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933B1 -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933B1
KR102368933B1 KR1020210083553A KR20210083553A KR102368933B1 KR 102368933 B1 KR102368933 B1 KR 102368933B1 KR 1020210083553 A KR1020210083553 A KR 1020210083553A KR 20210083553 A KR20210083553 A KR 20210083553A KR 102368933 B1 KR102368933 B1 KR 102368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raw material
base
flowers
le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우리꽃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꽃연구소 filed Critical ㈜우리꽃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083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2Isolation or recuperation of tea flavour or tea oil
    • A23F3/423Isolation or recuperation of tea flavour or tea oil by solvent extraction; Tea flavour from tea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원물에 물을 투입하고, 50~70℃에서 1~5시간 추출하여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베이스를 40∼60℃에서 1~10시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베이스에 상기 준비된 원물을 1차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물이 1차 투입된 베이스에 레몬, 알룰로스 또는 이들 모두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레몬, 알룰로스 또는 이들 모두가 투입된 베이스에 상기 준비된 원물을 2차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물이 2차 투입된 베이스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물은 꽃 또는 홍차잎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될 뿐 아니라, 떫은맛 및 이취가 제거되고, 향과 맛이 향상되어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flower tea concentrates or black tea concentrates}
본 발명은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열수추출 대비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될 뿐 아니라, 향과 맛이 향상되어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한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정신적,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고, 대인관계가 점점 다양해지고 빈번해짐에 따라 타인과의 만남시 촉매역할을 하거나, 개인이 조용하게 자신만의 생각하는 시간을 즐기고자 하는 경우에 사고의 깊이를 보다 깊게 해주는 기호식품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차(茶)나 커피가 즐겨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호식품의 일종으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즐겨 음용하는 커피는 인체에 흡수되는 경우 주성분인 카페인이 아드레날린이라고 알려진 체내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활동을 활성화시켜 신진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나, 이와 같은 커피를 빈번하게 마시는 경우 카페인의 독성 및 중독성때문에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커피를 대체할 기호식품으로서 차나무의 어린잎을 가공하여 제조한 녹차 또는 홍차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그 이외에도 현미차, 자스민차 또는 한약재를 원료로 하는 차 등 여러 종류의 차들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물의 잎을 이용한 몇 가지 종류의 차가 제안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종류가 매우 적어 다양화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면면히 이어온 선현들의 정신과 멋이 살아 숨쉬는 듯한 높은 품격을 갖춘 새로운 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 및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차의 재료로서 꽃이 주목받고 있다. 꽃차는 다양한 필수 비타민 성분 및 무기질을 포함하고 있고, 영양뿐 아니라 아름다운 모양과 좋은 향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꽃은 차로의 가공이 어렵고, 그 향이 미미하거나 이취가 있으며, 고온의 물에 우려내기 때문에 영양소가 파괴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KR 10-1953718 B1 KR 10-1397188 B1 KR 10-2187029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열수추출 대비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될 뿐 아니라, 향과 맛이 향상되어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한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떫은맛 및 이취가 제거되어 깊고 풍부한 향을 갖는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은, 원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원물에 물을 투입하고, 50~70℃에서 1~5시간 추출하여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베이스를 40∼60℃에서 1~10시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베이스에 상기 준비된 원물을 1차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물이 1차 투입된 베이스에 레몬, 알룰로스 또는 이들 모두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레몬, 알룰로스 또는 이들 모두가 투입된 베이스에 상기 준비된 원물을 2차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물이 2차 투입된 베이스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물은 꽃 또는 홍차잎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꽃은 녹차꽃, 차나무꽃, 아카시아꽃,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연꽃, 장미꽃, 칡꽃, 국화꽃, 구절초꽃, 목련꽃, 도라지꽃, 펜지꽃, 금계국꽃, 생강나무꽃, 진달래꽃, 매화꽃, 목단꽃, 접시꽃, 돼지감자꽃, 벌개미취꽃 및 도라지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꽃은 건조하고, 150~200℃에서 1~3분간 덖음하여 냉각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원물에 에탄올 수용액을 분무하는 과정과, 레몬잎을 용기에 투입하는 과정과, 상기 레몬잎이 투입된 용기에 상기 에탄올 수용액이 분무된 원물을 투입하고, 다시 레몬잎을 투입하는 과정과, 상기 용기에 투입된 원물을 20~30℃에서 1~5시간 숙성하는 과정과, 상기 숙성된 원물을 건조하고, 150~200℃에서 1~3분간 덖음하여 냉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탄올 수용액에 바람하늘지기 추출물을 1:0.1~1 중량비로 혼합하여 분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몬잎이 투입된 용기에 상기 에탄올 수용액이 분무된 원물을 투입하고, 다시 레몬잎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몬잎과 함께 조릿대 잎을 더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될 뿐 아니라, 떫은맛 및 이취가 제거되고, 향과 맛이 향상되어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축액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원물을 3차례에 걸쳐 투입하여 농축액을 제조함으로써, 차 농축액의 맛과 향을 강화하면서도, 고온에서 추출하지 않아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한다는 데 있다.
아울러, 전처리 과정을 통해 차의 떫은맛과 이취를 제거한다는 데에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은, 도 1과 같이, 원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원물에 물을 투입하고, 50~70℃에서 1~5시간 추출하여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베이스를 40∼60℃에서 1~10시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베이스에 상기 준비된 원물을 1차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물이 1차 투입된 베이스에 레몬, 알룰로스 또는 이들 모두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레몬, 알룰로스 또는 이들 모두가 투입된 베이스에 상기 준비된 원물을 2차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물이 2차 투입된 베이스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물은 꽃 또는 홍차잎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원물을 준비하는 단계
먼저, 원물을 준비한다.
상기 원물은 꽃 또는 홍차잎일 수 있으며, 그 건조 유무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꽃은 꽃봉오리는 물론, 꽃잎을 포함하는 의미임은 당연하며, 상기 꽃으로는 일반적으로 꽃차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꽃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녹차꽃, 차나무꽃, 아카시아꽃,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연꽃, 장미꽃, 칡꽃, 국화꽃, 구절초꽃, 목련꽃, 도라지꽃, 펜지꽃, 금계국꽃, 생강나무꽃, 진달래꽃, 매화꽃, 목단꽃, 접시꽃, 돼지감자꽃, 벌개미취꽃 및 도라지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으나, 이외 다양한 꽃의 사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홍차잎은 시판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꽃은 세척된 상태의 생화 꽃을 바로 사용할 수도 있고, 건조하고, 150~200℃에서 1~3분간 덖음하여 냉각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건조는 자연건조일 수도 있으며, 20~40℃의 온풍 건조일 수도 있는 것으로,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그 향과 맛의 향상을 위하여, 건조 및 덖음한 꽃을 사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덖음 및 건조 횟수는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준비된 원물을 세 차례에 걸쳐 사용되는바, 그 양을 충분히 준비하고 이를 나누어 가며 사용함은 당연하다.
상기 준비된 원물에 물을 투입하고, 50~70℃에서 1~5시간 추출하여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원물에 5~10중량배의 물을 투입하고, 50~70℃에서 1~5시간 추출함으로써, 베이스를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를 제한하는 이유는 고온 추출시 영양소의 파괴가 심해지며, 원물의 이취 성분 역시 함께 다량 추출되어 그 향과 맛이 덜해지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1차 추출한 베이스는 그 향이 약하고 부드럽다.
상기 제조된 베이스를 40∼60℃에서 1~10시간 숙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조된 베이스를 40~60℃에서 1~10시간 숙성한다. 상기 숙성을 통해 베이스의 향이 깊고 강해지며, 맛 또한 조화롭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조된 베이스는 여과하여 원물을 제거한 후 숙성할 수도 있고, 원물의 제거 없이 숙성할 수도 있는바, 그 여과 유무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숙성된 베이스에 상기 준비된 원물을 1차 투입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베이스에 앞서 준비해둔 원물을 다시 1차 투입함으로써, 향을 강화한다. 이때, 상기 숙성된 베이스의 온도는 숙성 온도인 40~60℃를 계속해서 유지하며, 원물의 1차 투입 후 1~2시간 상기한 온도를 유지한다.
상기 원물의 1차 투입량은 상기 숙성된 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임이 바람직하다. 이하, '중량부'는 상기 숙성된 베이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원물이 1차 투입된 베이스에 레몬, 알룰로스 또는 이들 모두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원물이 1차 투입된 베이스에 다시 레몬, 알룰로스(allulose) 또는 이들 모두를 투입하여 교반한다. 이때, 상기 원물이 1차 투입된 베이스의 온도는 40~60℃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상기 레몬은 상큼한 맛을 부여하여 전체적인 풍미와 맛을 좋게 하면서도, 꽃차 및 홍차 특유의 떫은맛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레몬을 슬라이스하여 투입할 수 있으며, 레몬즙만을 투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알룰로스는 당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입한다.
상기 레몬과 알룰로스는 상기 숙성된 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레몬 1~10중량부, 알룰로스 0.1~5중량부 정도로 사용 가능하나, 취향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상기 레몬, 알룰로스 또는 이들 모두가 투입된 베이스에 상기 준비된 원물을 2차 투입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레몬, 알룰로스 또는 이들 모두가 투입된 베이스에 상기 준비된 원물을 2차 투입함으로써, 향을 강화하여 깊고 묵직한 향이 느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원물의 2차 투입량은 상기 숙성된 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물이 2차 투입된 베이스는 40~60℃의 온도를 1~2시간 계속해서 유지한다.
상기 원물이 2차 투입된 베이스를 냉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원물이 2차 투입된 베이스를 실온으로 냉각하고, 병입하여 포장한다.
이때, 상기 투입된 원물 또는 레몬은 여과하여 제거할 수도 있고, 그대로 함께 병입하여 포장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은, 향이 강화되어 진하고, 맛이 우수한 것은 물론, 고온에서 추출되지 않아 영양소의 파괴가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은 그대로 마실 수도 있고, 추가로 물을 혼합하여 마실 수도 있는 것으로, 음용자의 취향에 따라 그 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꽃차 농축액 또는 홍차 농축액은 꽃의 종류 및 홍차잎의 종류에 따라 그 떫은맛과 이취가 강하여 관능적 기호도가 좋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떫은맛 및 이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원물을 준비할 시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원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원물에 에탄올 수용액을 분무하는 과정과, 레몬잎을 용기에 투입하는 과정과, 상기 레몬잎이 투입된 용기에 상기 에탄올 수용액이 분무된 원물을 투입하고, 다시 레몬잎을 투입하는 과정과, 상기 용기에 투입된 원물을 20~30℃에서 1~5시간 숙성하는 과정과, 상기 숙성된 원물을 건조하고, 150~200℃에서 1~3분간 덖음하여 냉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원물, 즉 꽃 또는 홍차잎 준비하고, 이에 10~90%의 에탄올 수용액을 분무한다. 여기서, 그 분무량은 제한하지 않으나 꽃 또는 홍차잎에 대하여 5~10중량% 정도이면 족하다.
다음으로, 레몬잎을 용기에 투입하고, 이에 다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이 분무된 원물을 투입한다. 그리고 다시 레몬잎을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레몬잎의 사용량은 상기 원물을 모두 감쌀 수 있는 양이면 족한바, 예시적으로 상기 원물의 2~3중량배 정도를 나누어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에 투입된 원물을 20~30℃에서 1~5시간 숙성한다. 상기 숙성시간 동안 레몬잎과 에탄올 수용액이 함께 작용하여 원물의 이취와 떫은맛을 제거해주는 것은 물론, 그 풍미를 더욱 깊고 부드럽게 만들어 준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원물을 건조하고, 150~200℃에서 1~3분간 덖음하여 실온으로 냉각한다. 이때, 상기 건조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바, 자연 건조 또는 온풍 건조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에탄올 수용액을 분무하는 과정에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에 바람하늘지기 추출물을 1:0.1~1 중량비로 혼합하여 분무할 수도 있다.
상기 바람하늘지기 추출물 역시 떫은맛과 이취의 제거를 돕는다.
상기 바람하늘지기(Fimbristylis littoralis Gaudich) 추출물은, 바람하늘지기의 전초 또는 중심가지에 2~1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80~100℃에서 1~10시간 추출 및 여과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농축 또는 건조할 수 있음은 당연한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을 통해 추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레몬잎이 투입된 용기에 상기 에탄올 수용액이 분무된 원물을 투입하고, 다시 레몬잎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몬잎과 함께 조릿대 잎을 더 투입할 수도 있는바, 이러한 경우 그 이취가 더욱 제거되며, 원물의 향이 더욱 강화된다.
상기 조릿대 잎의 사용량은 상기 다시 투입되는 레몬잎과 동량 정도이면 족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장미꽃잎을 세척하고, 상기 꽃잎을 실온에서 5시간 건조한 후, 170℃에서 2분간 덖음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꽃잎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이 꽃잎에 5중량배의 물을 투입하고, 50~70℃에서 3시간 추출하여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이를 여과하여 꽃잎을 제거한 후, 이 베이스를 50℃에서 5시간 숙성하였다.
다음으로, 숙성된 베이스의 온도를 50℃로 유지하면서, 상기 숙성된 베이스 100중량부에 덖음한 꽃잎 5중량부를 투입하고, 1시간 유지한 후, 이에 슬라이스한 레몬 5중량부를 투입하고, 다시 덖음한 꽃잎 5중량부를 투입한 후, 1시간 유지하였다. 그리고 이를 여과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병입 및 포장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장미꽃잎을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꽃잎에 30%의 에탄올 수용액을 분무하였다. 이때, 분무량은 꽃잎 100g에 대하여 10g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용기에 레몬잎을 투입한 후, 상기 에탄올 수용액이 분무된 꽃잎을 투입하고, 다시 레몬잎을 투입하여 10℃에서 3시간 숙성하였다. 이때, 레몬잎의 사용량은 상기 꽃잎의 2중량배였다. 다음으로, 숙성된 원물을 실온에서 5시간 건조하고, 170℃에서 2분간 덖음하여 실온으로 냉각하여 꽃잎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에탄올 수용액에 바람하늘지기 추출물을 1:0.5중량부로 혼합하여 분무하였다.
이때, 상기 바람하늘지기 추출물은 바람하늘지기의 전초에 5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추출 후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레몬잎을 상기 꽃잎 위로 투입할 시, 동량의 조릿대 잎을 함께 투입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꽃잎을 대신하여 홍차잎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꽃잎을 대신하여 홍차잎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꽃잎을 대신하여 홍차잎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꽃잎을 대신하여 홍차잎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말린 장미꽃잎에 100℃의 물을 가하여 1시간 우려낸 후, 여과하였다.
(비교예 2)
홍차잎에 100℃의 물을 가하여 1시간 우려낸 후, 여과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맛과 향을 훈련된 관능요원 50명에 의하여 관능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맛과 향의 평가 기준은 매우 강한 정도를 5로 하고, 약간 강한 정도는 4, 보통의 정도는 3, 약한 정도는 2, 아주 약한 경우는 1로 정하였다. 이때, 각 시료는 모두 70℃로 제공하였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깊은맛 부드러운 정도 떫은맛 향의 정도 전체적인 평가
실시예 1 3.7 3.9 1.8 4.3 3.8
실시예 2 4.2 4.1 1.2 4.5 4.3
실시예 3 4.5 4.3 1.0 4.5 4.5
실시예 4 4.3 4.2 1.0 4.5 4.4
비교예 1 2.1 1.8 4.0 1.8 2.0
실시예 5 3.8 3.8 2.1 4.0 3.8
실시예 6 4.0 4.0 1.5 4.4 4.1
실시예 7 4.2 4.1 1.2 4.5 4.2
실시예 8 4.1 4.1 1.3 4.5 4.2
비교예 2 2.0 2.1 3.0 2.1 2.0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교예들에 비하여 그 맛이 깊고 부드러우면서도, 떫은맛이 없으며, 향이 강해 전체적인 기호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원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원물에 물을 투입하고, 50~70℃에서 1~5시간 추출하여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베이스를 40∼60℃에서 1~10시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베이스에 상기 준비된 원물을 1차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물이 1차 투입된 베이스에 레몬, 알룰로스 또는 이들 모두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레몬, 알룰로스 또는 이들 모두가 투입된 베이스에 상기 준비된 원물을 2차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물이 2차 투입된 베이스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원물에 에탄올 수용액을 분무하는 과정과,
    레몬잎을 용기에 투입하는 과정과,
    상기 레몬잎이 투입된 용기에 상기 에탄올 수용액이 분무된 원물을 투입하고, 다시 레몬잎을 투입하는 과정과,
    상기 용기에 투입된 원물을 20~30℃에서 1~5시간 숙성하는 과정과,
    상기 숙성된 원물을 건조하고, 150~200℃에서 1~3분간 덖음하여 냉각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원물은 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은 녹차꽃, 차나무꽃, 아카시아꽃,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연꽃, 장미꽃, 칡꽃, 국화꽃, 구절초꽃, 목련꽃, 도라지꽃, 펜지꽃, 금계국꽃, 생강나무꽃, 진달래꽃, 매화꽃, 목단꽃, 접시꽃, 돼지감자꽃, 벌개미취꽃 및 도라지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꽃은 건조하고, 150~200℃에서 1~3분간 덖음하여 냉각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에 바람하늘지기 추출물을 1:0.1~1 중량비로 혼합하여 분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몬잎이 투입된 용기에 상기 에탄올 수용액이 분무된 원물을 투입하고, 다시 레몬잎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몬잎과 함께 조릿대 잎을 더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0210083553A 2021-06-28 2021-06-28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368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553A KR102368933B1 (ko) 2021-06-28 2021-06-28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553A KR102368933B1 (ko) 2021-06-28 2021-06-28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933B1 true KR102368933B1 (ko) 2022-03-03

Family

ID=8081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553A KR102368933B1 (ko) 2021-06-28 2021-06-28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9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188B1 (ko) 2012-10-12 2014-05-21 김순희 목련 꽃차의 제조방법
KR20180057356A (ko) * 2016-11-22 2018-05-30 제주동백 주식회사 동백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4618A (ko) * 2017-02-16 2018-08-24 서희선 동백꽃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3718B1 (ko) 2017-03-10 2019-03-04 정화자 장미꽃차의 제조방법
KR102187029B1 (ko) 2018-12-17 2020-12-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꽃차 조성물
JP2021065130A (ja) * 2019-10-21 2021-04-30 株式会社 伊藤園 容器詰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188B1 (ko) 2012-10-12 2014-05-21 김순희 목련 꽃차의 제조방법
KR20180057356A (ko) * 2016-11-22 2018-05-30 제주동백 주식회사 동백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4618A (ko) * 2017-02-16 2018-08-24 서희선 동백꽃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3718B1 (ko) 2017-03-10 2019-03-04 정화자 장미꽃차의 제조방법
KR102187029B1 (ko) 2018-12-17 2020-12-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꽃차 조성물
JP2021065130A (ja) * 2019-10-21 2021-04-30 株式会社 伊藤園 容器詰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86801B (zh) 一种荷叶红茶及其加工方法
CN103766514A (zh) 一种果香红茶的制作方法
CN103988949A (zh) 一种速溶绿茶制备工艺
CN105028741A (zh) 一种制备毛峰茶的加工方法
KR102185967B1 (ko) 수국차, 수국차 추출액 및 수국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0806754B1 (ko) 감국의 꽃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KR102368933B1 (ko)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이 강화된 꽃차 또는 홍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725873B1 (ko) 도라지를 이용한 혼합 침출차의 제조방법
KR102018732B1 (ko) 모란 꽃차의 제조방법
KR102121349B1 (ko)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613036A (zh) 一种柚子花桑叶茶及其制备方法
KR102280632B1 (ko) 올리브 잎을 이용한 올리브 커피의 제조방법
CN106720509A (zh) 一种瀑布毛峰的制备方法
KR102428107B1 (ko) 고욤잎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욤잎차
CN113080286A (zh) 一种枣花茶及其制备方法
CN110892932A (zh) 水果绿茶饮粉的制备方法
KR102597353B1 (ko) 향미가 개선된 녹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7543A (ko) 엉겅퀴 함유 티백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3632A (ko) 동아 약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5039B1 (ko) 무궁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궁화 김치
KR102280631B1 (ko) 올리브 커피음료의 제조방법
KR102404179B1 (ko) 대추차 제조방법
KR102375134B1 (ko) 타히보 추출액을 포함하는 차음료 제조방법
CN106974022A (zh) 一种青梅绿茶及其制备方法
CN107279356A (zh) 一种荷叶乌龙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