모글리코사이드,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암사마이신, 바시트라신, 베타-락탐, 칸디시딘, 카프레오마이신, 카르베니실린, 세팔렉신, 세팔로리딘, 세팔로틴, 세파졸린, 세파피린, 세프라딘, 세팔로글리신, 칠롬페니콜, 클로르헥시딘, 클로스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클로록신, 클로르퀴랄돌,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시프로플록사신, 시르쿨린, 클린다마이신, 클린다마이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클로트리마졸, 클록사실린, 데메클로사이클린, 디클로스삭실린(diclosxacillin), 디요오도하이드록시퀸, 독시사이클린, 에탐부톨, 에탐부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에리트로마이신, 에리트로마이신 에스톨레이트, 에르마이신 스테아레이트, 파르네솔, 플록사실린, 젠타마이신, 젠타마이신 설페이트, 그라미시딘, 기세오풀빈, 할로프로긴, 할로퀴놀, 헥사클로로펜, 이미노사이클린, 요오도클로르하이드록시퀸, 가나마이신, 가나마이신 설페이트, 린코마이신, 리네오마이신, 리네오마이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마크롤라이드, 메클로사이클린, 메타사이클린, 메타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메테닌, 메텐아민 히푸레이트, 메텐아민 만델레이트, 메티실린, 메토니다졸, 미코나졸, 미코나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미노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무피로신, 나프실린, 네오마이신, 네오마이신 설페이트, 네티미신, 네티미신 설페이트, 니트로푸라존, 노르플록사신, 니스타틴, 옥토피록스, 올레안도마이신, 오르세팔로스포린, 옥사실린, 옥시테아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파라클로로메타 트실레놀, 파로모마이신, 파로모마이신 설페이트, 페니실린, 페니실린 G, 페니실린 V, 펜타미딘, 펜타미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페네티실린, 폴리믹신, 퀴놀론, 스트렙토마이신 설페이트, 테트라사이클린, 토브라마이신, 톨나프테이트, 트리클로산, 트리팜핀, 리팜핀, 리파마이신, 롤리테트라사이클린, 은 염(silver salt), 스펙니노마이신, 스피라마이신, 스트룹토마이신, 설폰아미드, 테트라사이클린즈, 테트라사이클린, 토브라마이신, 토브라마이신 설페이트, 트리클로카르본, 트리클로산,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타일로신, 반코마이신, 및 요로트리신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가능성은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항진균제는 니스타틴, 클로트리마졸, 미코나졸, 케토코나졸, 플루코나졸, 티아벤다졸, 에코나졸, 클로미다졸, 이소코나졸, 티아벤다졸, 티오코나졸, 설코나졸, 비포나졸, 옥시코나졸, 펜티코나졸, 오모코나졸, 세르타코나졸, 및 플루트리마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가능성은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소염제는 비-스테로이드성, 스테로이드성, 또는 이의 조합물일 수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비제한적 예는 피록시캄, 이속시캄, 테녹시캄, 수독시캄과 같은 옥시캄; 아스피린, 디살시드, 베노릴레이트, 트릴리세이트, 사파프린, 솔프린, 디플루니살, 및 펜도살과 같은 살리실레이트; 디클로페낙, 펜클로페낙, 인도메타신, 술린닥, 톨메틴, 이속세팍, 푸로페낙, 티오피낙, 지도메타신, 아세마타신, 펜티아작, 조메피락, 클린다낙, 옥세피낙, 펠비낙, 및 케토롤락과 같은 아세트산 유도체; 메페남산, 메클로페남산, 플루페남산, 니플룸산, 및 톨페남산과 같은 페나메이트;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베녹사프로펜, 플루리비프로펜, 케토프로펜, 페노프로펜, 펜부펜, 인도프로펜, 피르프로펜, 카르프로펜, 옥사프로진, 프라노프로펜, 미로프로펜, 티옥사프로펜, 수프로펜, 알미노프로펜, 및 티아프로펨산과 같은 프로피온산 유도체; 페닐부타존, 옥시펜부타존, 페프라존, 아자프로파존, 및 트리메타존과 같은 피라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추출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가능성은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스테로이드성 소염 약물의 비 제한적 예는 하이드로코르티손, 하이드록실-트리암시놀론, 알파-메틸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포스페이트,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클로베타솔 발레레이트, 데소니드, 데속시메타손, 데속시코르티코스테론 아세테이트, 덱사메타손, 디클로리손, 디플로라손 디아세테이트, 디플루코르톨론 발레레이트, 플루아드레놀론, 플루클로롤론 아세토니드, 플루드로코르티손, 프루메타손 피발레이트,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니드, 플루오시노니드, 플루코르틴 부틸에스테르, 플루코르톨론, 플루프레드니덴(플루프레드닐리덴) 아세테이트, 플루란드레놀론, 할시노니드, 하이드로코르티손 아세테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부티레이트, 메틸프레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코르티손, 코르토독손, 플루세토니드, 플루드로코리손, 디플루오로손 디아세테이트, 플루라드레놀론, 플루드로코르티손, 디플루로손 디아세테이트, 플루라드레놀론 아세토니드, 메드리손, 암시나펠, 암시나피드, 베타메타손 및 이의 에스테르의 균형물, 클로로프레드니손, 클로르프레드니손 아세테이트, 클로코르텔론, 클레스시놀론, 디클로리손, 디플루르프레드네이트, 플루클로로니드, 플루니솔리드, 플루오로메탈론, 플루페롤론, 플루프레드니솔론, 하이드로코르티손 발레레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사이클로펜틸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코르타메이트, 메프레드니손, 파라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및 트리암시놀론과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가능성은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진통제는 코데인, 하이드로코돈, 옥시코돈, 펜타닐, 및 프로폭시펜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가능성은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성장 인자는 상피 성장 인자,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치유를 촉진하는 제제는 하이알루론산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겔 제형의 점도는 어떠한 공지된 수단에 의해서도 측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판 판 기하학(plate plate geometry)을 사용한 절대 점도계를 사용하여 본원에 기술된 겔 제형의 점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된 점도 범위는 모두 실온에서 측정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무수 또는 분말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조성물 (a) 및 물 (b)은 단일 용기의 제1 구획 및 제2 구획 각각에 위치할 수 있거나, 2개의 별도의 용기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 전에, 조성물 (a) 및 물 (b)은 혼합되어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세균 바이오버든(bioburden)이 낮으므로, 본 발명의 제형은 상처 부위를 추가로 오염시킬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멸균성이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a) (i) 줄기 브로멜라인(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수용성 겔화제(여기서 수용성 겔화제는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이외의 것이다);
(iii) 항-응고제(anti-aggregation agent);
(iv)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건조되거나 분말화된 형태의 조성물; 및
(b) 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조성물 (a)은 물 (b)과 혼합되어 점도가 약 2,000,000 cP 내지 약 8,500,000 cP의 범위이고 pH가 약 6.0 내지 약 8.0의 범위인 균질한 하이드로겔임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속의 단백질의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0.5% (w/w) 내지 약 7% (w/w)의 범위이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a) (i) 줄기 브로멜라인(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0.25% (w/w) 내지 약 5% (w/w)의 양의 구아 검;
(ii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약 10% (w/w) 내지 약 25% (w/w)의 범위의 양의 락토즈;
(iv)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용기의 제1 구획 또는 제1 용기 속에 존재하는, 건조된 또는 분말화된 형태의 조성물; 및
(b) 용기의 제2 구획 또는 제2 용기 속에 존재하는, 약 55% (w/w) 내지 약 90% (w/w)의 범위의 양의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겔, 즉, 하이드로겔로서 제형화되며, 이와 같이 상처 부위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패치 제형(patch formulation)이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제형은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제형은 접착성이 아니다.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용도
본 발명은 괴사조직 제거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의 상처 부위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4주 이하의 기간 동안 10회 이하의 적용의 요법(regimen)으로 국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피부 상처의 괴사조직 제거를 위한 및/또는 피부 상처 치료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i) 줄기브로멜라인 (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및 (ii) 수용성 겔화제(여기서 수용성 겔화제는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이외의 것이다)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의 형태로 존재하며, 여기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적어도 4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상처는 만성 또는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 용어 "만성 상처", "만성 피부 상처" 또는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는 상처가 생기면서 내구성있는 구조적, 기능적 및/또는 화장적 봉합을 생성하기 위한 순차적이고 시기적절한 일련의 현상을 통해 진행하지 못한 상처를 지칭한다. 1개월 내에 치유되지 않는 상처는 만성 상처로 고려된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만성 상처는 당뇨병성 궤양, 정맥 울혈성 궤양, 동맥 기능부전 궤양, 압력 궤양, 수술-후 상처, 및 외상-후 상처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각각의 가능성은 본 발명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만성 상처는 당뇨병성 사지 궤양 또는 정맥 하지 궤양이다.
본원에 사용된 "상처의 괴사조직제거"는 생존가능하지 않은 조직: 괴사성 가피, 종기 딱지(slough) 또는 피브린, 외부 물질, 및 상처로부터의 세균/생물막의 제거를 지칭한다. 괴사성 가피는 얇거나 두껍고, 가죽같고, 약화된, 흑색, 갈색 또는 황갈색 조직인 반면, 종기 딱지 및 생물막은 상처 층 위의 삼출성의 백색 또는 황-갈색의 얼룩덜룩한, 빈약한 조직이다. 괴사성 조직, 외부 물질 및 세균은 국소 상처-치유 과정을 방해하는 메탈로프로테아제를 생산하거나 이의 생산을 자극함으로써 치유하려는 신체의 시도를 방해한다. 이러한 적대적인 환경은 세균이 증식하도록 하며, 상처 층을 덮고 있는 삼출물, 부스러기, 및 화농 분비물("종기 딱지") 내에서 상처를 추가로 콜로니화하도록 한다. 또한, 세균은 종기 딱지와 함께 생물막을 형성함으로써 잠재적인 파괴로부터 이들의 콜로니를 보호하는 구조적 생성물을 분비한다. 세균은 이들 자체의 상처-억제 효소를 생산하며, 보다 유의적으로, 상처 치유에 필수적인 부족하고, 이용가능한 국소 자원을 많이 소비한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상처의 괴사조직제거는 치료 전에 존재하는 생존가능하지 않은 조직의 적어도 50%, 대안적으로 적어도 75%의 제거를 지칭한다. 각각의 가능성은 본 발명의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라서, 상처의 괴사조직제거는 치료 전에 존재하는 생존가능하지 않은 조직의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 및 바람직하게는 100%의 제거를 지칭하며, 다시 말해서, 치료 전에 존재하는 생존가능하지 않은 조직의 90% 이상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상처의 완전한 괴사조직제거"로서 지칭된다.
만성 또는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에서 몇가지 상이한 인자들이 중요한 역활을 할 수 있다. 골, 힘줄, 근막 또는 심지어 지방과 같은 노출된 표면은 세포 증식을 지지하지 않으며 이들은 건조되어 합성 임플란트와 같은 외부체(foreign body)가 된다. 국소 혈액 공급(동맥, 정맥, 림프액, 압력 등)을 사용한 어떠한 방해도 상처가 치유하기 어렵고 만성이 되도록 유발할 수 있다.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은 다루기 힘들어지고, 위축되며, 이의 풍부한 혈관 매트릭스를 손실하여, 색상이 더 검고 불투명해지고 상처 치유 및 봉합 과정에서 어떠한 부분도 차지하지 않을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상처 층 제조"는 내인성 치유를 가속화시키거나 다른 치료학적 조처(measure)의 유효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적절한 괴사조직제거로부터 생성되는 상처 층을 지칭한다. 이는 치유를 지연시키는 상처 및 환자 둘 다 내에서 다양한 "버든(burden)"을 제거하는 괴사조직제거의 공정이다. 상처 내에서 버든은 삼출물, 세균, 생물막 및 괴사성/세포 부스러기를 포함한다. 환자의 전체적인 건강 상태는 치유 과정에 대해 중요하다. 만성 또는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에서 문제가되는 가피, 종기 딱지 또는 생물막의 완전한 제거는 깨끗한 상처 층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여전히 이러한 상처 층은 환자의 전신계 또는 극한 상태가 이를 지지할 수 없는 경우 미래의 치유에 여전히 부적절할 수 있다.
치유를 위해 제조된 상처 층은 생존가능한, 깨끗한 층 위에 반흔 및 구축-상피화(contracture-epithelialization)(임의로 생물학적 드레싱, 상처-치유 향상 드레싱, 합성 상처 드레싱, 진공 또는 오존 상처 치유 시스템과 같은 양식을 사용)에 의해 상처가 자발적으로 봉합되도록 하거나 자가 STSG(부분층피부이식: Split Thickness Skin Graft) 또는 피부 동종이식(allografting)을 지지할 건강한 조직 및/또는 건강한 육아 조직(그라눌로미터(granulometer) 규모로 >7의 수준)을 또한 갖는, 가피, 종기 딱지, 피브린 또는 생물막이 없는 것이다.
용어 "상처 봉합"은 조직의 덮개 세포(covering cell) 층을 재생하는 공정을 지칭한다. 따라서, 상처 봉합을 촉진하는 것은 덮개 세포 층의 재생시 긍정적인 효과를 생성함을 의미한다. 긍정적인 효과는 재생 공정의 가속화 또는 상처의 손상된 부위의 감소일 수 있다. 상처 봉합은 또한 2주 간격의 2회의 연속적인 연구 방문으로 확인된, 배농(drainage)이 없고, 추가의 드레싱이 필요하지 않은 완전한 상피화로서 정의된다.
용어 "치료학적 유효량"은 조성물이 투여되는 대상체에게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의 양이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상처 부위에 10회 이하의 적용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1일당 적용당 적어도 4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상처 부위에 10회 이하의 요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약 24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10회 이하의 연속일 동안 매일 적용되어 적용당 약 24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되거나 필요에 따라 1일 이상의 사이에 적용의 중지없이 적용당 약 24시간 동안 1, 2, 3, 4, 5, 6, 7, 8, 또는 9회 적용으로 연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상처 부위에 10회 이하의 요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약 48 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20일 이하의 연속일 동안 격일로 적용될 수 있거나 필요한 경우 1일 이상의 사이에 적용의 중지없이 격일마다 1, 2, 3, 4, 5, 6, 7, 8, 또는 9회 적용될 수 있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상처 부위에 10회 이하의 요법으로, 주당 3회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48시간 동안 및 적용당 72 시간 동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상처 부위에 대해 10회 이하의 요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약 72시간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라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약 72 시간 이하 동안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상처 부위와 적어도 4시간 동안 치료 후, 또는 24 시간 동안 치료 후, 또는 48 시간 동안 치료 후, 또는 72 시간 동안 치료 후와 같이, 나타낸 적용 시간 동안 접촉한 후, 상처 부위를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접촉 후,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후속적인 적용 전에 상처 부위를 세척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용의 중지를 수행하는 경우, 상처 부위를 습윤 염수 거즈(gauze)와 같은 습윤 드레싱으로 덮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폐쇄 층(occlusive layer) 또는 드레싱으로 덮어서 상처 부위에서 조성물을 유지하거나 보유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괴사조직제거 동안 상처 가장자리 및 상처-주변 피부를 보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나타낸 수치 값의 범위는 이들 사이의 어떠한 정수도 포함한다.
상기 어디에서 정의된 요법은 가피/괴사성 조직이 완전히 괴사조직제거될 때까지, 임의로 적용의 중지와 함께, 1회, 2회, 3회 이상 반복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적용의 중지는 수일, 수주 또는 수개월일 수 있다.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적용 요법은 가피를 괴사조직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반복할 수 있다. 가피가 재발하는 경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적용 요법을 필요한 경우 반복하여 가피를 괴사조직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합 치료요법을 포함하며, 여기서 본 발명의 방법은 수술 또는 예리한 괴사조직제거와 같은, 공지된 괴사조직제거 방법과 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수술 또는 예리한 괴사조직제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수술 또는 예리한 괴사조직제거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적용된 API의 양은 상처 표면의 100 cm2당 멸균되고 동결건조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약 0.1 gr 내지 약 2 gr 사이의 범위이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서, 상처 부위에 적용된 하이드로겔의 양은 상처 표면 100cm2당 약 20 gr이다.
실시예 1
겔 제형
다음의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개발하였다:
Figure 112018114340646-pct00003
* 평가된 API의 다른 양(w/w): 0.1%; 0.5%; 1%; 및 2%.
** 락토즈의 양은 API의 양에 따라 조절되었다.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API, 구아 검, 락토즈, 이염기성 인산칼륨, 일염기성 인산칼륨, 및 PEG-3350를 함유한 건조된 또는 분말화된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균질한 외형을 갖고 점도가 2,40,000 cP 내지 6,200,000 cP의 범위인 하이드로겔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겔 제형에 의한 가피의 괴사조직제거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상처의 가피 괴사조직제거의 최대 효능을 제공하는 겔 제형 속의 활성 성분의 투여량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만성 상처 모델은 잡종 사육 돼지에서 확립하였다.
겔 제형의 적용 전에, 상처 가장자리를 바셀린의 두꺼운 층으로 보호하였다. 각각의 상처 부위에 ~2 g의 겔 제형을 제공하여 상처를 24 시간 동안 덮고, 비 흡수성 드레싱으로 밴드처리하였다. 각각의 상처를 각각의 적용 전 및 후에 사진을 촬영하였다. 다음의 투여량을 시험하였다: 위약(0%), 0.1%, 0.5%, 1%, 2%, 5%.
이러한 과정을 11일 이하의 연속일 동안 또는 깨끗한 상처 층이 달성될 때까지 수행하였다. 이러한 기간은 "치료 기간"으로 지정하였다. 치료 기간은 치료가 없는 2주의 "회복 기간"을 수반하였다. 회복 기간에서 상처를 주당 3회 사진을 촬영하였다.
상처 부위, 깨끗한 부위 및 가피 용적을 육안으로 평가하고 ImageJ 소프트웨어(NIH, 미국 매릴랜드 주 소재)로 측정하고 JMP 통계 소프트웨어(SAS Inc., 미국 노쓰캐롤라이나 소재)로 분석하였다.
치료 첫날에, 모든 상처는 완전한 가피로 덮여있었다. 가피는 2개의 명백한 부위로 구성되었다:
a. 얇은 가피 층으로 덮힌, 상처의 중심부;
b. 완전한 괴사성 조직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가장자리.
치료 전 및 겔 제형 또는 겔 비히클을 사용한 치료 7 또는 10일 후 상처의 대표적인 사진을 도 1a 내지 1f에 나타낸다.
치료 기간 개시시, 만성 상처는 이미 가피로 발달하였다. 도 1a1d는 치료 전 만성 상처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사진이다. 가피는 2개의 명백한 부위로 구성되었다: 피부가 완전히 절개된 상처의 중심부, 및 상처 가장자리. 중심부에서, 얇은 가피 층이 발달한 반면, 가장자리에서, 가피는 괴사성 피부로 구성되었다. API를 함유하는 겔 제형을 사용하여 치료한 만성 상처에서, 가피는 둘레에서 용해가 가피를 살아있는 조직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차단될 때까지 치료 동안 연화되어 서서히 용해하였다(도 1b 1c). 대조적으로, 겔 비히클로 치료된 만성 상처는 치료 기간 동안 이들의 외관 및 일관성을 거의 변화시키지 않았다(도 1e1f).
깨끗한 부위를 총 상처 크기로부터의 퍼센트로 계산하였다. 가피의 용적은 가피의 부위 및 두께 둘 다를 고려하여, 첫번째 치료 직전에 가피 용적으로부터의 퍼센트로 계산하였다.
치료의 효능은 곡선하 영역(AUC)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으며, 여기서 x 축은 치료일이고 y 축은 깨끗한 부위의 퍼센트 또는 가피 용적의 퍼센트이다. 치료가 보다 효과적일 수록, 깨끗한 부위의 퍼센트에 대한 곡선하 영역이 더 크고 가피 용적에 대한 곡선하 영역이 보다 더 작다.
제형에 의해 유발된 자극을 평가하기 위하여, 5개의 맹검 평가자가 전체 실험의 사진에 따라 각각의 상처를 점수매겼다.
[표 1]
괴사조직제거 결과의 요약
Figure 112018114340646-pct00004
치료 기간 말기에 상처 부위 밖의 깨끗한 부위의 퍼센트 :
초기 상처 부위 밖의 치료 말기에 깨끗한 부위의 퍼센트는 API의 양에 유의적으로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API의 양에 대한 의존성은 선형이었다(도 2).
겔 제형에서 API의 5%의 용량에서, 상처의 평균 82%가 깨끗하였다.
치료 기간 말기에 상처의 초기 양 밖의 가피의 퍼센트:
초기 양 밖의 치료의 말기의 가피의 퍼센트는 API의 양에 유의적으로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API의 양의 의존성은 선형이었다.
겔 제형 속의 5%의 API의 용량에서, 가피의 평균 93%가 제거되었다.
곡선하 영역(AUC), 여기서 x축 은 치료 일이고 y 축 은 깨끗한 부위의 퍼센트이다:
본 파라메터는 치료의 세정 효능을 나타낸다: 치료가 더 효과적일 수록, AUC는 더 커진다. 치료 동안 깨끗한 부위의 퍼센트의 AUC는 API의 양에 유의적으로 의존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PI 양에 대한 깨끗한 부위의 AUC 퍼센트의 의존성은 선형이었다.
곡선하 영역(AUC) 여기서 x 축 은 치료 일이고 y축 은 가피의 초기 양 밖의 가피 퍼센트이다:
본 매개변수는 치료의 가피 제거 효능을 나타낸다: 치료가 더 효과적일 수록, AUC가 더 작아진다. 매개변수는 API의 양에 유의적으로 의존적임이 밝혀졌다. API 양에 대한 의존성은 선형이었다(도 4).
모두 함께 취해져서, 이들 결과는 API의 효과가 용량 및 시간 의존적임을 나타내었다.
자극
5명의 치료-맹검 평가자가 전체 실험을 거쳐 상처의 사진을 기준으로 각각의 상처를 점수매겼다. 위약에 의해 유발된 자극은 치료 그룹의 것보다 유의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자극은 API 양에 의존적이었으며 모든 치료에 있어서 후속 기간내 1일 또는 2일 후 완전히 사라졌다.
실시예 3
겔 제형에 있어서 API의 효능 및 안전성 - 임상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2개의 용량의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만성 정맥 하지 궤양 및 당뇨병성 사지 궤양의 괴사조직제거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본원에 상기 개시된 2% (w/w) 및 5% (w/w)의 겔 제형을 또한 위약과 비교하여, EX-02로 지정하였다.
연구는 다중심의, 가망있는, 무작위한, 위약 조절된, 이중 맹검의, 국제적인 연구이다.
3 cm2 내지 200 cm2 (표면적) 사이의 만성 상처(정맥 하지 궤양, 당뇨병성 사지 궤양)에 있어서, >50% 괴사성/종기 딱지/피브린 생존가능하지 않는 조직이 있는 성인을 연구에 포함시켰다.
환자를 EX-02 저 용량(2% w/w), EX-02 고 용량(5% w/w), 또는 위약 치료 그룹으로 무작위 처리한다. 치료는 10회 이하의 적용(10회 이하의 방문)으로 또는 어느 쪽이든 첫번째로 발생하여, 완전한 괴사조직제거가 달성될 때까지 주당 3회 수행하였다. 각각의 적용 기간은 24±2 시간 또는 주당 3회, 즉, 적용당 48±4 시간 및 72±4 시간이었다. 각각의 적용에 이어서 상처를 세척하고, 사진을 촬영하고 상처 크기 및 생존가능하지 않은 조직의 제거(디지탈 면적측정 소프트웨어) 및 과립화 조직, 상처 상태에 있어서의 변화, 및 안전성 매개변수에 대해 평가한다. 24 시간 치료를 주중 동안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주말 동안에는 상처를 촉촉한(moist-to-moist) 염수 거즈로 드레싱한다.
괴사조직제거 치료 기간이 완료된 후, 환자를 표준 과정에 따라 치료하고 마지막 적용(12회 이하의 방문)으로부터 12주 이하 동안 완전한 상처 봉합때까지 주당 1회 평가하였다(상처 평가). 상처 봉합이 달성된 환자의 경우, 상처 봉합 확인을 위한 추가의 3개월마다 후속 방문을 수행하고; 제1 개월 방문은 상처 봉합에 이른 후 2주째에 수행한다. 12주의 후속 방문 동안 상처 봉합이 달성되지 않았던 환자의 경우, 단지 3개월 후속 방문(30주)을 수행한다. 위약은 부형제만의 분말과 겔의 제조를 위한 물로서 제조한다.
다음의 종점을 평가하고 모든 상처에 대해 EX-02와 위약 사이를 비교하였다:
1차 종점
괴사조직제거 기간(8일 이하의 치료일)의 말기에 완전한 괴사조직제거(생존가능하지 않은 조직 제거)의 발생 정도
2차 종점
1. 완전한 괴사조직제거를 달성하는 시간(8회 이하의 치료내);
2. 완전한 괴사조직제거를 달성하기 위한 적용/치료 일의 수;
3. 치료 기간 동안 상처 괴사조직제거 상태 : 생존가능하지 않은 조직내 감소 퍼센트에 있어서의 변화의 평가(매일, 8회 치료 동안);
4. 완전한 과립화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12주 이하);
5. 완전한 과립화의 발생(12주째);
6. 시간에 따른 과립화 조직에 있어서의 변화 퍼센트(매주, 기본선-12주 동안);
7. 완전한 상처 봉합의 발생(12주 이하). 상처 봉합은 2주 떨어져서 2회의 연속적인 연구 방문시 확인된, 배농액없이, 및 추가의 드레싱이 필요없는 완전한 상피화로 정의된다;
8. 완전한 상처 봉합까지의 시간(12주 이하);
9. 상처 부위 감소: 시간에 따른 상처 크기에 있어서의 감소 퍼센트(주당, 기본선으로부터 12주까지).
10. 감염의 발생.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본 발명이 상기 본원에 특별히 나타내고 기술한 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을 인식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영역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35)

  1. 만성 상처의 괴사조직제거(debridement)에 사용하기 위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debriding formulation)으로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a) (i) 줄기 브로멜라인(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수용성 겔화제로서, 여기서 수용성 겔화제는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이외의 것이며, 상기 수용성 겔화제는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다당류인, 수용성 겔화제;
    (iii) 항-응고제(anti-aggregation agent);
    (iv)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건조된 또는 분말화된 형태의 조성물; 및
    (b) 물을 포함하고,
    사용 전에, 조성물 (a)는 물 (b)와 혼합되어, 절대 점도계로 측정되었을 때 점도가 2,000,000 센티포이즈(cP) 내지 8,500,000 cP의 범위이고 pH가 6.0 내지 8.0의 범위인 균질한 하이드로겔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형성하고,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중의 단백질의 양은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0.5% (w/w) 내지 5.5% (w/w)의 범위이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최대 4주의 기간 동안 최대 10회 적용의 요법(regimen)으로 만성 상처 부위에 국소 적용되고,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적어도 4시간 동안 만성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만성 상처가 당뇨병성 궤양, 정맥 울혈성 궤양, 동맥 기능부전 궤양, 압력 궤양, 수술-후 상처, 및 외상-후 상처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최대 10회 적용의 요법으로 적용되고,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24시간 동안 만성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최대 8회 적용의 요법으로 적용되고,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24시간 동안 만성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최대 10회 적용의 요법으로 적용되고,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48시간 동안 만성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최대 8회 적용의 요법으로 적용되고,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48시간 동안 만성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최대 10회 적용, 주당 3회 적용의 요법으로 적용되고,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48시간 및 적용당 72시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간 동안 만성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최대 8회 적용, 주당 3회 적용의 요법으로 적용되고,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은 적용당 48시간 및 적용당 72시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간 동안 만성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9.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법이 1회, 2회, 또는 필요한 경우 상처가 완전히 괴사조직제거될 때까지 반복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적용의 중지가 반복된 요법들 사이에서 수행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속적인 적용 전에, 만성 상처 부위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적어도 4시간의 접촉 후에, 24시간의 접촉 후에, 48시간의 접촉 후에, 또는 72시간의 접촉 후에 상처 부위를 세척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중의 단백질의 양이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1% (w/w) 내지 5% (w/w)의 범위인,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중의 단백질의 양이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2% (w/w)인,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다당류가 갈락토만난 또는 글루코만난인,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갈락토만난이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0.25% (w/w) 내지 5% (w/w)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구아 검인,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항-응고제가 올리고사카라이드인,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올리고사카라이드가 락토즈, 슈크로즈, 만니톨, 및 글루코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올리고사카라이드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10% (w/w) 내지 25% (w/w)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락토즈인,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19. 청구항 1에 있어서, pH 조절제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2% (w/w) 내지 10% (w/w)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인산칼륨인,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인산칼륨이 이염기성 인산칼륨과 일염기성 인산칼륨의 조합물인,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21. 청구항 1에 있어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pH가 6.0 내지 7.0의 범위인,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22. 청구항 1에 있어서, 물이 상기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54.5% (w/w) 내지 87.25% (w/w)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23. 청구항 1에 있어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소포제, 항-산화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24. 청구항 1에 있어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마취제, 소염제, 항생제, 항-진균제, 진통제, 성장 인자, 및 치유 촉진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25. 청구항 1에 있어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i)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로서,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중의 단백질의 양이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0.5%(w/w) 내지 5.5%(w/w), 또는 1%(w/w) 내지 5%(w/w)의 범위인,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0.25% (w/w) 내지 5% (w/w)의 범위의 양의 구아 검;
    (ii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10% (w/w) 내지 25% (w/w)의 범위의 양의 락토즈;
    (iv)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2% (w/w) 내지 10% (w/w)의 범위의 양의 인산칼륨; 및
    (v)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100% (w/w)를 완성시키는 양의 물을 포함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다음을 포함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Figure 112021137866446-pct00016
    .
  27. 청구항 1에 있어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이,
    (a) (i)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수용성 겔화제;
    (iii) 항-응고제;
    (iv)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건조된 또는 분말화된 형태의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사용 전에, 조성물 (a)를 물과 혼합하여, 절대 점도계로 측정되었을 때 점도가 2,000,000 센티포이즈(cP) 내지 8,500,000 cP의 범위이고 pH가 6.0 내지 8.0의 범위인 균질한 하이드로겔임을 특징으로 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형성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28. (a) (i) 줄기 브로멜라인(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수용성 겔화제로서, 여기서 수용성 겔화제는 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이외의 것이며, 상기 수용성 겔화제는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다당류인, 수용성 겔화제;
    (iii) 항-응고제;
    (iv)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건조되거나 동결건조된 형태의 조성물; 및
    (b) 물을 포함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으로서,
    사용 전에, 조성물 (a)는 물 (b)와 혼합되어, 절대 점도계로 측정되었을 때 점도가 2,000,000 센티포이즈(cP) 내지 8,500,000 cP의 범위이고 pH가 6.0 내지 8.0의 범위인 균질한 하이드로겔임을 특징으로 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형성시키고,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중의 단백질의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0.5% (w/w) 내지 5.5% (w/w)의 범위인,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a) (i) 줄기 브로멜라인(EC 3.4.22.32) 및 아나나인(EC 3.4.22.31)을 포함하는 브로멜라인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로서, 여기서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중의 단백질의 양은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0.5% (w/w) 내지 5.5% (w/w), 또는 1% (w/w) 내지 5% (w/w)의 범위인, 단백질분해 효소 혼합물;
    (i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0.25% (w/w) 내지 5% (w/w)의 양의 구아 검;
    (iii)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10% (w/w) 내지 25% (w/w)의 범위의 양의 락토즈;
    (iv)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용기의 제1 구획 또는 제1 용기 속에 존재하는, 건조된 또는 동결건조된 형태의 조성물; 및
    (b) 용기의 제2 구획 또는 제2 용기 속에 존재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의 총 중량의 55% (w/w) 내지 87.25% (w/w)의 양의 물을 포함하고,
    사용 전에, 조성물 (a)는 물 (b)와 혼합되어, 절대 점도계로 측정되었을 때 점도가 2,000,000 센티포이즈 (cP) 내지 8,500,000 cP의 범위이고 pH가 6.0 내지 8.0의 범위인 균질한 하이드로겔임을 특징으로 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을 형성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다음을 포함하는, 괴사조직제거용 제형:
    Figure 112021137866446-pct00017
    .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187033305A 2016-04-18 2017-01-30 만성 상처의 괴사조직제거 방법 KR102376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3812P 2016-04-18 2016-04-18
US62/323,812 2016-04-18
PCT/IL2017/050110 WO2017183018A1 (en) 2016-04-18 2017-01-30 Methods of debridement of chronic w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058A KR20190019058A (ko) 2019-02-26
KR102376363B1 true KR102376363B1 (ko) 2022-03-21

Family

ID=6011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305A KR102376363B1 (ko) 2016-04-18 2017-01-30 만성 상처의 괴사조직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190142910A1 (ko)
EP (1) EP3445389B1 (ko)
JP (1) JP6970980B2 (ko)
KR (1) KR102376363B1 (ko)
CN (1) CN109475608A (ko)
AR (1) AR107493A1 (ko)
AU (1) AU2017252085B2 (ko)
BR (1) BR112018071405A2 (ko)
CA (1) CA3021485C (ko)
ES (1) ES2936404T3 (ko)
IL (1) IL262452B (ko)
NZ (1) NZ748416A (ko)
RU (1) RU2742331C1 (ko)
TW (1) TWI781919B (ko)
WO (1) WO2017183018A1 (ko)
ZA (1) ZA2018075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09565T3 (es) 2016-01-31 2022-05-09 Mediwound Ltd Composición desbridante para el tratamiento de heridas
CA3146128A1 (en) * 2019-07-05 2021-01-14 Regenics As Wound debridement systems
MX2022005448A (es) * 2019-11-06 2022-07-21 Sol Gel Tech Ltd Método de tratamiento de queratodermia palmoplantar.
JP2023546431A (ja) * 2020-10-19 2023-11-02 メディウーンド リミテッド 皮膚癌を治療する方法
US20240148842A1 (en) * 2021-03-01 2024-05-09 Mediwound Ltd. Proteolytic enzyme mixture for treating psorias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1242A1 (en) * 1979-11-05 1981-05-14 Riker Laboratories Inc Method of enzymatic debridement
WO2006054309A2 (en) * 2004-11-22 2006-05-26 Mediwound Ltd. Debriding composition from bromelain
WO2010038231A1 (en) * 2008-10-02 2010-04-08 L.R.R.& D. Ltd. Interface layer wound dressi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7291A (en) 1974-01-08 1980-04-08 Gerold K. V. Klein Hydrolytic enzyme material
US4226854A (en) 1974-01-08 1980-10-07 Gerold K. V. Klein Debridement of devitalized tissue with hydrolytic enzyme product
US4307081A (en) 1974-01-08 1981-12-22 Gerold K. V. Klein Enzyme mixture
US4329430A (en) 1979-06-04 1982-05-11 Klein Gerold K V Enzyme mixture
US4668228A (en) 1985-03-12 1987-05-26 Johnson & Johnson Products, Inc. Debriding tape
US4784653A (en) 1987-06-22 1988-11-15 Johnson & Johnson Patient Care, Inc. Absorbent adhesive dressing
US5271943A (en) 1989-10-27 1993-12-21 Scott Health Care Wound gel compositions containing sodium chloride and method of using them
US5804213A (en) 1991-10-09 1998-09-08 Lectec Corporation Biologically active aqueous gel wound dressing
US5393792A (en) 1991-11-20 1995-02-28 Advance Biofactures Of Curacao, N.V. High dosage topical forms of collagenase
IL103969A (en) 1991-12-03 1997-01-10 Gerold K V Klein Proteolytic mixture containing escharase and method of isolating same
JP3277342B2 (ja) * 1992-09-02 2002-04-22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徐放性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法
RU2241489C2 (ru) * 1998-02-27 2004-12-10 Биора Биоэкс Аб Композиции матриксных протеинов для залечивания ран
US6548556B2 (en) 2000-12-27 2003-04-15 Healthpoint, Ltd. Stable enzymatic wound debrider
EP1691745B1 (en) 2003-12-11 2011-02-02 Teikoku Pharma USA,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kin wounds
ZA200701233B (en) * 2004-07-13 2008-10-29 Mediwound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rmatological wound healing
DK2734216T3 (en) 2011-07-20 2018-11-19 Mediwound Ltd PROTEOLYTIC EXTRACT FROM BROMELAIN FOR TREATMENT OF CONNECTIVE TISSUE DISEASES
US20130202581A1 (en) * 2012-02-02 2013-08-08 Curelon Llc Enzyme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for wound healing
CN105213107A (zh) * 2015-08-24 2016-01-06 泰州市榕兴医疗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菠萝酶凝胶敷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1242A1 (en) * 1979-11-05 1981-05-14 Riker Laboratories Inc Method of enzymatic debridement
WO2006054309A2 (en) * 2004-11-22 2006-05-26 Mediwound Ltd. Debriding composition from bromelain
WO2010038231A1 (en) * 2008-10-02 2010-04-08 L.R.R.& D. Ltd. Interface layer wound dr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107493A1 (es) 2018-05-02
ES2936404T3 (es) 2023-03-16
CA3021485A1 (en) 2017-10-26
JP6970980B2 (ja) 2021-11-24
AU2017252085A1 (en) 2018-12-06
JP2019511581A (ja) 2019-04-25
WO2017183018A1 (en) 2017-10-26
IL262452A (ko) 2018-12-31
EP3445389A4 (en) 2020-01-22
CN109475608A (zh) 2019-03-15
IL262452B (en) 2022-09-01
TWI781919B (zh) 2022-11-01
US20190142910A1 (en) 2019-05-16
TW201737938A (zh) 2017-11-01
AU2017252085B2 (en) 2021-09-16
EP3445389B1 (en) 2022-10-26
BR112018071405A2 (pt) 2019-02-05
ZA201807588B (en) 2020-02-26
CA3021485C (en) 2022-02-01
KR20190019058A (ko) 2019-02-26
RU2742331C1 (ru) 2021-02-04
EP3445389A1 (en) 2019-02-27
NZ748416A (en)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6363B1 (ko) 만성 상처의 괴사조직제거 방법
KR101320960B1 (ko) 키토산-글루칸을 포함하는, 상처 치유 및 상처에의 붕대 유착 방지용 제제
IL294659A (en) Methods and preparations of il2 skewed mutants
US20050181025A1 (en) Preparation for wound healing and prevention of bandage adhesion to the wound
Jacobsen Update on wound dressings: indications and best use
Hasegawa et al. Wound, pressure ulcer and burn guidelines–1: Guidelines for wounds in general
Karri et al.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and additives in the treatment of diabetic foot ulcers
KR102376345B1 (ko) 상처 치료용 괴사조직제거 조성물
US11938173B2 (en) Use of Clostridium histolyticum protease mixture in promoting wound healing
JP2023501910A (ja) 細菌感染および創傷治癒のための医薬組成物を含む局所的抗生物質
Reddy Karri et al.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and additives in the treatment of diabetic foot ulc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