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874B1 -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를 액투과성 시트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를 액투과성 시트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874B1
KR102367874B1 KR1020187018328A KR20187018328A KR102367874B1 KR 102367874 B1 KR102367874 B1 KR 102367874B1 KR 1020187018328 A KR1020187018328 A KR 1020187018328A KR 20187018328 A KR20187018328 A KR 20187018328A KR 102367874 B1 KR102367874 B1 KR 10236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ber
liquid
absorbent article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276A (ko
Inventor
다쿠야 미야마
사토루 사카구치
마사시 우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characterized by the orientation of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0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1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in thermop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3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a mixture of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61F2013/5117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with the combination of nonwoven web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Abstract

본 개시의 부직포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두께 방향(T) 및 평면 방향(P), 및 제1 면(15) 및 제2 면(17)을 갖는, 흡수성 물품(1)의 액투과성 시트(3)용의 부직포(13)로서, 부직포(13)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19)와, 셀룰로오스계 섬유(21)로서, 그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섬유 덩어리(23)를 구성하고 있는 셀룰로오스계 섬유(21)를 포함하고, 부직포(13)가, 복수의 섬유 덩어리(23)의 각각의, 제1 면(15)과 마주보는 제1 영역(25)에 인접하는 복수의 공극부(27)를 구비하고, 복수의 섬유 덩어리(23)의 각각이 열가소성 수지 섬유(19)와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13).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를 액투과성 시트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본 개시는,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를 액투과성 시트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천연 소재에 의한 안심감을 얻거나 하기 위해, 액투과성 시트 등의 자재로서, 천연 섬유인 코튼을 포함하는 부직포가 검토되고 있다.
그와 같은 부직포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소수성 섬유와 상기 소수성 섬유보다 짧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소수성 섬유는 서로 열융착되고, 또한 상기 친수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가 집합체가 되어 시트 내에 분산되고, 상기 집합체의 친수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수성 섬유의 표면에 융착되어 있는 표면층, 및 상기 표면층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5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다량의 액체는 흡수층으로 투과하기 쉽고, 더구나 소량의 액체에 대해서는 표면층 내에 유지하기 쉽게 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습윤감을 주기 어렵고, 장착 감촉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주로 액체의 유지에 착안한 발명이다.
본 개시는, 비가압하 및 가압하의 경우 모두,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습기 및 액체를 투과시키기 어려워, 착용자가 땀이 차는 느낌 및 리웨트감을 느끼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자들은, 두께 방향 및 평면 방향, 및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로서, 상기 부직포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로서, 그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섬유 덩어리를 구성하고 있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가,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각각의 제1 면과 마주보는 제1 영역에 인접하는 복수의 공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각각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를 발견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는, 비가압하 및 가압하의 경우 모두,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습기 및 액체를 투과시키기 어려워, 착용자가 땀이 차는 느낌 및 리웨트감을 느끼기 어렵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르는 부직포를, 액투과성 시트(3)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1)의 정면측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부면에서의 부분 단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액투과성 시트(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부직포(1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르는 부형된 부직포(113)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부형된 부직포(113)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IX-IX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부직포 No.1의 삼차원 계측 X선 CT 장치로 촬영된 화상이다.
[정의]
ㆍ섬유 덩어리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접합」에 관해
본 명세서에서는, 섬유 덩어리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 관한 「접합」 및 「접합되어 있는」의 용어는, 『융착』 및 『융착되어 있는』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각각이,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접합되어 있지 않은」것은,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각각이,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융착되어 있지 않은』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섬유 덩어리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사이의 교락(교락되어 있는)은, 상기 「접합(접합되어 있는)」에 포함되지 않고, 본 개시의 부직포는, 섬유 덩어리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사이의 교락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교락에는, 섬유 덩어리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융착되지 않고, 매트릭스 중에 들어가 있는 것,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섬유 덩어리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융착되지 않고, 섬유 덩어리에 들어가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ㆍ열가소성 수지 섬유끼리의 「접합」에 관해
본 명세서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 관한 「접합」 및 「접합되어 있는」의 용어는, 섬유 덩어리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융착』 및 『융착되어 있는』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는 이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두께 방향 및 평면 방향, 및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로서,
상기 부직포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로서, 그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섬유 덩어리를 구성하고 있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가,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각각의 제1 면과 마주보는 제1 영역에 인접하는 복수의 공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각각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직포.
상기 부직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와, 상기 섬유 덩어리의 제1 영역에 인접하는 공극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체압 등이 가해지지 않은 비가압하에 있어서, 섬유 덩어리가,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고자 하는 습기를, 공극부를 통해 집중적(스폿적)으로 흡수 및 유지하기 때문에, 부직포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습기를 유지하는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스폿적으로 할 수 있어), 흡수체로부터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체압 등의 가압하에 있어서도, 공극부가 섬유 덩어리보다 우선적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섬유 덩어리가,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고자 하는 습기를, 잔존하는 공극부를 통해 집중적(스폿적)으로 흡수 및 유지하기 때문에, 부직포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습기를 유지하는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스폿적으로 할 수 있어),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비가압하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가,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고자 하는 액체를 흡수 및 유지한다. 상기 섬유 덩어리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섬유 덩어리는, 공극부 내에서 두께 방향으로(제1 면을 향해) 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섬유 덩어리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접한 상태를 긴 시간에 걸쳐 유지하기 어렵고, 섬유 덩어리가 유지하고 있는 액체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타고 착용자측으로 되돌아가기 어렵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가압하에 있어서, 공극부가 섬유 덩어리보다 우선적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섬유 덩어리가 찌부러지기 어렵고, 섬유 덩어리가 유지하고 있는 액체가 섬유 덩어리의 밖으로 압출되기 어렵다. 또한, 섬유 덩어리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섬유 덩어리로부터 압출된 액체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타고 착용자측으로 되돌아가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는, 비가압하 및 가압하에 있어서, 액체를,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투과시키기 어려워, 착용자가 리웨트감을 느끼기 어렵다.
[양태 2]
상기 부직포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적어도 포함하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를 포함하는 양태 1에 기재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어 있는 섬유 덩어리가,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고자 하는 습기를, 공극부를 통해 부직포 전체에서 효율적으로 흡수 및 유지할 수 있어, 흡수체로부터,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양태 1의 부직포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양태 3]
상기 공극부의 상기 평면 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섬유 덩어리의 상기 평면 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존재하는 양태 1 또는 2에 기재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에서는, 공극부의 외측 가장자리가 섬유 덩어리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있고, 섬유 덩어리가, 그 제1 영역의 전체로부터, 공극부를 통해,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고자 하는 습기를 흡수 및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는, 비가압하 및 가압하에 있어서, 기체인 습기를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투과시키기 어려워, 착용자가 땀이 차는 느낌을 느끼기 어렵다.
또한, 상기 부직포에서는, 공극부의 외측 가장자리가 섬유 덩어리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있기 때문에, 섬유 덩어리가 공극부 내에서 두께 방향으로(제1 면을 향해) 움직이기 쉽고, 가압하 및 비가압하의 경우 모두, 섬유 덩어리가 유지하는 액체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타고 착용자측으로 되돌아가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는, 비가압하 및 가압하에 있어서, 액체를,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투과시키기 어려워, 착용자가 리웨트감을 느끼기 어렵다.
[양태 4]
상기 부직포가,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적어도 일부의 제2 면과 마주보는 제2 영역에 인접하는 공극부를 더 구비하는 양태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는,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적어도 일부의 제2 면과 마주보는 제2 영역에 인접하는 공극부를 더 구비하기 때문에, 비가압하에 있어서, 섬유 덩어리가, 그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부터 공극부를 통해,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고자 하는 습기를 흡수 및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에서는, 가압하에 있어서, 섬유 덩어리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인접하는 공극부가 섬유 덩어리보다 우선적으로 압축되지만, 이들 공극을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는,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고자 하는 습기를, 보다 잔존하기 쉬운 공극부를 통해 흡수 및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는, 비가압하 및 가압하에 있어서, 기체인 습기를,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투과시키기 어려워, 착용자가 땀이 차는 느낌을 느끼기 어렵다.
또한, 상기 부직포에서는,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적어도 일부의 제2 면과 마주보는 제2 영역에 인접하는 공극부를 더 구비하기 때문에, 섬유 덩어리가 공극부 내에서 두께 방향으로(제1 면 및 제2 면을 향해) 움직이기 쉽고, 가압하 및 비가압하의 경우 모두, 섬유 덩어리가 유지하는 액체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타고 착용자측으로 되돌아가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는, 비가압하 및 가압하에 있어서, 액체를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투과시키기 어려워, 착용자가 리웨트감을 느끼기 어렵다.
[양태 5]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끼리 접합되어 있는 양태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에서는, 열가소성 수지끼리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 사이에 형성된 공극부가 그 형상을 유지하기 쉽고, 전술한 효과를 보다 발휘하기 쉽다.
[양태 6]
상기 부직포가,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3∼35 질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양태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소정의 비율로 포함하기 때문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가,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고자 하는 습기를, 공극부를 통해 집중적(스폿적)으로 흡수 및 유지하기 쉬워지고, 부직포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습기를 유지하는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스폿적으로 할 수 있어),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양태 7]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보다 짧은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양태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보다 짧은 섬유 길이를 갖기 때문에, 부직포 내에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기 쉬워지고, 전술한 효과를 보다 발휘하기 쉬워진다.
[양태 8]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오가닉 코튼을 포함하는 양태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오가닉 코튼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안심감을 느끼기 쉽다. 또한, 상기 부직포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오가닉 코튼을 포함하기 때문에,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보다 짧은 섬유 길이를 가지기 쉽고, 상기 부직포가 전술한 효과를 보다 발휘하기 쉬워진다.
[양태 9]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히르수툼(Hirsutum)종 코튼을 포함하는 양태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히르수툼종 코튼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안심감을 느끼기 쉽다. 또한, 상기 부직포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히르수툼종 코튼을 포함하기 때문에,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보다 짧은 섬유 길이를 가지기 쉽고, 상기 부직포가 전술한 효과를 발휘하기 쉬워진다.
[양태 10]
상기 부직포가, 피부 접촉면을 갖는 피부측 층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부직포가,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를 상기 피부측 층 이외의 층에 구비하는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에서는, 섬유 덩어리가 부직포의 피부측 층 이외의 층에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시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가 부직포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부직포에서는, 섬유 덩어리가 부직포의 피부측 층 이외의 층에 존재하기 때문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에 흡수 및 유지되어 있는 액체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기 어려워,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기 어렵다.
[양태 11]
상기 부직포가, 제2 면에서의,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상부(突狀部)와, 제1 면에서의, 제2 면으로부터 제1 면의 방향으로 움패어 있는 복수의 패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상부의 각각과, 상기 복수의 패임부의 각각이,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어 있는 양태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는, 제2 면에 있어서 움패어 있는 복수의 패임부를 갖기 때문에, 액투과성 시트로서 이용된 경우에, 제2 면의 패임부와 흡수체 사이에 이격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흡수체에 흡수 및 유지된 액체가 증발 등에 의해 습기로서 흡수체로부터 방출되었을 때에, 상기 습기를, 부직포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특히 그 섬유 덩어리가 흡수 및 유지함과 함께, 섬유 덩어리에 인접하는 공극부, 및 상기 이격 영역에 있어서 습기의 상태로 머무르기 때문에(즉, 공극부 및 이격 영역을 고습 상태로 하기 때문에), 이격 영역 내의 습기(기상)와 흡수체에 유지되어 있는 액체(액상) 사이에서 기액 평형과 같은 상태가 형성되고, 흡수체로부터 그 이상의 습기가 방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땀이 차는 것을 느끼기 어려워진다.
[양태 12]
상기 복수의 돌상부의 각각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랑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부직포가, 인접하는 상기 이랑부의 사이에 홈 바닥부를 갖는 복수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홈부의 각각이, 상기 홈 바닥부에, 상기 일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된,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의 방향으로 움패어 있는, 복수의 패임부로서, 그 각각이 바닥부를 갖는 것을 구비하는 양태 11에 기재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는, 액투과성 시트로서 이용되었을 때에, 액투과성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이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부직포는, 액투과성 시트로서 이용되었을 때에, 그 패임부와 흡수체 사이에 이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가압하에 있어서 부직포가 일시적으로 찌부러지고, 그에 따라 이격 영역이 일시적으로 찌부러진 경우라 하더라도, 비가압하에 있어서 그 형상이 원래로 되돌아가기 쉽고, 이격 영역이 복원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는, 양태 11의 부직포보다, 장시간에 걸쳐 착용자가 땀이 차는 것을 느끼기 어려워진다.
[양태 13]
액투과성 시트, 액불투과성 시트 및 이들 사이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액투과성 시트가 양태 1∼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인 상기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부직포가 전술한 효과를 갖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비가압하 및 가압하의 경우 모두,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습기 및 액체를 투과시키기 어려워, 착용자가 땀이 차는 느낌 및 리웨트감을 느끼기 어렵다.
[양태 14]
상기 부직포의 제2 면이 상기 액투과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을 구성하고 있는 양태 13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부직포의 제2 면이 액투과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공극부가 섬유 덩어리의 제1 면 측, 즉, 흡수체측에 배치되게 되므로, 가압하 및 비가압하의 경우 모두, 섬유 덩어리가,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고자 하는 습기를, 흡수체측에 존재하는 공극부를 통해 집중적(스폿적)으로 흡수 및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양태 15]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가 투습성을 갖는 양태 13 또는 1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액불투과성 시트가 투습성을 갖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내부의 습기를 액불투과성 시트를 통해 배출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 내부의 습기와, 흡수성 물품 및 착용자의 사이에 머무르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땀이 잘 차지 않는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지만, 설명을 위해, 상기 부직포가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로서 이용된 상태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하나(제1 실시형태)에 따르는 부직포를 액투과성 시트(3)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1), 구체적으로는,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정면측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부면에서의 부분 단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액투과성 시트(3) 근방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 도 3은, 액투과성 시트(3)(부직포(13))에서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19), 셀룰로오스계 섬유(21)의 섬유 덩어리(23), 공극부(27) 등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본 개시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은, 액투과성 시트(3)와, 액불투과성 시트(5)와, 액투과성 시트(3) 및 액불투과성 시트(5)의 사이의 흡수체(7)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 및 폭방향(W)을 갖는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이, 탄성 부재(203)를 포함하는 한쌍의 샘방지벽(201), 샘방지벽(201)을 액투과성 시트(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05), 탄성 부재(207), 테이프 패스너(209) 등을 갖지만, 이들은 당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투과성 시트(3)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피부 접촉면(9)과, 피부 접촉면(9)의 반대측의 면이며, 피부 접촉면(9)보다 착용자의 착의측에 배치된 착의측 면(11)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투과성 시트(3)를 구성하는 부직포(13)는, 두께 방향(T) 및 평면 방향(P), 및 제1 면(15) 및 제2 면(17)을 가지며, 제1 면(15)이 액투과성 시트(3)의 착의측 면(11)을 형성하고, 그리고 제2 면(17)이 액투과성 시트(3)의 피부 접촉면(9)을 형성하고 있다.
부직포(13)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19)와 셀룰로오스계 섬유(21)를 포함하고, 셀룰로오스계 섬유(21)가 복수의 섬유 덩어리(23)를 형성하고, 그리고 복수의 섬유 덩어리(23)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19)의 매트릭스 중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즉, 복수의 섬유 덩어리(23)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19)의 매트릭스에 분산되어 있다.
부직포(13)는 또한, 복수의 섬유 덩어리(23)의 각각의 제1 면(15)과 마주보는 제1 영역(25)에 인접하는 복수의 공극부(27)를 구비한다.
섬유 덩어리(23), 구체적으로는, 섬유 덩어리(23)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21)는,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19)와 접합되어 있지 않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13)에서는, 공극부(27)의 평면 방향(P)에서의 외측 가장자리(EE1)가, 섬유 덩어리(23)의 평면 방향(P)에서의 외측 가장자리(EE2)보다 외측에 존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섬유 덩어리(23)가, 제1 영역(25)의 전체로부터 공극부(27)를 통해, 흡수체(7)로부터 흡수성 물품(1)의 내측에 배출되고자 하는 습기를 흡수 및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액투과성 시트(3)(부직포(13))를 투과하여 흡수체(7)로부터 흡수성 물품(1)의 내측에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액투과성 시트(3)(부직포(13))는, 비가압하 및 가압하에 있어서, 기체인 습기를, 흡수체(7)로부터 액투과성 시트(3)를 통해서 흡수성 물품(1)의 내부에 투과시키기 어려워, 착용자가 땀이 차는 것을 느끼기 어렵다.
또한, 액투과성 시트(3)(부직포(13))에서는, 공극부(27)의 외측 가장자리(EE1)가 섬유 덩어리(23)의 외측 가장자리(EE2)보다 외측에 있기 때문에, 섬유 덩어리(23)가, 공극부(27) 내에서 두께 방향(T)으로(제1 면을 향해) 움직이기 쉽고, 가압하 및 비가압하의 경우 모두, 섬유 덩어리(23)가 유지하는 액체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19)를 타고 착용자측으로 되돌아가기 어렵다. 따라서, 액투과성 시트(3)(부직포(13))는, 비가압하 및 가압하에 있어서, 액체를 흡수체(7)측으로부터 착용자측으로 투과시키기 어려워, 착용자가 리웨트감을 느끼기 어렵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액불투과성 시트(5)가 투습성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의 내부의 습기를 액불투과성 시트(5)를 통해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내부의 습기와, 흡수성 물품(1) 및 착용자의 사이에 머무르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부직포(1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에 해당하는 단부면도이다. 도 4도 또한, 도 3과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수지 섬유(19), 셀룰로오스계 섬유(21)의 섬유 덩어리(23), 공극부(27) 등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본 개시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부직포(13)는, 복수의 섬유 덩어리(23)의 각각의 부직포(13)의 제2 면(17)과 마주보는 제2 영역(26)에 인접하는 공극부(27)를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개개의 섬유 덩어리(23)에 있어서, 제1 영역(25)에 인접하는 공극부(27)와, 제2 영역(26)에 인접하는 공극부(27)가 연결되어 있다. 그 밖의 부분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르는 부직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13)는 단층 구조를 갖고 있지만, 본 개시의 부직포는, 복층 구조, 예컨대, 피부 접촉면을 갖는 피부측 층과, 피부측 층보다 착의측에 배치된 착의측 층의 2층 구조, 피부 접촉면을 갖는 피부측 층과, 착의측에 배치된 착의측 층과, 이들 사이의 중간층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와 같은 부직포로는, 부직포 그 자체가 복층 구조를 갖는 것, 부직포를 형성하기 전의 웨브가 복층 구조를 갖고 있던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는, 피부측 층에는 포함되지 않고, 피부측 층 이외의 층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부직포가 피부측 층 및 착의측 층의 2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는, 피부측 층에는 포함되지 않고 착의측 층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부직포가, 피부측 층, 중간층 및 착의측 층의 3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는, 피부측 층에는 포함되지 않고, 중간층 및/또는 착의측 층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덩어리가 부직포로부터 이탈하기 어렵다는 관점 때문이다. 또,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에 흡수 및 유지된 액체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젖은 상태를 지각시키기 어렵고,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어렵다. 또한, 본 개시의 부직포의 피부측 층이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것에 의해, 셀룰로오스계 섬유, 예컨대, 코튼에 의한 촉감의 저하, 유연성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본 개시의 부직포가 우수한 촉감 및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13)는, 제1 면(15) 및 제2 면(17)이 모두 평탄한, 평탄한 부직포이지만, 본 개시의 부직포는 부형 구조를 갖는 부형된 부직포이어도 좋다.
본 개시의 부직포가, 부형 구조를 갖는 부형된 부직포인 실시형태로서, 부직포가,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제2 면에 있어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상부와, 제2 면으로부터 제1 면의 방향으로 움패어 있는(제1 면에 있어서 움패어 있는) 복수의 패임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돌상부의 각각과, 복수의 패임부의 각각이,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2 면 측에 흡수체가 배치된 경우(부형된 부직포의 제2 면이 액불투과성 시트에 접합된 경우)에, 패임부가, 흡수체와의 사이에서 전술한 이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제3 실시형태)에 따르는 부형된 부직포(113), 및 부형된 부직포(113)를 액투과성 시트(103)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10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르는 부형된 부직포(113)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부형된 부직포(113)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IX-IX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또, 도 5 및 도 6은, 부형된 부직포(113)가 도시되어 있고, 도 7∼도 9는, 흡수성 물품(101)이 도시되어 있다.
부형된 부직포(113)는, 피부측 층(113a)과, 착의측 층(113c)과, 피부측 층(113a) 및 착의측 층(113c)의 사이의 중간층(113b)의 3층 구조를 갖는다. 피부측 층(113a)이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형성되고, 중간층(113b) 및 착의측 층(113c)의 각각이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이며, 그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섬유 덩어리를 구성하고 있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한다.
부형된 부직포(113)(액투과성 시트(103))는, 흡수체(107)측의 면을 구성하는 제1 면(115)과, 피부 접촉면을 구성하는 제2 면(117)을 갖는다.
부형된 부직포(113)에서는, 복수의 돌상부의 각각이, 제2 면(117)에 있어서 제1 면(115)으로부터 제2 면(117)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방향(DO)으로 연장되어 있는 이랑부(129)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부형된 부직포(113)는, 제1 면(115)에 있어서 이랑부(129)를 따라서 제2 면(117)으로부터 제1 면(115)의 방향으로 움패어 있는 복수의 패임부(130)를 구비한다. 또, 복수의 이랑부(129)의 각각과, 복수의 패임부(130)는, 부형된 부직포(113)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중복되어 있다.
부형된 부직포(113)는, 일방향(DO)과 직교하는 타방향(DA)에 인접하는 2개의 이랑부(129) 사이에, 복수의 홈부(131)이며 각각이 홈 바닥부(133)를 갖는 것을 구비한다. 복수의 홈부(131)의 각각은, 홈 바닥부(133)에, 일방향(DO)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고 제2 면으로부터 제1 면의 방향으로 움패어 있는 복수의 오목부(135)이며 각각이 바닥부(137)를 갖는 것을 구비한다.
복수의 오목부(135)의 각각은, 바닥부(137)와, 홈 바닥부(133) 및 바닥부(137)를 연결하는 둘레벽부(139)로 구성되어 있다. 둘레벽부(139)는, 일방향(DO)을 따르도록 배치된 한쌍의 제1 둘레벽부(141)와, 타방향(DA)을 따르도록 배치된 한쌍의 제2 둘레벽부(142)로 구획된다.
한 방향(DO)을 따르도록 배치된 한쌍의 제1 둘레벽부(141)의 각각은, 제1 면(115)으로부터 제2 면(117)으로 관통하고 있는 구멍부(143)를 구비한다.
복수의 오목부(135)의 각각에 있어서, 바닥부(137)는, 부형된 부직포(113) 중에서 가장 섬유 밀도가 높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수체로부터 방출된 습기(기체) 및 액체가, 섬유 밀도가 높은 바닥부(137)에 포착되어, 흡수체로부터 방출된 습기(기체) 및 액체가, 흡수체(107)로부터 액투과성 시트(103)(부형된 부직포(113))의 바닥부(137)를 넘어 착용자측으로 이행되기 어려워진다.
액투과성 시트(103)(부형된 부직포(113))는, 흡수체(107)와의 사이에 이격 영역(145)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액투과성 시트(103)(부형된 부직포(113))는, 패임부(130)와 흡수체(107) 사이에 이격 영역(145)을 갖는다. 따라서, 흡수체(107)에 흡수 및 유지된 액체가, 증발 등에 의해 습기로서 흡수체(107)로부터 착용자측으로 방출된 경우에, 액투과성 시트(103)(부형된 부직포(113))의 중간층(113b) 및 착의측 층(113c)에 포함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습기를 흡수 및 유지함과 함께, 이격 영역(145) 내에서 습기의 상태로 머무르기 때문에(즉, 이격 영역(145)을 고습 상태로 하기 때문에), 이격 영역(145) 내의 습기(기상)와 흡수체(107)에 흡수 및 유지되어 있는 액체(액상) 사이에서 기액 평형과 같은 상태가 형성되고, 흡수체(107)로부터 그 이상의 습기가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땀이 차는 것을 느끼기 어렵다.
액투과성 시트(103)(부형된 부직포(113))에서는, 패임부(130)가 흡수체(107)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홈부(131)의 제1 면(115) 측의 부분이 흡수체(107)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부형된 부직포(113)에서는, 홈부(131)의 홈 바닥부(133)의 제1 면(115) 측의 부분이, 흡수체(107)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액투과성 시트(103)(부형된 부직포(113))는, 이랑부(129)의 지점에서 제2 면(117)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만곡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홈부(131)의 지점에서 제1 면(115)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만곡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부형된 부직포는, 타방향(DA)으로 요철이 교대로 반복되는 대략 파형의 단면을 갖는다.
본 개시의 부직포가, 부형된 부직포인 실시형태에서는, 부형 구조가, 흡수체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는 중복 영역뿐만 아니라, 흡수체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지 않는 비중복 영역에 갖고 있어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수체의 측가장자리로부터 방출되는 습기를 이격 영역에 봉쇄할 수 있다.
이랑부(129)의 타방향(DA)에서의 피치는, 바람직하게는 0.25∼5.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 mm,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75∼2.0 mm이다. 상기 피치가 0.25 mm 미만이면, 부형된 부직포의 부형 구조가 지나치게 작아, 부형된 부직포와 착용자의 피부의 접촉 면적을 그다지 줄일 수 없고, 부형된 부직포의 촉감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피치가 5.0 mm를 넘으면, 부형 구조를 살린 유연한 촉감을 얻기 어려워진다.
홈부(131)의 홈 바닥부(133)로부터 이랑부(129)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부직포의 두께 방향(T)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0.25∼5.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 mm,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75∼2.0 mm이다. 상기 높이가 0.25 mm 미만이면, 이랑부의 돌출이 작고, 부형 구조를 살린 유연한 촉감을 얻기 어려워지고, 상기 높이 5.0 mm를 넘으면, 이랑부의 돌출이 크고, 유연한 촉감을 얻기 어려워진다.
오목부(135)의 깊이, 즉, 홈부(131)의 홈 바닥부(133)로부터 오목부(135)의 바닥부(137)까지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0.05∼2.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5∼1.5 mm,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 mm이다. 상기 거리가 0.05 mm 미만이면, 바닥부(137)의 강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부직포의 두께 방향의 강도가 부족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거리가 2.0 mm를 넘으면, 부형된 부직포의 두께 방향의 강도가 부족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르는 부형된 부직포(113)는, 특정한 부형 구조, 즉, 복수의 이랑부(129)와, 홈 바닥부(133)를 구비한 복수의 홈부(131)와, 각 홈 바닥부(133)에 간헐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오목부(135)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부형된 부직포(113)의 제2 면(117) 측으로부터 가해지는 부형된 부직포(113)의 두께 방향(T)의 힘을 완충할 수 있고, 두께 방향(T)으로 힘이 가해져, 그 부형 구조가 일시적으로 찌부러진 경우라 하더라도, 힘이 제거되면 그 부형 구조가 복원되기 쉽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르는 부형된 부직포(113)는, 특정한 부형 구조를 가지며, 부형된 부직포(113)의 제2 면(117) 측으로부터 가해지는 부형된 부직포(113)의 두께 방향(T)의 힘을 완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형된 부직포(113)가, 셀룰로오스계 섬유, 예컨대, 코튼을 포함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충분히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르는 부형된 부직포는, 일본 특허 제5829326호 공보, 일본 특허 제5829327호 공보, 일본 특허 제5829349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부직포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섬유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컨대, 올레핀계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폴리아미드계 수지, 예컨대, 6-나일론;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일 수 있고, 그리고 친수화제에 의해 친수화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섬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강도, 유연성, 촉감, 액투과성 등의 점에서, 일반적으로는 1.1∼8.8 dtex, 바람직하게는 1.5∼4.6 dtex의 범위에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강도, 유연성, 액투과성 등의 점에서, 통상 20∼100 mm, 바람직하게는 35∼65 mm의 범위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부직포가 복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섬유 직경이,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층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섬유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층에 포함되는 섬유 직경이 작은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층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층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교락되기 쉬워지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해리에 따르는 층내 박리, 층간 박리 등이 생기기 어려워져, 부직포가 우수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부직포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섬유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 및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식물 섬유, 예컨대, 종자모 섬유(예컨대 코튼), 속꺼질 섬유(예컨대 삼), 엽맥 섬유(예컨대 마닐라삼), 과실 섬유(예컨대 야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코튼으로는, 히르수툼종 코튼(예컨대 업랜드 코튼), 바르바도스종 코튼, 아르바레움종 코튼 및 헤르바케움종 코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튼은, 오가닉 코튼, 프리오가닉 코튼(상표)일 수 있다.
오가닉 코튼은, GOTS(Global Organic Textile Standard)에 의한 인증을 받은 코튼을 의미한다.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레이온, 예컨대, 비스코스로부터 얻어지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및 모달, 셀룰로오스의 구리암모니아염 용액으로부터 얻어지는 구리암모니아 레이온(「큐프라」라고도 칭해짐) 등의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리오셀, 구체적으로는, 펄프를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의 수용액에 용해시켜 방사원액(도핑)으로 하고,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의 희박 용액 중에 압출하여 섬유로 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정제 셀룰로오스는, 예컨대 텐셀(상표)로서 시판되고 있다.
상기 반합성 섬유로는, 반합성 셀룰로오스, 예컨대 아세테이트 섬유, 예컨대 트리아세테이트 및 디아세테이트 등의 섬유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부직포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보다 짧은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제조시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개섬을 억제하여,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가 형성되기 쉬워지고, 그 결과, 부직포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매트릭스 중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가 분산된 상태로 존재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보다 짧은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mm,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28 mm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다. 또,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코튼인 경우에는, 평균 섬유 길이가 20.6∼25.4 mm인 코튼은, 중섬유면이라고 칭해지고, 그리고 평균 섬유 길이가 26.2∼27.8 mm인 코튼은, 중장섬유면이라고 칭해진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코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코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히르수툼종 코튼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천연 소재에 의한 안심감, 액체의 흡수성 및 유지성 등의 관점 때문이다.
본 개시에서는,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JIS L 1015:2010의 부속서 A의 「A7.1 섬유 길이의 측정」의 「A7.1.1 A법(표준법) 눈금이 있는 유리판 위에서 개개의 섬유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또, 상기 방법은, 1981년에 발행된 ISO 6989에 해당하는 시험 방법이다.
본 개시의 부직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바람직하게는 3∼3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 질량%,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 질량% 포함한다.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가,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고자 하는 습기를, 공극부를 통해 집중적(스폿적)으로 흡수 및 유지하기 쉬워지고, 부직포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습기를 유지하는 부분의 면적을 작게(스폿적으로) 하여, 흡수체로부터 상기 부직포를 투과하여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적게 하는 관점 때문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본 개시의 부직포는, 습기를, 흡수체로부터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 사이의 공간에 투과시키기 어려워, 땀이 차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부직포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바람직하게는 65∼97 질량% 및 3∼3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97 질량% 및 3∼20 질량%,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97 질량% 및 3∼10 질량%의 비율로 포함한다.
또, 본 개시의 부직포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 외에, 제3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부직포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끼리 접합되어 있는 접합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점으로는, 접착제에 의한 접합점,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융착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부직포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 이외의 부분,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매트릭스 중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액불투과성 시트가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4,500 g/㎡/24h,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4,000 g/㎡/24h, 그리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2,500∼3,800 g/㎡/24h의 투습도를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내부의 습기를 액불투과성 시트를 통해 배출시켜, 흡수성 물품 내부의 습기와, 흡수성 물품 및 착용자의 사이에 머무르는 습기를 저감시키는 관점 때문이다.
상기 투습도는, JIS Z 0208:1976의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에 따라서 측정한 값을 채용하지만, 하기의 점에서 JIS Z 0208:1976과 상이하다.
(i) 투습 컵에 염화칼슘 대신에 20 g의 물을 충전하는 점
(ii) 온도 40℃ 및 상대 습도 60%의 항온 항습실에서 투습도를 측정하는 점
(iii) 24시간 정치한 후, 컵의 질량 증가가 아니라, 20 g의 물의 질량 감소(배출량)를 측정하는 점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로는, 필름,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필름, 부직포, 예컨대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가 필름인 경우에는, 투습성을 갖는 것, 예컨대 투습성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는, 통액성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부직포는, 일반적으로는 10∼100 g/㎡, 바람직하게는 15∼75 g/㎡,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 g/㎡의 범위의 평량을 갖는다.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 때문이다.
또한, 본 개시의 부직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은 0.1∼5.0 mm, 바람직하게는 0.5∼3.0 mm,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2.0 mm의 두께를 갖는다.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 때문이다. 또, 본 개시의 부직포가 부형된 부직포인 경우에는, 상기 두께는 부형전의 부직포의 두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직포의 두께(mm)는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주식회사 다이에 과학 정기 제작소 제조 FS-60DS[측정면 44 mm(직경), 측정압 3 g/㎠]를 준비하고, 표준 상태(온도 23±2℃, 상대 습도 50±5%) 하에, 흡수체의 상이한 5개의 부위를 가압하고, 각 부위에서의 가압 10초후의 두께를 측정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흡수체의 두께로 한다.
본 개시의 부직포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는, 부직포 내에서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본 개시의 부직포가, 부직포를 구성하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어 있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체에 흡수 및 유지된 배설액 등의 액체가 흡수체로부터 습기로서 배출되었을 때에, 상기 습기를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의 지점에서 집중적(스폿적)으로 흡수 및 유지하고, 부직포의 면방향에 있어서, 습기를 흡수 및 유지하는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스폿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측으로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흡수체로부터 배출된 습기를, 섬유 덩어리에 인접하는 공극부와, 이격 영역에 효과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또, 상기 매트릭스는, 본 개시의 부직포가 포함하는 섬유로 구성될 수 있고,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 때문이다.
본 개시의 부직포, 예컨대, 피부 접촉면을 갖는 피부측 층과, 피부측 층보다 착의측에 배치된 착의측 층의 2층 구조를 갖는 부직포는, 이하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다. 또, 이하의 제조방법은, 본 개시의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일례이며, 본 개시의 부직포는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1) 시트형 부재를, 그 텐션을 조정하면서 반송 가능한 반송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벨트를 따라서, 제1단의 카딩 장치와, 제2단의 카딩 장치와, 에어스루 방식의 가열 장치와, 한쌍의 앤빌 롤을 구비하는 압축 장치와, 가열 수단을 갖는 부피 회복 장치(두께 회복 장치)를, 이 순서로 구비하는 부직포 제조 장치를 준비한다.
(2) 제1단의 카딩 장치에, 코어도모형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공급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개섬하여, 착의측 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제1 웨브를 반송 벨트 상에 형성한다. 또,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를,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개섬을 억제하여, 제1 웨브 중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를 잔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3) 제2단의 카딩 장치에, 코어도모형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공급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개섬하고, 피부측 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제2 웨브를 반송 벨트의 제1 웨브의 위에 적층하여, 적층 웨브를 형성한다.
(4) 적층 웨브를 에어스루 방식의 가열 장치에 반송하여, 적층 웨브를 코어도모형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도모 부분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고, 제1 웨브 및 제2 웨브 내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끼리 열융착시켜, 가공해야 할 부직포를 형성한다.
(5) 가공해야 할 부직포를, 압축 장치인 한쌍의 앤빌 롤을 이용하여 그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고, 가공해야 할 부직포의 두께를, 예컨대 10∼40%(=100×압축된 부직포의 두께/가공해야 할 부직포의 두께) 정도로 압축하여,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주체로 하는 매트릭스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를 압축함으로써, 압축된 부직포를 형성한다.
또, 압축된 부직포를 롤에 권취하는 것에 의해, 압축된 부직포를 더욱 압축해도 좋다. 롤에 권취하는 경우에는, 압축된 부직포의 두께를 30∼50%로 더욱 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압축된 부직포에, 반송 방향의 텐션을 강하게 부여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융착부를 절단하여,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섬유 덩어리 사이의 융착부가 절단된 부직포를 형성한다.
(7)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섬유 덩어리 사이의 융착부가 절단된 부직포를 부피 회복 장치에 반송하고, 상기 부직포를 가열하고, 상기 부직포의 두께를, 예컨대 130∼200%(=100×본 개시의 부직포의 두께/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섬유 덩어리 사이의 융착부가 절단된 부직포)로 회복함으로써, 두께를 회복하기 쉬운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두께를 회복하기 어려운 섬유 덩어리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본 개시의 부직포를 형성한다.
또, 본 개시의 부직포가, 피부 접촉면을 갖는 피부측 층과, 착의측에 배치된 착의측 층과, 이들 사이의 중간층의 3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제2단의 카딩 장치와 에어스루 방식의 가열 장치 사이에, 제3단의 카딩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또, 각 층의 웨브의 형성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습식법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부직포의 형성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수류 교락법이나 니들 펀치법 등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공정(7)의 후에, 일본 특허 제5829326호 공보, 일본 특허 제5829327호 공보, 일본 특허 제5829349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부직포의 부형 공정을 설치해도 좋다.
본 개시의 부직포는,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에 적합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 요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예를 들어 본 개시를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증산성의 평가]
[제조예 1]
<부직포의 제조>
제1단의 카딩 장치에, 섬도가 상이한 2종류의 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복합 섬유 A : 섬도 2.2 dtex, 평균 섬유 길이 45 mm, 복합 섬유 B : 섬도 1.7 dtex, 평균 섬유 길이 45 mm)와, 히르수툼종 코튼(평균 섬유 길이 약 27 mm)을 공급하고, 이들 섬유를 개섬하여, 제1 웨브(착의측 층, 평량 : 13 g/㎡, 복합 섬유 A 및 복합 섬유 B의 평량 : 10 g/㎡, 히르수툼종 코튼의 평량 : 3 g/㎡)를 형성했다.
제2단의 카딩 장치에,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서의 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섬도 2.8 dtex, 평균 섬유 길이 45 mm)를 공급하고, 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를 개섬하여, 제2 웨브(피부측 층, 평량 : 20 g/㎡)를 제1 웨브의 위에 형성하여 적층 웨브를 형성했다.
적층 웨브를, 에어스루 방식의 가열 장치에 반송하고, 가열 장치 내에서 각 웨브 내 및 웨브 사이의 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를 열융착시킴으로써, 가공해야 할 부직포 No.1을 얻었다.
가공해야 할 부직포 No.1을, 한쌍의 앤빌 롤에 의해 그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그 두께를 대략 20% 정도로 압축했다. 이어서, 가공해야 할 부직포 No.1에 평면 방향의 텐션을 가하고, 그리고 가열에 의해 그 두께를 회복함으로써 부직포 No.1을 형성했다.
부직포 No.1을, 삼차원 계측 X선 CT 장치(야마토 과학(주) 제조 TDM-1000-IS/SP)로 스캔하여, 섬유 덩어리 부근의 3차원 화상을 얻었다. 상기 화상을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서, 섬유 덩어리(23)에 인접하여 공극부(27)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평량 : 220 g/㎡의 펄프와, 평량 : 156 g/㎡의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혼합한 흡수성 재료를, 평량 10 g/㎡의 티슈로 피복하여 흡수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체의 한쪽 면에, 액투과성 시트로서 부직포 No.1을 제1 면(제1 웨브로 형성된 착의측 층)이 흡수체와 접하도록 접합하고, 흡수체의 다른쪽 면에, 평량 15 g/㎡의 투습성 필름을 액불투과성 시트로서 접합하여 적층물을 얻었다. 또, 이들의 접합에는 핫멜트형의 접착제(도포량 : 3 g/㎡)를 이용했다.
그리고, 얻어진 적층물을 일회용 기저귀의 소정 형상으로 절단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 No.1을 작성했다.
[제조예 2]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부직포 No.1을, 일본 특허 제5829326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부형 처리하여, 부직포 No.2를 제조했다.
이어서, 부직포 No.1 대신에 부직포 No.2를 이용한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 No.2를 제조했다. 또, 부직포 No.2는 제1 면(제1 웨브로 형성된 착의측 층)이 흡수체와 접하도록 접합되었다.
[비교 제조예 1]
제1 웨브(평량 : 10 g/㎡)를, 섬도가 상이한 2종류의 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섬도 : 2.2 dtex, 평균 섬유 길이 : 45 mm의 복합 섬유 A와, 섬도 : 1.7 dtex, 평균 섬유 길이 : 45 mm의 복합 섬유 B)의 혼합물로 형성한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 No.3 및 일회용 기저귀 No.3을 작성했다.
[실시예 1 및 2, 및 비교예 1]
일회용 기저귀 No.1∼No.3에 있어서, 인공뇨를 흡수한 후 소정 시간마다의 증산율(질량%)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증산율의 측정 방법]
(1) 주위 환경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샘플을 온도 : 20℃, 습도 60% RH의 항온 항습조 내에서 5일간(120시간) 정치한다.
(2) 항온 항습조로부터 샘플을 꺼내어, 샘플의 초기 질량 : A0(g)을 측정한다.
(3) 수평면을 갖는 시험대의 위에, 샘플을 액투과성 시트가 상면이 되도록 펼치고, 액투과성 시트 상에 내경 60 mm의 원통을 설치한다.
(4) 원통 내에 인공뇨 80 mL를 10초간 적하한다.
또, 인공뇨는, 이온 교환수 10 L에, 요소 200 g, 염화나트륨 80 g, 황산마그네슘 8 g, 염화칼슘 3 g 및 색소(청색 1호) 약 1 g을 용해시킴으로써 조제한다.
(5) 원통 내의 인공뇨가 샘플에 전부 흡수된 것을 확인한 후, 액투과성 시트의 위에서 원통을 제거하고, 인공뇨를 흡수한 후의 샘플의 질량 : A1(g)을 즉시 측정한다.
(6) 인공뇨 흡수후의 샘플을 일정한 분위기 하에 방치하고, 상기 (5)에 있어서 표면 시트의 위에서 원통을 제거한 시점으로부터, 1시간후, 3시간후, 5시간후, 8시간후 및 21시간후의 샘플의 질량 : W1, W3, W5, W8 및 W21(g)을 각각 측정한다.
(7) 샘플의 각 경과 시간마다의 증산율 : E1, E3, E5, E8 및 E21(질량%)을 다음 식(1)에 의해 산출한다.
EN(질량%)=100×(A1-WN)/(A1-A0)
(식 중, N은 1, 3, 5, 8 또는 21이다.)
Figure 112018063252810-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 No.1 및 No.2는 일회용 기저귀 No.3과 비교하여, 인공뇨 흡수후의 증산율이 낮아, 젖은 상태, 땀이 차는 것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특히, 일회용 기저귀 No.1 및 No.2는, 인공뇨를 흡수하여 8시간후 및 21시간후의 증산율이 낮아, 장시간에 걸쳐 젖은 상태나 땀이 차는 것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리웨트성의 평가]
[제조예 3]
<부직포의 제조>
제1단의 카딩 장치에, 섬도가 상이한 2종류의 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복합 섬유 A : 섬도 2.2 dtex, 평균 섬유 길이 45 mm, 복합 섬유 B : 섬도 1.7 dtex, 평균 섬유 길이 45 mm)를 공급하고, 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를 개섬하여 제1 웨브(착의측 층, 평량 : 10 g/㎡)를 형성했다.
제2단의 카딩 장치에,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서의 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섬도 2.8 dtex, 평균 섬유 길이 45 mm)와, 히르수툼종 코튼(평균 섬유 길이 약 27 mm)을 공급하고, 이들 섬유를 개섬하여, 제2 웨브(중간층, 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의 평량 : 9 g/㎡, 히르수툼종 코튼의 평량 : 1 g/㎡)를 제1 웨브의 위에 형성하여 적층 웨브를 형성했다.
제3단의 카딩 장치에,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서의 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섬도 2.8 dtex, 평균 섬유 길이 45 mm)를 공급하고, 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를 개섬하여, 제3 웨브(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의 평량 : 10 g/㎡)를 제2 웨브의 위에 형성하여 적층 웨브를 형성했다.
적층 웨브를 에어스루 방식의 가열 장치에 반송하고, 가열 장치 내에서, 각 웨브 내 및 웨브 사이의 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를 열융착시킴으로써, 가공해야 할 부직포 No.4를 얻었다.
가공해야 할 부직포 No.4를, 한쌍의 앤빌 롤에 의해 그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그 두께를 대략 20% 정도로 압축했다. 이어서, 가공해야 할 부직포 No.4에 평면 방향의 장력을 가하고, 그리고 가열에 의해 그 두께를 회복함으로써 부직포 No.4를 형성했다.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평량 : 220 g/㎡의 펄프와, 평량 : 155 g/㎡의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혼합한 흡수성 재료를, 평량 10 g/㎡의 SMMS 부직포로 피복하여 흡수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체의 한쪽 면에, 액투과성 시트로서 부직포 No.4를 제1 면(제1 웨브로 형성된 착의측 층)이 흡수체와 접하도록 접합하고, 흡수체의 다른쪽 면에, 평량 15 g/㎡의 투습성 필름을 액불투과성 시트로서 접합하여, 일회용 기저귀 No.4를 작성했다.
[제조예 4]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부직포 No.4를, 일본 특허 제5829326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부형 처리하여, 부직포 No.5를 제조했다.
이어서, 액투과성 시트 및 외장 필름을, 부직포 No.4로부터 부직포 No.5로 변경한 것 외에는 제조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 No.5를 제조했다. 또, 부직포 No.5는, 제1 면(제1 웨브로 형성된 착의측 층)이 흡수체와 접하도록 접합되었다.
[비교 제조예 1]
제2 웨브를, 제2 웨브(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의 평량 : 9 g/㎡, 히르수툼종 코튼의 평량 : 1 g/㎡)로부터, 제2 웨브(PET/PE 코어도모형 복합 섬유의 평량 : 10 g/㎡)로 변경한 것 외에는 제조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 No.6을 형성했다. 또한, 투과성 시트를, 부직포 No.4로부터 부직포 No.6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제조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 No.6을 제조했다.
[실시예 3 및 4, 및 비교예 2]
일회용 기저귀 No.4∼No.6의 리웨트성을, 하기 리웨트량의 측정 방법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리웨트량의 측정 방법]
(1) 일회용 기저귀 No.4∼No.6을, 측면에서 볼 때 대략 U자형인 U자 기구에 셋팅한다. 또, 흡수성 물품은, U자 기구에,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와, U자 기구 중앙부(가장 높이가 낮은 위치)의 위치를 맞추도록 셋팅한다.
-제1 사이클-
(2) 흡수체의 중앙 위치에, 뷰렛으로부터 40 mL의 인공뇨(1회째)를 40 mL/10초의 속도로 주입한다.
(3) 1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5분후, 100 mm×100 mm의 여과지 약 60 g을, 인공뇨 주입점을 중심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 상에 정치한다. 또한, 그 위에 3.5 kg, 100 mm×100 mm×50 mm(높이)의 추를 정치한다. 또, 액투과성 시트 상에 정치하기 전에, 여과지의 질량을 측정한다.
(4) 1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8분후, 추를 제거하고 여과지의 질량을 측정하여, 시험전의 여과지의 질량을 빼고, 그 차분을 리웨트량(1회째)으로 한다.
-제2사이클-
(5) 1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10분후, 흡수체의 중앙 위치에, 뷰렛으로부터 40 mL의 인공뇨(2회째)를 40 mL/10초의 속도로 주입한다.
(6) 2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5분후, 100 mm×100 mm의 여과지 약 60 g을, 인공뇨 주입점을 중심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 상에 정치한다. 또한, 그 위에 3.5 kg, 100 mm×100 mm×50 mm(높이)의 추를 정치한다. 또, 액투과성 시트 상에 정치하기 전에, 여과지의 질량을 측정한다.
(7) 2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8분후, 추를 제거하고 여과지의 질량을 측정하여, 시험전의 여과지의 질량을 빼고, 그 차분을 리웨트량(2회째)으로 한다.
-제3사이클-
(8) (5)∼(7)의 조작을 반복하여, 리웨트량(3회째)을 측정한다.
또, 인공뇨의 조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
Figure 112018063252810-pc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 No.4 및 No.5는 일회용 기저귀 No.6과 비교하여, 인공뇨 흡수후의 리웨트량이, 특히 2회째(계 80 mL) 및 3회째(계 120 mL)에서 낮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복수의 지원자인 피험자에게 일회용 기저귀 No.4∼No.6을 착용하게 한 결과, 일회용 기저귀 No.4 및 No.5는 일회용 기저귀 No.6과 비교하여 리웨트성이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1 : 흡수성 물품
3 : 액투과성 시트
5 : 액불투과성 시트
7 : 흡수체
9 : 피부 접촉면
11 : 착의측 면
13 : 부직포
15 : 제1 면
17 : 제2 면
19 : 열가소성 수지 섬유
21 : 셀룰로오스계 섬유
23 : 섬유 덩어리
25 : 제1 영역
26 : 제2 영역
27 : 공극부
101 : 흡수성 물품
103 : 액투과성 시트
105 : 액불투과성 시트
107 : 흡수체
113 : 부형된 부직포
113a : 피부측 층
113b : 중간층
113c : 착의측 층
115 : 제1 면
117 : 제2 면
129 : 이랑부
130 : 패임부
131 : 홈부
133 : 홈 바닥부
135 : 오목부
137 : 바닥부
139 : 둘레벽부
141 : 제1 둘레벽부
142 : 제2 둘레벽부
143 : 구멍부
145 : 이격 영역
T : 두께 방향
P : 평면 방향
EE1, EE2 : 외측 가장자리
DO : 일방향
DA : 타방향

Claims (15)

  1. 두께 방향 및 평면 방향, 및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로서,
    상기 부직포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로서,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복수의 섬유 덩어리를 구성하고 있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가,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각각의, 제1 면과 마주보는 제1 영역에 인접하는 복수의 공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각각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를 포함하는 것인 부직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의, 상기 평면 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섬유 덩어리의, 상기 평면 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존재하는 것인 부직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일부 또는 전부의, 제2 면과 마주보는 제2 영역에 인접하는 공극부를 더 구비하는 것인 부직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끼리가 접합되어 있는 것인 부직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3∼35 질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부직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보다 짧은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것인 부직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오가닉 코튼을 포함하는 것인 부직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히르수툼(Hirsutum)종 코튼을 포함하는 것인 부직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피부 접촉면을 갖는 피부측 층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부직포가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를 상기 피부측 층 이외의 층에 구비하는 것인 부직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제2 면에서의,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상부(突狀部)와, 제1 면에서의, 제2 면으로부터 제1 면의 방향으로 움패어 있는 복수의 패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상부의 각각과 상기 복수의 패임부의 각각이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어 있는 것인 부직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상부의 각각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랑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부직포가, 인접하는 상기 이랑부의 사이에 홈 바닥부를 갖는 복수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홈부의 각각이, 상기 홈 바닥부에, 상기 일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된,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의 방향으로 움패어 있는, 복수의 오목부로서, 그 각각이 바닥부를 갖는 것을 구비하는 것인 부직포.
  13. 액투과성 시트, 액불투과성 시트 및 이들의 사이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액투과성 시트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부직포인 상기 흡수성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제2 면이 상기 액투과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가 투습성을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87018328A 2015-12-28 2016-10-17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를 액투과성 시트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KR102367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57464A JP6093001B1 (ja) 2015-12-28 2015-12-28 吸収性物品の液透過性シート用の不織布、並びに当該不織布を液透過性シートとして含む吸収性物品
JPJP-P-2015-257464 2015-12-28
PCT/JP2016/080735 WO2017115528A1 (ja) 2015-12-28 2016-10-17 吸収性物品の液透過性シート用の不織布、並びに当該不織布を液透過性シートとして含む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276A KR20180098276A (ko) 2018-09-03
KR102367874B1 true KR102367874B1 (ko) 2022-02-24

Family

ID=5826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328A KR102367874B1 (ko) 2015-12-28 2016-10-17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를 액투과성 시트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529267B2 (ko)
EP (1) EP3381426B1 (ko)
JP (1) JP6093001B1 (ko)
KR (1) KR102367874B1 (ko)
CN (1) CN108472179B (ko)
AU (1) AU2016381717B2 (ko)
BR (1) BR112018013378B1 (ko)
CA (1) CA3009762A1 (ko)
EA (1) EA035274B1 (ko)
MY (1) MY184575A (ko)
PH (1) PH12018550100A1 (ko)
TW (1) TWI693318B (ko)
WO (1) WO2017115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14321A1 (en) * 2017-01-31 2018-08-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nonwoven fabric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US10577722B2 (en) 2017-06-30 2020-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 shaped nonwoven
CN110799161B (zh) 2017-06-30 2022-08-26 宝洁公司 成型非织造布
DE112018003388T5 (de) * 2018-09-07 2020-04-23 Kao Corporation Air-Through-Vlies für Absorptionsartikel
JP7175826B2 (ja) * 2019-03-29 2022-11-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2294543A (zh) * 2019-07-30 2021-02-02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WO2021107059A1 (ja) * 2019-11-26 2021-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50128B2 (ja) * 2020-08-25 2022-04-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4099144B (zh) * 2020-08-31 2022-09-27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及吸收性物品的制造装置
JP2024023023A (ja) * 2022-08-08 2024-0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651A (ja) 2000-06-19 2002-01-0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07130178A (ja) 2005-11-09 2007-05-31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立体シート
WO2015167815A1 (en) 2014-04-28 2015-11-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bonded cellulosic nonwoven web and method for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9326B2 (ja) 1977-06-08 1983-06-22 財団法人日本化学繊維研究所 ジアルデヒド殿粉によるポリビニルアルコ−ル系材料の表面改質法
JPS5829349B2 (ja) 1980-12-26 1983-06-22 川鉄化学株式会社 コ−クス乾式消火設備におけるコ−クス均一冷却法および冷却塔
JPS5829327B2 (ja) 1981-09-29 1983-06-22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シ−ト
AU1089695A (en) 1993-11-16 1995-06-06 Procter & Gamble Company,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blended multi-layer absorbent structure with improved integrity
US6025050A (en) * 1994-06-15 2000-02-15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Thermally appertured nonwoven laminates for wipes and coverstock for hygienic articles
JP3922877B2 (ja) * 2000-11-27 2007-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118640B2 (ja) * 2002-09-17 2008-07-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複合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4738101B2 (ja) * 2005-08-29 2011-08-0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シート
WO2007120629A2 (en) * 2006-04-10 2007-10-25 First Quality Nonwovens, Inc. Cotendered nonwoven/pulp composite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5590834B2 (ja) * 2009-08-11 2014-09-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58859B2 (ja) * 2012-04-20 2016-02-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用の不織布および吸収性物品
JP5829326B1 (ja) * 2014-12-26 2015-12-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不織布
JP5829327B1 (ja) 2014-12-26 2015-12-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不織布
JP5829349B1 (ja) 2015-05-29 2015-12-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不織布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651A (ja) 2000-06-19 2002-01-0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07130178A (ja) 2005-11-09 2007-05-31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立体シート
WO2015167815A1 (en) 2014-04-28 2015-11-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bonded cellulosic nonwoven web and method for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29267B2 (en) 2022-12-20
KR20180098276A (ko) 2018-09-03
JP2017119019A (ja) 2017-07-06
BR112018013378A2 (pt) 2018-12-04
TWI693318B (zh) 2020-05-11
EP3381426A4 (en) 2018-10-24
MY184575A (en) 2021-04-06
CA3009762A1 (en) 2017-07-06
AU2016381717B2 (en) 2021-04-29
EA035274B1 (ru) 2020-05-22
TW201730397A (zh) 2017-09-01
CN108472179A (zh) 2018-08-31
EP3381426B1 (en) 2020-07-22
US20200268571A1 (en) 2020-08-27
WO2017115528A1 (ja) 2017-07-06
EA201891537A1 (ru) 2019-01-31
CN108472179B (zh) 2021-04-13
AU2016381717A1 (en) 2018-07-19
JP6093001B1 (ja) 2017-03-08
EP3381426A1 (en) 2018-10-03
BR112018013378B1 (pt) 2022-12-06
PH12018550100A1 (en) 201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874B1 (ko)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용의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를 액투과성 시트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KR102403028B1 (ko) 흡수성 물품의 외장 시트용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를 외장 시트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CN107635521B (zh) 吸收性物品
CN110478133B (zh) 吸收性物品
US20130079741A1 (en) Thin absorbent article
KR102557595B1 (ko) 흡수성 물품
CN109328050B (zh) 吸收性物品
JP6912979B2 (ja) 吸収性物品
JP2019042399A (ja) 吸収性物品
RU2735657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KR101164697B1 (ko) 음순간 패드
CN113518716B (zh) 吸湿片、一次性穿着物品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