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775B1 -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775B1
KR102373775B1 KR1020200065082A KR20200065082A KR102373775B1 KR 102373775 B1 KR102373775 B1 KR 102373775B1 KR 1020200065082 A KR1020200065082 A KR 1020200065082A KR 20200065082 A KR20200065082 A KR 20200065082A KR 102373775 B1 KR102373775 B1 KR 102373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ocation
occupant
passenger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193A (ko
Inventor
박중희
정하욱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드플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드플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드플럭스
Publication of KR2020014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193A/ko
Priority to KR102022002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26Rigid partitions inside vehicles, e.g. between passengers and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43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Preparing f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탑승자로부터 차량 호출 요청을 얻는 단계, 상기 차량 호출 요청에 따라 차량을 배차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부터 상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ERVICE OF ALLOCATION OF AUTOMATIC DRIVING VEHICL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율주행 차량(Automatic driving Vehicle)은 운전자가 차량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주행하는 자동차로, 조작 없이 스스로 도로 상황을 파악하여 설정 목적지까지 자율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차량을 의미한다.
최근, 운전자 탑승이 없는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는 무인 자동차에 대한 개발이 가속되고 있으며, 자율주행차량의 발전으로 상업용 자율주행 택시가 차세대 대중교통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다양한 택시 호출, 배차 서비스 및 차량 공유 서비스가 상용화 되어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들은 자율주행 차량이 아닌 실제 운전자가 있는 차량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율주행 택시와 같은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택시 호출, 배차 서비스는 탑승자가 직접 자신의 탑승위치와 목적지를 선택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비록 GPS에 기반하여 탑승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지정하여 주기는 하지만 해당 위치가 정확하지 않거나 탑승자의 위치가 차량에 탑승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 탑승자가 직접 위치를 조정하여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택시 호출, 배차 서비스에서 승차 위치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운전자와 탑승자가 직접 통화를 하여 위치를 묻고 찾아가야 하나,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특히, 보조 운전자가 없는 완전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에는 정확한 승차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택시 호출, 배차 서비스의 경우 목적지에 도착하여 운전자와 논의하여 세부적인 하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나, 보조 운전자가 없는 완전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에는 세부적인 하차 위치를 결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차량의 발전으로 자율주행 택시가 차세대 대중교통으로 부각되는 것에 대응하여 자율주행 택시에 적용 가능한 차량의 호출 및 배차 서비스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41120호(2019.01.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율주행 택시가 차세대 대중교통으로 부각되는 것에 대응하여 자율주행 택시에 적합한 차량의 호출 및 배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탑승자의 위치, 차량의 위치 및 주행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승차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승차 위치가 잘못 지정되거나 승차가 불가능한 위치로 지정되어 탑승자가 직접 승차 위치를 재설정할 필요 없이 탑승자에 대한 최적의 승차 위치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탑승자로부터 차량 호출 요청을 얻는 단계, 상기 차량 호출 요청에 따라 차량을 배차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상기 배차된 차량의 위치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부터 상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승차 가능 영역 및 승차 불가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승차 가능 영역 및 승차 불가능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자의 위치가 상기 승차 불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가 상기 승차 불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승차 불가능 영역과 인접한 복수의 승차 가능 영역 중 상기 탑승자와 최단 거리를 가지는 승차 가능 영역 또는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승차 가능 영역을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 결정된 승차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에 대한 도로 교통 정보 및 상기 소정의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기 결정된 승차 위치에서의 승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 결정된 승차 위치에서의 승차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승차가 가능한 위치로 상기 기 결정된 승차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승차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탑승자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조정된 승차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되,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승차 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리키는 제1 시간과 상기 탑승자가 상기 결정된 승차 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리키는 제2 시간 간의 차이가 최소값을 가지도록 상기 결정된 승차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로부터 승차 위치 결정에 대한 우선 순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우선 순위이 기초하여,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데 고려되는 복수의 요인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치가 설정된 복수의 요인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탑승자가 상기 결정된 승차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승차 위치에 먼저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상기 탑승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위치와 상기 탑승자로부터 기 설정된 목적지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UI를 통해 상기 목적지의 위치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하차 가능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를 통해 상기 탑승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하차 가능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하차 가능 영역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얻고,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하차 가능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주행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차 가능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UI를 통해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전방을 촬영한 전방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차 가능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UI를 통해 상기 탑승자로부터 제2 사용자 입력을 얻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하차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하차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차 가능 영역에 대한 외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하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하차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의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위치 중 하차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를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하차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UI를 통해 상기 변경된 하차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하차 위치의 변경 이유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율주행 택시가 차세대 대중교통으로 부각되는 것에 대응하여 자율주행 택시에 적합한 차량의 호출 및 배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의 위치, 차량의 위치 및 주행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승차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승차 위치가 잘못 지정되거나 승차가 불가능한 위치로 지정되어 탑승자가 직접 승차 위치를 재설정할 필요 없이 탑승자에 대한 최적의 승차 위치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지도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탑승자의 위치, 차량의 위치 및 주행 경로에 따라 승차 위치가 결정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차량의 하차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차량의 전방 영상 데이터를 계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자율주행 택시를 대상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보조 운전자가 동승한 반 자율주행 택시 및 운전자에 의해 운행되는 일반 택시를 대상으로 하는 차량 배차 서비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 탑승자 단말(200) 및 외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탑승자로부터 자율주행 차량의 배차를 요청받는 것에 응답하여, 탑승자 단말(200)로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는 탑승자로부터 얻은 목적지 정보(예: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해 입력한 목적지의 위치 등)와 탑승자의 현재 위치(예: 탑승자 단말(200)에 구비된 위치 센서(예: GPS 센서)로부터 얻은 탑승자의 위치 정보, WiFi AP, 통신 기지국, 블루투스 신호, 탑승자의 이동 히스토리 기초한 탑승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주행 차량을 배차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탑승자가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를 통해 배차된 차량을 탑승하기 위한 최적의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상기 배차된 차량의 위치 및 탑승자의 위치부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예: 승차 위치 정보, 하차 위치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주행 경로 정보 등)를 출력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차량 내부(예: 승객석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탑승자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탑승자 단말(200)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탑승자 단말(200)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차량의 하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탑승자 단말(2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탑승자 단말(200)은 탑승자 단말(200)의 적어도 일부분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및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받은 UI를 출력함으로써,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정보(예: 배차된 차량에 대한 정보, 승차 위치 정보, 승차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필요한 각종 데이터(예: 승차 가능 영역 및 승차 불가능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및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300)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 서버일 수 있으며,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생성되는 데이터(예: 복수의 회원 정보 등)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서버(300)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하, "컴퓨팅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및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 스토리지(미도시), 버스(bus)(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컴퓨팅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도 3 내지 8과 관련하여 설명될 방법(예: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탑승자로부터 차량 호출 요청을 얻는 단계, 차량 호출 요청에 따라 차량을 배차하는 단계 및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상기 배차된 차량의 위치 및 탑승자의 위치부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프로세서(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컴퓨팅 장치(100)가 수행하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로부터 차량 호출 요청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가 자신의 탑승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탑승자 단말(200)로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UI를 제공할 수 있고,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UI를 통해 탑승자로부터 차량 호출 요청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UI를 통해 배차 받고자 하는 차량의 종류(예: 경형, 소형, 준중형, 중형, 준대형, 대형 등), 차량을 배차 받고자 하는 시간, 탑승 인원 및 목적지의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호출 요청을 텍스트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받은 차량 호출 요청에 따라 차량 배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로부터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을 배차 받고자 하는 시간에 대한 별도의 입력이 없는 경우, 기 설정된 차량 배차 정보에 따라 차량 호출 요청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로부터 목적지의 위치 정보만을 포함하는 차량 호출 요청을 얻는 경우, 기 설정된 차량 배차 정보에 따라 차량의 종류를 중형 차량으로 설정하고 배차 받고자 하는 시간을 차량 호출을 요청하는 현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UI를 통해 음성 형태의 차량 호출 요청(예: "A 목적지까지 가는 6인승 이상의 택시를 지금 배차해줘")을 얻을 수 있고, 음성 데이터 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 형태의 차량 호출 요청을 분석함으로써 배차 받고자 하는 차량의 종류, 차량을 배차 받고자 하는 시간 및 목적지의 위치를 텍스트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12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110 단계에서 탑승자로부터 차량 호출 요청을 얻는 경우, 차량 호출을 요청한 탑승자에 대하여 차량 배차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배차 프로세스는 탑승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탑승자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복수의 자율주행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차량을 선택하여 탑승자에게 배차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탑승자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복수의 자율주행 차량 중 탑승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을 탑승자에게 배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복수의 자율주행 차량 중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종류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차량을 배차하되, 해당 차량이 탑승자가 차량을 배차 받고자 하는 시간에 배차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차량을 탑승자에게 배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에 대한 도로교통정보(예: 정체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복수의 자율주행 차량 중 탑승자의 위치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판단되는 어느 하나의 자율주행 차량을 탑승자에게 배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탑승 인원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율주행 차량 중 하나 이상의 차량을 탑승자에게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탑승 인원이 6인인 경우, 복수의 자율주행 차량 중 6인승 이상의 차량을 우선적으로 탑승자에게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탑승자에게 배치 가능한 복수의 자율주행 차량 중 6인승 이상의 차량이 없는 경우(예: 배차 가능한 6인승 이상의 차량이 없거나 배차 가능하더라도 탑승자와의 거리가 멀어 차량이 도달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6명의 탑승 인원이 탑승할 수 있도록 두대 이상의 차량을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자율주행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차량을 탑승자에게 배차하는 어떠한 방법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S13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120 단계를 거쳐 차량의 배차가 결정된 경우,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상기 배차된 차량의 위치 및 탑승자의 위치부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지도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및 6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탑승자의 위치, 차량의 위치 및 주행 경로에 따라 승차 위치가 결정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현재 위치(또는 탑승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은 희망 승차 위치(13)가 승차 가능 영역인지(12) 또는 승차 불가능 영역(11)인지에 기초하여 배차된 차량의 승차 위치(15)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승차 불가능 영역(11)(예: 안전 펜스(safety fence) 설치 영역, 주차 및 정차 금지 영역(예: 소방시설 주차 및 정차 금지 영역) 등) 및 승차 가능 영역(12)(예: 안전 펜스와 같이 별도의 보호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 주차 및 정차 가능 영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10)와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가 승차 불가능 영역(11) 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승차 가능 영역(12)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승차 가능 영역 및 승차 불가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차 불가능 영역(11)은 승차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불편하거나 다소 위험한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승차 불가능 영역(11)은 목적지의 위치를 고려하여 차량이 불필요하게 돌아가야 하는 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목적지의 위치에 따라 탑승자가 횡단보도를 건너서 탑승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도 있고, 횡단보도를 건너지 않고 탑승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도 있다. 만일 횡단보도를 건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면, 횡단보도를 건너지 않은 현재 위치가 승차 불가능 영역으로 결정되고, 횡단보도를 건넌 위치가 승차 가능 영역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승차 불가능 영역(11)이 반드시 승차가 불가능한 위치를 의미하지는 않는 경우, 승차 가능 영역(12)은 목적지의 위치를 고려하여 탑승 및 탑승 이후 목적지까지의 이동이 용이한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승차 불가능 영역(11)의 설정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이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인의 도보 이동을 최소화할 것을 원하여 이에 따른 설정을 요청한 경우 승차 불가능 영역(11)은 실제로 탑승이 불가능한 영역만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목적지까지의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이동을 원하여 이에 따른 설정을 요청한 경우 승차 불가능 영역(11)은 포괄적으로 넓게 설정되어, 목적지 도착에 용이한 승차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승차 불가능 영역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 큰길이 아닌 작은 골목길, 아파트 단지 내, 목적지와 반대방향인 승차위치 등)
이후,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가 승차 불가능 영역(11)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승차 불가능 영역(11)과 인접한 위치(예: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승차 가능 영역(12) 중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와의 거리가 최단 거리를 가지는 승차 가능 영역(12)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승차 가능 영역(12) 내에 포함된 특정 포인트를 차량의 승차 위치(15)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특정 포인트는 승차 가능 영역(12)에 포함된 복수의 승차 가능 포인트 중 탑승자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포인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가 승차 가능 영역(12)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를 차량의 승차 위치(15)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가 승차 불가능 영역(11)인지 여부 및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16)에 기초하여 차량의 승차 위치(15)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지도 데이터(10) 및 탑승자의 위치(13)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가 현재 승차 불가능 영역(11) 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승차 가능 영역(12)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가 승차 불가능 영역(11)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승차 불가능 영역(11)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승차 가능 영역(12) 중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승차 가능 영역(12)을 선택하고, 선택한 하나 이상의 승차 가능 영역(12) 중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와 가장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는 승차 가능 영역(12)을 차량의 승차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와 승차 가능 영역(12)간의 거리만을 생각하여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와 최단 거리를 가지는 승차 가능 영역(예: 제1 승차 가능 영역(12-1))을 선택하는 경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16)와 일치하지 않아 차량이 탑승한 이후 주행거리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지역에 교통 정체가 심한 경우에는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16)가 차량의 위치(14)를 기준으로 직진하는 경로인데 불구하고, 탑승자의 위치(13)만을 고려하여 제1 승차 가능 영역(12-1)을 승차 위치(15)로 결정하게 되면, 주행 경로(16)에 따라 직진하지 못하고 우회전해야 하며, 이에 따라 주행 경로가 변동되어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가 승차 불가능 영역(11)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승차 가능 영역(12) 중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와 최단 거리를 가지는 승차 가능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결정된 승차 위치가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16)와 맞지 않아 도착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가 승차 가능 영역(12)이더라도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가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승차 가능 영역(12) 중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와 최단 거리를 가지는 승차 가능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의 위치(14)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14)와 인접한 승차 가능 영역(12)을 차량의 승차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에 최단 거리를 가지는 승차 가능 영역(12) 상에 결정된 승차 위치(15)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주행 경로에 따라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1 소요시간과 기 설정된 주행 경로에 따라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2 소요시간을 비교하고, 제1 소요 시간 및 제2 소요시간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승차 위치(15)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제1 소요시간과 제2 소요시간을 차이값이 제1 차이값 이내인 경우(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에 최단 거리를 가지는 승차 가능 영역(12) 상에 결정된 승차 위치(15)를 차량의 승차 위치(15)로 확정할 수 있다.
그러나, 컴퓨팅 장치(100)는 제1 소요시간과 제2 소요시간을 차이값이 제1 차이값을 초과하는 경우(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탑승자의 위치(13)(또는 희망 승차 위치)에 최단 거리를 가지는 승차 가능 영역(12) 상에 결정된 승차 위치(15)를 주행 경로 상에 배치되는 승차 가능 영역(12) 상의 위치로 변경하여 주행 경로에 변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로부터 승차 위치(15) 결정에 대한 우선 순위를 입력을 수 있고, 입력된 우선 순위이 기초하여 승차 위치(15)를 결정하는데 고려되는 복수의 요인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가중치가 설정된 복수의 요인을 이용하여 차량의 승차 위치(15)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승차 위치(15) 결정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승차 위치(15)까지의 거리가 목적지에 도착하는 시간보다 높은 순위를 가지는 경우, 승차 위치(15)까지의 거리에 대한 가중치를 목적지에 도착하는 시간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행 경로 보다 탑승자의 위치(또는 탑승자의 희망 승차 위치(15))와 최단 거리를 가지는 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차량의 승차 위치(15)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취향, 히스토리, 상태정보 및 기 설정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승차 위치(15)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탑승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이동을 적게 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고, 이동을 많이 하더라도 빠른 탑승 및 출발을 선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탑승자의 기존 히스토리나 선택, 혹은 목적지까지 도착해야 하는 시간정보(예를 들어, 빨리 이동해야 하는 경우 혹은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경우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신하거나 판단할 수 있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상기 배차된 차량의 위치 및 탑승자의 위치부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승차 위치(15)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에 대한 도로교통정보(예: 정체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교통 정보) 및 소정의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 결정된 승차 위치(15)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상기 배차된 차량의 위치 및 탑승자의 위치부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에 기초하여 승차 위치(15)를 결정하였으나, 결정된 승차 위치(15)에 많은 차들이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어서 해당 위치에서 정차 및 대기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거나 차들이 정체되어 있어서 기 결정된 승차 위치(15)까지 도달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 결정된 승차 위치(15)와 인접하며 도로교통정보 또는 영상 데이터에 따라 승차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위치로 승차 위치(15)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는 승차 위치(15)가 조정된 경우, 조정된 승차 위치(15)에 대한 정보, 탑승자의 현재 위치에서 조정된 승차 위치(15)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가 승차 위치(15)의 변경을 인지하고, 차량을 찾지 못하여 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 및 탑승자가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상기 배차된 차량의 위치 및 탑승자의 위치부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승차 위치(15)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기 결정된 승차 위치(15)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승차 위치(15)가 탑승자와 가까우나 차량의 위치와는 먼 거리에 결정되는 경우, 탑승자는 빠르게 승차 위치(15)에 도달할 수 있으나 차량은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탑승자가 차량이 올 때까지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늦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의 승차 위치(15)가 차량과 가까우나 탑승자의 위치와는 먼 거리에 결정되는 경우, 차량은 빠르게 승차 위치(15)에 도달하여 대기할 수 있으나 탑승자가 승차 위치(15)까지 도달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늦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의 위치 및 탑승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의 승차 위치(15)를 결정하되, 차량이 승차 위치(15)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리키는 제1 시간과 탑승자가 결정된 승차 위치(15)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리키는 제2 시간 간의 차이가 최소값을 가지도록 즉, 탑승자와 차량이 승차 위치(15)에 비슷한 시간에 도착할 수 있도록 승차 위치(15)를 조정함으로써, 대기 시간에 의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늦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의 위치 및 탑승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탑승자가 승차 위치(15)에 도달하기 이전에 차량이 승차 위치(15)에 먼저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탑승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승자가 승차 위치(15)에서의 차량을 정확하게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승차 위치(15)에서 대기중인 차량을 찾지 못해 불필요하게 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의 하차 위치를 결정하는 UI를 차량에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예: 승객석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탑승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고, 차량의 하차 위치를 결정하는 UI를 통해 차량의 하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컴퓨팅 장치(100)가 차량의 하차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차량의 하차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21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가 승차 위치에서 배차된 차량을 탑승하고자 하는 경우, 탑승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의 위치와 차량의 위치가 동일한지 여부에 기초한 탑승자 인증 방식, 비전 인식을 이용한 탑승자 인증 방식 및 탑승자 단말(200)의 태그 동작을 통한 탑승자 인증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에 대한 배차를 신청한 탑승자가 맞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에 대한 인증 절차에 따라 인증 절차를 수행한 탑승자가 배차를 요청한 탑승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탑승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문을 잠금 해제할 것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차량에 전송하여 차량의 문이 잠금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추출된 인증 결과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예: 자율주행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로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 서버(300)가 자율주행 차량의 동작(예: 잠금 해제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2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으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별도로 구비되는 위치 센서 또는 탑승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위치 센서로부터 기 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3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220 단계에서 수집한 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위치와 탑승자로부터 기 설정된 목적지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230 단계를 거쳐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위치와 탑승자로부터 기 설정된 목적지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탑승자 단말(200)로부터 제1 사용자 입력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의 위치와 탑승자로부터 기 설정된 목적지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 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탑승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UI를 통해 목적지의 위치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하차 가능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UI를 통해 탑승자로부터 복수의 하차 가능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하차 가능 영역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컴퓨팅 장치(100)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하차 가능 영역으로 차량이 이동할 수 있도록 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른 목적지를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하차 가능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S25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이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차 가능 영역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6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이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차 가능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탑승자 단말(200)로부터 제2 사용자 입력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이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차 가능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 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탑승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UI를 통해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전방을 촬영한 전방 영상 데이터(예: 도 8) 및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차 가능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S27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260 단계를 거쳐 얻은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를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하차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역 투영 변환(Inverse Perspective Transform) 또는 라이다-카메라 캘리브레이션(Lidar-Camera Calibration)을 통한 포인트 맵핑(Point mapping)을 통해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에 대하여 지도 데이터 상에서의 3차원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3차원 위치를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하차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기 결정된 하차 위치의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하차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차 가능 영역에 대한 외부 환경 정보(예: 장애물 정보, 주차 및 정차된 차량에 대한 정보 등)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한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하차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100)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에 주차 및 정차된 차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하차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컴퓨팅 장치(100)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하차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사용자 입력의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위치 중 하차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를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하차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 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탑승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UI를 통해 변경된 하차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하차 위치의 변경 이유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 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탑승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UI를 통해, 기 결정된 하차 위치에 대한 세부 조정 요청을 얻을 수 있고, 세부 조정 요청에 응답하여 기 결정된 하차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 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탑승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UI를 통해 기 결정된 하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상, 하, 좌 및 우 방향의 버튼을 제공할 수 있고, 탑승자로부터 상, 하, 좌 및 우 방향의 버튼을 이용한 세부 조정 요청을 제공받아 기 결정된 하차 위치를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은, 상술한 방법에 따라 탑승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탑승자 입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 입력부는 탑승자의 의사를 전달하고 이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의 엔터테인먼트와, 주행 중 탑승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입력부 혹은 터치 패널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탑승자의 모바일 단말과 통신 및 연동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탑승자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별도로 마련된 탑승자 입력부를 통해 자율주행 차량에 입력을 전달하거나, 본인의 모바일 단말을 자율주행 차량과 연결하여 모바일 단말을 통해 입력을 전달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탑승자는 본인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을 호출할 수 있고, 차량이 근처에 오는 경우 모바일 단말과 자율주행 차량의 근거리 통신부가 상호 페어링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페어링을 수행하는 대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과 자율주행 차량이 상호 소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탑승자 입력부는 물리적 버튼 형태로 구성되거나,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터치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 입력부는 탑승자의 모바일 단말에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였을 경우, 탑승자는 본인이 하차를 원하는 구체적인 장소 또는 합승하고자 하는 다른 탑승자가 있는 위치로 자율주행 차량의 위치를 다소 조정하고자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일반적인 택시의 경우 운전사와의 대화를 통해 수행되나, 자율주행 택시의 경우 이러한 세부적인 의사전달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탑승자의 의사를 제공받기 위한 탑승자 입력부가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탑승자 입력부에는 전진 및 후진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탑승자가 전진 또는 후진버튼을 누르는 경우, 자율주행 차량은 탑승자가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해당 방향으로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천천히 자율주행할 수 있다.
주행 과정에서, 자율주행 차량은 자율주행 시스템에 기반하여 핸들 조작, 장애물 회피를 위한 속도제어나 회피 및 정지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탑승자가 버튼에서 손을 떼는 경우, 자율주행 차량은 정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율주행 차량은, 기 입력된 상기 탑승자의 목적지에 도착한 후, 상기 탑승자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정차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탑승자 입력부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기 설정된 거리 이하로 제한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율주행 차량은 탑승자로부터 동승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전달받을 수 있으며, 동승자의 얼굴 이미지가 미리 획득되는 경우, 목적지에서 자율주행 차량의 시야범위 내에 동승자가 인식되는 경우, 해당 동승자의 위치로 주행 및 정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승자에 대한 정보는 탑승자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고, 해당 동승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미리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탑승자와 동승자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며, 가입정보에 해당 동승자의 안면 이미지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는 자율주행 택시를 호출하면서 동승자에 대한 정보 및 동승자가 탑승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자율주행 차량은 기 저장된 동승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탑승자가 자율주행 택시를 호출하면서, 동승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동승자의 사용자 단말에 탑승 위치를 질의하고, 동승자로부터 탑승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탑승자의 호출위치에서 출발하고, 동승자의 탑승 위치를 경유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주행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동승자의 탑승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탑승자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시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새로운 블록이 추가되거나, 일부 블록이 삭제 또는 변경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또는 컴퓨팅 장치)
200 : 탑승자 단말
300: 외부 서버
400 : 네트워크

Claims (10)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탑승자로부터 차량 호출 요청을 얻는 단계;
    상기 차량 호출 요청에 따라 차량을 배차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부터 상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 결정된 승차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에 대한 도로 교통 정보 및 상기 소정의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기 결정된 승차 위치에서의 승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 결정된 승차 위치에서의 승차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승차가 가능한 위치로 상기 기 결정된 승차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승차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탑승자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조정된 승차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승차 가능 영역 및 승차 불가능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자의 위치가 상기 승차 불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가 상기 승차 불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승차 불가능 영역과 인접한 복수의 승차 가능 영역 중 상기 탑승자와 최단 거리를 가지는 승차 가능 영역 또는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승차 가능 영역을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탑승자로부터 차량 호출 요청을 얻는 단계;
    상기 차량 호출 요청에 따라 차량을 배차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상기 배차된 차량의 위치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부터 상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되,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승차 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리키는 제1 시간과 상기 탑승자가 상기 결정된 승차 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리키는 제2 시간 간의 차이가 최소값을 가지도록 상기 결정된 승차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5.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탑승자로부터 차량 호출 요청을 얻는 단계;
    상기 차량 호출 요청에 따라 차량을 배차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상기 배차된 차량의 위치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부터 상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로부터 승차 위치 결정에 대한 우선 순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우선 순위이 기초하여,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데 고려되는 복수의 요인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치가 설정된 복수의 요인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6.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탑승자로부터 차량 호출 요청을 얻는 단계;
    상기 차량 호출 요청에 따라 차량을 배차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상기 배차된 차량의 위치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부터 상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탑승자가 상기 결정된 승차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승차 위치에 먼저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상기 탑승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7.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탑승자로부터 차량 호출 요청을 얻는 단계;
    상기 차량 호출 요청에 따라 차량을 배차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의 위치, 목적지의 위치, 상기 배차된 차량의 위치 및 상기 탑승자의 위치부터 상기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위치와 상기 탑승자로부터 기 설정된 목적지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UI를 통해 상기 목적지의 위치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하차 가능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를 통해 상기 탑승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하차 가능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하차 가능 영역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얻고,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하차 가능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주행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차 가능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UI를 통해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전방을 촬영한 전방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차 가능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UI를 통해 상기 탑승자로부터 제2 사용자 입력을 얻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하차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하차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차 가능 영역에 대한 외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하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하차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의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위치 중 하차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를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의 하차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UI를 통해 상기 변경된 하차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하차 위치의 변경 이유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9.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항,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00065082A 2019-06-05 2020-05-29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373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108A KR102523145B1 (ko) 2019-06-05 2022-03-08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712 2019-06-05
KR20190066712 2019-06-05
KR1020190079933 2019-07-03
KR20190079933 2019-07-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108A Division KR102523145B1 (ko) 2019-06-05 2022-03-08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93A KR20200140193A (ko) 2020-12-15
KR102373775B1 true KR102373775B1 (ko) 2022-03-14

Family

ID=737802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082A KR102373775B1 (ko) 2019-06-05 2020-05-29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20029108A KR102523145B1 (ko) 2019-06-05 2022-03-08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108A KR102523145B1 (ko) 2019-06-05 2022-03-08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3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2335A (zh) * 2021-08-09 2021-11-02 上海淞泓智能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接驳车辆乘客需求匹配与车辆调度方法
CN113759934B (zh) * 2021-09-24 2022-06-14 清华大学 一种校园无人小巴配置和调度方法及系统
KR102415453B1 (ko) 2021-11-26 2022-07-05 (주)엔토포스 지능형 공간정보를 활용한 자율주행차량자료와 지리정보체계 자료처리 시스템
KR102502069B1 (ko) * 2022-02-22 2023-02-21 지에스비솔루션 주식회사 무인자동차 공유서비스 운용방법
KR102524958B1 (ko) * 2022-07-05 2023-04-25 포티투닷 주식회사 서비스 사용자용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24949B1 (ko) * 2022-07-05 2023-04-25 포티투닷 주식회사 서비스 사용자용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24973B1 (ko) * 2022-07-08 2023-04-26 포티투닷 주식회사 차량 운행 정보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5688949B (zh) * 2022-10-24 2023-11-03 深圳市滨能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驾驶车辆预约乘坐方法及系统
KR102607948B1 (ko) * 2022-12-09 2023-11-30 주식회사 쏘카 자율 주행 차량을 이용한 카쉐어링 서비스의 운영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카쉐어링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102608531B1 (ko) * 2023-03-31 2023-12-01 (주)블루모바일 지향성 신호를 이용한 태그리스 승하차 인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775B1 (ko) * 2016-06-29 2018-01-30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승하차 지점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200B1 (ko) * 2004-07-26 2006-08-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170116433A (ko) * 2016-04-11 2017-10-19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차량의 운행 경로를 전송하는 방법, 서버,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AU2017270574A1 (en) * 2016-05-27 2018-12-13 Uber Technologies, Inc. Facilitating rider pick-up for a self-driving vehicle
KR101941120B1 (ko) 2017-10-24 2019-01-22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775B1 (ko) * 2016-06-29 2018-01-30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승하차 지점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145B1 (ko) 2023-04-18
KR20220036923A (ko) 2022-03-23
KR20200140193A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775B1 (ko)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US11756429B2 (en) Transport vehicle configuration for impaired riders
JP6817337B2 (ja) 自動運転車のための乗客の乗車の円滑化
US111925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stopping and/or parking of autonomous vehicles
US1157774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autonomous vehicle safety and flexibility using voice interaction
US10984499B2 (en) Control device
US20170008490A1 (en) Vehicle and program for vehicle
WO2019123587A1 (ja) 駐車制御方法及び駐車制御装置
JP2020086930A (ja) 運行支援装置、車載装置、運行支援システム、運行支援方法及び運行支援プログラム
KR20210077048A (ko) 시각장애인용 자율 주행 차량
US20220185340A1 (en) Parking assist system
JP6369335B2 (ja) 経路特定装置
JP7119846B2 (ja) 車両の走行制御方法及び走行制御装置
KR102344773B1 (ko) 지능형 차량 제어 방법
JP7306414B2 (ja) 乗客輸送システム、乗客輸送方法及び車両の制御装置
KR102041962B1 (ko) 서포티드 자율주행 차량
JP7022827B2 (ja) 乗車地点決定方法及び乗車地点決定装置
JP6881594B2 (ja) 駐車制御方法及び駐車制御装置
US20230058508A1 (en) System amd method for providing situational awareness interfaces for a vehicle occupant
US20220203969A1 (en) Parking assist apparatus
US20210396532A1 (en) Mobile-object control device, mobile-object control method, mobile objec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20065892A1 (ja) 車両の走行制御方法及び走行制御装置
JP2021056932A (ja) 配車システム、配車システムの配車方法及びサーバ
JP7427548B2 (ja) 配車制御装置、配車制御システム及び配車制御方法
WO2021191682A1 (ja) 情報提供方法、車両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