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977B1 - 기상 분석물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상 분석물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977B1
KR102362977B1 KR1020200072054A KR20200072054A KR102362977B1 KR 102362977 B1 KR102362977 B1 KR 102362977B1 KR 1020200072054 A KR1020200072054 A KR 1020200072054A KR 20200072054 A KR20200072054 A KR 20200072054A KR 102362977 B1 KR102362977 B1 KR 102362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d
gas sensor
unsubstituted
polymer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6022A (ko
Inventor
뮬저 캐더린
디. 길모어 크리스토퍼
재 윤 희
머피 재클린
릿치필드 브라이언
Original Assignee
롬 앤드 하스 일렉트로닉 머트어리얼즈 엘엘씨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 앤드 하스 일렉트로닉 머트어리얼즈 엘엘씨,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filed Critical 롬 앤드 하스 일렉트로닉 머트어리얼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14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6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9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near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2Analysing fluids
    • G01N29/022Fluid sensors based on microsensors, e.g. quartz crystal-microbalance [QCM], surface acoustic wave [SAW] devices, tuning forks, cantilevers, flexural plate wave [FPW]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resence of specific gases or aero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0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gases, e.g. multi-gas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5Raman scat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 G01N23/227Measuring photoelectric effect, e.g. photoelectron emission microscopy [PEEM]
    • G01N23/2273Measuring photoelectron spectrum, e.g. 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 [ESCA] or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5Composition of the body, e.g. the composition of its sensitive layer
    • G01N27/126Composition of the body, e.g. the composition of its sensitive layer comprising organic poly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7Sensors changing capacitance upon adsorption or absorption of fluid components, e.g. electrolyte-insulator-semiconductor sensors, MOS capac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2Analysing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2Analysing fluids
    • G01N29/036Analysing fluids by measuring frequency or resonanc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01N29/2437Piezoelectric probes
    • G01N29/2443Quartz crystal pro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2Copolymers
    • C08G2261/124Copolymers altern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1Side-chains having aliphatic units
    • C08G2261/1414Unsaturated aliphatic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2Side-chains containing oxygen
    • C08G2261/1426Side-cha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carboxy groups (COOH) and/or -C(=O)O-moie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6Side-chains containing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8Side-chains having aromatic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6End groups
    • C08G2261/164End groups comprising organic end groups
    • C08G2261/1642End groups comprising organic end groups comprising reactive double bonds or trip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2Non-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6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partially-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4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partially-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70Post-treatment
    • C08G2261/76Post-treatment 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4Applications in sensors, e.g. bio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021/359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FT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07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secondary e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measuring variable
    • G01N2291/014Resonance or resonant frequenc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1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5Change of phase or condition
    • G01N2291/0255(Bio)chemical reactions, e.g. on bio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5Change of phase or condition
    • G01N2291/0256Adsorption, desorption, surface mass change, e.g. on bio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4Wave modes and trajectories
    • G01N2291/042Wave modes
    • G01N2291/0422Shear waves, transverse waves, horizontally polarised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4Wave modes and trajectories
    • G01N2291/042Wave modes
    • G01N2291/0423Surface waves, e.g. Rayleigh waves, Love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4Wave modes and trajectories
    • G01N2291/042Wave modes
    • G01N2291/0426Bulk waves, e.g. quartz crystal microbalance, torsional wa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가스 센서가 제공된다. 가스 센서는 기판; 기판 상의 복수의 전극; 및 기상 분석물을 흡착시키기 위한 기판 상의 폴리머 감지층을 포함한다. 분석물의 흡착은 가스 센서의 출력 신호를 변화시키는 가스 센서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폴리머 감지층은 방향족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제1 모노머 및 2개 이상의 시클로펜타디엔온기를 포함하는 제2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의 반응 생성물, 또는 이러한 반응 생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 폴리아릴렌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가스 센서 및 이러한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은 특히, 기상 유기 분석물의 감지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기상 분석물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 및 방법{GAS SENSORS AND METHODS OF SENSING A GAS-PHASE ANALYT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상 분석물을 감지하기 위한 가스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머 감지층을 포함하는 가스 센서, 및 이러한 센서를 사용하여 분석물을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 센서 및 감지 방법은 특히, 유기 기상 분석물과 같은 기상 분석물의 감지에 적용 가능하다.
기상 분석물의 검출은 산업 및 소비 시장 부문의 다양한 용품에 중요하다. 가스 센서는, 예를 들어 코팅 두께 측정을 위한 진공 증착 공정의 모니터링과 제어 및 습도 모니터링에서 독성, 가연성 가스 및 증기(통칭하여 가스)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가스 센서에 대한 관심은 최근 가전 시장, 예를 들어 모바일, 사물 인터넷(IoT), 및 웨어러블 용품으로 확대되었다.
다양한 가스 센서 플랫폼, 예를 들어 음파 가스 센서, 용량성 가스 센서, 및 전도도 측정식(저항성) 가스 센서가 존재한다. 이러한 센서들은, 예를 들어 문헌[G. Korotcenkov, Handbook of Gas Sensor Materials: Properties, Advantages and Shortcomings for Applications Volume 1: Conventional Approaches, Integrated Analytical Systems, Springer (2013)]에 기술되어 있다.
음파, 또는 압전 기반 센서는, 예를 들어 수정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QCM) 센서,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FBAR) 센서와 같은 벌크 탄성파(BAW) 센서, 및 표면 탄성파(SAW)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는 일반적으로, 고유 음향 공진 주파수로 음파가 발생되는 압전층을 포함한다. 압전 재료는 관심 분석물에 흡착성인 감지 재료, 예컨대 폴리머, 금속, 금속 산화물, 실리카, 또는 기타 무기 복합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분석물의 감지는 파동 속도와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초래하는 음파 이동 경로 특성의 변화로 인해 일어난다. 이러한 변화는 감지 재료의 하나 이상의 특성, 예를 들어 질량 로딩, 점도, 점탄성, 탄성 강성도, 전기 전도도, 또는 유전율 중 하나 이상(질량 로딩이 가장 일반적임)의 변화의 함수이다. 예를 들어, 흡착된 분석물로 인해 질량 로딩이 증가하면, 분석물이 없는 감지층과 비교하여 파동 속도 및 공진 주파수가 감소한다. 압전 효과에 의해 입력(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 또는 파동 속도)을 측정 가능한 출력(일반적으로 전기 신호)으로 변환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된다.
용량성 센서는, 보통 깍지형(interdigitated) 패턴 형태를 갖는 두 전극 사이의 측정된 커패시턴스에 따라 작동한다. 전극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관심 분석물에 흡착성인 유전체로서 작용하는 감지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감지 재료 상에서 또는 내에서 이러한 분석물의 흡착은 감지 재료의 유전율 또는 두께의 변화로 인한 장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제공한다.
전도도 측정식(또는 저항성) 가스 센서는 일반적으로, 감지 재료로 코팅된 깍지형 전극 패턴을 사용하며, 감지 재료에 의한 분석물의 흡착은 장치의 전기 전도도(또는 저항)를 변화시킨다. 이는, 예를 들어 감지층의 분석물 함량과 상호연관될 수 있는 전류 변화로서 측정될 수 있다.
감지 재료가 감지 재료와 관심 분석물 간의 흡착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센서 응답 속도는 목적하는 변환을 유발하도록 분석물이 감지 재료에 결합하고 확산되는 것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관심 분석물에 대해 고흡착성인 감지 재료가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작동 시간이 길어지면 분석물 결합은 감소된 응답 신호 및/또는 연장된 응답 시간을 통해 센서 드리프트 및 감지 성능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신호 대 잡음비가 높은 경우에도 경시적으로 안정적이고 빠른 응답, 바람직하게는 거의 즉각적인 응답을 갖는 가스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최신 기술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상 분석물을 감지하는 개선된 가스 센서 및 방법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가스 센서가 제공된다. 가스 센서는 기판; 기판 상의 복수의 전극; 및 기상 분석물을 흡착시키기 위한 기판 상의 폴리머 감지층을 포함한다. 분석물의 흡착은 가스 센서의 출력 신호를 변화시키는 가스 센서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폴리머 감지층은 방향족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제1 모노머 및 2개 이상의 시클로펜타디엔온기를 포함하는 제2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의 반응 생성물, 또는 이러한 반응 생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 폴리아릴렌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기상 분석물을 감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a)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가스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폴리머 감지층을 기상 분석물을 포함하는 분위기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스 센서 및 이러한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은 특히, 유기 기상 분석물과 같은 기상 분석물의 감지에 적용 가능하다.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특징부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 센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 센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탄성파 센서의 단면도 및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량성 가스 센서 및 전도도 측정식 가스 센서의 단면도 및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파 센서의 분석물에 대한 응답 및 회복을 보여주는 공진 주파수 대 시간의 대표적 도표이다.
본 발명의 가스 센서는 기판, 기판 상의 복수의 전극, 및 기상 분석물을 흡착시키기 위한 기판 상의 폴리머 감지층을 포함한다. 기상 분석물의 흡착은 가스 센서의 출력 신호를 변화시키는 가스 센서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음파 센서, 예컨대 수정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QCM) 센서,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 센서와 같은 벌크 탄성파(BAW) 센서, 및 표면 탄성파(SAW) 센서의 경우, 폴리머 감지층에서의 기상 분석물의 흡착은 압전 변환기 회로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야기한다. 용량성 센서의 경우, 폴리머 감지층에서의 기상 분석물의 흡착은 장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제공하는 반면, 전도도 측정식 가스 센서에서의 이러한 흡착은 장치의 전기 전도도(또는 저항)를 변화시킨다. 측정 가능한 특성 및 센서 출력 신호의 이러한 변화는 폴리머층에 흡착된 분석물의 함량과 상호연관될 수 있다.
폴리머 감지층은 방향족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제1 모노머 및 2개 이상의 시클로펜타디엔온기를 포함하는 제2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의 반응 생성물, 또는 이러한 반응 생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 폴리아릴렌으로부터 선택되는 감지 폴리머를 포함한다. 제1 모노머와 제2 모노머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제1 모노머와 제2 모노머는 임의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각 아세틸렌기 및 시클로펜타디엔온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아릴렌 폴리머는, 예를 들어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모노머를 중합 단위로서 포함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Figure 112020061013489-pat00001
Figure 112020061013489-pat00002
식 중, R은 독립적으로 H, -C(=O)OR2,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4-20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1은 독립적으로 F, 치환 또는 비치환 C1-10 알킬, 예컨대 C1-10 플루오로알킬, C1-10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C1-10 아미노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 C4-20 헤테로아릴, -C≡C-R, -C(=O)OR2, -C(=O)NHR3, -O-C(=O)R4, -NHC(=O)R5, -S(=O)2-OR6, 또는 S(=O)2-NHR3으부터 선택되고; R2는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 C1-10 알킬, 예컨대 C1-10 플루오로알킬, C1-10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C1-10 아미노알킬, C6-20 아릴, 또는 C4-20 헤테로아릴부터 선택되고; R3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1-10 알킬부터 선택되고;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1-10 알킬, 예컨대 C1-10 하이드록시알킬, -O(C1-10 알킬), 또는 -NH(C1-10 알킬)부터 선택되고; R5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1-10 알킬, 예컨대 C1-10 하이드록시알킬, -O(C1-10 알킬), 또는 -NH(C1-10 알킬)부터 선택되고; R6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1-10 알킬부터 선택되고; 2개 이상의 시클로펜타디엔온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모노머. 아릴기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예를 들어 N, O, 또는 S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한 헤테로아릴기는, 예를 들어 퓨란, 피리딘, 피라진, 피라졸, 트리아진, 옥사졸, 인돌, 벤조퓨란, 카바졸, 티오펜, 퀴놀론, 이소퀴놀린, 또는 크로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아릴기의 일반적인 치환기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 플루오로, 아미노, 카복시, 티오, 또는 티오카보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화학식 1의 모노머의 경우, a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더 바람직하게 a는 0 또는 1이다. 화학식 2의 모노머의 경우, a는 0 내지 3, 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각각의 R은 바람직하게 독립적으로 H, C6-20 아릴, 또는 C4-20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H, C6-10 아릴, 또는 C4-10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H 또는 페닐로부터 선택된다.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C(=O)OR2, -C(=O)NHR3, -O-C(=O)R4, S(=O)2-OR6, 및 S(=O)2-NHR3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C(=O)OR2 및 -C(=O)NHR3로부터 선택되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C(=O)OR2이다. 바람직하게, R2는 H, C1-6 알킬, C1-6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C1-6 아미노알킬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H, C1-4 알킬, 또는 C1-6 하이드록시알킬이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H이다. R3는 바람직하게 H 또는 C1-6 알킬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H 또는 C1-4 알킬이다. R4는 C1-6 알킬, C1-6 하이드록시알킬, -O(C1-10 알킬), 또는 -NH(C1-10 알킬)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C1-6 알킬, C1-6 하이드록시알킬, -O(C1-6 알킬), 또는 -NH(C1-6 알킬)이다. R5는 바람직하게 H, C1-10 알킬, -O(C1-10 알킬), 또는 -NH(C1-10 알킬)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H, C1-6 알킬, -O(C1-6 알킬), 또는 -NH(C1-6 알킬)이다. R6는 바람직하게 H 또는 C1-6 알킬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H 또는 C1-4 알킬이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H이다.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모노머에서 임의의 2개의 알키닐 모이어티는 서로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 관계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메타 또는 파라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알키닐 모이어티는 서로 오르토 관계를 갖지 않는다.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적합한 모노머는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거나,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폴리아릴렌 폴리머는 화학식 1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 또는 화학식 2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 또는 화학식 1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와 화학식 2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학식 1의 모노머는 바람직하게 제1 모노머이다. 폴리아릴렌 폴리머는 화학식 1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 또는 화학식 1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와 화학식 2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 폴리아릴렌 폴리머는 화학식 1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로 이루어진다.
2개 이상의 시클로펜타디엔온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임의의 모노머가 본 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해 제2 모노머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 2개의 시클로펜타디엔온 모이어티를 갖는 2개 이상의 상이한 모노머의 혼합물이 제2 모노머로서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시클로펜타디엔온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이러한 모노머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예컨대, 미국 특허 5,965,679호; 6,288,188호; 및 6,646,081호; 미국 출원 공보 2017-0009006 A1호; 및 국제 특허 공보 WO 97/10193 및 WO 2004/073824에 기재된 것들). 제2 모노머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20061013489-pat00003
식 중, 각각의 R7은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 C1-6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4-20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Ar1은 방향족 모이어티이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R7은 독립적으로 C3-6 알킬,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 각각의 R7은 페닐이다.
제2 모노머는 화학식 3A의 모노머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3A]
Figure 112020061013489-pat00004
식 중, 각각의 R7은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 C1-6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4-20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C3-6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로부터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 각각의 R7은 페닐이고; R8은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4-20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페닐이고; R9은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 C1-6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4-20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로부터 선택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이고; Ar1은 방향족 모이어티이다.
미국 특허 5,965,679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방향족 모이어티가 Ar1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Ar1에 유용한 예시적인 방향족 모이어티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20061013489-pat00005
식 중, x는 1, 2, 또는 3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고; y는 0, 1, 또는 2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고; 각각의 Ar2는 독립적으로
Figure 112020061013489-pat00006
또는
Figure 112020061013489-pat00007
으로부터 선택되며,
각각의 R10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 C1-6 알킬, 예컨대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C1-6 할로알콕시, 페닐, 및 페녹시로부터 선택되고; c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d 및 e 각각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각각의 Z는 독립적으로 O, S, NR11, PR11, P(=O)R11, C(=O), CR12R13, 및 SiR12R13으로부터 선택되고; R11, R12, 및 R13은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 C1-4 알킬, 예컨대 C1-4 할로알킬, 및 페닐로부터 선택된다. x는 1 또는 2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이다. y는 0 또는 1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이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R10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 C1-4 알킬, 예컨대 할로 C1-4 알킬, C1-4 알콕시, 할로 C1-4 알콕시, 및 페닐로부터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 C1-4 알킬, 플루오로 C1-4 알킬, C1-4 알콕시, 플루오로 C1-4 알콕시, 및 페닐로부터 선택된다. c는 0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이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이다. d 및 e 각각은 독립적으로 0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이다. 화학식 6에서, d + e는 0 내지 4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이다. 각각의 Z는 바람직하게 독립적으로 O, S, NR11, C(=O), CR12R13, 및 SiR12R13으로부터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O, S, C(=O), 및 CR12R13으로부터 선택되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O, C(=O), 및 CR12R13으로부터 선택된다. 각각의 R11, R12, 및 R13은 독립적으로 H, C1-4 알킬, 플루오로 C1-4 알킬, 및 페닐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H, C1-4 알킬, 플루오로 C1-2 알킬, 및 페닐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Ar2는 화학식 5를 갖는다.
적합한 예시적인 폴리아릴렌은 다음을 포함한다.
Figure 112020061013489-pat00008
Figure 112020061013489-pat00009
Figure 112020061013489-pat00010
폴리아릴렌 폴리머에서 반복 단위의 수는 일반적으로 2개 내지 100개이다. 폴리아릴렌 폴리머는 단독중합체 형태, 또는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폴리아릴렌 폴리머는, 예를 들어 예시적인 폴리아릴렌 구조에 나타낸 반복 단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렌 폴리머는 폴리스티렌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GPC로 측정시, 일반적으로 1 kDa 내지 200 kDa, 예를 들어 3 내지 100 또는 4 내지 50의 수평균 분자량 Mn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치환"은 할로겐(즉, F, Cl, Br, I), 하이드록실, 아미노, 티올, 니트릴, 니트로, 카복실, 카보닐, 카복사미드, 에테르, 에스테르,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설포닐, 설피닐, C1-30 알킬, C2-30 알케닐, C7-30 아랄킬, C6-30 아릴, C4-30 헤테로아릴, -OR, -C1-30 알킬렌-OR, 또는 -C1-30 알킬리덴-OR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R은, 예를 들어 H, C1-30 알킬, C2-30 알케닐, C6-30 아릴, 또는 C4-30 헤테로아릴이다. 일반적으로, 치환기는 불소, C1-20 알킬, C2-20 알케닐, C7-30 아랄킬, C6-20 아릴, C4-20 헤테로아릴, -OR, -C1-20 알킬렌-OR, 또는 -C1-20 알킬리덴-OR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불소, C1-10 알킬, C2-12 알케닐, C7-30 아랄킬, C6-20 아릴, C4-20 헤테로아릴, -OR, -C1-20 알킬렌-OR, 또는 -C1-20 알킬리덴-OR로부터 선택된다. R은 일반적으로 H, C1-20 알킬, C2-20 알케닐, C6-20 아릴, 또는 C4-20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H, C1-10 알킬, C6-20 아릴, 또는 C4-20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가장 일반적으로는 H이다. 본원에서 화학식과 관련하여 개시된 임의의 기 또는 구조는, 달리 명시되거나, 치환으로 인해 생성된 구조의 원하는 특성에 이러한 치환이 심각하게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아니면, 이와 같이 치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 헤테로아릴기는 5원 또는 6원의 고리이다.
특정 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 기가 다른 기로 치환되는 경우, 생성된 "치환된" 기의 탄소 원자수는 원래(치환되지 않은) 기에 함유된 탄소 원자와 치환기에 함유된 탄소 원자(존재하는 경우)의 합이다. 예를 들어, C6-C30 아릴기로 치환된 C1-C20 알킬기의 경우, 생성된 아릴-치환 알킬기의 총 탄소 원자수는 C7-C50이다.
폴리아릴렌 감지 폴리머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폴리머 감지층은, 감지 폴리머 및 용매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선택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 감지 폴리머 조성물로 형성된다. 감지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90 내지 100 wt%, 95 내지 100 wt%, 98 내지 100 wt%, 또는 100%의 양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에 존재한다.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용매 성분은 조성물의 제제화 및 캐스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단일 용매 또는 둘 이상의 개별 용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용매 성분은 조성물의 감지 폴리머 및 기타 비용매 성분에 대해 우수한 용해도 특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용매는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특정 폴리머 및 기타 성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용매는 물, 수용액, 유기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유기 용매가 일반적이다. 감지 폴리머 조성물에 적합한 유기 용매는, 예를 들어 알코올, 예컨대 C1-9 직쇄 또는 C3-9 분지형 또는 환형 1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필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틸 알코올, tert-부틸 알코올, 2-메틸-1-부탄올, 1-펜탄올, 2-펜탄올, 4-메틸-2-펜탄올, 1-헥산올, 1-헵탄올, 1-옥탄올, 2-헥산올, 2-헵탄올, 2-옥탄올, 3-헥산올, 3-헵탄올, 3-옥탄올, 및 4-옥탄올, 2,2,3,3,4,4-헥사플루오로-1-부탄올, 2,2,3,3,4,4,5,5-옥타플루오로-1-펜탄올, 2,2,3,3,4,4,5,5,6,6-데카플루오로-1-헥산올, 및 C5-9 플루오르화 디올, 예컨대 2,2,3,3,4,4-헥사플루오로-1,5-펜탄디올, 2,2,3,3,4,4,5,5-옥타플루오로-1,6-헥산디올, 및 2,2,3,3,4,4,5,5,6,6,7,7-도데카플루오로-1,8-옥탄디올;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락테이트, 메틸 2-하이드록시이소부티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알킬 아세테이트, 예컨대 n-부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예컨대 메틸 메톡시 프로피오네이트, n-부틸 프로피오네이트, n-펜틸 프로피오네이트, n-헥실 프로피오네이트, 및 n-헵틸 프로피오네이트, 및 알킬 부티레이트, 예컨대 n-부틸 부티레이트, 이소부틸 부티레이트, 및 이소부틸 이소부티레이트; 케톤, 예컨대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시클로헥산온, 2,4 디메틸-3-펜탄온, 2,5-디메틸-4-헥산온, 및 2,6-디메틸-4-헵탄온; 지방족 탄화수소, 예컨대 n-헵탄, n-노난, n-옥탄, n-데칸, 2-메틸헵탄, 3-메틸헵탄, 3,3-디메틸헥산, 및 2,3,4-트리메틸펜탄, 및 플루오르화 지방족 탄화수소, 예컨대 퍼플루오로헵탄;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아니솔, 톨루엔, 자일렌, 및 메시틸렌; 에테르, 예컨대 이소펜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락톤, 예컨대 감마-부티로락톤 및 감마 발레로락톤; 락탐, 예컨대 N-메틸-2-피롤리돈; 아민-함유 유기 용매, 예컨대 트리메틸 아민, 트리에틸 아민, 트리이소프로필 아민, 아닐린, 피롤리딘, 피페리딘, 및 피리딘; 및 이들 용매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유기 용매 중에서, 지방족 탄화수소 및 에테르가 바람직하다.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용매 성분은 일반적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 내지 99 wt%, 보다 일반적으로는 90 내지 99 wt% 또는 95 내지 99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감지 폴리머 조성물은, 예를 들어 가교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접착 촉진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선택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 첨가제는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소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선택적 첨가제 및 양은 관심 분석물에 대한 폴리머 감지층의 감지 특성이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특정 폴리머에 따라, 예를 들어 감지 폴리머층 내 감지 폴리머의 강도 또는 탄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지 폴리머 조성물에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적합한 가교제는 감지 조성물의 폴리머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예를 들어 멜라민 화합물, 예컨대 헥사메틸올 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 멜라민, 메톡시메틸화된 1 내지 6개의 메틸올기를 갖는 헥사메틸올 멜라민 화합물, 헥사메톡시에틸 멜라민, 헥사실옥시메틸 멜라민, 및 아실옥시메틸화된 1 내지 6개의 메틸올기를 갖는 헥사메틸올 멜라민 화합물; 구아나민 화합물, 예컨대 테트라메틸올 구아나민, 테트라메톡시메틸 구아나민, 메톡시메틸화된 1 내지 4개의 메틸올기를 갖는 테트라메틸올 구아나민 화합물, 테트라메톡시에틸 구아나민, 테트라아실옥시구아나민, 아실옥시메틸화된 1 내지 4개의 메틸올기를 갖는 테트라메틸올 구아나민 화합물, 및 벤조구아나민 화합물; 메틸올, 알콕시메틸, 및 아실옥시메틸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로 치환된 글리콜우릴 화합물, 예컨대 테트라메틸올 글리콜우릴, 테트라메톡시글리콜우릴, 테트라메톡시메틸 글리콜우릴, 메톡시메틸화된 1 내지 4개의 메틸올기를 갖는 테트라메틸올 글리콜우릴 화합물, 및 아실옥시메틸화된 1 내지 4개의 메틸올기를 갖는 테트라메틸올 글리콜우릴 화합물; 메틸올, 알콕시메틸, 및 아실옥시메틸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로 치환된 우레아 화합물, 예컨대 테트라메틸올 우레아, 테트라메톡시메틸 우레아, 메톡시메틸화된 1 내지 4개의 메틸올기를 갖는 테트라메틸올 우레아 화합물, 및 테트라메톡시에틸 우레아; 에폭시 화합물, 예컨대 트리스(2,3-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올메탄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및 트리에틸올에탄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지드 화합물; 하이드록시-함유 화합물; 또는 알케닐 에테르기와 같은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첨가제로서 사용되거나, 펜던트기로서 폴리머 측쇄에 도입될 수 있다. 가교제가 사용되는 경우, 가교제는 일반적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0.5 내지 50 wt% 또는 0.5 내지 25 wt%의 양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에 존재한다.
일반적인 계면활성제는, 친수성인 동시에 소수성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양친매성 성질을 나타내는 것들을 포함한다. 양친매성 계면활성제는, 물에 대한 친화력이 강한 친수성 헤드 기 또는 기들, 및 친유성이고 발수성인 긴 소수성 테일을 갖는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이온성(즉,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다른 예는 실리콘 계면활성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계면활성제, 및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옥틸 및 노닐 페놀 에톡실레이트, 예컨대 TRITON® X-114, X-100, X-45, X-15, 및 분지형 2차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예컨대 TERGITOL™ TMN-6(The Dow Chemical Company,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시적인 계면활성제는 알코올(1차 및 2차) 에톡실레이트, 아민 에톡실레이트, 글루코시드, 글루카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코-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문헌[McCutcheon's Emulsifiers and Detergents, Glen Rock, N.J.의 Manufacturers Confectioners Publishing Co.에서 출판된 2000년 북미판]에 개시된 기타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아세틸렌계 디올 유도체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도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펜실베니아주 앨런타운)에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SURFYNOL 및 DYNOL의 상표명으로 판매된다. 추가의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트리-블록 EO-PO-EO 공중합체 PLURONIC 25R2, L121, L123, L31, L81, L101, 및 P123(BASF, Inc.)와 같은 다른 폴리머 화합물을 포함한다.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 경우,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wt%의 양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에 존재한다.
감지 폴리머 조성물 내 유기 물질의 산화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산화방지제가 감지 폴리머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페놀계 산화방지제, 유기산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화방지제, 황-함유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아민-알데히드 축합물로 이루어진 산화방지제, 및 아민-케톤 축합물로 이루어진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예는 치환된 페놀, 예컨대 1-옥시-3-메틸-4-이소프로필벤젠, 2,6-디-tert-부틸페놀, 2,6-디-tert-부틸-4-에틸페놀,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4-하이드록시메틸-2,6-디-tert-부틸페놀,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2-(1-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4-디메틸-6-tert-부틸페놀, 2-메틸-4,6-디노닐페놀, 2,6-디-tert-부틸-α-디메틸아미노-p-크레솔, 6-(4-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아닐리노)2,4-비스-옥틸-티오-1,3,5-트리아진,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틸화 페놀, 아랄킬-치환 페놀, 알킬화 p-크레솔, 및 힌더드 페놀; 비스-, 트리스-, 및 폴리-페놀, 예컨대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메틸렌-비스(디메틸-4,6-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ert-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er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p-크레솔), 메틸렌-가교 다가 알킬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디하이드록시-3,3'-디-(α-메틸시클로헥실)-5,5'-디메틸디페닐메탄, 알킬화 비스페놀, 힌더드 비스페놀,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부탄, 및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화방지제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예를 들어, Irganox™ 산화방지제(Ciba Specialty Chemicals Corp.)). 산화방지제가 사용되는 경우, 산화방지제는 일반적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wt%의 양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에 존재한다.
착색제는, 예를 들어 염료 및 안료를 포함하며, 폴리머 감지층 두께의 측정성, 코팅 품질을 검사하는 능력, 감지층을 하부 기판에 정렬시키는 능력, 또는 표면적인 외관 중 하나 이상을 개선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적합한 착색제는, 예를 들어 알루미나 수화물, 점토, 탄산 바륨, 및 황산 바륨과 같은 증량제 안료; 산화 아연, 플레이크 화이트, 크롬 옐로우, 레드 옥사이드, 울트라마린 블루, 아이언 블루, 산화 티타늄, 크롬산 아연, 붉은 황토, 및 카본 블랙과 같은 무기 안료; 브릴리언트 카민 6B, 퍼머넌트 레드 6B, 퍼머넌트 레드 R, 벤지딘 옐로우, 구리 프탈로시아닌 블루, 및 구리 프탈로시아닌 그린과 같은 유기 안료; 마젠타 및 로다민과 같은 염기성 염료; 다이렉트 스칼렛 및 다이렉트 오렌지와 같은 직접 염료; 로세린 및 메타닐 옐로우와 같은 산성 염료를 포함한다. 착색제가 사용되는 경우, 착색제는 일반적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wt%의 양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에 존재한다.
감지 폴리머 조성물에 접착 촉진제를 사용하면 하부 기판에 대한 폴리머 감지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합한 접착 촉진제는, 예를 들어 디티오글리세롤, 비스(2,3-디하이드록시프로필티오)에틸렌, 소듐 3-(2,3-디하이드록시프로필티오)-2-메틸-프로필설포네이트, 1-티오글리세롤, 소듐 3-머캅토-1-프로판설포네이트, 2-머캅토에탄올, 티오글리콜산, 및 3-머캅토-1-프로판올과 같은 황-함유 화합물; 페놀, 크레솔, 자일레놀, 피로카테콜, tert-부틸카테콜, 레조르시놀, 하이드로퀴논, 피로갈롤, 1,2,4-벤젠트리올, 살리실 알코올, p-하이드록시벤질 알코올, o-하이드록시벤질 알코올, p-하이드록시페네틸 알코올, p-아미노페놀, m-아미노페놀, 아미노페놀, 아미노레조르시놀,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o-하이드록시벤조산, 2,4-디하이드록시벤조산, 2,5-디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3,5-디하이드록시벤조산, 및 갈산과 같은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5,6-디메틸벤조트리아졸,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1-메틸벤조트리아졸, 1-아미노벤조트리아졸, 1-페닐벤조트리아졸, 1-하이드록시메틸벤조트리아졸, 메틸 1-벤조트리아졸 카복실레이트, 5-벤조트리아졸 카복실산, 1-메톡시-벤조트리아졸, 1-(2,2-디하이드록시에틸)-벤조트리아졸, 1-(2,3-디하이드록시프로필) 벤조트리아졸 또는 2,2'-{[(4-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 메틸]이미노} 비스에탄올, 2,2'-{[(5-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 메틸]이미노} 비스에탄올, 2,2'-{[(4-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메틸]이미노} 비스에탄, 및 2,2'-{[(4-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 메틸]이미노}비스프로판과 같은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1,3,5-트리아진-2,4,6-트리톨과 같은 트리아진계 화합물, 및 1,3,5-트리아진-2,4,6-트리톨과 같은 규소-함유 화합물을 포함한다. 접착 촉진제가 사용되는 경우, 접착 촉진제는 일반적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0.05 내지 10 wt%의 양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에 존재한다.
감지 폴리머 조성물은 다음의 공지된 절차에 따라 제조되고/되거나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조성물의 감지 폴리머 및 기타 선택적 고체 성분을 용매 성분에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의 목적하는 총 고형분 함량은 조성물의 특정 폴리머(들) 및 폴리머 감지층의 목적하는 최종 두께와 같은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wt%, 보다 일반적으로는 1 내지 10 wt% 또는 1 내지 5 wt%이다.
센서 형성 중에, 감지 폴리머 조성물은 스핀 코팅, 딥핑, 드롭 캐스팅, 롤러 코팅,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어, 또는 다른 통상적인 코팅 기술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 기술 중에서, 스핀 코팅이 일반적이다. 스핀 코팅의 경우,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사용되는 특정 코팅 장비, 용액의 점도, 코팅 도구의 회전 속도, 및 회전 허용 시간에 기초하여 목적하는 막 두께를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폴리머 감지층은, 층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모든 용매를 제거하여 무점착 코팅을 형성하고 하부 구조에 대한 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경화된다. 조성물의 특정 폴리머 및 성분에 따라, 경화는 예를 들어 산화, 탈기, 중합, 축합, 또는 가교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폴리머에 추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경화는 일반적으로 핫플레이트 또는 오븐에서 수행된다. 경화는, 예를 들어 공기 분위기 또는 질소, 아르곤, 또는 헬륨과 같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수행되거나, 진공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폴리머 감지층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경화된다. 경화 온도 및 시간은, 예를 들어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특정 폴리머와 용매, 및 층 두께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인 경화 온도는 100 내지 450℃이며, 300 내지 400℃ 또는 325 내지 350℃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경화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300 내지 400℃ 또는 325 내지 35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경화 시간은 일반적으로 30초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분 또는 50 내지 70분이다. 경화는 하나의 단계 또는 여러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경화는 폴리머 감지 조성물층을 일정한 온도에서 가열하거나 경사식 또는 계단식 온도 프로파일과 같은 다양한 온도 프로파일로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람직한 조건에서 경화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감지 폴리머 조성물은 유리한 특성, 예를 들어 높은 분석물 감도 및 우수한 경시적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바람직한 조건에서 감지 폴리머 조성물을 경화하면 산화를 최소화 또는 제거하면서 폴리머를 효과적으로 가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감지 폴리머 가교의 존재 및 정도는 경화된 감지 폴리머층의 FTIR 및 라만 스펙트럼의 조합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바람직한 경화된 폴리머 감지층은 1480 내지 1522 cm-1에서의 총 피크 면적에 대한 1648 내지 1690 cm-1에서의 총 피크 면적의 바람직한 비가 0.15 이하인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FTIR 피크 비는 경화 공정 중에 발생하는 예비 경화된 감지 폴리머의 산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양태에서, 바람직한 폴리머 감지층은 1550 내지 1650 cm-1에서의 총 피크 면적에 대한 2190 내지 2250 cm-1에서의 총 피크 면적의 바람직한 비가 1.0 이하인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라만 피크 비는 경화 공정 중에 발생하는 예비 경화된 감지 폴리머에서의 알킨의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폴리아릴렌 감지 폴리머는 경화 중에 산소 함량의 증가를 나타내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경화된 폴리머 감지층은 X선 광전자 분광법으로 측정시 7 원자% 이하의 산소 함량을 갖는다. 산소 함량은 예비 경화된 감지 폴리머의 산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폴리머 감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특정 폴리머, 센서 유형, 및 센서 구조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폴리머 감지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 nm 내지 10 μm이다. 음파 센서의 경우, 두께는 일반적으로 10 내지 1000 nm, 50 내지 500 nm, 또는 100 내지 400 nm이다. 용량성 센서 및 전도도 측정식 센서의 감지층은 일반적으로 1 내지 10 μm이다. 두꺼운 폴리머층이 요구되는 경우, 코팅 및 선택적 경화는 1회 이상 추가로 반복될 수 있다. 폴리머 감지층 두께의 상한은 센서의 특정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 센서의 경우, 압전결정층의 진동 용량이 두께의 상한을 결정할 것이며, 더 두꺼운 층이 일반적으로 진동을 억제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머 감지층이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가스 센서는 음파 센서, 용량성 센서, 및 전도도 측정식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이러한 가스 센서들을 도시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더 설명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음파 센서를 도시한다. 적합한 음파 센서는, 예를 들어 수정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 센서,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 센서와 같은 벌크 탄성파 센서, 및 표면 탄성파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 유형, 일반적으로 음파 센서, 및 이들의 제조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문헌[D. S. Ballantine et al, Acoustic Wave Sensors Theory, Design, and Physico-Chemical Applications, Academic Press (1997), G. Korotcenkov, Handbook of Gas Sensor Materials: Properties, Advantages and Shortcomings for Applications Volume 1: Conventional Approaches, Integrated Analytical Systems, Springer (2013)]에 기술되어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폴리머 감지층을 음파 센서에 적용하면,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아세트산, 또는 트리알킬아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상 분석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특히 유기 물질의 감지에 적합하다.
압전 효과를 나타내는 임의의 압전 재료(결정)가 음파 센서의 압전층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압전 재료는, 예를 들어 인산 갈륨, 석영, 토르말린, 티탄산 바륨, 니오브산 마그네슘-티탄산 납, 티탄산 지르콘산 납, 니오브산 리튬, 탄탈산 리튬, 질화 알루미늄, 또는 산화 아연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압전 재료는 20 kHz 내지 100 MHz, 일반적으로는 0.1 내지 50 MHz, 보다 일반적으로는 0.1 내지 30 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기본 모드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더 높은 주파수 범위, 예를 들어 1 MHz 내지 20 GHz, 또는 30 MHz 내지 500 MHz에서 고조파를 이용한 검출이 사용될 수 있다.
센서 유형 및 디자인에 따라, 폴리머 감지층은 압전층 위에 직접(즉,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또는 폴리머 감지층과 압전층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개재층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센서 디자인에서, 폴리머 감지층은 특정 QCM 또는 FBAR 센서에서와 같이, 센서의 전극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전극은 이어서 압전층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센서 디자인에서, 폴리머 감지층은 SAW 센서에서와 같이 전극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수정진동자(압전) 공진층(결정, 100), 공진층의 전면 상의 전면(즉 감지측) 전극(102), 공진층의 후면 상의 후면 전극(103), 및 전면 전극(102) 위에 배치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폴리머 감지층(104)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QCM 센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전극은 금속, 일반적으로는 금 또는 티타늄으로 제조되며, 도금, 스퍼터링, 또는 증발과 같은 금속배선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QCM 시스템은 금속 수정진동자 홀더, 및 전력 공급 및 공진 주파수의 제어와 측정을 위한 전자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분석물 검출은 분석물에 의한 폴리머 감지층의 질량 로딩으로 인한 주파수 변이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분석물 분자에 대한 감지층의 화학적 친화력의 정보는 분석물 농도에 대한 공진 주파수 변이의 상관관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QCM 센서의 작동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5 내지 300 MHz이다. QCM 센서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6,156,578A호). 본 발명에 따른 QCM 센서는 당업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형성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QCM 센서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Stanford Research Systems 및 Inficon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것들이 있다. 석영 이외의 압전 재료, 예를 들어 랑가사이트 및 인산 갈륨을 사용한 마이크로밸런스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상업용 센서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감지 폴리머 조성물의 층을 전면 전극(102) 위에 도포하여 폴리머 감지층(104)을 형성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 센서(FBAR)의 단면을 도시한다. FBAR 센서는, 일반적으로 단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기판(200), 그 위에 배치되는 절연층(202), 전면(즉, 감지측) 전극(204), 압전층(206), 후면 전극(208), 및 기판에 형성된 공동(212)에 배치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폴리머 감지층(210)을 포함한다. FBAR 센서는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실리콘 미세가공 기술(예를 들어, A. Lin et al, "Explosive trace detection with FBAR-based sensor," 2008 IEEE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Tucson, AZ, 2008, pp. 208-211)에 의해 형성된다. 예시적인 제조 공정은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 기판(200)에 절연층(202), 일반적으로는 저응력 LPCVD 질화 실리콘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웨이퍼 전면측의 질화물은 일반적으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 코팅, 노광, 현상, 에칭)에서 패터닝되어 실리콘 기판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어서, 실리콘 기판의 노출된 부분은, 일반적으로 습식 에칭에 의해, 예컨대 KOH 용액으로 에칭되어 실리콘 전면에 공동(212)을 형성한다. 이어서, 예를 들어 증발에 의해 전면 전극(204)이 형성된 후, 패터닝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극 재료는 금이며, 접착층으로서 크롬이 사용된다. 이어서, 압전층(206), 예를 들어 ZnO층이 스퍼터 증착되고 패터닝될 수 있다. 이어서, 후면 전극(208)이 증발에 의해 (예를 들어, 크롬 위에 금 층이) 형성된 후, 리프트-오프 기술 등에 의해 패터닝될 수 있다. 이어서, 폴리머 감지층(210)이 공동(212) 내 기판 전면측의 절연층 상에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전자 장치가 전력 공급 및 공진 주파수의 제어와 측정을 위해 제공된다. 분석물 검출 및 측정은 QCM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FBAR 센서의 작동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500 MHz 내지 20 GHz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표면 탄성파 센서의 단면도 및 상면도를 도시한다. SAW 센서는 압전 기판(층, 300), 입력 깍지형 변환기(IDT, 302), 출력 깍지형 변환기(304), 및 입출력 전기 회로(미도시)를 포함한다. 압전 기판을 위한 일반적인 재료는, 예를 들어 석영, 니오브산 리튬, 탄탈산 리튬, 질화 알루미늄, 또는 산화 아연을 포함한다. 입력 IDT 및 출력 IDT는 압전층(300) 위에 형성된 박막 깍지형 전극 패턴을 포함한다. 이들 구조는 일반적으로, 압전 기판에 얇은 금속층을 증착한 후 금속막을 리소그래피로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다. 입력 IDT 전극 및 출력 IDT 전극을 위한 일반적인 재료는 금, 크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복합물(예컨대, 크롬 상의 금, 또는 크롬과 알루미늄 상의 금)이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폴리머 감지층(306)이 압전층(300) 위에 제공되고, 입력 IDT 전극(302)과 출력 IDT 전극(304)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SAW 센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SAW 센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9,329,154B1호에 기술되어 있다. SAW 센서는 추가의 변환기 및/또는 추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IDT(302)가 입력 전기 회로에 의해 활성화되면, 압전 기판과 함께 압전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IDT는 입력 전기 신호의 교류 주파수와 관련된 진동 주파수에서 전하를 기판 표면의 기계적 변형으로 변환한다. 입력 전기 신호는 압전 기판(300)을 통해 전파되는 역압전 효과에 의해 표면 탄성파를 발생시킨다. 표면 탄성파가 출력 IDT(304)에 영향을 미칠 경우, 표면 탄성파는 직접 압전 효과에 의해 전기 신호로 다시 변환되어 출력 IDT(304)에서 출력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출력 전기 신호의 크기는 표면 탄성파의 크기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머 감지층(306)은 관심 기상 분석물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분석물 분자가 폴리머 감지층에 흡착되면, 감지층의 질량 밀도가 증가한다. 이러한 증가는 SAW 장치를 통한 표면 탄성파의 전파를 변화시키거나 지연시키고, 이는 예를 들어, 흡착된 분석물의 양에 정비례하는 표면 탄성파의 위상 변이로서 나타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량성 가스 센서 및 전도도 측정식(또는 저항성) 가스 센서의 단면도 및 상면도를 도시한다. 센서는 기판(400), 기판 상의 깍지형 전극(IDE, 402), 및 기판(400)과 IDE(402) 위에 배치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폴리머 감지층(406)을 포함한다. 기판을 위한 일반적인 재료는, 예를 들어 유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다. IDE는 일반적으로, 기판에 얇은 금속층을 증착한 후 금속막을 리소그래피로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다. IDE는 일반적으로 금이거나, 크롬 상의 금의 복합물이다. 기판(400)과 IDE(402) 위에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폴리머 감지층(406)이 제공된다. 센서는 발열체(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용량성 센서의 경우, 교류 전압을 인가하고 시간에 따른 전압 주파수를 변화시켜 유전율을 측정한다. 유전율은 전류와 위상 관계로부터 계산된다. 전도도 측정식(또는 저항성) 가스 센서의 경우, 장치의 전기 전도도(또는 저항) 변화는, 예를 들어 감지층의 분석물 함량과 상호연관될 수 있는 전류 변화로서 측정된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아릴렌 감지 재료의 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용량성 센서 및 전도도 측정식 센서는 당업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센서는 관심 기상 분석물의 감지를 위해 모니터링되는 분위기에 폴리머 감지층을 노출시켜 사용될 수 있다. 음파 센서의 경우, 폴리머 감지층 상의 기상 분석물의 존재에 응답하여 센서의 공진 주파수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신호의 변화는 다운스트림 프로세스를 통해 질량 변화로 직접 변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에 시각화될 수 있다.
적합한 분석물은 폴리머 감지층에 흡착하는 가스 또는 증기(통칭하여 가스) 형태의 분석물을 포함한다. 분석물은 실온에서 일반적으로 기상 또는 액상이다. 액체 분석물은 일반적으로, 폴리머 감지층과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기상 농도를 증가시키도록 가열된다. 본 발명의 센서는 특히 유기 분석물을 측정하는 데 적합하다. 적합한 유기 분석물은,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아세트산, 또는 트리알킬아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센서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무기 분석물, 예를 들어 수증기 또는 이산화탄소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가스 센서는 관심 분석물을 감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분석물과 폴리머 감지층 간의 상호작용은 가역적이다. 도 5는 분석물에 대한 응답 및 회복을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음파 센서의 공진 주파수 대 시간의 대표적 도표이다. 센서는 분석물이 투여되기 전 기준 A에서 초기 기준선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다. 센서는 기준 A에서 시작하여 기준 B에서 완전 응답에 도달할 때까지 분석물에 노출된다. 공진 주파수의 감소는 분석물과 폴리머 감지층 간의 상호작용의 표시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센서의 바람직한 작동 온도에서 감지층이 분석물에 대해 친화력을 갖지만 공유 결합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이러한 상호작용은 물리 흡착, 화학 흡착, 혼화, 전하-결합 착화물형성, 수소 결합, 이온 결합 등 중 하나 이상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어서, 센서가 대기, 불활성 가스, 또는 분석물이 본질적으로 없는 다른 분위기 조건에 노출된 상태에서 분석물의 투여가 종료된다. 분석물과 폴리머 감지층 간의 상호작용이, 예를 들어 탈착 또는 해리에 의해 역전되기 시작함에 따라, 공진 주파수는 기준 C에서 새로운 기준선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한다. 새로운 기준선 레벨의 공진 주파수는, 예를 들어 폴리머-분석물 상호작용의 강도, 습도 또는 모듈러스(예를 들어 분석물-감지 폴리머막 상호작용의 결과로서의 전단 및/또는 탄성)의 투여 전후 변화, 또는 공비 분석물 제거에 따라 원래의 기준선 레벨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5에서, "응답"은 초기(투여전) 기준선에서 분석물에 대한 완전 응답치까지 센서의 측정된 공진 주파수(Hz)의 변화이다. "회복"은 완전 응답에서 센서로부터의 분석물 퍼지 후 새로운 기준선 C까지 센서의 측정된 공진 주파수(Hz)의 변화이다. "회복 시간"은 폴리머 감지층이 기준 B에서의 완전 응답으로부터 기준 C에서의 새로운 기준선 레벨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회복률은 주어진 분석물에 대한 회복/응답의 비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센서는 50% 이상의 회복,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의 회복, 70% 이상의 회복, 80% 이상의 회복, 또는 90% 이상의 회복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회복은 90분의 시간 내에, 더 바람직하게는 60분 내에, 30분 내에, 또는 15분 내에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회복은 실온(예를 들어, 20~30℃)에서 일어나지만, 더 높은 온도, 예를 들어 최고 1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주어진 센서에 대한 온도 한계는, 예를 들어 센서의 구성 재료, 예컨대 폴리머 감지층의 특성(예를 들어,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사용된 경우, 예를 들어 내부 또는 외부 히터를 사용하거나, 폴리머 감지층과 접촉시키기 위한 가열된 퍼지 가스를 사용하여 센서 가열이 수행될 수 있다. 실온에서 90분의 시간 내에 50% 이상의 센서 회복이 일반적이다. 용량성 센서 및 전도도 측정식 센서와 같은 다른 센서 유형에 대해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특성들로 인해 본 발명의 센서는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센서는 센서 내 기상 분석물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제2 분위기에 노출될 수 있다. 측정되는 가스 센서 유형의 특성, 예를 들어 음파 센서의 공진 주파수는 기준선 레벨로 회복될 수 있다. 이어서, 센서는 기상 분석물을 포함하는 제3 분위기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기상 분석물은 이전 측정에서 감지된 것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시퀀스는 1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다음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감지 폴리머 합성
아래에 설명된 절차를 이용해 다음의 폴리머 A 내지 E를 합성하였다. 보고되는 수 평균 분자량(Mn),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다분산도(PDI = Mw/Mn)는 폴리스티렌 표준물질 기반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되었다. 폴리머 F는 Dupont Electronics & Imaging에서 SiLK™ J 폴리아릴렌 수지로서 판매되는 상용 재료이다.
폴리머 A
Figure 112020061013489-pat00011
폴리머 B
Figure 112020061013489-pat00012
폴리머 C
Figure 112020061013489-pat00013
폴리머 D
Figure 112020061013489-pat00014
폴리머 E
Figure 112020061013489-pat00015
폴리머 F
Figure 112020061013489-pat00016
합성예 1:
실온에서 4 리터의 원통형 반응기에 485.010 g의 디페닐렌 옥사이드 비스(트리페닐시클로펜타디엔온)(DPO-CPD), 27.370 g의 3,5-디에티닐벤조산(DEBzOH), 및 2422 g의 γ-부티로락톤을 채웠다. 이어서, 플라스크의 상단에 드라이아이스 응축기, 온도 제어기가 있는 열전대, N2 유입구, 및 교반 시스템을 장착하였다. 반응기를 형태에 맞는 가열 맨틀에 넣었다. 시스템을 배기하고 N2로 3회 퍼지하여 용기로부터 공기를 제거한 후, 용기 전체에 N2를 일정하게 흘렸다. 이어서, 반응 시스템을 135℃의 내부 온도까지 가열하였다. 1시간 후, 시스템을 90℃로 냉각시킨 다음, 추가의 300 g의 GBL과 함께 제2 분취량(27.780 g)의 DEBzOH를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다시 135℃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시스템을 다시 90℃로 냉각시킨 다음, 추가의 330 g의 GBL과 함께 제3 분취량(27.110 g, 0.25 당량)의 DEBzOH를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다시 135℃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시스템을 다시 90℃로 냉각시킨 다음, 추가의 330 g의 GBL과 함께 제4 분취량(30.763 g, 0.29 당량)의 DEBzOH를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다시 135℃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디에티닐벤조산-비스시클로펜타디엔일 폴리아릴렌 폴리머를, 실온에서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용액으로부터 침전시켜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하고, 여과하고, 추가의 이소프로판올로 세척한 후, 여액을 7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폴리머 A를 수득하였다. [폴리머 A: Mn = 10.26 kDa; Mw = 21.33 kDa; PDI = 2.08].
합성예 2:
DPO-CPD(109.42 g) 및 1,3-디에티닐벤젠(18.34 g)을 1 L의 OptiMax 반응기(유리로 라이닝되어 있고, Teflon™ 플루오로폴리머 배수 플러그가 있음)에 첨가하였다. 에톡시벤젠 용매(309 g)를 첨가하여 짙은 적갈색의 비균질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반응기를 OptiMax 합성 워크스테이션으로 옮기고, 질소 가스 분위기에서 밀봉하였다. 4-패들 교반기가 있는 교반 막대(반응기 바닥으로부터 1 cm 높이), 수냉 환류 응축기, 내부 열전대(혼합물의 중간 깊이에 위치, 교반 샤프트와 반응기 벽 사이의 중간에 방사상으로 배치), 및 1 cm 배플(반응기의 외벽에 수직으로 인접하여 위치)을 반응기 상단에 부착시켰다. 반응기의 내부 온도를 25℃로 설정하고, 100 rpm으로 교반을 개시하여 비균질 내용물을 혼합하였다. 25℃에서의 30분의 평형 기간 후, 반응기를 내부 온도가 115 내지 135℃에 도달할 때까지 1℃/분의 속도로 가온시켰다. 반응기를 18시간 동안 목표 온도로 유지시켰다. 이어서, 반응기를 1℃/분의 속도로 25℃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반응기의 내용물을 반응기 바닥의 배출구를 통해 병으로 옮겨, 폴리머 B를 수득하였다. [폴리머 B: Mn = 37.02 kDa; Mw = 105.95 kDa; PDI = 2.86].
합성예 3
4,4'-(옥시비스(4,1-페닐렌))비스(3-페닐-2,5-비스(4-(페닐에티닐)페닐)시클로펜타-2,4-디엔-1-온(A4B2)(200 g, 1 당량) 및 1,3-디에티닐벤젠(21.7 g, 1.02 당량)을 1 L의 OptiMax 반응기(유리로 라이닝되어 있고, Teflon™ 플루오로폴리머 배수 플러그가 있음)에 첨가하였다. 30 wt%의 고형분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공하는 양으로 아니솔 용매를 첨가하여 짙은 적갈색의 비균질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반응기를 OptiMax 합성 워크스테이션으로 옮기고, 질소 가스 분위기에서 밀봉하였다. 4-패들 교반기가 있는 교반 막대(반응기 바닥으로부터 1 cm 높이), 수냉 환류 응축기, 내부 열전대(혼합물의 중간 깊이에 위치, 교반 샤프트와 반응기 벽 사이의 중간에 방사상으로 배치), 및 1 cm 배플(반응기의 외벽에 수직으로 인접하여 위치)을 반응기 상단에 부착시켰다. 반응기의 내부 온도를 25℃로 설정하고, 100 rpm으로 교반을 개시하여 비균질 내용물을 혼합하였다. 25℃에서의 30분의 평형 기간 후, 반응기를 내부 온도가 115 내지 135℃에 도달할 때까지 1℃/분의 속도로 가온시켰다. 반응기를 72시간 동안 목표 온도로 유지시켰다. 이어서, 반응기를 1℃/분의 속도로 25℃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반응기의 내용물을 반응기 바닥의 배출구를 통해 병으로 옮겨, 폴리머 C를 수득하였다. [폴리머 C: Mn = 19.6 kDa; Mw = 49.7 kDa; PDI = 2.53].
합성예 4
A4B2(1 당량) 및 DEBzOH(1.01 당량)를 1 L의 OptiMax 반응기(유리로 라이닝되어 있고, Teflon™ 플루오로폴리머 배수 플러그가 있음)에 첨가하였다. 30 wt%의 고형분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공하는 양으로 PGMEA 용매를 첨가하여 짙은 적갈색의 비균질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반응기를 OptiMax 합성 워크스테이션으로 옮기고, 질소 가스 분위기에서 밀봉하였다. 4-패들 교반기가 있는 교반 막대(반응기 바닥으로부터 1 cm 높이), 수냉 환류 응축기, 내부 열전대(혼합물의 중간 깊이에 위치, 교반 샤프트와 반응기 벽 사이의 중간에 방사상으로 배치), 및 1 cm 배플(반응기의 외벽에 수직으로 인접하여 위치)을 반응기 상단에 부착시켰다. 반응기의 내부 온도를 25℃로 설정하고, 100 rpm으로 교반을 개시하여 비균질 내용물을 혼합하였다. 25℃에서의 30분의 평형 기간 후, 반응기를 내부 온도가 115℃에 도달할 때까지 1℃/분의 속도로 가온시켰다. 반응기 온도를 18시간 동안 목표 온도로 유지시켰다. 이어서, 반응기를 1℃/분의 속도로 115℃에서 25℃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반응기의 내용물을 반응기 바닥의 배출구를 통해 병으로 옮겨, 폴리머 D를 수득하였다. [폴리머 D: Mn = 22.0 kDa; Mw = 70.0 kDa; PDI = 3.18].
합성예 5
Figure 112020061013489-pat00017
클라이젠 어댑터가 장착된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4-에티닐프탈산 무수물(2.1 당량) 및 5,5'-옥시비스(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1 당량)을 자기 교반 아세트산(5,5'-옥시비스(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에 대해 0.2 M)에 합하였다. 응축기 상단의 유입구에 질소의 양압이 가해진 드라이아이스-냉각 응축 트랩, 및 교반된 반응 혼합물로 연장되는 열전대가 있는 온도계 어댑터를 클라이젠 어댑터에 장착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가열 환류시키고(118℃), 2시간 동안 환류로 유지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실온의 탈이온수에 서서히 적하하였다. 고체 침전물을 현탁 혼합물로부터 진공 여과하고, 탈이온수에 재현탁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진공 여과하고, 생성된 고체를 현탁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다시 세척하고, 진공 여과하여 2,2'-(옥시비스(5-(트리플루오로메틸)-3,1-페닐렌))비스(5-에티닐이소인돌린-1,3-디온)(FODA)을 수득하였다(94.71% 수율). 케이크형 고체를 80℃의 진공 오븐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켜 물 및 잔류 아세트산을 제거하였다. 생성물 건조를 1H-NMR로 모니터링하여 목적 생성물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 교반 막대, 클라이젠 어댑터, 드라이아이스-냉각 응축 트랩, 온도계 어댑터, 및 열전대가 장착된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A4B2(1 당량) 및 FODA(1.1 당량)를 20 wt%의 고형분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공하는 양으로 GBL에 합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에서 150℃로 가열하고, 150℃에서 6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고순도 아세톤으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폴리머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긴 후, 기계적으로 교반되는 실온의 탈이온수에 서서히 적가하였다. 고체 침전 폴리머를 현탁 혼합물로부터 진공 여과하고, 탈이온수에 재현탁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진공 여과하고, 고체를 현탁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다시 세척하고, 다시 진공 여과하여 미색의 고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케이크형 고체를 80℃의 진공 오븐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켜 물을 제거하여 폴리머 E를 수득하였다. [폴리머 E: Mn = 13.7 kDa; Mw = 37 kDa; PDI = 2.7].
감지 폴리머 조성물 제조
20 mL의 신틸레이션 바이알에서 폴리머 조성물과 용매를 표 1에 제시된 중량%로 합하여 감지 폴리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Figure 112020061013489-pat00018
센서 제조
Laurell WS-650MZ-8NPPB 스핀 코터에서 1500 rpm으로 30초 동안 표 2에 명시된 바와 같이 Cr/Au 전극이 있는 각각의 1 인치 수정진동자(Stanford Research Systems O100RX1)에 감지 폴리머 조성물을 스핀 코팅하여 QCM 가스 센서를 제조하였다. 공기 분위기의 경우 핫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질소 분위기의 경우 Palomar Technologies SST 1200 탁상용 전기로를 사용하여 표 2에 제시된 조건에서 감지 폴리머층을 경화시켰다.
분석물 감지 절차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각각의 폴리머막-코팅 QCM 구성요소를 결정 홀더에 넣고, QCM 시스템의 7 L 파이렉스 시험 챔버 상단으로부터 4 인치의 깊이에 배치하였다. 투여전 기준선 공진 주파수 f pd(도 5에서 기준 A)를 설정하고, 시험 챔버에 1 μL의 액상 톨루엔(26 ppm)을 투여하였다. 분석물을 자기 교반기로 교반하여 챔버를 통해 액체를 증기상으로 분산 및 확산시켰다. QCM을 투여전 기준선 공진 주파수에서 완전 응답 공진 주파수(도 5에서 기준 B)에 도달할 때까지 공진 주파수 변이를 통해 투여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시험 챔버를 대기에 배기시키고, 일정한 투여후 기준선 주파수의 도달 초기 또는 90분까지 센서의 공진 주파수를 회복시켰다. 투여전 기준선 공진 주파수에서 완전 응답 공진 주파수를 뺀 값으로서 감도를 구하였고, 완전 감도 응답의 95%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서 응답 시간(t resp )을 구하였다. 막을 제조한 날과 7일 동안 시효시킨 후에 센서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2에 제공되어 있다.
Figure 112020061013489-pat00019
푸리에 변환 적외선(FTIR) 분광 특성 분석
절단된(1 인치 x 1 인치) 실리콘 웨이퍼 상의 박막을 Harrick Scientific Brewster 각도 설정기가 장착된 Thermo Scientific Nicolet iS5 기기를 사용하여 FTIR 분광 분석하였다. 모든 기준선은 폴리머-기능화 웨이퍼와 동일한 웨이퍼로부터 절단된 코팅되지 않은 비개질 실리콘 웨이퍼에 대한 것이다. 스펙트럼은 4000과 400 cm-1 사이에서 기록되었다. 1480 내지 1522 cm-1에서의 총 피크 면적(피크 적분) 및 1648 내지 1690 cm-1에서의 총 피크 면적을 측정하였다. 샘플에 대해 전자의 피크 면적에 대한 후자의 피크 면적의 비를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라만 분광 특성 분석
300 gr/mm의 그레이팅으로 633 nm의 여기를 사용하는 Horiba LabRam HR 라만 현미경을 사용하여 라만 분광 측정을 수행하였다. 100x 대물렌즈(Olympus Mplan-100x, NA 0.9)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였다. 2190 내지 2250 cm-1에서의 총 피크 면적(피크 적분) 및 1550 내지 1650 cm-1에서의 총 피크 면적을 측정하였다. 샘플에 대해 후자의 피크 면적에 대한 전자의 피크 면적의 비를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61013489-pat00020

Claims (16)

  1. 가스 센서로서,
    기판;
    상기 기판 상의 복수의 전극; 및
    기상 분석물을 흡착시키기 위한 상기 기판 상의 폴리머 감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분석물의 흡착은 상기 가스 센서의 출력 신호를 변화시키는 상기 가스 센서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고, 상기 폴리머 감지층은 방향족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제1 모노머 및 2개 이상의 시클로펜타디엔온기를 포함하는 제2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의 반응 생성물, 또는 상기 반응 생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 폴리아릴렌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1480 내지 1522 cm-1에서의 총 피크 면적에 대한 1648 내지 1690 cm-1에서의 총 피크 면적의 비가 0.15 이하인 FTIR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가스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감지층은 1550 내지 1650 cm-1에서의 총 피크 면적에 대한 2190 내지 2250 cm-1에서의 총 피크 면적의 비가 1.0 이하인 라만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가스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감지층은 X선 광전자 분광법으로 측정시 7 원자% 이하의 산소 함량을 갖는, 가스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감지층은 제1 모노머, 제2 모노머,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코팅된 상기 조성물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가스 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노머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가스 센서.
    [화학식 1] [화학식 2]
    Figure 112021082098037-pat00021
    Figure 112021082098037-pat00022

    (식 중, R은 독립적으로 H, -C(=O)OR2,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4-20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1은 독립적으로 F, 치환 또는 비치환 C1-1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 C4-20 헤테로아릴, -C≡C-R, -C(=O)OR2, -C(=O)NHR3, -O-C(=O)R4, -NHC(=O)R5, -S(=O)2-OR6, 또는 S(=O)2-NHR3로부터 선택되고; R2는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 C1-10 알킬, C6-20 아릴, 또는 C4-20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3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1-10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1-10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5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1-10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6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1-10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화학식 1의 a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화학식 2의 a는 0 내지 3의 정수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노머는 화학식 3의 모노머인, 가스 센서.
    [화학식 3]
    Figure 112020061013489-pat00023

    (식 중, 각각의 R7은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 C1-6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4-20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Ar1은 방향족 모이어티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노머는 화학식 3A의 모노머인, 가스 센서.
    [화학식 3A]
    Figure 112020061013489-pat00024

    (식 중, 각각의 R7은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 C1-6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4-20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8은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4-20 헤테로아릴이고; R9은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 C1-6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6-20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C4-20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Ar1은 방향족 모이어티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센서는 음파, 용량성, 또는 전도도 측정식 가스 센서인, 가스 센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센서는 음파 가스 센서인, 가스 센서.
  11. 기상 분석물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a)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스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폴리머 감지층을 기상 분석물을 포함하는 분위기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분석물의 흡착은 상기 가스 센서의 출력 신호를 변화시키는 상기 가스 센서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센서는 음파 가스 센서이고,
    상기 방법은,
    (c) 상기 센서를 상기 센서 내 상기 기상 분석물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제2 분위기에 노출시키는 단계;
    (d) 상기 음파 가스 센서의 공진 주파수를 기준선 주파수로 회복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센서를 기상 분석물을 포함하는 제3 분위기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순서대로 추가로 포함하되,
    단계 (c), (d), 및 (e) 시퀀스는 1회 이상 수행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분석물은 유기 물질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분석물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아세트산, 또는 트리알킬아민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분석물은 무기 물질인, 방법.
KR1020200072054A 2019-06-23 2020-06-15 기상 분석물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 및 방법 KR102362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65282P 2019-06-23 2019-06-23
US62/865,282 2019-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6022A KR20200146022A (ko) 2020-12-31
KR102362977B1 true KR102362977B1 (ko) 2022-02-14

Family

ID=7399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054A KR102362977B1 (ko) 2019-06-23 2020-06-15 기상 분석물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06493B2 (ko)
JP (1) JP6936900B2 (ko)
KR (1) KR102362977B1 (ko)
CN (1) CN112198220A (ko)
TW (1) TWI7920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4570B (zh) * 2020-12-30 2023-09-22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金城南京机电液压工程研究中心 一种基于自激式压电元件的气液两相检测装置及方法
KR102484343B1 (ko) * 2021-01-29 2023-01-02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금속유기 단위입자를 코팅한 수정 진동자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68138B2 (en) * 2021-03-31 2023-09-2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s to use chemo-resistive sensors for wellbore production
WO2023027120A1 (ja) * 2021-08-27 2023-03-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感応膜及びガスセンサ
CN113848227A (zh) * 2021-09-29 2021-12-28 北京科技大学 一种用xps表征液体有机化合物的方法
WO2023145434A1 (ja) * 2022-01-31 2023-08-03 太陽誘電株式会社 検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7390A1 (ja) 2004-03-10 2005-09-22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縮合多環芳香族化合物薄膜及び縮合多環芳香族化合物薄膜の製造方法
WO2008114607A1 (ja) 2007-03-22 2008-09-25 Shinshu University 水溶性金属フタロシアニン錯体、センサー素子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センサー、ならびにセンサー素子の製造方法
JP2017014193A (ja) 2015-07-06 2017-01-19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エレクトロニック マテリアルズ エルエルシー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ポリアリーレン材料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0619A (en) * 1982-04-08 1983-04-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Oxy- and thioaryl-phenylated aromatic heterocyclic polymers
DE4402671A1 (de) * 1994-01-29 1995-08-03 Hoechst Ag Leitfähigkeitssensor
US5841021A (en) * 1995-09-05 1998-11-24 De Castro; Emory S. Solid state gas sensor and filter assembly
JP3487396B2 (ja) * 1997-01-31 2004-0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とその製造方法
EP1080162B1 (en) * 1998-05-05 2004-03-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missive polymers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se polymers
US8198096B2 (en) * 1998-05-05 2012-06-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missive polymers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se polymers
US6357278B1 (en) 1999-08-09 2002-03-19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mer coatings for chemical sensors
US6593155B2 (en) * 2000-12-28 2003-07-1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ure and oxidation of spin-on dielectric polymers
KR100561699B1 (ko) * 2003-04-22 2006-03-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폴리아릴렌계 화합물과 그 중합체 및 이들을 이용한 el소자
US20050054116A1 (en) * 2003-09-05 2005-03-10 Potyrailo Radislav A. Method of manufacturing and evaluating sensor coatings and the sensors derived therefrom
US7301002B1 (en) * 2003-10-14 2007-11-27 Sandia Corporation Sulfonated polyphenylene polymers
KR100681782B1 (ko) * 2004-03-29 2007-02-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압전 구동소자를 이용한 미세 화학 센서용감지소자 및 제조방법
US7425787B2 (en) * 2005-10-18 2008-09-16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galvanic isolator incorporating single insulated decoupled stacked bulk acoustic resonator with acoustically-resonant electrical insulator
US20080135614A1 (en) * 2006-06-30 2008-06-12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Passive detection of analytes
US8802447B2 (en) * 2006-10-05 2014-08-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missive compositions with internal standard and related techniques
WO2008086200A2 (en) * 2007-01-04 2008-07-17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Passive detection of analytes
JP4865663B2 (ja) * 2007-09-28 2012-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絶縁膜形成用組成物
US20090264544A1 (en) * 2008-04-17 2009-10-22 Energy Materials Corporation Polyarylene polymers and ion conducting functionalized polyarylene polymers resulting from pairing bis-diene arylenes and bis-dienophile arylenes via a diels-alder reaction
US20140301935A1 (en) * 2011-10-26 2014-10-09 Basf Se Oligophenylene monomers and polymeric precursors for producing graphene nanoribbons
US9276213B2 (en) * 2012-03-05 2016-03-01 Honda Motor Co., Ltd. Phot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organic photovoltaic cell containing the same
CN203414377U (zh) * 2013-05-31 2014-01-29 谷宇 一种聚合物压电气体传感器阵列
US9520564B2 (en) * 2013-08-02 2016-12-13 Honda Motor Co., Ltd. Phot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organic photovoltaic cell containing the same
US9145468B2 (en) * 2013-08-02 2015-09-29 Honda Motor Co., Ltd. Phot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organic photovoltaic cell containing the same
JP6130757B2 (ja) * 2013-09-04 2017-05-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光電変換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有機薄膜太陽電池
WO2015035243A1 (en) 2013-09-06 2015-03-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vices and methods including a preconcentrator material for detection of analytes
DE102014016394B4 (de) * 2014-11-07 2022-09-08 Dräger Safety AG & Co. KGaA Gassensor und Gasmessgerät zum Nachweis volatiler organischer Verbindungen
US10894848B2 (en) * 2016-12-14 2021-01-19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Polyarylene resins
US20180162992A1 (en) * 2016-12-14 2018-06-1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Polyarylene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180171069A1 (en) * 2016-12-19 2018-06-21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Polyarylene resins
TW202208178A (zh) 2018-01-15 2022-03-01 美商羅門哈斯電子材料有限公司 聲波感測器及感測氣相分析物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7390A1 (ja) 2004-03-10 2005-09-22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縮合多環芳香族化合物薄膜及び縮合多環芳香族化合物薄膜の製造方法
WO2008114607A1 (ja) 2007-03-22 2008-09-25 Shinshu University 水溶性金属フタロシアニン錯体、センサー素子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センサー、ならびにセンサー素子の製造方法
JP2017014193A (ja) 2015-07-06 2017-01-19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エレクトロニック マテリアルズ エルエルシー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ポリアリーレン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36900B2 (ja) 2021-09-22
CN112198220A (zh) 2021-01-08
TWI792000B (zh) 2023-02-11
US11906493B2 (en) 2024-02-20
TW202100607A (zh) 2021-01-01
US20200400629A1 (en) 2020-12-24
JP2021001877A (ja) 2021-01-07
KR20200146022A (ko)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977B1 (ko) 기상 분석물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 및 방법
EP3511709B1 (en) Acoustic wave sensors and methods of sensing a gas-phase analyte
JP5775052B2 (ja) コーティングエンハンサーを含むスピンオン誘電体組成物
CN114315686B (zh) 含炔基的二胺及其制备方法和在制备感光树脂组合物中的应用
Kuo et al. Hydrogen bonding interactions and miscibility between phenolic resin and octa (acetoxystyryl)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AS‐POSS) nanocomposites
Xu et al. Synthesis of Poly (ϵ‐caprolactone‐co‐methacrylic acid) Copolymer via Phosphazene‐Catalyzed Hybrid Copolymerization
Yang et al. Poly (vinyl pyrrolidone‐co‐octavinyl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hybrid nanocomposites: Preparation, thermal properties, and Tg improvement mechanism
WO2002066546A1 (fr) Film polyimid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film
Ando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BA‐type triblock copolymers derived from polyimide and poly (2‐methyl‐2‐adamantyl methacrylate)
JP2010152004A (ja) 光学部材用基板
CN114437350B (zh) 一种聚酰亚胺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Bacosca et al. Comparative study of polyimides containing different flexible linkages
Kessler et al. Synthesis of Processable Inorganic‐Organic Hybrid Polymers Based on Poly (silsesquioxanes): Grafting from Polymerization Using ATRP
JPWO2018180793A1 (ja) ガス検知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20073764A1 (e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organic pollutants using syndiotactic polystyrene polymers as sensing elements
US11680140B2 (en) Particle-dispersed polyimide precursor solution, method for producing porous polyimide film, and porous polyimide film
Coleman et al. Hydrogen bonded polymer blends and the design of miscible polymeric antioxidants
US11634543B2 (en) Polyimide polymer, polyimide mixture and polyimide film
Tonami et al. Synthesis of a polyphenol with a mesoionic 6‐oxo‐1, 6‐dihydropyrimidin‐3‐ium‐4‐olate as pendant group and its photochemical behavior
TWI602811B (zh) 二胺化合物、聚合物、絕緣膜與電子裝置
JP2001028367A (ja) 低誘電率樹脂膜の製造法及び半導体装置
WO2007058040A1 (ja) ナフチル基を有する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91544A (ja) 絶縁膜用コーティングワニス及び絶縁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