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447B1 - 그늘 만들기 기능을 가지는 광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그늘 만들기 기능을 가지는 광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447B1
KR102372447B1 KR1020167033878A KR20167033878A KR102372447B1 KR 102372447 B1 KR102372447 B1 KR 102372447B1 KR 1020167033878 A KR1020167033878 A KR 1020167033878A KR 20167033878 A KR20167033878 A KR 20167033878A KR 102372447 B1 KR102372447 B1 KR 102372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terial
light
darkening
branching
ef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247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리트뮐러
바스챤 베쉬
홀더 일크
Original Assignee
도이체 인스티튜트 퓌어 텍스틸-운트 파저포슝 덴켄도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이체 인스티튜트 퓌어 텍스틸-운트 파저포슝 덴켄도르프 filed Critical 도이체 인스티튜트 퓌어 텍스틸-운트 파저포슝 덴켄도르프
Publication of KR20170008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2Composite shades, i.e. shades being made of distinc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8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 F21V11/14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with many small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16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sheets without apertures, e.g. fixed
    • F21V11/18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sheets without apertures, e.g. fixed movable, e.g. flaps, slides
    • F21V11/186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sheets without apertures, e.g. fixed movable, e.g. flaps, slides slid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 시트재(13)의 시야측(24) 상에서 광 효과(26)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암흑화 시트재(11), 바람직하게 분기 시트재(12)는 유효 시트재(13)에 대해 배면측(23) 상에서 배열되고 이격되며, 상기 배면측은 시야측(24) 반대로 향한다. 암흑화 시트재(11)는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과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을 가진다. 유효 시트재(13) 반대편으로 향하는 광 진입측(15)에서, 광(L)은 암흑화 시트재(11) 상에 충돌하고,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에서 적어도 극심하게 감소되거나 또는 완전히 차폐된다. 광(L)은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을 통과할 수 있다. 분기 시트재(12)의 수단에 의해, 분기 광선(LD)들은 대응하는 투과 영역(17)에서 생성되고, 분기 광선들은 유효 시트재(13)의 배면측(23) 상에 충돌하고, 보는 사람(25)을 위한 광 효과(26)를 발생시켜 시야측(24)에서 보인다.

Description

그늘 만들기 기능을 가지는 광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ARRANGEMENT FOR GENERATING LIGHT EFFECTS HAVING A SHADOWING FUNCTION}
본 발명은 광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어 공개 WO 2011/015621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장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멀리 배열된 텍스타일 시트재(textile sheet material)를 포함한다. 이러한 텍스타일 시트재는 직물로서 구성되고, 날실층(warp thread layer) 뿐만 아니라 씨실층(weft thread layer)을 포함한다.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은 날실들과 씨실들에 의해 반사되거나 또는 편향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원 반대편으로 향하는 직물의 시야측 상에, 보는 사람에 대해 3차원 광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광 패턴이 생성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다른 광원의 도움으로 조명된다. 광원들은 장식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광 효과의 발생을 위한 장치의 기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나타내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장치는 보는 사람이 보는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중첩 배열되는 몇몇 시트재들을 포함한다. 보는 방향은 시트재 범위의 평면에 대해 기본적으로 직각이다.
장치는 암흑화 시트재(obscuration sheet material)를 포함한다. 암흑화 시트재는 광 진입측(light entry side)과 광 방출측(light exit side)을 가진다. 광 진입측은 인공 또는 천연 광원을 향한다. 암흑화 시트재는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transmission region)과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shielding region)을 가진다. 광 진입측에서 암흑화 시트재에 충돌하는 광은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을 통해 적어도 움직이고, 광 방출측 상에서 투과 영역으로부터 방출된다.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은 광을 거의 완전하게 차폐할 수 있다. 차폐 영역에서, 암흑화 시트재는 소위 "블랙아웃 재료(blackout material)"의 요구에 응할 수 있다. 적어도 광 방출측에서 방출되는 광의 세기는 차폐 영역에서보다 투과 영역에서 커서, 어두운 차폐 영역과 밝은 투과 영역 사이의 광의 충분한 세기 차이가 광 방출측에서 보장된다.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암흑화 시트재는 블랫아웃 시트재에 의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은 암흑화 시트재의 하나의 암흑화 층의 적어도 최소 한도로 구멍들에 의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은 임의의 형상 또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투과 영역들이 로고, 글자, 패턴 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것은 심미적인 실내 디자인을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투과 영역 또는 몇몇 투과 영역들의 전체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의 전체 나머지 표면보다 적어도 10배까지 작다.
또한, 장치는 광 패턴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효 시트재(effect sheet material)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특히 3차원 광 효과는 유효 시트재의 시야측(viewing side)에서 발생될 수 있다. 유효 시트재는 텍스타일 소재, 바람직하게 직물로 만들어진다. 텍스타일 소재에서의 얀들 또는 실들의 배열로 인하여, 필요한 광 효과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유효 시트재는 암흑화 시트재를 향하는 배면측(rear side)과 배면측 반대편의 시야측을 가진다. 암흑화 시트재의 투과 영역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유효 시트재의 배면측에 충돌하고, 실들 또는 얀들에 의해 반사되고 및/또는 산란되고 및/또는 굴절되고 및/또는 회절된다. 이러한 것의 결과로서, 광 패턴 또는 광 효과는 보는 방향으로 시야측에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으로 인하여, 점 모양(punctiform) 또는 반구상 광원들과 다른 광원들을 (암흑화 시트재의 광 충돌측 상에)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암흑화 시트재는 이를테면 다이아프램으로서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광 효과로 더욱 복잡한 광 패턴들 또는 글자를 발생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끝으로, 암흑화 시트재를 통해 광원으로서 천연광, 특히 태양광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장치가 암흑화 시트재와 유효 시트재에 더하여, 평행한 태양광을 분기광(divergent light)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분기 시트재(divergence sheet material)를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분기 시트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에서 반구형으로 발산되고 바람직하게 등방성 광(isotropic light)에 접근하는 광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분기 시트재와 암흑화 시트재는 말하자면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사실상 점 모양의 광원들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고려하여, 장치는 차양막으로서 또는 그늘 만들기 목적을 위해 또한 적절하고, 그러므로 햇볕 가리개, 양산, 빛 가리개(darkening shade) 또는 유사한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을 통과하는 광의 세기는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을 통과하는 광의 세기보다 적어도 5 내지 10배, 바람직하게 10 내지 30배까지 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기 시트재는 암흑화 시트재와 유효 시트재 사이에 배열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분기 시트재는 또한 암흑화 시트재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유익하게, 분기 시트재와 암흑화 시트재는 서로 평면 접촉하고, 예를 들어 재료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광 효과의 발생을 위하여, 분기광을 발생시키는 분기 시트재의 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에 매우 밀접하게 이웃하여 배열되면 유익하다. 또한, 장치의 취급은 분기 시트재와 암흑화 시트재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면 간략화된다.
분기 시트재는 포일 및/또는 섬유재 및/또는 텍스타일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들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보이는 섬유 또는 플리스 재료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을 산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암흑화 시트재 및/또는 분기 시트재 및/또는 유효 시트재는 각각 하나 또는 서로 접촉하는 다수의 층들로 각각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광이 차폐 영역들을 통과할 수 없는 방식으로 암흑화 시트재를 디자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층 유효 시트재는 필요한 광 효과 또는 광 패턴들을 달성하기 위해 유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암흑화 시트재는 예를 들어 포일재 및/또는 섬유재 및/또는 텍스타일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지지층을 포함하다. 적어도 하나의 암흑화 층은 이러한 지지층 상에 배열된다. 특히, 하나 또는 다수의 암흑화층들이 지지층의 양측에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은 암흑화 시트재에 있는 구멍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멍은 암흑화 시트재의 모든 층들에 제공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지지층이 투과 영역에 배열되고, 투과 영역에 배열된 암흑화 층들만이 개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지지층은 분기층(divergence layer)으로서 작용하고, 그러므로 분기광을 만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층은 분기 시트재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분기 시트재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암흑화 시트재 및/또는 유효 시트재는 감이축(winding shaft) 상에 감기거나 또는 이로부터 풀릴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암흑화 시트재 및/또는 유효 시트재는 주름형 가리개(pleated shade)를 형성하고, 아코디언 방식으로 압축되거나 또는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것과 관련하여, 상기된 바와 같이, 분기 시트재가 평면 방식으로 암흑화 시트재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암흑화 시트재와 유효 시트재 사이 또는 암흑화 시트재와 분기 시트재 사이의 공간은 공기 갭 및/또는 연결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광이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 또는 분기 시트재로부터 유효 시트재의 배면측까지 퍼지는 영역에서, 연결층은 사용되는 광파장(light wave length) 또는 광파장 범위까지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간섭광(interfering light)의 발생을 피하기 위하여, 기술적으로 가능한 범위까지 불투과성이도록(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 영역들에서) 구성될 수 있다. 연결층은 유효 시트재를 분기 시트재에 또는 암흑화 시트재에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오직 공간을 국부적으로 명시한다.
암흑화 시트재 및 유효 시트재는 가이드 디바이스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되는 하나의 당김 막대(pull rod)를 함께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암흑화 시트재 및/또는 유효 시트재가 블라인드(roller shade)로서 또는 주름으로서 구성될 때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암흑화 시트재는 서로에 관계하여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암흑화 층들을 포함하며,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투과 영역들과 차폐 영역들은 동일하게 디자인되거나 또는 외형화된다. 그러므로, 2개의 암흑화 층들의 상대 이동으로 인하여, 하나의 암흑화 층의 투과 영역이 다른 암흑화 층의 차폐 영역과 각각 일치할 때 완전한 블랙아웃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역으로, 투과 영역을 통한 최대 광 통로는 2개의 암흑화 층들의 2개의 투과 영역들이 완전히 일치하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광 통로를 위해 이용 가능한 중첩 영역의 크기 및/또는 형태는 특히 연속적인 방식으로 2개의 암흑화 층들의 2개의 투과 영역들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이후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 회로도와 같은 개략도;
도 2는 암흑화 시트재 및 분기 시트재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암흑화 시트재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이중 블라인드로서 구성된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
도 5는 주름형 가리개로서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암흑화 시트들을 포함하는 장치의 변형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 회로도와 같은 개략도;
도 8은 블라인드로서 도 6 및 도 7에 따른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 및
도 9는 유효 시트재와 분기 시트재 사이에 연결층을 포함하는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분해도.
도 1 및 도 2는 광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1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층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두번째 도면으로) 도시한다.
장치(10)는 암흑화 시트재(11), 분기 시트재(12) 및 유효 시트재(13)를 포함한다. 암흑화 시트재(11)는 광 진입측(15)과, 반대편의 광 방출측(16)을 가진다. 암흑화 시트재는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과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을 가진다. 인공 또는 천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어 암흑화 시트재(11)의 광 진입측(15)에 충돌하는 광(L)은 암흑화 시트재(11)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을 통해 최소로 움직여 광 방출측(16)에서 빠져나간다. 이렇게 하여, 암흑화 시트재(11)는, 광 진입측(15)에서 충돌하는 광의 세기 감소가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에서 명확히 크고,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을 통과하는 광의 세기 감소보다 적어도 10배 큰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시된 장치(10)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돌광(L)은 (차폐 영역(18)으로 인하여) 오직 광의 무시할만큼의 부분이 침투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에서 거의 완전히 차폐된다.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에서 암흑화 시트재(11)는 바람직하게, 소위 "블랙아웃" 재료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은 광(L)이 광 진입측(15)으로부터 광 방출측(16)으로 장애없이 움직일 수 있도록 암흑화 시트재(11)에서 하나의 구멍(19)에 의해 형성된다.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하여, 원통형 구멍의 형태를 하는 몇몇 구멍(19)들이 암흑화 시트재(11)에 제공된다. 구멍들의 형태 또는 외형은 또한 원형 단면으로부터 벗어나 선택될 수 있다. 구멍(19)의 전체 단면적은 구멍(19)들을 둘러싸는 차폐 영역(18)의 전체 단면적보다 작고, 바람직하게 이보다 적어도 10배까지 작다. 또한, 예에 따라서, 암흑화 시트재(11)가 연장하는 하나의 공간 방향으로의 2개의 인접한 구멍(19)들 사이의 거리(D)는 이러한 공간 방향으로의 구멍(19)의 치수보다 크고, 바람직하게 이보다 적어도 2배만큼 크다.
도 1에 따른 암흑화 시트재(1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오직 단 하나의 암흑화 층(11a)만이 의도된다. 이와 다르게, 도 2 및 도 3에 따른 암흑화 시트재(11)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몇몇 암흑화 층(11a)들이 만들어진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암흑화 시트재(11)는 지지층(11b)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암흑화 층(11a)은 일측에서, 및 예에 따라서 양측에서 이러한 지지층(11b)에 적용된다.
지지층(11b)은 암흑화 시트재(11)의 제조를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지지층은 텍스타일 소재, 예를 들어 직물 또는 또한 편직물일 수 있다. 이어서, 하나 이상의 암흑화 층(11a)들은 일측 또는 양측에서 지지층(11b)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암흑화 층(11a)들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암흑화 층들의 수 및 두께는 충돌광(L)을 위한 차폐 영역(18)에서 요구된 차폐 효과가 달성되도록 선택된다.
구멍(19)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개구들이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뒤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들은 모든 층(11a, 11b)들을 완전히 통과하여 연장한다. 이러한 것은 절단, 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 펀칭 또는 다른 적절한 분리 공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구멍(19)들이 적용된 암흑화 층(11a)들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지지층(11b)을 코팅할 때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을 마스킹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3). 이렇게 하여, 구멍(19)들은 오직 암흑화 층(11a)들에서만 존재하고, 지지층(11b)을 통해 연장하지 않는다. 도 3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암흑화 층(11b)들에 있는 구멍(19)들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하나의 보는 방향(B)으로 정렬하고 있다. 보는 방향(B)은 암흑화 시트재(11)가 연장하는 범위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지층(11b)은 분기 시트재(12)을 형성하거나 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분기 시트재(12)의 기능은 추후에 설명될 것이다.
분기 시트재(12)는 평행한 광(L)을 산란시키고, 광 방출측(16)의 영역에서 분기 광선(LD)들을 발생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에 배치된다. 투과 영역(17)들 또는 구멍(19)들이 충분히 작은 단면을 가지면, 사실상 점 모양의 광원은 분기 시트재(12)와 결합하여 각 구멍(19)에서 광 방출측(16) 상에서 발생되고, 상기 점 모양의 광원은 반구상의 방식, 바람직하게 (등방성 방식으로) 기술적으로 가능한 범위까지 분기 광선(LD)들을 발산한다.
분기 시트재(12)는 포일 및/또는 텍스타일 소재 및/또는 섬유재일 수 있으며, 직물, 편직물, 플리스 재료 또는 셀룰로오스 재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기 시트재(12)는 평면 및 견고한 방식으로 암흑화 시트재(11)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암흑화 시트재(11)의 광 방출측(16)에 직접 배열될 수 있거나(도 1), 또는 대안적으로 암흑화 시트재(11)에서 층으로서 통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시트재(12)는 또한 예를 들어 지지층(11b)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일측 또는 양측에서 암흑화 층(11a)이 코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암흑화 시트재(11)는 일종의 다이아프램의 기능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에서 (분기 시트재(12)와 함께) 분기 광선(LD)들을 발생시킨다. 분기 광선(LD)들은 분기 시트재(12)로부터 거리(A)에 배열된 유효 시트재(13) 상에 충돌한다. 유효 시트재(13)는 분기 시트재(12)를 향한 배면측(23) 또는 암흑화 시트재(11)의 광 방출측(16)을 가진다. 분기 광선(LD)들은 이러한 배면측(23)에 충돌한다. 배면측(23) 반대편에서, 유효 시트재(13)는 시야측(24)을 가진다. 시야측(24)은 보는 사람(25)을 향한다.
유효 시트재(13)는 바람직하게 텍스타일 소재 및/또는 섬유재 및/또는 포일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효 시트재(13)는 하나 이상의 얀들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직물로서) 만들어진다. 분기 광선(LD)들은 배면측(23)에 충돌하고, 예에 따라서 각각의 얀 섹션에서 유효 시트재(1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산란되고 및/또는 반사되고 및/또는 회절된다. 서로에 대한 층들의 얀 구조(makeup) 및/또는 배열로 인하여, 보는 사람(25)을 위하여 지정된, 필요한 광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3차원 광 효과(26)가 생성된다. 유효 시트 직물재(13)의 구조에 의존하여, 다수의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별형상 광선은 구멍(19)에서 사실상 광원들 주위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광선들은 보는 사람(25)을 위하여 또한 실내 안으로 배면을 향해 유효 시트재(13)의 평면으로부터 연장한다. 타원 또는 선 패턴을 발생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3차원 효과는 배면측(23)에서 충돌하는 광이 분기할 때만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임의의 필요한 천연 또는 인공 광원들과 함께 작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구상에 충돌하는 태양광은 평행하여서, 유효 시트재(13)는 광 효과를 발생시킬 수 없다. 장치(10)는 평행 광(L)으로부터 분기 광선(LD)들을 생성하고, 그러므로 태양광에서도 광 효과(26)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치(10)는 예를 들어 양산, 태양 돛(sun sail), 블라인드 등과 같은 햇빛 차단 장치 또는 그늘 만들기 장치에서 사용하는데 적절하다. 예를 들어, 낮동안 실내를 어둡게 할 때, 어두워진 창들에 특별한 광 효과를 생성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변형에서, 분기 시트재(12)로 투과 영역(17)의 일부 또는 하나 이상의 천이 영역(17)들을 덮지 않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것은 구멍(19)이 또한 분기 시트재(12)에 제공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광은 그런 다음 유효 시트재(13) 상에서 평행한 이러한 구멍들을 통하여 충돌할 것이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글자 또는 회사 로고의 예리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장치(10)가 평행한 광(L) 대신에, 분기광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작업하면, 분기 시트재(12)는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장치(10)의 디자인 실시예의 2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10)는 이중 블라인드(30)의 형태로 구성된다. 암흑화 시트재(11)와 분기 시트재(12)는 제1 블라인드(32)의 공통의 감이축(31) 상에 직접, 밀접한 접촉으로 권취된다. 유효 시트재(13)는 제2 블라인드(33)의 감이축(21)에 권취된다. 2개의 블라인드(32, 33)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어서, 하나의 블라인드(32 또는 33)의 감이축(31)이 회전될 때, 다른 블라인드(33 및 32)의 감이축(31)은 각각 또한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것은 시트재(11, 12, 13)들이 공통의 당김 막대(34)에 (그 각각의 자유 단부들에서) 연결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권취 및 풀림은 당김 막대를 통해 개시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2개의 블라인드(32, 33)들의 감이축(31)들은 커플링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기어 메커니즘, 벨트 등에 의해 서로 또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다른 시트재(11, 12)들에 대한 유효 시트재(13)의 연결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그 변형예에서, 서로에 관계없이 2개의 블라인드(32, 33)들을 동작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블라인드(32, 33)들의 배열은 유효 시트재(13)와 분기 시트재(12) 사이에서 공간(A)이 조절되도록 한다.
도 5는 장치(10)를 위한 또 다른 디자인 가능성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블라인드(32, 33)들은 없지만, 주름형 가리개(35, 36)들이 제공된다. 제1 주름형 가리개(35)는 암흑화 시트재(11) 및 분기 시트재(12)를 위해 존재하지만, 제2 주름형 가리개(36)는 유효 시트재(13)를 위해 존재한다. 이 경우에, 시트재(11, 12)들은 아코디언 형태로 주름지고 떨어질 수 있다. 각 주름형 가리개(35, 36)는 각각 관련 시트재(11, 12, 13)의 자유 단부에 연결되는 당김 막대(34)를 포함할 수 있다. 당김 막대(34)는 가이드 장치(37)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2개의 당김 막대(34)들을 서로 결합하거나, 또는 주름형 가리개(35, 36)들의 동작이 결합되도록 조합된 구성요소로서 당김 막대들을 디자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장치(1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렇게 하여, 암흑화 시트재(11)는 보는 방향(B)에 대해 횡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암흑화 층(11a)들을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각 암흑화 층(11a)은 바람직하게 동일하게 외형화되고 디자인된 하나의 투과 영역(17)과 하나의 차폐 영역(18)을 가진다. 2개의 암흑화 층(11a)들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투과 영역(17)들은, 하나의 암흑화 층(11a)의 투과 영역(17)이 각각의 다른 암흑화 층(11a)의 차폐 영역(18)과 일치되는 방식으로 서로 중첩되거나 또는 이동될 수 있다(도 7). 이러한 어두운 위치에서, 광은 투과 영역(17)들을 통과하지 않게 되고, 장치(10)는 전체 그늘 만들기 또는 어둡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암흑화 층(11a)들의 투과 영역(17), 즉 예를 들어, 구멍(19)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면, 광 효과(26)는 발생될 수 있다(도 6).
이 실시예는 블라인드 장치(30)와 함께 실시될 수 있다(도 8). 이렇게 하도록,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다른 제3 블라인드(40)가 제공될 수 있다. 암흑화 층(11a)은 제3 블라인드(40)에 권취되는 한편, 각각의 다른 암흑화 층(11a)은 제1 블라인드(32)에 권취된다. 2개의 암흑화 층(11a)들 중 하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시트재(12)에 연결될 수 있다. 서로에 대하여 제1 블라인드(32)와 제3 블라인드(40)의 2개의 감이축(31)들의 상대 회전의 결과로서, 2개의 암흑화 층(11a)들 사이의 필요한 상대 위치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정될 수 있다. 2개의 암흑화 층(11a)들은 공통의 당김 막대(34)와 결합될 수 있으며; 그러나, 각 블라인드(32, 40)를 위한 별개의 당김 막대(34)들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 외에, 도 8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30)는 도 4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30)에 대응하여서, 상기된 설명에 대하여 참조될 수 있다.
끝으로, 주름형 가리개들을 사용하여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암흑화 층(11a)들을 구비한 장치(10)를 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추가의 주름형 가리개는 추가의 암흑화 층(11a)을 구비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하여, 공간(A)은 유효 시트재(13)와 암흑화 시트재(11) 또는 분기 시트재(12) 사이의 공기 갭에 의해 형성된다. 그 변형예에서, 모든 예시적인 실시에들에서, 유효 시트재(13)와 분기 시트재(12) 또는 암흑화 시트재(11) 사이에 연결층(41)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층(41)은 광원(L)으로부터 시작하는 광파장 또는 광파장 범위에 대해 투과성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층(41)은 가시광선의 모든 광파장에 대해 투과성이다. 그러나, 필요한 조명 색상을 조정하기 위하여 색상 필터로서 연결층(41)을 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층(41)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장치(10)가 단일의 주름형 가리개 또는 블라인드로 실시될 수 있도록 모든 시트재(11, 12, 13)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층(41)은 적어도 분기 광선(LD)의 발광 영역 외부에서 부분적으로 불투과성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가시광선에 대해 불투과성, 또는 적어도 불투과성이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유효 시트재(13)와 분기 시트재(12) 또는 암흑화 시트재(11) 사이의 영역에서 간섭광의 침투가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에서 간섭광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블라인드 장치(30) 또는 주름형 가리개 장치(35, 36)에서 다른 수단, 예를 들어 트랙들 또는 다이아프램들 등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수단은 예를 들어 블라인드 또는 주름형 가리개의 당김 막대(34)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시트재(11, 12, 13)들을 위하여 블라인드들 또는 주름형 가리개들 대신에 다른 기계적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트재(11, 12, 13)들은 이동 가능한 및/또는 선회 가능한 프레임들에서 홀딩될 수 있다. 암흑화 시트재(11)는 종래의 베인 형태의 롤러 셔터로서 또한 구성될 수 있으며, 슬릿 개구들은 투과 영역(17)들을 제공한다. 필요한 유효 시트재(13)는 필요한 광 효과(26)를 생성하기 위하여 윈도우에서 블라인드, 주름형 가리개 등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분기 시트재(12)는 롤러 셔터에 있는 슬릿 개구들로 가이드되는 몇몇 스트립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변형에서, 분기 시트재(12)가 몇몇 부분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각 부분은 투과 영역(17)과 결합된다. 부분들은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암흑화 시트재(11)에 별개로 연결될 수 있어서, 부분들 사이에 단지 간접적인 연결만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유효 시트재(13)의 시야측(24)에서 광 효과(26)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암흑화 시트재(11), 바람직하게 분기 시트재(12)는 유효 시트재(13)에 대해 배면측(23) 상에서 배열되고 이격되며, 상기 배면측은 시야측(24) 반대로 향한다. 암흑화 시트재(11)는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과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을 가진다. 유효 시트재(13) 반대편으로 향하는 광 진입측(15)에서, 광(L)은 암흑화 시트재(11) 상에 충돌하고,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에서 적어도 극심하게 감소되거나 또는 완전히 차폐된다. 광(L)은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을 통과할 수 있다. 분기 시트재(12)의 수단에 의해, 분기 광선(LD)들은 대응하는 투과 영역(17)에서 생성되고, 분기 광선들은 유효 시트재(13)의 배면측(23) 상에 충돌하고, 보는 사람(25)을 위한 광 효과(26)를 발생시켜 시야측(24)에서 보인다.
10 : 장치 11 : 암흑화 시트재
11a : 암흑화 층 11b : 지지층
12 : 분기 시트재 13 : 유효 시트재
15 : 광 진입측 16 : 광 방출측
17 : 투과 영역 18 : 차폐 영역
19 : 구멍 23 : 배면측
24 : 시야측 25 : 보는 사람
26 : 광 효과 30 : 이중 블라인드
31 : 감이축 32 : 제1 블라인드
33 : 제2 블라인드 34 : 당김 막대
35 : 제1 주름형 가리개 36 : 제2 주름형 가리개
37 : 가이드 장치 40 : 제3 블라인드
41 : 연결층 42 : 가장자리 영역
A : 공간 B : 보는 방향
D : 거리 L : 광
LD : 분기 광선

Claims (15)

  1. 광 효과(26)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10)로서,
    보는 방향(B)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시트재들(11, 12, 13),
    광 진입측(15) 및 광 방출측(16)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 및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을 가지는 암흑화 시트재(11), 및
    상기 암흑화 시트재(11)의 광 방출측(16)을 향한 배면측(23) 및 시야측(24)을 가지는, 텍스타일 소재의 적어도 하나의 유효 시트재(13)를 포함하며,
    상기 광 진입측(15)에서 충돌하는 광(L)은 적어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을 통과하여 상기 광 방출측(16) 상에서 빠져나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 상으로 상기 광 진입측(15)에서 충돌하는 광(L)의 세기 감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에서 충돌하는 광(L)의 세기 감소보다 크며,
    상기 유효 시트재(13)는 상기 암흑화 시트재(11)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열되고, 상기 배면측(23) 상에 충돌하는 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사되는 것, 산란되는 것, 굴절되는 것, 및 회절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고, 상기 시야측(24)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빠져나가고,
    분기 시트재(12)가 존재하며, 상기 분기 시트재(12)는 충돌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L)을 분기광(LD)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기 시트재(12)는 포일재, 섬유재, 또는 텍스타일 소재이고,
    상기 분기 시트재(12)에 의해 생성된 상기 분기광(LD)은 상기 유효 시트재(13) 상에 입사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은 상기 암흑화 시트재(11)에 있는 구멍(19)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은 기본적으로 완전히 충돌광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을 통과하는 광의 세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을 통과하는 광의 세기보다 적어도 5배 내지 10배, 또는 10배 내지 30배까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시트재(12)는 상기 암흑화 시트재(11)와 상기 유효 시트재(13)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시트재(12)와 상기 암흑화 시트재(11)는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흑화 시트재(11)는 서로 평면 접촉하는 몇몇 층(11a, 11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흑화 시트재(11)는 적어도 하나의 암흑화 층(11a)이 배열되는 지지층(1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11b)은 오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에서 연장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을 비워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11b)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에서 연장하고, 상기 분기 시트재(12)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흑화 시트재(11) 및 상기 유효 시트재(13) 중 적어도 하나는 감이축(31) 상에서 각각 권취되고 풀릴 수 있거나, 주름진 방식으로 접히고 확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흑화 시트재(11) 및 상기 유효 시트재(13)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하나의 가이드 장치(37)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되는 당김 막대(34)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흑화 시트재(11)는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암흑화 층(11a)들을 포함하며, 상기 층들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17) 및 적어도 하나의 차폐 영역(1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67033878A 2014-05-12 2015-04-07 그늘 만들기 기능을 가지는 광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KR102372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06602.2 2014-05-12
DE102014106602.2A DE102014106602A1 (de) 2014-05-12 2014-05-12 Anordnung zur Erzeugung von Lichteffekten mit Beschattungsfunktion
PCT/EP2015/057460 WO2015172941A1 (de) 2014-05-12 2015-04-07 Anordnung zur erzeugung von lichteffekten mit beschattungsfunk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247A KR20170008247A (ko) 2017-01-23
KR102372447B1 true KR102372447B1 (ko) 2022-03-10

Family

ID=5298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878A KR102372447B1 (ko) 2014-05-12 2015-04-07 그늘 만들기 기능을 가지는 광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43809B2 (ko)
EP (1) EP3143328B1 (ko)
JP (1) JP6708628B2 (ko)
KR (1) KR102372447B1 (ko)
CN (1) CN106461194B (ko)
DE (1) DE102014106602A1 (ko)
TR (1) TR201909753T4 (ko)
WO (1) WO2015172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2016A1 (de) * 2016-02-10 2017-08-10 Bos Gmbh & Co. Kg Beschattungssystem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DE102016107636A1 (de) * 2016-04-25 2017-11-23 Gebr. Achter GmbH & Co. KG Leuchtinstallation
DE102017215369A1 (de) * 2017-09-01 2019-03-07 Benecke-Kaliko Ag Lichtdurchlässige Mehrschichtverbundfolie
DE102018131135A1 (de) 2018-11-05 2020-05-07 Neutex Home Deco Gmbh Gewebe, insbesondere zur Verwendung als Sicht- und/oder Blendschu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rfindungsgemäßen Gewebes
CN114599851A (zh) * 2019-10-18 2022-06-07 亨特道格拉斯公司 发光的建筑结构遮盖物及其操作方法
DE102021116099A1 (de) * 2020-11-02 2022-05-05 Olsa S.P.A. Optische 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lampe für kraftfahrzeuge und umgebungslicht
CN113048413B (zh) * 2021-03-24 2022-08-05 上海莹通照明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光照范围的照明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864Y1 (ko) * 2005-07-25 2005-10-17 (주)한국윈텍 다중롤유닛을 이용한 멀티블라인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1434A (en) * 1974-11-18 1976-06-08 Everbrite Electric Signs, Inc. Animated sign
US4263737A (en) * 1980-04-04 1981-04-28 Thomas A. Schutz Co., Inc. Illuminated grid display with primary and secondary copy
NL9300014A (nl) * 1993-01-06 1994-08-01 Ass Marinus T J Van Lichtdoorlatend scherm, gebouw voorzien van een lichtdoorlatend scherm en werkwijze voor het afschermen van een ruimte.
US5772314A (en) * 1995-09-15 1998-06-30 Brumer; Daryl J. Ceiling ornament system
DE19946015A1 (de) * 1999-09-25 2001-04-1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m Dimmen einer Lampe
FR2840972A1 (fr) * 2002-06-12 2003-12-19 Marc Fontoynont Dispositif d'eclairage et de decoration
DE20300615U1 (de) * 2003-01-15 2003-03-27 Wild Franz Lampenschirm
JP2005242244A (ja) * 2004-02-27 2005-09-08 Shin Nippon Process Kogeisha:Kk ディスプレー装置
JP2009540355A (ja) * 2006-06-08 2009-11-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テキスタイル製品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EP2033041A2 (en) * 2006-06-12 2009-03-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and a lighting system
ES2374618T3 (es) 2009-08-05 2012-02-20 Ettlin Aktiengesellschaft Arreglo para crear efectos luminosos.
KR101260120B1 (ko) * 2010-12-09 2013-05-02 (주)엘지하우시스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2174634A (ja) * 2011-02-24 2012-09-10 Sharp Corp 光源モジュールおよび光学部材
US10132470B2 (en) * 2011-09-05 2018-11-20 Robe Lighting S.R.O. Versatile beam and wash optical system for an automated luminaire
DE102012215165B4 (de) * 2012-08-27 2020-12-03 Lisa Dräxlmaier GmbH Dekorverbund mit dynamischen Lichtstruktur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864Y1 (ko) * 2005-07-25 2005-10-17 (주)한국윈텍 다중롤유닛을 이용한 멀티블라인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2005242244 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43809B2 (en) 2019-10-15
JP2017518448A (ja) 2017-07-06
WO2015172941A1 (de) 2015-11-19
TR201909753T4 (tr) 2019-07-22
CN106461194B (zh) 2020-02-14
EP3143328A1 (de) 2017-03-22
CN106461194A (zh) 2017-02-22
DE102014106602A1 (de) 2015-11-12
EP3143328B1 (de) 2019-06-12
US20170082259A1 (en) 2017-03-23
JP6708628B2 (ja) 2020-06-10
KR20170008247A (ko)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447B1 (ko) 그늘 만들기 기능을 가지는 광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EP2284306B1 (de) Anordnung zur Erzeugung von Lichteffekten
KR101026569B1 (ko)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20090055464A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JP2008254647A (ja) 車両ルーフ構造
US20140261851A1 (en) Three-dimensional 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9394634B2 (en) Woven shielding textile impervious to visible and ultraviolet electromagnetic radiation
JP2019534402A (ja) 建築特徴用の被覆、関連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KR101638517B1 (ko) 콤비 롤블라인드용 일체제직 콤비 블라인드지
KR101506253B1 (ko) 일체제직형 버티컬 블라인드
CN114683623A (zh) 窗帘式垂直遮光帘用遮光布料及其制造方法
KR101908979B1 (ko)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
JP2002054050A (ja) 調光性布帛
KR20100061638A (ko) 제직과 커팅으로 만들어지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915616B1 (ko) 블라인드용 겹문양 직물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 및 블라인드
KR101855956B1 (ko) 밴드타입 입체 커튼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66007B1 (ko) 불규칙 빛샘부를 갖는 원단 제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직된 원단
KR101388086B1 (ko) 기능성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20170064766A (ko) 버티컬 블라인드용 단위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6243A (ko)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JP2020059261A (ja) 生地および遮蔽装置
KR200477682Y1 (ko)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JP2016069989A (ja) 採光具、ロールスクリーンおよび窓
KR20100045947A (ko) 차광부와 채광부가 종횡 양방향으로 구성된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6376A (ko)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