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850B1 - 필기도구 - Google Patents

필기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850B1
KR102370850B1 KR1020200018346A KR20200018346A KR102370850B1 KR 102370850 B1 KR102370850 B1 KR 102370850B1 KR 1020200018346 A KR1020200018346 A KR 1020200018346A KR 20200018346 A KR20200018346 A KR 20200018346A KR 102370850 B1 KR102370850 B1 KR 102370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nd power
piece
us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3770A (ko
Inventor
노가은
Original Assignee
노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가은 filed Critical 노가은
Priority to KR1020200018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85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han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는, 사용자가 그립(grib)한 채, 필기하는 필기도구에 있어서, 잉크심 또는 샤프심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풍력을 발생시키는 풍력부 및 상기 전원부의 상기 풍력부로의 전원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기도구{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필기도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그립(grib)한 채, 필기할 수 있는 필기도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필기작업을 위해서는 손을 오므려 필기구를 엄지와 검지, 중지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글자나 도형 등을 종이 위에 써내려가게 된다.
이 때, 필기구를 파지한 손에는 힘이 작용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땀이 차기 쉬으며, 손에 땀이차게 되면 필기구가 미끌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학교 수업 시에는 통상 먼저 필기하고 나중에 설명하는 방식을 채택하므로 정해진 시간 안에 필기를 마치려면 빨리 필기하고 설명을 들어야만 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문제점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게 되며, 특히 선천적으로 땀이 많은 체질의 경우 더욱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한편, 종래의 볼펜 등 필기구는 여름철과 같이 높은 기온 하에서는 땀에 의해 사용자가 제대로 그립(grib )하지 못하여, 필기를 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현재까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나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아니한 실정이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369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필기도구를 손가락으로 그립(grib)한 채 필기하는 경우, 손에서 발생된 땀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지속적인 필기를 용이하게 하는 필기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는, 사용자가 그립(grib)한 채, 필기하는 필기도구에 있어서, 잉크심 또는 샤프심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풍력을 발생시키는 풍력부 및 상기 전원부의 상기 풍력부로의 전원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잉크심 또는 샤프심이 노출되는 필기부 및 상기 필기부와 연결된 채,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그립하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풍력부는, 상기 그립부에 장착된 채, 상기 그립부를 그립한 사용자의 손을 향해 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의 상기 풍력부는, 상기 그립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일측면에 상기 그립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상기 제1 개구와 평행하게 관통된 제2 개구가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된 채, 회전에 의해 풍력을 발생시키는 풍력발생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방향으로 발생된 풍력이 상기 그립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방향을 변화시키는 방향변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풍력발생부의 회전축과, 상기 그립부의 길이방향은 수직 관계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의 상기 풍력발생부는, 상기 제1 개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 개구로 송풍시키며, 상기 방향변화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개구와 연통되는 연통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의 일면에 개구된 제3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개구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연통공간 및 상기 제3 개구를 경유하여, 상기 그립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홀이 구비되며, 상기 풍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상기 복수의 배기홀을 통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의 상기 프레임부는, 양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형성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된 채, 상기 관통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이동부의 상기 관통부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연통공간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하며, 상기 관통부는, 제1 폭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으로 형성되는 걸림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경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의 상기 관통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제1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편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관통편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관통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편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위치이동편 및 상기 제2 관통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관통편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 위치이동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관통편은, 상기 제1 측면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1-1 관통편 및 상기 제1 측면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1-2 관통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위치이동편은, 상기 제1-1 관통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1 위치이동편 및 상기 제1-2 관통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2 위치이동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의 상기 그립부는, 사용자가 그립한 채, 압박하는 영역인 압박부 및 상기 압박부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거치되는 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박부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부 및 상기 마찰부에 연결된 채, 사용자의 압박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의 풍력 세기가 변화되도록 하는 압전소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전소자부는, 사용자의 상기 마찰부에 대한 압박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풍력발생부의 풍력 세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의 상기 베이스부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장착홀제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풍력부는, 상기 장착홀제공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연결된 채, 회전에 의해 풍력을 발생시키는 풍력발생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의 상기 장착홀제공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요철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채, 상기 요철부에 체결되는 요철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철대응부는, 상기 요철부에 체결된 채, 일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요철부를 따라 억지끼움 방식으로 회전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요철대응부가 상기 요철부를 따라 회전되는 경우, 상기 장착홀제공부를 기준으로 틸팅되어, 상기 풍력발생부에 의한 송풍 방향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의 상기 요철대응부는, 상기 요철부에 체결된 채,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정 외력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요철부를 따라 억지끼움 방식으로 이동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요철대응부가 상기 요철부를 따라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풍력부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의 상기 그립부는, 사용자가 그립한 채, 압박하는 영역인 압박부 및 상기 압박부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거치되는 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박부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부 및 상기 마찰부에 연결된 채, 사용자의 압박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의 풍력 세기가 변화되도록 하는 압전소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전소자부는, 사용자의 상기 마찰부에 대한 압박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풍력발생부의 풍력 세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기 중에 손에서 발생된 땀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지속적인 필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송풍되는 바람의 방향을 손쉽게 바꾸도록 하여, 땀이 나는 부위에 적절한 송풍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손에서 발생된 땀에 의해 필기도구를 놓치지 않기 위하여 필기도구를 가압하는 힘이 강해질수록 바람의 세기가 세지도록 하여, 별도로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의 풍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례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의 풍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1)는, 사용자가 그립(grib)한 채, 필기하는 도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필기도구(1)는, 사용자가 장시간 필기를 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서 발생된 땀에 의해 필기도구(1)를 제대로 그립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지속적인 필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기도구(1)는 베이스부(10), 전원부(20), 풍력부(30) 및 스위치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잉크심 또는 샤프심 중 어느 하나가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속이 빈 원통형의 형상으로 잉크심 또는 샤프심이 수용된 채,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에 인가된 압력 또는 회전력에 의해 잉크심 또는 샤프심이 외부로 노출 또는 내부로 은닉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는, 잉크심 또는 샤프심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그립하는 그립부(13) 및 상기 그립부(13) 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어 필기에 이용되는 필기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되어 전기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0)는, 건전지 또는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일 수 있다.
상기 풍력부(30)는, 상기 전원부(20)와 연결된 채, 상기 전원부(20)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40)는, 상기 전원부(20)의 상기 풍력부(30)로의 전원 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부(40)를 온/오프하여, 상기 풍력부(30)의 작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풍력부(30)는, 상기 그립부(13)에 장착된 채, 상기 그립부(13)를 그립한 사용자의 손을 향해 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풍력부(30)는, 프레임부(31), 풍력발생부(33) 및 방향변화부(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31)는, 상기 그립부(13)의 측면에 연결되며, 일측면에 상기 그립부(13)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제1 개구(H1) 및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상기 제1 개구(H1)와 평행하게 관통된 제2 개구(H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생부(33)는, 상기 제1 개구(H1)와 상기 제2 개구(H2)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프레임부(31)에 장착되어, 회전에 의해 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풍력발생부(33)는, 상기 제1 개구(H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제2 개구(H2)를 향해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향변화부(35)는, 상기 프레임부(31)의 타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방향으로 발생된 풍력이 상기 그립부(1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변화부(35)는 상기 제1 개구(H1)로부터 상기 제2 개구(H2)를 향해 송풍된 바람이, 사용자의 손이 위치한 상기 그립부(13)의 길이방향으로 방향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변화부(35)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풍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한 이유는 사용자의 필기 편의성을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변화부(35)가 상기 그립부(13)의 길이방향으로 송풍하도록 설치되면, 상기 방향변화부(35)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접촉 영역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필기 중에 상기 베이스부(10)를 직선 운동시키거나 회전 운동시킬 때, 상기 방향변화부(35)의 관성력이 상대적으로 좁은 접촉 영역에 집중되어 사용자가 필기도구(1)를 컨트롤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방향변화부(35)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접촉 영역을 넓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방향변화부(35)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송풍되도록 배치시킨 것이다.
상기 풍력발생부(33)의 회전축과, 상기 그립부(13)의 길이방향은 수직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풍력발생부(33)는, 상기 제1 개구(H1)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 개구(H2)로 송풍시킬 수 있다.
상기 방향변화부(35)는, 상기 프레임부(31)의 타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개구(H2)와 연통되는 연통공간(S2)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35a) 및 상기 공간형성부(35a)의 일면에 개구된 제3 개구(H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H2)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연통공간(S2) 및 상기 제3 개구(H3)를 경유하여, 상기 그립부(1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1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바람은 사용자의 손을 향해 송풍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홀(17)이 구비되며, 상기 풍력발생부(33)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상기 복수의 배기홀(17)을 통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31)는, 양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35a)는, 몸통부(351) 및 위치이동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351)는, 상기 프레임부(31)의 하부를 포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352)는, 상기 몸통부(35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부(311)에 삽입된 채, 상기 관통부(311)를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35a)는, 상기 위치이동부(352)의 상기 관통부(311)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연통공간(S2)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311)는, 제1 폭으로 형성되는 안착부(313) 및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으로 형성되는 걸림부(315)가 상기 프레임부(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352)는, 상기 제1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부(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315)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경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이동부(352)는, 상기 안착부(3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위, 아래에 배치된 걸림부(315)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가한 외력에 의해 상기 안착부(313)로부터 위에 위치한 걸림부(315) 또는 아래에 위치한 걸림부(315)를 지나 이웃한 안착부(31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352)가 높이 방향 상측으로 이동될수록 상기 연통공간(S2)은 작아지게 되며, 상기 연통공간(S2)으로 유입된 바람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상기 제3 개구(H3)로 이동되도록 하여 바람의 세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부(352)가 높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될수록 상기 연통공간(S2)의 크기는 커지게 되며, 상기 연통공간(S2)으로 유입된 바람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상기 제3 개구(H3)로 이동되도록 하여 바람의 세기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위치이동부(352)의 상기 관통부(311)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311)는, 상기 프레임부(31)의 제1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편(311a)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관통편(31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352)는, 상기 제1 관통편(3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편(311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위치이동편(352a) 및 상기 제2 관통편(311b)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관통편(311b)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 위치이동편(352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편(311a)은, 상기 제1 측면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1-1 관통편(311-1) 및 상기 제1 측면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1-2 관통편(3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이동편(352a)은, 상기 제1-1 관통편(3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1 위치이동편(352-1) 및 상기 제1-2 관통편(3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2 위치이동편(35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이동편(352a)은, 상기 제1-1 위치이동편(352-1)이 상기 제1-1 관통편(3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1-2 위치이동편(352-2)이 상기 제1-2 관통편(311-2)에 장착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제1 관통편(311a)에 안착된 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13)는, 사용자가 그립한 채, 압박하는 영역인 압박부(131) 및 상기 압박부(131)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거치되는 거치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131)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부(131a) 및 상기 마찰부(131a)에 연결된 채, 사용자의 압박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33)의 풍력 세기가 변화되도록 하는 압전소자부(13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부(131b)는, 사용자의 상기 마찰부(131a)에 대한 압박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풍력발생부(33)의 풍력 세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필기를 하는 중에, 땀이 나게 되면 필기도구(1)를 놓치지 않기 위하여 더욱 더 세게, 필기도구(1)를 그립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압전소자부(131b)는 사용자의 가압 세기 변화의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33)의 풍력 세기가 커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에 발생된 땀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기를 하는 중에, 땀이 나지 않게 되어 필기도구(1)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그립하게 되면, 상기 압전소자부(131b)는 사용자의 가압 세기 변화의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33)의 풍력 세기가 작아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상기 전원부(2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2)는 베이스부(210) 및 풍력발생부(235)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필기도구(1)와 동일하므로, 이하 베이스부(210) 및 풍력발생부(235)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210)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장착홀제공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홀제공부(211)는 사용자가 필기도구(2)를 그립한 상태에서 손바닥과 손가락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풍력부(230)는, 상기 장착홀제공부(211)에 장착되는 장착부(231) 및 상기 장착부(231)에 연결된 채, 회전에 의해 풍력을 발생시키는 풍력발생부(2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생부(235)에 발생된 바람은, 사용자가 필기도구(2)를 그립한 경우, 모아진 손가락과 손바닥을 향해 송풍될 수 있다.
이때, 풍력발생부(235)에서 바람을 발생시키는 과정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풍력발생부(235)와 볼펜심의 사이 공간에 스펀지 등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탄성체(미도시)를 마련하여 면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23)는, 사용자가 그립한 채, 압박하는 영역인 압박부(231) 및 상기 압박부(231)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거치되는 거치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231)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부(231a) 및 상기 마찰부(231a)에 연결된 채, 사용자의 압박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235)의 풍력 세기가 변화되도록 하는 압전소자부(23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부(231b)는, 사용자의 상기 마찰부(231a)에 대한 압박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풍력발생부(235)의 풍력 세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필기를 하는 중에, 땀이 나게 되면 필기도구(2)를 놓치지 않기 위하여 더욱 더 세게, 필기도구(2)를 그립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압전소자부(231b)는 사용자의 가압 세기 변화의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235)의 풍력 세기가 커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에 발생된 땀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기를 하는 중에, 땀이 나지 않게 되어 필기도구(2)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그립하게 되면, 상기 압전소자부(231b)는 사용자의 가압 세기 변화의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235)의 풍력 세기가 작아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상기 전원부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4)는 장착홀제공부(411) 및 장착부(431)를 제외하고는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필기도구(2)와 동일하므로, 이하 장착홀제공부(411) 및 장착부(431)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베이스부(410)의 장착홀제공부(411)은 원주 방향을 따라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411a)를 구비할 수 있다.
풍력부(430)의 장착부(431)는, 상기 요철부(41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채, 상기 요철부(411a)에 체결되는 요철대응부(431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요철대응부(431a)는, 상기 요철부(411a)에 체결된 채, 일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요철부(411a)를 따라 억지끼움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철대응부(431a)는 상기 요철부(411a)와 맞물리게 체결된 경우, 일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회전되지 않게 되어 상기 장착부(431)의 상기 장착홀제공부(411)에 대한 위치 이동이 제한되나, 일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인가되면, 변형이 수반된 채, 상기 요철부(411a)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장착부(431)의 상기 장착홀제공부(411)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31)는, 상기 요철대응부(431a)가 상기 요철부(411a)를 따라 회전되는 경우, 상기 장착홀제공부(411)을 기준으로 틸팅(tilting)되어 풍력부(430)의 풍력발생부(435)에 의한 송풍 방향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장착부(431)를 그립한 채, 일정 회전력 이상의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장착부(431)가 상기 장착홀제공부(411)을 기준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송풍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420)는, 사용자가 그립한 채, 압박하는 영역인 압박부(421) 및 상기 압박부(421)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거치되는 거치부(4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421)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부(421a) 및 상기 마찰부(421a)에 연결된 채, 사용자의 압박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435)의 풍력 세기가 변화되도록 하는 압전소자부(42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부(421b)는, 사용자의 상기 마찰부(421a)에 대한 압박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풍력발생부(435)의 풍력 세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필기를 하는 중에, 땀이 나게 되면 필기도구(4)를 놓치지 않기 위하여 더욱 더 세게, 필기도구(4)를 그립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압전소자부(421b)는 사용자의 가압 세기 변화의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435)의 풍력 세기가 커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에 발생된 땀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기를 하는 중에, 땀이 나지 않게 되어 필기도구(4)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그립하게 되면, 상기 압전소자부(421b)는 사용자의 가압 세기 변화의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435)의 풍력 세기가 작아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상기 전원부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5)는 장착홀제공부(511)을 제외하고는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필기도구(5)와 동일하므로, 이하 장착홀제공부(511)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필기도구(5)의 장착홀제공부(511)은 베이스부(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장착홀제공부(511)과 비교하여 상기 베이스부(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511a)는 장착홀제공부(511)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철대응부(531a)는, 상기 요철부(511a)에 체결된 채, 상기 베이스부(510)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정 외력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요철부(511a)를 따라 억지끼움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요철대응부(531a)는 회전되지 않은 채, 상기 요철부(511a)를 따라 상기 베이스부(5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회전되면서 상기 요철부(511a)를 따라 상기 베이스부(5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장착부(531)는, 상기 요철대응부(531a)가 상기 요철부(511a)를 따라 상기 베이스부(5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베이스부(510)에 대한 상기 풍력부(530)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대응부(531a)는, 상기 요철부(511a)에 체결된 채, 일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요철부(511a)를 따라 억지끼움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철대응부(531a)는 상기 요철부(511a)와 맞물리게 체결된 경우, 일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회전되지 않게 되어 상기 장착부(531)의 상기 장착홀제공부(511)에 대한 위치 이동이 제한되나, 일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인가되면, 변형이 수반된 채, 상기 요철부(511a)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장착부(531)의 상기 장착홀제공부(511)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장착부(531)에 상기 베이스부(510)의 길이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장착부(531)의 상기 장착홀제공부(511)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531)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장착부(531)의 상기 장착홀제공부(511)에 대한 틸팅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520)는, 사용자가 그립한 채, 압박하는 영역인 압박부(521) 및 상기 압박부(521)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거치되는 거치부(5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521)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부(521a) 및 상기 마찰부(521a)에 연결된 채, 사용자의 압박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의 풍력 세기가 변화되도록 하는 압전소자부(52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부(521b)는, 사용자의 상기 마찰부(521a)에 대한 압박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풍력발생부의 풍력 세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필기를 하는 중에, 땀이 나게 되면 필기도구(5)를 놓치지 않기 위하여 더욱 더 세게, 필기도구(5)를 그립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압전소자부(521b)는 사용자의 가압 세기 변화의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의 풍력 세기가 커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에 발생된 땀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기를 하는 중에, 땀이 나지 않게 되어 필기도구(5)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그립하게 되면, 상기 압전소자부(521b)는 사용자의 가압 세기 변화의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의 풍력 세기가 작아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상기 전원부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필기도구
10: 베이스부
20: 전원부
30: 풍력부
40: 스위치부

Claims (10)

  1. 사용자가 그립(grib)한 채, 필기하는 필기도구에 있어서,
    잉크심 또는 샤프심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풍력을 발생시키는 풍력부; 및
    상기 전원부의 상기 풍력부로의 전원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속이 빈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에 인가된 압력 또는 회전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잉크심 또는 샤프심이 외부로 노출 또는 내부로 은닉되도록 하는 공간을 포함하며,
    잉크심 또는 샤프심이 노출되는 필기부 및 상기 필기부와 연결된 채,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그립하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풍력부는,
    상기 그립부에 장착된 채, 상기 그립부를 그립한 사용자의 손을 향해 풍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그립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일측면에 상기 그립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상기 제1 개구와 평행하게 관통된 제2 개구가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된 채, 회전에 의해 풍력을 발생시키는 풍력발생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방향으로 발생된 풍력이 상기 그립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방향을 변화시키는 방향변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풍력발생부의 회전축과, 상기 그립부의 길이방향은 수직 관계에 있고,

    상기 풍력발생부는,
    상기 제1 개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 개구로 송풍시키며,
    상기 방향변화부는,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개구를 향해 송풍된 바람이 상기 그립부의 길이 방향으로 방향을 변화하도록 하되,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개구와 연통되는 연통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의 일면에 개구된 제3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개구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연통공간 및 상기 제3 개구를 경유하여, 상기 그립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홀이 구비되며, 상기 풍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상기 복수의 배기홀을 통해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양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형성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를 포위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된 채, 상기 관통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이동부의 상기 관통부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연통공간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하며,
    상기 관통부는,
    제1 폭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으로 형성되는 걸림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경유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제1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편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관통편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관통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편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위치이동편 및 상기 제2 관통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관통편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 위치이동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관통편은,
    상기 제1 측면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1-1 관통편 및 상기 제1 측면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1-2 관통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위치이동편은,
    상기 제1-1 관통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1 위치이동편 및 상기 제1-2 관통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2 위치이동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그립부는,
    사용자가 그립한 채, 압박하는 영역인 압박부 및 상기 압박부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거치되는 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박부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부 및 상기 마찰부에 연결된 채, 사용자의 압박 크기에 따라 상기 풍력발생부의 풍력 세기가 변화되도록 하는 압전소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전소자부는,
    사용자의 상기 마찰부에 대한 압박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풍력발생부의 풍력 세기가 커지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18346A 2020-02-14 2020-02-14 필기도구 KR102370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46A KR102370850B1 (ko) 2020-02-14 2020-02-14 필기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46A KR102370850B1 (ko) 2020-02-14 2020-02-14 필기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770A KR20210103770A (ko) 2021-08-24
KR102370850B1 true KR102370850B1 (ko) 2022-03-07

Family

ID=7750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346A KR102370850B1 (ko) 2020-02-14 2020-02-14 필기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8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62Y1 (ko) * 2000-06-23 2000-12-15 안치원 바람이 토출되는 필기도구
CN103373140A (zh) * 2012-04-23 2013-10-30 康中学 多功能签字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942Y1 (ko) * 1997-12-23 2002-11-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단형압전소자를이용한필기압력측정기
KR20090036998A (ko) 2007-10-11 2009-04-15 신남수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62Y1 (ko) * 2000-06-23 2000-12-15 안치원 바람이 토출되는 필기도구
CN103373140A (zh) * 2012-04-23 2013-10-30 康中学 多功能签字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770A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5018A (en) Writing tool with a ring for mounting on a finger
US9462869B2 (en) Draw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drawing apparatus
CN207068731U (zh) 一种发声键盘开关
KR102370850B1 (ko) 필기도구
KR101259127B1 (ko) 스타일러스 펜 기능을 가지는 필기구
KR101665730B1 (ko) 터치펜 기능을 갖는 다용도 필기구
JP2001018580A (ja) 筆記具
JP3141557U (ja) 筆圧吸収機能付き筆記具
JP2014058120A (ja) 消去部材を備えた筆記具
JP2015009455A (ja) 熱変色性筆記具
JPH07225643A (ja) ペン入力形電子文具の入力用ペン
JP2013140421A (ja) 静電型入力ペン
KR200261344Y1 (ko) 삽지식 필기구
JP3148098U (ja) 持ち方矯正筆記具
KR200232197Y1 (ko) 다용도 스타일러스 펜
KR20130142828A (ko) 스타일러스 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JPS609876Y2 (ja) 筆記具形小型電子式計算機
JP2019168506A (ja) 棒状体
KR20180088327A (ko) 펜촉이 누워있어 굵기 조절이 가능한 펜
JP3173643U (ja) ホワイトボード用筆マーカー
KR20130026343A (ko) 멀티펜 및 그 동작방법
JP2000071675A (ja) 筆記具
JP2004262156A (ja) ペン差し具
KR200456529Y1 (ko) 휴대용 필기구
KR200488563Y1 (ko) 교정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