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998A -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 Google Patents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998A
KR20090036998A KR1020070102343A KR20070102343A KR20090036998A KR 20090036998 A KR20090036998 A KR 20090036998A KR 1020070102343 A KR1020070102343 A KR 1020070102343A KR 20070102343 A KR20070102343 A KR 20070102343A KR 20090036998 A KR20090036998 A KR 20090036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thermoelectric element
cold
impeller
ventila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남수
Original Assignee
신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남수 filed Critical 신남수
Priority to KR102007010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6998A/ko
Publication of KR2009003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means for preventing choking
    • B43K23/124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means for preventing choking comprising an air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은 볼펜의 몸체 중 손가락이 파지되는 부분과 일측말단부 각각에 통기부가 구성되는바, 이들 통기부의 구성요소로 인하여 손가락의 땀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이 볼펜으로부터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등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은 위와 같은 구성에 강제송풍시스템 및/또는 냉온시스템을 부가하여 통풍기능을 개선하고, 통풍되는 공기를 온기 또는 냉기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볼펜, 메쉬부재(Mesh member), 포켓걸이부, 임펠러(impeller), 열전소자(熱電素子)

Description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ball pen with venti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볼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펜을 파지하는 손가락 부분에서 발생 되는 땀을 제거하거나 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볼펜은 손가락이 파지 되는 부분에서 발생 되는 땀을 제거하거나 그 발생을 억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만약 볼펜을 파지하는 손가락 부분에 땀 또는 기타 수분이 존재할 경우는 손가락이 볼펜으로부터 미끄러지게 되므로, 그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 된다.
한편, 종래의 볼펜 등 필기구는 겨울철과 같이 낮은 기온 하에서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우므로, 볼펜 사용자는 필기를 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현재까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나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아니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볼펜을 구성하는 몸체 중 손가락이 파지되는 부분과 일측단부 각각에 통기부를 구성하여 볼펜을 파지하는 손가락 부분에서 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강제송풍시스템을 부가 구성하여 통풍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냉온시스템을 부가 구성하여 온기 또는 냉기를 송풍시킬 수 있는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은, 볼펜심이 내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뚜껑이 체결되는 통상의 볼펜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 상기 뚜껑이 체결되는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의 면상에 메쉬형상의 제1통기부가 구비되고, 손가락이 파지되는 부분과 그 인접부분이 다수 관통되어 이루어지는 제2통기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임펠러;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 기 몸체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수용부;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전원수용부 상에 설치되는 송풍스위치; 상기 송풍스위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하여 상기 임펠러를 구성하는 모터의 회동방향을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제1통기부 또는 제2통기부를 통해 흡입되게 하여 상기 제2통기부 또는 제1통기부를 통해 배기되도록 하는 제어부;와 같은 구성요소를 부가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방열면 상에 냉각부재가 접착되는 제1열전소자와, 흡열면이 상기 제1열전소자의 측단면과 대향되도록 접착되는 제2열전소자로 이루어져 그 전체적인 측면형상이 격자형상을 갖는 냉온모듈;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몸체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수용부;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전원수용부 상에 설치되는 냉온스위치; 상기 냉온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신호가 냉방신호일 경우는 상기 제1열전소자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그 입력신호가 온방신호일 경우는 상기 제2열전소자로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같은 구성요소를 부가한 형태로의 구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결합시킨 형태로의 구현이 가능한 바, 본 발명에 따른 통풍성능을 갖는 볼펜은, 볼펜심이 내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뚜껑이 체결되는 통상의 볼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 상에 구비되는 제1통기부; 상기 몸체 중 손가락이 파지되는 부분과 그 인접부분이 다수 관통되어 이루어지는 제2통기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임펠러; 방열면 상에 냉각부재가 접착되고 상기 임펠러와 인접된 부근에 위치하는 제1열전소자와, 흡열면이 상기 제1열전소자의 측단면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2열전소자로 이루어 져 그 전체적인 측면형상이 격자형상을 갖는 냉온모듈; 상기 몸체 또는 전원수용부 상에 설치되는 송풍스위치 및 냉온스위치; 상기 송풍스위치를 통해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그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임펠러를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제1통기부 또는 제2통기부로 흡입되어 상기 제2통기부 또는 제1통기부를 통해 배기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냉온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신호가 냉방신호일 경우는 상기 냉온모듈 중 상기 제1열전소자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그 입력신호가 온방신호일 경우는 상기 제2열전소자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같은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은, 상기 임펠러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비스듬히 위치되고, 상기 냉온모듈은 상기 임펠러와 동일한 방향과 기울기로 설치함으로써, 몸체 내부로 유동되는 기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아니하면서도 외기의 냉각기능은 물론 가열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전원수용부의 일측면 상에는 포켓걸이부가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은 볼펜을 파지하는 손가락부분에서 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그로 인해 손가락이 볼펜으로부터 미끄러지게 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강제송풍시스템 및/또는 냉온시스템이 부가 구성됨에 따라 손가락 등 국부적인 신 체의 일부분에 대하여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화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명세서에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B"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의 몸체(110)는 양단이 개방된 관상체인 바아(bar)형상이고, 상기 몸체(110)에는 그 상단 측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일정부분 연장되고 그 내부에 배터리(200)가 수용되며 그 일단부에서 상기 배터리(200)를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덮개(121)가 구비되는 전원수용부(120)가 구성되고, 상기 전원수용부(120)의 외주면 상에는 통상의 포켓걸이부(170)가 체결된다(도 1 참조).
이때, 상기 전원수용부(120)의 상부면으로는 2개의 스위치가 설치되는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후술하게 될 임펠러(130)의 정·역회전과 구동정지를 명하는 입력신호를 후술하게 될 제어부(160)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 부(160)가 상기 임펠러(130)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스위치(151)이고, 나머지 하나는 후술하게 될 냉온모듈(140)을 구성하는 제1열전소자(141) 또는 제2열전소자(143)를 택일적으로 작동시키거나 이들 소자(141, 143)에 작동정지를 명하는 입력신호를 후술하게 될 제어부(160)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냉온모듈(140)을 냉각모드 또는 온열모드 또는 그들 모두를 작동정지 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냉온스위치(153)이다(도 2 및 도 3 참조).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몸체(110)와 상기 전원수용부(120)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2개의 격벽(123, 124) 사이에 생성되는 공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배터리(200)는 상기 전원수용부(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극부(122)와 전기적 접속을 이룬 다음 상기 전극부(122)에 의해 상기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한편, 도시 생략되어 있으나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임펠러(130)와 제1 및 제2열전소자(141, 143) 및 전술한 2개의 스위치(151, 153)와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바아(bar)형상의 관상체로 구현되는바, 필기 시에 손가락이 파지되는 부분과 그 인접부분을 관통하는 통공(114a)이 다수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통기부(114)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110)의 상단부에는 네트형상의 메쉬부재(mesh member)가 마감 체결되는 제1통기부(131)가 구성되고, 그 하단부로는 하단내경(111)과 나사 결합되어 쥠 또는 풀림작용에 의해 상기 몸체(110)에 대하여 상하 승강되는 승강부재(180)가 결합된다.
상기 승강부재(180) 및 상기 몸체(110)의 그 체결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승강부재(180)는 양단이 개방된 관체형상이고 그 외경상에 수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181)와, 상기 로드(181)의 하단부와 나사 체결되는 뚜껑(183)이 구비되는데, 상기 뚜껑(183)은 그 상단내경(183a)으로부터 내향 연장되어 상기 볼펜심(1)의 외주면을 상하방향으로만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펜심가이드부재(18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하단내경(111) 상에는 상기 로드(181)에 형성된 수나사산(미도시)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미도시)이 구비되는 바, 상기 볼펜심(1)은 그 중간부분이 상기 몸체(110)의 하단내경(111)으로부터 내향 연장되는 볼펜심지지부재(112)에 의해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견고히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부재(180)와 상기 몸체(110)를 각기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승강부재(180)는 상기 몸체(110)에 대하여 나선방향으로 상하 승강될 것인 바, 상기 몸체(110)의 볼펜심지지부재(112)에 고정된 상기 볼펜심(1)의 볼(1a)부분(잉크에 의해 필기 등이 수행되는 부분)은 상기 승강부재(180)를 구성하는 뚜껑(183)의 출입공(183b)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거나 그 반대로 뚜껑(183)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10)는 그 내부에 공간부(115)를 가지게 되는데, 상기 공간부(115)의 대략 중앙부위에는 임펠러(130)가 몸체(110)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비스듬히 위치 및 고정되는바, 상기 임펠러(130)의 송풍날개(133)는 제1통기부(113)를 향하게 되고, 상기 임펠러(130)는 상기 제1통기부(113)와 예각의 기울기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130)의 모터(131)는 전술한 제어 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송풍스위치(151) 및 상기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송풍스위치(151)가 도 1을 놓고 볼 때(도면에서와 같이 스위치가 중간에 위치되면 제어부와 전기접점이 이루어지지 아니한 것임) 상기 포켓걸이부(170)방향으로 변위될 경우와 그 반대방향으로 변위될 경우는 상기 제어부(160)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임펠러(130)를 구성하는 모터(131)에 전원을 제공함은 물론 모터(131)의 구동축(132)을 각기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실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 위 정회전이란 도 4에서와 같이 외기가 제2통기부(114)를 통해 흡입되어 제1통기부(113)로 배기되도록 상기 임펠러(130)가 작동되는 것을 말하고, 역회전이란 도 6에서와 같이 임펠러(130)가 전술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1통기부(113)를 통해 외기의 흡입이 이루어진 다음 제2통기부(114)를 통해 배기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임펠러(130)의 하측방향으로는 상기 임펠러(130)와 동일한 기울기로써 비스듬히 위치 및 고정되는 냉온모듈(140)이 구성되는 바, 상기 냉온모듈(140)은 2개의 열전소자(141, 143)가 격자형태로 접착되어 이루어지는데, 제1열전소자(141) 및 제2열전소자(143)는 각기 상기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통해 살필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열전소자(141)는 그 흡열면(141a)이 상기 임펠러(130)를 구성하는 상기 모터(131)의 저부와 맞닿아 있거나 그와 인접되게 위치되고 상기 흡열면(141a)의 반대면인 방열면(141b)에는 다수의 방열핀을 갖는 냉각판 등으로 구현되는 냉각부재(141c)가 접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열전소자(143)는 흡열부(143a)가 상기 제1열전소자(141)의 측단부와 접착되게 되므로 상기 흡열부(143a)의 반대면인 방열면(143b)은 제2통기부(114)를 향하여 비스듬히 대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열전소자(141, 143) 각각은 전술한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60)는 전술한 냉온스위치(153) 및 상기 배터리(200)와도 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냉온스위치(153)가 도 1을 놓고 볼 때(도면에서와 같이 스위치가 중간에 위치되면 제어부와 전기접점이 이루어지지 아니한 것임) 상기 포켓걸이부(170)방향으로 변위될 경우와 그 반대방향으로 변위될 경우는 상기 제어부(160)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열전소자(141)만으로 혹은 상기 제2열전소자(143)만으로 상기 배터리(200)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제1열전소자(141)가 작동됨에 따른 냉각모드 또는 제2열전소자(143)가 작동됨에 따른 온열모드로가 택일적으로 진행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위 냉각모드는 상기 냉온스위치(153)가 전술한 포켓걸이부(170)방향으로 변위된 경우라고 정하고, 그 반대로 변위된 경우는 위 온열모드가 진행되는 것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상과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의 작동원리 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이 냉기류를 생성하여 제1통기부를 통해 강제 송풍시키는 작동원리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 는 볼펜이 온기류를 생성하여 제1통기부를 통해 강제 송풍시키는 작동원리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이 냉기류 또는 온기류를 생성하여 제2통기부를 통해 강제 송풍시키는 작동원리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원리는 송풍스위치(151) 및 냉온스위치(153)가 포켓걸이부(170)방향으로 변위되어 제어부(160)와 접점을 이룬 상태로서, 이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임펠러(130)에 대하여는 정회전명령신호를 냉각모듈(140)에 대해서는 냉각모드 실행명령신호를 각 출력하게 된다. 즉, 제어부(160)에 의한 전술한 실행명령신호는 상기 임펠러(130)의 송풍날개(133)에 의해 외부 공기가 제2통기부(114)로 흡입되어 제1통기부(113)로 배기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열전소자(141)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방열면(141b)에서 발생되는 온열은 그 상면에 접착된 냉각부재(141c)에 의해 냉각되어지고, 상기와 같이 생성된 기류가 제2열전소자(143)의 경사면을 따라 유도되어 제1열전소자(141)의 흡열면을 따라 유도되어 열교환을 이루게 됨으로써 냉기를 생성하게 되며, 그 냉기는 상기 송풍날개(133)를 경유하여 제1통기부(113)로 배기되게 되는 작동원리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원리는 송풍스위치(151)는 앞서 본바와 같고 다만 냉온스위치(153)가 포켓걸이부(170)의 반대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제어부(160)와 각 접점을 이룬 상태로서, 이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임펠러(130)에 대하여는 정회전명령신호를 냉각모듈(140)에 대해서는 온열모드 실행명령신호를 각 출력하게 된다. 즉, 제어부(160)에 의한 전술한 실행명령신호는 상기 임펠러(130)의 송풍날 개(133)에 의해 외부 공기가 제2통기부(114)로 흡입되어 제1통기부(113)로 배기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2열전소자(143)에만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상기 흡열면(143a)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몸체(110)와 냉각모듈(140)과의 사이에 별도로 형성되는 공간부(115a) 상에서만이 그 냉각을 실시하게 될 것이고가사, 위 공간부(115a)에 존재하는 냉기의 일부가 기류를 따라 이동하게 될지라도 방열면(143b)과 열교환을 이루게 됨,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기류는 제2열전소자(143)에서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방열면(143b)을 따라 유도되는 동안 상기 방열면(143b)와 열교환을 이루게 됨으로써 온기를 생성하게 되며, 그와 같이 생성된 온기는 상기 송풍날개(133)를 경유하여 제1통기부(113)로 배기되게 된다.
한편, 도 6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원리는 상기 냉온스위치(153)가 앞서 본 어느 하나의 접점형태이거나 접점해지상태 즉 냉각모드 또는 온열모드 또는 작동정지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스위치(151)가 상기 포켓걸이부(170)의 반대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제어부(160)와 전기접점을 이루고 있는 상태인바, 이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임펠러(130)에 대하여는 역회전명령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냉온스위치(153)를 통해 해당 신호(냉각모드신호 또는 온열모드신호)가 입력될 경우는 앞서 본 바와 같이 냉각모듈(140)을 적절히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160)에 의한 전술한 실행명령신호는 상기 임펠러(130)의 송풍날개(133)에 의해 외부 공기가 제1통기부(113)로 흡입되어 제2통기부(114)로 배기되게 되는 작동원리를 가지게 된다. 위와 같은 작동모드는 필기 시에 땀 또는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땀 발생을 억제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송풍만을 실 시하거나 앞서 본 바와 같이 냉온스위치(153)를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냉기 또는 온기가 볼펜을 파지하고 있는 손가락 등에 제공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되는데, 예컨대 겨울철에는 온열모드만을 가동하여 손가락 등 신체의 특정부분을 온열마사지할 수 있음은 물론, 온기를 더불어 제공받을 수 있겠고, 필기에 앞서 낮은 기온에 의해 둔감해진 손가락 등을 따뜻하게 할 수도 있으며, 여름철에는 냉각모드만을 가동하거나 임펠러(130)를 정?역회전을 시켜 필기 시에는 제2통기부(114)를 통해, 머리?목 등 특정신체부분에 냉기를 제공하고자 할 경우는 제1통기부(113)를 통해 냉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등 그 사용에 있어 다양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에 앞서 본 제1통기부(113) 및 제2통기부(114)만으로 구성하더라도 필기 시에 손가락으로의 통풍이 자유로워짐에 따라 발생되는 땀의 양을 상당부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되며, 앞서 본 임펠러(130) 또는 냉각모듈(140) 중의 어느 하나만을 구성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B"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이 냉기류를 생성하여 제1통기부를 통해 강제 송풍시키는 작동원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이 온기류를 생성하여 제1통기부를 통해 강제 송풍시키는 작동원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이 냉기류 또는 온기류를 생성하여 제2통기부를 통해 강제 송풍시키는 작동원리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00 :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110 : 몸체
120 : 전원수용부 130 : 임펠러
140 : 냉온모듈 151 : 송풍스위치
152 : 냉온스위치 160 : 제어부
170 : 포켓걸이부 200 : 배터리

Claims (6)

  1. 볼펜심이 내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뚜껑이 체결되는 통상의 볼펜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 상기 뚜껑이 체결되는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의 면상에 메쉬형상의 제1통기부가 구비되고, 손가락이 파지되는 부분과 그 인접부분이 다수 관통되어 이루어지는 제2통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임펠러;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몸체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수용부;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전원수용부 상에 설치되는 송풍스위치;
    상기 송풍스위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하여 상기 임펠러를 이루는 모터의 회동방향을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제1통기부 또는 제2통기부를 통해 흡입되게 하여 상기 제2통기부 또는 제1통기부를 통해 배기되도록 하는 제어부;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3. 제1항에 있어서,
    방열면 상에 냉각부재가 접착되는 제1열전소자와, 흡열면이 상기 제1열전소자의 측단면과 대향되도록 접착되는 제2열전소자로 이루어져 그 전체적인 측면형상이 격자형상을 갖는 냉온모듈;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몸체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수용부;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전원수용부 상에 설치되는 냉온스위치;
    상기 냉온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신호가 냉방신호일 경우는 상기 제1열전소자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그 입력신호가 온방신호일 경우는 상기 제2열전소자로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4. 볼펜심이 내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뚜껑이 체결되는 통상의 볼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 상에 구비되는 제1통기부;
    상기 몸체 중 손가락이 파지되는 부분과 그 인접부분이 다수 관통되어 이루어지는 제2통기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임펠러;
    방열면 상에 냉각부재가 접착되고 상기 임펠러와 인접된 부근에 위치하는 제1열전소자와, 흡열면이 상기 제1열전소자의 측단면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2열전소자로 이루어져 그 전체적인 측면형상이 격자형상을 갖는 냉온모듈;
    상기 몸체 또는 전원수용부 상에 설치되는 송풍스위치 및 냉온스위치;
    상기 송풍스위치를 통해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그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임펠러를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제1통기부 또는 제2통기부로 흡입되어 상기 제2통기부 또는 제1통기부를 통해 배기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냉온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신호가 냉방신호일 경우는 상기 냉온모듈 중 상기 제1열전소자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그 입력신호가 온방신호일 경우는 상기 제2열전소자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비스듬히 위치되고,
    상기 냉온모듈은 상기 임펠러와 동일한 방향과 기울기로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전원수용부의 일측면 상에는 포켓걸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KR1020070102343A 2007-10-11 2007-10-11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KR20090036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343A KR20090036998A (ko) 2007-10-11 2007-10-11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343A KR20090036998A (ko) 2007-10-11 2007-10-11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998A true KR20090036998A (ko) 2009-04-15

Family

ID=4076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343A KR20090036998A (ko) 2007-10-11 2007-10-11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69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8958A (zh) * 2016-02-22 2016-05-04 苏州黄章妹族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车载多功能笔
CN110509692A (zh) * 2019-09-09 2019-11-29 桐庐九代文具有限公司 一种发热笔
KR20210103770A (ko) 2020-02-14 2021-08-24 노가은 필기도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8958A (zh) * 2016-02-22 2016-05-04 苏州黄章妹族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车载多功能笔
CN110509692A (zh) * 2019-09-09 2019-11-29 桐庐九代文具有限公司 一种发热笔
KR20210103770A (ko) 2020-02-14 2021-08-24 노가은 필기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964B1 (ko) 차량용 컵홀더
KR20090036998A (ko) 통풍기능을 갖는 볼펜
US7108051B2 (en) CPU heat dissipating unit
CN110419843A (zh) 一种可对内置电池散热的充电吹风机
JP2017030449A (ja) 温調シートおよび車両用温調シート
CN201007817Y (zh) 冷暖键盘
CN104390171A (zh) 一种多功能led台灯
CN203871967U (zh) 一种无刷直流电机的散热结构
KR200263971Y1 (ko) 송풍 기능이 부가된 죽부인
CN105476317B (zh) 多功能直立棉腰垫
CN207916497U (zh) 用于车辆后备箱散热装置
CN201224248Y (zh) 风扇笔
CN208006260U (zh) 一种便于拆卸的3d打印笔
CN209982903U (zh) 散热效率高的吹风机
JP3170883U (ja) 電池に応用する加熱モジュール
CN208538080U (zh) 一种中部具有延展功能的散热片
CN202102391U (zh) 加热排气鼠标垫
JP2011027095A (ja) 扇風機用打ち水生成器
JP2007096094A (ja) 機器収納用箱体
CN106208740B (zh) 自降温式高效散热车载逆变器
CN107878150A (zh) 一种车辆后备箱散热装置
KR20110036982A (ko) 송풍 안전모
CN106130365B (zh) 高效散热车载逆变器
CN206848935U (zh) 具有自调节功能的笔记本电脑散热器
JP3112663U (ja) 蓄熱材とヒーターを用いたソーラーウォー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