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691B1 - 벽지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벽지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691B1
KR102370691B1 KR1020200064702A KR20200064702A KR102370691B1 KR 102370691 B1 KR102370691 B1 KR 102370691B1 KR 1020200064702 A KR1020200064702 A KR 1020200064702A KR 20200064702 A KR20200064702 A KR 20200064702A KR 102370691 B1 KR102370691 B1 KR 102370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heater
base
bol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7454A (ko
Inventor
전인명
Original Assignee
전인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명 filed Critical 전인명
Priority to KR102020006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69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6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applying the paper to the surface to be covered

Landscapes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핫멜팅형 벽지를 벽면이나 천장에 부착하는 도배 작업시 벽지를 얇고 평평하게 편 후, 벽지 뒷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를 용융한 다음 벽지를 부착 위치에 가압해주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히터의 열이 벽지 위에 집중되도록 하여, 벽지를 보다 손쉽고 빠르게 원하는 위치에 들뜸이나 구김 없이 고품질로 부착시킬 수 있는 벽지 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벽지 부착 장치{APPARATUS FOR PAPERING}
본 발명은 벽지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핫멜팅형 벽지를 벽면이나 천장에 부착하는 도배 작업시 벽지를 얇고 평평하게 펴고 벽지 뒷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를 용융한 후 벽지를 부착 위치에 가압해주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히터의 열이 벽지 위에 집중되도록 하여 핫멜팅형 벽지를 보다 손쉽고 빠르게 원하는 위치에 들뜸이나 구김 없이 고품질로 부착시킬 수 있는 벽지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도배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벽지를 부착하기 전에 습성 물질인 전분류를 포함하는 풀을 벽지의 후면에 바르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렇게 벽지의 후면에 풀을 도포하는 과정은 숙련된 기술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비숙련자가 이 작업을 하는 경우 벽지의 후면에 풀이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기 때문에 벽지를 원하는 위치에 부착시 풀이 도포되지 않는 부분은 제대로 붙지 않고 떨어지거나 하여 도배 품질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풀 도포 작업은 바닥에서 이루어지는데, 바닥에서 풀을 바르는 작업을 한 후에 벽지를 부착하고자 장소로 옮기는 과정에서 벽지 중 일부가 찢어지거나 외력에 의해 벽지가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문 도배공을 불러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당 량의 경비가 추가로 발생하는 등 금전적인 부담이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배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열용융 접착제를 포함하는 핫멜팅형 벽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핫멜팅형 벽지는 벽이나 천장 등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벽지를 대고 열을 가하면 벽지 후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용융되어 벽지가 벽이나 천장 등 원하는 위치에 부착된 후 경화되면서 도배가 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핫멜팅형 벽지의 경우에도 들뜸이나 구김이 없는 보다 고품질의 도배를 하기 위해서는 접착제의 용융 작업을 한 후 벽지를 밀대나 롤러 등으로 가압하여 평평하게 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혼자 작업하기에는 힘이 많이 들뿐 만 아니라 미숙련 된 작업자의 경우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풀을 도포하는 종래의 벽지에 비해서는 도배 품질이 좋지만 도배 후 여전히 일부분에 들뜸이나 구김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핫멜팅형 벽지를 사용하여 도배를 하되, 벽지를 펴주고 접착제의 용융과 벽지를 부착 위치에 눌러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업이 거의 동시에 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벽지를 보다 손쉽고 빠르면서 원하는 위치에 들뜸 및 구김 없이 고품질로 부착시킬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공보 KR1998-026534 국내공개특허공보 KR2007-010514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핫멜팅형 벽지를 도배할 때, 벽지를 얇고 평평하게 펴고 벽지 후면에 부착된 열용융 접착제를 용융한 후 벽지를 부착 위치에 다시 눌러주는 작업이 거의 동시에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히터의 열이 벽지 위에 집중되도록 하여 미숙련 작업자의 경우에도 도배 작업을 손쉽고 빠르게 할 수 있으며 핫멜팅형 벽지를 원하는 위치에 들뜸 및 구김 없이 고품질로 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한 벽지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지 부착 장치는, 벽지 뒷면에 열용융 접착제가 도포된 핫멜팅 방식의 벽지를 벽 또는 천장에 부착하기 위한 벽지 부착 장치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베이스;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를 제1 방향으로 연결하는 손잡이부;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베이스의 양단에 각각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베이스의 양단에 각각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3 및 제4 가이드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제3 가이드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로울러;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제4 가이드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로울러;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에 상기 손잡이부를 따라 길게 배치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상면과 양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히터 사이에 설치되는 반사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로울러가 벽지 위를 가압하여 벽지를 평평하게 펴지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부가 벽지 위를 지나가도록 하여 상기 반사판에 의해 하측으로 집중되는 상기 히터의 열에 의해 벽지의 접착제가 용융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로울러가 벽지 위를 가압하여 벽지가 벽 또는 천장에 들뜸이나 구김 없이 부착되도록 하는 벽지 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반사판은 상기 히터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평부와, 제2 방향으로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각각 연장되어 상기 히터의 양 측면을 각각 커버하는 제1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벽지 부착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의 하단에서 제1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각각 절곡되고, 제1 및 제2 볼트결합공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수평부에 상기 제1 및 제2 볼트결합공과 각각 대응되게 제1 및 제2 볼트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히터는, 히팅코일; 및 상판의 내측 면에 상기 히팅코일이 지지되는 바디; 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볼트가 상기 히터의 바디의 상판의 내측 면에서부터 상기 제1 볼트관통공을 거쳐 상기 제1 볼트결합공에 결합된 채 상기 제1 볼트의 상단에 너트가 체결되고, 제2 볼트가 상기 히터의 바디의 상판의 내측 면에서부터 상기 제2 볼트관통공을 거쳐 상기 제2 볼트결합공에 결합된 채 상기 제2 볼트의 상단에 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손잡이부 하측에 상기 히터의 상면 및 양측 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반사판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히터는, 상기 바디에 상기 제1 및 제2 볼트가 결합되도록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장홀 형상으로 제3 볼트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3 볼트결합공은 상기 제1 및 제2 볼트의 머리부가 끼워져 상기 바디의 상판 내측 면에 걸리면서 지지되도록 단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히터가, 열선, 히팅 코일 석영 히터, 원적외선 히터 및 세라믹 히터 모듈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및 상기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바디가 프레스에 의해 제조되는 일체형의 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가 상기 제1 베이스의 양단에 탈부착식으로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3 및 제4 가이드부가 상기 제2 베이스의 양단에 탈부착식으로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로울러는 환봉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내측롤러와,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외측롤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디 내부에 히터가 위치하도록 하여 바디가 벽지 위를 지나가도록 하면, 반사판에 의해 하측으로 집중 가열되는 히터의 빛과 열의 작용에 의해 벽지의 열용융 접착제가 효과적으로 가열되어 용융되면서 벽지가 벽이나 천장에 일시적으로 부착되고, 그 전후로 제1 및 제2 로울러가 벽지 위를 가압함으로써, 미숙련 된 작업자의 경우에도 혼자서 핫멜팅형 벽지를 이용하여 손쉽고 빠르게 도배 작업을 할 수 있으며, 핫멜팅형 벽지를 원하는 위치에 들뜸 및 구김이 없는 고품질로 부착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지 부착 장치의 바디와,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일체형 판의 접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지 부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적용되는 히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내부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2에 적용되는 반사판의 접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적용되는 제1 로울러와 로울러 샤프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벽지 부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지 부착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지 부착 장치는, 벽지 뒷면에 공지의 열용융 접착제가 도포된 핫멜팅 방식의 벽지를 벽 또는 천장에 부착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벽지 부착 장치는 종이로 된 벽지는 물론 실크, 직물, 부직물,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가죽, 금속 등 핫멜팅 방식으로 구성된다면 다양한 종류의 벽지에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지 부착 장치의 바디와,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판의 접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지 부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벽지 부착 장치는, 손잡이부(10), 제1 및 제2 베이스(21, 31),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24, 25, 34, 35)를 포함하는 바디와, 제1 및 제2 로울러(40, 50), 히터(100) 및 반사판(7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벽지 부착 장치는, 먼저 제1 로울러(40)가 벽지를 얇고 평평하게 펴지도록 한 후, 바디의 하면이 벽지 위를 지나갈 때 히터(100)에서 발생되어 반사판(70)에 의해 벽지 위에 집중되는 열에 의해 벽지의 접착제가 용융되어 벽지가 벽이나 또는 천장에 임시적으로 부착되도록 하고, 이후 제2 로울러(50)가 벽지 위를 가압함으로써 벽지가 벽이나 천장에 들뜸이나 구김 없이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히터(100)는 열선, 히팅 코일, 석영 히터, 원적외선 히터, 세라믹 히터 모듈 등과 같은 가열수단들 중 하나를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히터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형태뿐만 아니라 내부에 히팅 코일이 구비된 모듈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히터(100)는 손잡이부(10)의 하측에 손잡이부(10)를 따라 제1 방향인 Y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적용되는 히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내부 구조도로서, 도 5a는 히터의 저면도이고, 도 5b는 히터의 Y-Z방향 단면도이고, 도 5c는 히터의 X-Y방향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도면부호 103은 히팅 코일이고, 도면부호 101은 히팅 코일을 내측 면에 지지하는 상판이고, 도면부호 106은 상판(101)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벽이다. 히팅코일(103)의 인출부는 벽(106)에 형성된 인출공(103a, 103b)을 통해 인출되어 제1 베이스(21)에 형성된 전선관통구멍(21a)을 통해 유입된 전원연결선(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부호 102는 반사판(70)의 하측에 히터(100)가 결합되도록 Z방향의 하측에서부터 끼워지는 제1 및 제2 볼트(120, 120')의 바디부(121, 121')가 통과되는 제3 볼트결합공이다.
제3 볼트결합공(102)은 상판(101)의 내측 면(도면 상으로 볼 때 아래쪽 면)에 형성되되, 이때 제3 볼트결합공(102)은 반사판(70)의 제1 및 제2 볼트결합공(74, 75)과 히터(100)의 위치가 적절히 조정되기 용이하도록 Y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홀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볼트(120, 120')의 머리부(122, 122')가 끼워지면서 제1 및 제2 볼트(120, 120')의 X방향으로의 위치를 적절히 맞추기 용이하도록 단턱(102a)을 가지는 이중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21)는 판형으로 구성되고 바디에서 제1 방향인 Y방향의 일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이다. 제2 베이스(31)는 판형으로 구성되고 바디에서 Y방향의 타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제1 베이스(21)와 Y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1 베이스(21)에 대해 Y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며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베이스(21, 31)의 사이에 마련된 내측의 수용 공간에 히터(100)가 위치하는 것이다.
제1 베이스(21)는 도 2에서 볼 때 Z방향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X방향의 양단에 제1 및 제2 연장부(22, 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연장부(22, 23)는 제1 베이스(21) 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며 제1 베이스(21)와 제1 및 제2 가이드부(24, 25)를 각각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베이스(31)는 도 2에서 볼 때 Z방향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X방향의 양단에 제3 및 제4 연장부(32, 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및 제4 연장부(32, 33)는 제2 베이스(31) 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며 제2 베이스(31)와 제3 및 제4 가이드부(34, 35)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연장부(22, 23)에 의해 제1 및 제2 가이드부(24, 25)의 위치가 제1 베이스(21) 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3 및 제4 연장부(32, 33)에 의해 제3 및 제4 가이드부(34, 35)의 위치가 제2 베이스(31) 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손잡이부(10)의 하측에 반사판(70) 및 히터(100)를 설치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손잡이부(10)는 제1 베이스(21)의 상단과 제2 베이스(31)의 상단을 Y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손잡이부(10)는 Y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형의 제1 지지부(11)와,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인 X방향으로 제1 지지부(11)의 양단에 Y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각각 연장되는 제2 및 제3 지지부(12, 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2)는 Y방향으로 양단이 제1 및 제3 연장부(22, 32)에 각각 접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3 지지부(13)는 Y방향으로 양단이 제2 및 제4 연장부(23, 33)에 각각 접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및 제3 지지부(12, 13)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안쪽으로 둥그스럼하게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손잡이부(100)는 사용이 간편하면서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아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부(10)는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외표면을 널링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반사판(70)은 손잡이부(10)의 하측에서 Z방향으로 손잡이부(10)와 히터(70) 사이에 설치되고, 내측 면이 거울 면과 같이 빛과 열의 반사가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손잡이부(10)를 따라 Y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부(71)와, 수평부(71)의 X방향의 양단에 하측으로 절곡되게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면부(72, 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부(72, 73)는 X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내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측면부(72, 73)는 모서리를 둥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반사판(70)에 의해 상면과 양 측면이 커버되도록 반사판(70)의 하측에 히터(100)가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히터(100)로부터 발생된 빛과 열이 반사판(70)에 의해 손잡이부(10)의 하측 방향을 향해 집중적으로 방출되면서 바디의 손잡이부(10)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에서 벽지의 열용융 접착제를 효과적으로 용융시키게 된다.
이때, 반사판(70)은 히터(100)로부터 발생된 빛과 열이 바디의 측면이나 상측 및 손잡이부(10) 쪽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시 안정성을 높이는 열 확산방지 커버로서의 역할도 하게 된다.
이러한 반사판(70)은 바람직하게 SUS(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사판(70)은 필요시 표면을 크롬(Cr) 등의 재질로 도금할 수 있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면부호 74와 75는 반사판(70)을 제1 및 제2 고정편(27, 37)에 결합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볼트(120, 120')의 바디부(121, 122')가 각각 통과하면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볼트관통공이다.
그리고, 제1 베이스(21)에는 전선관통구멍(21a)이 마련될 수 있다. 전선관통구멍(21a)에는 외부 전원과 접속되도록 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연결선(80)이 통과될 수 있고, 이 전원연결선(80)은 히터(100)의 인출부(103a, 10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베이스(21, 31)에는 필요시 전원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플러그를 외부 전원에 연결하면 히터(100)로 전원이 인가되어 전원 스위치 작동시 히터(100)로부터 열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히터(100)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00
Figure 112020054544187-pat00001
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동될 수 있고, 이때 벽지의 종류 및 작업 조건에 따라 히터(100)의 가열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바디에는 별도의 자동 또는 수동식 온도 조절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전원연결선(80)이 제1 베이스(21)를 통해 히터(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전원연결선(80)은 제2 베이스(31)에 전선관통구멍을 형성하여 히터(100)와 연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바디 내부에 별도의 충전지(미도시)가 구비되도록 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더라도 충전지에 충전된 전원으로 일정 시간 동안 벽지 부착 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벽지 부착 장치를 보다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바디, 히터(100), 그리고 반사판(7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주로 제1 볼트(12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제2 볼트(120')의 체결 구조는 제1 볼트(120)와 대체로 유사하므로 이는 제2 볼트(120')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베이스(21)의 하단에는 Y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고정편(27)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베이스(31)의 하단에는 Y방향으로 제1 고정편(27)을 향해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제2 고정편(3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고정편(27, 37)에는 제1 및 제2 볼트결합공(27a, 37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편(27, 37)은 제1 및 제2 베이스(21, 31)의 하단에서 Y방향으로 각각 약 90° 접히면서 손잡이부(10)의 제1 지지부(11)와 대략 수평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히터(100)의 상판(101)의 저면에서 상측을 향해 제3 볼트결합공(102)에 제1 및 제2 볼트(120, 120')를 삽입하되, 히터(100)의 상판(101)의 저면에 형성된 단턱(102a)에 제1 및 제2 볼트(120, 120')의 머리부(122, 122')가 각각 끼워져 상판(101)의 저면에 걸리면서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히터(100)의 상판(101)의 상면에 반사판(70)의 수평부(71)를 저면이 접촉되도록 배치하고, 제3 볼트결합공(102)을 따라 제1 및 제2 볼트(120, 120')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1 볼트(120)의 바디부(121)가 수평부(71)에 형성된 제1 볼트관통공(74)을 통과하며 끼워지도록 하고 제2 볼트(120')의 바디부(121')는 수평부(71)에 형성된 제2 볼트관통공(75)을 통과하며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반사판(70)의 수평부(71)의 상면에 제1 및 제2 고정편(27, 37)을 저면이 접촉되도록 배치하고, 제1 및 제2 볼트120, 120')의 바디부(121, 121')가 제1 및 제2 고정편(27, 37)의 제1 및 제2 볼트결합공(27a, 37a)을 각각 통과하며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Z방향으로 제1 및 제2 볼트(120, 120')의 바디부(121, 121')의 상단 부분은 각각 제1 및 제2 고정편(27, 37) 보다 위쪽으로 더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고정편(27, 37) 위로 노출된 제1 및 제2 볼트(120, 120')의 바디부(121, 121')의 상단 부분에 너트(123, 123')를 각각 체결하면 Z방향으로 상측에서부터 제1 및 제2 고정편(27, 37), 반사판(70)의 수평부(71), 히터(100)의 상판(101) 순으로 서로 밀착되면서 제1 및 제2 볼트(120, 120')를 지지축으로 하여 제1 및 제2 고정편(27, 37), 반사판(70)의 수평부(71), 히터(100)의 상판(101)이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추가로 참조하면, 제1 로울러(40)는 제1 가이드부(24)의 단부와 제3 가이드부(34)의 단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때 제1 가이드부(24)와 제3 가이드부(34)에는 제1 로울러(4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축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로울러 샤프트(9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로울러(50)는 제2 가이드부(25)의 단부와 제4 가이드부(35)의 단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때 제2 가이드부(25)와 제4 가이드부(35)에는 제2 로울러(5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축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로울러 샤프트(90)가 결합될 수 있다.
로울러 샤프트(90)는 제1 또는 제2 로울러(40, 50)의 내부에 Y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샤프트 결합공(43)에 결합되는 바아(91)와 복수의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아(91)는 양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바아(91)가 제1 또는 제2 로울러(40, 50)의 샤프트 결합공(43)에 끼워진 상태로 제1 및 제2 가이드부(24, 25)의 양 측면에 너트(91, 94)가 체결되고, 제3 및 제4 가이드부(34, 35)의 양 측면에도 너트(93, 95)가 체결되어 제1 및 제2 로울러(40, 50)가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24, 25, 34, 35)에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및 제2 로울러(40, 50)는 이중 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내측 롤러(41, 51)는 환봉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및 제2 외측 롤러(42, 52)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소프트 하면서도 일정 수준의 내구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로울러(40)와 제2 로울러(50)는 필요시 서로 크기가 다른 것을 장착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울러 샤프트(90)에 의해 필요에 따라 교환 장착 가능한 구조로 제1 및 제3 가이드부(24, 34)와 제2 및 제4 가이드부(25, 35)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벽지 부착 장치를 사용하면, 제1 로울러(40)가 먼저 접착제 용융 전에 벽지를 얇고 평평하게 펴주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바디의 하면을 벽지에 가깝게 대고 지나가도록 하면 바디 내에 마련된 히터(100)의 빛과 열이 반사판(70)에 의해 바디 하측 방향으로 집중 방출되면서 별도의 전분류로 된 풀을 바르지 않고도 벽지의 열용융 접착제를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만들어 벽지를 벽이나 천정 등의 원하는 장소에 임시적으로 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거의 동시에 제2 로울러(50)의 평평한 표면이 접착제가 용융된 벽지 위를 슬라이딩하면서 가압하여 벽지가 벽이나 또는 천장에 들뜸이나 구김 없이 우수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들이 거의 동시에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벽지 부착 효과가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벽지 부착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작고 가볍게 구성되므로 작업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부(10)를 잡은 상태로 바디가 벽지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로울러(40, 50)를 이용하여 작업하면 되므로 좁은 장소에서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벽지 부착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조 공정과 시간을 간소화하기 위해 프레스로 찍어내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도 1에서와 같이, 지지부(10)와 제1 및 제2 베이스(21, 31)를 포함하는 바디와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24, 25, 34, 35)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일체형의 판을 적절히 절곡하여 바디와 제1 및 제2 가이드부(24, 25, 34, 35)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부(24', 25')가 제1 베이스(21')와 각각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져, 제1 및 제2 가이드부(24', 25')가 제1 베이스(21)의 양단에 탈부착식으로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24')의 단부에는 제1 결합돌출부(24b)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가이드부(25')의 단부에는 제2 결합돌출부(25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이스(21')의 X방향의 양 단에는 제1 및 제2 결합돌출부(24b, 25b)가 각각 끼움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가이드부(34', 35')는 제2 베이스(31')와 각각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져, 제3 및 제4 가이드부(34', 45')가 제2 베이스(31')의 양단에 탈부착식으로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가이드부(34')의 단부에는 제3 결합돌출부(34b)가 형성될 수 있고, 제4 가이드부(35')의 단부에는 제4 결합돌출부(35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이스(31')의 X방향의 양 단에는 제3 및 제4 결합돌출부(34b, 35b)가 각각 끼움 결합되도록 제3 및 제4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24', 25', 34', 35')를 제1 및 제2 베이스(21', 31')에 대하여 탈부착식으로 구성하면, 벽지 부착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24', 25', 34', 35')를 바디로부터 분리시켜 벽지 부착 장치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손잡이부
11: 제1 지지부
12; 제2 지지부
13: 제3 지지부
21, 21': 제1 베이스
22, 23: 제1 및 제2 연장부
24, 24': 제1 가이드부
25, 25': 제2 가이드부
24a, 25a, 34a, 35a: 제1 내지 제4 관통공
24b, 25b, 34b, 35b: 제1 내지 제4 결합돌출부
27: 제1 고정편
27a, 37a: 제1 및 제2 볼트결합공
31, 31': 제2 베이스
32, 33: 제3 및 제4 연장부
34, 34': 제3 가이드부
35, 35': 제4 가이드부
37: 제2 고정편
40, 50: 제1 및 제2 로울러
41, 51: 제1 및 제2 내측롤러
42, 52: 제1 및 제2 외측롤러
43: 샤프트 결합공
70: 반사판
71: 수평부
72, 73: 제1 및 제2 측면부
74, 75: 제1 및 제2 볼트관통공
80: 전원연결선
90: 로울러 샤프트
91: 바아
92-95: 너트
100: 히터
101: 상판
102: 제3 볼트결합공
103: 히팅 코일
103a, 103b: 인출부
106: 벽
120, 120': 제1 및 제2 볼트
121, 121': 바디부
122, 122': 머리부
123, 123': 너트

Claims (8)

  1. 벽지 뒷면에 열용융 접착제가 도포된 핫멜팅 방식의 벽지를 벽 또는 천장에 부착하기 위한 벽지 부착 장치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베이스;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를 제1 방향으로 연결하는 손잡이부;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베이스의 양단에 각각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베이스의 양단에 각각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3 및 제4 가이드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제3 가이드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로울러;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제4 가이드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로울러;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에 상기 손잡이부를 따라 길게 배치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상면과 양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히터 사이에 설치되는 반사판; 을 포함하고,
    제1 베이스는 제2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양단에 각각 제1 및 제2 연장부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 연장부는 제1 베이스 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며 제1 베이스와 제1 및 제2 가이드부를 각각 연결하고,
    제2 베이스는 제2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양단에 각각 제3 및 제4 연장부가 형성되며,
    제3 및 제4 연장부는 제2 베이스 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며 제2 베이스와 제3 및 제4 가이드부를 각각 연결하고,
    제1 및 제2 연장부에 의해 제1 및 제2 가이드부의 위치가 제1 베이스 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제3 및 제4 연장부에 의해 제3 및 제4 가이드부의 위치가 제2 베이스 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손잡이부의 하측에 반사판 및 히터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제2 및 제3 지지부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안쪽으로 둥그스름하게 절곡되며,
    손잡이부, 제1 및 제2 베이스,제1 내지 제4 연장부,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바디는 프레스에 의해 제조되는 일체형의 판 구조로 형성된 후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로울러가 벽지 위를 가압하여 벽지를 평평하게 펴지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부가 벽지 위를 지나가도록 하여 상기 반사판에 의해 하측으로 집중되는 상기 히터의 열에 의해 벽지의 접착제가 용융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로울러가 벽지 위를 가압하여 벽지가 벽 또는 천장에 들뜸이나 구김 없이 부착되도록 하는 벽지 부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히터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평부와, 제2 방향으로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각각 연장되어 상기 히터의 양 측면을 각각 커버하는 제1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의 하단에서 제1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각각 절곡되고, 제1 및 제2 볼트결합공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고정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수평부에 상기 제1 및 제2 볼트결합공과 각각 대응되게 제1 및 제2 볼트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히팅코일; 및 상판의 내측 면에 상기 히팅코일이 지지되는 바디; 를 포함하고,
    제1 볼트가 상기 히터의 바디의 상판의 내측 면에서부터 상기 제1 볼트관통공을 거쳐 상기 제1 볼트결합공에 결합된 채 상기 제1 볼트의 상단에 너트가 체결되고, 제2 볼트가 상기 히터의 바디의 상판의 내측 면에서부터 상기 제2 볼트관통공을 거쳐 상기 제2 볼트결합공에 결합된 채 상기 제2 볼트의 상단에 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손잡이부 하측에 상기 히터의 상면 및 양측 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반사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바디에 상기 제1 및 제2 볼트가 결합되도록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장홀 형상으로 제3 볼트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볼트결합공은 상기 제1 및 제2 볼트의 머리부가 끼워져 상기 바디의 상판 내측 면에 걸리면서 지지되도록 단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열선, 히팅 코일, 석영 히터, 원적외선 히터 또는 세라믹 히터 모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가 상기 제1 베이스의 양단에 탈부착식으로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3 및 제4 가이드부가 상기 제2 베이스의 양단에 탈부착식으로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로울러는 환봉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내측롤러와,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외측롤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 장치.
KR1020200064702A 2020-05-29 2020-05-29 벽지 부착 장치 KR102370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702A KR102370691B1 (ko) 2020-05-29 2020-05-29 벽지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702A KR102370691B1 (ko) 2020-05-29 2020-05-29 벽지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454A KR20210147454A (ko) 2021-12-07
KR102370691B1 true KR102370691B1 (ko) 2022-03-03

Family

ID=7886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702A KR102370691B1 (ko) 2020-05-29 2020-05-29 벽지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6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0558A1 (en) * 2016-04-11 2017-10-19 Tremco Incorporated Self-adhered sheet install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37429C2 (de) * 1973-07-23 1974-11-07 Wasser-Sand-Forschungs-U. Vertriebsgesellschaft Mbh, 5300 Bonn Vorrichtung zum Verkleben von Papier- oder Folienbahnen auf Wände, Platten, welche Rollen mit elastischer Auflage zum Glätten der Bahn und zum Verkleben der Bahn auf der Unterlage aufweist
US4266117A (en) * 1978-11-06 1981-05-05 Econoray, Inc. Self-ventilating infra-red ray heater
KR860001257Y1 (ko) * 1984-06-01 1986-06-27 김익 식기 살균기
KR19980026534A (ko) 1996-10-10 1998-07-15 신현소 핫멜트형 벽지
KR20070105147A (ko) 2006-04-25 2007-10-30 구기훈 웰빙 기능성 벽지의 도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0558A1 (en) * 2016-04-11 2017-10-19 Tremco Incorporated Self-adhered sheet install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454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3176A (en) Electric iron for heat sensitive adhesive tape for seaming carpets
KR102370691B1 (ko) 벽지 부착 장치
CN107097311A (zh) 一种竹枝热弯定型手持装置
EP1374709B1 (en) Method for applying a glue to an insole
JP3312329B2 (ja) 転写装置
JP4200062B2 (ja) 畳表折曲装置
CN113675455B (zh) 一种电池排线背胶重贴设备
JP4688306B2 (ja) 表皮材巻き込み装置
KR100838596B1 (ko) 장식용 핫 픽스의 부착방법 및 그 장치
KR200468190Y1 (ko) 셔츠원단접합부의 열프레싱장치
CN206346456U (zh) 一种顶板拼缝处理装置
US1845976A (en) Fabric forming machine and method of making ornamental designs
JPS584960Y2 (ja) 表装用等の加熱プレス
KR200232894Y1 (ko) 제본기의 접착액 도포장치
JP2001302160A (ja) 乗客コンベア移動手摺用の熱転写シート貼付装置
CN218812808U (zh) 一种鞋用提带和袢带切割装置
CN219600786U (zh) 一种多功能书写用镇纸
CN219486589U (zh) 一体便携式o带熔接器
CN210211863U (zh) 一种能够调节高度的丝绸对联
JPH0462140A (ja) シートの接合装置
CN210030422U (zh) 一种便于玻璃杯加热的支撑架
JP2001039663A (ja) 乗客コンベア移動手すり用の熱転写シート貼付け装置
JP3631918B2 (ja) 押し花飾りの製造方法および押し花飾り用シート
JP2018062799A (ja) 防水シート施工用の携帯式電磁誘導加熱器
US6761199B1 (en) Seaming board and methods of installing floor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