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200B1 -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200B1
KR100610200B1 KR1020040058429A KR20040058429A KR100610200B1 KR 100610200 B1 KR100610200 B1 KR 100610200B1 KR 1020040058429 A KR1020040058429 A KR 1020040058429A KR 20040058429 A KR20040058429 A KR 20040058429A KR 100610200 B1 KR100610200 B1 KR 10061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vehicle
information
location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747A (ko
Inventor
하도훈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20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20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단말기의 SMS를 이용하여 차량을 호출하고, 상기 호출에 상응하여 배차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차량 호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요청 정보 또는 사용자가 탑승 장소로 지정한 위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위치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가 탑승 장소로 지정한 위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가 탑승 장소로 지정한 위치 정보를 통해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또는 사용자가 탑승 장소로 지정한 위치로 차량의 배차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 단말기, 네트워크, 차량 호출, 위치 정보

Description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ALLING VEHICLES USING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중 배차 여부에 대한 정보 전송 후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중 배차 여부에 대한 정보 전송 후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시 무선 단말기에 보여지는 화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시 무선 단말기에 보여지는 화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차 여부에 대한 정보 전송 후 무선 단말기에 보여지는 화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차 여부에 대한 정보 전송 후 무선 단말기에 보여지는 화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무선 단말기 130 : 제 1 무선 단말기
160 : 제 2 무선 단말기 190 : 유선 단말기
200 : 차량호출 관제 서버 300 : 위치 제공 서버
400 : 차량호출 센터 500 : 네트워크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호출 관제 서버가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제 1 무선 단말기로부터 차량 호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호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한 후,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차량의 배차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차량 호출 센터와 직접 통화를 하거나, 상기 차량 호출 센터에서 제공하는 홈 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차량 호출을 예약하는 방법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지며, 특히, 택시를 호출하는 과정에 있어 상기 서비스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차량 호출 센터는 복수의 차량 기사들을 회원으로 하고, TRS( Trunked Radio System ; 주파수 공용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 호출을 요청한 사용자에게 차량을 배차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차량 호출 센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통화 내용이나 상기 홈페이지에 기록된 정보를 통해 차량 호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배차 장소로 요청한 위치 정보, 연락처 및 필요한 시간 등을 기록하며, 즉시, TRS 통신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방송하여 상기 기록된 위치와 가장 근접해 있는 차량 기사 회원과 연결을 시도하여 상기 배차 장소로 차량을 이동할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 이동 요청을 받은 기사 회원은 상기 사용자와 통화하여 상기 배차 장소로 차량이 이동하고 있으며, 도착시에도 상기 사용자와 통화를 하여 상기 배차 장소로 차량이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방법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차량호출 센터에 통화를 시도하기 위한 연락번호를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제한이 있다.
또한, 인터넷 망을 통해 제공되는 차량 호출 센터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차 량을 호출할 수도 있지만, 이는 인터넷 망과의 연결이 가능한 단말기가 구비되어야 하는 제한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배차 장소로 이동 중인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을 알기 위하여는 직접 상기 차량의 기사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무선 단말기의 SMS를 통해 차량 호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챠랑 호출 정보를 수신한 차량호출 관제 서버는 상기 차량 호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요청한 배차 장소로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하여, 배차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단말기로 배차 가능하다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경우, 상기 알림 정보와 더불어 배차 차량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차 차량 정보 전송 후,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정한 제 2 무선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배차 차량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가 상기 배차 차량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경우,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는 상기 배차 차량의 위치를 검색하여 배차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 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차량 호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차량 호출 정보에 상응하는 배차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무선 단말기 및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 호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호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수신 주기마다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정한 제 2 무선 단말기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배차 차량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호출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은, A-1)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차량 호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요청 정보 또는 사용자가 탑승 장소로 지정한 위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위치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가 탑승 장소로 지정한 위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가 탑승 장소로 지정한 위치 정보를 통해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 및 A-5)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또는 사용자가 탑승 장소로 지정한 위치로 차량의 배차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3) 단계는, b-1)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최근 이용 위치 검색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최근 이용 위치 검색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최근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b-3)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 상기 검색된 최근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b-4)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한 최근 위치 정보에 대하여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은, B-1)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차량호출 센터로 차량 호출 정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차량호출 센터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 B-3) 상기 차량호출 센터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상기 검색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및 B-4)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검색 결과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 차량의 배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
삭제
삭제
우선, 본 발명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100) 및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선 단말기(190), 위치 제공 서버(300) 및 차량 호출 센터(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휴대 전화 및 PDA 등을 포함하며, 통신망(500)을 통해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수단 모두를 포함하며, 서비스 사용자는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를 통해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 차량 호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 호출 정보에 상응하는 배차 가능 여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알림 정보가 배차 가능하다는 내용일 경우에는, 상기 알림 정보와 동시에 배차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
제 2 무선 단말기(160)는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지정한 무선 단말기로, 상기 차량 호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배차 장소로 배차 가능하다고 검색되어, 상기 배차 장소로 배차된 배차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이다.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는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와 통신망(50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차량 호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호출 정보에 상응하여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한 후, 검색 결과를 통해 배차 가능 여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할 경우에는, 상기 위치 검색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 결과를 통해 상기 제 1 무 선 단말기(13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이다.
상기 위치 제공 서버(300)는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가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를 검색 할 경우,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요정 정보에 상응하는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차량들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요청한 배차 장소로 배차 가능한 차량 검색시 상기 측정된 차량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지국 또는 교환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GPS(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Global Positioning System),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ETDOA(Enhanc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등의 방식을 통하여 측정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 호출 센터(400)는 종래에 일반적인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던 수단으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부터 배차 가능한 차량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하거나 차량 호출 정보를 직접 수신할 경우에 활용되는 수단이다.
즉, 상기 차량호출 센터(400)가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부터 배차 가능한 차량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검색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정보를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차량호출 센터(400)는 TRS를 이용하여 상기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호출 센터(400)가 상기 위치 제공 서버(300)와 연동할 경우, 상기 위치 제공 서버(300)로부터 차량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배차 가능한 차량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선 단말기(190)는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와 더불어 상기 차량호출 센터(400)로 차량 호출 정보를 직접 전송하는 수단으로, 상기 유선 단말기(190)를 통해 전송된 차량 호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부터 제공받게 되는 서비스를 상기 유선 단말기(190)를 통해 차량 정보를 전송한 서비스 사용자가 지정한 무선 단말기(100)로 수신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중 배차 여부에 대한 정보 전송 후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중 배차 여부에 대한 정보 전송 후의 순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무선 단말기(130)에서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 차량 호출 정보를 전송한다(S310).
상기 차량 호출 정보의 전송은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차량 호출 프로그램의 메뉴 구성 화면을 통해 요청하는 정보에 관계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기 화면으로 도시한 예는 상기 차량을 '택시'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는 '안심택시' 하위 메뉴 항목인 '택시바로부르기'(810)를 선택한다.
이어서, 상기 차량 호출 정보를 수신한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는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지정한 탑승 장소에 대한 위치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S320).
이어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 상기 위치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탑승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340).
상기 위치 정보의 전송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S320) 단계에서 제공받은 단말기 화면에 구체적인 탑승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입력(820)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현재 자신의 위치를 모를 경우에는 상기 제공된 단말기 화면의 위치 검색 메뉴 항목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 상기 사용자 자신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위치 검색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S342).
이때, 검색 요청한 사용자 자신의 위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위치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한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는 상기 위치 검색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를 검색하고(S344), 그 결과,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로 전송한다(S346).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에서의 위치 정보 전송은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현위치주변검색' 메뉴 항목(840)을 통해 위치 검색 요청 정보를 전송했을 경우,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 위치 주변 검색 결과를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 화면으로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 화면에 제공된 다수 개의 현위치주변검색 결과에서 탑승 장소로 원하는 위치 정보를 선택(842)하는 방법으로 확인 정보를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 전송한다(S348).
한편, 상기 사용자는 '최근이용위치검색' 메뉴 항목(830)을 통해 상기 위치 검색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 최근 이용 위치 검색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는 상기 최근 이용 위치 검색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최근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최근이용위치검색' 메뉴 항목(830)을 선택한다.
그리고 검색 결과로 제공받은 소정 개수의 최근 이용 위치에 대한 정보 가운데 탑승 위치로 선정할 위치 정보를 선택(832)하는 방법으로 확인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는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탑승 장소로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한다(S350).
이때,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가 위치 제공 서버(300)로부터 차량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호출 센터(400)와 연동하여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호출 센터(400)로 배차 가능한 차량 검색 요청 정보 및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면(S410), 차량호출 센터(400)가 상기 위치 제공 서버(300)로부터 차량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TRS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과 직접 연락하는 방법으로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하여(S420), 그 결과를 다시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 전송(S430)함으로써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는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로 상기 검색 결과를 통해 배차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360).
만약,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차 불가능 알림 정보(920)를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로 전송한다(S383).
또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에 접속자가 많아 서비스 연결에 실패하였을 경우에도 서비스 연결 실패 알림 정보(930)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로 배차가 가능할 경우, 배차가 가능하다는 호출 성공 알림 정보(910)를 전송함과 동시에, 배차 차량 정보를 전송한다(S380).
예컨대, 배차 차량 번호 및 전화번호 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통화를 원할 경우에는 통화를 시도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가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부터 배차 차량 정보를 수신한 후의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가 설정한 배차 차량 위치 정보 제공 시간 동안 배차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는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 배차 차량 위치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S510).
예컨대,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무선 단말기 화면(1)에서 '택시위치보기' 메뉴 항목(12)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는 상기 요청 정보를 수신한 시간이 상기 배차 차량 위치 정보 제공 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520).
만약, 배차 차량 위치 정보 제공 시간을 초과하였다면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차 차량 위치 확인 불가능 알림 정보(2)를 전송한다.
그리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배차 차량의 위치를 검색하고(S540),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색된 배차 차량 위치 정보(3)를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로 전송한다(S550).
또한, 도 6 및 도11a 내지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상대방의 제 2 무선 단말기(160)로, 상기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배차 차량 정보 및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 상기 제 2 무선 단말기(160)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S610).
또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에서 상기 차량관제 서버(200)로 상기 제 2 무선 단말기(160)가 상기 배차차량 정보 및 제 1 무선 단말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신 주기를 설정한 후 상기 수신 주기 정보를 전송한다(S620).
이어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는 상기 수신 주기를 등록하고(S630), 상기 등록된 수신 주기마다 상기 제 2 무선 단말기(160)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 정보 및 배차 차량 정보를 전송한다(S640).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를 통해 사 용자는 차량을 자주 호출하는 탑승위치를 등록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이용 전에, 미리 탑승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에서는 상기 수신한 탑승 위치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한 후,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시 상기 등록된 탑승 위치 정보를 요청할 경우, 상기 탑승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차량 호출시 제 1 무선 단말기(130)의 위치 정보 즉, 사용자가 탑승할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할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130) 또는 제 2 무선 단말기(160)와 차량호출 관제 서버(200) 사이에 상호 통신하는 정보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 메시지 서비스)로 이루어지며,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자동 응답 서비스)를 통해서도 상호 통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는 서비스 사용자가 상기 차량호출 센터(400)와 직접 연결하여 차량을 호출 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는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190,100)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호출 센터(400)로 직접 차량 호출 정보,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S710).
그리고 정보를 수신한 차량호출 센터(400)는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하는데, 배차 가능한 차량 검색 과정 및 그 이후의 수행 과정 방법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의 SMS 를 이용하여 차량을 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을 제공하는 센터의 연락번호를 숙지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위치 추적이 가능하므로, 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의 현 위치를 모를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가 탑승할 장소, 즉,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차량을 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된 배차 차량의 위치 추적 또한 가능하므로 상기 사용자는 배차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배차 후에도 배차 차량 위치 정보 제공 시간동안 상기 배차 차량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므로, 상기 배차 차량에 분실물을 습득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배차 차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의 무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9)

  1. A-1)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차량 호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요청 정보 또는 사용자가 탑승 장소로 지정한 위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위치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가 탑승 장소로 지정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가 탑승 장소로 지정한 위치 정보를 통해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 및
    A-5)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또는 사용자가 탑승 장소로 지정한 위치로 차량의 배차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3) 단계는
    b-1)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최근 이용 위치 검색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최근 이용 위치 검색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최근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b-3)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 상기 검색된 최근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b-4)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한 최근 위치 정보에 대하여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의 정보는
    SM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 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는
    a-1)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위치 검색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위치 검색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a-3)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a-4)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는
    a-2-1)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위치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2-2) 상기 위치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위치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a-2-3)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검색된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무선 단말기를 이용 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 저장된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 최근 이용 위치 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b-3) 단계에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 1 무선 단말기의 최근 위치 정보는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설정한 개수 만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최근 위치 정보 개수는 최근에 저장된 순서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는
    c-1)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와 연동하는 차량 호출 센터로 상기 수신한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차량호출 센터에서 상기 차량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 및
    c-3) 상기 차량호출 센터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상기 검색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는
    c-1)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와 연동하는 차 량 호출 센터로 상기 수신한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차량호출 센터에서 상기 차량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 및
    c-3) 상기 차량호출 센터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상기 검색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5) 단계는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차량의 배차가 가능할 경우,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 배차 차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A-5) 단계 이후에
    A-6-1)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상기 배차 차량의 위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A-7-1)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배차 차량의 위치를 검색하여, 상기 위치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배차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A-5) 단계 이후에
    A-6-2)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가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상기 차량의 위치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A-7-2)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가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차량을 배차한 후,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가 설정한 배차 차량 위치 정보 제공 시간을 경과하여 상기 위치 요청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 차량의 위치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위치확인 불가능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5) 단계는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차량의 배차가 불가능할 경우, 차량 배차 불가능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는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탑승 위치 정보 를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위치 정보 등록은
    Ⅰ)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탑승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Ⅱ)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탑승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5) 단계 이후에
    A-6-3)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정한 제 2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A-7-3)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2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 단말기로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배차 차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 2 무선 단말기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A-5) 단계 이후에
    A-6-4)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배차 차량 정보의 수신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A-7-4)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 상기 설정된 수신 주기를 전송하는 단계;
    A-7-5)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수신 주기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A-7-6)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에서 상기 제 2 무선 단말기로 상기 등록된 수신 주기마다 상기 차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차량 호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차량 호출 정보에 상응하는 배차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무선 단말기; 및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 호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호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수신 주기마다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정한 제 2 무선 단말기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배차 차량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호출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상기 차량 호출 정보에 상응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 및/또는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7.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된 차량 호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호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배차 가능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 호출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호출 센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8.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호출 관제 서버는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차량의 배차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제 1 무선 단말기로 차량 배차 불가능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9. 삭제
KR1020040058429A 2004-07-26 2004-07-26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61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429A KR100610200B1 (ko) 2004-07-26 2004-07-26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429A KR100610200B1 (ko) 2004-07-26 2004-07-26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747A KR20060009747A (ko) 2006-02-01
KR100610200B1 true KR100610200B1 (ko) 2006-08-10

Family

ID=3712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429A KR100610200B1 (ko) 2004-07-26 2004-07-26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372B1 (ko) * 2006-05-03 2007-07-06 주식회사 에브리웨어 적응형 차량 호출 시스템 및 방법
KR100915651B1 (ko) * 2007-12-31 2009-09-04 주식회사 케이티로지스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화기기 호출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373775B1 (ko) * 2019-06-05 2022-03-14 주식회사 라이드플럭스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77A (ko) * 2001-06-18 2001-08-30 이재욱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
KR20020061957A (ko) * 2001-01-19 2002-07-25 엘지전자주식회사 택시위치정보를 이용한 택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88274A (ko) * 2001-05-21 2002-11-27 윤준호 차량 호출 서비스방법
KR20040029554A (ko) * 2002-10-01 2004-04-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고객과 택시기사와의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957A (ko) * 2001-01-19 2002-07-25 엘지전자주식회사 택시위치정보를 이용한 택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88274A (ko) * 2001-05-21 2002-11-27 윤준호 차량 호출 서비스방법
KR20010082477A (ko) * 2001-06-18 2001-08-30 이재욱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
KR20040029554A (ko) * 2002-10-01 2004-04-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고객과 택시기사와의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747A (ko)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03B1 (ko) 위치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게이트웨이 서버
US6636742B1 (en) Tracking of mobile terminal equip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0694778B1 (ko) 셀룰러 시스템과 무선랜 사이의 핸드오버 기능을 구비한코어 네트워크
US6778818B1 (en) Enhanced 911 system for providing witness identif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348709A (zh) 无线通信网络中的ue、网络节点和客户端节点中的方法
JP2006217525A (ja)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ローミング接続方法
CN105882598A (zh) 车辆操作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04349455A (zh) 一种通过wifi热点定位的方法和系统
WO2004036930A1 (fr) Procede de positionnement d'un combine agps dans des reseaux de communication mobile
JP2002279028A (ja) 情報支援システム、情報支援方法、情報端末装置並びに情報支援装置
CN107071728A (zh) 一种终端定位方法及装置
CN101656912A (zh) 移动终端的定位方法和系统
US7620032B2 (e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telephone communication switching method
KR100610200B1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10086611A (ko) 이동 콜택시 서비스 방법
CN101317483B (zh) 用于将蜂窝移动终端连接到需要定位该终端的帮助服务的方法
JP3895565B2 (ja) 位置情報提供装置、回線交換装置、位置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402038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unit
JP5197764B2 (ja) PHS網でのロケーティング(locating)およびアシスタント・ロケーティング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60123798A (ko) 단말을 이용한 목적지 접근 알림 방법 및 장치
KR100750056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97614A (ja) 遊戯施設情報の配信等に適用可能な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JP2908406B1 (ja) 無線電話システム
KR100488177B1 (ko)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4265191A (ja) 緊急通報管理装置、移動体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緊急通報発信方法、緊急通報システムおよび緊急通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