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807B1 -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807B1
KR102375807B1 KR1020210141176A KR20210141176A KR102375807B1 KR 102375807 B1 KR102375807 B1 KR 102375807B1 KR 1020210141176 A KR1020210141176 A KR 1020210141176A KR 20210141176 A KR20210141176 A KR 20210141176A KR 102375807 B1 KR102375807 B1 KR 102375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tirring
stirring member
cooking vesse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1281A (ko
Inventor
임규식
이종훈
구선희
이정희
장홍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3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47J43/0711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8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9/81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ationary mix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8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9/83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rotary paddles or arms, e.g. movable out of the receptacle
    • B01F29/835Pan-type mixers, i.e. having stirrers moving along the bottom of a pan-shaped recepta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교반하면서 조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위치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 부재와 연결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지지되어 상기 트레이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 조리 어셈블리는 상기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 내측에서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면서 음식물이 교반되는 교반 부재 및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교반 부재가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STIR COOKING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을 교반하면서 조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Microwave)의 성질을 이용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 기기이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유전 가열방식에 의해, 음식물의 내부로부터 열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조리한다.
최근에는 마이크로파와 함께 히터의 복사열 및 대류열을 함께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자레인지, 오븐과 같은 조리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리 기기 내부의 조리실에 음식물을 투입하고, 조리 시간, 조리 온도 등을 설정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일반적으로 조리실의 바닥에는 회전 가능한 트레이가 제공된다. 이에 사용자는 음식물의 조리 중에 트레이가 회전되도록 설정하여, 조리 기기 내부에서 마이크로파를 포함한 열원을 통하여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조리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조리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측면은 조리 과정에서 음식물이 조리 용기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위치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 부재와 연결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지지되어 상기 트레이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 조리 어셈블리는 상기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 내측에서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면서 음식물이 교반되는 교반 부재 및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교반 부재가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의 엣지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교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용기는 바닥면의 중앙 영역에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는 저면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교반 부재가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교반부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교반부는 양 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제1 교반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제2 교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 부재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조리실의 일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서포터의 회전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일측이 상기 조리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서포터의 회전 경로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제2 교반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서포터를 지지하는 제3 교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 조리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 용기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 용기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엣지 영역에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다리는 저면에 상부로 오목한 트레이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다리는 상기 트레이 안착부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가 위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서포터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는 상기 서포터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트레이의 회전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레이의 회전 속도 및 회전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조리 어셈블리는, 음식물이 담기는 공간을 가지고,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 내측에서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면서 음식물을 교반시키는 교반 부재 및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의 엣지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교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용기는 바닥면의 중앙 영역에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는 저면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교반 부재가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교반부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교반부는 양 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제1 교반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제2 교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 부재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조리 용기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서포터의 회전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교반 조리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 용기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 용기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 부재는 조리 모드에 따라 상기 조리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실, 음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해 상대 회전하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 부재로서, 조리 모드에 따라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교반 부재 및 상기 조리 용기와 교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의 중앙부에서 엣지 영역을 향하여 연장된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양 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리 용기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위치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 부재와 연결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지지되어 상기 트레이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 조리 어셈블리는 상기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 내측에서 상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 부재 및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와 함께 회전되다 상기 스토퍼로 인하여 회전이 제한되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 용기와 함께 회전하는 음식물이 교반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위치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 부재와 연결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지지되어 상기 트레이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 조리 어셈블리는 상기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 내측에서 상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 부재 및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조리 용기는 상기 교반 부재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조리실에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조리 기기의 조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리 과정에서 음식물이 조리 용기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체 상태 및 액상의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리 기기에서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리 기기에서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교반 부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교반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교반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스토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가 음식물을 교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조리 기기에서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조리 기기에서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A 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8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교반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는 도 18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회전 전달 유닛이 조리 용기 및 교반 부재와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은 도 18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회전 전달 유닛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18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가 음식물을 교반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에는 마이크로파, 히터를 통한 복사열, 그리고 대류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모든 조리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조리 기기에는 전자레인지, 전기 오븐, 복합 오븐 등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리 기기를 전자레인지로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 기기에서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본체(10)와 조리실(2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조리 기기(1)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10)는 내측에 내부 공간을 가지는 조리실(20)이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20)은 본체(10)의 내측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조리실(20)은 음식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한다. 도어(30)는 본체(10)의 전면에 조리실(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는 힌지 결합된 일측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조리실(20)을 개폐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가열 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가열 유닛은 본체(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조리실(20)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조리실(20)과 연결될 수 있다. 가열 유닛은 고주파 가열 유닛, 대류(convection) 가열 유닛, 복사 가열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 가열 유닛은 조리실(20)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주파 가열 유닛은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마그네트론과, 마그네트론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류 가열 유닛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해 발열 작용을 하는 컨벡션 히터와, 컨벡션 히터 주위에 공기를 순환시켜 대류 작용을 일으키기 위한 컨벡션 순환팬이 포함할 수 있다.
복사 가열 유닛은 음식물에 직접 복사열을 가하여 조리한다. 이를 위하여, 복사 가열 유닛은 조리실(20)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되는 그릴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트레이(4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40)는 조리실(20)의 바닥면에 위치한다. 트레이(40)는 조리실(20) 내부에 제공되는 음식물이나 조리 도구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40)는 조리실(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40)는 조리실(20)의 바닥면 중앙부에 커플러(41)가 설치될 수 있다. 커플러(41)는 구동 부재(5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구동 부재(50)는 조리실(20)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 부재(50)는 트레이(40)의 커플러(41)와 결합되는 구동 커플러(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커플러(51)는 조리실(20)의 바닥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 커플러(51)는 트레이(40)의 커플러(41)와 결합되어 트레이(4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트레이(40)는 상면의 엣지 영역에 가이드부(43, 도 3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43)는 트레이(40)의 엣지 영역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가이드부(43)는 트레이(40)의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이드부(43)는 트레이(40)의 상면의 엣지 영역에 홈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부(43)는 트레이(40)의 상부에 놓여지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 등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컨트롤 패널(6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60)은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60)은 사용자가 조리 기기(1)의 조리 시간, 조리 온도, 조리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60)은 조리 기기(1)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60)은 입력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70)에 전달하고, 제어기(70)는 전달된 정보에 따라 조리 기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기기(1)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조리 기기에서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는 조리 용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용기(110)는 조리 기기(1)를 통해 조리할 음식물이 담기는 공간을 가진다. 조리 용기(110)는 바닥면(111)과 바닥면(111)의 엣지 영역에서 상부로 연장된 측면(112)을 가지고, 바닥면(111)과 측면(112)은 음식물이 담기는 공간을 형성한다.
일 예에 의하면, 조리 용기(110)는 바닥면(111)에 돌출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15)는 바닥면(11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115)는 교반 부재(120)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조리 용기(110)와 교반 부재(1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5)는 교반 부재(120)가 돌출부(115)를 축으로 하여 조리 용기(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돌출부(115)는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출부(115)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돌출부(115)는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는 교반 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반 부재(120)는 조리 용기(110) 내측에서 조리 용기(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교반 부재(120)는 조리 용기(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조리 용기(110)에 담겨진 음식물을 교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 부재(120)는 조리 용기(110)가 회전할 때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교반 부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120)는 연결부(121)와 제1 교반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21)는 조리 용기(1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21)는 조리 용기(110)의 돌출부(1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1)는 저면에 삽입홈(129)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29)은 돌출부(115)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11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121)는 돌출부(115)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 부재(120)는 음식물의 종류 및 조리 형태 등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의 교반 부재(120)로 교체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제1 교반부(122)는 연결부(121)와 연결되고, 연결부(121)와 함께 회전하면서 조리 용기(110)에 담긴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1 교반부(122)는 연결부(121)로부터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111)의 엣지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교반부(122)는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111)의 중앙 영역에서 엣지 영역까지 조리 용기(110)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반부(122)는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111)에 접촉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교반부(122)는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111)에 접촉된 상태로 바닥면(111)의 중앙 영역에서 엣지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교반부(122)는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111)에 접촉된 상태로 조리 용기(110)에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교반부(122)는 고체 상태의 음식물과 액상의 음식물까지도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111)에 달라붙지 않도록 교반하여 조리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반부(122)는 양 측면으로부터 중앙부(122a)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교반부(122)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연결부(121)로부터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의 엣지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교반부(122)는 중앙부(122a)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교반부(122)는 중앙부(122a)가 제1 높이(h1)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높이(h1)는 4 내지 5mm로 제공될 수 있다.
교반 부재(120)는 제2 교반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교반부(123)는 조리 용기(110)의 측면(112)을 따라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2 교반부(123)는 제1 교반부(122)로부터 조리 용기(110)의 내측면(112)을 따라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교반부(123)는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111)의 엣지 영역으로부터 조리 용기(110)의 내측면(112)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교반부(123)는 제1 교반부(122)와 동일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2 교반부(123)는 조리 용기(110)의 내측면(112)에 접촉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 교반부(123)는 내측면(112)에 접촉된 상태로 제1 교반부(122)의 엣지 영역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교반부(123)는 조리 용기(110)의 내측면(112)에 접촉된 상태로 조리 용기(110)에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교반부(123)는 고체 상태의 음식물과 액상의 음식물까지도 조리 용기(110)의 내측면(112)에 달라붙지 않도록 교반하여 조리할 수 있다.
교반 부재(120)는 제3 교반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교반부(125)는 제2 교반부(123)와 연결부(121)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교반부(125)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1 교반부(122)와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교반부(125)는 후술하는 서포터(127)의 하부에 위치하여 서포터(127)를 지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교반부(125)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교반 부재(120)는 서포터(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127)는 교반 부재(120)가 조리 용기(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교반 부재(12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서포터(127)는 일측이 교반 부재(120)의 연결부(121)에 결합되고, 타측이 조리실(20)의 일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포터(127)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일측이 연결부(121)에 결합되고, 타측이 조리 용기(11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포터(127)는 일측이 연결부(121)의 상면에 마련된 홈(128)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의 일부가 상부에서 바라볼 때 조리 용기(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포터(127)는 연결부(121)에 결합되어, 조리 용기(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서포터(127)는 교반 부재(120)가 조리 용기(110)에서 상대 회전하기 전까지 조리 용기(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는 스토퍼(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0)는 교반 부재(120)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여, 교반 부재(120)가 조리 용기(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30)는 서포터(127)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터(127)는 조리 용기(110)와 함께 회전 중에 서포터(127)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는 스토퍼(13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서포터(127)는 스토퍼(130)의 안착부(135, 도 8 참조)로 이동되면, 결합된 연결부(121)를 통하여 교반 부재(120)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리 용기(110)는 회전하고, 교반 부재(120)는 정지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교반 부재(120)는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서 조리 용기(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교반 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교반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부재(160)는 연결부(161), 제1 교반부(162), 제2 교반부(163), 제3 교반부(165), 서포터(127), 그리고 제3 교반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 부재(160)는 도 5의 교반 부재(120)와 비교하여 제3 교반부(168)를 더 포함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의 교반 부재(12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교반 부재(160)를 설명한다.
제3 교반부(168)는 연결부(161)로부터 조리 용기(110)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교반부(168)는 연결부(161)를 중심으로 제3 교반부(165)와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3 교반부(168)는 제3 교반부(165)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68a) 및 수평부(168a)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6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부(168b)는 2개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교반 부재(160)는 제1 교반부(162)와 제2 교반부(163)가 회전하면서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111)과 측면(112)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액상의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고, 제3 교반부(168)가 고체 상태로 제공되는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교반 부재(160)는 교반 부재(160)를 교체하지 않고 액상의 음식물과 고체 상태의 음식물이 모두 용이하게 교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반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7은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교반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부재(170)는 연결부(171), 교반부(173), 그리고 서포터(177)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 부재(160)는 도 5의 교반 부재(120)와 비교하여 교반부(173)의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의 교반 부재(12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교반 부재(170)를 설명한다.
교반부(173)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반원 형상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교반부(173)는 연결부(171)의 일측으로부터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111)의 엣지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교반부(173)는 연결부(171)로부터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111)의 엣지 영역으로 연장될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는 스토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0)는 서포터(127)의 회전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스토퍼(130)는 조리실(20)의 일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30)는 조리실(20)의 일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서포터(127)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스토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토퍼(130)는 안착부(135)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130)는 내측에 서포터(127)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일측면이 개방된 안착부(135)가 마련될 수 있다. 서포터(127)는 안착부(135)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안착부(135)의 내부로 이동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안착부(135)는 내부 공간이 서포터(127)의 부피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포터(127)는 안착부(135)에 위치하여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트레이(40)의 회전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 안착부(135)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스토퍼(130)는 제1 안착부(135a)와 제2 안착부(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부(135a)와 제2 안착부(135b)는 서포터(127)의 회전 반경상에서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착부(135a)와 제2 안착부(135b)는 개방된 일측면이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30)는 서포터(127)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서포터(127)가 제1 안착부(135a) 또는 제2 안착부(135b)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트레이(40)의 회전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도, 서포터(127)는 안착부(135)에 의하여 그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는 다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140)는 조리 용기(110)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리(14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다리(140)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다리(140)는 조리 용기(110)를 조리실(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다리(140)는 각각의 하단부가 트레이(40)의 가이드부(43)에 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다리(140)는 트레이(4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각각의 다리가 모두 트레이(40)의 가이드부(43)에 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복수개의 다리(140)는 트레이(4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조리 용기(110)가 일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복수개의 다리(140)가 트레이(40)의 가이드부(43)에 접하도록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를 위치시키면, 조리 용기(110)는 조리실(20)의 내부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다리(140)는 그 하단에 러버(rubber, 143)가 설치될 수 있다. 러버(143)는 트레이(40)의 상면과 접촉되어 트레이(4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가 트레이(40)에서 밀리지 않고 트레이(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140)는 저면에 트레이 안착부(145)가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 안착부(145)는 다리(140)의 저면에서 상부로 오목한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 안착부(145)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가 조리실(20)의 내부에서 일정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다리(140)에 제공되는 각각의 트레이 안착부(145)에 트레이(40)의 가이드부(43)가 위치하는 경우에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는 조리실(20)의 내부에서 일정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는 교반 부재(120)가 회전하여 서포터(127)가 스토퍼(130)의 트레이 안착부(145) 내부로 이동될 수 있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안착부(145)는 조리실(20)의 내부에서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를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다리(140)에 마련된 각각의 트레이 안착부(145) 내측에 트레이(40)의 가이드부(43)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가 회전하면서 트레이 안착부(145) 내측에 트레이(40)의 가이드부(43)가 위치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아도 트레이(40)의 상부에서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가 일정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교반 조리 어셈블리(1100)는 조리 용기(1110), 교반 부재(1120), 그리고 스토퍼(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용기(1110)는 조리 기기(1)를 통해 조리할 음식물이 담기는 공간을 가진다. 조리 용기(1110)는 바닥면(1111)과 바닥면(1111)의 엣지 영역에서 상부로 연장된 측면(1112)을 가지고, 바닥면(1111)과 측면(1112)은 음식물이 담기는 공간을 형성한다.
조리 용기(1110)는 바닥면(1111)이 평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 용기(1110)는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와 비교하면, 교반 부재(1120)가 고정되는 돌출부(115)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교반 부재(1120)는 연결부(1121), 제1 교반부(1122), 제2 교반부(1123), 제3 교반부(1125), 서포터(1127), 그리고 제3 교반부(112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교반 부재(160)와 비교하면, 교반 부재(1120)는 연결부(1121)와 서포터(1127)가 상이하고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의 교반 부재(160)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그 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1121)는 교반 부재(1120)의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121)는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121)는 도 6의 교반 부재(160)와 달리 저면이 평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서포터(1127)는 교반 부재(1120)가 조리 용기(1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교반 부재(112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서포터(1127)는 일측이 연결부(1121)의 상면에 마련된 결합부(112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서포터(1127)는 연결부(112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서포터(1127)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3 교반부(1125)와 제3 교반부(1129)를 따라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서포터(1127)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일측이 제3 교반부(1125)를 따라 조리 용기(11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포터(1127)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타측이 제3 교반부(1129)를 따라 조리 용기(11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포터(1127)는 도 6의 교반 부재(160)와 달리, 조리 용기(1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서포터(1127)는 회전 중에 서포터(1127)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는 스토퍼(113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스토퍼(1130)는 서포터(1127)의 회전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스토퍼(1130)는 조리실(20)의 일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130)는 조리실(20)의 일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서포터(1127)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1130)는 제1 스토퍼(1131)와 제2 스토퍼(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131)와 제2 스토퍼(1132)는 조리실(20)의 내측벽에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토퍼(1131)와 제2 스토퍼(1132)는 조리 용기(1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서포터(1127)의 일측과 타측의 회전을 각각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1130)는 도 8의 스토퍼(130)와 동일하게 내측에 안착부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1130)는 내측에 서포터(1127)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일측면이 개방된 안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서포터(1127)는 안착부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안착부의 내부로 이동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교반 조리 어셈블리(1100)는 서포터(1127)가 저장실(20)의 내벽에 설치된 스토퍼(113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조리 용기(1110)와 교반 부재(1120)를 지지하는 제3 교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교반부재는 조리 용기(1110)의 저면에서 조리 용기(1110)와 교반 부재(1120)를 일정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포터(1127)가 조리 용기(1110)와 함께 회전하다 스토퍼(1130)와 접촉되면서 조리 용기(1110) 내부에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교반 조리 어셈블리(1200)는 조리 용기(1210), 교반 부재(1220), 스토퍼(1230), 그리고 다리(124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 조리 어셈블리(1200)는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와 비교하면 교반 부재(1220)와 스토퍼(1230)가 상이하고,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교반 조리 어셈블리(1200)를 설명한다.
교반 부재(1220)는 연결부(1221), 제1 교반부(1222), 제2 교반부(1223), 그리고 서포터(1227)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 부재(1220)는 연결부(1221), 제1 교반부(1222), 그리고 제2 교반부(1223)가 도 5의 교반 부재(120)에서 연결부(121), 제1 교반부(122), 그리고 제2 교반부(123)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서포터(1227)는 도 5의 교반 부재(120)의 서포터(127)와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의 교반 부재(12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교반 부재(1220)를 설명한다.
서포터(1227)는 교반 부재(1220)가 조리 용기(12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교반 부재(120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서포터(1227)는 서포터 암(1227a)과 서포터 걸림부(1227b)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 암(1227a)은 일측이 연결부(1221)에 결합되고, 타측이 연결부(1221)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포터 암(1227a)은 연결부(122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부(1221)에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 암(1227a)은 연결부(1221)의 상부에 마련된 홈(1229)에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 걸림부(1227b)는 서포터 암(1227a)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서포터 걸림부(1227b)는 일측이 서포터 암(1227a)과 연결되어 연결부(122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서포터 걸림부(1227b)는 일측이 스토퍼(123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서포터 걸림부(1227b)는 회전 중에 스토퍼(1230)로 인하여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교반 부재(1220)는 제3 교반부(1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교반부(1224)는 연결부(1221)와 제2 교반부(1223)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교반부(1224)는 제2 교반부(1223)의 상단으로부터 제2 교반부(1223)를 향하여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교반부(1224)는 조리 용기(1210)의 바닥면(1211)과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3 교반부(1224)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1 교반부(1222)와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교반 부재(1220)는 제3 교반부(1228)는 연결부(1221)로부터 조리 용기(1210)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교반부(1228)는 연결부(1221)를 중심으로 제3 교반부(1224)와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3 교반부(1228)는 제3 교반부(165)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228a) 및 수평부(1228a)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22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부(1228b)는 2개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교반부(1228)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스토퍼(1230)는 서포터(1227)의 회전 반경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1230)는 도 3의 스토퍼(130)와 비교하면 형상은 동일하나, 조리실(20) 내부에 설치된 위치가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토퍼(130)와 비교하여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스토퍼(1230)는 조리실(2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230)는 조리실(20)의 상면에서 서포터 걸림부(1227b)의 회전 반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스토퍼(1230)는 서포터 걸림부(1227b)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1230)는 서포터 걸림부(1227b)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이와 연결된 교반 부재(12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230)는 교반 부재(1220)가 조리 용기(1210)의 내측에서 상대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도 2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가 음식물을 교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는 교반 부재(120)가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서 조리 용기(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 용기(110)는 트레이(40)와 함께 회전하고, 교반 부재(120)는 조리 용기(110)와 함께 회전하다 스토퍼(130)로 인하여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교반 부재(120)는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서 조리 용기(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 음식물이 교반되면서 조리될 수 있다.
또한,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는 음식물의 종류 및 조리 모드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교반 부재(120)를 사용하여 조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교반 부재(120)는 조리 용기(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111) 및 측면(112)에 가까이 위치하는 교반 부재(120)를 제공하여 액상의 음식물이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111) 및 측면(112)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제어기(70, 도 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70)는 구동 부재(5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70)는 트레이(4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70)는 음식물의 상태, 조리 시간, 그리고 조리 모드 등에 따라 트레이(4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기(70)는 트레이(40)의 회전 시간, 회전 속도, 그리고 회전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60)을 통하여 음식물의 상태, 조리 시간, 그리고 조리 모드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제어기(70)는 이에 대응하여 트레이(40)의 회전 시간, 회전 속도, 그리고 회전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음식물의 상태 및 조리 모드 등에 따라,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에서 교반 부재(120)가 음식물을 교반하는 시간, 회전 속도, 그리고 회전 방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와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1)는 조리 용기(110)에 담긴 음식물이 교반되는 동시에 조리 용기(110)가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조리 용기(110)에 담긴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교반 부재(120)로 인하여, 죽, 소스류, 그리고 카레 등과 같은 액상의 음식물이 조리 용기(110)의 바닥면에 달라붙지 않게 조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교반 조리 어셈블리(100)와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1)는 조리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용기(110)가 교반 부재(120)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부재(120)는 조리 용기(110)와 함께 회전하다 서포터(127)의 회전 반경에 위치하는 스토퍼(130)가 서포터(127)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교반 부재(120)는 스토퍼(130)에 막혀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고, 조리 용기(110)만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교반 부재(120)는 조리 용기(110)를 상대로 상대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용기(110)는 교반 부재(120)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부재(120)는 조리 용기(110)와 함께 회전하다 서포터(127)의 회전 반경에 위치하는 스토퍼(130)가 서포터(127)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교반 부재(120)는 스토퍼(130)에 막혀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고, 조리 용기(110)만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교반 부재(120)는 조리 용기(110)를 상대로 상대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조리 어셈블리(200)를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8는 도 18의 조리 기기에서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2)는 본체(10), 조리실(20), 도어(30), 가열 유닛(미도시), 구동 부재(50), 컨트롤 패널(60), 그리고 교반 조리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2)는 도 1의 조리 기기(1)에 비하여 트레이(40)가 제공되지 않고, 교반 조리 어셈블리(200)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 기기(2)가 도 1의 조리 기기(1)와 동일한 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조리 어셈블리(200)를 설명한다.
도 19는 도 17의 조리 기기에서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A 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조리 어셈블리(200)는 조리 용기(210), 교반 부재(220), 회전 전달 유닛(230), 하우징(240), 볼 베어링(250), 그리고 다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용기(210)는 조리 기기(2)를 통해 조리할 음식물이 담기는 공간을 가진다. 조리 용기(210)는 바닥면(211)과 바닥면(211)의 엣지 영역에서 상부로 연장된 측면(212)을 가지고, 바닥면(211)과 측면(212)은 음식물이 담기는 공간을 형성한다.
일 예에 의하면, 조리 용기(210)는 바닥면(211)의 중앙 영역에 돌출부(213)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213)는 교반 부재(220)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조리 용기(210)와 교반 부재(2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213)는 교반 부재(220)가 돌출부(213)를 축으로 하여 조리 용기(2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돌출부(213)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돌출부(213)는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돌출부(213)는 상부에 홀(214)이 마련될 수 있다. 홀(214)은 회전 전달 유닛(230)의 일부가 교반 부재(2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조리 용기(210)를 통과하는 통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조리 용기(210)는 그 저면에 하부 커버(215)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215)는 조리 용기(210)와 회전 전달 유닛(230)을 연결하고, 회전 전달 유닛(23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리 용기(210)에 전달할 수 있다. 하부 커버(215)는 회전 전달 유닛(23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부 커버(215)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2는 도 18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교반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220)는 연결부(221), 교반부(222, 223), 그리고 회전축 결합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21)는 조리 용기(2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21)는 조리 용기(210)의 돌출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연결부(221)는 저면에 삽입홈(229)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229)은 돌출부(213)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21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221)는 돌출부(213)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 부재(220)는 음식물의 종류 및 조리 형태 등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의 교반 부재(220)로 교체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교반부(222, 223)는 연결부(221)와 연결되고, 연결부(221)와 함께 회전하면서 조리 용기(210)에 담긴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교반부(222, 223)는 연결부(221)로부터 조리 용기(210)의 바닥면(211)의 엣지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교반부(222, 223)는 조리 용기(210)의 바닥면(211)의 중앙 영역에서 엣지 영역까지 조리 용기(210)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교반부(222, 223)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일 에에 의하면, 교반부(222, 223)는 연결부(221)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교반부(222, 223)는 2개 이상 설치되고, 각 교반부(222, 223)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222, 223)는 조리 용기(210)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위치할 수 있다. 교반부(222, 223)는 조리 용기(210)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조리 용기(210)로부터 상대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교반 부재(220)는 고체 상태의 음식물 뿐만 아니라 액상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도 음식물이 조리 용기(210)의 바닥면에 달라붙지 않게 교반하여 조리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교반부(222, 223)는 양 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교반부(222, 223)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연결부(221)로부터 조리 용기(210)의 바닥면의 엣지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교반부(222, 223)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반부(222, 223)는 중앙부가 제2 높이(h2)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높이(h2)는 4 내지 5mm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축 결합부(225)는 연결부(22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 결합부(225)는 회전 전달 유닛(230)의 일부분과 결합되고, 회전 전달 유닛(2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회전축 결합부(225)는 연결부(221)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회전축 결합부(225)는 복수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회전축 결합부(225)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 전달 유닛(230)의 일부분이 회전축 결합부(225)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경우에 그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회전축 결합부(225)는 내측에 회전 전달 유닛(230)의 일부분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홈(225a)이 마련될 수 있다. 내측홈(225a)은 삽입홈(229)과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내측홈(225a)은 회전 전달 유닛(230)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회전 전달 유닛(230)으로부터 회전력을 교반 부재(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교반 부재(220)는 회전 전달 유닛(2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23은 도 18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회전 전달 유닛이 조리 용기 및 교반 부재와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4는 도 18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에서 회전 전달 유닛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5는 도 18의 교반 조리 어셈블리가 음식물을 교반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전달 유닛(230)은 조리 용기(2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 전달 유닛(230)은 조리 용기(210)와 교반 부재(220)에 각각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회전 전달 유닛(230)은 조리 용기(210)와 교반 부재(220)에 각각 상이한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회전 전달 유닛(230)은 회전축(231), 제1 기어(233), 제2 기어(235), 그리고 링 기어(23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31)은 일측이 구동 부재(50)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231)은 하단에 커플러(231a)가 설치되고, 커플러(231a)가 구동 부재(5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축(231)은 구동 부재(5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231)은 그 상부가 교반 부재(22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축(231)은 그 상단이 교반 부재(220)의 내측홈(22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축(231)은 조리 용기(210)의 돌출부(213)의 홀(214)을 관통하여 내측홈(223)에 삽입될 수 있다. 교반 부재(220)는 회전축(231)과 직접 연결되므로, 회전축(23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기어(233)는 중공을 가지고, 중공에 회전축(231)이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 기어(233)는 회전축(23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제2 기어(235)는 제1 기어(233)와 링 기어(237)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어(235)는 일측이 제1 기어(233) 맞물리고, 타측이 링 기어(237)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기어(235)는 제1 기어(233)의 회전력을 링 기어(237)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235)는 제1 기어(233)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의 회전력을 링 기어(237)에 전달할 수 있다.
링 기어(237)는 중공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내측면에 톱니가 설치될 수 있다. 내측면에 설치된 톱니는 제2 기어(235)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링 기어(237)는 제2 기어(23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링 기어(237)는 조리 용기(21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링 기어(237)는 하부 커버(215)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링 기어(237)는 하부 커버(215)를 통하여 조리 용기(2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용기(210)는 회전축(231)을 통하여 교반 부재(220)가 직접 전달받는 회전력과 반대 방향의 회전력을 링 기어(237)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전달 유닛(230)은 조리 용기(210)와 교반 부재(220)에 각각 회전력을 전달하되, 조리 용기(210)의 내부에서 교반 부재(220)가 조리 용기(210)로부터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하우징(240)은 회전 전달 유닛(230)의 기어들(233, 235, 237)이 위치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하우징(240)은 상부 하우징(241)과 하부 하우징(2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41)은 링 기어(237)의 중공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부 하우징(241)은 일측에 제2 기어(235)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43)은 링 기어(237)의 외측면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 하우징(243)은 링 기어(237)의 외측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내측에 제1 기어(233), 제2 기어(235), 그리고 링 기어(237)가 위치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볼 베어링(250)은 조리 용기(210)가 하우징(240)의 상부에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볼 베어링(250)은 하우징(240)에 설치되고, 볼(251)이 조리 용기(210)의 하부 커버(215)에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 베어링(250)은 하부 하우징(243)에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241)에 설치된 홀(241a)을 통해 볼(251)이 하부 커버(215)에 접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볼(251)은 하부 커버(215)가 회전하는 경우에 같이 회전하면서 하부 커버(215)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다리(260)는 조리 용기(2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조리 용기(2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일 예에 의하면, 다리(260)는 하부 커버(215)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리(260)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복수개의 다리(26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리(260)는 그 하단에 러버(rubber, 261)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조리 어셈블리(200)는 교반 부재(220)가 조리 용기(210)의 내부에서 조리 용기(2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반 부재(220)는 회전축(231)과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조리 용기(210)는 링 기어(237)와 함께 교반 부재(220)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교반 부재(220)는 조리 용기(210)의 내부에서 조리 용기(2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교반 부재(220)는 조리 용기(210)의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하며 조리할 수 있다.
또한, 교반 조리 어셈블리(200)는 음식물의 종류 및 조리 모드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교반 부재(220)를 사용하여 조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교반 부재(220)는 조리 용기(2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조리 용기(210)의 바닥면(211)에 가까이 위치하는 교반 부재(220)를 제공하여 액상의 음식물이 조리 용기(210)의 바닥면(211)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리 기기(2)는 제어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70)는 구동 부재(5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70)는 회전 전달 유닛(23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70)는 음식물의 상태, 조리 시간, 그리고 조리 모드 등에 따라 회전 전달 유닛(23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기(70)는 회전 전달 유닛(230)의 회전 시간,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60)을 통하여 음식물의 상태, 조리 시간, 그리고 조리 모드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제어기(70)는 이에 대응하여 회전 전달 유닛(230)의 회전 시간,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음식물의 상태, 조리 모드 등에 따라, 교반 조리 어셈블리(200)에서 교반 부재(220)가 음식물을 교반하는 시간 및 회전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조리 기기 10 : 본체
20 : 조리실 30 : 도어
40 : 트레이 41 : 커플러
43 : 가이드부 50 : 구동 부재
51 : 구동 커플러 60 : 컨트롤 패널
70 : 제어기 100, 200 : 교반 조리 어셈블리
110, 210 : 조리 용기 120, 220 : 교반 부재
121 : 연결부 122 : 제1 교반부
123 : 제2 교반부 125 : 제3 교반부
127 : 서포터 129 : 삽입홈
130 : 스토퍼 135 : 안착부
140, 260 : 다리 143, 263 : 러버
230 : 회전 전달 유닛 231 : 회전축
233 : 제1 기어 235 : 제2 기어
237 : 링 기어 240 : 하우징
250 : 볼 베어링

Claims (28)

  1.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위치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 부재와 연결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지지되어 상기 트레이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 조리 어셈블리는
    상기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실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교반 부재로서, 상기 조리 용기 내측에서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면서 음식물이 교반되는 교반 부재; 및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교반 부재가 상기 조리실에 대하여는 상대 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교반 부재가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는 상대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의 엣지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교반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는 바닥면의 중앙 영역에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는 저면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교반 부재가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조리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반부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조리 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반부는 양 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제1 교반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제2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조리실의 일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서포터의 회전 경로상에 위치하는 조리 기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측이 상기 조리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서포터의 회전 경로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제1 교반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제2 교반부; 및
    상기 제2 교반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서포터를 지지하는 제3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조리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 용기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 용기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다리;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엣지 영역에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다리는 저면에 상부로 오목한 트레이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다리는 상기 트레이 안착부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가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조리 기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서포터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는 상기 서포터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조리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리 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트레이의 회전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레이의 회전 속도 및 회전 시간을 제어하는 조리 기기.
  15. 음식물이 담기는 공간을 가지고,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조리 용기;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교반 부재로서, 상기 조리 용기 내측에서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면서 음식물이 교반되는 교반 부재; 및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교반 부재가 상기 조리실에 대하여는 상대 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교반 부재가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는 상대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의 엣지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교반부;를 포함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는 바닥면의 중앙 영역에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는 저면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교반 부재가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반부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반부는 양 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제1 교반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제2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조리 용기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서포터의 회전 경로상에 위치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 용기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다리;를 더 포함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조리 모드에 따라 상기 조리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
  24. 조리실;
    음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실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고, 상기 조리 용기에 대해 상대 회전하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 부재로서, 조리 모드에 따라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교반 부재; 및
    상기 조리 용기와 상기 교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의 중앙부에서 엣지 영역을 향하여 연장된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양 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리 기기.
  27.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위치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 부재와 연결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지지되어 상기 트레이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 조리 어셈블리는
    상기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실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교반 부재로서, 상기 조리 용기 내측에서 상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 부재; 및
    상기 교반 부재의 상기 조리실에 대한 상대 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 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와 함께 회전되다 상기 스토퍼로 인하여 회전이 제한되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 용기와 함께 회전하는 음식물이 교반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28.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위치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 부재와 연결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지지되어 상기 트레이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교반 조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 조리 어셈블리는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실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교반 부재로서, 상기 조리 용기 내측에서 상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 부재; 및
    상기 교반 부재의 상기 조리실에 대한 상대 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교반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조리 용기는 상기 교반 부재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조리실에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리 기기.
KR1020210141176A 2014-04-03 2021-10-21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KR102375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909 2014-04-03
KR20140039909 2014-04-03
KR1020140134338A KR20150115604A (ko) 2014-04-03 2014-10-06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338A Division KR20150115604A (ko) 2014-04-03 2014-10-06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281A KR20210131281A (ko) 2021-11-02
KR102375807B1 true KR102375807B1 (ko) 2022-03-18

Family

ID=543577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338A KR20150115604A (ko) 2014-04-03 2014-10-06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KR1020210141176A KR102375807B1 (ko) 2014-04-03 2021-10-21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338A KR20150115604A (ko) 2014-04-03 2014-10-06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75682B2 (ko)
EP (1) EP3128241B1 (ko)
KR (2) KR20150115604A (ko)
CN (1) CN106461232B (ko)
AU (1) AU2015242665B2 (ko)
CA (1) CA294381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7720B (zh) * 2017-10-30 2021-12-07 北京吉家娜机器人研发有限公司 一种自动化烹饪系统
AU201815623S (en) * 2018-09-19 2018-10-16 Microwave Oven Tray
CN111214136B (zh) * 2019-01-27 2022-08-0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结构紧凑的食品加工机
CN111121110A (zh) * 2020-02-11 2020-05-08 泉州泉港品然茶业有限公司 微波炉炒坚果用辅助盒
CN111436833B (zh) * 2020-05-14 2021-12-28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投料控制方法及装置、烹饪设备、计算机设备
CN115399631B (zh) * 2021-05-28 2023-12-1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搅拌控制方法、烹饪设备、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471A (ja) * 2000-06-26 2002-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調理器
KR100556614B1 (ko) * 2004-01-14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4134A (ja) * 1981-10-27 1983-05-04 Toshio Toda 立形回転ドラム式混練機
GB2159027B (en) 1984-05-15 1987-09-09 Thorn Emi Domestic Applicance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icrowave ovens
US4773317A (en) * 1987-01-29 1988-09-27 Wickboldt Jr Frank System for cooking dried food stuff
FR2632175B1 (fr) * 1988-06-07 1991-10-31 Boulard Michel Agitateur notamment pour four a micro-ondes
GB2230409A (en) * 1989-03-29 1990-10-17 Winston George Burton Food stirrer for microwave oven
JPH051427U (ja) * 1991-06-13 1993-01-14 シヤ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に使用される鍋の食品攪拌具
JPH07103581B2 (ja) 1991-06-24 1995-11-08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のレベル調整治具
JPH05240450A (ja) * 1992-02-26 1993-09-17 Toshiba Corp 電子レンジ
GB2322271A (en) * 1997-02-15 1998-08-19 Ronald Martin Jones Food stirrer for microwave oven
KR100366022B1 (ko) * 1999-06-18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렌지의 회전접시 구동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렌지
KR100500984B1 (ko) * 2002-12-02 2005-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US20040251250A1 (en) * 2003-06-10 2004-12-16 Haedrich Michael Steven Microwave oven mix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50118517A (ko) 2004-06-14 2005-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WO2006030265A2 (en) * 2004-08-31 2006-03-23 Graebe Daniel Johann Microwave oven accessory
DE102005016179A1 (de) * 2005-04-08 2006-10-12 Sven Drost Gefäß zum Erhitzen von Nahrungsmitteln in einem Mikrowellenherd
GB2429415A (en) * 2005-08-27 2007-02-28 Andrew Sinclair Clarke Self-stirring microwave bowl
KR20080057748A (ko) 2006-12-20 2008-06-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청국장 제조방법
JP5334939B2 (ja) * 2010-10-14 2013-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GB2488335B (en) * 2011-02-23 2013-03-13 Licotec Ind Ltd Mixer for use in a microwave oven
US20120305549A1 (en) * 2011-06-03 2012-12-06 Wylie Phillip K Microwave Oven Food Stirr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471A (ja) * 2000-06-26 2002-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調理器
KR100556614B1 (ko) * 2004-01-14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43812A1 (en) 2015-10-08
AU2015242665B2 (en) 2018-10-04
KR20210131281A (ko) 2021-11-02
KR20150115604A (ko) 2015-10-14
CA2943812C (en) 2020-10-13
EP3128241A1 (en) 2017-02-08
US20170020338A1 (en) 2017-01-26
CN106461232B (zh) 2020-03-03
AU2015242665A1 (en) 2016-10-20
US10575682B2 (en) 2020-03-03
EP3128241B1 (en) 2020-09-09
EP3128241A4 (en) 2017-11-29
CN106461232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807B1 (ko)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JP2017527381A (ja) 食品調理用空気フライ機器
US10123656B2 (en) Three-dimensional stirring/mixing utensils
KR101577496B1 (ko) 조리장치
JP2015529109A (ja) 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機器
KR101192349B1 (ko) 조리기기
US20140331869A1 (en) Automated cooking apparatus having air flow regulation and reduced fire hazard
US2032571A (en) Kitchen utility device
KR102101651B1 (ko) 조리 기기
KR20150115228A (ko)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JP6584997B2 (ja) 加熱調理器
JP2014100298A (ja) 電気炊飯器
JP2021129685A (ja) 調理器具及び調理器
KR100789832B1 (ko) 조리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160036207A (ko) 조리기기
CN114207358A (zh) 抽屉式加热烹调器
KR20230030275A (ko) 소스 제조용 교반기
KR200152122Y1 (ko) 전자렌지의 와이어랙 고정장치
KR20050074674A (ko) 전자렌지
KR19990030578U (ko) 전자렌지용 트레이
JPH0614811U (ja) 電子レンジの補助調理装置
JP2001333756A (ja) 焙煎装置
KR20050062799A (ko) 탈착식 교반기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